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780A -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780A
KR20210020780A KR1020200093771A KR20200093771A KR20210020780A KR 20210020780 A KR20210020780 A KR 20210020780A KR 1020200093771 A KR1020200093771 A KR 1020200093771A KR 20200093771 A KR20200093771 A KR 20200093771A KR 20210020780 A KR20210020780 A KR 20210020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rush
air
cleaner head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광
하동우
권기환
홍석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07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29712A1/en
Priority to EP20190989.2A priority patent/EP3777628B1/en
Priority to CN202010822473.5A priority patent/CN112386164A/zh
Priority to US16/993,481 priority patent/US11877715B2/en
Publication of KR2021002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80A/ko
Priority to US18/532,086 priority patent/US2024009952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Nozzles combined with a different cleaning side, e.g. duplex nozzles or dual purpos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 헤드가 개시된다. 본 청소기 헤드는 노즐, 노즐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케이스 및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외측면에 배치되어,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된 유로를 가지는 공기유로 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흡입 효율이 개선된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한 후, 집진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쌓인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청소기 헤드를 통해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다만, 청소기 헤드 자체의 외형 및 부피로 인해 벽면 모서리 부분에 대한 흡입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흡입 효율이 개선된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노즐, 상기 노즐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로 홈을 구비하는 청소기 헤드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 홈은, 제1 단면적을 가지고, 일단부가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배치된 제1 공기유로 홈 및 상기 제1 공기유로 홈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가지는 제2 공기유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유로 홈의 제2 폭은 상기 제1 공기유로 홈의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공기유로 홈에 인접할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브러시의 회전 축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의 외각 영역보다 전방으로 연장 배치된 차폐면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상기 공기유로 홈이 형성된 사이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면은 상기 브러시의 회전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청소기 헤드의 전방을 향해 가장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면은 상기 피청소면에 수직한 벽면과 면 접촉하도록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폐면은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된 제1 메인 케이스 및 상기 제1 메인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의 회전 축이 고정되는 고정 홀을 가지는 제2 메인 케이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고정 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메인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브러시의 노출된 영역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피청소면과 수직인 사이드 면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사이드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인접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brist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 홈의 일단부는 상기 솔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노즐; 상기 노즐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의 외주면보다 전방으로 연장된 차폐면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사이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상기 사이드 케이스 사이의 단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인접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솔을 따라 하부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하부 공기유로의 일측에 상기 하부 공기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서브 하부 공기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공기유로의 일측에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서브 공기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헤드가 전방 벽면과 측방 벽면을 포함하는 벽면 모서리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메인 케이스의 차폐면은 상기 전방 벽면과 접촉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사이드 면은 상기 측방 벽면과 접촉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상기 사이드 케이스 사이의 단차와 함께 상기 공기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가 위치한 피청소면과 상기 측방 벽면은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 및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과 함께 상기 하부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과 연결된 청소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는, 상기 노즐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헤드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접촉하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공기유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연결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사이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상기 사이드 케이스 사이의 단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 홈은, 제1 단면적을 가지고, 일단부가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배치된 제1 공기유로 홈 및 상기 제1 공기유로 홈과 연결되고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가지는 제2 공기유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공기유로 홈에 인접할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보다 전방으로 연장 배치된 차폐면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상기 공기유로 홈이 형성된 사이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면은 상기 브러시의 회전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청소기 헤드의 전방을 향해 가장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면은 상기 피청소면에 수직한 벽면과 면 접촉하도록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벽면 모서리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a는 도 7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의 공기유로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벽면 모서리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b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c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8d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진공 청소기(1)는 진공 청소기(1)의 먼지를 흡입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와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통(20)을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40),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S, 도 8 참조)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 청소기 헤드(100), 청소기 헤드(100)와 청소기 본체(40)를 연결시키는 노즐(1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40)는 구동부(30)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따라, 유선형 또는 무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0)가 케이블로 연결된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1)는 유선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30)가 케이블 없이 청소기 본체(40)에 내재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1)는 무선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아울러, 청소기 본체(4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먼지통(20)은 청소기 헤드(100)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통(20)은 청소기 본체(4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모터(미도시) 및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10)은 청소기 헤드(100)와 청소기 본체(40)를 연결시켜, 청소기 헤드(100)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청소기 본체(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즐(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100)는 피청소면 상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피청소면 상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청소기 헤드(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00)를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00)를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100)는 노즐(10)의 유입구(11) 측에 배치된 케이스(140) 및 케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10)는 케이스(14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브러시(110)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피청소면(S)의 먼지와 접착성이 높은 재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110)는 구동부(30)에 의해 먼지를 흡입함과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피청소면(S)에 쌓인 먼지를 노즐(10)의 유입구(11)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브러시(110)는 피청소면(S)에 쌓인 먼지를 스윕(sweep)할 수 있다.
브러시(11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브러시 드럼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110)의 회전 축(111)은 청소기 헤드(100)의 내장된 브러시 모터(113)의 모터축(113a)과 구동 벨트(11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 모터(113)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113a)의 구동력은 구동 벨트(112)를 통해 브러시(110)로 전달되며, 브러시(110)는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방향이란, 브러시(110)의 하부면이 노즐(10)의 유입구(11)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110)가 회전함에 따라 피청소면(S)의 먼지는 브러시(110)의 회전에 의해 유입구(11) 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케이스(140)는 청소기 헤드(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브러시(110)와 인접한 영역에 대해서만 외부와 연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해서만 외부와 연결되므로, 진공 청소기(1)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40)는 브러시(110)의 일부 외주면을 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케이스(140)는 브러시(110)의 하부 영역 및 유입구(11)와 인접한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된 브러시(110)의 하부 영역 및 유입구(11)의 인접한 영역과 접하는 피청소면(S)의 먼지를 유입구(11)로 흡입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40)는 브러시(110)와 연결되고 브러시(110)의 외각 영역보다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차폐면(121)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스(120) 및 메인 케이스(120)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공기유로 홈(131)이 형성된 사이드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20)와 사이드 케이스(130)의 구조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1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12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120)의 측면도이다.
메인 케이스(120)는 브러시(110)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된 제1 메인 케이스(120-1) 및 제1 메인 케이스(120-1)와 연결되고 브러시(110)의 회전 축(111)이 고정되는 고정 홀(123a)을 가지는 제2 메인 케이스(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케이스(120-1)는 청소기 헤드(10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브러시(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굴곡부(122), 노즐(10)과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123), 굴곡부(122)로부터 연장 형성된 차폐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122)는 브러시(110)의 외주면과 이격되며, 브러시(110)의 상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곡부(122)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회전하는 브러시(1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122)는 브러시(110)의 하부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브러시(110)의 하부 영역까지는 연장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케이스(120)의 전면으로 브러시(110)의 하부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노즐 연결부(123)는 케이스(140)와 노즐(10)을 연결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며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차폐면(121)은 굴곡부(122)로부터 브러시(11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면(121)은 브러시(110)의 회전 축(111)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케이스(140)에서 청소기 헤드(100)의 전방을 향해 가장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 헤드(100)가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는 경우, 청소기 헤드(100)의 차폐면(1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100)가 전방 벽면(Q2)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차폐면(121)이 제일 먼저 전방 벽면(Q2)과 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차폐면(121)은 피청소면(S)에 전방 벽면(Q2)과 면 접촉하도록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면(1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면(1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는 경우, 케이스(140)의 상부에 위치한 공기가 차폐면(121)을 통해 차폐면(121)의 하부 청소 영역(C, 도 8 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1)는 실질적으로 외부와 밀폐된 청소 영역(C)만의 먼지를 흡입함으로써 동일한 흡입력을 통해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1)는 청소 영역(C) 이외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면(121)은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면(1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는 경우, 청소 영역(C)의 실질적인 차폐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차폐면(121) 자체가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탄성력 있는 별도 부재가 차폐면(121)과 결합할 수도 있다.
제2 메인 케이스(120-2)는 청소기 헤드(10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제1 메인 케이스(120-1)는 청소기 헤드(100)의 상부면을 커버하고, 제2 메인 케이스(120-2)는 청소기 헤드(10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메인 케이스(120-2)는 브러시(110)의 회전 축(111)이 삽입되는 고정 홀(123a)과 브러시 모터(113)의 브러시 모터 축(113a)이 삽입되는 모터축 홀(12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메인 케이스(120-2)는 회전하는 브러시(110)의 회전 축(111)과 브러시 모터(113)의 브러시 모터 축(113a)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브러시(110)의 회전 축(111)과 브러시 모터(113)의 브러시 모터 축(113a)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 케이스(120-2)는 제2 메인 케이스(120-2)와 결합되는 사이드 케이스(130)와 함께, 구동 벨트(112)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구동 벨트(112)를 보호하고 이물질이 구동 벨트(1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메인 케이스(120-2)는 제1 메인 케이스(12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케이스(120-1)와 제2 메인 케이스(120-2)는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은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1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130)의 사시도이다.
사이드 케이스(130)는 고정 홀(123a)을 커버하도록 제2 메인 케이스(120-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케이스(130)는 제2 메인 케이스(120-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고정 홀(123a)과 모터축 홀(123b)을 커버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케이스(130)는 청소기 헤드(1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케이스(130)의 연결부(133)를 통해 제2 메인 케이스(120-2)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케이스(130)는 사이드 케이스(13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케이스(140)의 일측면(131b)으로부터 피청소면(S)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된 유로를 가지는 공기유로 홈(131)과 피청소면(S)과 수직인 사이드 면(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40)의 일측면(131b)이란, 케이스(140)의 측면과 상면이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이드 면(132)은 측방 벽면(Q1)과 접촉하는 면이며,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면(132) 상에 공기유로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면(132)이 측방 벽면(Q1)과 접촉하는 경우, 케이스(140)의 외부의 공기는 사이드 면(132) 상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며, 공기유로 홈(131)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면(132)이 측방 벽면(Q1)과 접촉하는 경우 공기유로 홈(131)과 측방 벽면(Q1)으로 둘러싸이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면(132)은 청소기 헤드(100)가 측방 벽면(Q1)과 접촉하는 경우, 청소기 헤드(100)와 측방 벽면(Q1)의 면 접촉을 통해 공기유로 홈(131)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유로 홈(131)은 사이드 케이스(13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일단부(131a)가 피청소면(S)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부(131b)가 케이스(140)의 일측면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유로 홈(131)은 사이드 케이스(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의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타단부(131b)는 케이스(140)의 일측면과 동일하게 지칭될 수 있다.
아울러, 타단부(131b)는 케이스(140)의 가장자리의 다양한 위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로 홈(131)은 노즐(10)의 흡입력을 통해 케이스(140)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청소 영역(C)으로 유입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다(blowing).
아울러, 공기유로 홈(131)은 제1 단면적을 가지고 일단부(131a)가 피청소면(S)을 향해 배치된 제1 공기유로 홈(131-1) 및 제1 공기유로 홈(131-1)과 연결되고 케이스의 일측면(131b) 방향을 향해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가지는 제2 공기유로 홈(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공기유로 홈(131-1)과 제2 공기유로 홈(131-2)은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면적은 제1 공기유로 홈(131-1)의 홈의 단면적을 의미하며, 제1 폭(w1)과 제1 깊이(t1)로 형성된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단면적은 제2 공기유로 홈(131-2)의 홈의 단면적을 의미하며 제2 폭(w2)과 제2 깊이(t2)로 형성된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유로 홈(131-2)의 제2 폭(w2)은 제1 공기유로 홈(131-1)의 제1 폭(w1)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제2 공기유로 홈(131-2)은 케이스(140)의 일측면(131b)에서 제1 공기유로 홈(131-1)에 인접할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40)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제2 단면적을 가지는 제2 공기유로 홈(131-2)의 이동하는 공기는, 제2 단면적보다 작은 제1 단면적을 가지는 제1 공기유로 홈(131-1)을 통과하면서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1 공기유로 홈(131-1)의 일단부(131a)를 통과한 공기는 청소 영역(C)으로 빠르게 유동하게 되어, 청소 영역(C)을 불어주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 공기유로 홈(131-2)이 케이스(140)의 일측면(131b)에서 제1 공기유로 홈(131-1)에 인접할수록 폭이 작아지는 구조적 형상을 통해, 진공 청소기(1)의 동일한 흡입력으로도 케이스(140)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면 모서리에 인접하여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이 미치지 않는 청소 영역(C) 내의 먼지에 빠른 유속의 공기를 불어줄 수 있다. 이후, 청소 영역(C) 내의 먼지는 공기에 의해 청소 영역(C) 내부에서 비산되게 되며, 비산된 먼지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 및 브러시(110)를 통해 노즐(10)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로 홈(131)의 단면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공기유로 홈(131-1)과 제2 공기유로 홈(131-2)은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깊이(t1)와 제2 깊이(t2)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 깊이(t1)와 제2 깊이(t2)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로 홈(131)은 브러시(110)의 회전 축(111)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로 홈(131)은 브러시(110)의 노출된 영역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시(110)의 노출된 영역이란 케이스(140)에 의해 브러시(110)가 가려지지 않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로 홈(131)의 일단부(131a)가 브러시(110)의 전방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공기유로 홈(131)의 최단거리로 형성하여, 케이스(140)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마찰 등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유로 홈(131)은 사이드 면(132)이 측방 벽면(Q1)과 접촉했을 때에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면(132)이 측방 벽면(Q1)과 접촉하지 ?榜? 경우, 공기유로 홈(131)으로는 일정 이상의 속도를 가지는 유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로 홈(131)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청소기 헤드(100)가 배치된 경우에 작동하므로, 일반 평면을 청소하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6을 참조할 때, 사이드 케이스(130)는 브러시(110)와 인접하고 사이드 케이스(13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150, bristle)을 포함할 수 있다.
솔(150)은 피청소면(S)과 접촉하여 피청소면(S)에 쌓인 먼지를 쓸거나, 먼지를 솔(150)에 일차적으로 부착시킨 후, 부착된 먼지를 순차적으로 흡입함으로써, 진공 청소기(1)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솔(150)은 피청소면(S) 및 전방 벽면(Q2)과 접촉함으로써, 청소 영역(C)의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유로 홈(131)의 일단부(131a)는 솔(150)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솔(150)에 먼지가 부착되고 쌓이는 경우, 공기유로 홈(13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솔(150)에 부착된 먼지를 털어주고 청소 영역(C)으로 비산시킴으로써, 진공 청소기(1)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은 솔(150)은 피청소면(S)과 인접한 케이스(14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진공 청소기(1)의 청소 효율을 높이기 위한 솔(150)에 제한되지 않고, 청소 영역(C)의 차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탄성력 있는 재질, 플라스틱 사출물, 실링부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00) 및 진공 청소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가 벽면 모서리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a는 도 7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b는 도 7의 일부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A-A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의 청소기 헤드(100)는 벽면 모서리 부분의 청소를 위해 벽면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벽면 모서리 영역은 바닥인 피청소면(S), 측방 벽면(Q1) 및 전방 벽면(Q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측방 벽면(Q1)은 청소기 헤드(100)의 사이드 케이스(130)와 마주보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전방 벽면(Q2)은 차폐면(121)과 마주보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40)가 전방 벽면(Q2)에 접촉함으로써, 청소기 헤드(100)는 피청소면(S)과 전방 벽면(Q2) 사이의 공간인 청소 영역(C)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헤드(100)의 차폐면(1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함으로써, 케이스(140)의 외부 공기는 차폐면(121)을 통해 청소 영역(C)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이 케이스(140)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데 쓰이지 않고 청소 영역(C)의 먼지를 흡입하는 데 쓰이므로, 흡입력이 소모되지 않아 진공 청소기(1)의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케이스(130)는 측방 벽면(Q1)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케이스(130)의 사이드 면(132)은 측방 벽면(Q1)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40)의 외부의 공기는 사이드 케이스(130)의 사이드 면(132)을 통해서는 유입되지 않고, 사이드 케이스(130)에 형성된 공기유로 홈(131)을 통해서만 청소 영역(C)으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진공 청소기(1)가 작동됨에 따라,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에 의해, 케이스(140)의 외부의 공기는 공기유로 홈(1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40)의 외부의 공기는 제2 공기유로 홈(131-2)을 통해 제2 공기 흐름(P2)을 형성하게 되고, 제2 공기유로 홈(131-2)과 연결된 제1 공기유로 홈(131-1)을 통해 제1 공기 흐름(P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유로 홈(131-1)의 제1 단면적은 제2 공기유로 홈(131-2)의 제2 단면적보다 작으므로, 제1 공기 흐름(P1)의 유속은 제2 공기 흐름(P2)의 유속보다 빠를 수 있다.
이후, 제1 공기 흐름(P1)은 청소 영역(C)과 인접한 일단부(131a)를 통해 빠르게 이동하게 되는 제3 공기 흐름(P3)을 형성하게 되고, 제3 공기 흐름(P3)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쌓인 먼지들을 비산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된 먼지는 노즐(10)로 유입되는 제4 공기 흐름(P4)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벽면 모서리 영역의 먼지 제거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즉, 공기유로 홈(131)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브러시(110) 및 솔(150)이 쓸지(sweeping) 못하는 영역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청소기 헤드(100)의 케이스(14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공기유로 홈(131)의 폭이 피청소면(S)을 향해 좁아지는 구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공기유로 홈(13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로 홈은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130)의 공기유로 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유로 홈(131')은 케이스(140)(도 2 참조)의 일측면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공기유로 홈(131')은 사이드 케이스(130)의 측면에 케이스(140)의 일측면으로부터 피청소면(S)을 향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헤드(100)의 사이드 케이스(130)가 벽면 모서리의 측방 벽면(Q1)에 접촉하면, 공기유로 홈(131')은 측방 벽면(Q1)과 함께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게 되고, 케이스(140) 상측의 공기는 사이드 케이스(130)에 형성된 공기유로(131')를 통해 벽면 모서리 영역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벽면 모서리 영역에 존재하는 먼지가 비산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진공 청소기(1')는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와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통(20)을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40), 구동부(30)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S, 도 17 참조)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 청소기 헤드(200), 청소기 헤드(200)와 청소기 본체(40)를 연결시키는 노즐(1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40)는 구동부(30)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따라, 유선형 또는 무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0)가 케이블로 연결된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1')는 유선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가 케이블 없이 청소기 본체(40)에 내재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1')는 무선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4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먼지통(20)은 청소기 헤드(200)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통(20)은 청소기 본체(4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거된 먼지를 비우기 위해 청소기 본체(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모터(미도시) 및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10)은 청소기 헤드(200)와 청소기 본체(40)를 연결시켜, 청소기 헤드(200)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청소기 본체(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즐(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200)는 피청소면(S) 상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피청소면(S) 상에 존재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청소기 헤드(2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2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200)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200)는 노즐(10)의 유입구(11) 측에 배치된 케이스(240)와 케이스(2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210)는 케이스(24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브러시(210)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피청소면(S)의 먼지와 접착성이 높은 재질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으로 먼지를 흡입함과 동시에 브러시(210)가 회전함으로써, 피청소면(S)에 존재하는 먼지를 노즐(10)의 유입구(11)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브러시(210)는 피청소면(S)에 존재하는 먼지를 스윕(sweep)할 수 있다.
브러시(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브러시 드럼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은 청소기 헤드(200)의 내장된 브러시 모터(213)의 모터축(213a)과 구동 벨트(212) 및 풀리(214,21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 모터(213)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213a)의 구동력은 구동 벨트(212)와 풀리(214,215)를 통해 브러시(210)로 전달되고, 브러시(210)는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방향이란, 피청소면(S)과 접촉하는 브러시(210)의 하면이 노즐(10)의 유입구(11)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210)가 회전하면, 피청소면(S)에 있는 먼지는 브러시(210)의 회전에 의해 유입구(1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케이스(240)는 청소기 헤드(2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케이스(240)의 하부는 브러시(2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40)는 브러시(210)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시(210)의 하부 영역 및 유입구(11)와 인접한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케이스(240)의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된 브러시(210)의 하부 영역 및 유입구(11)에 인접한 영역과 접하는 피청소면(S)의 먼지는 유입구(11)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40)는 케이스(240) 전면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케이스(240)의 전면의 하단은 피청소면(S)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40)의 전면으로는 브러시(210)의 전면 영역의 아래 부분이 노출된다.
또한, 케이스(240)는 케이스(240) 전면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케이스(240)의 상면으로부터 케이스(240)의 하부, 즉 피청소면(S)을 향해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공기유로(20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40)의 전면이 벽면과 접촉할 경우, 외부의 공기는 케이스(240)의 공기유로(201)를 따라 피청소면(S)으로 흐를 수 있다.
케이스(240)는 브러시(210)와 연결되고 브러시(210)보다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차폐면(221)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스(220) 및 메인 케이스(220)에 설치되며 공기유로(201)를 형성하는 사이드 케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2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220)의 사시도이다.
메인 케이스(220)는 브러시(210)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마련된 제1 메인 케이스(220-1) 및 제1 메인 케이스(220-1)와 연결되고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이 삽입되는 고정 홀(223a)을 가지는 제2 메인 케이스(2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케이스(220-1)는 청소기 헤드(200)의 상면을 형성하며, 브러시(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굴곡부(222), 노즐(10)과 연결되는 노즐 연결부(223), 굴곡부(222)로부터 연장 형성된 차폐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222)는 브러시(210)의 외주면과 이격되며, 브러시(21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곡부(222)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회전하는 브러시(2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222)는 브러시(210)의 하부를 노출시키도록 브러시(210)의 하부 영역까지는 연장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노즐 연결부(223)는 케이스(240)와 노즐(1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노즐 연결부(223)는 케이스(240)와 노즐(10)을 연결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면(221)은 굴곡부(222)로부터 브러시(21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면(221)은 굴곡부(22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케이스(240)에서 청소기 헤드(200)의 전방을 향해 가장 돌출될 수 있다.
차폐면(221)의 하단은 대략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차폐면(221)의 아래는 개방되어 있어 브러시(210)의 하부가 노출된다. 즉, 청소기 헤드(200)의 전방에서 보면, 차폐면(221)의 아래로 브러시(210)의 전면의 하부 영역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210)의 전방에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청소기 헤드(200)가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는 경우, 청소기 헤드(200)의 차폐면(2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200)가 전방 벽면(Q2)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차폐면(221)이 제일 먼저 전방 벽면(Q2)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차폐면(221)은 전방 벽면(Q2)과 면 접촉하도록 일정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면(221)은 굴곡부(222)에 대응하는 길이와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면(2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는 경우, 케이스(240)의 상부에 위치한 공기가 차폐면(221)을 통해 차폐면(221) 아래의 청소 영역(C, 도 18a 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1')는 실질적으로 외부와 밀폐된 청소 영역(C)만의 먼지를 흡입함으로써 동일한 흡입력을 통해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청소기 헤드(200)는 청소 영역(C) 이외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진공 청소기(1')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면(221)은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면(2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는 경우, 청소 영역(C)의 실질적인 차폐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차폐면(221) 자체가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탄성력 있는 별도 부재가 차폐면(221)과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굴곡부(222)의 전단에 차폐면(221)이 별도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브러시(210)에 인접하는 굴곡부(222)의 전단이 전방 벽면(Q2)과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굴곡부(222)의 전단이 외부 공기를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메인 케이스(220-2)는 사이드 케이스(23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메인 케이스(220-1)의 하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인 케이스(220-1)는 청소기 헤드(200)의 상면을 형성하고, 제2 메인 케이스(220-2)는 사이드 케이스(2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메인 케이스(220-2)는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이 관통하는 관통공(223a)과 사이드 케이스(230)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225) 각각에는 암나사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케이스(230)는 제2 메인 케이스(220-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메인 케이스(220-2)는 제1 메인 케이스(22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 케이스(220-1)와 제2 메인 케이스(220-2)는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2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230)의 사시도이다.
사이드 케이스(230)는 제2 메인 케이스(220-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케이스(230)는 제2 메인 케이스(220-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230)는 제2 메인 케이스(220-2)에 고정되는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와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의 개구를 덮는 사이드 케이스 커버(23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는 제2 메인 케이스(220-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바닥면을 갖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면을 마주하는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의 내부 공간에는 풀리(214,215)와 구동 벨트(212)가 수용될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의 바닥면(230c)에는 제2 메인 케이스(220-2)의 관통공(223a)에 대응하며,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이 삽입되는 고정 홀(230a)과 브러시 모터(213)의 브러시 모터 축(213a)이 삽입되는 모터축 홀(230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케이스(230)는 회전하는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과 브러시 모터(213)의 브러시 모터 축(213a)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브러시(210)의 회전 축(211)과 브러시 모터(213)의 브러시 모터 축(213a)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는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에 결합되는 사이드 케이스 커버(230-2)와 함께, 풀리(214,215)와 구동 벨트(212)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풀리(214,215)와 구동 벨트(212)를 보호하고 이물질이 구동 벨트(21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의 상면의 일측에는 메인 케이스(220)의 굴곡부(222)가 결합되는 결합부(233)가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 커버(230-2)는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의 개구에 결합되어 사이드 케이스(230)를 형성하며, 사이드 케이스 몸체(230-1)의 내부 공간을 보호한다.
청소기 헤드(200)의 반대 측면에 사이드 케이스(230')가 설치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200)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사이드 케이스(230')는 도 16에 도시된 사이드 케이스(230)와 대칭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풀리와 구동 벨트가 설치되지 않는다.
사이드 케이스(230)가 메인 케이스(220)에 설치되면, 사이드 케이스(230)는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케이스(230)가 메인 케이스(220)의 일측에 고정된 경우, 메인 케이스(220)의 굴곡부(222)와 차폐면(221)이 사이드 케이스(2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사이드 케이스(230)는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 즉 굴곡부(222) 및 차폐면(221)과 단차를 형성한다.
사이드 케이스(230)와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 사이의 단차는 메인 케이스(220) 상부의 공기가 아래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유로(201)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200)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여,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고 사이드 케이스(230)가 측방 벽면(Q1)과 접촉하면, 사이드 케이스(230)는 전방 벽면(Q2)과 이격되고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의 측단(222a)은 측방 벽면(Q1)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기유로(201)를 형성한다.
사이드 케이스(230)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며,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이격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공기안내 면(231)과 피청소면(S)과 수직인 사이드 면(23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면(232)은 측방 벽면(Q1)과 접촉하는 면이며,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면(232)이 측방 벽면(Q1)과 접촉하는 경우, 케이스(240)의 외부의 공기는 사이드 면(232)과 측방 벽면(Q1) 사이로는 이동할 수 없으며, 사이드 케이스(230)의 공기안내 면(231)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다.
공기안내 면(231)은 사이드 케이스(230)의 전면으로 형성되며,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공기안내 면(231)은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 즉 굴곡부(222)의 일측단(222a)과 함께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20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케이스(230)의 전면(231)과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 사이의 단차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에 의해 케이스(24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청소 영역(C)으로 유입된 공기를 불어줄 수 있다(blowing).
이에 따라, 벽면 모서리에 인접하여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이 미치지 않는 청소 영역(C)의 먼지에 빠른 유속의 공기를 불어줄 수 있다. 그러면, 청소 영역(C)의 먼지는 공기유로(201)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청소 영역(C)에서 비산되게 되며, 비산된 먼지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 및 브러시(210)를 통해 노즐(10)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케이스(230)는 공기유로(201)의 일측에 형성되는 서브 공기유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공기유로(202)는 사이드 면(2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사이드 단차부(234)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이드 케이스(230)의 공기안내 면(231)과 사이드 면(232) 사이에 사이드 단차부(234)를 형성하면, 사이드 단차부(234)가 케이스(240) 상부의 공기를 청소기 헤드(200)의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서브 공기유로(20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케이스(230)에 사이드 단차부(234)를 형성하면, 청소기 헤드(200)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위치할 경우, 사이드 단차부(234)는 측방 벽면(Q1)과 함께 공기가 통과하는 서브 공기유로(202)를 형성할 수 있다(도 18b 참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유로(201)는 메인 케이스(220)의 차폐면(2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고 사이드 케이스(230)의 사이드 면(232)이 측방 벽면(Q1)과 접촉했을 때에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케이스(220)의 차폐면(221)과 사이드 케이스(230)의 사이드 면(232)이 전방 벽면(Q2) 및 측방 벽면(Q1)과 접촉하지 ?榜? 경우, 사이드 케이스(230)의 공기안내 면(231)과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의 일측단(222a)에 의해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20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로(201)는 벽면 모서리 영역에 청소기 헤드(200)가 위치한 경우에 작동하므로, 일반적인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케이스(240) 전면의 양측단에 마련된 공기유로(201)에 의해 진공 청소기(1')의 흡입 효율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사이드 케이스(230)는 브러시(210)와 인접하고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을 따라 배치된 솔(250, bristle)을 포함할 수 있다.
솔(250)은 피청소면(S)과 접촉하여 피청소면(S)에 쌓인 먼지를 쓸거나, 먼지를 솔(250)에 일차적으로 부착시킨 후, 부착된 먼지가 진공 청소기(1')에 순차적으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진공 청소기(1')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250)은 피청소면(S)과 인접한 케이스(24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솔(250)은 솔(250)의 전단이 사이드 케이스(230)의 전면의 공기유로(201)를 따라 청소 영역(C)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솔(250)의 전단 부분에 부착된 먼지는 공기유로(201)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솔(250)은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의 일부와 솔(250)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단차가 하부 공기유로(20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에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250)에 의해 하부 공기유로(203)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230)의 사이드 면(232)이 측방 벽면(Q1)에 접촉하는 경우에, 솔(250)과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 사이의 하부 단차가 측방 벽면(Q1) 및 피청소면(S)과 함께 외부 공기가 흐르는 공기 통로 즉, 하부 공기유로(203)를 형성한다(도 18c 참조).
따라서, 진공 청소기(1')가 작동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외부 공기는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해 벽면 모서리로 흐르게 된다. 이때, 하부 공기유로(203)는 단면적이 작으므로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서 벽면 모서리 영역에 있는 먼지를 불어 날릴 수 있다. 또한,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과하는 공기는 솔(25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케이스(230)는 하부 공기유로(203)의 일측에 형성되는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는 사이드 면(232)의 하단(232b)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과 사이드 면(232)의 하단(232b) 사이에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를 형성하면,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가 청소기 헤드(200) 후방의 공기를 청소기 헤드(200)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케이스(230)에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를 형성하면, 청소기 헤드(200)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위치할 경우,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는 측방 벽면(Q1) 및 피청소면(S)과 함께 공기가 통과하는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케이스(230)에 하부 공기유로(203)의 일측으로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를 형성하면, 청소기 헤드(200) 후방으로부터 청소기 헤드(200) 전방의 청소 영역(C)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1')가 벽면 모서리의 청소 영역(C)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서브 공기유로(202)와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사이드 면(232)의 둘레를 따라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면(232)의 하단(232b)에 형성되는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와 사이드 면(232)의 전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단차부(23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면(232)은 사이드 케이스(230)의 외주면의 일 측단에서 일정 높이(h)로 돌출되는 형상이 된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솔(250)이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경우에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의 일부와 솔(250)이 하부 공기유로(203)를 형성하고, 사이드 면(232)의 하단(232b)과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 사이에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를 형성하여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솔(250)은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의 가장자리와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과 솔(250)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고,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과 사이드 면(232)의 하단(232b) 사이에만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가 형성된다. 그러면, 하부 사이드 단차부(237)가 청소기 헤드(200) 후방의 공기를 청소기 헤드(200)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하부 공기유로(203)로 작용할 수 있다.
솔(250)은 진공 청소기(1')의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솔(250)은 청소기 헤드(200)의 차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탄성력 있는 재질, 플라스틱 사출물, 실링부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200)와 진공 청소기(1')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가 벽면 모서리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a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8b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c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후면도이고, 도 18d는 도 17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의 청소기 헤드(200)는 벽면 모서리의 청소를 위해 벽면 모서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벽면 모서리 영역은 바닥인 피청소면(S), 측방 벽면(Q1) 및 전방 벽면(Q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측방 벽면(Q1)은 청소기 헤드(200)의 사이드 케이스(230)와 마주보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전방 벽면(Q2)은 차폐면(221)과 마주보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40)가 전방 벽면(Q2)에 접촉하면, 청소기 헤드(200)는 피청소면(S)과 전방 벽면(Q2) 사이의 공간인 청소 영역(C)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헤드(200)의 차폐면(221)이 전방 벽면(Q2)과 접촉하면, 케이스(240)의 외부 공기는 차폐면(221)을 통해 청소 영역(C)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이 케이스(240)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데 쓰이지 않고 청소 영역(C)의 먼지를 흡입하는 데 쓰이므로, 흡입력이 소모되지 않아 진공 청소기(1')의 흡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케이스(230)는 측방 벽면(Q1)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케이스(230)의 사이드 면(232)은 측방 벽면(Q1)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240)의 외부의 공기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사이드 면(232)을 통해서는 유입되지 않고, 사이드 케이스(230)에 형성된 공기유로(201)를 통해서만 청소 영역(C)으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모서리 영역에 위치한 진공 청소기(1')가 작동할 때 발생되는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에 의해, 케이스(240)의 상부의 공기는 공기유로(231)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240)의 상부의 공기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공기안내 면(231), 메인 케이스(220)의 전면의 일 측단(222a), 전방 벽면(Q2), 및 측방 벽면(Q1)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로(201)를 통해 케이스(240)의 상부에서 피청소면(S)을 향해 이동하는 제1공기 흐름(R1)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케이스(230)에 서브 공기유로(202)가 형성된 경우에는 케이스(240) 상부의 공기는 서브 공기유로(202)를 통해서도 피청소면(S)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로(201)의 단면적은 매우 작으므로 공기유로(201)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유속은 빠르게 된다.
이후, 공기유로(201)를 통과한 공기 흐름(R1)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있는 먼지들을 비산 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1')가 작동하면,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에 의해 청소기 헤드(200) 후방의 공기는 하부 공기유로(203)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200) 후방의 공기는 사이드 케이스(230)의 하면(236), 솔(250)의 측면, 측방 벽면(Q1), 및 피청소면(S)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해 청소기 헤드(20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 벽면(Q2)을 향해 이동하는 제2공기 흐름(R2)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케이스(230)에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가 형성된 경우에는 청소기 헤드(200) 후방의 공기는 서브 하부 공기유로(204)를 통해서도 전방 벽면(Q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하부 공기유로(203)의 단면적은 작으므로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유속은 빠르게 된다.
따라서, 벽면 모서리 영역에 있는 먼지들은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과한 공기 흐름(R2)에 의해서도 비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R2)은 솔(25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여 청소 영역(C)으로 비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로(201)와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과한 공기 흐름(R1, R2)에 의해 비산된 먼지는 노즐(10)로 흡입되는 공기 흐름(R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기 헤드(200)의 공기유로(201)와 하부 공기유로(203)는 벽면 모서리 영역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공기유로(201)와 하부 공기유로(203)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브러시(210) 및 솔(250)이 쓸지(sweeping) 못하는 영역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 헤드(200)는 벽면 모서리 영역에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1': 진공 청소기 10: 노즐
20: 먼지통 30: 구동부
40: 청소기 본체 100, 200: 청소기 헤드
110, 210: 브러시 120, 220: 메인 케이스
121, 221: 차폐면 130, 230: 사이드 케이스
131: 공기유로 홈 201; 공기유로
202; 서브 공기유로 203; 하부 공기유로
204; 서브 하부 공기유로

Claims (23)

  1. 노즐;
    상기 노즐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로 홈을 구비하는 청소기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청소기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홈은,
    제1 단면적을 가지고, 일단부가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배치된 제1 공기유로 홈; 및
    상기 제1 공기유로 홈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가지는 제2 공기유로 홈;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공기유로 홈에 인접할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청소기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청소기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브러시의 회전 축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청소기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의 외각 영역보다 전방으로 연장 배치된 차폐면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상기 공기유로 홈이 형성된 사이드 케이스;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면은 상기 브러시의 회전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청소기 헤드의 전방을 향해 가장 돌출 배치된 청소기 헤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된 제1 메인 케이스; 및
    상기 제1 메인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의 회전 축이 고정되는 고정 홀을 가지는 제2 메인 케이스;를 가지는 청소기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고정 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메인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브러시의 노출된 영역을 향해 형성된 청소기 헤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피청소면과 수직인 사이드 면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사이드 면 상에 형성된 청소기 헤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면이 벽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공기유로 홈과 상기 벽면으로 둘러싸이는 유로가 형성되는, 청소기 헤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인접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bristle)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4. 노즐;
    상기 노즐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공기유로;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의 외주면보다 전방으로 연장된 차폐면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사이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상기 사이드 케이스 사이의 단차로 형성되는 청소기 헤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인접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솔을 따라 하부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청소기 헤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하부 공기유로의 일측에 상기 하부 공기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서브 하부 공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공기유로의 일측에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서브 공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헤드가 전방 벽면과 측방 벽면을 포함하는 벽면 모서리에 접촉하였을 때,
    상기 메인 케이스의 차폐면은 상기 전방 벽면과 접촉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사이드 면은 상기 측방 벽면과 접촉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상기 사이드 케이스 사이의 단차와 함께 상기 공기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가 위치한 피청소면과 상기 측방 벽면은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솔 및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하면과 함께 상기 하부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청소기 헤드.
  20.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과 연결된 청소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는,
    상기 노즐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헤드가 벽면 모서리 영역에 접촉하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기가 흐르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공기유로 홈으로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홈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시와 연결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사이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전면과 상기 사이드 케이스 사이의 단차로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200093771A 2019-08-14 2020-07-28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20210020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0794 WO2021029712A1 (en) 2019-08-14 2020-08-13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20190989.2A EP3777628B1 (en) 2019-08-14 2020-08-13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202010822473.5A CN112386164A (zh) 2019-08-14 2020-08-14 吸尘器头以及包含该吸尘器头的真空吸尘器
US16/993,481 US11877715B2 (en) 2019-08-14 2020-08-14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18/532,086 US20240099526A1 (en) 2019-08-14 2023-12-07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9621 2019-08-14
KR1020190099621 2019-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80A true KR20210020780A (ko) 2021-02-24

Family

ID=7468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71A KR20210020780A (ko) 2019-08-14 2020-07-28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7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394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휴스톰 롤패드 회전형 무선 물걸레 청소기
WO2024034831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394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휴스톰 롤패드 회전형 무선 물걸레 청소기
WO2024034831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0780A (ko)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0357939B1 (ko) 전기청소기
JP5091981B2 (ja) 掃除機ヘッド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CN111685658B (zh) 电动扫除机及其吸入口体
US20240099526A1 (en)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80010725A (ko) 청소기
KR20100088360A (ko) 아지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200007832A (ko) 청소 롤러로부터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코밍 유닛을 구비한 청소기
KR101054999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06013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55910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55961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100059551A (ko)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2017060574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101055046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3421582B2 (ja) 電気掃除機
KR101300955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H07231866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0393578B1 (ko) 배기 환류식 진공청소기
KR20090109835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35467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JP2007111087A (ja) 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3135326A (ja) 掃除機の吸込口体
KR100393577B1 (ko) 배기 환류식 진공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