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248A - 자동산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산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48A
KR20210022248A KR1020190101443A KR20190101443A KR20210022248A KR 20210022248 A KR20210022248 A KR 20210022248A KR 1020190101443 A KR1020190101443 A KR 1020190101443A KR 20190101443 A KR20190101443 A KR 20190101443A KR 20210022248 A KR20210022248 A KR 20210022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wning
chickens
cage
unit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804B1 (ko
Inventor
지각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등고개농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등고개농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등고개농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8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7Laying batteri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65Egg collecting or cou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의 산란 환경을 조성하고 달걀 수거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닭이 진입하여 산란하는 산란부와 산란부에 진입한 닭의 산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산란유도부와 산란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바닥재를 수거하여 재생하는 바닥재수거부와 닭이 산란한 달걀을 수거하는 달걀수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산란장치{Auto-Ra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닭의 산란 환경을 조성하고 달걀 수거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산란과 급이, 그리고 계분 벨트의 이동과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깨끗한 환경에서 산란계를 육계(肉鷄)할 수 있는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육면이 철망들로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하부 철망은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6도 - 8도 기울어지도록 조립되며 상기 하부 철망과 좌우측 철망 사이에는 계란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케이지 모듈과 상기 하부 철망 하부에 설치되어 떨어진 계분을 이송시키는 계분 벨트; 상기 복수개의 케이지 모듈의 개구부 측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계란을 집란하여 이송시키는 집란 벨트와 상기 집란 벨트 상부에 상기 복수개의 케이지 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모이통과 상기 모이통을 지지하도록 일정거리마다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모이통을 지지하는 모이통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2는 바닥으로부터 제1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급이기가 설치되는 제1 단층과 상기 제1단층으로부터 제2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음수기와 복수의 산란상 및 집란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제2단층과 상기 제2 단층으로부터 제3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다수개의 횃대가 설치되는 제3단층과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1단층, 제2단층 및 제3단층으로 산란계들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각 단층의 외부 측공간에 설치되는 층간 이동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산란상은, 바닥부 상부에 형성되며 후면부를 낮추고 전면부를 높여서 6 ~ 10°의 기울기를 가진 산란상 바닥매트와 상기 산란상의 후면 격벽과 상기 산란상 바닥매트의 후면부 사이에 형성된 계란 배출구 및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후면 격벽의 상단 부근에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부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후면격벽 위치에서 산란계 출입구를 향하여 회전 이동되는 산란계 퇴출판을 포함하는 산란계 퇴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3은 내부에 닭을 사육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사육하는 닭이 출하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닭이 배출하는 배설물을 제거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전/후진 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된 닭을 사육하거나 또는 상기케이지 외부로 출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슬렛벨트와, 상기 슬렛밸트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닭이 배설하는 배설물을 상기 케이지 외부로 배출하는 계분밸트와, 상기 슬렛밸트 또는 상기 계분밸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케이지에 구비되며, 출하하는 닭의 암/수 선별 또는 출하하는 닭이 어리장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선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4는 계사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채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설치 프레임과, 상기 설치 프레임 사이에 끼워 안착 설치할 수 있도록 양측 하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측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지 하우징과, 상기 케이지 하우징 내측 절곡부 상에 양단이 걸쳐 지지되고 산란시 종란이 양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경사면 끝단에 종란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케이지 바닥판과, 상기 케이지 바닥판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종란을 수거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구비되며, 상기의 케이지 바닥판은 배설물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이 망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종란과 배설물을 구획할 수 있도록 벨트 표면에 일정 높이의 가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 10-1788289 B1 (2017년10월13일) KR 10-2015-0098479 A (2015년08월28일) KR 10-2016-0055454 A (2016년05월18일) KR 10-2014-0142448 A (2014년12월12일)
본 발명은 닭의 산란 환경을 조성하고 달걀 수거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닭이 진입하여 산란하는 산란부(100);,상기 산란부(100)에 진입한 닭의 산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산란유도부(200);, 상기 산란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바닥재(20)를 수거하여 재생하는 바닥재수거부(300); 닭이 산란한 달걀(10)을 수거하는 달걀수거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산란부(100), 산란유도부(200), 바닥재수거부(300), 달걀수거부(400) 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산란부(100)는 지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닭이 산란하도록 하단에 바닥재(20)가 깔리는 케이지(110); 상기 케이지(110)에서 개폐되며, 닭의 산란 환경을 제공하는 암막장치(120); 상기 케이지(110)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20)가 배출되는 배출장치(1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산란부(100), 산란유도부(200), 바닥재수거부(300), 달걀수거부(400) 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산란유도부(200)는 닭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장치(210);, 닭의 산란을 유도하는 음향을 지원하는 음향지원장치(220);, 산란이 완료된 닭의 유무를 측정하는 인지장치(2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산란부(100), 산란유도부(200), 바닥재수거부(300), 달걀수거부(400) 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바닥재수거부(300)는 상기 산란부(10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20)를 세척하는 세척장치(310);, 상기 세척장치(310)에서 이송되는 바닥재(20)를 건조하는 건조장치(320);, 상기 건조장치(320)에서 건조된 바닥재(20)가 상기 산란부(100)로 순환되는 순환장치(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산란부(100), 산란유도부(200), 바닥재수거부(300), 달걀수거부(400) 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달걀수거부(400)는 상기 산란부(100)의 후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달걀(10)이 이동하는 이동관(410);, 상기 이동관(410)의 단부에 형성되며, 달걀(10)이 안착됨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장치(420);, 상기 개폐장치(420)에서 안착된 달걀(10)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4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닭이 산란할 때 조도를 낮추고, 산소 및 음악을 공급하는 등 산란 환경을 조성하여 닭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지 하부에 톱밥, 볏짚 등의 바닥재가 구비되며, 닭이 산란 후 바닥재를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거한 바닥재를 세척함과 동시에 건조시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닭이 낳은 달걀이 케이지 후면으로 이동하며, 이동된 달걀은 자동으로 수거하여 적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산란부의 사시도도
도 3은 본 발명의 산란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산란유도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달걀수거부가 형성된 케이지의 배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달걀이 적치되는 적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있어서, 닭이 진입하여 산란하는 산란부(100);, 상기 산란부(100)에 진입한 닭의 산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산란유도부(200);, 상기 산란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바닥재(20)를 수거하여 재생하는 바닥재수거부(300); 닭이 산란한 달걀(10)을 수거하는 달걀수거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산란유도부(200)와 상기 바닥재수거부(300)와 상기 달걀수거부(40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20)는 왕겨, 톱밥, 볏짚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닭이 산란한 달걀(10)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닭이 산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닭이 산란한 후 달걀(10)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산란을 위하여 케이지(110)에 진입하고, 산란을 완료한 후에는 산란부(100)에서 이탈하는 닭의 습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달걀(10)을 수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산란장치는 닭이 진입하여 산란하는 산란부(100)가 형성되며, 산란부(100)에는 닭이 산란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산란유도부(2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산란부(100)에서 닭이 원활히 산란하도록 산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재(20)를 수거하는 바닥재수거부(300)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닭이 산란하는 바닥재(20)는 오물 등의 이물질이 혼합되므로 닭이 산란한 후 달걀(10)을 수거하면 바닥재(20)를 배출해야 한다. 이러한 바닥재(20)는 왕겨, 톱밥, 볏집 등으로 형성되며, 바닥재(20)는 잘개 절단하여 닭이 최적의 환경에서 산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닭이 산란한 후 외부로 이탈하면 달걀(10)이 외부로 배출되어 자동으로 수거하는 달걀수거부(4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닭의 산란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한 산란부(100)와 산란유도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형성되며, 제어부(500)는 닭이 산란 후 바닥재(20)를 수거하여 재생하는 바닥재수거부(300)와 달걀(10)을 수거하는 달걀수거부(40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닭이 진입하여 최적의 환경에서 산란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닭이 산란 후 바닥재(20)를 수거함과 동시에 달걀(10)을 수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있어서, 상기 산란부(100)는 지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닭이 산란하도록 하단에 바닥재(20)가 깔리는 케이지(110); 상기 케이지(110)에서 개폐되며, 닭의 산란 환경을 제공하는 암막장치(120); 상기 케이지(110)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20)가 배출되는 배출장치(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는 전면에 닭이 진입하며, 상기 암막장치(120)가 개폐되는 진입도어(111); 상기 진입도어(111)의 전면에 형성되며, 닭의 노출을 방지하는 노출방지커튼(112); 상기 진입도어(11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113);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는 후면에서 개폐되며, 달걀(10)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도어;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10)의 전면에 형성되며, 닭이 진입하는 받침대(1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산란부(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산란부(100)는 닭이 산란을 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산란부(100)는 지면에서 이격되어 복수의 닭이 산란하도록 바닥재(20)가 깔리는 복수의 케이지(110)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며, 케이지(110)는 닭이 진입하는 진입도어(111)와 진입한 닭의 노출을 방지하는 노출방지커튼(112)이 형성된다. 노출방지커튼(112)은 진입도어(111)의 외측에 수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닭이 원활히 진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다. 그리고 케이지(110)의 진입도어(111)에는 하부에 단턱(113)이 형성되며, 단턱(113)에 의하여 바닥재(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달걀(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케이지(110)는 지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닭의 진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케이지(110) 전면에 받침대(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대(114)는 판재로 형성되거나 닭이 원활히 안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원형바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지(110)의 진입도어(111) 일면에는 승하강하도록 개폐됨에 따라 닭이 어두운 환경에서 산란하도록 유도하는 암막장치(120)가 형성되며, 산란 후에는 바닥재(20)가 배출되는 배출장치(130)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지(110)의 후면에는 수동으로 달걀(10)을 배출하도록 배출도어가 형성되며, 배출도어가 수동을 개폐할 경우 내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산란부(100)는 닭이 진입하여 산란하는 케이지(110)가 형성되며, 케이지(110)에는 닭의 산란 환경을 제공하는 암막장치(120)와 바닥재(20)가 배출되는 배출장치(130)가 형성됨에 따라 닭이 원활히 산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암막장치(120)는 상기 진입도어(111)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지(110)의 내부 조도를 낮추는 셔터(121); 상기 셔터(121)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암막장치(1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지(110) 내부의 조도를 낮추는 것으로 닭의 산란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막장치(120)는 케이지(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진입도어(111)의 일면에 형성되며, 이때, 암막장치(120)는 케이지(110)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암막장치(120)는 상하로 승하강하는 셔터(121)가 형성되며, 셔터(121)는 케이지(11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셔터(121)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며, 케이지(110) 상부에 형성되는 승하강모터에 의하여 셔터(121)를 승하강시킨다. 이러한 승하강모터는 다양한 기어, 체인에 의하여 셔터(121)를 승하강시킨다. 이와 같은 암막장치(120)는 닭이 케이지(110)에 진입할 경우 제어부(500)에 의하여 승하강된다.
따라서, 암막장치(120)는 닭의 원활한 산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케이지(110)의 전면에서 승하강하는 것이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130)는 상기 케이지(11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20)가 관통하는 메시망(140); 상기 메시망(140)을 관통한 바닥재(20)가 하강하는 호퍼(150);, 상기 호퍼(15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20)를 상기 바닥재수거부(300)로 공급하는 공급배출장치(160);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호퍼(150)는 상기 메시망(140)의 하단에서 개폐되는 개폐판(151);을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출장치(160)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호퍼(150)가 결합되는 공급관(161); 상기 공급관(161)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나선형의 블레이드가 결합된 회전축(16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출장치(13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출장치(130)는 케이지(110) 하부에 형성되어 작은 크기로 절단된 바닥재(20)가 관통하는 메시망(140)이 형성되며, 메시망(14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닥재(20)가 하강하는 호퍼(150)가 형성된다. 이때, 호퍼(150)는 메시망(140)의 하단에서 개폐되는 개폐판(151)이 형성된다. 개폐판(151)에 의하여 닭이 진입하여도 바닥재(20)가 하강하지 않고 메시망(140)의 상부에 적치되는 것이며, 개폐판(151)을 개방하면 바닥재(20)는 메시망(140)을 관통하여 호퍼(150)에 의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호퍼(150)는 하부의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이며, 별도의 진동장치에 의하여 바닥재(20)가 남지 않고 하강한다. 그리고 호퍼(150)의 하부에는 바닥재수거부(300)로 바닥재(20)롤 공급하는 공급배출장치(160)가 형성되며, 공급배출장치(160)는 복수의 케이지(11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20)를 배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호퍼(150) 하단부가 결합되는 공급관(161)이 형성된다. 공급관(161)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호퍼(150)가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급관(161)에는 나선형의 블레이드가 결합된 회전축(162)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회전축(16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가 형성된다. 회전모터가 회전축(162)을 회전시키면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바닥재(20)가 공급관(161)의 타단부 방면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배출장치(130)는 케이지(110) 하부에 형성되며, 하강하는 바닥재(20)를 바닥재수거부(300)로 공급하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있어서, 상기 산란유도부(200)는 닭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장치(210);, 닭의 산란을 유도하는 음향을 지원하는 음향지원장치(220);, 산란이 완료된 닭의 유무를 측정하는 인지장치(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장치(210)는 상기 케이지(110) 후면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를 산소로 변환시키는 변환장치(211);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음향지원장치(220)는 상기 케이지(110) 후면에 형성되며, 산란에 필요한 주파수 음향을 지원하는 스피커(221);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산란유도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닭의 산란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산란유도부(200)는 닭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산란을 유도하기 위한 산소공급장치(210)가 형성되며, 산소공급장치(210)는 케이지(110) 후면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산소로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소공급장치(210)는 산소를 케이지(110) 내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관(161)이 형성되며, 산소공급관(161)은 제어부(500)에 의하여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음향지원장치(220)는 닭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하여 주파수와 같은 음향을 지원하는 것이며, 이는 닭이 산란을 할 때 마음의 안정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음향지원장치(220)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생성장치(222)가 형성되며, 생성장치(222)를 제어부(500)에서 조작하는 스위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생성장치(222)에서 생성된 주파수 음향을 케이지(110) 내부로 공급하는 스피커(221)가 형성되며, 스피커(221)는 케이지(110)의 후면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지(110)에는 인지장치(230)가 형성되어 닭의 유무를 판단하여 닭의 산란을 유도하거나 바닥재(20) 및 달걀(10)을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산란유도부(200)는 닭의 유무를 측정하여 닭이 산란을 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인지장치(230)는 상기 케이지(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닭의 유무를 촬영하는 카메라(231);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인지장치(230)는 상기 케이지(110)에 형성되며, 닭의 유무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지장치(23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지장치(230)는 케이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카메라(231) 및 측정센서가 형성되며, 이는 닭의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인지장치(230)는 닭의 유무를 판단한 후 닭의 산란을 유도하거나 바닥재(20) 및 달걀(10)을 수거한다. 이러한 인지장치(230)는 카메라(231) 및 측정센서에 의하여 닭을 인지하며, 닭이 케이지(110)에 있다 판단하면 제어부(500)에서 발광장치의 발광소자를 발광한다. 그리고 닭이 케이지(110)에 없다고 판단하면 제어부(500)에서 발광장치의 발광소자를 발광하지 않는다. 또한, 인지장치(230)에서 인지한 닭의 유무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수거부(300)는 상기 산란부(10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20)를 세척하는 세척장치(310);, 상기 세척장치(310)에서 이송되는 바닥재(20)를 건조하는 건조장치(320);, 상기 건조장치(320)에서 건조된 바닥재(20)가 상기 산란부(100)로 순환되는 순환장치(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310)는 상기 산란부(100)에서 배출된 상기 바닥재(20)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11);, 상기 저장탱크(311)에 수용되며, 복수의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분리축(312);, 상기 저장탱크(311) 내부로 약품 및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313);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310)는 상기 바닥재(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바닥재(20)와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닥재수거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산란부(100)의 배출장치(130)에서 배출된 바닥재(20)를 세척하여 다시 산란부(100)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재수거부(300)는 산란부(100)의 하단에서 배출되어 공급되는 바닥재(20)를 세척하는 세척장치(310)가 형성되며, 세척장치(310)에서 세척된 바닥재(20)는 건조장치(320)에서 건조되어 순환장치(330)를 통해 케이지(110) 내부로 재공급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혼합된 바닥재(20)를 세척하는 세척장치(310)는 공급배출장치(160)에서 공급되는 바닥재(20)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11)가 형성되며, 저장탱크(311)는 원기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탱크(311)는 내부에 분리축(312)이 결합되며, 분리축(312)을 회전하여 바닥재(20)를 세척한다. 그리고 저장탱크(311)는 바닥재(20)를 이물질과 분리하기 위한 약품 및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313)가 형성되며, 공급탱크(313)는 밸브가 형성되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축(312)은 복수의 블레이드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분리모터에 의하여 회전하여 약품 및 물에 희석되는 이물질과 바닥재(20)를 분리한다. 그리고 바닥재(20)가 세척된 후 약품 및 물과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되고, 세척된 바닥재(20)는 건조장치(320)로 공급된다. 그리고 건조된 바닥재(20)는 순환장치(330)에 의하여 복수의 케이지(110)로 공급된다.
따라서, 바닥재수거부(300)는 산란부(100)에서 배출된 바닥재(20)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320)는 세척된 상기 바닥재(20)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기(321);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320)는 새로운 바닥재(20)가 공급되는 재생공급장치(322);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330)는 건조된 상기 바닥재(20)가 순환되는 순환관(331);, 상기 순환관(331)에서 순환되는 상기 바닥재(20)가 각각의 케이지(110)에 제공되는 제공관(332);, 상기 제공관(332)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지(110)의 상부에서 상기 바닥재(20)를 공급하는 바닥재공급장치(3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조장치(3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건조장치(320)는 세척되어 젖은 바닥재(20)에 열을 공급하여 건조시킨다. 이러한 건조장치(320)는 세척된 바닥재(20)를 이송하며, 건조시킨다. 건조장치(320)는 가열기(321)에 의하여 UV 등 다양한 열을 공급하여 바닥재(20)를 건조시키는 것이며, 재생공급장치(322)에서 새로운 바닥재(20)를 추가로 공급한다. 이때, 재생공급장치(322)는 세척되어 외부로 배출된 바닥재(20)의 양만큼 정량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건조장치(320)는 세척된 바닥재(20)와 새로운 바닥재(20)를 건조하여 순환장치(330)로 공급한다. 이때, 순환장치(330)는 건조장치(320)와 결합되는 순환관(331)이 형성되며, 순환관(331)으로 바닥재(20)가 공급된다. 그리고 순환관(331)의 타단부는 복수의 케이지(110)와 각각 연결되는 제공관(332)이 형성되며, 제공관(332)의 단부에는 케이지(110)의 상부에서 바닥재(20)를 공급하는 바닥재공급장치(333)가 형성된다. 바닥재공급장치(333)는 케이지(110)의 상부에서 재생된 바닥재(20)를 케이지(110) 바닥에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바닥재공급장치(333)는 회전하며, 바닥재(20)를 공급함에 따라 케이지(110)의 바닥에 일정한 두께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320)와 순환장치(330)는 세척된 바닥재(20)와 새로운 바닥재(20)를 건조시켜 정량으로 케이지(110)의 하부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자동산란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달걀수거부(400)는 상기 산란부(100)의 후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달걀(10)이 이동하는 이동관(410);, 상기 이동관(410)의 단부에 형성되며, 달걀(10)이 안착됨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장치(420);, 상기 개폐장치(420)에서 안착된 달걀(10)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420)는 달걀(10)이 이동하며, 접하는 접지판(421);, 상기 접지판(421)에 의하여 회전하는 클램핑(422);, 복수의 클램핑(422) 사이에 형성되며, 달걀(10)이 안착되는 캐리어(4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달걀수거부(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달걀수거부(400)는 닭이 산란한 후 케이지(110)에서 이탈하면 달걀(10)을 외부로 배출시켜 수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달걀수거부(400)는 산란부(100)의 후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바닥재(20)가 배출되면 달걀(10)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달걀(10)은 닭이 케이지(110)에서 이탈하면 바닥재(20)가 메시망(140)을 관통하여 하부로 배출될 때, 후면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메시망(140)에 의하여 케이지(110) 후면의 이동관(410)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개폐장치(420)는 이동관(410)의 단부에 결합되며, 달걀(10)이 이동할 때 접하는 스프링 등의 접지판(421)이 형성된다. 접지판(421)은 이동관(4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달걀(10)이 접하면 접지판(421)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며, 접지판(421)의 회전 각도에 따라 클램핑(422)이 개방된다. 그리고 클램핑(422)은 이동관(4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접지판(421)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다. 이러한 클램핑(422)은 접지판(42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개방판과 제 1개방판의 하단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면으로 연장되는 제 2개방판이 형성된다. 이러한 클램핑(422)은 판재 및 철재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제 2개방판에는 캐리어(423)가 결합되며, 캐리어(423)는 종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달걀(10)은 이동관(410)에 의하여 하강하면 접지판(421)이 접함에 따라 클램핑(422)이 양측면으로 개방하고, 개방된 클램핑(422) 사이로 달걀(10)이 전달됨에 따라 캐리어(423)에 달걀(10)이 안착된다. 이때, 캐리어(423)는 하강하며, 달걀(10)이 안착되도록 상부의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캐리어(423)에 안착된 달걀(10)은 이동장치(430)에 의하여 후술되는 적치장치(433)로 이동한다.
따라서, 달걀수거부(400)는 케이지(110) 후면에서 배출되는 달걀(10)이 접하여 개폐장치(420)가 개방되고, 달걀(10)이 캐리어(423)에 안착된 후 적치장치(433)로 이송되는 것이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430)는 달걀(10)이 안착된 상기 캐리어(423)를 거치되는 거치판(431);, 상기 거치판(431)의 하부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423)를 이동시키는 이송롤러(432);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자동산란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430)의 단부에 형성되며, 달걀(10)이 적치되는 적치장치(4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장치(4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동장치(430)는 달걀(10)이 안착된 캐리어(423)가 이동하는 것이며, 이동한 캐리어(423)는 적치장치(433)에 적치되어 살균된다. 본 발명의 이동장치(430)는 달걀(10)이 안착되는 캐리어(423)가 개폐장치(420)를 관통하여 이동장치(430)로 거치될 때 충격을 받지 않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거치판(431)이 형성되며, 거치판(431)은 복수의 이송롤러(432)를 감싸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롤러(432)는 개폐장치(420)와 일치하지 않도록 하여 달걀(10)의 파손을 방지하며, 이동장치(430)에 의하여 이송되는 달걀(10)은 캐리어(423)에 안착된 상태로 적치장치(433)에 적치된다. 적치장치(433)는 복수의 컨베이어가 형성되는 본체가 형성되며, 복수의 컨베이어는 각각 승하강하여 적치된 순서에 따라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본체는 달걀(10)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4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장치(430)는 달걀(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동장치(430)에서 이송된 달걀(10)은 적치장치(433)에서 적치된 순서에 따라 달걀(10)을 적치함에 따라 살균이 진행된 달걀(10)은 먼저 외부로 배출된다.
10: 달걀 20: 바닥재
100: 산란부 110: 케이지
111: 진입도어 112: 노출방지커튼
113: 단턱 114: 받침대
120: 암막장치 121: 셔터
130: 배출장치 140: 메시망
150: 호퍼 151: 개폐판
160: 공급배출장치 161: 공급관
162: 회전축 200: 산란유도부
210: 산소공급장치 211: 변환장치
220: 음향지원장치 221: 스피커
222: 생성장치 230: 인지장치
231: 카메라 300: 바닥재수거부
310: 세척장치 311: 저장탱크
312: 분리축 313: 공급탱크
320: 건조장치 321: 가열기
322: 재생공급장치 330: 순환장치
331: 순환관 332: 제공관
333: 바닥재공급장치 400: 달걀수거부
410: 이동관 420: 개폐장치
421: 접지판 422: 클램핑
423: 캐리어 430: 이동장치
431: 거치판 432: 이송롤러
433: 적치장치 434: 살균장치
500: 제어부

Claims (5)

  1. 닭이 진입하여 산란하는 산란부(100);,
    상기 산란부(100)에 진입한 닭의 산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산란유도부(200);,
    상기 산란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바닥재(20)를 수거하여 재생하는 바닥재수거부(300);
    닭이 산란한 달걀(10)을 수거하는 달걀수거부(400);를 포함하는 자동산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100)는 지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닭이 산란하도록 하단에 바닥재(20)가 깔리는 케이지(110);
    상기 케이지(110)에서 개폐되며, 닭의 산란 환경을 제공하는 암막장치(120);
    상기 케이지(110)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20)가 배출되는 배출장치(130);를 포함하는 자동산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산란유도부(200)는 닭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장치(210);,
    닭의 산란을 유도하는 음향을 지원하는 음향지원장치(220);,
    산란이 완료된 닭의 유무를 측정하는 인지장치(230);를 포함하는 자동산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수거부(300)는 상기 산란부(100)에서 배출되는 바닥재(20)를 세척하는 세척장치(310);,
    상기 세척장치(310)에서 이송되는 바닥재(20)를 건조하는 건조장치(320);,
    상기 건조장치(320)에서 건조된 바닥재(20)가 상기 산란부(100)로 순환되는 순환장치(330);를 포함하는 자동산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달걀수거부(400)는 상기 산란부(100)의 후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달걀(10)이 이동하는 이동관(410);,
    상기 이동관(410)의 단부에 형성되며, 달걀(10)이 안착됨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장치(420);,
    상기 개폐장치(420)에서 안착된 달걀(10)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430);를 포함하는 자동산란장치.

KR1020190101443A 2019-08-20 2019-08-20 자동산란장치 KR10233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43A KR102332804B1 (ko) 2019-08-20 2019-08-20 자동산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43A KR102332804B1 (ko) 2019-08-20 2019-08-20 자동산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48A true KR20210022248A (ko) 2021-03-03
KR102332804B1 KR102332804B1 (ko) 2021-11-30

Family

ID=7515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43A KR102332804B1 (ko) 2019-08-20 2019-08-20 자동산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80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110A (ja) * 2003-03-31 2004-10-28 Maeda Seisakusho Co Ltd 使用済みの動物用床敷き材料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US7047904B2 (en) * 2001-05-17 2006-05-23 Christine Anne Smith Egg harvester
JP2007135484A (ja) * 2005-11-18 2007-06-07 Sharp Corp 空気浄化装置および空気浄化システム
KR20120063379A (ko) * 2010-12-07 2012-06-15 신동관 축사시설 방식 및 장치
KR20140142448A (ko) 2013-06-04 2014-12-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드르팜제주 종란 수거 장치
KR20150098479A (ko) 2014-02-20 2015-08-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산란계 퇴출장치를 포함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KR20160055454A (ko) 2014-11-10 2016-05-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초의 자연으로 육계사육장치
KR101788289B1 (ko) 2016-06-23 2017-10-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
KR101972276B1 (ko) * 2018-10-11 2019-04-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파머스 친환경 개방형 양계장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7904B2 (en) * 2001-05-17 2006-05-23 Christine Anne Smith Egg harvester
JP2004298110A (ja) * 2003-03-31 2004-10-28 Maeda Seisakusho Co Ltd 使用済みの動物用床敷き材料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2007135484A (ja) * 2005-11-18 2007-06-07 Sharp Corp 空気浄化装置および空気浄化システム
KR20120063379A (ko) * 2010-12-07 2012-06-15 신동관 축사시설 방식 및 장치
KR20140142448A (ko) 2013-06-04 2014-12-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드르팜제주 종란 수거 장치
KR20150098479A (ko) 2014-02-20 2015-08-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산란계 퇴출장치를 포함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KR20160055454A (ko) 2014-11-10 2016-05-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초의 자연으로 육계사육장치
KR101788289B1 (ko) 2016-06-23 2017-10-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
KR101972276B1 (ko) * 2018-10-11 2019-04-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파머스 친환경 개방형 양계장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시아경제, '소와 닭은 음악 취향이 다르다?'(URL: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4251528436009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804B1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523B1 (ko) 육계사육장치
US41739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ing pigs in cages
CN107439415B (zh) 家禽饲养系统和用于在家禽饲养系统中输送蛋的方法
SU1082352A1 (ru) Коровник
KR101788289B1 (ko)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
US20210235671A1 (en) Module for poultry farming cages
EP0609057A2 (en) Chicken rearing apparatus
CN109220884B (zh) 蛋鸡福利养殖系统
JP2020103103A (ja) 養鶏用コンテナケージ,養鶏システム及び養鶏方法
KR102176641B1 (ko) 자동 닭사육장
JP6855060B2 (ja) 養鶏システム
US11213017B2 (en) Aviary arrangement for poultry animals and method of poultry husbandry
KR101630807B1 (ko) 산란계 퇴출장치를 포함하는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KR20210022248A (ko) 자동산란장치
KR20160023296A (ko) 새끼오리 및 병아리 사육용 직립식 케이지
EP3720277B1 (en) Barn-type poultry farming system
US3650246A (en) Automatic egg collection system for poultry nests
WO2011004926A1 (ko) 가금류 사육장
KR101429205B1 (ko) 다단식 산란계 사육시설
US20210144974A1 (en) Device for accomodating chicks
EP0965266B1 (en) Device for keeping poultry
KR20140142448A (ko) 종란 수거 장치
CN108770728B (zh) 一种自动放蛋以及自动流出小鸭的孵箱
US3361115A (en) Poultry cage layer house
KR101626815B1 (ko)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