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442A -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442A
KR20210023442A KR1020190103625A KR20190103625A KR20210023442A KR 20210023442 A KR20210023442 A KR 20210023442A KR 1020190103625 A KR1020190103625 A KR 1020190103625A KR 20190103625 A KR20190103625 A KR 20190103625A KR 20210023442 A KR20210023442 A KR 2021002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chair
squat
support mem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351B1 (ko
Inventor
남달리
Original Assignee
남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달리 filed Critical 남달리
Priority to KR102019010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351B1/ko
Priority to PCT/KR2020/011071 priority patent/WO2021040313A1/ko
Publication of KR2021002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3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with double foot-rests or leg-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안치된 발의 발등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의자에 연결 의지하여 상기 발판과 지지부재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이 동작하게 하거나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위치 설정된 상기 발판과 지지부재를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설정 및 고정수단에 의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발판과 지지부재가 보관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쿼트 운동시만 설정 및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과 지지부재를 노출시켜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 및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과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뻗은 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Chair with squat function}
본 발명은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설정 및 고정수단에 의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발판과 지지부재가 보관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쿼트 운동시만 설정 및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과 지지부재를 노출시켜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무용이나 학습용으로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받이부와 그 받이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는 대부분 앉아서 사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기능만을 가진다.
한편, 최근에 건강 및 운동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하체운동으로 주로 스쿼트 운동를 많이 하고 있다.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기본적인 하체운동으로 헬스장뿐만 아니라 요가학원, 필라테스학원 등에서 기본 운동으로 널리 수행된다.
하지만, 바쁜 직장 생활로 인해 여가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사람들이 스쿼트 운동을 위해 헬스장이나 학원 등을 이용하기 곤란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집에서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스쿼트 운동기구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쿼트 운동기구는 집에서 시간이 남는 짧은 시간을 활용하여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다소 부피가 커서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제품의 단가가 높아 제품의 사용범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쿼트 운동기구는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다소 무리하게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는 경우에 사용자를 받쳐주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운동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설정 및 고정수단에 의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발판과 지지부재가 보관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쿼트 운동시만 설정 및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과 지지부재를 노출시켜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설정 및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과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뻗은 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안치된 발의 발등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의자에 연결 의지하여 상기 발판과 지지부재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이 동작하게 하거나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위치 설정된 상기 발판과 지지부재를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받이부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설정프레임과, 상부는 상기 설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판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1설정대와, 상기 제1설정대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상부는 상기 설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판의 위치를 설정하되, 상기 제1설정대와 함께 상기 발판을 수평되게 위치를 설정하는 제2설정대와, 상기 제2설정대 상에 결합 고정되는 긴 봉 형상의 설정핀과, 일단은 상기 제1설정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설정핀이 관통 내입되어 상기 설정핀의 이송을 안내하는 설정로가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설정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설정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설정대와 함께 회전하되, 외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고정기어와, 상부가 상기 설정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에는 해제홈이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가 회동하면서 상기 스토퍼의 하부가 자유 낙하하면 상기 고정기어의 기어에 치합되면서 상기 고정기어와 함께 상기 제1설정대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톱기어와, 상기 설정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해제홈에 내입되어 상기 스토퍼를 안쪽으로 강제로 당겨 상기 스토퍼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를 상기 고정기어로부터 이탈시키며,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해제홈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를 바깥쪽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토퍼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가 상기 고정기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조절체와, 긴 봉 형상으로 상기 조절체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체의 용이한 회전을 결정하되, 끝단은 절곡되어 상기 조절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무게 추 역할을 수행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설정대에 결합 고정되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다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에 의하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설정 및 고정수단에 의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발판과 지지부재가 보관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쿼트 운동시만 설정 및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과 지지부재를 노출시켜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 및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과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뻗은 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정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1)와, 상기 받이부(1)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2)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발판(10)과, 지지부재(20)와, 설정수단(30)과,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0)은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0)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고, 그 발판(10)에 지지된 발의 발등은 후설될 상기 지지부재(20)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에 의지하여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상기 발판(10)은 사용자의 양 발바닥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발판(10)에 안치된 발의 발등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는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발등을 지지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특성상, 후설될 상기 설정수단(30)을 통해 상기 의자에 의지하여 사용자의 발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사용자의 발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발등의 표면과 같이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되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수단(30)은 상기 의자에 연결 의지하여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받이부(1)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설정프레임(31)과, 상부는 상기 설정프레임(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판(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판(10)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1설정대(32)와, 상기 제1설정대(32)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상부는 상기 설정프레임(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판(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판(10)의 위치를 설정하되, 상기 제1설정대(32)와 함께 상기 발판(10)을 수평되게 위치를 설정하는 제2설정대(33)와, 상기 제2설정대(33) 상에 결합 고정되는 긴 봉 형상의 설정핀(34)과, 일단은 상기 제1설정대(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설정핀(34)이 관통 내입되어 상기 설정핀(34)의 이송을 안내하는 설정로(35a)가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20)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설정대(32,33)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링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통해 스쿼트 운동이 요구되면 상기 제1,2설정대(32,33)를 바깥쪽으로 회동시키되 상기 제1,2설정대(32,33)의 하부가 지면에 위치되도록 회동시켜 상기 발판(1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배치 안착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2설정대(32,33)로 인해 상기 발판(10)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로 지면에 위치되며, 동시에 상기 제1,2설정대(32,33)의 회동으로 인해 상기 설정링크(35)가 상기 설정핀(34)을 타고 승·하강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발을 상기 발판(10)에 안치하되 사용자의 발등이 상기 지지부재(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 사이로 깊숙이 밀어넣은 상태에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받이부(1)의 끝단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다리 뒤편을 지지함으로 인해 사용자는 매우 안정적인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리에 힘이 풀려 주저앉는 경우에 상기 받이부(1)에서 자연스럽게 쓰러지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어 무리한 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통해 스쿼트 운동이 완료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수단의 제1,2설정대(32,33)를 상기 받이부(1) 안쪽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2설정대(32,33)에 연결되는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가 상기 받이부(1) 아래에 위치 보관되게 하여 의자 본연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통해 사용자가 다리를 수평으로 뻗고 편안하게 착석하고자 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설정대(32,33)가 수평되게 바깥쪽으로 회동 위치시켜 상기 제1,2설정대(32,33)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가 전방에 노출 위치시켜 사용자의 뻗은 다리를 상기 발판(10) 또는 지지부재(20)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의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석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수단(30)의 제1,2설정대(32,33)의 회전을 통해 위치되는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는 상기 고정수단(40)을 통해 견고히 위치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설정수단(30)이 동작하게 하거나 상기 설정수단(30)에 의해 위치 설정된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를 견고히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1설정대(32)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설정대(32)와 함께 회전하되, 외주면에는 기어(41a)가 형성되는 고정기어(41)와, 상부가 상기 설정프레임(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에는 해제홈(42a)이 형성되는 스토퍼(42)와, 상기 스토퍼(42)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42)가 회동하면서 상기 스토퍼(42)의 하부가 자유 낙하하면 상기 고정기어(41)의 기어(41a)에 치합되면서 상기 고정기어(41)와 함께 상기 제1설정대(32)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톱기어(43)와, 상기 설정프레임(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해제홈(42a)에 내입되어 상기 스토퍼(42)를 안쪽으로 강제로 당겨 상기 스토퍼(42)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43)를 상기 고정기어(41)로부터 이탈시키며,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해제홈(42a)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42)를 바깥쪽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토퍼(42)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43)가 상기 고정기어(41)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조절체(44)와, 긴 봉 형상으로 상기 조절체(44)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체(44)의 용이한 회전을 결정하되, 끝단은 절곡되어 상기 조절체(44)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무게 추 역할을 수행하는 손잡이(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수단(30)을 통해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의 위치 이송이 요구되면 사용자는 상기 고정수단(40)의 손잡이(45)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45)와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조절체(44)가 상기 스토퍼(42)의 해제홈(42a)에 내입되면서 상기 스토퍼(42)를 안쪽으로 당겨 상기 스토퍼(42)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43)와 고정기어(41)의 치합을 해제하여 상기 고정기어(41)와 연결되는 상기 제1,2설정대(32,33)의 자유로운 회전을 통해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의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수단(30)을 통해 설정된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의 위치 고정이 요구되면 상기 손잡이(45)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손잡이(45)의 파지를 해제하면 자연적으로 상기 손잡이(45)가 상기 조절체(44)와 함께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된 상기 조절체(44)는 상기 해제홈(42a)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42)를 상기 고정기어(41) 측으로 밀착 지지하여 상기 스토퍼(42)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43)와 상기 고정기어(41)가 치합되면서 상기 제1,2설정대(32,33)가 견고히 고정되어 상기 제1,2설정대(32,33)에 연결되는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가 설정된 위치에서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설정대(33)에 결합 고정되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다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패널(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널(50)은 사용자가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에 의지하여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종아리 부근을 지지함으로, 사용자가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와 함께 상기 지지패널(50)에 의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자세로 스쿼트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패널(50)은 소정의 쿠션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나, 이러한 재질로 한정하여 제작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자의 하부에 상기 설정 및 고정수단(30,40)에 의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가 보관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보관 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쿼트 운동시만 상기 설정 및 고정수단(30,40)을 통해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를 노출시켜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리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다가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면 자연스럽게 의자의 받이부(1)에 사용자를 안전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초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설정 및 고정수단(30,40)을 통해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뻗은 다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한다.
먼저,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를 통해 스쿼트 운동이 요구되면 고정수단(40)을 통해 설정수단(30)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설정수단(30)을 통해 발판(10) 및 지지부재(20)를 지면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위치된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는 상기 고정수단(40)을 통해 견고히 위치 고정됨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발판(10)에 발을 안치하되, 발등이 상기 지지부재(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에 상기 발판(10) 및 지지부재(20)에 의지하여 간편히 스쿼트 운동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스쿼트 운동이 완료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 및 고정수단(30,40)을 통해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를 받이부(1) 안쪽으로 회동 복귀시켜 본 발명의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100)가 의자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받이부 2. 고정다리
10. 발판 20. 지지부재
30. 설정수단 31. 설정프레임
32. 제1설정대 33. 제2설정대
34. 설정핀 35. 설정링크
40. 고정수단 41. 고정기어
42. 스토퍼 42a. 해제홈
43. 스톱기어 44. 조절체
45. 손잡이 50. 지지패널
100.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laims (4)

  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이부(1)와, 상기 받이부(1)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다리(2)가 형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판(10);
    상기 발판(10)에 안치된 발의 발등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부재(20);
    상기 의자에 연결 의지하여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설정수단(30); 및
    상기 설정수단(30)이 동작하게 하거나 상기 설정수단(30)에 의해 위치 설정된 상기 발판(10)과 지지부재(20)를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30)은,
    상기 받이부(1)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설정프레임(31)과,
    상부는 상기 설정프레임(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판(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판(10)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1설정대(32)와,
    상기 제1설정대(32)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상부는 상기 설정프레임(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판(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발판(10)의 위치를 설정하되, 상기 제1설정대(32)와 함께 상기 발판(10)을 수평되게 위치를 설정하는 제2설정대(33)와,
    상기 제2설정대(33) 상에 결합 고정되는 긴 봉 형상의 설정핀(34)과,
    일단은 상기 제1설정대(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설정핀(34)이 관통 내입되어 상기 설정핀(34)의 이송을 안내하는 설정로(35a)가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20)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설정대(32,33)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링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제1설정대(32)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설정대(32)와 함께 회전하되, 외주면에는 기어(41a)가 형성되는 고정기어(41)와,
    상부가 상기 설정프레임(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에는 해제홈(42a)이 형성되는 스토퍼(42)와,
    상기 스토퍼(42)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42)가 회동하면서 상기 스토퍼(42)의 하부가 자유 낙하하면 상기 고정기어(41)의 기어(41a)에 치합되면서 상기 고정기어(41)와 함께 상기 제1설정대(32)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톱기어(43)와,
    상기 설정프레임(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해제홈(42a)에 내입되어 상기 스토퍼(42)를 안쪽으로 강제로 당겨 상기 스토퍼(42)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43)를 상기 고정기어(41)로부터 이탈시키며,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해제홈(42a)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42)를 바깥쪽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토퍼(42)에 형성되는 상기 스톱기어(43)가 상기 고정기어(41)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조절체(44)와,
    긴 봉 형상으로 상기 조절체(44)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체(44)의 용이한 회전을 결정하되, 끝단은 절곡되어 상기 조절체(44)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무게 추 역할을 수행하는 손잡이(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대(33)에 결합 고정되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다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패널(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0190103625A 2019-08-23 2019-08-23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32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25A KR102329351B1 (ko) 2019-08-23 2019-08-23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PCT/KR2020/011071 WO2021040313A1 (ko) 2019-08-23 2020-08-20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625A KR102329351B1 (ko) 2019-08-23 2019-08-23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442A true KR20210023442A (ko) 2021-03-04
KR102329351B1 KR102329351B1 (ko) 2021-11-18

Family

ID=7468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25A KR102329351B1 (ko) 2019-08-23 2019-08-23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9351B1 (ko)
WO (1) WO202104031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0760B2 (ja) * 2009-06-18 2013-12-04 浩二 若吉 トレーニング補助機能付の家具
KR101720874B1 (ko) * 2015-10-01 2017-03-29 김수현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KR20170114874A (ko) * 2016-04-06 2017-10-16 정진우 복근강화 및 수족지압 의자
KR2018003818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다리 받침 겸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1044B (zh) * 2011-11-17 2013-08-14 广西大学 一种户内外两用多功能健身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0760B2 (ja) * 2009-06-18 2013-12-04 浩二 若吉 トレーニング補助機能付の家具
KR101720874B1 (ko) * 2015-10-01 2017-03-29 김수현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KR20170114874A (ko) * 2016-04-06 2017-10-16 정진우 복근강화 및 수족지압 의자
KR2018003818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다리 받침 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313A1 (ko) 2021-03-04
KR102329351B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456B2 (ja) 運動器具
US20050245370A1 (en) Powerwalk plus
US8696534B2 (en) Total abs office chair
US20030130100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CA2391048C (en) Rehabilitation chair
US9498664B2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KR200483026Y1 (ko) 허리 헬스기구
US8905906B2 (en) Adaptor for converting conventional office chair into a multifunctional office/fitness chair
JP3749248B1 (ja) エクササイズチェア
US8317268B2 (en) Portable footrest for use when sitting on a toilet
EP1402926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11511147B2 (en) Workout station
KR20210023442A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170337B1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N211245373U (zh) 一种可调节的懒人健腹车
KR102170336B1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CN112295156A (zh) 一种体育健身器材
KR20200033073A (ko) 스쿼트 기능을 갖는 의자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TWI737251B (zh) 具復健功能之輪椅
US11654329B1 (en) Glute rebuilding device
KR101347159B1 (ko) 팔다리 단련용 운동기구
CN206688144U (zh) 一种倒立健身器
WO2011038541A1 (zh) 健身器材
JP2008183419A (ja) 2ヶの調節台それを用いたベントオーバーローイングのトレ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