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458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458A
KR20210020458A KR1020190099802A KR20190099802A KR20210020458A KR 20210020458 A KR20210020458 A KR 20210020458A KR 1020190099802 A KR1020190099802 A KR 1020190099802A KR 20190099802 A KR20190099802 A KR 20190099802A KR 20210020458 A KR20210020458 A KR 20210020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image
information
analysis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3361B1 (en
Inventor
나상민
오종현
조원주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원주
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원주, 오종현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61B1/en
Publication of KR2021002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06K9/00422
    • G06K9/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06K2209/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includes: a collector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user′s handwriting; and a firs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server, wherein the first terminal obtain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collector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server, and the first terminal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Description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and method{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체를 교정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 user's handwriting to be corrected.

근래 들어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기기 보급이 확대되면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손으로 글씨를 쓰는 기회가 줄어들어 점차 악필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비록 글씨를 연습하는 교재나 학원이 있기는 하지만 학습대상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기에 미흡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s the spread of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has increased, the opportunity to write by hand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bad writers is increasing rapidly. Although there are textbooks or academies that practice writing, they are insufficient to induce continuous interest in the learners.

최근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출현에 힘입어 악필을 교정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advent of multimedia devices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handwriting, a means to correct bad writing is being devis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2706호에는 글씨를 인식하고 주요 획에 대한 쓰기 연습을 일정 기간 동안 반복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인 다단계 훈련 방식으로 흥미를 유발하여 필적 개선에 기여하는 악필 교정 방법이 나타나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502706 discloses a method of correcting bad writing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handwriting by inducing interest in a systematic multi-level training metho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writing and repeating writing practice for a major strok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270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502706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필기에 대한 교정자의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llecting a user's handwriting in real time and providing the user with a map of a proofreader for handwrit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필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를 획득해서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llector for collecting handwriting information for a user's handwriting; A firs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server; wherein the first terminal obtain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collector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and the first terminal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제1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필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s first terminal and receives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user; It may include; a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은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와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당 소요 시간, 일일 연습 시간, 주간 연습 시간, 월간 연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매칭 정확도와 상기 시간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handwriting information of a user in real time; Analyzing the matching accuracy between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guide image; Analyzing tim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quired time per text image, daily practice time, weekly practice time, and monthly practice time;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analyzed matching accuracy and the time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은 수집된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는 수집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단계는,The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llection step of extracting a text image included in the collected handwriting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a previously stored guide image; A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total size and the partial size of the text image;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and the comparison step,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3차 영역은 상기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primary area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are measured, the secondary area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are measured, the third area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are measured, , The secondary region may have a size including the primary region, and the third region may have a size including the secondary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펜과 패턴이 인쇄된 용지를 이용하여 글씨 연습이 가능하므로, 실제 종이에 대고 글씨를 쓰는 환경이 그대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actice writing using a paper on which a pen and a pattern are printed, an environment in which writing is written on an actual paper can be provided as it is.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글씨의 필체(가이드 이미지)와 연습 글씨의 필체에 대한 일치율, 명료도, 속도 등이 단말기에서 감지되고 수치화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tch rate, clarity, speed, etc. between the handwriting (guide image) of the guide text and the handwriting of the practice text can be detected by the terminal, and the numerical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습 글씨의 필체가 교정자에게 전송되고,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교정자의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writing of the practice text is transmitted to the proofreader, and the user can receive the correction instruction of the proofreader through onl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3단계로 구분하고, 3단계로 구분된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이용해 사용자가 수기로 쓴 글씨 이미지에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분석 정확도의 개선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교정 방식 등의 제안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guide imag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analysis can be accurately performed on the handwritten text image by the user using the area of the guide image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improving the analysis accuracy, it is possible to propose a calibration method that is optimized for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분석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첨삭 정보가 표시된 제2 단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교정자가 개입된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terminal on which corr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showing a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involving a corrector.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nalyzing matching accurac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필체 교정 장치는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20),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0, a second terminal 20, and a server 100.

제1 단말기(10)는 필체 교정을 원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등의 통신 가능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0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mputer, used by a user who desires to correct handwriting.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00.

제2 단말기(20)는 사용자의 필체에 대한 첨삭 지도를 수행하는 교정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단말기(20)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는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 may be a terminal used by a proofreader who performs correction guidance on a user's handwriting. As an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puter, or the like. The second terminal 2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00.

서버(100)는 사용자의 필체를 교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각종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store various service information useful for correcting a user's handwriting and provide it to the first terminal 10.

일 예로, 서버(100)에는 글씨 쓰기 요령이 설명된 강의 자료가 마련될 수 있다. 해당 강의 자료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기(10)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글씨 쓰기 온라인 강좌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수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be provided with lecture material explaining how to write. The lecture material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may visually and aurally take an online writing course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필체 정보(11)를 수집하는 수집기(90)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 collector 90 for collecting handwriting information 11 on the user's handwriting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일 예로, 수집기(90)는 디지털 펜(93), 디지털 교재(91)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lector 90 may include a digital pen 93 and a digital teaching material 91.

디지털 펜(93)은 사용자가 손에 쥐고 글씨를 쓰는 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gital pen 9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en that the user holds in his hand and writes.

디지털 교재(91)는 디지털 펜(93)으로 글씨를 쓰는 종이 또는 책 또는 공책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가 펜 입력을 지원하는 경우, 디지털 교재(91)는 제1 단말기(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gital teaching material 9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aper, a book, or a notebook for writing with a digital pen 93. When the display of the first terminal 10 supports pen input, the digital textbook 9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terminal 10.

사용자가 디지털 교재(91)에 대고 디지털 펜(93)으로 쓴 글씨의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필체 정보(11)가 디지털 펜(93) 또는 디지털 교재(91)에서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필체 정보(11)의 생성을 위해 디지털 펜(93)과 디지털 교재(91)는 상호 작용해서 필체 정보(11)를 획득하는 정전식 터치 방식, 감압식 터치 방식, 와콤 EMR 터치 방식, 라이트 펜 방식(light pen detection), N 코드 방식, 닷 패턴 방식을 취할 수 있다.Handwriting information 11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f characters written by a user on the digital textbook 91 with the digital pen 93 may be acquired or generated from the digital pen 93 or the digital textbook 91. In order to generat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the digital pen 93 and the digital textbook 91 interact to obtain handwriting information 11 by a capacitive touch method, a pressure sensitive touch method, a Wacom EMR touch method, and a light pen method ( light pen detection), N code method, and dot pattern method.

디지털 펜(93) 또는 디지털 교재(91)는 필체 정보(11)를 제1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펜(93) 또는 디지털 교재(91)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1 단말기(10)와 통신하고, 제1 단말기(10)를 향해 필체 정보(11)를 무선 송신할 수 있다.The digital pen 93 or the digital textbook 91 may transmi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to the first terminal 10. For example, the digital pen 93 or the digital textbook 91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wirelessly transmit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to the first terminal 10.

이때, 제1 단말기(10)에는 필체 정보(11)가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자신이 쓴 글씨를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may be displayed as it is on the first terminal 10.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text written by the user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 directly.

제1 단말기(10)는 수집기(90)로부터 필체 정보(11)를 획득해서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0 may obta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from the collector 90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100.

제1 단말기(10)는 서버(100)로부터 필체 정보(11)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는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서버(100)에 의해 수행된 필체 정보(11)의 분석 결과를 포함하거나, 제1 단말기(10)의 교정자가 작성한 첨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0 may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from the server 100. The first terminal 10 may display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n analysis result of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performed by the server 100 or may include correction information written by a proofreader of the first terminal 10.

필체 정보(11)의 표시 및 피드백 정보의 표시를 위해 제1 단말기(10)에는 필체 정보(11)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display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and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that visually display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제2 단말기(20)는 서버(100)로부터 필체 정보(11)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 may receiv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from the server 100.

제2 단말기(20)는 필체 정보(11)에 대한 교정자의 첨삭이 이루어진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 may generate feedback information in which the corrector's correction has been made for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피드백 정보는 제2 단말기(20)에 의해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Feedback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by the second terminal 20.

서버(100)는 제2 단말기(20)로부터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피드백 정보의 수신 사실을 제1 단말기(10)에 알려줄 수 있다. 피드백 정보의 수신 사실은 단문 메시지, 이메일, 알람, 메신저의 형식 등으로 제1 단말기(10)에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수신 사실을 확인한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서버(100)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다운(수신)받을 수 있다.When the feedback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 the server 100 may inform the first terminal 10 of the recep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receipt of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terminal 10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email, alarm, or messenger. The user who confirms the reception can download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

피드백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자신의 필기에 대한 현재 수준, 잘못된 점 등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이용해서 다음 필기를 개선시킬 수 있다.The user who checks the feedback information can check the current level of his or her handwriting, what is wrong, and use the confirmation result to improve the next handwriting.

도 2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필체 교정 장치는 서버(100)를 나타낼 수 있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of FIG. 2 may represent the server 100.

서버(100)에는 제1 통신부(110), 관리 유니트(130), 제2 통신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 management unit 13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제1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제1 단말기(10)와 통신하고,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피드백 정보를 제1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s first terminal 10 and receive the user's handwriting information 11.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feedback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

관리 유니트(130)는 필체 정보(11)를 관리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130 may manag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제2 통신부(120)는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제2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교정자의 제2 단말기(20)와 통신하고, 필체 정보(11)에 대한 교정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the user's handwriting information 11 to the second terminal 2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proofreader's second terminal 20 and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proofreader for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관리 유니트(130)에는 필체 정보(11)를 관리하는 관리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A management unit 131 for manag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may be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130.

관리부(131)는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부(131)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필체 정보(11)가 수신되면, 설정 기간 전에 저장된 구 필체 정보(11)를 추출할 수 있다. 구 필체 정보(11)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로 제공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131 may store the user's handwriting information 11. Whe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he management unit 131 may extract the old handwriting information 11 stored before the set period. The old handwriting information 11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관리부(131)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글씨를 예전 글씨와 비교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해당 기회는 사용자의 필체 교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agement unit 131, the user may have an opportunity to compare his/her current text with the old text. This opportunity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user's handwriting correction.

관리 유니트(13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체 메뉴를 관리하는 메뉴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메뉴부(133)는 복수 종류의 서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뉴부(133)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서체를 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서체 중 자신이 원하는 서체 또는 자신에게 적합한 서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서체의 종류 선택에 도움이 되는 추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The management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 menu unit 133 for managing a font menu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The menu unit 133 may provide a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types of fonts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menu unit 133, the user can access various fonts. The user can select a font he or she wants from among a plurality of fonts or a font that suits them.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help the user in selecting the type of font.

일 예로, 메뉴부(133)는 선택 메뉴와 함께 각 서체의 숙달에 필요한 교정 시간 정보를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교정 시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자신의 학습 가능 기간을 고려해서 서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nu unit 133 may provide the first terminal 10 with correction time information necessary for mastery of each font along with a selection menu. The user who checks the correction time information can select the type of font in consideration of his or her study period.

관리 유니트(130)에는 필체 정보(11)를 분석하는 분석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An analysis unit 135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may be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130.

분석부(135)는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extract a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search for a guide image that matches the text image, and analyze the matching accuracy between the searched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도 8은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nalyzing matching accuracy.

분석부는 글자 한 개에 해당하는 하나의 글씨 이미지 또는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가 형성되는 하나의 칸을 생성할 수 있다. 소위, 모눈 종이에 형성된 사각형 칸마다 글자를 쓸 때, 글자가 써진 모눈 종이의 칸 전체가 분석부의 분석 대상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글씨 이미지(도 8의 '수강생 글씨')와 가이드 이미지(도 8의 '교재글씨')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폐곡선(도 8에서는 사각형) 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may generate one text image corresponding to one letter or one cell in which one guide image is formed. When writing a letter for each square formed on a so-called grid paper, the entire cell of the grid paper on which the letter is written can be the subject of analysis by the analysis unit. In other words, the text image ('student text' in FIG. 8) and the guide image ('textbook text' in FIG. 8) may be formed in a closed curve (rectangle in FIG. 8)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이때, 분석부는 한 개의 글자가 채워진 각 폐곡선 내부를 복수의 영역 칸(도 8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각 영역)으로 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alysis unit may divide the inside of each closed curve filled with one letter into a plurality of area cells (each area surrounded by a dotted line in FIG. 8 ).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1 흑백 비율이 정의되고, 상기 글씨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2 흑백 비율이 정의될 수 있다. 도 8의 글씨 '가' 중에서 모음 'ㅏ'의 우측 삐침 표시 일부가 표시된 영역 칸을 예로 들면, 교재글씨의 제1 흑백 비율은 20%이고, 수강생 글씨의 제2 흑백 비율은 80%일 수 있다.A first black and white ratio of each area cell with respect to the guide image may be defined, and a second black and white ratio of each area cell with respect to the text image may be defined. As an example of an area cell in which a part of the right beep mark of the vowel'ㅏ' is displayed among the letters'A' in FIG. 8, the first black and white ratio of the textbook text may be 20%, and the second black and white ratio of the student text may be 80%. .

흑백 비율은 각 영역 칸에서 글씨가 차지하는 면적을 '흑'으로 정의하고, 각 영역 칸에서 빈 영역 면적을 '백'을 정의했을 때, 영역 칸의 전체 면적에서 '흑'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백'의 면적에 대한 '흑'의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black and white ratio is defined as'black' as the area occupied by text in each area column, and when'white' is defined as the empty area area in each area column, it can represent the ratio of'black' to the total area of the area column. have. Alternatively, it may be defined as an area of'black' to an area of'white'.

분석부는 제1 흑백 비율과 제2 흑백 비율 간의 차이를 이용해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글씨 이미지의 일치 여부에 해당하는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may analyze a matching accuracy corresponding to whether the text image matches the guide image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lack and white ratio and the second black and white ratio.

분석부는 기설정된 단계별 설정 비율과 매칭 정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분석부는 비교 결과에 따라,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글씨 이미지의 일치 정도(레벨)를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부족', '매우 부족' 등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may compare a preset step-by-step setting ratio and matching accurac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analysis unit may display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level) of the text image with respect to the guide image such as'very good','good','normal','shortage','very insufficient', and the like.

분석부는 하나의 폐곡선에 포함된 모든 영역 칸마다 제1 흑백 비율과 제2 흑백 비율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글씨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may analyze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lack-and-white ratio and the second black-and-white ratio for all areas included in one closed curve, and analyze the matching accuracy of the corresponding tex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분석부(135)는 매칭 정확도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2, the analysis unit 135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matching accuracy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버(100)에서 제공한 내용을 따라 쓸 필요가 없이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내용을 이용해서 글씨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y perform writing practice using various contents desired by the user without having to follow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server 100.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의 필체 정보(11)의 내용을 사전에 사용자와 협의할 필요가 없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rver 100 does not need to consult with the user in advance on the content of the user's handwriting information 11.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집기(90)를 이용해서 임의로 '오늘의 글씨 연습'이라고 글씨를 쓴 경우, 해당 필체 정보(11)는 서버(100)로 입수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필체 정보(11)가 '오늘의 글씨 연습'의 내용인지 전혀 모르는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arbitrarily writes'today's writing practice' using the collector 90,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may be obtained from the server 100. In this case, the server 100 may be in a state of not knowing at all whether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is the content of'today's writing practice'.

사용자의 필기 '오늘의 글씨 연습'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100)는 '오늘의 글씨 연습'에 포함된 각 글자(글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추출된 글자와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는 사용자가 추종해야 할 모범 글씨에 해당될 수 있다. 서버(100)는 검색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의 매칭도를 분석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nalyze the user's handwriting'today's writing practice', the server 100 may extract each character (text image) included in the'today's writing practice'. The server 100 may search a guide image matching the extracted characters from the database. The guide image may correspond to exemplary text that the user should follow.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matching degree between the searched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and provide it to the user.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관리 유니트(130)에 따르면, 사용자는 임의의 내용을 필기할 수 있는 자유 환경에서 교정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agement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user can perform calibration practice in a free environment in which arbitrary content can be written.

사전에 약속된 내용을 필기하는 약속 환경이 일부 필요할 수도 있다. 약속 환경의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가 쓴 글씨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You may need a part of an appointment environment where you can take notes on the promised contents in advance. In the case of an appointment environment, the server 100 does not need to search for a guide image matching the text written by the user. Because I already know.

일 예로, 필체 교정 초기 단계에서는 디지털 교재(91)에 표시된 가이드 이미지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필기 연습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교재(91)에서 제공되는 내용대로 필기하는 약속 환경에서 글씨를 연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교재(91)에 표시되는 가이드 이미지는 서버(100), 제1 단말기(10)를 순서대로 거쳐 디지털 교재(91)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숙달로 인해 빈 여백에 글씨를 쓰는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도 필체 정보(11)와 가이드 이미지 간의 용이한 매칭도 분석을 위해 약속 환경이 요구된다면, 자유도의 제한으로 인해 글씨 연습에 대한 흥미가 대폭 감소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nitial stage of handwriting correction, handwriting practice may be performed while following the guide image displayed on the digital textbook 91 as it is. In this case, the user can practice writing in an appointment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takes notes according to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digital textbook 91. In this case, the guide image displayed on the digital textbook 91 may be provided as the digital textbook 91 through the server 100 and the first terminal 10 in order. Even if the user enters the stage of writing in the blank space due to the user's mastery, if an appointment environment is required for easy matching betwee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and the guide image, there is an interest in writing practic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egree of freedom. It can be greatly reduc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로부터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는 구성,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는 구성을 통해 자유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ree environment may be provided through a configuration of extracting a text image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of a user and a configuration of searching for a guide image matching the text image.

한편, 필체 정보(11)로부터 추출된 글씨 이미지의 크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글씨 이미지는 가이드 이미지와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크기가 서로 다른 상태에서 매칭도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불합리하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text image extracted from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may vary greatly. Therefore, the text image may have different sizes from the guide image, and it is unreasonable to analyze the matching degree in different sizes.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의 크기가 동일해지면, 분석부(135)는 둘 간의 매칭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1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enlarge or reduce at least one of the text image and the guide image so that the text image and the guide image have the same size. When the sizes of the text image and the guide image become the same, the analysis unit 135 may analyze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two and provide the analysis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10.

한편, 분석부(135)는 크기가 동일해진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가 겹쳐진 중복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110)는 중복 이미지를 제1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analysis unit 135 may generate a duplicate image in which the guide image having the same size and the text image overlap.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duplicate image to the first terminal 10.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중복 이미지를 보고, 자신의 글씨와 가이드 이미지 간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user can see the duplicate image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 and intuitively grasp the difference between his own writing and the guide image.

중복 이미지의 확인을 통해 필체 교정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중복 이미지에 포함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help correct handwriting by checking the duplicate images, it is better to visually distinguish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duplicate image.

중복 이미지의 상태에서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의 조작은 가이드 이미지의 원본 또는 글씨 이미지의 원본을 변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원본의 변형은 외곽선 굵기, 외곽선 종류, 글씨 색깔,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manipulate at least one of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so that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can be distinguished in the state of the duplicate image. The manipulation at this time may be to transform the original guide image or the original text image. Th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may be performe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an outline thickness, an outline type, a text color, and a transparency.

매칭도는 글씨 이미지가 가이드 이미지와 얼마나 비슷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필체 교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매칭도 정보는 세분화될 수 있다.The matching degree can indicate how similar the text image is to the guide image. At this time, the matching degree information may be subdivid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handwriting correction to the user.

세분화된 매칭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전체 크기는 글씨 전체의 길이, 폭, 면적을 나타내거나, 글씨의 외곽선에 내접하는 가상의 폐곡선의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 크기는 하나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의 크기(길이, 폭, 면적), 자음의 크기(길이, 폭, 면적 중 적어도 하나), 자음과 모음 간의 간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detailed matching degree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135 may recognize the total size and the partial size of the text image. The total size may indicate the length, width, and area of the entire text, or may include an area of an imaginary closed curve inscribed with the outline of the text. The partial size may include the size of a vowel included in one character (length, width, area), the size of a consonant (at least one of length, width, and area), a spacing between a consonant and a vowel, and the like.

분석부(135)는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의 비교 대상이 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extract, from the database, a guide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text image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전체에 전체 크기가 매칭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가이드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 부분 크기가 매칭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change the text image or the guide image so that the entire size of the guide image is matched, or change the text image or the guide image so that the partial size of the guide image is matched.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의 변경이 완료된 상태에서 글씨 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크기로 설정하고, 복수 크기의 영역을 이용해서 글씨 이미지의 미도달 범위, 적정 범위, 초과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compare the text image and the guide image in a state in which the text image or the guide image has been changed. Specifically, the analysis unit 135 may set the area of the guide image to a plurality of sizes, and measure at least one of an unreachable range, an appropriate range, and an excess range of the text image by using the plurality of sizes.

도 3은 분석부(135)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135.

분석부(135)는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operate in a first mode, a second mode, and a third mode.

제1 모드는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first mode may be a mode for measuring a primary area of a guide image and a range of a text image.

제2 모드는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second mode may be a mode for measuring a second area of the guide image and a range of a text image.

제3 모드는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third mode may be a mode for measuring a third area of the guide image and a range of a text image.

2차 영역은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3차 영역은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ary region may have a size including the primary region, and the third region may have a size including the secondary region.

도 3과 같이 1차 영역은 가이드 이미지의 미도달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1차 영역은 크기 조절 단계가 완료된 후의 가이드 이미지 자체를 나타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imary region may represent a range of the guide image not reached. The primary area may represent the guide image itself after the resizing step is completed.

제1 모드는 필체 정보(11)가 가이드 이미지의 자음, 모음의 크기에 미도달하는지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차 영역의 측정 결과는 사용자가 권장 사항보다 획을 짧게 쓰거나 얇게 쓰는 글자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mode may be used to measure whether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does not reach the size of a consonant or vowel of a guide image.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imary area can be used to identify characters that the user writes shorter or thinner than the recommendation.

2차 영역은 가이드 이미지의 적정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2차 영역 내에 사용자가 쓴 글자의 획들이 포함되면 사용자의 필체 정보(11)가 가이드 이미지에 매칭되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The secondary area may represent an appropriate range of the guide image. When the strokes of the characters written by the user are included in the secondary area, it may be analyzed that the user's handwriting information 11 matches the guide image.

3차 영역은 가이드 이미지의 초과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3차 영역은 소위 넘지 말아야 할 경계선을 규정한 것일 수 있다. 2차 영역을 초과한 순간부터 분석부(135)는 사용자가 해당 글자의 획을 권장 사항보다 길거나 굵게 쓰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해당 초과분이 3차 영역을 넘게 되면, 분석부(135)는 해당 부분에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해당 태그는 그래픽적으로 사용자에 돋보이게 표시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태그는 매칭도를 대폭 저하시키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The tertiary region may represent an excess range of the guide image. The tertiary area may be what defines the so-called boundaries that should not be crossed. From the moment when the second area is exceeded, the analysis unit 135 may analyze that the user writes a stroke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longer or thicker than the recommended recommendation. When the excess amount exceeds the third area, the analysis unit 135 may set a tag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arts in the corresponding part. The tag can be used to graphically display prominently to the user. In addition, the tag can act as a factor that significantly lowers the degree of match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3차 영역이 가장 크고, 1차 영역이 가장 작고, 2차 영역이 가운데 크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일반적인 확대 또는 축소와는 다른 개념임을 환기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tertiary region is the largest, the primary region is the smallest, and the secondary region has a center size. At this time, it is reminded that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are different from general expansion or reduction.

학대 또는 축소는 글자를 형성하는 획의 길이, 폭 뿐만 아니라, 원본 대비 획의 중심 간의 간격이 변화되고 획의 중심 위치 역시 변화된다.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획의 길이, 폭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면에서 확대/축소와 일부 유사하다. 그러나,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획의 중심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획의 중심 위치 역시 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Abuse or reduction changes not only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trokes forming the letters, but also the spacing between the centers of the strokes compared to the original,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strokes.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areas are somewhat similar to zooming in that the length and width of a stroke increase or decrease. However,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may have a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centers of the strokes. In addition, the center position of the stroke may also be fixed in one place.

그 결과, 1차 영역, 2차 영역, 3차 영역은 크고 작은 관계는 있지만, 서로 그대로 포개어질 수 있다.As a result, although the primary region, the secondary region, and the third region have a large and small relationship, they can be superimposed on each other.

도 4는 첨삭 정보가 표시된 제2 단말기(2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terminal 20 on which corr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제1 단말기(10)에 의해 서버(100)에 업로드된 필체 정보(11)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서버(100)에 의해 교정자의 제2 단말기(20)로 제공될 수 있다.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uploaded to the server 100 by the first terminal 10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terminal 20 of the proofreader by a user's request or the server 100.

교정자는 제2 단말기(20)를 통해 표시되는 필체 정보(11)를 확인하고, 스타일러스 펜 등의 교정 펜(29)을 이용해서 필체 정보(11) 상에 첨삭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첨삭 정보가 추가된 필체 정보(11)는 피드백 정보가 되고, 제2 단말기(20)에 의해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첨삭 정보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는 서버(100)에 의해 제1 단말기(10)로 송신될 수 있다.The proofreader can check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terminal 20 and add correction information 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using a correction pen 29 such as a stylus pe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to which correction information has been added becomes feedback information,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by the second terminal 20.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corre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 by the server 100.

한편, 첨삭을 통해 학습 효과 개선을 위해 분석부(135)는 피드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Meanwhile, the analysis unit 135 may analyze the feedback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correction.

피드백 정보에는 교정자의 필체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필체는 필체 정보(11)에 대한 첨삭 과정에서 추가된 것일 수 있다.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the proofreader's handwriting. The handwriting may be added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분석부(135)는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사용자의 필체와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교정자의 필체를 비교하고, 필체 비교 결과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135)의 피드백 정보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의 글씨와 교정자의 글씨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compare a user's handwriting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with a proofreader's handwriting included i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generate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a handwriting comparison result. Feedback information of the analysis unit 135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 may have an opportunity to compare his/her own writing and the proofreader's writing.

도 5는 본 발명의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의 필체 교정 방법은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100.

서버(100)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필체 정보(11)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S 510).The server 100 may collect the user's handwriting information 11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S510).

서버(100)는 관리 유니트(130)의 분석부(135)를 통해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와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다(S 520). 매칭 정확도는 빈도 단위, 예를 들어 퍼센트(%)로 수치화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matching accuracy between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11 and the previously stored guide image through the analysis unit 135 of the management unit 130 (S520 ). Matching accuracy can be quantified in units of frequency, for example, in percent (%).

분석부(135)는 추가로 글씨 이미지당 소요 시간, 일일 연습 시간, 주간 연습 시간, 월간 연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 530).The analysis unit 135 may additionally analyz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ime required per character image, daily practice time, weekly practice time, and monthly practice time (S530).

서버(100)는 분석된 매칭 정확도와 상기 시간 정보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1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 540).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analyzed matching accuracy and the time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S54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의 필체 교정 방법 역시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6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of FIG. 6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server 100.

서버(100)의 분석부(135)는 수집된 필체 정보(11)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수집 단계 S 610)).The analysis unit 135 of the server 100 may extract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collected handwriting information 11 and search for a previously stored guide image (collection step S610).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인식 단계 S 620). 필요한 경우, 분석부(135)는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와 가이드 이미지의 전체 크기가 일치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축소/확대할 수 있다. 또는 분석부(135)는 글자에 포함된 특정 획, 자음, 모음 중 하나의 크기(부분 크기)와 가이드 이미비의 부분 크기가 일치하도록, 글씨 이미지 또는 가이드 이미지를 축소/확대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5 may recognize the total size and the partial size of the text image (recognition step S620). If necessary, the analysis unit 135 may reduce/enlarge the text image or the guide image so that the entire size of the text image and the total size of the guide image coincide. Alternatively, the analysis unit 135 may reduce/enlarge the text image or the guide image so that the size (partial size) of one of a specific stroke, consonant, and vowel included in the text matches the size of the guide image.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와 글씨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비교 단계 S 630).The analysis unit 135 may compare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comparison step S630).

이때, 비교 단계 S 639)는 제1 모드(S 631), 제2 모드(S 632)), 제3 모드(S 63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parison step S 639 may include a first mode (S 631 ), a second mode (S 632 ), and a third mode (S 633).

제1 모드(S 631)에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first mode (S 631 ), the analysis unit 135 may measure the primary area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제2 모드(S 632)에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S632), the analysis unit 135 may measure the secondary area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제3 모드(S 633)에서 분석부(135)는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third mode (S633), the analysis unit 135 may measure the third area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도 7은 교정자가 개입된 필체 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 chart showing a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involving a corrector.

먼저,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를 통해 필체 정보(11)가 포함됨 과제물을 제출할 수 있다(S 710). 이 과정에서 해당 과제물 데이터, 과제물 연습 시간 정보가 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다. 서버(100)는 과제물 데이터와 가이드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매칭 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First, the user may submit an assignment including handwriting information 11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 (S710). In this process, the assignment data and assignment practice tim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100.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matching accuracy correspon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assignment data and the guide image.

과제물 데이터, 과제물 연습 시간 정보, 매칭 정확도가 서버(100)의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제2 단말기(20)에 제공되고, 교정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S 720).The assignment data, assignment practice time information, and matching accuracy are provided to the second terminal 2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server 100 and can be verified by the proofreader (S720).

교정자는 제2 단말기(20)를 이용해서 과제물에 대한 첨삭(영상 첨부 가능)을 수행하고, 첨삭 과정에서 생성된 첨삭 정보는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S 730).The proofreader performs correction (image attachment is possible) on the assignment using the second terminal 20, and correc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rrection process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S730).

교정자에 의해 일일/주간/월간 누적 자료에 따른 교정 지도가 수행되고, 교정 지도 수행 정보가 서버(100)에 제공될 수 있다(S 740).Correction instruction according to daily/weekly/monthly accumulated data is performed by the proofreader, and correction instruction performan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100 (S740).

서버(100)는 사용자 및 교정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사용자의 필체 교정을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다(S 750).The server 100 may thoroughly manage the user's handwriting correction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user and the proofreader (S750).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필체 교정 장치 및 방법은 펜을 활용한 필체 교정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writing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lated to a handwriting correction service using a pen.

일 예로, 필체 교정 대상자(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글씨체를 홈페이지(서버(100))에서 선택하고 교재, 강의, 첨삭 지도 쿠폰을 구입 결제할 수 있다.For example, a handwriting correction subject (user) may select a font in a style desired by him/her from the homepage (server 100) and purchase and pay for textbooks, lectures, and correction guidance coupons.

교정 대상자는 애플리케이션(제1 단말기(10)에 탑재)을 이용하여 필기 방법에 대한 강의를 보고 디지털 펜(93)을 제1 단말기(10)에 해당하는 모바일 기기에 연결한 후 닷 패턴이 인쇄된 디지털 교재(91) 위에 필기를 한다. 이 때, 필기 내용을 비롯한 모든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종이에 필기한 내용이 그대로 모바일 기기에 출력된다.The person to be corrected reads a lecture on the writ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mounted on the first terminal 10), connects the digital pen 93 to the mobi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n prints the dot pattern. Write on the digital textbook 91. In this case, 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handwritten content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handwritten content on paper is outputted to the mobile device as it is.

교정 대상자가 제1 단말기(10)의 제출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지금까지 디지털 펜(93)으로부터 받은 필기 내용을 이미지와 DB(정확도,시간등) 파일로 저장하고, 이것을 FTP서버(100)에 업로드 한다. 그리고 제출한 과제물에 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DB서버(100) 테이블에 레코드를 삽입한다.When the proofreader selects the submit menu button of the first terminal 10, the application saves the handwritten content received from the digital pen 93 so far as images and DB (accuracy, time, etc.) files, and the FTP server 100 Upload to. Then, a record is inserted into the DB server 100 table by collect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n the submitted assignment.

교정 지도자는 태블릿 PC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교정 지도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교정 대상자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집된 DB에 접근하여 교정 대상자들이 제출한 과제물을 불러올 수 있다. 교정 지도자는 터치 펜을 이용하여 첨삭을 진행한다. 교정 지도자가 첨삭을 하면서 필기된 정보는 별도의 이미지 및 음성으로 저장된다. 첨삭이 완료되면 이 DB가 FTP서버(100)에 업로드 되고, DB서버(100) 테이블에 있는 과제물에 한 정보가 갱신된다.It is assumed that the calibration leader is using a tablet PC. Through the calibration instructor application, you can access the DB collected from the calibration target application and retrieve the assignments submitted by the calibration target. The correctional instructor uses a touch pen to correct. While corrections are made by the correctional leader, the handwritten information is stored as separate images and voices. When the correction is completed, this DB is uploaded to the FTP server 100, and information about the assignment in the DB server 100 table is updated.

교정 대상자는 첨삭이 완료되어 갱신된 자신의 과제물에 대한 첨삭 정보를 조회 가능하다.The person subject to correction can view the correction information for his or her work that has been updated after correction has been complet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제1 단말기 11...필체 정보
20...제2 단말기 29...교정 펜
90...수집기 91...디지털 교재
93...디지털 펜 100...서버
110...제1 통신부 120...제2 통신부
130...관리 유니트 131...관리부
133...메뉴부 135...분석부
10...first terminal 11...handwriting information
20...second terminal 29...calibration pen
90... collector 91... digital textbook
93...digital pen 100...server
110...1st communication unit 120...2nd communication unit
130...Management Unit 131...Management Department
133...menu part 135...analysis part

Claims (16)

사용자의 필기에 대한 필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수집기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를 획득해서 상기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필체 교정 장치.
A collector for collecting handwriting information on the user's handwriting;
Including; a firs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he first terminal obtain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collector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The first terminal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디지털 펜, 디지털 교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펜은 상기 사용자가 손에 쥐고 글씨를 쓰는 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지털 교재는 상기 디지털 펜으로 글씨를 쓰는 종이 또는 책 또는 공책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지털 펜 또는 상기 디지털 교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교재에 대고 상기 디지털 펜으로 쓴 글씨의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상기 필체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기에는 상기 필체 정보가 그대로 표시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or includes a digital pen and a digital teaching material,
The digital pe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en that the user holds in his hand and writes,
The digital teaching material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per or a book or a notebook for writing with the digital pen,
The digital pen or the digital textbook transmit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f the text written by the user on the digital textbook to the first terminal,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in whic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as it is on the firs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2 단말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필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교정자의 첨삭이 이루어진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피드백 정보의 수신 사실을 상기 제1 단말기에 알려주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is provided,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second terminal generates the feedback information in which a proofreader correct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feedback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by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feedback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server notifies the first terminal of the recep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사용자의 제1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필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
를 포함하는 필체 교정 장치.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s first terminal and receives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user;
A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필체 정보가 수신되면, 설정 기간 전에 저장된 구 필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구 필체 정보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management unit is provided with a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management unit stores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management unit extracts old handwriting information stored before a set period,
The old handwrit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서체 메뉴를 관리하는 메뉴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뉴부는 복수 종류의 서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메뉴부는 상기 선택 메뉴와 함께 각 서체의 숙달에 필요한 교정 시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management unit is provided with a menu unit for managing a font menu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menu unit provides a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types of fonts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menu unit, along with the selection menu, a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that provides correction time information necessary for mastery of each font to the first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매칭 정확도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The analysis unit extracts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searches for a guide image matching the text image, analyzes the matching accuracy of the searched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The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for providing the analysis unit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the matching accuracy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폐곡선 내에 형성되며,
상기 분석부는 폐곡선 내부를 복수의 영역 칸으로 분할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1 흑백 비율이 정의되고, 상기 글씨 이미지에 대한 각 영역 칸의 제2 흑백 비율이 정의될 때,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흑백 비율과 상기 제2 흑백 비율 간의 차이를 이용해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상기 글씨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The analysis unit extracts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searches for a guide image matching the text image,
The text image and the guide image are formed in a closed curve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The analysis unit divides the inside of the closed curve into a plurality of area cells,
When a first black and white ratio of each area cell with respect to the guide image is defined, and a second black and white ratio of each area cell with respect to the text image is defined,
The analyzing unit analyzes the matching accuracy of the text image with the guide image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lack and white ratio and the second black and white ratio.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며,
상기 분석부는 크기가 동일해진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가 겹쳐진 중복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중복 이미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The analysis unit extracts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searches for a guide image matching the text image,
The analysis unit enlarges or reduces at least one of the text image and the guide image so that the text image and the guide image have the same size,
The analysis unit generates a duplicate image in which the guide image having the same size and the text image overlap,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uplicated image to the first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이미지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고,
상기 조작은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원본 또는 상기 글씨 이미지의 원본을 변형시키는 것이며,
상기 원본의 변형은 외곽선 굵기, 외곽선 종류, 글씨 색깔,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수행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nalysis unit manipulates at least one of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so that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can be distinguished in the state of the duplicate image,
The operation is to transform the original of the guide image or the original of the text image,
The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performed on at least one of an outline thickness, an outline type, a text color, and a transparency of the orig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에 매칭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전체에 상기 전체 크기가 매칭되도록 상기 글씨 이미지 또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 상기 부분 크기가 매칭되도록 상기 글씨 이미지 또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글씨 이미지 또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변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글씨 이미지와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비교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The analysis unit extracts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recognizes the total size and partial size of the text image,
The analysis unit searches for a guide image matching the text image,
The analysis unit changes the text image or the guide image so that the entire size of the guide image is matched, or changes the text image or the guide image so that the partial size is matched with a specific part of the guide image,
The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for comparing the handwriting image and the guide image in a state in which the analysis unit has finished changing the handwritten image or the guide im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의 비교 대상이 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을 복수의 크기로 설정하고, 복수 크기의 영역을 이용해서 상기 글씨 이미지의 미도달 범위, 적정 범위, 초과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The analysis unit extracts a guide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sets the area of the guide image to a plurality of sizes, and measures at least one of an unreachable range, an appropriate range, and an excess range of the text image by using the plurality of siz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의 비교 대상이 되는 가이드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는 모드이며,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3차 영역은 상기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The analysis unit extracts a guide image to be compared with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operates in a first mode, a second mode, and a third mode,
The first mode is a mode for measuring a primary region of the guide image and a range of the text image,
The second mode is a mode for measuring a secondary area of the guide image and a range of the text image,
The third mode is a mode for measuring a third area of the guide image and a range of the text image,
The secondary region has a size including the primary region,
The third area is a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having a size including the second area.
제4항에 있어서,
교정자의 제2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필체 정보에 대한 상기 교정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에는 상기 필체 정보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며,
상기 피드백 정보에는 상기 교정자의 필체가 포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필체와 상기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상기 교정자의 필체를 비교하고, 필체 비교 결과가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분석부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되는 필체 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Includ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proofreader's second terminal and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f the proofreader for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r the feedback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management unit,
The feedback information includes the handwriting of the proofreader,
The analysis unit compares the handwriting of the user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handwriting of the proofreader included in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a result of the handwriting comparison,
The handwriting correc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analysis unit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사용자의 필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와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의 매칭 정확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당 소요 시간, 일일 연습 시간, 주간 연습 시간, 월간 연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매칭 정확도와 상기 시간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필체 교정 방법.
Collecting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Analyzing the matching accuracy between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guide image;
Analyzing tim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quired time per text image, daily practice time, weekly practice time, and monthly practice time;
Transmitting the analyzed matching accuracy and the time information to a first terminal;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comprising a.
수집된 필체 정보에 포함된 글씨 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저장된 가이드 이미지를 검색하는 수집 단계;
상기 글씨 이미지의 전체 크기 및 부분 크기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가이드 이미지와 상기 글씨 이미지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1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2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3차 영역과 상기 글씨 이미지의 범위를 측정하고,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3차 영역은 상기 2차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는 필체 교정 방법.
A collection step of extracting the text image included in the collected handwriting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a previously stored guide image;
A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total size and the partial size of the text image;
Including;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guide image and the text image
The comparison step,
Measuring the primary region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Measuring the secondary area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Measuring the third region of the guide image and the range of the text image,
The secondary region has a size including the primary region,
The third area is a handwriting correction method having a size including the second area.
KR1020190099802A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KR102293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02A KR102293361B1 (en)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02A KR102293361B1 (en)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58A true KR20210020458A (en) 2021-02-24
KR102293361B1 KR102293361B1 (en) 2021-08-24

Family

ID=7468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802A KR102293361B1 (en)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41B1 (en) * 2023-09-04 2024-01-16 주식회사 에이디자인그룹 Method and system for experiencing the transcription of digital scriptu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31B1 (en) * 2007-03-21 2008-08-21 최경남 A style of penmanship correction equipment
KR20140137267A (en) * 2013-05-22 2014-12-02 이병수 Register and Convert Program of Personal a Style of Penmanship
KR101502706B1 (en) 2013-12-23 2015-03-13 박은일 Method for correcting bad handwriting
JP2016139293A (en)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東芝 Transcription-degree calculation system, transcription-degree calculation method, and transcription-degree calculation program
KR20170096078A (en) * 2016-02-15 201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31B1 (en) * 2007-03-21 2008-08-21 최경남 A style of penmanship correction equipment
KR20140137267A (en) * 2013-05-22 2014-12-02 이병수 Register and Convert Program of Personal a Style of Penmanship
KR101502706B1 (en) 2013-12-23 2015-03-13 박은일 Method for correcting bad handwriting
JP2016139293A (en) *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東芝 Transcription-degree calculation system, transcription-degree calculation method, and transcription-degree calculation program
KR20170096078A (en) * 2016-02-15 201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41B1 (en) * 2023-09-04 2024-01-16 주식회사 에이디자인그룹 Method and system for experiencing the transcription of digital scrip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61B1 (en)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5730B1 (en) Handwritten keyboardless-entry computer system
EP1683075B1 (en) Boxed and lined input panel
US9280716B2 (en) Apparatus for sensing user condition to assist handwritten entry and a method therefor
KR101663311B1 (en) Studying evaluation service system
US20120282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implemen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actice worksheets
US20150199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ading Unstructured Documents Using Automated Field Recognition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US20140080104A1 (en) Kanji stroke order learning device, kanji stroke order learning support method, kanji stroke order learn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kanji stroke order learning program is recorded
US8831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actice worksheets
US201300314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data of e-book or e-note
CN109964266B (en) Digital input device, digital adding and dele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education system
CN112183143A (en) Reading and amending method and teaching system
KR1022933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writing calibration function
CN111310428A (en) Automatic input an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writing of paper form
CN115294573A (en) Job corr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CN110889262A (en) Teaching system and dot matrix teaching courseware
CN11256744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907524B2 (en) Digital ink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4021336A (en) Scoring-support device, scoring-support program, and data structure
JP2016091347A (en) Handwritten-character management system, handwritten-character management method, and handwritten-character management program
JP2016173710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program
TWI591567B (en) A test paper batch modif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GB2234102A (en) Handwritten keyboardless-entry computer system
JP6721011B2 (en) Display control program, device, and method
KR102281642B1 (en) System for providing question for english study through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