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222A -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 - Google Patents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222A
KR20210023222A KR1020190103145A KR20190103145A KR20210023222A KR 20210023222 A KR20210023222 A KR 20210023222A KR 1020190103145 A KR1020190103145 A KR 1020190103145A KR 20190103145 A KR20190103145 A KR 20190103145A KR 20210023222 A KR20210023222 A KR 20210023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alarm device
alarm
theft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420B1 (ko
Inventor
강신관
채일수
Original Assignee
강신관
채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관, 채일수 filed Critical 강신관
Priority to KR102019010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4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95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light change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oT 온/오프 스위치(720); 포토커플러(730); MPU(740); 발광다이오드(750); 경보신호발생부(760); 스피커(770); 및 RFID 태그(790); 를 포함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됨에 따라 MPU(740)는 수광트랜지스터(730b)로 적외선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자유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 가능한 IoT 모드 설정 스위치(741)가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진열 모드가 아닌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MPU(740)가 경보신호발생부(76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신호발생부(760)와 연결된 스피커(770)에서 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별로 고유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각 주파수가 설정된 상품에 대한 모드 선택에 따라 상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고가의 상품의 도난시 추적을 통해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Shop monitoring system based on multi-purposes alarm device, and multi-purposes alarm device and central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별로 고유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각 주파수가 설정된 상품에 대한 모드 선택에 따라 상품의 분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상품의 도난시 추적을 통해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에 관한 것이다.
상품도난방지에 쓰이는 기술로 RF(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를 설정하여 RF 태그를 부착한 상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상품도난방지를 위한 기술은 RF 방식, EM 방식, AT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RF 방식은 수신단 안테나의 커버리지에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전파가 존재하고 그 사이로 일정 공진주파수를 가진 태그가 들어오면 공명현상에 의해 물건의 도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EM 방식은 두 안테나 사이에 약한 자장이 흐르고 태그는 자기적 특성과 부식에 잘 견디는 성질을 가지게 한 물질인 비정질합금이 들어가면서 자장의 변화가 생기고 이를 감지하여 도서의 도난여부를 확인하고, AT 방식은 두 안테나 사이에 일정주파수의 자장이 존재하며, 태그가 안테나 사이로 들어와 진동을 하면 일정 주파수의 자장을 발생하고 이를 감지하여 상품의 도난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종래의 상품도난방지는 단순히 상품에 대한 인식과 경고음을 통해 외부로 도난임을 인식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됨으로써, 상품 도난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3-0019002호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DEVICE OF SECURITY BY USING WIRELESS CAMERA ON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별로 고유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각 주파수가 설정된 상품에 대한 모드 선택에 따라 상품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상품의 도난시 추적을 통해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는, IoT 온/오프 스위치(720); 포토커플러(730); MPU(740); 발광다이오드(750); 경보신호발생부(760); 스피커(770); 및 RFID 태그(790); 를 포함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됨에 따라 MPU(740)는 수광트랜지스터(730b)로 적외선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자유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 가능한 IoT 모드 설정 스위치(741)가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진열 모드가 아닌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MPU(740)가 경보신호발생부(76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신호발생부(760)와 연결된 스피커(770)에서 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판단 결과 자유 진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MPU(740)가 경보신호발생부(760)로 경보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난 방지 모드인 경우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제어신호 출력 및 발광 이후에 RFID 태그(790)에 대한 RFID 리더기(500)에 의한 RF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MPU(740)가 GPS 수신기(780)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GPS 위치 정보 및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를 RFID 태그(790)를 통해 대중 교통에 구비된 RFID 리더기에 의해 인식된 경우, 대중 교통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300)로 통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관제서버(300)는,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 및 GPS 위치 정보, GPS 위치 정보가 도달된 시간정보를 상품(600u)을 관리하는 상품 단말(4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는, 상품(600u)에 태그 형태로 부착되거나, 포토커플러(730)를 이루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 및 수광트랜지스터(730b)가 각각 각 상품(600u)의 외관을 이루는 삽입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는, 각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별로 고유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각 주파수가 설정된 상품에 대한 모드 선택에 따라 상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는, 고가의 상품의 도난시 추적을 통해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 중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집합(700)을 이루는 각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1 내지 700-n)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에서 중앙관제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은 스마트폰(100), 네트워크(200), 중앙관제서버(300), 상점 단말(400), RFID 리더기(500), 상품 집합(600) 및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집합(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집합(600)은 제 1 상품(600-1), 제 2 상품(600-2), ... , 제 n 상품(600-n)(n은 3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며,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집합(700)은 제 1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1), 제 2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2), ... , 제 3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스마트폰(100), 중앙관제서버(300), 상점 단말(400), RFID 리더기(500), 상품 집합(600) 및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집합(7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 중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집합(700)을 이루는 각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1 내지 700-n)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집합(700)을 이루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1 내지 700-n)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와 같이 하나의 도면 부호 "700u"으로 설정하고, 제 1 상품 내지 제 n 상품(600-1 내지 600-n)으로 이루어지는 상품 집합(600)을 이루는 각 상품을 하나의 도면 부호 "600u"로 설정하도록 한다. 즉,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 및 수광트랜지스터(730b)를 구비한 포토커플러(730) 외에 배터리(710), IoT 온/오프 스위치(720), MPU(740), 발광다이오드(750), 경보신호발생부(760), 스피커(770), GPS 수신기(780), RFID 태그(7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는 상품(600u)에 태그 형태로 부착되거나, 포토커플러(730)를 이루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 및 수광트랜지스터(730b)가 각각 각 상품(600u)의 외관을 이루는 삽입툴에 고정되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각 상품(600u)의 별도의 함체 또는 각 상품(600u)에 삽입 또는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가 형성된 각 상품(600u)에는 상품 진열대(10)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가 구비되거나, 상품 진열대(10)에 상품(600u)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에 형성된 IoT 온/오프 스위치(720)에 대해서 상점 단말(400)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스위칭 온(Switching on)을 수행하면, 배터리(710)로부터 포토커플러(7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 및 수광트랜지스터(730b), MPU(740), 발광다이오드(750), 경보신호발생부(760), 스피커(770), GPS 수신기(780), RFID 태그(79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포토커플러(7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되며, 상품 진열대(10)로부터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가 분리되어 상품 진열대(10)에서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으면, MPU(740)에서 경보신호발생부(76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스피커(770)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가 동작 중임을 표시함으로써, 상품(600u)에 대한 이탈신호가 감지되었음을 경보한다. 그리고 포토커플러(7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상품 진열대(10)에 의해 반사되지 않은 경우, 경보신호발생부(760)와 연결된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여 상품(600u)에 대한 이탈신호가 감지되었음을 경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됨에 따라 MPU(740)는 수광트랜지스터(730b)로 적외선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자유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 가능한 IoT 모드 설정 스위치(741)가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진열 모드가 아닌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MPU(740)는 경보신호발생부(76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신호발생부(760)와 연결된 스피커(770)에서 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도록 한다. 한편, 판단 결과 자유 진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MPU(740)는 경보신호발생부(760)로 경보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자유 진열 모드인 경우, 경보제어신호 출력 및 발광을 차단하는 이유는 상품(600u)을 스마트폰(100) 사용자가 구매하기 위해서는 기스, 도색, 까짐, 파손 등과 같은 상품(600u)의 외관에 이상이 없는 가구, 그림 등의 제품인 경우 상품(600u)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난 방지 모드인 경우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제어신호 출력 및 발광 이후에 RFID 태그(790)에 대한 RFID 리더기(500)에 의한 RF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MPU(740)는 GPS 수신기(780)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GPS 위치 정보 및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를 RFID 태그(790)를 통해 대중 교통에 구비된 RFID 리더기(미도시)에 의해 인식된 경우, 대중 교통 서버(미도시)에 의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300)로 통지되고, 중앙관제서버(300)가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 및 GPS 위치 정보, GPS 위치 정보가 도달된 시간정보를 상품(600u)을 관리하는 상품 단말(400)로 제공함으로써, 상품 단말(400)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도난된 상품(600u)을 추적할 수 있거나 경찰서 등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고가의 상품(600u)에 대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에서 중앙관제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관제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상점/상품 등록 모듈(321), 설정 모듈(322), 경보 설정 모듈(323), 위치 추적 모듈(324) 및 상품 AS 제공 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점/상품 등록 모듈(321)은 RFID 리더기(500)를 구비하는 각 상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 이후, 상점 ID, 상품 ID, 상품 일련번호를 하나의 정보 유닛으로 데이터베이스(330)에 모든 상품(600u)에 대해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점/상품 등록 모듈(321)은 각 상점 단말(400)이 보유한 각 상품 ID에 대해 설정된 RFID 설정 주파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여 각 상점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품 ID에 대해 설정된 RFID 설정 주파수 정보는 종류별로 구분된 각 상품(600-1 내지 600-n)에 대한 RFID 리더기(500)를 통해 인식하기 위해 중앙관제서버(300)에서 발급되거나, 각 상품(600-1 내지 600-n)을 생산하는 제조자에 의해 발급될 수 있다.
또한, 상점/상품 등록 모듈(321)은 상점 단말(400)을 운영하는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하는 스마트폰(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 이후, 상품 구매앱에 대한 요청에 따라 상품 구매앱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100) 상에 상품 구매앱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설정 모듈(322)은 스마트폰(100) 상에서 상품 구매앱의 실행에 따라 오프라인 상점에서 구매하는 상품(600u)에 대한 구매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구매 요청에 포함된 스마트폰(100)의 단말식별번호, 상점 ID, 상품 ID, 상품 일련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점 ID에 해당하는 상점 단말(400)로 스마트폰(100)의 단말식별번호, 상품 ID, 상품 일련번호를 포함한 구매 등록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설정 모듈(322)은 상점 단말(400) 상에서 상품 ID, 상품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상품(600u)에 대한 스마트폰(100) 사용자에 의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결제에 따라 구매 등록을 반환받아 데이터베이스(330)에 스마트폰(10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상품 ID, 상품 일련번호를 함께 저장하는 구매 등록 저장을 완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 모듈(322)은 스마트폰(100)의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600u)에 부착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에 대한 판매 모드 설정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상점 단말(400)이 스마트폰(100)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600u)의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의 IoT 온/오프 스위치(720)를 스위칭 온(Switching on)하도록 하며, IoT 모드 설정 스위치(741)에 대해서 상술한 상품 판매 모드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구매한 상품(600u)에 대해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의 경보신호발생부(760)와 발광다이오드(75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판매 모드는 상술한 자유 진열 모드와 같이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의 MPU(740)가 경보신호발생부(760)로 경보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경보 설정 모듈(323)은 상품 판매 모드로 전환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에 포함된 RFID 태그(790)에 대한 상점 단말(400)과 연결된 RFID 리더기(500)에 의한 RF 커버리지를 벗어나도,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의 경보발생신호부(760)와 발광다이오드(750)에 의해 경고 음향 및 발광이 수행되지 않도록 RFID 리더기(500)를 제어하도록 상점 단말(400)로 RFID 리더기 제어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에 구비된 RFID 태그(790)는 양방향 RFID 태그 장치로 RFID 리더기(500)로부터 RFID 태그 작동 중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자신의 고유의 RFID 설정 주파수 정보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MPU(740)에 대한 요청을 할 수 있다.
위치 추적 모듈(324)은 상품 판매 모드가 아닌 상술한 도난 방지 모드인 경우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에 대해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위치 추적 모듈(324)은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제어신호 출력 및 발광 이후에 RFID 태그(790)에 대한 RFID 리더기(500)에 의한 RF 커버리지를 벗어나고,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u) 상에서 GPS 수신기(780)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GPS 위치 정보 및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를 RFID 태그(790)를 통해 대중 교통에 구비된 RFID 리더기(미도시)에 의해 인식된 경우, 대중 교통에 구비된 RFID 리더기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된 대중 교통 서버(미도시)를 통해 상품(600u)의 GPS 위치 정보, 그리고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600u)에 대한 도난 신고를 한 상점 단말(400)의 상점 ID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위치 추적 모듈(324)은 상점 ID에 해당하는 상점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도난 발생 시간정보를 상점 단말(400)의 RFID 리더기(500)에 의해 인식된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에 대한 인식 시간으로 설정하고, 도난 발생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상점 위치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내의 대중 교통에 구비된 RFID 리더기(미도시)에 의해 찍힌 상품(600u)의 GPS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되는 상점 ID에서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여 도난된 상품(600u)의 GPS 위치 정보를 상점 ID에 해당하는 상점 단말(4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상품 단말(400)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도난된 상품(600u)을 추적할 수 있거나 경찰서 등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이러한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사전에 고가의 상품(600u)에 대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1a)은 도 1의 구성요소 외에 상점 단말(400)과 n-노드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CCTV 카메라(410), 실내 조명(420) 및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 그리고 빅데이터 서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중앙관제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점 단말(400)에 의한 액세스에 따라 상점 감시 앱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상점 감시 앱 데이터를 상점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상점 감시 앱이 상점 단말(400)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점 단말(400) 상에서 상점 감시 앱 아이콘에 대한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상점 감시 앱을 실행되면, 상점 단말(400)은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의 IoT 온/오프 스위치(720)에 대한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점 단말(400)은 n 노드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 뒤, 수신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자체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n 노드 스위치는 플러그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스위치로 각 포트에 대해서 IoT 홈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CCTV 카메라(410), 실내 조명(420),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 그 밖의 다른 IoT 장치들과 체결됨으로써, 운영자가 설정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스위칭 포트 단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점 단말(400)은 자체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 정보 중 운영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품(600u)의 도난 상태인 경우에 도난 관련 정보가 전달되는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자체 메모리에 정할 수 있다.
상점 단말(400)은 RFID 리더기(500)를 통해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700)의 RFID 태그(790)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수신하는 경우, 각 선택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자체 터치스크린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자동 제어 명령에 따른 자동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은 IoT 홈 디바이스가 CCTV 카메라(410)인 경우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상품 ID가 모아놓아 진열된 상품 진열대(10)를 향하도록 CCTV 카메라(410)에 대한 팬, 틸트, 요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명령, CCTV 카메라(410)에 대한 객체 인식에 따른 자동 줌인/줌아웃 명령, 촬영 온에 대한 순차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IoT 홈 디바이스가 실내 조명(420)인 경우 도난이 발생한 상품류가 진열된 영역의 실내 조명(420)의 조명 온에 대한 명령, IoT 홈 디바이스가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인 경우,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을 구성하는 도어 중 도난이 발생한 상품류가 진열된 영역에서 외부로 나가는 모든 도어에 대한 도어락 온 제어 명령, 그리고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도난 상태 메시지 전송 명령일 수 있다.
상점 단말(400)은 상술한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개별적인 자동 제어뿐만 아니라, 실내 조명(420), CCTV 카메라(410),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에 대한 자동 제어 명령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점 단말(400)은 자체 터치스크린에 RFID 리더기(500)에 의한 도난 인식시 도난 메시지와 함께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뉴를 출력한 뒤, 관리자로부터 자체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에 따른 각 IoT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메뉴를 자체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점 단말(400)에 의한 설정에서 IoT 홈 디바이스로 CCTV 카메라(410), 실내 조명(420),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이 운영자에 의해 모두 선택된 경우, 상점 단말(400)은 CCTV 카메라(410)에 대해서는 팬, 틸트, 요잉, 줌인, 줌아웃, 야간촬영 모드 설정, 촬영 온/오프 명령 등에 대한 제어메뉴를 자체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점 단말(400)은 실내 조명(420) 모두에 대한 자동 온 제어메뉴, 실내 조명(420)에 대해서는 도난이 발생한 상품(600u)이 진열된 진열 영역에 대한 자동 온 제어메뉴를 자체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점 단말(400)은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에 대해서는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의 중앙제어장치로 연결된 도어의 식별번호와 함께 도어락의 온/오프에 대한 제어메뉴를 자체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의 중앙제어장치로 연결된 VoIP 전화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112 또는 119 번호로의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도난 상태 메시지 전송 제어메뉴를 자체 터치스크린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점 단말(400)은 사용자의 자체 터치스크린를 통한 각 IoT 홈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제어메뉴에 따라 센싱되거나 수행된 도난 관련 정보를 하나의 도난 상태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자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 관련 정보는 CCTV 카메라(410)에 의해 촬영된 CCTV 영상, 실내 조명(420)을 구성하는 각 실내 조명의 식별번호에 대한 선택 및 온/오프 제어 리스트,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을 구성하는 도어에 대한 선택 및 선택된 도어에 형성된 도어락에 대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 상점 오토메이션 시스템(430)을 구성하는 VoIP 전화기를 통한 미리 설정된 긴급 전화통화 요청 또는 자동 도난 상태 메시지 전송 정보일 수 있으며, 상점 단말(400)에 의해 자동 제어 명령에 따라 수행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상점 단말(400)은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도난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800)로 액세스하여 도난 관련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800)에 의한 실제의 도난 상태인지 여부를 분석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서버(800)는 도난 관련 정보로 CCTV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전에 저장된 도난이 발생하기 전의 도난된 상품(600u)이 진열된 영역의 패턴과의 분석을 통해 1차로 도난 상태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서버(800)는 도난 전에 CCTV 영상에서 배경을 제외한 상품(600u)이 진열된 패턴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진열된 패턴 정보, 각 진열된 패턴 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CCTV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과 현재의 도난된 상태의 CCTV 영상을 비교하여 상품(600u)의 개수의 차이 또는 상품(600u)이 있던 곳에 없는 것이 발생한 경우 CCTV 영상 속에서 1차로 도난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빅데이터 서버(800)는 도난 관련 정보로 실내 조명(42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와, 도난 상태에서 실내 조명(420)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함께 분석하되, 도난된 상품(600u)이 있던 영역에서 외부로 나오기 위한 도어락이 자동으로 온 된 상태에서, 1차로 도난 상태로 분석된 도난된 상품(600u)이 있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이 있는지를 도난 관련 정보로 실내 조명(42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의 시간상의 순서가 도난 상태에서 실내 조명(420)에 대해서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비해 시간의 후순위에 있는 경우 1차 저지선인 도어락을 파괴한 2차 도난 상태인 최종 도난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 서버(800)는 도난 관련 정보로 실내 조명(420)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를 통한 온/오프 제어 리스트에 대해서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점 단말(400)로의 액세스를 통해 상점 단말(400)에 의한 IoT 홈 디바이스인 실내 조명(420) 상에 저장된 온/오프 제어 리스트를 자체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점 단말(400)은 빅데이터 서버(800)를 통해 수신된 실제의 도난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도난 상태, 2차 도난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800)로 액세스하여 1차 도난 상태, 2차 도난 상태의 판단이 되는 도난 관련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300)로 상점 ID, 상품 ID, 상품 일련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도난 관련 정보, 그리고 도난 상태인지 여부 정보(1차 도난 상태, 2차 도난 상태)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증거 자료로 추후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점 단말(400)은 직접적으로 실제의 도난 상태인지 여부 정보 중 2차 도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경찰청 서버(미도시)에 자신의 상점 ID, 상품 ID, 상품 일련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도난 관련 정보, 그리고 도난 상태인지 여부 정보(2차 도난 상태)를 자동으로 전함으로써, 운영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1a :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10 : 상품 진열대
100 : 스마트폰
200 : 네트워크
300 : 중앙관제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상점/상품 등록 모듈
322 : 설정 모듈
323 : 경보 설정 모듈
324 : 위치 추적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상점 단말
500 : RFID 리더기
600 : 상품 집합
600-1 : 제 1 상품
600-2 : 제 2 상품
600-n : 제 n 상품
700 :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집합
700-1 : 제 1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700-2 : 제 2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700-n : 제 3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Claims (5)

  1. IoT 온/오프 스위치(720); 포토커플러(730); MPU(740); 발광다이오드(750); 경보신호발생부(760); 스피커(770); 및 RFID 태그(790); 를 포함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에서 적외선이 발광됨에 따라 MPU(740)는 수광트랜지스터(730b)로 적외선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자유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 가능한 IoT 모드 설정 스위치(741)가 진열 모드 또는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진열 모드가 아닌 도난 방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MPU(740)가 경보신호발생부(760)에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신호발생부(760)와 연결된 스피커(770)에서 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판단 결과 자유 진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MPU(740)가 경보신호발생부(760)로 경보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750)가 발광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난 방지 모드인 경우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제어신호 출력 및 발광 이후에 RFID 태그(790)에 대한 RFID 리더기(500)에 의한 RF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MPU(740)가 GPS 수신기(780)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GPS 위치 정보 및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를 RFID 태그(790)를 통해 대중 교통에 구비된 RFID 리더기에 의해 인식된 경우, 대중 교통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300)로 통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중앙관제서버(300)는,
    상품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 및 GPS 위치 정보, GPS 위치 정보가 도달된 시간정보를 상품(600u)을 관리하는 상품 단말(4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는,
    상품(600u)에 태그 형태로 부착되거나, 포토커플러(730)를 이루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730a) 및 수광트랜지스터(730b)가 각각 각 상품(600u)의 외관을 이루는 삽입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KR1020190103145A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 KR10224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45A KR102245420B1 (ko)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45A KR102245420B1 (ko)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22A true KR20210023222A (ko) 2021-03-04
KR102245420B1 KR102245420B1 (ko) 2021-04-27

Family

ID=7517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45A KR102245420B1 (ko) 2019-08-22 2019-08-22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4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11B1 (ko) * 2012-10-19 2014-02-27 채일수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8502400A (ja) * 2014-09-18 2018-01-25 インダイム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Indyme Solutions, Llc 商品移動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11B1 (ko) * 2012-10-19 2014-02-27 채일수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8502400A (ja) * 2014-09-18 2018-01-25 インダイム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Indyme Solutions, Llc 商品移動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3-0019002호 "무선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보안장치(DEVICE OF SECURITY BY USING WIRELESS CAMERA ON MOBIL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420B1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12581B2 (en)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US8184154B2 (en) Video surveillance correlating detected moving objects and RF signals
US7433648B2 (en) System and a node used in the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ensory monitoring
JP4805991B2 (ja) レーザ距離測定機を用いた保安システムおよびレーザ距離測定機を用いた侵入者検出方法
US20080246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security theft prevention
ES2848523T3 (es) Sistema y método de vigilancia y alarma por zonas
KR101495204B1 (ko)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JP2007249303A (ja) 監視システム、その端末装置、主制御装置、端末装置の登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59611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ed user tracking
KR101657046B1 (ko) 스마트 벨 제어장치
KR20130040641A (ko) 레이다 연동 감시 시스템
CA2978418C (en) System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people
CN208046746U (zh) 一种基于人脸追踪的安防系统
US103416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18037A (ko) 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방법
US10896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using location-tracking imaging devices
JP2009288061A (ja) 監視装置
JP2006074822A (ja) 監視映像配信方法及び監視映像配信装置並びに監視映像配信システム
EP3104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devices in predetermined premises
GB2574507A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acing shrink events
KR102245420B1 (ko)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기반의 상점 감시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및 중앙관제서버
US114774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houlder speaker microphone device with an integrated thermal imaging device
KR20100003105A (ko) Rfid와 네트워크cctv의 연동을 이용한 영상 기반이동체 위치 확인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체 휴대용rfid 태그
JP2008011212A (ja) 監視装置
JP2005301962A (ja) 地域防犯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