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356A -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뇌염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 - Google Patents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뇌염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356A
KR20210021356A KR1020217000780A KR20217000780A KR20210021356A KR 20210021356 A KR20210021356 A KR 20210021356A KR 1020217000780 A KR1020217000780 A KR 1020217000780A KR 20217000780 A KR20217000780 A KR 20217000780A KR 20210021356 A KR20210021356 A KR 20210021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oic acid
day
salts
derivatives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988B1 (ko
Inventor
루-펜 창
레인 시엔-위안
Original Assignee
루-펜 창
엑셀시오 파마테크 랩스
레인 시엔-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펜 창, 엑셀시오 파마테크 랩스, 레인 시엔-위안 filed Critical 루-펜 창
Publication of KR2021002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96Plasmapheresis; Leucopheresis; Lympho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량의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를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서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뇌염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본 발명은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NMDAR) 뇌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NMDAR) 뇌염은 자가 항체와 관련된 NMDAR 기능 장애로 인한 자가면역 뇌염이다. 그 발생은 지난 10년간 점점 더 많이 확인되었다. 자가 항체(autoantibodies)는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고 NMDA 수용체와 선택적으로 교차결합되어 흥분성 및 억제성 해마 뉴런 모두에서 NMDA 수용체의 내재화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NMDAR 매개 시냅스 신경 전달의 기능 저하를 유발한다.
항-NMDAR 뇌염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환자는 먼저 정신의학적 증상이 나타난 후 간질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항간질제 및 신경이완제는 항-NMDAR 뇌염 환자에게 덜 효과적이다. 또한, 메틸프레드니솔론과 정맥 내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한 면역요법 또는 혈장 교환에 의한 자가 항체 제거를 포함하는 치료법은 항-NMDAR 뇌염 환자를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면역요법과 항정신병 치료 후에도 불응(refractory) 상태가 지속된다.
따라서, 항-NMDAR 뇌염의 효과적인 예방 또는 치료가 여전히 요구된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유효량의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서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벤조산 염 및 이의 유도체는 소듐 벤조에이트, 포타슘 벤조에이트, 칼슘 벤조에이트, 마그네슘 벤조에이트, 2-아미노벤조에이트, 3-아미노벤조에이트, 4-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에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프로필-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메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또는 메틸 벤조에이트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에서, 벤조산 염은 소듐 벤조에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충전제, 결합제, 보존제, 붕해제, 윤활제, 현탁제, 습윤제, 용매, 계면활성제, 산, 향료,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알킬렌 글리콜, 세바식산, 디메틸 설폭사이드, 알코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항-NMDAR 뇌염은 NMDAR의 기능 저하에 의해 유발된다. 다른 구현에서, 항-NMDAR 뇌염의 세포 손상은 자가 항체에 의해 유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NMDAR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활성화시키기 위한 유효량으로 대상자에게 투여되어, 이에 의해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200 mg/일 내지 2000 mg/일, 예를 들어 400 mg/일 내지 1800 mg/일, 600 mg/일 내지 1500 mg/일, 및 800 mg/일 내지 1200 mg/일 범위의 양으로 대상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1개월 내지 2년, 예를 들어 4주 내지 12개월 범위의 기간 동안 대상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약 2개월 기간 동안 대상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조성물에서 항-NMDAR 뇌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단독 활성 성분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추가적인 활성 성분과 조합된다. 일 구현에서, 추가적인 활성 성분은 항정신병 약이다. 다른 구현에서, 항정신병 약은 아리피프라졸, 클로자핀, 팔리페리돈, 리스페리돈, 브렉스피프라졸, 올란자핀, 쿠에티아핀, 지프라시돈, 아미설프리드, 아세나핀, 일로페리돈, 루라시돈, 카리프라진, 조테핀, 할로페리돌, 클로르프로마진, 클로티아핀, 플루펜티솔, 클로픽솔, 설프라이드, 클로르프로틱신, 레보메프로마진, 메소리다진, 페리시아진, 프로마진, 티오리다진, 록사핀, 몰린돈, 페르페나진, 티오틱센, 드로페리돌, 플루페나진, 피모자이드, 프로클로르페라진, 티오프로페라진, 트리플루오페라진, 주클로펜틱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추가적인 요법(therapy)과 조합된다. 일 구현에서, 추가적인 요법은 정신요법(psychotherapy), 전기 충격 요법(ECT) 및 반복적 경두개 자기 자극(rTMS) 및 경두개 직류 자극법(tDCS)과 같은 기타 뇌 자극법(brain stimulation), 면역 요법(immune therapy), 혈장분리교환술(plasmaphresis),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펄스 요법(pulse therapy)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구현에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펄스 요법은 메틸프레드니솔론을 사용한 펄스 요법이다.
상기에 덧붙여, 본 발명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서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유효량의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용도 또한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서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유효량의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해 사용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 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이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현되거나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a", "an" 및 "the"는 명확하고 명백하게 하나의 지시 대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용어 "또는"은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용어 "및/또는"과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항-NMDAR 뇌염은 뇌-혈액 장벽을 가로지르는 자가 항체의 통과로 인한 자가면역질환으로, 흥분성 및 억제성 해마 뉴런 모두에서 NMDA 수용체의 선택적 교차결합(selective crosslinking) 및 내재화(internalization)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NMDAR 매개 시냅스 전류 감소 및 기능 저하를 유발한다.
본 발명은 유효량의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를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서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treating" 또는 "treatment")는 질병, 이의 증상, 또는 그것에 대한 소인을 치유(cure), 완화, 경감, 구제(remedy), 개선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유효량의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상자는 임의의 적절한 진단 방법의 결과를 기반으로 의료 전문가가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대상자는 항-NMDAR 뇌염을 앓는 대상이다. 항-NMDAR 뇌염으로 진단받은 대상자는 두통 및 메스꺼움이 있을 수 있고, 먼저 정신과적 증상이 나타난 다음 신경학적 기능 장애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에서, 정신과적 증상은 초조함, 인지 저하, 반복적 해리성 기억 장애 및 정신분열증과 관련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 항-NMDAR 뇌염으로 진단받은 대상자의 신경학적 기능 장애는 간질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항-NMDAR 뇌염으로 진단받은 대상자는 대상자의 뇌척수액(CSF) 및 혈청에서 확인된 항-NMDAR 항체를 갖는다. 또 다른 구현에서, 항-NMDAR 뇌염의 세포 손상은 흥분성 및 억제성 해마 뉴런 모두에서 NMDA 수용체의 선택적 교차결합 및 내재화를 위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뇌로 들어가는 자가 항체에 의해 유발된다. 일 구현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 될 대상자는 항-NMDAR 뇌염을 앓고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의 전, 후 또는 동시에 추가적인 요법으로 치료 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현에서, 본 발명의 방법과 함께 처치되는 추가적인 요법은 정신요법(psychotherapy), 전기 충격 요법(ECT), 면역 요법(immune therapy), 혈장분리교환술(plasmaphresis),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펄스 요법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또 다른 구현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대상자는 항-NMDAR 뇌염을 앓고 있고 다른 치료법에 저반응(poor response)을 나타내거나 불응성이다.
벤조산은 많은 식물과 동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유제품을 포함하여, 많은 식품의 천연 성분이다(IPCS 1993). 벤조산과 소듐 벤조에이트는 미국(FAO/WHO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 1965, 1973), 대만(보건부) 및 세계 보건기구(IPCS 1993)에서도 합법적인 식품 첨가물이며 과일 젤리, 버터, 간장, 가공육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D-아미노산 산화효소(DAAO)는 포유류의 뇌, 신장 및 간에 존재하는 퍼옥시 좀의 플라보효소로, D-세린, D-알라닌 및 기타 D-아미노산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듐 벤조에이트와 같은 벤조산 염을 투여하여 DAAO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D-세린 및 기타 D-아미노산의 시냅스 농도를 높인다. 본 발명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NMDAR의 기능 향상 또는 활성화를 통해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유효량으로 대상자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항-NMDAR 뇌염 환자에서 DAAO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NMDA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량"은 항-NMDAR 뇌염 및 이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 재발 또는 발현을 예방하여 다른 요법의 예방 효과를 향상 또는 개선하고, 중증도, 장애(disorder)의 기간을 감소시키고,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개선하고, 항-NMDAR 뇌염의 진행을 예방하고, 및/또는 다른 요법의 치료 효과를 향상 시키거나 개선시키기에 충분한 치료적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유효량은 200 mg/일 내지 2000 mg/일 범위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투여량의 하한은 200 mg/일, 225 mg/일, 250 mg/일, 275 mg/일, 300 mg/일, 325 mg/일, 350 mg/일, 400 mg/일, 450 mg/일, 500 mg/일, 550 mg/일, 600 mg/일, 700 mg/일, 750 mg/일, 또는 800 mg/일일 수 있고, 투여량의 상한은 2000 mg/일, 1800 mg/일, 1500 mg/일, 1200 mg/일, 1000 mg/일, 900 mg/일, 800 mg/일, 750 mg/일, 700 mg/일, 또는 600 mg/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투여량은 225 mg/일 내지 2000 mg/일, 250 mg/일 내지 1800 mg/일, 450 mg/일 내지 1500 mg/일, 500 mg/일 내지 1200 mg/일, 500 mg/일 내지 1000 mg/일, 550 mg/일 내지 1000 mg/일, 600 mg/일 내지 800 mg/일, 약 1000 mg/일, 약 900 mg/일, 약 750 mg/일, 또는 약 500 mg/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숫자 또는 범위가 언급될 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특정 분야에서 적절하고 합리적인 범위를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를 이해한다.
적어도 200mg 내지 2000mg을 언급함으로써, 범위 내의 모든 정수 단위의 양이 본 발명의 일부로서 구체적으로 개시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200, 201, 202 ... 250, 251, 252 ... 1000, 1001, 1002 ... 1997, 1998, 1999 및 2000 단위의 양은 본 발명의 구현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투여는 예를 들어 1일 1회, 1일 2회, 1일 3회 또는 1일 4회 실시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투여는 1일 1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대상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충분한 기간은 대상자의 인종, 성별, 체중 또는 연령, 질병의 단계, 질병의 증상 또는 중증도, 투여의 경로, 시기 또는 빈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적어도 1개월에 걸쳐 매일 투여된다. 예를 들어,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투여 기간은 1, 2, 3, 4 또는 6개월, 또는 1, 2, 3 또는 4년, 또는 치료 기간 동안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더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기간은 1개월 내지 2년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기간은 4주 내지 12개월이다. 또 다른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2개월에 걸쳐 매일 투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본 발명은 벤조산, 소듐 벤조에이트, 포타슘 벤조에이트, 칼슘 벤조에이트, 마그네슘 벤조에이트, 2-아미노벤조에이트, 3-아미노벤조에이트, 4-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에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프로필-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메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및 메틸 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벤조산, 벤조산 염 또는 이의 유도체의 사용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경구 투여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되므로, 약학 조성물은 경구 전달에 의해 대상자에게 투여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약학 조성물은 건조 분말, 정제, 로젠지, 캡슐, 과립 또는 알약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충전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윤활제, 현탁 제, 습윤제, 용매, 계면활성제, 산, 향료,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알킬렌 글리콜, 세바식산, 디메틸 설폭사이드, 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만을 포함 할 수 있다. 즉,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항-NMDAR 뇌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일한 활성 성분으로 작용한다. 본 구현에서 본 발명은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만을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여 항-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요법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또 다른 구현에서,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억제되지 않는 한, 다른 활성 성분과 조합되어 대상자에게 투여 될 수 있다.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 및 다른 활성 성분은 단일 조성물 또는 별도의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방법에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투여는 항-NMDAR 뇌염에 대한 임의의 적합한 전통적인 요법과 조합 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항-NMDAR 뇌염에 대한 전통적인 요법은 1차 또는 2차 면역 요법(immune therapy),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펄스 요법, 전기 충격 요법(ECT) 및 항정신병 요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실시예가 사용되었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항-NMDAR 뇌염 치료를 위한 소듐 벤조에이트의 효능 및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이전에 건강했던 17세 남성이 발열 없이 두통 및 메스꺼움을 나타냈다. 1주일 후, 그는 정신과적 평가가 필요한 초조함, 인지 저하가 점진적으로 전개되었다. 환자는 의심되는 정신분열증과 반복적 해리성 기억 장애로 인해 급성 정신병동에 3회 입원 하였다.
환자는 고용량의 항정신병 약 및 전기 충격 요법(ECT)으로 치료를 받았지만 고용량(아리피프라졸 20-30mg, 클로자핀 300-500mg, 클로자핀 500mg + 팔리 페리돈 9mg)의 항정신병 약 및 전기 충격 요법(3주간 주 3회)에서도 저반응을 보였다. 그 후 뇌척수액(CSF)과 혈청에서 항-NMDAR 항체가 확인되었고, 항-NMDAR 뇌염이 확인되었다. 뇌 자기 공명 영상은 정상으로 나타났다.
환자는 메틸프레드니솔론을 사용한 펄스 요법 후 즉시 정맥 내 면역 글로불린(IVIg) 및 혈장분리교환술(plasmaphresis)로 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면역 요법(immune therapy)과 항정신병 치료 2개월 후에도 현저한 임상적 개선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 후 소듐 벤조에이트를 2개월 동안 하루 1000mg의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했다. 해리와 초조함을 포함한 정신병적 증상이 감소되었다. 환자에게 명백한 임상적 개선이 관찰되었고 그는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수 있었다.
상세한 구현에 대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에 따른 모든 수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전체 범위는 하기 청구 범위로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하기 나열된 참고 문헌은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된 것처럼 참조로 포함된다.
DALMAU, J. (2016) NMDA receptor encephalitis and other antibody-mediated disorders of the synapse: The 2016 Cotzias Lecture. Neurology, 87, 2471-2482.
DALMAU, J., LANCASTER, E., MARTINEZ-HERNANDEZ, E., ROSENFELD, M. R. & BALICE-GORDON, R. (2011) Clinical experience and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patients with anti-NMDAR encephalitis. Lancet Neurol., 10, 63-74.
LEYPOLDT, F., ARMANGUE, T. & DALMAU, J. (2015) Autoimmune encephalopathie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338, 94-114.
TITULAER, M. J., MCCRACKEN, L., GABILONDO, I., ARMANGUE, T., GLASER, C., IIZUKA, T., HONIG, L. S., BENSELER, S. M., KAWACHI, I., MARTINEZ-HERNANDEZ, E., AGUILAR, E., GRESA-ARRIBAS, N., RYAN-FLORANCE, N., TORRENTS, A., SAIZ, A., ROSENFELD, M. R., BALICE-GORDON, R., GRAUS, F. & DALMAU, J. (2013) Treatment and prognostic factors for long-term outcome in patients with anti-NMDA receptor encephalitis: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Lancet Neurol., 12, 157-165.
TSUTSUI, K., KANBAYASHI, T., TAKAKI, M., OMORI, Y., IMAI, Y., NISHINO, S., TANAKA, K. & SHIMIZU, T. (2017) 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ibody could be a cause of catatonic symptoms in psychiatric patients: case reports and methods for detection. Neuropsychiatr. Dis. Treat., 13, 339-345.

Claims (15)

  1.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서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NMDAR) 뇌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유효량의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염은 소듐 벤조에이트, 포타슘 벤조에이트, 칼슘 벤조에이트, 마그네슘 벤조에이트, 2-아미노벤조에이트, 3-아미노벤조에이트, 4-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에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프로필-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메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또는 메틸 벤조에이트인, 용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염은 소듐 벤조에이트인, 용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NMDAR 뇌염은 NMDAR의 기능 저하에 의해 유발되는, 용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대상자에서 NMDAR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활성화시키는, 용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200mg/일 내지 2000mg/일 범위의 양으로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400mg/일 내지 1800mg/일 범위의 양으로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450mg/일 내지 1500mg/일 범위의 양으로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500mg/일 내지 1000mg/일 범위의 양으로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1개월 내지 2년 범위의 기간 동안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4주 내지 12개월 범위의 기간 동안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항-NMDAR 뇌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추가의 활성 성분과 함께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활성 성분은 항정신병 약인, 용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가 항-NMDAR 뇌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추가적인 요법(therapy)과 조합되어 대상자에게 투여되는, 용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요법이 정신요법(psychotherapy), 전기 충격 요법(ECT), 면역 요법(immune therapy), 혈장분리교환술(plasmaphresis),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펄스 요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도.
KR1020217000780A 2018-07-16 2019-07-16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뇌염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 KR102615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98558P 2018-07-16 2018-07-16
US62/698,558 2018-07-16
PCT/MY2019/000025 WO2020017950A1 (en) 2018-07-16 2019-07-16 Benzoic acid or a salt thereof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encephalit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356A true KR20210021356A (ko) 2021-02-25
KR102615988B1 KR102615988B1 (ko) 2023-12-20

Family

ID=6916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780A KR102615988B1 (ko) 2018-07-16 2019-07-16 항-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수용체(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뇌염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및 유도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228515A1 (ko)
EP (1) EP3823609A4 (ko)
JP (1) JP7121859B2 (ko)
KR (1) KR102615988B1 (ko)
CN (1) CN112437661A (ko)
AU (2) AU2019304850B2 (ko)
CA (1) CA3102371A1 (ko)
MY (1) MY195960A (ko)
TW (1) TWI726355B (ko)
WO (1) WO2020017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9354A (zh) * 2019-08-01 2022-06-07 阿普廷伊克斯股份有限公司 与nmda受体相互作用的抗体的水平升高相关性障碍的治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1992A1 (en) * 2013-05-28 2014-12-04 Sarah Herzog Memorial Hospital-Ezrath Nashim Autoimmune-induced glutamatergic receptor dysfunction methods and treat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1992A1 (en) * 2013-05-28 2014-12-04 Sarah Herzog Memorial Hospital-Ezrath Nashim Autoimmune-induced glutamatergic receptor dysfunction methods and trea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01030A1 (en) 2022-03-10
US20210228515A1 (en) 2021-07-29
EP3823609A4 (en) 2022-04-20
KR102615988B1 (ko) 2023-12-20
AU2019304850A1 (en) 2020-11-26
AU2019304850B2 (en) 2022-06-02
MY195960A (en) 2023-02-27
JP7121859B2 (ja) 2022-08-18
TWI726355B (zh) 2021-05-01
EP3823609A1 (en) 2021-05-26
JP2021530567A (ja) 2021-11-11
CN112437661A (zh) 2021-03-02
TW202011949A (zh) 2020-04-01
AU2022201030B2 (en) 2023-10-05
CA3102371A1 (en) 2020-01-23
WO2020017950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3685C (en) Application of r-ketamine and salt thereof as pharmaceuticals
ES2572811T3 (es) Mezclas de polipéptidos, composiciones que las contienen y procedimientos para obtener los mismos, y usos de los mismos
JP6938465B2 (ja) カンナビノイドとn−アシルエタノールアミンの組み合わせ
US20170360798A1 (en) Anavex2-73 and certain anticholinesterase inhibitors composition and method for neuroprotection
KR102403047B1 (ko) 중추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벤조에이트 화합물과 탄닌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040338A (ko) 다발경화증 치료용 조합 요법
JP2013527132A (ja) 中枢神経系(cns)の自己免疫性脱髄性疾患の治療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ジアゾキシド
KR20140121475A (ko) 특발성 염증성 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AU2022201030B2 (en) Benzoic acid or a salt and derivative thereof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encephalitis
JPWO2019241442A5 (ko)
EP2413970B1 (en) New therapeutic approaches for treating neuroinflammatory conditions
TWI686192B (zh) 含有鞣酸的組合物及其用途
US10716807B2 (en) Method of treating 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using arsenic trioxide
JPWO2021089678A5 (ko)
JPWO2019093262A1 (ja) 腸内環境制御による近視抑制
htS Reserved New Molecular Entities
WO201211094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de4 enzyme inhibitor revamilast and a disease modifying agent, preferably methotrexate
JP2013018729A (ja) アルツハイマー病治療剤の作用増強経口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