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274A -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 - Google Patents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274A
KR20210023274A KR1020190103260A KR20190103260A KR20210023274A KR 20210023274 A KR20210023274 A KR 20210023274A KR 1020190103260 A KR1020190103260 A KR 1020190103260A KR 20190103260 A KR20190103260 A KR 20190103260A KR 20210023274 A KR20210023274 A KR 2021002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ank
fresh water
water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038B1 (ko
Inventor
하용간
Original Assignee
하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간 filed Critical 하용간
Priority to KR102019010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으로 인공 모래를 제조하는 제사 플랜트에서 모래로부터 흙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복합 폐수처리 설비이다. 이는 지상에 마련된 기초콘크리트(30) 상에 침전조(10)와 청수조(60)가 복층 일체형으로 구비된 구조이다. 청수조(60)는 침전조(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침전조(1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30) 상부에 배치되는 수조(2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20)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벽(21)을 구비한다. 상기 청수조(60)는,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벽(21)의 저면과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벽부재(6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TANK FACILITY FOR WET TYPE SAND PRODUCT PLANT}
본 발명은 폐수처리 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으로 인공 모래를 제조하는 제사 플랜트에서 모래로부터 흙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복합 폐수처리 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제조에는 모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건설 산업에 필요한 모래는 주로 강바닥에서 채취하였다. 그리고 강에서 채취할 수 있는 모래가 고갈되어 감에 따라,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고 염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양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저면은 풍부한 영양분이 혼재되어 있고 어초들이 형성되어 있는 어족 자원의 기초가 되기에, 해저면에서 모래를 채취하게 되면 이러한 어족 자원이 훼손되고 고갈될 수 있다는 어민들의 염려가 커지게 되었다. 결국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모래 채취량이 많아짐에 따라 급기야 어민들의 반대가 극심해졌고,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는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현재는 풍암이나 강암을 파쇄하여 모래를 만드는 방식으로 모래를 조달하기에 이르렀다. 모래 제조를 위한 원료 암석이 깨끗하고 습기가 없다면, 암석을 파쇄하고 모래 입자들을 선별한 뒤, 모래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흙이나 미분을 바람과 백필터 등을 사용한 집진 설비로 제거하는 건식 제사(모래 제조) 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연 상태에서 습기가 없는 암석을 구하기는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채취한 암석은 상당한 습기를 머금을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암석을 모래로 만듦에 있어 건식 제사 설비를 사용하면,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풍암이나 강암을 모래 크기까지 파쇄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여 흙 성분을 제거하는 습식 모래 제조 설비가 모래의 주요 공급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습식 제사 설비는 암석을 모래 크기까지 파쇄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는데, 모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탁수는 폐수 처리를 하여 재사용된다. 폐수처리 설비는, 탁수를 장시간 방치하여 침전시키거나 응집제를 사용하여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제사 공정에 사용될 청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청수조와, 폐수를 움직이는 펌프와 탈수 스크린 등을 구비한다. 펌프나 탈수 스크린은 그 크기가 작아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는 아니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침전조와 청수조는 이십만 내지 오십만 리터의 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습식 제사 설비에서 침전조와 청수조가 대부분의 면적과 공간을 차지한다. 아울러 침전조와 청수조는 기초 콘크리트 시공을 비롯한 토목 공사와 다름 없기에, 제작 비용도 크고 제작 기간도 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습식 제사 설비에서 침전조와 청수조가 차지하는 면적과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폐수 처리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상에 마련된 기초콘크리트(30) 상에 침전조(10)와 청수조(6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복합 폐수처리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침전조(10)와 청수조(60)는 동일한 기초콘크리트(30) 위에 복층적으로 설치된다.
청수조(60)는 침전조(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침전조(10)에서 생성되는 청수는 바로 아래에 위치한 청수조로 중력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전조(10)에서 청수조(60)로의 청수의 이동에 필요한 펌프나 배관 등을 최소화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1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30) 상부에 배치되는 수조(2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20)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벽(21)을 구비한다.
상기 청수조(60)는,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벽(21)의 저면과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벽부재(61)를 구비한다.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는 상기 침전조(10)의 수조(20) 하단부보다 더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전조(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청수조(60)에 저장된 청수에 잠길 수 있다.
상기 경사벽(21)은 원뿔 또는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조(20)는, 상기 경사벽(2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상부측벽(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20)는 탁수를 유입시키는 피드웰(feed well)(3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드웰(36)은 상기 수조(20)의 상부 중심 부근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웰(36)의 하단부는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수조(20)의 최대수위보다 더 낮게 배치되어, 상기 피드웰(36)의 하부가 상기 수조(20)에 잠길 수 있다.
상기 피드웰(36)은,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조(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조(20)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센터지지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센터지지구조는 사람이 건널 수 있는 브릿지(35)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5) 구조는 상기 수조(20)의 상부 가장자리의 어느 일 지점에서 상기 수조(20)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고, 다시 상기 수조(20)의 중앙에서 상기 수조(20)의 상부 가장자리의 다른 일 지점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 론더(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는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조(20) 내부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 높아지면, 수면 부근의 청수가 넘쳐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는 상기 수조(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사상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지지구조는 상기 방사상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는 상기 수조(20)의 중심을 둘러싸는 환상 부재(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환상 부재(42)의 직경은 상기 수조(2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환상 부재(42)는 상기 수조(20)의 반경방향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는,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 유입된 청수가 배출되는 청수 배출공(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수 배출공(43)에는 청수 토출관(4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청수 토출관(45)은 상기 수조(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수조(20)를 우회하여 상기 청수조(6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청수 토출관(45)은 상기 수조(2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수조(20)의 경사벽(21)를 관통하여 상기 청수조(6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의 하단부에는, 수조(20) 내부에서 침전된 슬러지가 빠져나가는 출구가 되는 슬러지 배출공(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에는 슬러지 토출관(2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토출관(23)은 상기 기초콘크리트(30)에 매립되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슬러지 토출관(23)은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폐수처리 설비는 상기 침전조(1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으로 모아주는 교반기(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56)는, 상기 경사벽(21)이 매우 완만한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56)는, 상기 피드웰(36)의 중공부를 통해 상하로 관통되는 샤프트(58)와, 상기 샤프트(58)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침전조(10) 바닥의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공(22)으로 밀어 모으는 교반날개(59)와, 상기 샤프트(58)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샤프트(58)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장치(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벽(21)의 경사도가 큰 경우에는 교반기(56)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피드웰(36)에는 피드웰(36)을 통해 유입되는 탁수의 층류를 유도하는 층류 유도부재(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층류 유도부재(37)는, 상기 피드웰(36)을 통해 흐르는 탁수를 가로막는 판(371)과, 상기 탁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판(371)에 마련된 복수 개의 통공(3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웰(36)보다 탁수 흐름의 상류에는, 상기 탁수를 응집시키기 위한 응집제를 탁수에 투입하는 응집제 공급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혼합부에서 탁수와 혼합된 후 상기 피드웰을 통해 침전조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기둥(31)을 통해 상기 기초콘크리트(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31)은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전조(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31)은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거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에 따르면, 설비가 차지하는 면적이 비약적으로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콘크리트를 비롯한 토목공사 비용과 시간이 현저히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배관과 펌프 설비가 최소화 되어서 비용과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수조가 침전조를 지지하는 형태로서, 수조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증가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습식 제사 플랜트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이라 함은 연직 방향, 즉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방은 중력방향, 상방은 중력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 명세서에서 축방향이라 함은 상기 상하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반경방향 또는 방사방향이라 함은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심방향이라 함은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그리고 중심 방향이라 함은 축에 접근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방향 또는 둘레방향이라 함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그 둘레를 에워싸는 방향을 의미한다.
[습식 제사 플랜트]
습식 제사 플랜트는 풍암이나 강암을 모래 크기까지 파쇄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여 흙 성분을 제거하는 설비이다. 종래의 습식 제사 플랜트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습식 제사 플랜트는 파쇄설비(70), 모래선별설비(습식 스크린)(80), 탁수 제거설비(탈수설비, 샌드 유니트)(90) 및 폐수처리 설비를 포함한다.
파쇄설비(70)는 호퍼(71), 피더(72) 및 파쇄기(73)를 포함한다.
호퍼(71)는 모래 원료를 받아 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설비이다.
피더(72)는, 호퍼에 저장되어 있는 모래 원료를 단위 시간 당 일정량만큼 시스템에 공급하는 설비이다.
파쇄기(73)는 상기 피더에 의해 공급된 모래 원료를 모래 크기로 파쇄하는 장치이다. 파쇄기로서는 콘 크러셔, 임팩트 크러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습식 스크린(80)은, 호퍼 또는 파쇄기에서 컨베이어 밸트(81) 등을 통해 공급되는 원료 중에서 모래로 사용하기 적합한 입자를 습식으로 선별한다. 습식 스크린(80)은 경사 원진동을 하는 제1스크린(83)을 포함한다. 제1스크린(83)의 망목은 모래가 빠질 수 있는 크기이며, 제1스크린(83)에 놓여진 모래 내지 모래 원료는 샤워부(82)의 물로 세척하기 때문에 모래가 혼합된 다량의 탁수를 발생시킨다. 제1스크린(83)을 통과하지 못한 오버사이즈 골재는 리턴 컨베이어밸트(84)를 통해 파쇄설비(70)로 되돌아가고, 제1스크린(83)을 통과한 모래와 탁수는 제1호퍼(85)에 임시 저장된다.
탁수 제거설비(90)는 상기 모래와 탁수의 혼합물에서 탁수를 분리해낸다. 탁수 제거설비로서는 습식 사이클론이나 스크류 클래시파이어(screw classifi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호퍼(85)에서 파이프(86)를 통해 저수조(91)에 저장된 모래와 탁수는, 샌드 펌프(sand pump)(92)를 통해 습식 사이클론(93)에 보내어진다. 습식 사이클론(93)은 다량의 탁수를 분리해내어 제2출구(932)로 배출하여 이를 폐수처리 설비로 보낸다. 그리고 모래와 소량의 탁수는 제1출구(931)로 배출된다. 상기 습식 사이클론(93)이나 스크류 클래시파이어에서 다량의 탁수를 분리해 낸 모래도 여전히 소량의 탁수를 함유하고 있기에, 상기 탁수의 함유량을 더욱 줄이기 위한 탈수스크린(94)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탈수스크린(94)을 거쳐 선별된 모래는 출하 컨베이어밸트(95)를 통해 출하된다. 그리고 탈수스크린(94)에서 분리해낸 탁수 역시 폐수처리 설비로 보내어질 수 있다.
[폐수처리 설비]
폐수처리 설비로 들어오는 탁수는 대부분 상기 습식 사이클론이나 스크류 클래시파이어의 탁수 오버플로우로부터 나온다. 상기 탁수는 대략 70마이크론(0.07mm) 이하의 크기를 가진 흙이나 미분입자가 15중량%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폐수처리 설비에서, 탁수는 침전조(thickener)로 공급되고, 침전조에서 침전이 유도된다. 상기 탁수는 침전조로 들어가기 직전에 응집제와 혼합된다. 응집제는 먼저 고분자 물질의 묽은 용액 형태로 제조된 후 상기 탁수와 혼합된다. 상기 탁수는 자연상태에서는 극히 침전되기 어려운 1~10 미크론 정도 크기의 흙의 미분 입자들을 다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이러한 탁수의 미분들을 응집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집제는 미분들을 응집 결합시키어 플록을 생성한다. 플록은 크기가 크고 침전이 빨리 이루어지는, 흐물흐물한 입자이다.
탁수에 포함된 미분들이 플록을 형성한 상태에서 탁수가 침전조로 들어오면, 탁수 내의 흙이나 미분들은 침전조 바닥을 향하여 아래로 비교적 빨리 침전한다. 침전조 내에서 바닥으로 갈수록 탁수의 고형물의 농도는 진해진다. 고형물 농도가 커진 탁수는 침전조 최하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데 이를 통상 슬러지라고 부른다. 슬러지 1 리터에 들어있는 고형물의 무게는 약 300 내지 700 그램 정도이다.
침전조 상부로 올라가면, 탁수에서 고형분이 침전됨으로 인해 고형분의 농도가 아주 작아진 청수가 모이게 된다. 상기 침전조에는 탁수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청수 역시 연속적으로, 상기 침전조 상부에 설치된 오버플로우 론더(overflow launder)에 모여 침전조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는 링 형상 또는 방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방이 개방된 수로 형태일 수 있다.
시설의 규모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침전조로서는 약 400 내지 700 톤 정도 규모의 용량을 가지는 침전조가 많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청수조로서는 200~600톤 정도 규모의 용량을 가지는 청수조가 사용될 수 있다. 용수의 공급이 원활한 지역에서는 청수조의 용량이 200톤 정도여도 원활한 플랜트 운영이 가능하다. 하지만 용수의 공급이 제한된 환경에서는 시설을 가동하지 않는 야간에 많은 용량의 청수를 비축해야 하기에, 청수조의 용량이 커야 한다.
<제1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침전조(10)는 가파른 경사의 경사벽(21)을 구비하는 수조(2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벽(21)의 가파름 정도는 침전된 플록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 있는 각도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의 침전조(10)에는 후술할 교반기(56)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경사벽(21)은 원뿔 내지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경사벽(21)의 하단부 중앙에는 수조(20) 내부의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는 슬러지 배출공(22)이 마련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에는 슬러지 토출관(23)이 연결된다. 슬러지 토출관(23)은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다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수조(20)는 상기 경사벽(21)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벽(24)을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측벽(24)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측벽(24)의 외주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링 형상의 리브(241)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침전조(10)는 지상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전조(10)의 수조(2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30)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30)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기둥(31)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기둥(31)의 하단부에 마련된 바닥판(311)은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에 앵커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31)의 상단부는, 상기 수조(20)의 경사벽(21)과 상부측벽(24)의 경계 부근에 연결된다. 경사벽(21)과 상부측벽(24)의 경계 부근에는 상기 수조(20)를 원주 방향으로 에워싸며 지지하는 서포트링(32)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기둥(31)의 상단부는 상기 서포트링(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전조(10)의 하중은 지지기둥(31) 부근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서포트링(32)에 의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수조(20)는 마치 상기 지지기둥(31)에 매달린 것처럼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조(20)의 하단부가 상기 기초콘크리트(3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규모 면에서, 상기 수조(20)의 상부측벽(24)의 직경은 약 12미터 정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콘크리트(30)부터 상기 수조(2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 역시 약 12미터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상부측벽(24)의 높이는 약 1.5미터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침전조(10)의 탁수 저장 용량은 약 500 입방미터일 수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30)는 한 변이 약 15미터에 이르는 정사각형의 콘크리트 블록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조(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조(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브릿지(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5)는 상기 수조(20)의 중심을 지나고, 그 양단은 상기 수조(2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작업자는 유지 보수 등을 위해 상기 브릿지(35)를 통행할 수 있다. 물론 브릿지(3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5)는 상기 수조(20)의 상단부 중심에 설치되는 피드웰(36)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릿지(35)는 상기 피드웰(36)을 지지하는 제1센터지지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피드웰(36)은 상기 수조(20)와 동심 배치될 수 있고, 상하로 관통된 원형의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피드웰(36)은 상기 침전조(10)로 탁수가 공급되는 최종 경로가 된다.
상기 피드웰(36)의 상부에는 탁수가 공급되는 탁수 공급로(50)가 설치된다. 상기 탁수 공급로(50)에는 응집제 공급부(51)가 마련된다. 응집제는 별도의 탱크에서 묽게 희석되고, 상기 탁수에 공급될 수 있다.
응집제 공급부(51)에서 공급된 응집제는 혼합부(52)에서 탁수와 함께 혼합되어 탁수 내의 입자를 응집시켜 플록을 형성한다.
상기 피드웰(36) 내에는 상기 탁수 공급로(50)로부터 상기 피드웰(36)에 공급된 탁수의 난류를 안정화시켜 층류를 유도하는 층류 유도부재(37)가 마련된다. 상기 층류 유도부재(37)는 복수 개의 통공(372)을 구비하는 흐름조정판(371)일 수 있다.
상기 수조(20)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 상단부에는 링 형태의 환상 부재(42)를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론더(40)가 설치된다. 환상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단면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의 수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탁수 공급로(50)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조(20)에 탁수가 공급되면, 수조(20)에 채워진 탁수의 수면 부근에 모이는 청수는 넘쳐서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 유입된다. 즉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는 상기 침전조(10)의 최대 수위를 규정한다.
상기 피드웰(36)은 대부분 상기 침전조(10)의 탁수에 잠겨 있으며, 상기 흐름조정판(371)은 상기 침전조(10)에 수용된 탁수에 잠겨 있을 수 있다. 상기 흐름조정판(371)은 상기 탁수 공급로(50)를 통해 공급된 탁수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키며 상기 침전조(10)로 유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흐름조정판(371)은, 피드웰(36)의 수평 단면과 일치하는 원형 판에 작은 통공(372)이 균등하게 뚫어져 있는 모양으로서, 흐름조정판(371) 위에 형성될 수 있는 와류 같은 부분적인 고속 흐름이 흐름조정판(371) 아래로 퍼져나가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전조(10)의 하부에는 청수조(60)가 설치된다. 침전조(10)의 경사벽(21)의 저면과 기초콘크리트(30) 사이의 공간은, 원통형의 측벽부재(61)로 둘러싸인다. 상기 측벽부재(61)와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면은 상기 청수조(60)의 청수 수용 공간을 규정한다.
제1실시예의 폐수처리 시설에 따르면, 상기 청수조(60)의 직경은 상기 침전조(10)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31)은 상기 측벽부재(61)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는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로 수집된 청수를 배출하는 청수 배출공(43)이 마련되고, 상기 청수 배출공(43)에는 청수 토출관(45)이 연결된다. 상기 청수 토출관(45)은 상기 수조(20)의 상부측벽(24)보다 더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청수조(60)까지 하향 연장된다.
상기 측벽부재(61)의 상단부는 상기 수조(20)의 하단부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측벽부재(61)의 상단부는 상기 청수조(60)에 채워지는 청수의 최대 수위를 규정할 수 있다. 이에, 적어도 상기 수조(20)의 하부는 상기 청수조(60)에 저장되는 청수에 잠길 수 있다.
상기 측벽부재(61)에는 상기 슬러지 토출관(23)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부(62)가 마련된다. 상기 관통부(62)와 이를 관통하는 슬러지 토출관(23) 사이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 처리될 수 있다.
피드웰(36)에서 하방으로 공급되는 탁수는, 침전조(10)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산되며 상승하게 된다. 상기 탁수의 상승 속도는 극히 느리게 설계된다. 이에 상기 탁수는 피드웰(36)에서 하강하며 나오고, 유턴을 한 후, 극히 느린 속도로 침전조 상부로 올라간다. 이때 상기 탁수에 생성된, 흙 입자로 이루어진 플록은, 비중 차이로 인하여 물과 함께 상승하지 못하고 침전조 아래 쪽을 향하여 내려간다. 따라서 탁수 중 맑은 물만 침전조 위로 올라가고, 수면 부근에서 오버플로우 론더(40)를 향해 넘쳐 흐르게 된다.
한편 침전조(10) 바닥에 모인 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경사벽(21)의 경사를 타고 슬러지 배출공(22) 쪽으로 모이게 된다. 이렇게 모인 슬러지는 강력한 슬러지 펌프(미도시)에 의하여 필터 프레스(미도시) 같은 슬러지 탈수장치로 압송된다. 그리고 슬러지 탈수 장치에서 상기 슬러지가 함유하는 수분을 탈수하면 슬러지 탈수 케이크가 만들어진다. 탈수된 수분(이를 통상 여과액이라고 부름)은 별도의 도관과 펌프를 통하여 상기 침전조(10)로 이동 저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10)는 그 모양 자체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8개 내지 12개의 지지기둥(31)에 의하여 기초콘크리트(30)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31)들은, 상술한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됨으로써, 침전조(10)의 지지 구조가 한층 더 안정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전조(10)로부터 나오는 청수는 상기 침전조(10)와 일체로 시공된 청수조(60)로 이동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모래를 세척하는 공정에 재사용된다.
청수는 모래나 슬러지 탈수 케이크 등에 일정 농도로 포함되어 계속 시스템 밖으로 소실된다. 따라서 청수조(60)에 있는 청수의 양은 모래 생산이 계속 됨에 따라 점차 줄어든다. 이에 상기 청수조(60)에는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용수가 보충된다. 청수조(60)는 청수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을 위해서 상당히 클 필요가 있다. 상기 청수조(60)는 모래 생산 플랜트에서 침전조(10) 다음으로 큰 시설이다.
상기 청수조(60)의 용량은 상기 청수조의 직경과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를 약 200 내지 700 톤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청수조(60)의 직경을 크게 하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침전조(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31)들이 청수조(6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청수조(60)의 직경을 작게 하면 후술할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31)들은 청수조(60) 바깥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청수조(60)의 측벽 높이를 조정해서 청수조(60)의 용량을 변화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청수조(60)를 침전조(10) 하부 공간에 마련하면, 단지 토목 공사를 줄일 수 있고, 폐수처리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청수조(60)에 수용되어 있는 청수는, 상기 청수에 담겨 있는 침전조(10)에 부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침전조(10)의 실질적인 하중이 감소하는 것과 마찬가지 효과가 발휘되고, 이는 침전조(10)의 지지 구조에 요구되는 강도 조건을 낮춰준다.
<제2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침전조(10) 역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파른 경사의 경사벽(21)을 구비하는 수조(2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벽(21)은 원뿔 내지 깔때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조(20)는 원통 형상의 상부측벽(24)을 더 구비한다.
상기 경사벽(21)의 하단부 중앙에는 수조(20) 내부의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는 슬러지 배출공(22)이 마련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에는 슬러지 토출관(23)이 연결된다. 슬러지 토출관(23)은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다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에 관통부(62)를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도록, 상기 슬러지 토출관(23)이 기초콘크리트(30)에 매립된 형태로 외부로 연장되는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침전조(10)의 수조(20)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31)과 서포트링(32)에 의해 상기 기초콘크리트(30)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론더(40)는 상기 수조(20)의 상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배치되는 방사상 부재(41)와, 상기 방사상 부재(41)들은 원주 방향으로 연결하는 환상 부재(42)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의 환상 부재(42)는 상기 방사상 부재(41)의 반경의 대략 중간 지점들을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환상 부재(42)와 방사상 부재(41)는그 단면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의 수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조(20)의 상단부 중심에 설치되는 피드웰(36)은 상기 방사상 부재(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상 부재는 피드웰(36)의 제2센터지지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방사상 부재(41)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피드웰(36)에 연결되고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상부측벽(24)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6개의 방사상 부재(41)가 마련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령 4개의 방사상 부재(41)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피드웰(36)의 상부에는 탁수가 공급되는 탁수 공급로(50)가 설치된다. 상기 탁수 공급로(50)에는 응집제 공급부(51)가 마련된다. 응집제 공급부(51)에서 공급된 응집제는 혼합부(52)에서 탁수와 함께 혼합되어 탁수 내의 입자를 응집시켜 플록을 형성한다.
상기 환상 부재(42)에는 복수 개의 청수 배출공(43)이 마련된다.
상기 탁수 공급로(50)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조(20)에 탁수가 공급되면, 수조(20)에 채워진 탁수의 수면 부근에 모이는 청수는 상기 방사상 부재(41)와 환상 부재(42)를 넘어 유입된다. 그리고 청수 배출공(43)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침전조(10)의 하부에 설치된 청수조(60)는 상기 침전조(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에, 지지기둥(31)은 청수조(60)보다 더 바깥쪽에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기둥(31)은 상기 측벽부재(61)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청수 배출공(43)에 연결된 청수 토출관(45)은, 하향 연장되어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벽(21)을 관통하여 상기 청수조(60)까지 하향 연장된다.
상기 측벽부재(61)의 상단부는 상기 수조(20)의 하단부보다 더 높게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수조(20)의 하부가 상기 청수조(60)에 저장되는 청수에 잠길 수 있다.
상기 침전조(10)는 대략 8개 내지 12개의 지지기둥(31)에 의하여 기초콘크리트(30) 위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31)들은, 측벽부재(61)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3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침전조(10)는 매우 완만한 경사의 경사벽(21)과, 상기 경사벽(21)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측벽(24)을 구비하는 수조(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측벽(24)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측벽(24)의 외주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링 형상의 리브(241)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경사벽(21)은 수조(20)의 완만한 바닥을 이룬다. 제3실시예의 침전조(10)는 완만한 바닥으로 인해, 침전된 슬러지가 자중에 의해 중앙 부위로 잘 모이지 못한다.
이에 제3실시예의 침전조(10)에는 교반기(56)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56)는 수조(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장치(57)와, 상기 구동장치(57)에 의해 구동되는 샤프트(58)와, 상기 샤프트(58)의 하단부에 설치된 교반날개(59)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57)는 브릿지(35)의 중앙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57)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 구동의 토크를 증가시키고 속도를 낮추는 감속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5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피드웰(36)을 관통한다. 상기 샤프트(58)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장치(57)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58)의 하단부에 설치된 교반날개(59)는 회전한다.
상기 교반날개(59)는, 상기 교반날개(59)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경사벽(21), 즉 바닥의 슬러지를 중앙으로 밀어서 모아주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조(20)의 바닥의 중심에는 하향 연장되는 원뿔 형상의 배출콘(25)이 더 구비된다. 배출콘(25)은 상기 경사벽(21)보다 가파른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교반날개(59)에 의해 가운데로 모이는 슬러지는 상기 배출콘(25)에 모인다.
제3실시예의 침전조(10) 구조는, 앞서 제1실시예와 달리 교반기(56)를 구비하지만, 침전조(10)의 전체 높이를 낮추고도 침전조(10)의 내부 체적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배출콘(25)에는 슬러지 배출공(22)이 마련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에는 슬러지 토출관(23)이 연결된다.
상기 침전조(10)는 지지기둥(31)을 통해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브릿지(35)는 상기 수조(20)의 중심을 지나고, 그 양단은 상기 수조(2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브릿지(35)의 중심에는 상기 교반기(56)와 피드웰(36)이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수조(20)의 상부에는 탁수가 공급되는 탁수 공급로(50)가 설치된다. 상기 탁수 공급로(50)의 일부 구간은 상부가 덮여 있고 일부 구간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 부위의 상부에는 응집제 용액을 분사하는 응집제 공급부가 살포 도관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살포 도관에서 골고루 분사되는 응집제는 탁수에 고루 섞이게 된다. 응집제가 혼합된 탁수는 도관을 타고 피드웰에 들어간다.
상기 수조(20)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 상단부에는 오버플로우 론더(40)가 설치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는 "ㄷ"자 수로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 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침전조(10)의 하부에 설치된 청수조(60)는, 침전조(10)의 바닥과 기초콘크리트(30)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측벽부재(61)를 구비한다.
제3실시예의 폐수처리 시설에 따르면, 상기 청수조(60)의 직경은 상기 침전조(10)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31)은 상기 측벽부재(61)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는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로 수집된 청수를 배출하는 청수 배출공(43)이 마련되고, 상기 청수 배출공(43)에는 청수 토출관(45)이 연결된다. 상기 청수 토출관(45)은 상기 수조(20)의 상부측벽(24)보다 더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청수조(60)까지 하향 연장된다.
상기 측벽부재(61)에는 상기 슬러지 토출관(23)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부(62)가 마련된다.
침전조(10)는 지지기둥(31)에 의하여 기초콘크리트(30) 위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기둥(31)들은, 상술한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됨으로써, 침전조(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침전조
20: 수조
21: 경사벽
22: 슬러지 배출공
23: 슬러지 토출관
24: 상부측벽
241: 리브
25: 배출콘
30: 기초콘크리트
31: 지지기둥
311: 바닥판
32: 서포트링
35: 브릿지(제1센터지지구조)
36: 피드웰
37: 층류 유도부재
371: 판(흐름조정판)
372: 통공
40: 오버플로우 론더
41: 방사상 부재(제2센터지지구조)
42: 환상 부재
43: 청수 배출공
45: 청수 토출관
50: 탁수 공급로
51: 응집제 공급부
52: 혼합부
56: 교반기
57: 구동장치
58: 샤프트
59: 교반날개
60: 청수조
61: 측벽부재
62: 관통부
70: 파쇄설비
71: 호퍼
72: 피더
73: 파쇄기
80: 모래선별설비(습식 스크린)
81: 컨베이어 밸트
82: 샤워부
83: 제1스크린
84: 리턴 컨베이어밸트
85: 제1호퍼
86: 파이프
90: 탈수설비(탁수 제거설비, 샌드 유니트)
91: 저수조
92: 샌드펌프(sand pump)
93: 습식 사이클론
931: 제1출구
932: 제2출구
94: 탈수스크린
95: 출하 컨베이어밸트

Claims (15)

  1. 지상에 마련된 기초콘크리트(30) 상에 침전조(10)와 청수조(6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복합 폐수처리 설비로서,
    상기 침전조(1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30) 상부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벽(21)을 구비하는 수조(20);
    상기 수조(20)로 탁수를 유입시키는 피드웰(36);
    상기 수조(2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수조(20) 내부에서 침전된 슬러지가 빠져나가는 출구가 되는 슬러지 배출공(22);
    상기 슬러지 배출공(22)과 연결된 슬러지 토출관(23);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조(20) 내부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 높아질 때 수면 부근의 청수가 넘쳐 유입되는 오버플로우 론더(40);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 구비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 유입된 청수가 배출되는 청수 배출공(43);을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1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기둥(31)을 통해 상기 기초콘크리트(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청수조(60)는,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벽(21)의 저면과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벽부재(61)를 구비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21)은 원뿔 또는 깔때기 형상이고,
    상기 수조(20)는, 상기 경사벽(2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상부측벽(24)을 더 구비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드웰(36)은 상기 수조(20)의 상부 중심 부근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웰(36)은, 상기 수조(20)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조(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조(20)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센터지지구조를 통해 지지되며,
    상기 피드웰(36)의 하단부가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수조(20)의 최대수위보다 더 낮게 배치되어, 상기 피드웰(36)의 하부가 상기 수조(20)에 잠기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터지지구조는 사람이 건널 수 있는 브릿지(35)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터지지구조는 상기 수조(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상기 오버플로우 론더(40)의 방사상 부재(41)를 포함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합 폐수처리 설비는 상기 침전조(1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공(22)으로 모아주는 교반기(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56)는:
    상기 피드웰(36)의 중공부를 통해 상하로 관통되는 샤프트(58);
    상기 샤프트(58)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침전조(10) 바닥의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공(22)으로 밀어 모으는 교반날개(59); 및
    상기 샤프트(58)의 상단부를 통해 상기 샤프트(58)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장치(57);를 포함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드웰(36)에는 피드웰(36)을 통해 유입되는 탁수의 층류를 유도하는 층류 유도부재(37)가 구비되고,
    상기 층류 유도부재(37)는:
    상기 피드웰(36)을 통해 흐르는 탁수를 가로막는 판(371); 및
    상기 탁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판(371)에 마련된 복수 개의 통공(372);을 포함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드웰(36)보다 탁수 흐름의 상류에는, 상기 탁수를 응집시키기 위한 응집제를 탁수에 투입하는 응집제 공급부(51)가 구비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토출관(23)은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토출관(23)은 상기 기초콘크리트(30)에 매립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청수 배출공(43)에는 청수 토출관(45)이 연결되고,
    상기 청수 토출관(45)은 상기 수조(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수조(20)를 우회하여 상기 청수조(60)를 향해 연장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청수 배출공(43)에는 청수 토출관(45)이 연결되고,
    상기 청수 토출관(45)은 상기 수조(2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수조(20)를 관통하여 상기 청수조(60)로 연장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31)은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31)은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수조(60)의 측벽부재(61)는 상기 침전조(10)의 수조(20) 하단부보다 더 높게 마련되어서, 상기 청수조(60)에 저장된 청수에 상기 침전조(10)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복합 폐수처리 설비.
KR1020190103260A 2019-08-22 2019-08-22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 KR102308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60A KR102308038B1 (ko) 2019-08-22 2019-08-22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60A KR102308038B1 (ko) 2019-08-22 2019-08-22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74A true KR20210023274A (ko) 2021-03-04
KR102308038B1 KR102308038B1 (ko) 2021-09-30

Family

ID=7517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260A KR102308038B1 (ko) 2019-08-22 2019-08-22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20A (ko) * 2021-03-24 2022-10-04 하용간 침전조의 슬러지 출구 막힘 해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706A (ja) * 2000-04-06 2001-10-16 Sumitomo Heavy Ind Ltd 凝集沈殿装置
KR200436557Y1 (ko) * 2007-04-11 2007-09-05 삼흥산업개발 (주) 폐수처리장치
KR20090030617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에코다임 개선된 센터웰 장치가 포함된 수처리용 침전조
KR20160015867A (ko) * 2014-08-01 2016-02-15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원형 슬러지 수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706A (ja) * 2000-04-06 2001-10-16 Sumitomo Heavy Ind Ltd 凝集沈殿装置
KR200436557Y1 (ko) * 2007-04-11 2007-09-05 삼흥산업개발 (주) 폐수처리장치
KR20090030617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에코다임 개선된 센터웰 장치가 포함된 수처리용 침전조
KR20160015867A (ko) * 2014-08-01 2016-02-15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원형 슬러지 수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20A (ko) * 2021-03-24 2022-10-04 하용간 침전조의 슬러지 출구 막힘 해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038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sand
US49991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KR101729262B1 (ko)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KR100904283B1 (ko)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CN101484227A (zh) 用于浆料脱水的装置和方法
US2425932A (en) Gkit separator
CN107473339B (zh) 一种矿井水磁混凝处理装置及工艺
JP6067268B2 (ja) 水処理システム
US20140190897A1 (en) Enhanced separation of nuisance materials from wastewater
CN209537204U (zh) 磁加载水处理装置
US37670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
CN102774992A (zh) 旋流式一体化净化器
CN105641980B (zh) 洗砂废水固液分离装置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2308038B1 (ko) 습식 제사 플랜트의 복합 폐수처리 설비
CN106426645A (zh) 一种废塑料浮选装置
JP5067809B2 (ja) 沈砂洗浄装置
CN101328004B (zh) 污泥处理中絮凝浓缩装置
CN113351379B (zh) 一种废浆水的多级离心浓缩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900006074B1 (ko) 액체로부터 고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206334403U (zh) 一种重力式固液分离沉降装置
WO2000012192A1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solids and liquids
CN104973746A (zh) 一种浓缩污泥脱水机
KR101699778B1 (ko) 폐수 무방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및 건축용 폐강화유리의 pvb와 유리 분리장치
CN107961569A (zh) 分区沉降浓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