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069A -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069A
KR20210022069A KR1020217001555A KR20217001555A KR20210022069A KR 20210022069 A KR20210022069 A KR 20210022069A KR 1020217001555 A KR1020217001555 A KR 1020217001555A KR 20217001555 A KR20217001555 A KR 20217001555A KR 20210022069 A KR20210022069 A KR 20210022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rod
support
plat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832B1 (ko
Inventor
웨이밍 천
쇼우훙 리
Original Assignee
레마크로 머시너리 앤드 테크놀로지(우지앙)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637243.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33858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952038.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731643A/zh
Application filed by 레마크로 머시너리 앤드 테크놀로지(우지앙)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마크로 머시너리 앤드 테크놀로지(우지앙)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2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2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out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47C1/03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actuated by linkages, e.g. lazy-tongs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12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 A47C23/26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30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springs meandering in a flat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는 베이스, 대응되게 설치되어 쿠션을 지지하고 소파 원단과 연결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 및 2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각각 베이스에 연결시키는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를 구비하고; 2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는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가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 사이에는 쿠션을 받쳐주기 위한 다수의 받침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2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설치하고,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통해 받침 탄성부재를 직접 설치하며, 이를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로 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직접 결합시켜, 별도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도입하여 쿠션을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기존의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파 철제 프레임의 생산 공법을 단순화 하며, 조립 효율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낮춘다. 본 발명은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을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
본 발명은 가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구 업계는 줄곧 노동력이 집약된 전통 업계로서 그 생산 과정에는 많은 노동력과 생산 재료가 필요하며 생산 효율이 낮다. 예를 들어, 현재의 기능성 소파에서 주요 내 하중 부품을 구성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쿠션의 지지 구조로 사용하고 상기 시트 패키징 프레임은 대부분 원목 또는 철제 프레임을 재료로 하여 생산된다.
여기서,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이 가장 보편적인데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설치하는 작용은 쿠션 지지 면적을 증가하고 편안함을 향상시키며 쿠션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고 무게가 가볍고 연결이 편리한 장점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생산 시, 우선 저목장에서 원목으로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2개의 스트링어에 각각 S형 스프링에 연결되는 후크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후크는 리벳 또는 나사를 통해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고정된다.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생산이 완료된 후 이를 소파 조립 작업장에 운반하고 소파 조립 작업장 내에서 S형 스프링을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설치한 다음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소파 철제 프레임에 조립하고 쿠션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을 리벳을 통해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고정한다.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쿠션의 지지 구조로 사용하고, 후크 및 소파 원단을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연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편리하고 연결 포인트의 제한이 없으며,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리벳 또는 나사를 설치하여 후크 및 소파 원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런 소파 철제 프레임은 가공이 쉽고 생산 공법이 간단하며 기존의 수동 생산 라인에서 모두 소파의 조립이 가능하여 기존의 가구 업계의 소파 생산 공법에 적용된다.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은 아래와 같은 무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1) 목재 자원 소모가 크기에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2) 목재는 벌레가 생기기 쉬워 사용감이 차하고 사용 수명이 짧으며 수출시 목재 수출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단일 품목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으면 전체 배치를 묶어두거나 돌려보내므로 국제 무역에 불리하다. (3)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과 소파 철제 프레임의 연결 공정이 추가되었으며 연결 안정성이 떨어지고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4) 목재 및 금속 부품의 가공은 다른 작업장에 속하기에 운송 거리가 증가하고 내부 생산의 물류 원가에 영향을 미친다. (5) 표준화된 생산에 편리하지 않고 균일한 소파 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수작업 생산 공정이 많다. (6)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생산 과정에서 목재 절단 분진 처리가 어렵고 생산 작업장 청소가 어려우며 비용이 높고 목재 절단이 어렵고 불량품 발생률이 높다. (7)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이 설치됨에 따라 가죽이나 천을 리벳으로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고정하면, 설치는 견고하지만 효율이 낮고 리벳 원료 및 장비 비용이 높으며 내결함성이 낮다. 설치 과정에서 실수를 하게 되면 분해가 되지 않고 소파 원단이 쉽게 손된다.
기존에도 철제 프레임을 사용하여 생산된 시트 패키징 프레임이 있는데, 예를 들면 중국 특허 CN101879014A “탈착이 편리하고 운송 부피가 작은 소파 프레임”은 아래와 같은 소파 프레임을 공개하였다. 상기 소파 프레임에서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연결홈이 설치되고, 제1 기계틀 및 제2 기계틀에는 각각 위치결정 걸림홈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걸림 연결 고정 유닛의 양단을 통해 제1 기계틀, 제2 기계틀의 위치결정 걸림홈 및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연결홈에 각각 걸림 연결되어,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제1 기계틀 및 제2 기계에 연결한다. 철제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쿠션의 지지 구조로 사용하면, 철제 시트 패키징 프레임과 소파 철제 프레임을 연결시킬 연결 어셈블리를 생산해야 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 중의 각 부재를 각각 철제 시트 패키징 프레임 및 소파 철제 프레임에 설치한 다음, 철제 시트 패키징 프레임 및 소파 철제 프레임을 조립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의 부품 개수가 많아지고 조립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존재하며, 철제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생산 공법 및 연결 어셈블리의 생산 공법이 더 필요하여, 소파의 생산 효율이 낮고 생산 재료 소모가 큰 문제가 존재하므로 기업의 산업 최적화 및 원가 절감에 불리하여 기업의 표준화, 자동화 생산에 나쁜 영향을 가져다 준다. 또한 철제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가죽을 덧대는 공법은 일반적으로 나사 고정 방식을 사용하기에 조립이 번거롭고 장기간 사용 후 원단이 찢어지거나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제품의 품질 안정성에 불리하다.
현재 전 세계적인 가구 시장에서 노동력이 집약된 가구 기업은 큰 충격을 받고 있기에 소파의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 및 공법을 개선하여 소파의 품질 및 생산 원가를 제어함으로써 소파의 표준화, 자동화 생산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설행기술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흠결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소파의 생산 공법이 번거롭고 재료 사용량이 크며 생산 효율이 낮고 원가가 높은 문제를 해결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다.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는 베이스, 대응되게 설치되어 쿠션을 지지하고 소파 원단과 연결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 및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각각 상기 베이스에 연결시키는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는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가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 사이에는 쿠션을 받쳐주기 위한 다수의 받침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2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설치하고,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통해 받침 탄성부재를 직접 설치하며, 이를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로 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직접 결합시켜, 별도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도입하여 쿠션을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파 철제 프레임의 생산 공법을 단순화 하며, 조립 효율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낮춘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쿠션을 지지하는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에 설치된 내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힌지 연결 포인트가 설치된다.
이로써, 지지 플레이트 중의 패널 및 내측 플레이트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와 쿠션 및 구동 연결로드 세트의 동시 연결을 실현하고; 패널은 쿠션의 지지 면적을 증가하고 쿠션 중의 스펀지 측변을 가공할 필요가 없기에 스펀지 재료를 절약하고 가공 공정을 감소하며 생산 원가를 낮춘다.
또한, 대응되게 설치된 2개의 등받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와 내측 플레이트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는 제9 연결로드 및 제10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는 소파의 등받이와 연결되는 등받이 브라켓 및 고정 연결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9 연결로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측 플레이트 및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0 연결로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9 연결로드 및 등받이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브라켓의 일단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로드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고정 연결로드의 타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에 힌지 연결된다.
이로써, 구동 연결로드 세트 및 등받이 어셈블리의 각 연결로드를 서로 결합시켜, 지지 플레이트가 베이스에 대해 전개될 경우 제9 연결로드가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앞쪽 위를 향해 들려지고, 제10 연결로드가 제9 연결로드에 의해 앞쪽 위를 향해 약간 들려지며, 등받이 브라켓이 뒤로 경사지도록 한다(즉 뒤로 젖혀진다). 선행기술에 비해 본 발명 중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 및 등받이 어셈블리의 부품 개수가 선행기술보다 대폭 감소하여 생산 공법 난이도를 크게 낮추며; 연결로드 구조가 간단하여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기능 기구 외형 사이즈를 축소하여 철제 프레임 높이를 감소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편안함이 증가하며 전체 소파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다리 신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패널의 폭은 5 cm보다 크다.
이로써, 패널은 쿠션의 측변에 더 잘 지지될 수 있고, 쿠션의 지지 면적을 증가하며, 편안함이 향상되고 쿠션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는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홀이 더 설치된다.
이로써, 내측 플레이트에 구동 연결로드 세트와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지지 플레이트의 사용 재료를 절약하고 원가 및 무게를 감소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레이트 및 패널은 뒤집힌 L 형상이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 및 패널은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이로써, 지지 플레이트의 가공이 편리하고 지지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큰 지지 강도를 구비하도록 유지한다.
또한, 상기 패널 저부에는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외측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 및 외측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패널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죽을 씌울 경우 작업자는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외측 플레이트에 걸림 연결하기만 하면 쿠션의 조립이 완료되고, 상기 가죽 씌우기 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조작이 쉽고 패널을 둘러쌀 필요가 없이 쿠션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과 패널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레이트, 외측 플레이트 및 패널은 뒤집힌 U 형상이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 외측 플레이트 및 패널은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이로써, 지지 플레이트의 가공이 편리하고 지지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큰 지지 강도를 구비하도록 유지한다.
또한, 상기 받침 탄성부재는 S형 스프링이고, 상기 S형 스프링은 고정 기구를 통해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서로 연결되는 고정단 및 걸림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의 외측벽에는 각각 상기 고정단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공동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구의 고정단은 상기 프론트 로드 또는 리어 로드의 공동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프론트 로드 또는 리어 로드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S형 스프링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단은 Z형 구조이다.
이로써 사용시 S형 스프링의 엣지 풀링(Edge rolling)은 상기 Z형 구조를 통해 고정 기구를 프론트 로드 또는 리어 로드에 고정하기에, 나사로 고정 기구를 고정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감소하여 고정 기구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후크이고, 상기 후크는 각각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S형 스프링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후크에는 상기 S형 스프링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가 설치된다.
이로써, 후크 상의 돌기가 S형 스프링이 사용 과정에서 후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크가 S형 스프링에 조립될 경우 S형 스프링의 단부를 절곡하여 후크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S형 스프링의 조립 단계를 감소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로드는 금속 재질로 생산되고, 상기 프론트 로드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수직 플레이트 및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로드 상의 후크는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다.
이로써,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 후크는 선행기술에서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프론트 로드에 연결된 후크에 비해 강도가 더 높고 S형 스프링이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후크 용접 단계를 감소하여 조립 공법을 간소화 한다.
또한,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 및 제1 수평 플레이트는 뒤집힌 U 형상이고,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 및 제1 수평 플레이트는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이로써, 프론트 로드의 가공이 편리하고 프론트 로드가 상대적으로 큰 지지 강도를 구비하도록 유지한다.
또한, 상기 리어 로드는 금속 재질로 생산되고, 상기 리어 로드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2 수직 플레이트 및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로드 상의 후크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다.
이로써,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 후크는 선행기술에서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리어 로드에 연결된 후크에 비해 강도가 더 높고 S형 스프링이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후크 용접 단계를 감소하여 조립 공법을 간소화 한다.
또한,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 및 제2 수평 플레이트는 뒤집힌 U 형상이고,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 및 제2 수평 플레이트는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이로써, 리어 로드의 가공이 편리하고 리어 로드가 상대적으로 큰 지지 강도를 구비하도록 유지한다.
1)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2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설치하고,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통해 받침 탄성부재를 직접 설치하며, 이를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로 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직접 결합시켜, 별도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도입하여 쿠션을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기존의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파 철제 프레임의 생산 공법을 단순화 하며, 조립 효율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낮춘다.
2)금속 재질로 제조된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는 연결 강도가 크고 표준화, 자동화 생산이 편리하기에 전체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동일한 작업장에서 생산될 수 이쏘록 하여 내부 생산의 물류 원가를 감소하여 생산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3)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 원래의 지지 플레이트의 구조를 최적화하고, 2개의 지지 플레이트 상의 패널의 상면을 이용하여 쿠션을 지지함으로써, 쿠션 지지 면적을 증가시키고 편안함을 향상시키며 쿠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고, 쿠션 중의 스펀지 측변을 가공할 필요가 없기에 스펀지 재료를 절약하고 가공 공정을 감소하며 생산 원가를 낮춘다.
4) 소파 원단을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 소파 원단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각각 2개의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 플레이트 또는 외측 플레이트에 서로 걸림 연결되도록 하면 소파 원단의 가죽 씌우기 조립을 완료할 수 있기에, 기존의 목재 프레임 리벳 고정 또는 철제 프레임 나사 고정을 개변하고, 상기 설치 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설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상기 연결방식이 더 안정적이고 탈착이 쉬우며 소파 원단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설치 과정의 내결함성이 높다.
5) 2개의 지지 플레이트,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는 모두 일체로 절곡 성형된 뒤집힌 L 형상 또는 뒤집힌 U 형상으로서, 그 지지 강도가 더 높고 가공이 편리하며 지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의 전반적인 지지 강도가 사용 요구를 만족하는 상황에서 지지 플레이트,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의 두께 및 무게를 감소할 수 있고, 소파 철제 프레임의 전체 무게를 감소하여 재료 원가를 절약한다.
6)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에 스탬핑 성형된 후크는 선행기술에서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에 연결된 후크에 비해 강도가 더 높고 S형 스프링이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소파 철제 프레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고 후크 용접 단계를 감소하여 조립 공법을 간소화 한다.
7)후크 상의 돌기가 S형 스프링이 사용 과정에서 후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크가 S형 스프링에 조립될 경우 S형 스프링의 단부를 절곡하여 후크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S형 스프링의 조립 단계를 감소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소파를 더 제공하고, 상기 소파는 베이스, 대응되게 설치되어 쿠션을 지지하고 소파 원단과 연결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각각 베이스에 연결시키는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등받이 어셈블리 및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2개의 다리 신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는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가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 사이에는 쿠션을 받쳐주기 위한 다수의 받침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상기 받침 탄성부재에 설치되는 쿠션; 상기 쿠션의 표면에 피복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클립 연결되는 소파 원단; 2개의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 2개의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풋레스트 프레임; 및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팔걸이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소파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2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설치하고,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통해 받침 탄성부재를 직접 설치하며, 이를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로 한 다음,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쿠션을 설치하고 소파 원단을 쿠션의 표면에 클래딩하고 2개의 지지 플레이트와 클립 연결함으로써 좌방석의 설치를 완료한다. 기존의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파의 전반적인 생산 공법을 단순화 하며, 재료 사용량을 절약하고 원가를 낮추며 소파의 표준화, 자동화 생산이 편리하고 조립 효율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쿠션을 지지하는 패널 및 상기 패널 상에 설치된 내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힌지 연결 포인트가 설치된다.
이로써, 지지 플레이트 중의 패널 및 내측 플레이트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와 쿠션 및 구동 연결로드 세트의 동시 연결을 실현하고; 패널은 쿠션의 지지 면적을 증가하고 쿠션 중의 스펀지 측변을 가공할 필요가 없기에 스펀지 재료를 절약하고 가공 공정을 감소하며 생산 원가를 낮춘다.
또한,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는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 및 다리 연결로드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는 상기 다리 연결로드 세트를 통해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는 등받이 브라켓, 등받이 지지 브라켓 및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브라켓은 상기 등받이 지지 브라켓 및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를 거쳐 상기 내측 플레이트 및 베이스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는 제9 연결로드 및 제10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는 소파의 등받이와 연결되는 등받이 브라켓 및 고정 연결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9 연결로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측 플레이트 및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0 연결로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9 연결로드 및 등받이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브라켓의 일단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로드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고정 연결로드의 타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에 힌지 연결된다.
이로써, 구동 연결로드 세트 및 등받이 어셈블리의 각 연결로드를 서로 결합시켜, 지지 플레이트가 베이스에 대해 전개될 경우 제9 연결로드가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앞쪽 위를 향해 들려지고, 제10 연결로드가 제9 연결로드에 의해 앞쪽 위를 향해 약간 들려지며, 등받이 브라켓이 뒤로 경사지도록 한다(즉 뒤로 젖혀진다). 선행기술에 비해 본 발명 중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 및 등받이 어셈블리의 부품 개수가 선행기술보다 대폭 감소하여 생산 공법 난이도를 크게 낮추며; 연결로드 구조가 간단하여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기능 기구 외형 사이즈를 축소하여 철제 프레임 높이를 감소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편안함이 증가하며 전체 소파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소파 원단의 가장자리에는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클립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설치된다.
이로써, 소파 원단을 조립할 경우, 우선 소파 원단을 쿠션의 표면에 클래딩하고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각각 2개의 지지 플레이트에 서로 걸림 연결되도록 하면 소파 원단의 가죽 씌우기 조립을 완료하여 좌방석의 설치를 실현한다. 기존의 목재 프레임 리벳 고정 또는 철제 프레임 나사 고정을 개변하고, 상기 설치 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설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상기 연결방식이 더 안정적이고 탈착이 쉬우며 소파 원단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설치 과정의 내결함성이 높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클립부 또는 스트립부이다.
또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홀이 더 설치된다. 해당 기술수단에서, 내측 플레이트는 소파 원단 및 구동 연결로드 세트의 연결에 모두 사용될 수 있기에 지지 플레이트의 재료 사용을 절약하고 원가 및 무게를 감소하며; 가죽 씌우기 과정에서 소파 원단의 연결부재가 걸림홀에 걸릴 수 있어 조립 및 탈착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패널에는 외측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 및 외측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패널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된다. 해당 기술수단에서,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가 외측 플레이트의 하측 가장자리에 직접 클립되어 쿠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기에, 상기 연결 방식은 빠르고 간편하며 걸림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지지 플레이트의 가공 공정을 감소한다. 그 가죽 씌우기 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조작이 쉽고 패널을 둘러쌀 필요가 없이 쿠션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과 패널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받침 탄성부재는 S형 스프링이고, 상기 S형 스프링은 고정 기구를 통해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 기구를 통해 S형 스프링과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실현하여 S형 스프링의 조립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서로 연결되는 고정단 및 걸림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의 외측벽에는 각각 상기 고정단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공동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구의 고정단은 상기 프론트 로드 또는 리어 로드의 공동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프론트 로드 또는 리어 로드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S형 스프링에 연결된다.
이로써, 고정단이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의 공동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 기구의 고정을 완성함으로써 고정 기구의 조립 및 탈착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후크이고, 상기 후크는 각각 상기 프론트 로드의 제1 플레이트 및 리어 로드의 제2 플레이트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S형 스프링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후크에는 상기 S형 스프링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가 설치된다.
이로써, 후크 상의 돌기가 S형 스프링이 사용 과정에서 후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크가 S형 스프링에 조립될 경우 S형 스프링의 단부를 절곡하여 후크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S형 스프링의 조립 단계를 감소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는 모두 금속 재질로 생산되고, 상기 프론트 로드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수직 플레이트 및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로드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2 수직 플레이트 및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 상의 후크는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되고,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 상의 후크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다.
이로써,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 후크는 선행기술에서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프론트 로드에 연결된 후크에 비해 강도가 더 높고 S형 스프링이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후크 용접 단계를 감소하여 조립 공법을 간소화 한다.
본 발명은 소파 생산 방법을 더 제공하고, 이는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소파 철제 프레임을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에 S형 스프링을 설치하는 단계;
쿠션을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상의 S형 스프링의 상방에 클래딩하는 단계;
소파 원단을 설정 사이즈로 가공하고, 소파 원단 가장자리에 연결부재를 고정하며, 소파 원단을 상기 쿠션에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에 고정하여 소파 좌방석 부분의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 및
소파 철제 프레임에 등받이 프레임, 풋레스트 프레임 및 2개의 팔걸이 프레임을 설치하여 소파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소파 철제 프레임을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는,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베이스, 2개의 지지 플레이트,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를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의 기능적 기계틀을 얻는 단계;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생산하고,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를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하여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와 서로 연결되어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S형 스프링은 상기 프론트 로드 및 리어 로드 사이에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프론트 로드, 리어 로드 및 받침 탄성부재는 상기 쿠션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쿠션의 저부 중간에는 상기 받침 탄성부재가 형성한 스프링 면과 배합되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쿠션의 저부 양측은 각각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과 당접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스트립부이고, 상기 스트립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 플레이트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부는 상기 프론트 로드 외측의 제1 수직 플레이트 및 리어 로드 외측의 제2 수직 플레이트의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클립 연결될 수도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소파 생산 방법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소파 생산 방법은 기존의 소파 생산 및 조립 관념을 깨고,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 일단에 각각 힌지 연결된 2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프론트 로드, 리어 로드를 결합시켜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주요 구조를 형성한 다음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에 S형 스프링을 설치하여 지지 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직접 결합시켜, 별도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도입하여 쿠션을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기존의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파 철제 프레임의 생산 공법을 단순화 하며, 조립 효율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낮추어 대량 생산 라인의 산업 생산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전개 위치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폴딩 위치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측 기능적 기계틀의 연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연결로드 세트와 중간 설치 플레이트 및 고정 설치판의 연결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로드와 고정 기구의 연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플레이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지지 플레이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지 플레이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지지 플레이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L형 하중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프론트 로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프론트 로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리어 로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리어 로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전개 위치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폴딩 위치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8 또는 9에 도시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의 조립 모식도이다.
아래 이해 및 실시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르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문에 사용된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같다. 본문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소파의 개발 과정에서 소파는 원래의 고정 목재 제품에서 부드러운 목재 프레임 소파, 그리고 철과 나무 소파로 발전하였으며 이제는 기능성 철제 프레임에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성 소파가 있고, 소파의 기능은 줄곧 개선되어 왔고 공법도 줄곧 진보되어 왔으나, 이는 소파 중의 목재 구조를 완전히 생략하기 어렵고 특히 소파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생략하기 어렵다. 그 원인은 시트 패키징 프레임이 쿠션을 지지하고 쿠션 지지 면적을 증가하고 편안함을 향상시키며 쿠션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기 때문이다. 쿠션 상의 소파 원단은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고정되어야 하고,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사용하면 원단과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리벳 연결 고정이 편리하다. 아울러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과 소파 철제 프레임의 고정 결합에도 편리하다. 이런 소파의 생산 공법은 비록 공법 단계가 많아 번거로우나 특정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할 필요가 없이 수동으로 완료할 수 있어 기업의 초기 투자를 감소하고 생산 과정에서 실력이 약한 가구 기업은 목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생산 가공을 다른 기업에 맡겨 생산하도록 할 수 있어 기업의 투자 원가를 절감한다. 현재 일부 실력이 강한 가구 기업은 철제 프레임을 사용하여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제조하는데, 그 사상은 너무 제한되어 여전히 특정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생산해야 하고, 생산 공법이 많고 조립이 번거로우며 생산 효율이 낮고 생산 재료 소모가 큰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글로벌 가구 시장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가구 기업은 소파 산업 체인을 통합하고, 소파의 구조와 생산 공정을 개선하며, 소파의 생산 재료를 통합 및 집중하고, 소파의 품질과 생산 원가를 통제하고, 소파의 표준화 및 자동화 생산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글로벌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중국 스마트 제조를 수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소파에 설치할 수 있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서는 기존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제거하고 쿠션을 지지하고 소파 원단과 연결되는 지지 어셈블리를 기존의 부재에 결합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는 시트 프레임, 대칭되게 설치된 2개의 등받이 어셈블리(9) 및 대칭되게 설치된 2개의 다리 신축 어셈블리(8)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의 시트 프레임은 별도의 프레임을 도입하여 쿠션을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본 실시예는 쿠션을 지지하는 작용을 시트 프레임에 통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 다수의 S형 스프링(6) 및 상기 S형 스프링(6)을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기구(7)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은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 및 양단 지지 플레이트(2)가 둘둘씩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S형 스프링(6)을 받침 탄성부재로 사용하여 쿠션에 대해 탄성 지지 작용을 한다. 물론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 탄성부재는 엘라스틱 밴드이거나 또는 스프링과 엘라스틱 밴드가 결합되어 소파의 쿠션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서 의심의 여지가 없이 상기 시트 프레임는 이미 알고 있는 베이스(1) 및 이미 알고 있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더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의 상단은 각각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힌지 연결되며, 2개의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의 하단은 모두 상기 베이스(1)에 힌지 연결되어,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를 상기 베이스(1)에 연결한다.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대응되게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대칭되게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S형 스프링(6)은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에 균일하게 배열 설치된다. 외력의 구동에 의해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상기 베이스(1)에 대해 전개 및 폴딩될 경우,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가 동기화 동작하도록 하여, 상기 시트 프레임 중의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베이스(1)에 대해 전개 및 폴딩되면서 쿠션의 전개 및 폴딩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모두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물론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공업용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거나 금속과 공업용 플라스틱을 결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선행기술에서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의해 지지되고, 즉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고정 연결하여 상기 시트 패키징 프레임의 고정을 실현한 다음 시트 패키징 프레임에 상기 받침 탄성부재 및 쿠션을 설치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쿠션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주로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 및 받침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각각 구동 연결로드 세트(3)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통해 베이스(1)에 연결되고, 이로써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결합시켜, 별도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도입하여 쿠션을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기존의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파 철제 프레임의 생산 공법을 단순화 하며, 조립 효율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낮춘다. 금속 재질로 제조된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은 연결 강도가 높고 실제 표준화, 자동화 생산이 편리하기에, 전체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동일한 작업장에서 생산될 수 이쏘록 하여 내부 생산의 물류 원가를 감소하여 생산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2)는 쿠션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쿠션을 철제 프레임에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하며 쿠션의 가죽 또는 천(즉 소파 원단)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철제 프레임에서 탈착하는 난이도를 낮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2)는 쿠션을 지지하는 패널(23) 및 패널(23) 하면 외측에 수직 고정된 외측 플레이트(22)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22)는 배합 부재로서 쿠션에 설치된 연결부재와 배합 작동하여 쿠션을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의심할 여지가 없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패널(23) 하면 내측에 설치된 내측 플레이트(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힌지 연결 포인트(26)가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는 상기 베이스(1)와 내측 플레이트(21)를 연결하고,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8)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 연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횡단면은 대략 뒤집힌 U 형상이고, 상기 패널(23)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외측 플레이트(22)의 최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패널(23)은 긴 스트립 판상이고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패널(23)의 길이 방향과 상기 프론트 로드(4)의 길이 방향은 수직되고, 아울러 상기 패널(23)의 폭은 5 cm보다 크기에, 상기 패널(23)은 쿠션의 측변을 더 잘 지지할 수 있고, 쿠션의 지지 면적을 증가하며, 편안함이 향상되고 쿠션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외측 플레이트(22) 및 패널(23)은 일체 절곡 성형 구조이다. 가공이 편리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큰 지지 강도를 구비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외측 플레이트(22) 및 패널(23)은 동일한 면의 강판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외측 플레이트(22) 및 패널(23)은 일체 절곡 성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용접 방법을 통해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외측 플레이트(22) 및 패널(23)을 고정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외측 플레이트(22)가 각각 상기 패널(23)의 하면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고, 즉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외측 플레이트(22)가 각각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기에, 가죽을 씌울 경우 작업자는 쿠션 상의 연결부재를 상기 외측 플레이트(22)에 걸림 연결하기만 하면 쿠션의 조립이 완료되고, 상기 가죽 씌우기 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조작이 쉽고 상기 패널(23)을 둘러쌀 필요가 없이 쿠션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과 상기 패널(23)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 구동 연결로드 세트(3), 다리 신축 어셈블리(8) 및 등받이 어셈블리(9)의 구체적인 구조는 모두 선행기술과 같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 본 발명의 기능 요구를 만족하는 한 가지 베이스(1), 구동 연결로드 세트(3), 다리 신축 어셈블리(8) 및 등받이 어셈블리(9)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고정 설치판(11) 및 2개의 상기 고정 설치판(11)을 연결하는 리어 모터 구동 로드(1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는 중간 설치 플레이트(31), 제1 연결로드 세트(32) 및 제2 연결로드 세트(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로드 세트(32)는 상기 중간 설치 플레이트(31)와 지지 플레이트(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로드 세트(33)는 상기 중간 설치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1)의 고정 설치판(1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를 고정 부품으로 하고 외력의 구동을 통해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상기 베이스(1)에 대해 동기화되게 전개 및 폴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로드 세트(32)는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연결로드(321) 및 제2 연결로드(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로드(321) 및 제2 연결로드(322)의 양단은 모두 각각 상기 중간 설치 플레이트(31)와 지지 플레이트(2)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로드(321), 제2 연결로드(322), 중간 설치 플레이트(31) 및 지지 플레이트(2)는 함께 4개의 연결로드 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제2 연결로드 세트(33)는 제3 내지 제8 연결로드(331, 332, 333, 334, 335, 336)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로드(331)의 일단은 상기 고정 설치판(11)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3 연결로드(331)의 타단은 제6 연결로드(334)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로드(332)의 일단은 상기 중간 설치 플레이트(31)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4 연결로드(332)의 타단은 상기 제3 연결로드(331)의 양단점 사이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5 연결로드(333)의 일단은 상기 제4 연결로드(332)의 양단점 사이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5 연결로드(333)의 타단은 상기 제7 연결로드(335)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6 연결로드(334)의 타단은 상기 제5 연결로드(333)의 양단점 사이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7 연결로드(335)의 타단은 상기 고정 설치판(1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8 연결로드(336)의 일단은 상기 중간 설치 플레이트(31)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8 연결로드(336)의 타단은 상기 제7 연결로드(335)의 양단점 사이에 힌지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고정 설치판(11), 중간 설치 플레이트(31) 및 제3 내지 제8 연결로드(331, 332, 333, 334, 335, 336)는 8개의 연결로드 기구를 구성하여 상기 중간 설치 플레이트(31)의 인출이 유연하고, 또한 상기 제1 연결로드(321), 제2 연결로드(322), 중간 설치 플레이트(31) 및 지지 플레이트(2)가 구성한 4개의 연결로드 기구를 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유연하기에 기본적으로 평행 이동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전개 및 폴딩된다.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8)는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 및 다리 연결로드 세트(82)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는 상기 다리 연결로드 세트(82)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힌지 연결된다. 이밖에,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8)는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83) 및 서브 발받침 구동 연결로드(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83)는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에 연결되며, 상기 서브 발받침 구동 연결로드(84)는 상기 다리 연결로드 세트(82) 및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83) 사이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폴딩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83)는 지면에 대략 평행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는 지면에 대략 수직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 연결로드 세트(82)는 제1 내지 제4 신축 연결로드(821, 822, 823, 8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축 연결로드(821)의 일단은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 신축 연결로드(821)의 타단은 상기 제3 신축 연결로드(823)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3 신축 연결로드(823)의 타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신축 연결로드(822)의 일단은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신축 연결로드(822)의 타단은 상기 제4 신축 연결로드(824)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4 신축 연결로드(824)의 타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신축 연결로드(822)는 또한 상기 제3 신축 연결로드(823)와 양자의 양단점 사이에서 힌지 연결된다. 상기 서브 발받침 구동 연결로드(84)의 일단은 상기 제1 신축 연결로드(821)의 양단점 사이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서브 발받침 구동 연결로드(84)의 타단은 상기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83)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83)는 도한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와 힌지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대해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는 등받이 브라켓(91), 등받이 지지 브라켓(92) 및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93)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은 상기 등받이 지지 브라켓(92) 및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93)를 거쳐 상기 지지 플레이트(2) 및 베이스(1)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은 뒤로 경사진다(즉 뒤로 젖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93)는 제1 내지 제3 회전 연결로드(931, 932, 933)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지지 브라켓(92)는 대략 U형이며, 상기 등받이 지지 브라켓(92)는 그 U형 저부와 지지 플레이트(2)를 고정 연결하고, 하나의 U형 지지다리의 일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U형 지지다리의 일단은 제2 회전 연결로드(932)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연결로드(931)의 일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연결로드(931)의 타단은 상기 제2 회전 연결로드(932)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 연결로드(932)의 타단은 상기 제3 회전 연결로드(933)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3 회전 연결로드(933)의 타단은 상기 고정 설치판(11)에 힌지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앞으로 이동 시 상기 등받이 지지 브라켓(92)과 제3 회전 연결로드(933)가 합께 협업하고 제2 회전 연결로드(932)를 회전시키고 나아가 제1 회전 연결로드(931)를 통해 등받이 브라켓(91)이 뒤로 경사지도록 한다(즉 뒤로 젖혀진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사이에는 이미 알고 있는 프론트 모터 구동 로드(85)(2개의 상기 제1 신축 연결로드(821) 사이에 설치)가 더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4 신축 연결로드(824)와 상기 중간 설치 플레이트(31) 사이에는 종동 연결로드(34)가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모터 구동 로드(85)와 리어 모터 구동 로드(12) 사이에 설치된 전동 푸시 로드를 통해 상기 프론트 모터 구동 로드(85)와 리어 모터 구동 로드(12)의 상대적인 운동을 구동함으로써, 다리 신축 어셈블리(8)가 접철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종동 연결로드(34)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상기 베이스(1)에 대해 폴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상기 등받이 지지 브라켓(92)를 앞으로 이동시켜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이 뒤로 경사지면 전체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가 앞으로 연신되어 사용자가 경사지게 누워 쉬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쿠션의 연결부재가 상기 배합 부재와 탈착 가능한 동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사용 시 쿠션의 가죽 또는 천(즉 소파 원단)의 대응되는 위치에 스트립부를 봉제하여 상기 연결부재로 해야 하고, 설치 시 상기 스트립부에 의해 외측 플레이트(22) 하측 가장자리를 걸려 철제 프레임과 쿠션의 연결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의 각각의 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로드(4)를 예로 들어 상기 고정 기구(7)와 상기 프론트 로드(4)의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고정 기구(7)는 고정단(73) 및 걸림단(72)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의 외측벽에는 고정단(73)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공동(43)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구(7)의 고정단(73)은 프론트 로드(4) 또는 리어 로드(5)의 공동(4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걸림단(72)은 프론트 로드(4) 또는 리어 로드(5)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S형 스프링(6)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수의 상기 S형 스프링(6)은 스프링 면을 구성하고, 상기 스프링 면은 위를 향해 돌출된 호형면이고, 이런 구조의 스프링 면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사용 시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73)은 Z형 구조이고, 그 Z형 구조의 일단은 상기 공동(43) 내에 걸리고, 그 Z형 구조의 타단은 상기 걸림단(72)에 연결된다. 사용 시 상기 S형 스프링(6)의 엣지 풀링은 상기 Z형 구조를 통해 상기 고정 기구(7)를 상기 프론트 로드(4) 또는 리어 로드(5)에 고정하기에, 나사로 상기 고정 기구(7)를 고정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감소하여 상기 고정 기구(7)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2)와 배합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구조적 강도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모두 뒤집힌 L형 앵글 철 구조를 사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양단은 각각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삽입식 스크류를 통해 고정을 완료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2),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의 연결은 용접 또는 상하 구조의 볼트를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 로드(4)는 제1 수평 플레이트(42) 및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42) 하면 외측에 설치된 제1 수직 플레이트(41)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로드(5)는 제2 수평 플레이트(52) 및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 하면 외측에 설치된 제2 수직 플레이트(51)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동(43)은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51)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제1 수평 플레이트(4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되고,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5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심할 여지가 없이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뒤집힌 U 형상의 홈모양 철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여기서 상기 프론트 로드(4)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를 연결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42)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는 각각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42)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리어 로드(5)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를 연결하는 제2 수평 플레이트(52)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는 각각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공동(43)은 상기 프론트 로드(4) 외측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상기 리어 로드 외측의 제2 수직 플레이트(51)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제1 수평 플레이트(4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되고,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5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를 이용하여 쿠션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51)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하여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와 쿠션의 연결을 실현한다.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와 쿠션의 연결 작용에 의해 쿠션과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연결이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쿠션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은 가죽 씌우기가 더 치밀하고 미관이 향상된다.
실시예 2: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와 실시예 1의 구조의 차이는 사용된 지지 플레이트(2)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2)는 쿠션을 지지하는 패널(23) 및 상기 패널(23) 하면 내측을 수직 고정하는 내측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내측 플레이트(21)에는 다수의 걸림홀(24)이 설치되며, 내측 플레이트(21) 및 걸림홀(24)은 본 실시예의 상기 배합 부재를 구성하고, 실제 제조 과정에서 상기 걸림홀(24)은 직사각형 공동을 사용하고 다수의 직사각형 공동은 내측 플레이트(21)에 등간격으로 분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패널(23)은 대략 뒤집힌 L 형상이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는 상기 패널(23) 하면 내측에 위치하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패널(23)은 긴 스트립 판상이고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패널(23)의 길이 방향과 상기 프론트 로드(4)의 길이 방향은 수직되고, 아울러 상기 패널(23)의 폭은 5 cm보다 크기에, 상기 패널(23)은 쿠션의 측변을 더 잘 지지할 수 있고, 쿠션의 지지 면적을 증가하며, 편안함이 향상되고 쿠션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와 패널(23)은 일체로 절곡 성형 구조이다. 가공이 편리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상대적으로 큰 지지 강도를 구비하도록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와 패널(23)은 동일 면이 강판으로 절곡 형성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패널(23)은 일체 절곡 성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용접 방법을 통해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외측 플레이트(22) 및 패널(23)을 고정 연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쿠션의 연결부재가 배합 부재와 탈착 가능한 동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사용 시 쿠션의 가죽 또는 천(즉 소파 원단)의 대응되는 위치에 클립부를 봉제하여 상기 연결부재로 해야 하고, 설치 시 상기 클립부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의 하방을 둘러싸고 지지 플레이트(2) 상의 걸림홀(24)에 삽입되어 밀착 걸림을 실현하여 철제 프레임과 쿠션의 연결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는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힌지 연결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구체적인 연결 관게는 실시예 1와 같으며,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와 소파 원단 상의 클립부를 연결하기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사용 재료를 절약하고 원가 및 무게를 감소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와 배합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의 구조적 강도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모두 사각파이프 구조를 사용하고 양단에 개구가 설치되며, 내측 플레이트(21) 양단은 대응되는 개구에 삽입되고 삽입식 스크류를 통해 고정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2),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의 연결은 용접 또는 상하 구조의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와 실시예 1의 구조의 차이는 사용된 지지 플레이트(2)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지지 플레이트(2)(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우선권 서류 2 중의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임)는
내측 플레이트(21)(상기 내측 플레이트(21)는 우선권 서류 2 중의 본체 지지부임), 및 상기 내측 플레이트(21)가 외측을 향해 연장 및 외반되는 패널(23)(상기 패널(23)는 우선권 서류 2 중의 홀딩)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는 수직되게 설치된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에는 프론트 로드(4)(상기 프론트 로드(4)는 우선권 서류 2 중의 전측 횡방향 지지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12)가 설치된다.
상기 본 실시예를 소파에 적용하면, 특히 접이식 소파(즉 기능성 소파)에 적용될 경우 쿠션부 및 하방의 기구(접철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 연결되나, 연결부재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쿠션부 및 접철부의 중간 연결 위치는 햄버거와 같은 적층 연결이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부터 연결되어 연결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쿠션부 내부의 용골 측방향은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접척부와 연결부재의 고정 위는 단면의 상방에 있다. 선행기술에서 측방향의 제1 연결부재와 쿠션부를 연결하고, 정방향의 제2 연결부재와 접철부를 연결한 다음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쿠션부와 접철부의 고정 연결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 방향이 상이한 지지 플레이트(2) 중의 패널(23) 및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를 통해 쿠션부 및 접철부에 대한 동시 고정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의심할 여지가 없이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패널(23)은 대략 뒤집힌 L 형상이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는 상기 패널(23) 하면 내측에 위치하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패널(23)은 긴 스트립 판상이고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패널(23)의 길이 방향과 상기 프론트 로드(4)의 길이 방향은 수직되고, 아울러 상기 패널(23)의 폭은 5 cm보다 크기에, 상기 패널(23)은 쿠션의 측변을 더 잘 지지할 수 있고, 쿠션의 지지 면적을 증가하며, 편안함이 향상되고 쿠션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의심할 여지가 없이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의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에는 소파 하방의 접철부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힌지 연결 포인트(26)가 설치되기에, 이로써 지지 플레이트(2)와 접철부의 연결을 실현한다.
상기 연결구(212)는 프론트 로드(4)와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 양자의 장부맞춤 연결을 위한 것이고, 또한 프론트 로드(4)는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의 연결구(2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장부맞춤 연결 후 고정 연결 목적을 달성한다. 여기서 연결구(212)는 프론트 로드(4)와 적응되는 노치이고, 프론트 로드(4)의 대응 부분은 상기 노치에 삽입될 수 있으며, 노치 부분에는 걸림 연결되거나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접철부는 소파의 하방에 설치되고, 하방과 상방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접철부의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일측의 길이는 연결부재의 길이와 적응되거나 같다. 따라서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접철부를 고정한다.
상기 패널(23)은 내측 플레이트(21)가 외측을 향해 연장 및 외반되고 쿠션부를 지지 연결하는 부재로서, 패널(23)의 외반 설계를 통해 외반 후 단면의 연장 방향을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의 연장 방향과 구별하고, 양자는 수직 설치될 수 있다. 상방의 쿠션부의 지지 면적을 확보하는 기초상에서 외반 설계의 패널(23)은 원재료를 대폭 절약하고 생산 원가를 낮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23)에는 상기 소파 내부와 연결되는 설치홀(231)이 설치된다.
상기 패널(23)에는 설치홀(231)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홀(231)은 쿠션부와 연결되며, 후크 또는 다른 기구를 통해 고정 걸림 연결 또는 후크 맞물림을 실현함으로써 설치 상방의 외피재를 클립 설치한다. 예를 들면 그 단면에 구형의 걸림홀을 설치하여 쿠션부의 가죽 부분과 걸림 연결하고, 원형의 설치홀(231)을 설치하여 쿠션부 내부의 스펀지 소재이탄성 부재와 연결되며, 견인 로프 또는 후크 등을 통해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설치 효율을 향상시키고 공정을 감소하며 기존의 소파에서 예를 들면 소파 외피재가 모두 철제 프레임에 결합되어 탈찰 시 가죽이 무조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상기 기존의 소파에서 상방의 쿠션부, 예를 들면 스펀지 좌방석를 지지하기 위해 하방의 연결부재의 하중 능력이 높아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강재를 사용하고, 하중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대형 직사각형 강재를 프레임 연결부재로 하여 원재료 사용량이 크고 비용이 높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로드(4)와 지지 플레이트(2)는 연결구(212)를 통해 삽입되는 장부맞춤 연결이고 또한 나사 고정을 결합하여 공법이 간단하고 생산 효율이 향상되며 내결함성이 높고 원료를 낭비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프레임 및 소파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를 제공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단면의 연장 방향이 구별되는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 및 대응되게 외반되는 패널(23)을 통해, 각각 상이한 방향에 설치되는 소파 쿠션 및 소파 하방의 기구를 연결 고정한다. 이로써 하나의 지지 플레이트(2)를 통해 동시에 쿠션부 지지 및 하단 기구 연결 목적을 달성하고, 외반 구조를 통해 지지 면적을 증가하는 기초상에서 선행기술 중의 사각파이프의 설치에 비해 원재료를 크게 절약하고 원가를 낮춘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에 연결구(212)를 설치하고, 프론트 로드(4)는 상기 연결구(212)와 내측 플레이트(21)의 연결을 통해 설치 방법이 간편하고 공법이 간단하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생산 원가 및 설치 원가를 낮춘다.
설명해야 할 것은 우선권 서류 2 중의 쿠션부를 소파 좌방석의 일부로 하여 앉는 면을 제공하는 기능 및 효과를 달성하는데, 상기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의 상방에 연결되어 실시예 1에 따른 쿠션과 소파 원단의 조합이 달성하는 기능 및 효과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쿠션부는 실시예 1의 상기 쿠션과 소파 원단의 조합과 같다.
설명해야 할 것은 우선권 서류 2 중의 소파 하방의 기구(접철부)를 소파의 기능적 기계틀 부분으로 하여 소파 좌방석을 인출하고 인입하는 기능 및 효과를 달성하는데,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1)와 구동 연결로드 세트(3)의 조합이 달성하는 기능 및 효과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접철부는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1)와 구동 연결로드 세트(3)의 조합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우선권 서류 2 중의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를 쿠션부와 접철부를 연결하는 부재로 하여 쿠션부와 접철부를 연결하는 기능 및 효과를 달성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 및 생산 공법을 간소화하는데,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가 달성하는 기능 및 효과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우선권 서류 2 중의 본체 지지부를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의 일부로 하여 접철부를 연결하는 기능 및 효과를 달성하는데,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의 내측 플레이트(21)가 달성하는 기능 및 효과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플레이트(21)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우선권 서류 2 중의 지지부를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의 일부로 하여 쿠션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기능 및 효과를 달성하는데,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의 패널(23)이 달성하는 기능 및 효과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는 실시예 1에 따른 패널(23)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우선권 서류 2 중의 전측 횡방향 지지 로드 및 후측 횡방향 지지 로드는 모두 2개의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전측 횡방향 지지 로드 및 후측 횡방향 지지 로드는 2개의 다방향 고정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쿠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데, 실시예 1에 따른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가 달성하는 기능 및 효과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전측 횡방향 지지 로드 및 후측 횡방향 지지 로드는 실시예 1에 따른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우선권 서류 2 중의 지지 프레임은 구형 프레임이고 쿠션부를 지지 및 연결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소파의 접철부에 직접 결합되는데,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이 달성하는 기능 및 효과와 일치하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 중의 각 구성 부재는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 중의 각 구성 부재와 기능 및 효과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와 실시예 3의 구조의 차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L형 하중 부재(25)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과 패널(23)이 L형으로 수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12)와 상기 프론트 로드(4)의 단면 형상은 서로 적응된다.
상기 프론트 로드(4)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고 직사각형일 수도 있으며, 연결구(212)의 노치 형상과 적응된다. 예를 들면 프론트 로드(4) 단면을 직사각형으로 설정하고, 연결구(212)가 직사각형의 노치이면,프론트 로드(4)가 노치에 삽입된 후 네 변이 노치 내에서 고정되어 프론트 로드(4)가 연결구(21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L형 하중 부재(25)에는 상기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와평행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와 ?밥 후 연결되는 수직 베이스(251); 및 상기 수직 베이스(251)에 의해 외접 연장되는 받침판(252)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252)과 상기 수직 베이스(251)는 수직되어 L형을 이루며, 상기 L형 하중 부재(25)는 리어 로드(5)(상기 리어 로드(5)는 우선권 서류 2 중의 후측 횡방향 지지 로드)와 연결된다.
상기 L형 하중 부재(25)는 리어 로드(5) 지지하고, 해당 부분에 연결되는 리어 로드(5)는 연결구(212)에 삽입 가능한 프론트 로드(4)와 구별되기에, 전후 2개의 횡방향 지지 로드(즉 프론트 로드(4)와 리어 로드(5)) 및 2개의 지지 플레이트(2)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프레임을 통해 쿠션부 및 접철부의 연결 고정을 실현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252)과 상기 패널(23)은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고; 상기 L형 하중 부재(25)가 상기 수직 베이스(251)를 통해 상기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에 연결될 경우 상기 받침판(252) 및 패널(23)은 각각 상기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 및 상기 수직 베이스(251) 연결 위치의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 시 L형 하중 부재(25)의 받침판(252)과 패널(23)은 각각 설치 후 접합되는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 및 수직 베이스(251)의 양단에 설치된다.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에 해당되고 외반 설치이다. 예를 들면 소파에 2세트의 받침판(252)이 내반되고 패널(23)이 외반되며, 쿠션부의 하단의 양변이 각각 외반된 패널(23)과 연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횡방향 지지 로드가 대칭되게 설치된 2개의 내반된 받침판(252)에 각각 설치된다. 이로써 상단 쿠션부의 고정을 보장하면서 횡방향 지지 로드를 통해 전체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소파는 사람이 기대거나 눕는 습관에 따라 후방이 받는 힘이 전단보다 크다. 하중을 증가하고 받는 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L형 하중 부재(25) 및 리어 로드(5)로 이루어진 하중 구조를 통해 상방 쿠션부가 사람이 기대거나 누울 때 발생하는 중력에 대해 힘을 받는 면적을 증가하여 설치 견고함을 보장하고 하중 효과를 증강한다.
또한, 상기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 길이 방향의 양단은 각각 연결구(212)가 설치되는 일단, 및 상기 연결구(212)에서 멀리 떨어지고 상기 L형 하중 부재(25)와 연결되는 일단이다.
상기 2세트의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와 2개의 횡방향 지지 로드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은 각각 상이한 횡방향 지지 로드를 연결하며, 그 연결방식은 각각 일단이 연결구(212)의 장부맞춤 연결이고 타단은 L형 하중 부재(25)를 통한 연결이다.
실시예 5: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소파에 적용되는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는 우선권 서류 2 중의 지지 프레임)를 제공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는 실시예 4에 따른 대칭되게 설치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2),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삽입되는 연결구(212),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연결되는 프론트 로드(4), 및 대칭되게 설치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L형 하중 부재(25)와 연결되는 리어 로드(5)를 포함한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은 쿠션부 및 접철부의 고정 연결을 위한 것이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은 쿠션부 및 접철부의 중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파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는 상방의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 하단에 설치되는 접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2)와 연결되는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2세트의 대칭되게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 및 하나의 프론트 로드(4) 및 하나의 리어 로드(5)가 함께 직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한다.
여기서 대칭되게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에서, 설치 시 L형 하중 부재(25)의 받침판(252)과 패널(23)은 각각 설치 후 접합되는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211) 및 수직 베이스(251)의 양단에 설치된다.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에 해당되고 외반 설치이다. 2세트의 받침판(252)이 내반되고 패널(23)이 외반되며, 쿠션부의 하단의 양변이 각각 외반된 패널(23)과 연결되고, 리어 로드(5)의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 2개의 내반된 받침판(252)에 각각 설치된다. 이로써 상단 쿠션부의 고정을 보장하면서 횡방향 지지 로드를 통해 전체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밖에 본 실시예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를 포함하는 소파를 더 제공한다.
여기서 소파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는 접철부 및 상단에 설치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와 실시예 1의 구조의 차이는 사용된 고정 기구(7)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는 각각 다수의 후크(71)가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상의 후크(71)는 대응되게 배치되며 그 개수는 상기 S형 스프링(6)의 개수와 대응되고, 상기 S형 스프링(6)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상기 후크(71)에 대응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71)는 상기 고정 기구(7)로 사용되어, 상기 S형 스프링(6)과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뒤집힌 U 형상의 홈모양 철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여기서 상기 프론트 로드(4)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를 연결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42)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는 각각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42)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리어 로드(5)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를 연결하는 제2 수평 플레이트(52)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는 각각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제1 수평 플레이트(4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되고,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5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71)는 대략 C형상을 이루고, 상기 프론트 로드(4) 상의 다수의 상기 후크(71)는 상기 프론트 로드(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 로드(5) 상의 다수의 상기 후크(71)는 상기 리어 로드(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 후크(71)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다.
이로써,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상의 수평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된 상기 후크(71)는 선행기술 중의 후크에 비해 강도가 더 높고 상기 S형 스프링(6)이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전체 소파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고 후크 용접 단계를 감소하여 조립 공법을 간소화 한다.
도 19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71)에는 상기 S형 스프링(6)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711)가 설치되고, 상기 S형 스프링(6)이 2개의 대응되는 상기 후크(71)에 걸릴 경우, 2개의 상기 후크(71) 상의 돌기(711)는 상기 S형 스프링(6)이 사용 과정에서 후크(71)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걸림 작용을 통해 상기 S형 스프링(6)을 조립 시, 상기 S형 스프링(6)의 단부를 절곡하여 후크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S형 스프링(6)의 조립 단계를 감소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711)는 상기 후크(71)의 C형 걸림 캐비티이 내벽 상방에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를 이용하여 쿠션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42) 외측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 외측의 제2 수직 플레이트(51)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하여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와 쿠션의 연결을 실현한다.
실시예 7:
도 22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와 실시예 1의 구조의 차이는 사용된 구동 연결로드 세트(3) 및 등받이 어셈블리(9)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는 제9 연결로드(35) 및 제10 연결로드(36)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는 소파의 등받이와 연결되는 등받이 브라켓(91) 및 고정 연결로드(94)를 포함하며, 상기 제9 연결로드(35)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베이스(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0 연결로드(36)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9 연결로드(35) 및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의 말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의 헤드 단은 위를 향하고 소파의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1)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타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등받이 브라켓(91)는 대략 Z형상이고, 그 구체적인 구조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헤드 단인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말단인 제3 연결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소파의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3 연결부의 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내측 플레이트(21)에 힌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일단은 상기 제2 연결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 중의 고정 설치판(11)의 일단에 고정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은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와 제2 연결부의 힌지 연결 포인트를 둘러싸고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9 연결로드(35)의 일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내측 플레이트(2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9 연결로드(35)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 중의 고정 설치판(11)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0 연결로드(36)의 일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의 제3 연결부의 중단 임의의 한 곳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0 연결로드(36)의 타단은 상기 제9 연결로드(35)의 중단 임의의 한 곳에 에 힌지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지지 플레이트(2), 제9 연결로드(35), 제10 연결로드(36) 및 등받이 브라켓(91)은 함께 4개의 연결로드 기구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4개의 연결로드 기구는 역평행사변형이기에 본 실시예의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와 등받이 브라켓(91)의 힌지 연결 포인트 위치는 상기 제10 연결로드(36)와 등받이 브라켓(91)의 힌지 연결 포인트 위치보다 높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2)가 상기 베이스(1)에 대해 앞으로 이동 시 상기 역평행사변형 기구를 통해 협업하고 등받이 브라켓(91)이 뒤로 경사지도록 한다(즉 뒤로 젖혀진다).
실시예 1에 따른 구동 연결로드 세트(3)와 등받이 어셈블리(9)에 비해, 본 실시예의 철제 프레임 부품 개수가 선행기술보다 대폭 감소하여 생산 공법 난이도를 크게 낮추며; 연결로드 구조가 간단하여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중의 기능 기구 외형 사이즈를 축소하여 철제 프레임 높이를 감소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편안함이 증가하며 전체 소파의 미관이 향상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사이에는 중간 가로막대(27)가 더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서, 제1 전동 푸시 로드 및 제2 전동 푸시 로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동 푸시 로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중간 가로막대(27) 및 프론트 모터 구동 로드(85)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전동 푸시 로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중간 가로막대(27) 및 리어 모터 구동 로드(12)에 연결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전동 푸시 로드 및 제2 전동 푸시 로드의 구동에 의해 본 실시예의 각각의 연결로드의 기계적 운동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기계적 전개 시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는 제1 전동 푸시 로드의 구동에 의해 앞으로 운동하고 이 과정에서 제4 신축 연결로드(824) 및 제3 신축 연결로드(823)는 앞으로 작용하여 제2 신축 연결로드(822) 및 제1 신축 연결로드(821)를 움직이게 하고, 제1 신축 연결로드(821)가 앞으로 운동 시 서브 발받침 구동 연결로드(84)를 통해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83)를 들어 올려 다리 신축 어셈블리(8)의 3단 전개를 실현한다. 다리 신축 어셈블리(8)의 각각의 연결로드가 전개 완료 후 제2 전동 푸시 로드는 중간 가로막대(27)를 구동하기 시작하고, 지지 플레이트(2)를 들여올려 사용자의 사용 시 편안함을 향상시키며, 지지 플레이트(2)가 앞쪽 위를 향해 들려지는 인출 과정에서 제9 연결로드(35)는 지지 플레이트(2)에 의해 앞쪽 위를 향해 들려지고, 제10 연결로드(36)는 제9 연결로드(35)에 의해 앞쪽 위를 향해 약간 들려지며, 등받이 브라켓(91)이 뒤로 경사지도록 한다(즉 뒤로 젖혀진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에 공개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제조된 소파로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설치된 쿠션 및 상기 쿠션 표면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을 더 포함하며, 본 실시예는 소파 원단에 연결부재를 봉제하고,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배합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철제 프레임과 상기 쿠션의 연결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쿠션은 일반적으로 스펀지를 사용하고, 가죽 또는 천을 상기 소파 원단으로 사용한다.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배합되도록, 본 실시예의 상기 연결부재는 U형 스트립부를 사용하고, 상기 U형 스트립부는 금속 등 경질 재료를 사용하고 자성 재료를 추가하여 제조되어 자동으로 흡착하게 위치에 도달한다.
의심할 여지가 없이 상기 소파는 등받이 프레임, 풋레스트 프레임 및 2개의 팔걸이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2개의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에 설치되며, 상기 풋레스트 프레임은 2개의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8)에 설치되고, 2개의 상기 팔걸이 프레임은 각각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의 좌우 양측(즉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의 앉는 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풋레스트 프레임은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대해 인입 위치 및 인출 위치 사이에서 신축 운동할 수 있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대해 기본 직립 위치 및 뒤를 향한 경사 위치 사이에서 경사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팔걸이 프레임의 저부는 지면에 닿아 지지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의 2개의 고정 설치판(11)은 각각 2개의 상기 팔걸이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베이스(1)를 고정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쿠션이 상기 팔걸이 프레임에 대해 전개 및 폴딩되도록 한다.
물론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는 기존의 소파 저부 지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거나 지면에 직접 지지되어, 베이스(1)를 고정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쿠션이 상기 베이스(1) 및 팔걸이 프레임 전개 및 폴딩되도록 한다.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 공개된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제조된 소파로서,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의 철제 프레임 구조에 배합되도록, 본 실시예는 쿠션에 클립부를 봉제하여 연결부재로 하고 조립 시 클립부는 지지 플레이트(2) 하방을 둘러싸고, 지지 플레이트(2) 상의 걸림홀(24)에 삽입되어, 밀착 걸림을 실현하여 철제 프레임과 쿠션의 연결을 실현한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는 실시예 8 및 실시예 9의 소파의 생산 방법이고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소파 철제 프레임을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는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베이스(1), 2개의 지지 플레이트(2),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의 기능적 기계틀을 얻는 단계;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를 생산하고,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를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하여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와 서로 연결되어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을 구성한다.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받침 탄성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 탄성부재는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에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 및 받침 탄성부재는 상기 쿠션을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 탄성부재는 S형 스프링(6)이고, 상기 S형 스프링(6)은 고정 기구(7)를 통해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쿠션을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상의 받침 탄성부재의 상방에 클래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은 일반적으로 스펀지이고, 상기 쿠션의 저부 중간에는 상기 받침 탄성부재가 형성한 스프링 면과 배합되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쿠션의 저부 양측은 각각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상면과 당접된다.
소파 원단을 설정 사이즈로 가공하고, 소파 원단 가장자리에 연결부재를 고정하며, 소파 원단을 상기 쿠션에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에 고정하여 소파 좌방석 부분의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파 원단의 가장자리에 봉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클립 연결된다. 여기서 실시예 8 중의 소파 생산 시, 상기 연결부재는 바람직하게 U형 스트립부이고, 상기 스트립부를 각각 상기 2개의 외측 플레이트(22)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하여, 상기 소파 원단의 가죽 씌우기 공법을 실현한다. 가죽 씌우기 과정에서 상기 스트립부는 상기 프론트 로드(4)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상기 리어 로드(5)의 제2 수직 플레이트(51)의 하측 가장자리에 더 클립되어,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와 쿠션의 연결을 실현하고, 쿠션과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연결이 더 견고하도록 하며, 쿠션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은 가죽 씌우기가 더 치밀하고 미관이 향상된다. 실시예 9 중의 소파 생산 시, 상기 연결부재는 바람직하게 클립부이고, 상기 클립부는 각각 2개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22)의 걸림홀(24)에 클립 결합되어, 상기 소파 원단의 가죽 씌우기 공법을 완료한다. 가죽 씌우는 과정에서 상기 소파 원단의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 대응되는 위치에 U형 스트립부를 설치하고, 상기 스트립부를 각각 상기 프론트 로드(4)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상기 리어 로드(5)의 제2 수직 플레이트(51)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하여,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와 쿠션의 연결을 실현함으로써, 쿠션과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연결이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쿠션에 클래딩된 소파 원단은 가죽 씌우기가 더 치밀하고 미관이 향상된다.
소파 철제 프레임에 등받이 프레임, 다리 신축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소파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소파 생산 방법은 기존의 소파 생산 및 조립 관념을 깨고,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3) 일단에 각각 힌지 연결된 2개의 지지 플레이트(2)를 이용하여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를 결합시켜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의 주요 구조를 형성한 다음 상기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에 S형 스프링(6)을 설치하여 지지 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직접 결합시켜, 별도의 시트 패키징 프레임을 도입하여 쿠션을 지지하는 구조를 생략하여 기존의 소파 철제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파 철제 프레임의 생산 공법을 단순화 하며, 조립 효율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재료를 절약하여 원가를 낮추어 대량 생산 라인의 산업 생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공개된 기술수단은 상기 실시형태에 공개된 기술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상의 기술특징을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된 과제 해결 수단을 더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개선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런 개선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 베이스;
11: 고정 설치판;
12: 리어 모터 구동 로드;
2: 지지 플레이트;
21: 내측 플레이트;
211: 고정 스탠딩 플레이트;
212: 연결구;
22: 외측 플레이트;
23: 패널;
231: 설치홀;
24: 걸림홀;
25: L형 하중 부재;
251: 수직 베이스;
252: 받침판;
26: 힌지 연결 포인트;
27: 중간 가로막대;
3: 구동 연결로드 세트;
31: 중간 설치 플레이트;
32: 제1 연결로드 세트;
321: 제1 연결로드;
322: 제2 연결로드;
33: 제2 연결로드 세트;
331: 제3 연결로드;
332: 제4 연결로드;
333: 제5 연결로드;
334: 제6 연결로드;
335: 제7 연결로드;
336: 제8 연결로드;
34: 종동 연결로드;
35: 제9 연결로드;
36: 제10 연결로드;
4: 프론트 로드;
41: 제1 수직 플레이트;
42: 제1 수평 플레이트;
43: 공동;
5: 리어 로드;
51: 제2 수직 플레이트;
52: 제2 수평 플레이트;
6: S형 스프링;
7: 고정 기구;
71: 후크;
711: 돌기;
72: 걸림단;
73: 고정단;
8: 다리 신축 어셈블리;
81: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
82: 다리 연결로드 세트;
821: 제1 신축 연결로드;
822: 제2 신축 연결로드;
823: 제3 신축 연결로드;
824: 제4 신축 연결로드;
83: 서브 발받침 연결로드;
84: 서브 발받침 구동 연결로드;
85: 프론트 모터 구동 로드;
9: 등받이 어셈블리;
91: 등받이 브라켓;
92: 등받이 지지 브라켓;
93: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
931: 제1 회전 연결로드;
932: 제2 회전 연결로드;
933: 제3 회전 연결로드;
94: 고정 연결로드.

Claims (40)

  1.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베이스(1), 대응되게 설치되어 쿠션을 지지하고 소파 원단과 연결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2) 및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를 각각 상기 베이스(1)에 연결시키는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사이에는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가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에는 쿠션을 받쳐주기 위한 다수의 받침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쿠션을 지지하는 패널(23) 및 상기 패널(23) 상에 설치된 내측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힌지 연결 포인트(2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대응되게 설치된 2개의 등받이 어셈블리(9)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는 상기 베이스(1)와 내측 플레이트(21)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는 제9 연결로드(35) 및 제10 연결로드(36)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는 소파의 등받이와 연결되는 등받이 브라켓(91) 및 고정 연결로드(94)를 포함하며, 상기 제9 연결로드(35)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베이스(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0 연결로드(36)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9 연결로드(35) 및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의 일단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1)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타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다리 신축 어셈블리(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8)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3)의 폭은 5 c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는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홀(24)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패널(23)은 뒤집힌 L 형상이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패널(23)은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3)에는 소파 원단 상의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외측 플레이트(22)가 더 설치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외측 플레이트(22)는 각각 상기 패널(23)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외측 플레이트(22) 및 패널(23)은 뒤집힌 U 형상이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외측 플레이트(22) 및 패널(23)은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탄성부재는 S형 스프링(6)이고, 상기 S형 스프링(6)은 고정 기구(7)를 통해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7)는 서로 연결되는 고정단(73) 및 걸림단(72)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의 외측벽에는 각각 상기 고정단(73)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공동(43)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구(7)의 고정단(73)은 상기 프론트 로드(4) 또는 리어 로드(5)의 공동(4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단(72)은 상기 프론트 로드(4) 또는 리어 로드(5)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S형 스프링(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73)은 Z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7)는 후크(71)이고, 상기 후크(71)는 각각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S형 스프링(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71)에는 상기 S형 스프링(6)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7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로드(4)는 금속 재질로 생산되고, 상기 프론트 로드(4)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를 연결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4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로드(4) 상의 후크(71)는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42)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제1 수평 플레이트(42)는 뒤집힌 U 형상이고,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제1 수평 플레이트(4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로드(5)는 금속 재질로 생산되고, 상기 리어 로드(5)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를 연결하는 제2 수평 플레이트(52)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로드(5) 상의 후크(71)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20. 제19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52)는 뒤집힌 U 형상이고,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52)는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21. 소파에 있어서,
    베이스(1), 대응되게 설치되어 쿠션을 지지하고 소파 원단과 연결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2),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를 각각 베이스(1)에 연결시키는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3),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와 지지 플레이트(2)를 연결하기 위한 등받이 어셈블리(9) 및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연결되는 2개의 다리 신축 어셈블리(8)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사이에는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가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에는 쿠션을 받쳐주기 위한 다수의 받침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상기 받침 탄성부재에 설치되는 쿠션;
    상기 쿠션의 표면에 피복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와 클립 연결되는 소파 원단;
    2개의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에 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
    2개의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8)에 설치되는 풋레스트 프레임; 및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팔걸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쿠션을 지지하는 패널(23) 및 상기 패널(23) 상에 설치된 내측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는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힌지 연결 포인트(2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신축 어셈블리(8)는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 및 다리 연결로드 세트(82)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발받침 연결로드(81)는 상기 다리 연결로드 세트(82)를 통해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는 등받이 브라켓(91), 등받이 지지 브라켓(92) 및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93)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은 상기 등받이 지지 브라켓(92) 및 등받이 연결로드 세트(93)를 거쳐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베이스(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연결로드 세트(3)는 제9 연결로드(35) 및 제10 연결로드(36)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어셈블리(9)는 소파의 등받이와 연결되는 등받이 브라켓(91) 및 고정 연결로드(94)를 포함하며, 상기 제9 연결로드(35)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베이스(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0 연결로드(36)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9 연결로드(35) 및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의 일단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1)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고정 연결로드(94)의 타단은 상기 등받이 브라켓(91)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 원단의 가장자리에는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에 클립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클립부 또는 스트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21)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홀(24)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3)에는 외측 플레이트(22)가 더 설치되고, 상기 내측 플레이트(21) 및 외측 플레이트(22)는 각각 상기 패널(23) 하면의 내외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측 플레이트(22)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탄성부재는 S형 스프링(6)이고, 상기 S형 스프링(6)은 고정 기구(7)를 통해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7)는 서로 연결되는 고정단(73) 및 걸림단(72)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의 외측벽에는 각각 상기 고정단(73)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공동(43)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기구(7)의 고정단(73)은 상기 프론트 로드(4) 또는 리어 로드(5)의 공동(4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단(72)은 상기 프론트 로드(4) 또는 리어 로드(5)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S형 스프링(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7)는 후크(71)이고, 상기 후크(71)는 각각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S형 스프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71)에는 상기 S형 스프링(6)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7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는 모두 금속 재질로 생산되고, 상기 프론트 로드(4)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1 수직 플레이트(41) 및 2개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41)를 연결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42)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로드(5)는 2개의 대응되게 설치된 제2 수직 플레이트(51) 및 2개의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51)를 연결하는 제2 수평 플레이트(5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42) 상의 후크(71)는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42)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되고,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 상의 후크(71)는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52)에 의해 일체로 스탬핑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36. 소파 생산 방법에 있어서,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소파 철제 프레임을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에 S형 스프링(6)을 설치하는 단계;
    쿠션을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 상의 S형 스프링(6)의 상방에 클래딩하는 단계;
    소파 원단을 설정 사이즈로 가공하고, 소파 원단 가장자리에 연결부재를 고정하며, 소파 원단을 상기 쿠션에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에 고정하여 소파 좌방석 부분의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 및
    소파 철제 프레임에 등받이 프레임, 풋레스트 프레임 및 2개의 팔걸이 프레임을 설치하여 소파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생산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소파 철제 프레임을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는,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베이스(1), 2개의 지지 플레이트(2), 2개의 구동 연결로드 세트(3)를 생산하고 이를 조립 완료하여 소파 철제 프레임의 기능적 기계틀을 얻는 단계;
    한정된 사이즈에 따라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를 생산하고,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를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사이에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설치하여 상기 소파 철제 프레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는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와 서로 연결되어 지지 어셈블리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생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S형 스프링(6)은 상기 프론트 로드(4) 및 리어 로드(5) 사이에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 프론트 로드(4), 리어 로드(5) 및 받침 탄성부재는 상기 쿠션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생산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저부 중간에는 상기 S형 스프링(6)이 형성한 스프링 면과 배합되는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쿠션의 저부 양측은 각각 2개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상면과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생산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스트립부이고, 상기 스트립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의 외측 플레이트(22)의 하측 가장자리에 클립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생산 방법.
KR1020217001555A 2019-07-15 2020-07-10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 KR102516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37243.9 2019-07-15
CN201910637243.9A CN110338587A (zh) 2019-07-15 2019-07-15 一种多向固定连接件、支撑框架和沙发
CN201910952038.1A CN110731643A (zh) 2019-10-09 2019-10-09 一种沙发铁架结构、沙发及沙发生产方法
CN201910952038.1 2019-10-09
PCT/CN2020/101189 WO2021008440A1 (zh) 2019-07-15 2020-07-10 一种沙发铁架结构、沙发及沙发生产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069A true KR20210022069A (ko) 2021-03-02
KR102516832B1 KR102516832B1 (ko) 2023-03-30

Family

ID=7094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555A KR102516832B1 (ko) 2019-07-15 2020-07-10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06191B2 (ko)
EP (1) EP3808222B1 (ko)
JP (1) JP7280946B2 (ko)
KR (1) KR102516832B1 (ko)
CN (2) CN111265048B (ko)
AU (1) AU2020314927B2 (ko)
ES (1) ES2968912T3 (ko)
WO (2) WO2021008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1643A (zh) * 2019-10-09 2020-01-31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沙发铁架结构、沙发及沙发生产方法
CN111265048B (zh) 2019-07-15 2023-04-07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沙发铁架结构、沙发及沙发生产方法
CN113491411A (zh) * 2020-03-19 2021-10-12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沙发座框、沙发底座组件、沙发及沙发生产装配工艺
CN111671267A (zh) * 2020-06-05 2020-09-18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机械式伸展沙发铁架
CN215226144U (zh) * 2021-05-18 2021-12-21 德沃康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座椅架及座椅
US20230072756A1 (en) * 2021-09-06 2023-03-09 Hhc Changzhou Corporation Recliner chair, love seat, or sofa with protective cover
CN116687147A (zh) * 2021-10-27 2023-09-05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用于可活动的座椅单元的机械伸展装置及座椅单元
WO2024040791A1 (zh) * 2022-08-23 2024-02-29 顾家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紧凑型沙发铁架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724U (ko) * 1996-10-16 1998-07-15 김종국 쇼파용 의자 쿠션장치
US6234578B1 (en) * 1998-05-12 2001-05-22 Mccord Winn Textron, Inc. Seat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60067933A (ko) * 2006-05-22 2006-06-20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CN201271007Y (zh) * 2008-06-18 2009-07-15 敏华家具制造(深圳)有限公司 一种弹簧沙发坐垫的承托架
CN203676561U (zh) * 2013-12-26 2014-07-02 东莞市捷科五金有限公司 多功能沙发铁架
KR20150004485U (ko) * 2014-06-05 2015-12-15 박문석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KR20170123155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살리브 탄성보강부재가 구비된 소파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28055B2 (ko) * 1970-10-08 1972-09-12 Nobuyoshi Saito
US4352524A (en) * 1980-01-02 1982-10-05 Morley Furniture Spring Corporation Improvement in upholstered furniture
US5360255A (en) * 1987-06-09 1994-11-01 Super Sagless Corporation Three-way frame incliner
FR2623382B1 (fr) * 1987-11-24 1991-05-03 Peugeot Cycles Dispositif de fixation d'un revetement notamment un revetement de siege
US5080438A (en) * 1989-09-29 1992-01-14 Moyer Robert W Furniture structure and method
AU7436396A (en) * 1995-10-18 1997-05-07 La-Z-Boy Incorporated Glider chair
US6616239B2 (en) * 2001-04-18 2003-09-09 Hickory Springs Manufacturing Company Rail clip for seat bases
US7040700B2 (en) * 2003-07-25 2006-05-09 American Leather Sof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497512B2 (en) * 2005-05-23 2009-03-03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Recliner drive mechanism for a rocker chair
US7543893B2 (en) * 2006-04-14 2009-06-09 La-Z-Boy Incorporated Rocking reclining chair
US7850232B2 (en) * 2007-03-09 2010-12-14 Ashley Furniture Industries, Inc. Zero clearance recliner mechanism
CN201101290Y (zh) * 2007-11-14 2008-08-20 冷鹭浩 一种椅子座板
US8113574B2 (en) * 2008-11-24 2012-02-14 Ultra-Mek, Inc. Rocking-reclining seating unit with power actuator
KR101060669B1 (ko) * 2009-09-14 2011-08-31 비디코리아(주) 의자겸 베드형 자동 두발세척관리기
US8398168B2 (en) * 2010-01-15 2013-03-19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Powered glider recliner linkage mechanism
CN101879014B (zh) 2010-07-14 2011-11-16 高要市恒鼎家具有限公司 一种拆装方便运输体积小的沙发框架
CN202966020U (zh) * 2012-12-04 2013-06-05 刘俊勤 一种汽车座椅两用功能椅架
CN103054441A (zh) * 2013-02-17 2013-04-24 宫新建 便捷式衣挂
US9357847B2 (en) * 2014-09-26 2016-06-07 Ultra-Mek, Inc. Reclining seating unit with power actuators
CN107072408A (zh) * 2014-09-30 2017-08-18 L及P产权管理公司 用于保持弯曲弹簧的夹子组件
CN104545064B (zh) * 2015-01-14 2017-05-24 浙江工业大学 分动平推椅铁架机构
CN104970612B (zh) * 2015-06-24 2018-03-16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腿部多选活动沙发机械伸展装置
CN106923725A (zh) * 2015-12-30 2017-07-07 陈建城 一种挂钩
CN205994093U (zh) * 2016-06-12 2017-03-08 嘉兴泰恩弹簧有限公司 沙发的支撑框架
CN106419262A (zh) * 2016-09-09 2017-02-22 常州携手智能家居有限公司 多功能沙发铁架
CN106419270A (zh) * 2016-09-09 2017-02-22 常州携手智能家居有限公司 多功能沙发铁架
CN106510280A (zh) * 2016-11-24 2017-03-22 浙江鼎帮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腰部可调节智能沙发
CN107028405A (zh) * 2017-04-28 2017-08-11 浙江飞力科技股份有限公司 活动沙发的机械伸展装置
CN207898276U (zh) * 2017-06-26 2018-09-25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功能沙发下沉式机械伸展装置支架快装结构
CA3204241A1 (en) * 2017-09-20 2019-03-28 La-Z-Boy Incorporated Adjustable furniture member
CN209090472U (zh) * 2018-06-27 2019-07-12 佛山市铨亿弹簧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沙发座具弹簧
CN108851724A (zh) * 2018-08-29 2018-11-23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防前翻结构及伸缩铁架
CN109247745A (zh) * 2018-10-24 2019-01-22 中源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滑轨式沙发
CN109393819A (zh) * 2018-10-25 2019-03-01 山东省宜华家具有限公司 拼接式沙发座框架
CN109487935A (zh) * 2018-12-25 2019-03-19 上海安皑迪实业有限公司 一种幕墙连接件
CN109965585A (zh) * 2019-04-04 2019-07-05 敏华家具制造(惠州)有限公司 一种沙发结构
CN110101245A (zh) * 2019-05-09 2019-08-09 敏华家具制造(惠州)有限公司 一种沙发座框
CN111265048B (zh) * 2019-07-15 2023-04-07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沙发铁架结构、沙发及沙发生产方法
CN110731643A (zh) * 2019-10-09 2020-01-31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沙发铁架结构、沙发及沙发生产方法
CN210842329U (zh) 2019-10-09 2020-06-26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一种沙发铁架结构及沙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724U (ko) * 1996-10-16 1998-07-15 김종국 쇼파용 의자 쿠션장치
US6234578B1 (en) * 1998-05-12 2001-05-22 Mccord Winn Textron, Inc. Seat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60067933A (ko) * 2006-05-22 2006-06-20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CN201271007Y (zh) * 2008-06-18 2009-07-15 敏华家具制造(深圳)有限公司 一种弹簧沙发坐垫的承托架
CN203676561U (zh) * 2013-12-26 2014-07-02 东莞市捷科五金有限公司 多功能沙发铁架
KR20150004485U (ko) * 2014-06-05 2015-12-15 박문석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KR20170123155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살리브 탄성보강부재가 구비된 소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6191B2 (en) 2022-08-09
EP3808222B1 (en) 2023-12-20
KR102516832B1 (ko) 2023-03-30
JP2022501138A (ja) 2022-01-06
AU2020314927A1 (en) 2021-02-25
WO2021008440A1 (zh) 2021-01-21
EP3808222A4 (en) 2021-10-13
US20210353064A1 (en) 2021-11-18
CN111265048B (zh) 2023-04-07
EP3808222C0 (en) 2023-12-20
CN111248681A (zh) 2020-06-09
CN111248681B (zh) 2023-04-07
NZ772033A (en) 2023-10-27
EP3808222A1 (en) 2021-04-21
AU2020314927B2 (en) 2022-11-17
WO2021008442A1 (zh) 2021-01-21
ES2968912T3 (es) 2024-05-14
CN111265048A (zh) 2020-06-12
JP7280946B2 (ja)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2069A (ko) 소파 철제 프레임 구조, 소파 및 소파 생산 방법
CN213030310U (zh) 一种便于沙发面料扪皮的支撑组件框架
KR102534318B1 (ko) 소파 시트 프레임, 소파 베이스 어셈블리, 소파 및 소파 생산 조립 공법
US20110272986A1 (en) Chair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fore
WO2021017039A1 (zh) 一种床体结构
US20230066786A1 (en) Furniture assembly with recliner module
US7370914B2 (en) Compactly foldable wingback chair
CA2596291A1 (en) Swing assembly
CN216089715U (zh) 一种扶手沙发椅
CN214963946U (zh) 一种组合式靠背椅
WO2021223372A1 (zh) 一种便于面料扪皮的沙发靠背
CN214207592U (zh) 一种快装麻将机
CN201468589U (zh) 一种折叠椅及其侧桌
CN212878561U (zh) 一种沙发及其靠背
US20230232987A1 (en) Upholstered recliner including molded furniture components
CN209489751U (zh) 一种可折叠办公家具
CN210383338U (zh) 一种可拆卸沙发
RU187753U1 (ru) Модуль предмета мягкой мебели со съемной панелью
KR20120010813A (ko) 망사 의자
KR19990022219U (ko) 조립식탁자
CN102704247A (zh) 一种用于晾衣架上的扩展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