KR20210024725A - 식물 생육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생육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725A
KR20210024725A KR1020190104203A KR20190104203A KR20210024725A KR 20210024725 A KR20210024725 A KR 20210024725A KR 1020190104203 A KR1020190104203 A KR 1020190104203A KR 20190104203 A KR20190104203 A KR 20190104203A KR 20210024725 A KR20210024725 A KR 20210024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using
humidification
discharg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085B1 (ko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팜아트홀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팜아트홀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팜아트홀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0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식립되어 화분에 담긴 흙의 습도, 주변 조도 등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실제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생육될 수 있도록 식물에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이 생육되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생육 관리장치{Management device for grow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 생육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에 식립되어 화분에 담긴 흙의 습도, 주변 조도 등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실제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생육될 수 있도록 식물에 바람을 제공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 등을 포함하는 식물은 그 양태가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기능이 있어서 관상용 식물로 판매가 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 들어 허브와 같이 방향제, 방충제, 약용 및 식용 식물은 단순한 관상용 식물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물로서 판매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식물들은 화분 등에 식재해서 재배되고 있다.
식물은 생육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물을 외부로부터 적절히 공급받지 않으면 살 수가 없기 때문에 식재된 꽃 등의 식물에 필요한 물을 분무기 또는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공급하여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실물의 재배는 단순히 물 공급 외에도 식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물 공급 주기를 고려해야 하며 주변 온도, 습도 및 일사량 등의 성장환경조건을 지켜야지만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또는 잎이 마르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식물의 재배 관리는 소정 기간동안 식물을 재배한 경험이 있는 사람일 경우에는 스스로 터득된 경험에 의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나 식물 재배와 관련 경험이 없는 사람일 경우에는 식물의 재배정보에 포함되는 온도, 습도 및 일사량 등의 성장환경조건을 각 재배자가 체감으로 정확하게 예측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식물의 성장환경조건을 측정해 관리자에게 객관적으로 표시해주는 화분이 제안된 바 있으나, 성장환경조건을 측정하고 이를 표시해주기 위한 수단이 화분 자체와 일체화되어 있어 기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526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화분에 식립되어 화분에 담긴 흙의 습도, 주변 조도 등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실제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생육될 수 있도록 식물에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이 생육되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흙이 담기고 식물이 심어지는 화분의 흙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화분의 상단 외주 둘레에 거치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에 있어서, 식물을 향해 바람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송풍팬이 내장되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유입부와 흡입된 공기가 바람으로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토출하우징; 상기 토출하우징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립; 상기 클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흙으로 삽입되어 흙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 및 상기 토출하우징에 내장되며 식물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하우징에는 상기 습도측정센서와 조도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습도와 조도가 도시되는 디스플레이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습 기체를 증발시키는 가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하우징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내장되며, 상기 배출구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로 구성되되, 상기 토출하우징의 상단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함몰 형성된 슬롯에 의해 상부에는 서로 간격을 둔 외향편과 내향편이 형성되고 상기 외향편과 내향편을 상호 관통하도록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향편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부는, 내측에 수조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습하우징; 상기 수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진동자; 상기 가습하우징의 하부 가장자리 외측에 하부로 상기 제1 배출구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가습부의 회전에 따라 제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가습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되, 복수의 등간격으로 가습하우징의 중심부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진동자에 의해 증발되어 배출되는 가습 기체가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하며, 상기 가습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서로 반대 위상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으로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외향편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습부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하우징의 상부로 상기 가습부의 결합시 상기 차단부재가 슬롯에 삽입되고 가습부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면서 차단부재가 제1 배출구룰 차단하며 동시에 회전판이 회전되어 연통공과 제2 배출구가 연통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복수 개가 등각도로 배치구성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습도측정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클립에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인출되어 겉흙과 속흙의 습도를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분에 식립되어 화분에 담긴 흙의 습도, 주변 조도 등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실제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생육될 수 있도록 식물에 인위적인 바람을 제공하여 식물이 생육되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을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별도로 가습기의 기능까지 제공함으로써 실내 공개질과 식물의 생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가 화분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인출되어 흙으로 삽입된 습도측정센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디스플레이창에 도시되는 화면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식물 생육 관리장치가 화분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가습부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토출하우징과 회전판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회전판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식물 생육 관리장치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는 내부에 흙이 담기고 식물이 심어지는 일반적인 화분의 흙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화분의 상단 외주 둘레에 거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화분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식물을 향해 바람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송풍팬(110)이 내장되며 송풍팬(11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유입부(120)와 흡입된 공기가 바람으로서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토출하우징(100), 상기 토출하우징(100)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립(200), 상기 클립(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흙으로 삽입되어 흙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300) 및 상기 토출하우징(100)에 내장되며 식물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토출하우징(100)에는 상기 습도측정센서(300)와 조도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습도와 조도가 도시되는 디스플레이창(150)이 마련되고, 전면 하부에는 송풍팬(1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버튼(140)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110)이 작동되면 유입부(120)를 통해 토출하우징(100)의 내부로 외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외기는 배출구(130)를 향해 배출되어 식재된 식물에게 적정 풍속의 바람으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하우징(100)의 전면에 유입부(120)가, 토출하우징(100)의 배면 상부에 배출구(130)가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토출하우징(100)의 측면으로는 USB 포트(1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USB 포트(160)에 별도 구비된 보조선풍기(17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선풍기(170)는 몸체가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헤드 방향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는 공지의 보조선풍기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게 공급되면 식물이 흔들리는데, 이때, 식물은 실제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에 보다 건강하고 빠르게 성장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는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 자연과 같은 생육 환경 조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식물이 바람에 의해 흔들리면서 식물에서 방출되는 향, 피톤치드, 음이온 등의 유효물질이 바람에 의해 실내 공간에 퍼지게 되어 식물을 재배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질 또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클립(200)은 일단이 회동축(210)을 매개로 토출하우징(100)의 배면에 장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며, 클립(200)의 타단에 습도측정센서(300)가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례로, 클립(200)에 슬라이딩홈(220)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20)에 습도측정센서(3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00)과 토출하우징(100) 사이에 화단의 상단 둘레가 수용되도록 식물 생육 관리장치를 배치시키게 되면 클립(200)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습도측정센서(300)가 화분에 담겨진 흙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추게 되며, 습도측정센서(300)가 화분의 흙 습도를 측정하여 식물의 수분 보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습도측정센서(300)로부터 측정된 습도는 디스플레이창(150)에 시각화된 이모티콘, 수치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클립(200)에는 복수의 습도측정센서(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습도측정센서(300) 각각의 길이를 상이하게 구성한 상태에서 흙속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속흙과 겉흙의 습도를 구분지어 측정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정된 습도의 평균값을 연산해 디스플레이창(150)에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겉흙과 속흙의 수분 함량이 서로 다르더라도 화분 내 흙속의 대략적인 평균 습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습도측정센서(300)의 길이가 클립(200)에서 조절되므로 화분의 길이, 채워진 흙의 높이 상이하더라도 탄력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조도측정센서는 식물 주변으로 비춰지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게 되며, 전술한 습도측정센서(300)와 마찬가지로 이렇게 측정된 조도는 디스플레이창(150)에 시각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이렇게 도시된 정보는 식물의 성장에 최적화된 조도를 세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는 식물을 향해 바람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별도로 가습기의 기능까지 제공함으로써 실내 공기질과 식물의 생육환경을 개선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습 기체를 증발시키는 가습부(4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의 토출하우징(100)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180)가 내장되며, 상기 배출구(130)는 제1 배출구(131) 및 제2 배출구(132)로 분할 구성된다. 그리고, 토출하우징(100)의 상부는 내공간을 형성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이 내부에 필터(180), 송풍팬(110) 등이 적소에 내장된다.
또한, 토출하우징(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함몰 형성된 슬롯(190)에 의해 상부에는 서로 간격을 둔 외향편(111)과 내향편(112)이 형성되고 상기 외향편(111)과 내향편(112)을 상호 관통하도록 제1 배출구(131)가 형성되며 상기 내향편(112)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제2 배출구(13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배출구(130)로는 바람과 수증기가 선택적으로 통과될 수 있는 구성이다.
송풍팬(110)이 구동되면 유입부(120)를 통해 토출하우징(100)의 내부로 외기가 흡입되며 토출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제1 배출구(131) 또는 제2 배출구(132)를 향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외기가 제1 배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필터(180)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식물을 향해 바람으로 배기되며 외기가 제2 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엔 후술 될 가습부(400)에 의해 생성되는 가습 기체와 혼합되어 상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하우징(10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향편(111)과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향편(112)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사이 공간에 슬롯(190)이 마련된다.
즉, 토출하우징(100)의 상부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이중구조의 토출하우징(100) 상부에 제1 배출구(131)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구조를 갖춘다. 제1 배출구(131)는 복수 개가 등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향편(111)은 홑겹으로 이루어지며 내향편(112)은 외면, 내면 및 상면으로 이루어진 함체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내향편(112)의 상면에 제2 배출구(132)가 관통되며 제2 배출구(132) 또한 전술한 제1 배출구(131)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가 등각도로 형성된다.
제2 배출구(132)는 후술 될 가습부(400)의 회전판(450)에 의해 개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슬롯(190)에는 후술 될 가습부(400)의 차단부재(430)가 삽입되는데 차단부재(430)에 의해 제1 배출구(131)가 개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습부(400)는 가습 기체를 생성하며 세척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토출하우징(100)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습부(400)는 내측에 수조(411)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습하우징(410), 상기 수조(4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진동자(420), 상기 가습하우징(410)의 하부 가장자리 외측에 하부로 상기 제1 배출구(131)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슬롯(190)에 삽입되어 가습부(400)의 회전에 따라 제1 배출구(131)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재(430), 상기 가습하우징(410)의 상부에 안착되되, 복수의 등간격으로 가습하우징(410)의 중심부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재(441)에 의해 지지되어 진동자(420)에 의해 증발되어 배출되는 가습 기체가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하며, 상기 가습하우징(4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커버(440) 및 상기 제2 배출구(132)와 서로 반대 위상의 연통공(4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132)의 상부에 안착되는 회전판(4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조(411)로는 일정 량의 물이 채워지며 진동자(420)가 진동하여 수조(411)에 채워진 물을 가습 기체(수증기)로 증발시킨다. 즉, 가습부(400)는 일반적인 가습기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를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밝힌다.
차단부재(430)는 복수 개가 등각도로 배치구성되며 상기 슬롯(19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배출구(13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만일, 차단부재(430)가 제1 배출구(131)를 차폐하게 되면 토출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 배출구(131)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2 배출구(132)를 통해 가습부(400)로 전달되는 구조를 갖춘다.
상기 차단부재(430)의 외측으로는 가이드돌기(431)가 돌출되고 상기 외향편(111)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31)가 삽입되어 가습부(400)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하우징(100)에 가습부(400)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가습하우징(410)을 회전시키면 상기 차단부재(430)의 가이드돌기(431)가 가이드홈(112)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하여 차단부재(430)가 제1 배출구(131)를 막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토출하우징(100)의 상부로 상기 가습부(400)의 결합시 상기 차단부재(430)가 슬롯(190)에 삽입되고 가습부(40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돌기(431)가 가이드홈(112)에 가이드되면서 차단부재(430)가 제1 배출구(131)룰 차단하며 동시에 회전판(450)이 회전되어 연통공(451)과 제2 배출구(132)가 연통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커버(440)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부재로 가습하우징(4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조(411)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확산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회전판(450)은 내향편(112)의 상면에 안착되는 링 형태의 부재로 가습하우징(410)에 접하여 가습하우징(410)의 회전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가습하우징(410)의 회전판(450)과 접하는 부분에는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거나 실리콘으로 형성된 돌기가 형성되어 가습부(400)의 회전시 마찰저항에 의해 이와 연동하여 회전판(450)이 회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식물 생육 관리장치의 사용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 관리장치는 식물에 바람을 제공하는 기능,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기능 및 실내를 보습하는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되, 특히, 가습부(400)의 회전조작만으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해 송풍모드 또는 가습모드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송풍모드의 경우 가습부(400)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차단부재(430)가 제1 배출구(131)를 막지 않도록 조작하면 제2 배출구(132)가 회전판(450)에 의해 막히게 되고 제1 배출구(131)를 통해서만 바람이 배출되어 식물에게 토출될 수 있다.
가습모드는 가습부(400)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차단부재(430)가 제1 배출구(131)룰 차단시키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된다. 회전되는 가습하우징(410)과 연동하여 회전판(450)이 회전되어 연통공(451)과 제2 배출구(132)가 연통되며 이 경우 필터(18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가습하우징(410) 측으로 전달되면서 진동자(420)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와 혼합되어 배출라인(OL)으로 배출된다.
즉, 가습부(4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단부재(430)가 제1 배출구(131)를 차단함과 동시에 회전판(450)이 회전하여 차단하고 있던 제2 배출구(132)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연통공(451)이 일치되면서 제2 배출구(132)가 개방된다.
정리하면, 유입부(12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필터(180)에 의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개방된 제2 배출구(132)와 연통공(451)을 순서대로 통과한 뒤 진동자(420)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와 혼합되어 커버(440)와 가습하우징(410) 사이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화된 공기의 토출 압력에 의해 수증기가 배출라인(OL)으로 배출되어 외부로 멀리 확산되고 동시에 정화된 공기도 실내로 확산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실내 공간의 습도가 어느 정도 되어 가습이 더이상 필요 없을 경우에는 가습부(400)를 가습부(400)의 결합할 때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판(450)이 반대로 회전되면서 회전판(450)이 제2 배출구(132)를 차폐함과 동시에 정화된 공기가 제1 배출구(131)를 통해서만 식물을 향해 배출되므로, 식물에 바람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진동자(420)의 구동은 중지된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토출하우징 200: 클립
300: 습도측정센서 400: 가습부

Claims (5)

  1. 내부에 흙이 담기고 식물이 심어지는 화분의 흙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화분의 상단 외주 둘레에 거치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에 있어서,
    식물을 향해 바람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송풍팬이 내장되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유입부와 흡입된 공기가 바람으로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토출하우징;
    상기 토출하우징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클립;
    상기 클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흙으로 삽입되어 흙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 및
    상기 토출하우징에 내장되며 식물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하우징에는 상기 습도측정센서와 조도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습도와 조도가 도시되는 디스플레이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가습 기체를 증발시키는 가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하우징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내장되며, 상기 배출구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로 구성되되, 상기 토출하우징의 상단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함몰 형성된 슬롯에 의해 상부에는 서로 간격을 둔 외향편과 내향편이 형성되고 상기 외향편과 내향편을 상호 관통하도록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향편의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부는,
    내측에 수조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습하우징;
    상기 수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진동자;
    상기 가습하우징의 하부 가장자리 외측에 하부로 상기 제1 배출구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되,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가습부의 회전에 따라 제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가습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되, 복수의 등간격으로 가습하우징의 중심부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진동자에 의해 증발되어 배출되는 가습 기체가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하며, 상기 가습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제2 배출구와 서로 반대 위상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외측으로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외향편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습부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하우징의 상부로 상기 가습부의 결합시 상기 차단부재가 슬롯에 삽입되고 가습부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면서 차단부재가 제1 배출구룰 차단하며 동시에 회전판이 회전되어 연통공과 제2 배출구가 연통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복수 개가 등각도로 배치구성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습도측정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클립에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인출되어 겉흙과 속흙의 습도를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육 관리장치.
KR1020190104203A 2019-08-26 2019-08-26 식물 생육 관리장치 KR10223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03A KR102235085B1 (ko) 2019-08-26 2019-08-26 식물 생육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203A KR102235085B1 (ko) 2019-08-26 2019-08-26 식물 생육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725A true KR20210024725A (ko) 2021-03-08
KR102235085B1 KR102235085B1 (ko) 2021-04-01

Family

ID=7518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203A KR102235085B1 (ko) 2019-08-26 2019-08-26 식물 생육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0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264A (ko) 2015-06-10 2016-12-20 정석훈 식물의 감정을 표시해주는 화분
KR20170098465A (ko)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은진산업 화분용 보급형 스마트 생장감지 모듈
KR20170127853A (ko) * 2016-05-13 2017-11-22 김용석 송풍 기능과 조사 기능이 구비된 저면관수식 화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264A (ko) 2015-06-10 2016-12-20 정석훈 식물의 감정을 표시해주는 화분
KR20170098465A (ko) * 2016-02-22 2017-08-30 주식회사 은진산업 화분용 보급형 스마트 생장감지 모듈
KR20170127853A (ko) * 2016-05-13 2017-11-22 김용석 송풍 기능과 조사 기능이 구비된 저면관수식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085B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9701B1 (ja) 水耕栽培装置及び水耕栽培方法
US2300776A (en) Plant propagator
KR20170132496A (ko) 원판 회전형 버섯 재배기
JP2011036145A (ja) 家庭用の栽培ユニット
KR100794260B1 (ko) 통기성 조절이 용이한 이중 구조 화분
KR101870882B1 (ko) 스마트 화분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US20100088953A1 (en) Mobile Greenhouse
KR102235085B1 (ko) 식물 생육 관리장치
KR101043699B1 (ko) 물을 주지않는 식물재배기
KR100639800B1 (ko) 다용도 방향제 휘산기
JP2005295955A (ja) 植物育成装置
JPH06319389A (ja) 植物の育成器
KR100825823B1 (ko)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JP2799663B2 (ja) 水耕栽培用装置
KR100732911B1 (ko) 화분 관상 장치
KR102381872B1 (ko) 벼 재배용 화분장치
JPH07155052A (ja) 植物生育用支持体および植物体ならびに植物の栽培方法
KR20160095424A (ko) 다육식물 재배장치
KR102301623B1 (ko) 통기, 온풍 및 수분 제공형 화분
KR0120126Y1 (ko) 회전가능한 화분
KR200317610Y1 (ko) 다기능 화분형 가습기
JPH078125A (ja) 植栽器
JPH0516935Y2 (ko)
KR20160128592A (ko) 허브식물 재배용 화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