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514A -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514A
KR20210020514A KR1020190100037A KR20190100037A KR20210020514A KR 20210020514 A KR20210020514 A KR 20210020514A KR 1020190100037 A KR1020190100037 A KR 1020190100037A KR 20190100037 A KR20190100037 A KR 20190100037A KR 20210020514 A KR20210020514 A KR 20210020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ixing
plate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에스비엔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엔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엔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0514A/ko
Publication of KR2021002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삽입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과,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의 홈에 맞물리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A Flood Preventing Assembly for Door}
본 발명은 홍수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수시 도어 등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특정기간에 집중되는 많은 강우량은 침수피해를 동반한다. 특히, 지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공간에서는 공공배수시설이 수용하지 못한 다량의 우수 및 하수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침수에 의한 피해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피해발생을 막기 위해 국가적으로 배수량 증가를 위한 공공배수시설의 확충을 꾀하고 있지만, 이러한 확장사업은 초기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 쉽게 진행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그 실효성 또한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매년 침수피해가 빈번한 지역의 주택만 침수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를 낳았다.
특히, 건축물의 도어의 빈틈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물을 차단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529737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빈틈을 차단하여 외부의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삽입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과,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의 홈에 맞물리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판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평행한 두 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이 판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어용 홍수방지 시스템은, 상술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좌측 틈에 삽입되는 좌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우측 틈에 삽입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우측프레임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하단 틈에 삽입되는 하단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좌측고정바와, 상기 우측프레임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우측고정바와, 상기 하단프레임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하단고정바와,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의 각각의 고정바에 맞물려 각각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어의 빈틈에 맞물리는 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는 막대봉 사이에 장착되는 필름에 의하여 도어의 빈틈이 차단되어 외부의 물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막대봉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판(12)과, 상기 수평판(12)의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삽입판(14)과, 상기 수평판(12)의 상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10)과,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6)의 홈에 맞물리는 고정바(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에는 프레임(10)이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어(D)와 벽체(W)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수평판(12)이 마련된다. 상기 수평판(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12)은 상기 도어(D)와 벽체(W)를 동시에 접하여 도어(D)와 벽체(W)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판(12)에는 삽입판(14)이 마련된다. 상기 삽입판(14)은 상기 수평판(12)의 바닥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판(14)은 상기 도어(D)와 벽체(W)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도어(D)와 벽체(W)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판(14)은 상기 도어(D)와 벽체(W)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판(14)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평행한 두 개의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판(14)이 상기 도어(D)와 벽체(W)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판(14) 각각이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D)와 벽체(W)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10)이 아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판(14)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판들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판(14)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핀(미도시)을 다수개 형성시켜, 상기 도어(D)와 벽체(W)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는 고정판(16)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판(16)은 상기 수평판(12)의 상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6)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판(16)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1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바(20)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 결속되는 고정바(2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바(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레임(10)의 고정홈(17)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20)는 상기 프레임(10)에 결속되어 상기 고정바(20)와 프레임(10) 사이에 방수되는 시트부(30)가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실리콘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프레임(10)이 도어(D)와 벽체(W) 사이의 고정될 때, 보다 밀착력을 높여 방수가 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고정바(20)도 실리콘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어용 홍수방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벽체(W)와 도어(D)의 좌측 틈에 삽입되는 좌측프레임(10a)과, 상기 좌측프레임(10a) 조립체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벽체(W)와 도어(D)의 우측 틈에 삽입되는 우측프레임(10b)과, 상기 좌측프레임(10a) 조립체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벽체(W)와 도어(D)의 하단 틈에 삽입되는 하단프레임(10c)과, 상기 좌측프레임(10a)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좌측고정바(20a)와, 상기 우측프레임(10b)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우측고정바(20b)와, 상기 하단프레임(10c)의 고정호에 맞물리는 하단고정바(20c)와, 상기 좌측프레임(10a), 우측프레임(10b) 및 하단프레임(10c)의 각각의 고정바에 맞물려 각각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시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어용 홍수방지 시스템에는 좌측프레임(10a), 우측프레임(10b), 하단프레임(10c), 좌측고정바(20a), 우측고정바(20b), 하단고정바(20c)가 마련된다. 상기 각각의 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고정바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프레임(10a)은 도어(D)와 벽체(W)의 좌측 틈에, 상기 우측프레임(10b)은 도어(D)와 벽체(W)의 우측 틈에, 상기 하단프레임(10c)은 도어(D)와 벽체(W)의 하단 틈에 설치된다. 물론, 각각의 삽입판이 도어(D)와 벽체(W) 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도어용 홍수방지 시스템에는 시트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시트부(30)는 상기 좌측프레임(10a), 우측프레임(10b) 및 상기 하단프레임(10c) 전체를 도포하는 면적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부(30)는 방수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부(30)가 도포된 상기 좌측프레임(10a), 우측프레임(10b) 및 하단프레임(10c)에는 각각 좌측고정바(20a), 우측고정바(20b) 및 하단고정바(20c)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고정바를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하여 상기 시트부(30)가 상기 도어(D)와 벽체(W)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홍수방지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레임(10)의 삽입판(14)을 도어(D)와 벽체(W)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수평판(12)의 하면이 상기 도어(D)와 벽체(W)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좌측과 벽체 사이의 틈, 도어의 우측과 벽체 사이의 틈 및 도어의 하단과 벽체 사이의 틈 사이에 각각 좌측프레임(10a), 우측프레임(10b) 및 하단프레임(10c)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프레임(10a), 우측프레임(10b) 및 하단프레임(10c) 전면에 시트부(30)를 장착하고, 좌측고정바(20a), 우측고정바(20b) 및 하단고정바(20c)를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하여 상기 시트부(30)를 도어(D)와 벽체(W)의 전면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프레임 10a: 좌측프레임
10b: 우측프레임 10c: 하단프레임
12: 수평판 14: 삽입판
16: 고정판 17: 고정홈
20: 고정바 20a: 좌측고정바
20b: 우측고정바 20c: 하단고정바
30: 시트부 D: 도어
W: 벽체

Claims (5)

  1.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삽입판;
    상기 수평판의 상면의 중앙에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 및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의 홈에 맞물리는 고정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평행한 두 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이 판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5. 제 1항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좌측 틈에 삽입되는 좌측프레임;
    제 1항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우측 틈에 삽입되는 우측프레임;
    제 1항으로 구성되어 도어의 하단 틈에 삽입되는 하단프레임;
    상기 좌측프레임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좌측고정바;
    상기 우측프레임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우측고정바;
    상기 하단프레임의 고정홈에 맞물리는 하단고정바; 및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의 각각의 고정바에 맞물려 각각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시트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KR1020190100037A 2019-08-16 2019-08-16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KR20210020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37A KR20210020514A (ko) 2019-08-16 2019-08-16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37A KR20210020514A (ko) 2019-08-16 2019-08-16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14A true KR20210020514A (ko) 2021-02-24

Family

ID=7468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037A KR20210020514A (ko) 2019-08-16 2019-08-16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5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37B1 (ko) 2005-05-12 2005-11-23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37B1 (ko) 2005-05-12 2005-11-23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412084B2 (en) A flood barrier
US668153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water from entering a building
KR101450628B1 (ko) 단열 커튼월 창호 시스템
CA2579234A1 (en) Magnetically attachable window screen system
JP2016108897A (ja) 止水装置
JP63998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KR20210020514A (ko) 도어용 홍수방지 조립체
JP2006299574A (ja) 止水扉
US3638385A (en) Facade screen
GB2374891A (en) Flood barrier
KR100731773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1903532B1 (ko) 모듈 창호 시스템
JP2016156245A (ja) 路上排水溝装置
JP2013036203A (ja) 防水シートによる通路用止水装置
JP5747300B1 (ja) 溢水防止装置
KR20120055453A (ko)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GB2383071A (en) Flood barrier
KR101021648B1 (ko)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KR100519104B1 (ko) 하천바닥 생태계 보호를 위한 생태블럭
KR101331883B1 (ko) 벽체 개구부 보강용 플레이트
KR102645761B1 (ko) 차수 장치
KR101897590B1 (ko)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더블 월 피씨들의 시공구조
KR101373110B1 (ko) 조립식 빗물 재이용시설 및 그 설치방법
CN210342358U (zh) 一种不透风防水百叶幕墙系统
JP6499559B2 (ja) 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