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333A -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 Google Patents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333A
KR20210020333A KR1020190099464A KR20190099464A KR20210020333A KR 20210020333 A KR20210020333 A KR 20210020333A KR 1020190099464 A KR1020190099464 A KR 1020190099464A KR 20190099464 A KR20190099464 A KR 20190099464A KR 20210020333 A KR20210020333 A KR 20210020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travel
stacked
outle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도형
Original Assignee
심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도형 filed Critical 심도형
Priority to KR102019009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0333A/ko
Publication of KR2021002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2010/428Details of the folds or interfolds of the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는 직육면체 형상에서 가장 긴 모서리와 가장 짧은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면에 인출구를 구비하고, 여행용화장지 내부에 적층되는 화장지는 절곡되어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형성하도록 적층되어 사용자가 화장지를 연속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Tissue for vertical dischar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적층된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는 여행용화장지에 관한 발명이다.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낱겹 화장지를 포장해 여러 매수로 제공하는 여행용(휴대용) 미용화장지에 있어서, 화장지를 가방 내부나 수납공간에 보관하여 사용 시 배출구가 막혀 인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지의 휴대 또는 보관 시, 일반적으로 인출구가 존재하는 면이 외부를 향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여행용화장지 위에 다른 사물을 올리거나 가방, 주머니 등 기타 좁은 공간에 여행용화장지를 넣는 경우 여행용화장지의 형태 및 화장지가 쌓이는 방향을 고려하여 화장지가 쌓이는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여행용화장지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여행용화장지의 형태적 특성은 인출구가 존재하는 면 대신 다른 면이 외부에서 관찰되도록 한다. 종래의 경우와 같이 인출구가 외부를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인출해 사용하기 위하여 매번 여행용화장지를 잡고 인출구의 위치를 확인한 뒤 화장지를 인출해야 하는 일련의 과정이 수반된다. 이러한 여행용화장지의 인출구 위치로 인해 여행용화장지의 사용 시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3964호
본 발명은 종래의 여행용화장지에서 구비되는 인출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여행용화장지를 수납하거나 휴대하면서도 인출구가 외부를 향할 수 있게 해 사용상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제고한 여행용화장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구 위치를 변경하였을 때 연속적인 화장지 배출을 위해 여행용화장지 내부에 적층되는 화장지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최초 화장지 인출을 위한 스티커를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를 제공하며,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두 개의 인출구를 갖는 여행용화장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여행용화장지는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a, b, c 이고, 상기 모서리의 길이는 부등식 a<b<c 및
Figure pat00001
을 만족하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길이가 a, c인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인출면에 인출구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화장지는 2이상의 절곡선을 가지며, 절곡되어 짧은변과 긴변의 길이가 각각 상기 a, c의 0.9배 내지 0.98배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짧은변이 서로 겹치도록 제1절곡선에서 절곡되어 만들어지는 동일한 크기의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선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는 상기 제1절곡선방향으로 상기 제1절곡선과의 거리의 1/3 만큼 떨어진 제2절곡선에서 제2면이 안으로 접히도록 절곡되어 제2면과 마주 닿는 제3면을 형성하며,
제1화장지 및 제2화장지는 각 제3면이 인출구가 구비되는 상기 인출면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제1화장지의 제2면과 제3면 사이에 제2화장지의 제1절곡선이 위치하여 맞물림부를 형성하며 적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긴변을 3등분하는 위치에서 서로 다른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면, 중간면, 하단면을 포함하고, 제1화장지의 상기 상단면 방향에 배열되는 제2화장지의 하단면은 상기 제1화장지의 상단면과 중간면의 사이에서 맞물려 맞물림부를 형성하며 적층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은변의 길이가 4/3 b보다 작거나 같고, 긴변의 길이가 c보다 작거나 같으며, 절곡되어 짧은변 및 긴변은 각각 상기 a, c의 0.9배 내지 0.98배로 적층된다.
또한, 화장지는 상기 인출면과 평행하게 적층될 수 있고, 상기 인출면의 이웃하는 면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적층되어, 적층된 화장지에 결합되어 인출구 밖으로 노출되는 스티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인출면의 맞은편인 바닥면에 위치하는 길이가 a, c인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면에 제2인출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면 및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내부공간을 제1내부공간 및 제2내부공간으로 분리하거나, 상기 제1내부공간 또는 상기 제2내부공간에 물티슈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여행용화장지는 길이가 a 인 모서리에 길이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여행용화장지의 인출구가 기존의 여행용화장지와 달리 특정 모서리의 길이를 만족하는 면에 구비되어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여행용화장지가 보관되는 경우에 인출구가 외부를 향하여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여행용화장지 위에 물건을 올려놓는 경우에 여행용화장지의 가장 넓은 면은 윗면과 밑면이 되어 바닥면과 올려진 물건에 접촉하지만 인출구가 구비되는 면은 외부를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내부 및 주머니나 가방의 수납공간에 여행용화장지가 비치되는 경우에는 보관되는 위치에서 바닥면이 넓게 확보되기 어렵고 수평방향으로 잡아주는 힘이 존재한다. 여행용화장지는 가장 넓은면이 측면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출구는 외부방향인 위쪽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를 향하여 노출된 인출구는 사용자가 빠르게 화장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여행용화장지를 빼내거나 인출구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사용에 편리하다.
또, 여행용화장지는 내부에 복수의 절곡구조와 맞물림부를 갖도록 화장지가 적층되어 사용자가 화장지를 인출하면 다음 화장지의 일부가 인출구 밖으로 노출되며, 화장지의 양이 줄더라도 내부에서 화장지가 접히거나 말리는 일이 없어 연속적으로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여행용화장지에 격벽을 구비하고 밑면에 인출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여행용화장지의 높이가 높아짐으로 인한 연속적인 인출의 문제를 해결하며, 내부에 물티슈를 포함할 수 있어 화장지와 물티슈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여행용화장지 및 화장지의 적층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장지의 사시도 및 적층방식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장지의 사시도 및 적층방식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장지의 사시도 및 적층방식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의 투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두 개의 케이스가 연결된 여행용화장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사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10) 여행용화장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낱장으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화장지 자체가 아닌 복수 매의 화장지가 일정한 적층구조를 이루며 쌓이고, 적층된 화장지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독립적인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1)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등의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실제로 정확한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지 않더라도 통상적으로 중력방향 또는 바닥으로부터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가지거나 또는 바닥 또는 지면에 평평한 방향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도를 포함하는 의미로 넓게 해석되고, 한 면과 수직 방향이라는 표현은 해당 면의 법선방향 또는 이를 포함하는 면의 방향을 의미하거나 정확하게 각도가 수직이 아니더라도 일반적으로 직각에 가까운 각을 갖는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방향을 포함하여 해석된다.
12) 본 명세서에서 직육면체 형상이란, 모든면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인체도형을 포함하여 실제 면이 평면이 아닌 곡면 또는 직선아 아닌 곡선을 포함하거나 얇은 소재로 이루어져 형상이 일정하게 정의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보아 직육면체 도형과 대응되거나 유사한 형태라고 인식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해석된다.
13) 화장지란, 여러 매수로 포장되어 제공되는 가정용, 여행용 위생용품을 포함하여 여러 매수가 적층 포장되어 제공되는 물티슈, 클렌징티슈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도 1은 세 변의 길이가 모두 다른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를 갖는 여행용화장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세 변의 길이가 모두 다른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에서 세 변의 길이를 오름차순에 따라 각각 a, b, c라고 하면, 가장 넓은 면은 모서리 b와 c로 이루어지는 면이고, 가장 좁은 면은 모서리 a와 b로 이루어지는 면이다.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 케이스가 평면위에 놓여진 상황에서 가장 넓은 면이 밑면이 되고 가장 짧은 모서리가 높이에 해당하는 것이 무게중심이 가장 안정적인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1)는 직육면체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세 변의 길이는 오름차순에 따라 각각 a, b, c 이고, 이 때, b는 a의 1.5배보다 작거나 같게 정해진다. 여행용화장지(1)는 모서리 a와 c로 이루어지는 2개의 서로 이웃하지 않는 면을 구비한다. 이 2개의 면을 각 인출면(3), 바닥면이라고할 때, 인출면(3)은 인출구(2)를 포함한다. 가장 넓은 면 및 가장 좁은 면은 인출구(2)를 위쪽으로 하였을 때, 측면에 위치한다. 일반적인 여행용화장지의 경우, 가장 안정적으로 놓여지는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1)는 모서리 a와 c로 이루어지는 인출면(3)에 인출구(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서리 a와 c로 이루어지는 인출면(3)을 인출구(2)를 포함하는 면으로 하여, 종래의 모서리 b와 c를 갖는 면에 인출구를 구비하는 여행용화장지보다 차지하는 바닥면적이 줄어들고, 모서리 a와 b를 갖는 면을 바닥에 접촉하는면으로 하는 여행용화장지 보다 안정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종래의 여행용화장지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편의성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여행용화장지 위에 물건을 올려놓는 경우에 모서리로 b와 c를 갖는 여행용화장지의 가장넓은 면은 윗면과 밑면이 되어 바닥면과 올려진 물건에 접촉하지만, 모서리로 a와 c를 갖는 인출구가 구비되는 면은 외부를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내부 공간 및 주머니에 여행용화장지가 비치되는 경우에는 보관되는 위치에서 바닥면이 넓게 확보되기 어렵고 수평방향으로 잡아주는 힘이 존재한다. 여행용화장지(1)는 모서리로 b와 c를 갖는 가장 넓은면이 측면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출구(2)는 모서리로 a와 c를 가지며 외부방향인 위쪽을 향하는 인출면(3)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인출면(3)의 외부를 향하여 노출된 인출구(2)는 사용자가 빠르게 화장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여행용화장지(1)를 빼내거나 인출구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사용에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행용화장지 내부의 화장지 적층구조를 개시하며, 여행용화장지의 높이가 밑면의 한 변의 길이보다 큰 특수한 구조로 인하여 화장지의 잔량이 적더라도 여행용화장지(1)의 내부에서 화장지가 접히거나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인출구(2)의 형태는 절취선 또는 얇은 슬릿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화장지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인출구의 형태 또는 인출구의 프레임 구비 여부는 제한되지 않는다.인출구는 화장지의 적층방향, 즉 적층면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기존의 여행용화장지에 화장지가 적층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 여행용화장지는 화장지가 절반으로 접힌 형태로, 인접한 화장지와 교차되어 번갈아가며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적층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화장지의 절반으로 접힌 크기에서 각 변의 길이가 각각 여행용화장지의 밑면 크기보다 작아야한다. 화장지 낱장이 펼쳐졌을 때의 크기를 긴 변, 짧은 변이 2x ,y라 하면, x, y는 각각 b, c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1)는 종래 여행용화장지보다 좁은 공간에서 배치가 편리하고 여행용화장지로부터 화장지의 인출이 용이하다.
또한, 여행용화장지(1)의 직육면체 형상에서 밑면을 이루는 모서리 a,c와 높이 b는 다음 수식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at00002
이와 같은 여행용화장지(1)의 각 모서리 길이의 관계는 내부에 화장지를 효율적으로 적층하여 인출면(3)에 구비되는 인출구(2)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며, 내부에 배치되는 화장지의 적층 방식은 여행용화장지(1)의 내부공간에 맞고, 절곡된 면들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발생하는 부풀림 또는 쏠림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2이상의 절곡선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행용화장지(1)는 모서리에 길이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길이가 a인 모서리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수단은 홈, 주름, 벨로우즈,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등을 포함하며, 여행용화장지의 크기가 배치하고자하는 공간보다 넓거나 좁아서 고정이 어려운 경우에 여행용화장지의 모서리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이 될 수 있도록한다.
길이조절수단은 여행용화장지(1)의 소재에 따라 다른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종이가 소재로 사용되는 경우 홈 또는 주름이 모서리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손으로 압력을 가함에 따라 네 모서리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비닐 같이 얇고 형태변형이 쉬운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정 강도를 가지는 지지대 또는 탄성을 갖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는 여행용화장지(1)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화장지의 인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여행용화장지(1)의 형태를 지지하고 좁은 공간에서 여행용화장지(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장지가 적층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긴 변, 짧은 변이 각각 2x, y인 화장지를 사용할 때, 화장지는 긴 변을 이등분하는 중앙의 제1절곡선(36)에 의해 반으로 접혀 짧은변이 서로 겹쳐진다. 긴 변, 짧은 변이 각각 y, x인 동일한 제1면(31), 제2면(32)이 형성되고, 제1절곡선(36)의 반대편에 단부(34)가 위치한다.
이후 단부(34)는 제1절곡선(36)과의 거리의 1/3지점 또는 x방향으로 x의 1/3만큼 안쪽으로 제2절곡선(37)을 따라 접혀 제3면(33)을 형성하고, 제3면(33)은 제2면(32)과 접하는 형태인 적층단위요소를 형성한다. 적층단위요소는 낱장의 화장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수의 화장지는 각각 적층단위요소로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적층된다.
본 실시예의 적층단위요소는 제1면(31), 제2면(32) 및 제3면(33)을 포함하고, 제2절곡선(37)을 기준으로 넓은 면을 아래쪽으로 보았을 때, 아래에 위치하는 제1면(31), 제1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면(32), 제2절곡선(37)에 의해 생성되어 제2면(32)과 인접하는 제3면(33)이 위치한다. 적층단위요소로서 제1화장지의 크기는 긴 변, 짧은 변이 각각 y, 2/3 x이다.
접힌 적층단위요소 화장지들은 여행용화장지 내부에 적층되는데, 각 화장지의 제3면이 인출구가 위치하는 면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제1화장지가 바닥에 배치되고, 제2화장지는 제1화장지의 상부에 적층된다.
제2화장지는 제1면이 아래의 제1화장지 쪽을 향하고, 제1절곡선이 인접한 화장지와 서로 반대편에 있는 상태로 배치되며, 제1화장지의 제2면(32)과 제3면(33) 사이에 제2화장지의 제1절곡선, 제1면 및 제2면이 배치되어 맞물림부(35)를 형성한다. 맞물림부(35)에서 제1화장지는 제2화장지의 제1절곡선을 이루는 제1면과 제2면 일부에서 상하로 접촉하여 상부에 위치한 제2화장지가 인출될 때 마찰력에 의해 제1화장지가 끌어당겨져서 화장지가 인출구에서 연속적으로 준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적층방식을 도시한다. 도 4에서 화장지는 펼쳐진 상태에서 반으로 접히지 않고, 길이가 2x인 긴변을 3등분한 지점에서 두 개의 절곡선을(44) 형성한다. 이 때 생성되는 두 절곡선(44)에서 접히는 방향은 서로 다른방향이고, 접힌 화장지는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다. 접힌 화장지의 짧은변, 긴 변은 각각 2/3 x, y 이다.
제1화장지는 접힌상태에서 위치를 기준으로 하단면(43), 중간면(42), 상단면(41)을 갖는다. 다른 화장지와의 용어 구별을 위하여 둘 이상의 화장지를 함쎄 설명할 때, 제1화장지의 각면은 제1하단면, 제1중간면, 제1상단면으로 지칭한다. 제1중간면은 제1상단면과 제1하단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양쪽에 절곡선을 포함하며, 각 절곡선(44)은 제1상단면 및 제1하단면을 연결한다.
제1상단면과 제1하단면은 각각 일 단부를 포함하며 제1상단면의 단부와 제1하단면의 단부는 서로 다른방향으로 위치한다. 제1화장지가 정방향으로 배치될 때, 제1하단면이 바닥쪽으로 위치하고, 제1하단면의 단부는 제1상단면의 단부와 서로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화장지는 제1화장지와 마찬가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화장지는 제1화장지의 위쪽방향으로 적층된다. 제2화장지의 각 면은 제2하단면, 제2중간면, 제2상단면이라한다. 제2하단면은 단부를 포함한다. 제2하단면은 제1상단면의 아래로 위치하여 제1상단면과 제1중간면 사이에서 맞물려 맞물림부(45)를 형성한다.
제2중간부는 제1상단부 위에 형성되고, 제2상단부는 제2중간부의 위에 배치된다. 제2상단부는 일 단부를 포함하고, 제2상단부의 단부는 제1상단부의 단부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화장지의 적층구조에서 낱장의 화장지가 절곡되어 가지는 형태인 적층단위요소를 고려하면, 적층구조에서 적층단위요소는 측면도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형태이다. 도 4의 실시예의 적층단위요소는 전구간에서 화장지가 3개의 층을 가지며, 전구간에서 높이가 일정하다. 도 3의 실시예의 적층단위요소는 측면도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형태이다. 도 4의 적층단위요소는 일구간에서 4개의 층, 타구간에서 2개의 층을 가지며, 전구간에서 높이가 일정하지 않다.
다만, 도 4의 적층단위요소 2개가 적층되는 형태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구간에서 6개의 층을 가지며, 전구간에서 높이가 일정하다. 이는 제2절곡선이 변의 1/3지점에 위치하고 안으로 접혀서 화장지의 단부가 접힌 상태에서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적층단위요소가 자체로 전구간에서 높이가 동일하거나, 자체로는 높이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다른 적층단위요소와 적층되는 형태에서 높이가 일정해지면 많은 수의 요소들이 적층되더라도 전체구조가 휘거나 부푸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균형이 유지되어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적층구조는 각 화장지가 모드 동일한 배향으로 적층되어 인출되는 단부가 동일방향에 위치하므로 후술할 인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는 적층구조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층되는 화장지를 종래와 다른 크기로 구비하여 적층한다. 가로, 세로가 각각 2x, y인 화장지는 세로와 평행하게 양단부가 대칭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화장지는 짧은 변이 겹치도록 반으로 접혀 절곡선을 형성한 뒤, 다시 절곡선의 반대편에서 x의 1/3배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절곡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취되어 얻어질 수 있다.
얻어진 화장지는 펼쳤을 때 짧은변과 긴변이 각각 4/3x, y 에 해당하고, 중앙에 1개의 세로방향 절곡선(53)을 형성한다. 절곡된 제1화장지는 면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제1하단면(52)과 제1상단면(51)으로 이루어진다.
화장지의 적층 방식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 화장지는 절곡선(53)을 바깥방향으로 하고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화장지의 제1상단면(51)과 제1하단면(52) 사이에는 제2화장지의 제2하단면이 위치해 맞물려 맞물림부(55)를 형성하고, 제2화장지의 제2상단면은 다시 제2화장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화장지의 절곡선에서 맞물려 맞물림부를 형성한다. 절곡된 상태의 화장지는 짧은변과 긴변이 각각 2/3x, y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티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1)를 개시한다. 여행용화장지(1) 내부에는 화장지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행용화장지 내부의 방향은 인출구를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1)의 면을 기준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가 수평방향에 해당하고,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형성하며 측면을 적층되는 경우가 수직방향에 해당한다.
화장지는 인출구를 구비하는 인출면(3)과 이루는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포함하여 60도 내지 120도의 각도를 갖도록 적층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방향 적층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각 적층단위요소의 인출되는 단부는 도 4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스티커는 가장 상부에 위치하여 가장 먼저 인출되는 화장지의 맞물림부를 형성하지 않는 일 단부에 결합된다. 화장지가 수직방향 혹은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에서 모두 첫 화장지의 일 단부에 결합된 스티커는 인출구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스티커를 잡아당겨 결합된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다.
인출구(2)를 포함하는 인출면(3)과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에서 인출구(2)는 인출면면의 가장자리에 적층면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화장지의 인출방향이 일측면으로 치우치기 때문이다. 첫 화장지가 인출되면 인출된 화장지와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하부의 화장지의 일 단부가 인출구(2) 밖으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다.
화장지의 적층구조 크기는 여행용화장지(1)의 크기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적층되는 상태의 화장지의 크기는 여행용화장지(1)의 밑면의 가로 및 세로의 0.85배 이상 1배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0.98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지의 크기가 여행용화장지(1)의 밑면의 크기와 일치하는 경우 여행용화장지의 소재 두께 및 물리적인 문제에 의해 화장지의 끝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화장지의 크기가 여행용화장지의 밑변의 크기의 0.85 배보다 작은 경우 적층구조 주변 공간의 부피가 커지므로 적층효율이 감소하고, 여행용화장지(1) 내부에서 화장지가 움직이거나 흔들려 적층구조가 망가지거나 맞물림부가 이탈하여 연속적인 화장지인출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층되기 위해 절곡되거나 제거된 상태에서의 화장지의 크기는 여행용화장지(1)의 밑면인 a, c의 0.85배 이상 1배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0.95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지의 크기가 a, c의 0.97 배인 경우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화장지의 크기가 a, c의 0.92 배인 경우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장지의 긴변은 c의 0. 98 배이고, 짧은변은 a의 0.92 배인 경우를 실시한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격벽(7)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도 6에 행당 실시예가 되시된다. 격벽(7)은 인출구를 포함하는 인출면(3)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도와 기능에 따라 어느정도 각도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직방향 적층구조에서 내부 격벽(7)을 인출구(2) 방향이 낮도록 기울어지게 구비하는 경우 화장지가 인출되며 인출구(2) 쪽으로 이동하기 쉬워 연속적인 인출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여행용화장지(1)의 사용 시 화장지의 잔량이 감소할수록 인출구(2)와 화장지의 간격이 멀어져 연속적 인출이 실패한 경우에 내부로 손을 넣어 화장지를 인출해야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출구(2)를 다른 측면에 구비함으로써 종래 여행용화장지보다 높이가 증가할 수 있고,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여행용화장지(1)는 내부에 격벽(7)을 포함하여 높이를 낮추는 효과를 가지고, 격벽(7)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화장지는 윗면이 아닌 바닥면(4)에 인출구(2)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원래 상태의 여행용화장지(1)를 상하로 뒤집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추가적으로 격벽(7)의 존재로 인해 두 개의 내부공간은 분리되므로 동일한 화장지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성질의 화장지를 각각 구비하거나 일방 공간에 물티슈를 구비할 수 있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격벽(7)을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1)를 제시한다. 격벽(7)은 여행용화장지(1)와 동일한 소재 혹은 구성되는 제품의 성질과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제한되지 않는다. 격벽은 모서리로 a, c를 갖는 인출면(3) 및 바닥면(4)과 평행하거나 모서리로 a, c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기울어진 면으로, 내부의 공간을 등분할 수 있고, 적층되는 제품의 특성이나 양, 밀도 차이에 따라서 내부공간을 다른 비율로 분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이 설치되는 경우 인출구(2)는 인출면(3) 및 바닥면(4)에 2개 존재할 수 있다. 격벽(7)의 상부인 제1내부공간(5)에 적층되는 화장지는 인출면(3)의 인출구(2)로 인출되고, 하부인 제2내부공간(6)에 적층되는 화장지는 바닥면(4)의 제2인출구(9)로 인출된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두 인출구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고, 일 내부공간의 화장지가 전부 사용된 뒤 타 내부공간의 화장지가 사용되도록 여행용화장지가 회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출구(2)를 상부가 아닌 측면으로 배치하여 두 인출구가 동시에 이용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개의 화장지 케이스를 인출구가 서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가장 넓은 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길이가 b, c인 모서리를 갖는 가장 넓은 면끼리 접촉되어 연결된 2개의 케이스는 격벽으로 나뉘어진 실시예와 같이 내부공간이 분리될 수 있어 다른 성질을 갖는 화장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지와 물티슈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좋다.
내부에 격벽을 가지는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구가 형성되기 어려우므로 두 개의 케이스를 인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연결하면 이용자가 간편하게 두가지 화장지를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장지 케이스의 크기는 a,b,c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조절될 수 있어 두 개의 연결된 케이스는 하나의 케이스보다 적은 부피를 차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케이스에서 모서리의 길이가 a,b인 면을 인출면으로 갖는 케이스이다. 인출구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의 가장 좁은 면인 모서리의 길이가 a,b인 면에 구비된다. 화장지는 격벽을 포함하지 않는 케이스에서의 전술한 적층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화장지는 인출면에 인접한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서리의 길이가 b,c인 면과 평행하게 적층된고, 적층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출구를 인출면에 포함한다.
모서리의 길이가 a,b인 면을 인출면으로 가지는 여행용화장지는 좁고 깊은 주머니, 가방의 수납공간, 자동차 내부의 수납공간 등에 배치되어 사용될 때 인출이 더 용이해지도록 한다. 또한 인출구의 폭은 인출면의 같은 방향 폭보다 작게 구성되는데 인출구의 폭과 인출면의 같은 방향 폭의 비율은 인출면의 모서리의 길이가 a,b 인 경우에 인출구의 폭이 더 큰 비율을 차지할 수 있다. 화장지의 인출 시 발생하는 마찰력은 화장지의 폭보다 인출구의 폭이 작아 인출구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므로, 인출구의 길이가 인출면의 폭 대비 높은 비율을 가지는 경우 화장지의 폭과 인출구의 폭의 차이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 화장지의 인출 시 마찰력이 감소되어 더 쉽게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격벽(7)으로 구분되는 일 공간에 적층된 화장지를 구비하고 타 공간에 적층된 물티슈를 구비한다.
적층되는 물티슈는 수평으로 적층될 수 있고,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내부에 화장지와 물티슈를 함께 구비하는 여행용화장지(1)는 내부 격벽(7)에 의해 화장지가 젖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쓰임새와 목적이 달라 함께 구비되는 것이 유리한 화장지와 물티슈를 하나의 케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한다. 적층되는 물티슈는 적층 방향 및 구조에 따라 여행용화장지의 내부에 적층될 수 있는 크기로 절곡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격벽(7)을 포함하여 내부공간이 구분되고, 일 공간에서 물티슈를 구비하되, 물티슈는 한쪽으로 치우쳐져 구비되는 제2인출구(9)를 포함하는 면과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를 제공한다.
수직방향 적층구조는 인출시 잡아당기는 힘의 방향과 인출되는 물티슈의 적층면 방향이 일치하고, 인출되는 형태에서 제2인출구(9)와 마찰이나 저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훨씬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티슈의 특성상 내부 공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는 면적이 클수록 물티슈가 마르기 쉬워 문제가 되지만, 수직방향 적층의 경우 인출되는 물티슈는 상단면이 아니라 가장 측면에 존재하여 다른 물티슈 및 여행용화장지(1)의 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내부공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는 면적이 매우 작아 인출되는 순간까지 마름현상 없이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물티슈의 수직방향 적층구조는 적층구조 및 인출구의 위치에 의해 유리한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티슈의 수직방향 적층구조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제1물티슈는 용기 내부의 우측면에 최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제1수직부를 포함하고, 제1수직부는 용기의 상단을 항하는 상측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물티슈는 제1수직부의 하단 방향에 존재하는 하단절곡선에서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제1수직부와 나란하게 적층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한다. 제2수직부는 하단절곡선의 반대편인 상단면 방향에 위치하는 상단절곡선에서 제3수직부와 연결된다. 제3수직부는 상단절곡선에서 연장되어 제2수직부 좌측에 적층된다. 제1수직부, 제2수직부 및 제3수직부는 차례대로 세로로 적층되어 세로적층구조를 형성한다.
제1수직부의 길이는 제2수직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을 수 있고, 제3수직부의 길이는 제2수직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제1수직부 내지 제3수직부의 길이는 각각 a, b, c이다. 제1수직부의 길이와 제3수직부의 길이의 합인 a+c는 제2수직부의 길이 b보다 길고, 제2수직부의 길이의 2배인 2b보다 짧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수직부의 길이의 4/3배보다 길 수 있다.
물티슈의 길이는 제1수직부 내지 제3수직부의 길이의 총합이고, 물티슈의 길이는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으나 물티슈의 폭의 0.5배 ~ 1.4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물티슈의 제1수직부는 상측단부를 가지고 , 제3수직부는 하측단부를 가지며,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는 각각 여행용화장지의 상부와 하부를 향하도록 적층된다.
제2물티슈의 제1수직부는 제1물티슈의 제2수직부와 제3수직부가 상단절곡선에서 접혀 적층되는 구조에서 제2수직부와 제3수직부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수직부 및 제1수직부 좌측에 형성되는 제2수직부는 하단절곡선으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제1물티슈의 제3수직부(와 적층되어 맞물림구조를 형성한다.
제1수직부는 제2수직부 및 제3수직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물티슈의 제2수직부, 제3수직부과 제2물티슈의 제1수직부, 제2수직부가 서로 교차되어 적층된다.
맞물림부에서는 물티슈간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제1물티슈가 인출될 때 제2물티슈의 제1수직부가 함께 제2인출구(9) 밖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한다.
제2물티슈의 제1수직부는 제1물티슈의 제1수직부와 동일한 형태로 배열되고 제2물티슈의 상측단부는 제1물티슈의 상측단부와 같은 방향을 향한다. 제2물티슈의 하측단부는 제1물티슈의 하측단부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제2물티슈의 구성은 제1물티슈의 구성과 동일하나 그 상대적 위치관계에서 차이가 있으며, 제1물티슈는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가 직접 적층되지만, 제2물티슈는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사이에 제1물티슈의 제3수직부가 위치하여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구성이 다르다.
제2물티슈는 하단절곡선과 상단절곡선에 각각 인접한 물티슈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적층구조가 형성된다. 여행용화장지 내 가장 좌측의 마지막 물티슈는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하단절곡선에서 인접한 물티슈의 수직부를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가질 뿐 상단절곡선에서 제2수직부와 제3수직부가 직접 적층되는 점이 다르다.
적층되는 물티슈에서 가장 우측에 존재하는 제1물티슈와 가장 좌측에 존재하는 마지막 물티슈를 제외한 물티슈는 양쪽에 인접한 물티슈를 가지므로 제2물티슈와 동일한 구성 및 적층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티슈들의 절곡형태 및 방향이 모두 동일하다. 특히 인접하는 물티슈들은 전체 적층구조에서 일부분에서만 점유하며 적층되지 않고 전체적층면과 동일한 면을 점유하며 적층되며, 따라서 맞물림부는 최대의 접촉면적인 적층구조의 전체 단면을 가진다. 인출되는 물티슈의 단부는 항상 동일한 배향을 갖는다.
사용자는 물티슈를 사용하기 위하여 용기에 구비된 제2인출구(9)를 통해 일부가 노출된 물티슈의 상측단부를 잡아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제1수직부는 당기는 힘에의해 제2인출구(9)쪽으로 이동하고, 하단절곡선도 제2인출구(9) 쪽으로 이동한다. 하단절곡선은 제1수직부의 인출속도의 0.5배의 속도로 인출될 수 있다. 제1수직부의 길이는 점차 증가하고 제2수직부의 길이는 점차 감소하여 하단절곡선과 상단절곡선사이의 거리는 점차 좁혀진다.
제3수직부는 인출되면서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제2물티슈의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에 힘을 전달한다. 제1물티슈의 제3수직부는 용기 외부로 인출되면서 제2물티슈의 상측단부를 인출구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와같은 과정이 진행되어 마지막 물티슈까지 연속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3수직부는 인출되면서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제2물티슈의 제1수직부와 제2수직부에 힘을 전달한다. 제1물티슈의 제3수직부는 용기 외부로 인출되면서 제2물티슈의 상측단부를 인출구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와같은 과정이 진행되어 마지막 물티슈까지 연속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수직적층구조는 물티슈의 적층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화장지의 적층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행용화장지(1)는 수직방향 적층구조에 적합하도록 인출면 또는 바닥면의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인출구를 갖는다. 인출구는 상단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인출구는 얇은 직선 형태인 것이 좋으며 인출구의 형태를 고정하는 수단 또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구의 길이와 폭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물티슈 수직적층구조로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는 측면보다 좁은 하단면을 가지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배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좁은 수납공간이나 틈새구조에 배치되는 경우 용기의 양측면이 고정될 수 있고, 용기를 집고 물티슈를 인출하는 일련의 복잡한 동작이 없이도 물티슈를 빠르게 인출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특히, 운전석 주변 공간에 본 발명의 여행용화장지(1)가 배치되는 경우, 한 손으로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어 기존 여행용화장지 대비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여행용화장지 2 : 인출구
3 : 인출면 4 : 바닥면
5 : 제1내부공간 6 : 제2내부공간
7 : 격벽 9 : 제2인출구
31 : 제1면 32 : 제2면
33 : 제3면 34 : 단부
35 : 맞물림부 36 :제1절곡선
37 : 제2절곡선 41 : 상단면
42 : 중간면 43 :하단면
44: 절곡선 45 : 맞물림부
51 : 제1상단면 52 : 제1하단면
53 : 절곡선 55 : 맞물림부

Claims (13)

  1. 내부에 화장지가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로서,
    상기 여행용화장지는 길이가 각각 a, b, c인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모서리의 길이는 부등식 a<b<c 및
    Figure pat00003
    을 만족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적층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길이가 a, c인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인출면에 인출구를 구비하는 여행용화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는 2이상의 절곡선을 가지며, 절곡되어 짧은변과 긴변의 길이가 각각 상기 a, c의 0.9배 내지 0.98배로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는 짧은변이 서로 겹치도록 제1절곡선에서 절곡되어 만들어지는 동일한 크기의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선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는 상기 제1절곡선방향으로 상기 제1절곡선과의 거리의 1/3 만큼 떨어진 제2절곡선에서 제2면이 안으로 접히도록 절곡되어 제2면과 마주 닿는 제3면을 형성하며,
    제1화장지 및 제2화장지는 각 제3면이 인출구가 구비되는 상기 인출면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제1화장지의 제2면과 제3면 사이에 제2화장지의 제1절곡선이 위치하여 맞물림부를 형성하며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는 긴변을 3등분하는 위치에서 서로 다른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면, 중간면, 하단면을 포함하고,
    제1화장지의 상기 상단면 방향에 배열되는 제2화장지의 하단면은 상기 제1화장지의 상단면과 중간면의 사이에서 맞물려 맞물림부를 형성하며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는 짧은 변의 길이가 4/3 b보다 작거나 같고, 긴 변의 길이가 c보다 작거나 같으며, 절곡되어 짧은 변 및 긴 변은 각각 상기 a, c의 0.9배 내지 0.98배로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는 상기 인출면과 평행하게 적층되고, 적층된 화장지에 결합되어 인출구 밖으로 노출되는 스티커를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는 상기 인출면의 이웃하는 면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적층되고, 적층된 화장지에 결합되어 인출구 밖으로 노출되는 스티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면의 맞은편인 바닥면에 위치하는 길이가 a, c인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면에 제2인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면 및 바닥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내부공간을 제1내부공간 및 제2내부공간으로 분리하는 여행용화장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공간 또는 상기 제2내부공간에 물티슈를 구비하는 여행용화장지.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용화장지는 길이가 a인 모서리에 길이조절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여행용화장지
  12.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 케이스는 상기 길이가 b, c인 모서리를 갖는 면에서 각 인출면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화장지 또는 물티슈가 내부에 적층되어 구비되는 여행용화장지.
  13. 내부에 화장지가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로서,
    상기 여행용화장지는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a, b, c이고, 상기 모서리의 길이는 부등식 a<b<c 및
    Figure pat00004
    을 만족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적층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길이가 a, b인 모서리로 이루어지는 인출면에 인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장지는 긴 변을 3등분하는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면, 중간면, 하단면을 포함하며,
    제1화장지의 상기 상단면 방향에 배열되는 제2화장지의 하단면은 상기 제1화장지의 상단면과 중간면의 사이에서 맞물려 맞물림부를 형성하며 적층되고, 상기 화장지는 모서리의 길이가 b, c인 면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여행용화장지.

KR1020190099464A 2019-08-14 2019-08-14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KR20210020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64A KR20210020333A (ko) 2019-08-14 2019-08-14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64A KR20210020333A (ko) 2019-08-14 2019-08-14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333A true KR20210020333A (ko) 2021-02-24

Family

ID=7468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464A KR20210020333A (ko) 2019-08-14 2019-08-14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3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64B1 (ko) 2005-06-21 2006-12-06 광 호 이 사각화장지 빠짐 방지 인출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64B1 (ko) 2005-06-21 2006-12-06 광 호 이 사각화장지 빠짐 방지 인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5704B (zh) 長橢圓形薄紙分配器
KR101262418B1 (ko) 절합 시트의 스택을 포함하는 제품
EP0980841A2 (en) Stack of wet tissues
CN104023609B (zh) 成角度分配的擦拭巾分配器
BRPI0720138A2 (pt) Distribuidor com pilha de lenço tecido
US6641894B2 (en) Stack of folded sheets
CN101784462B (zh) 带有内部片摞保持件的、用于分配叠片摞的盒
CN101983027B (zh) 片材层叠体和片材收容装置
CN105163636A (zh) 堆叠及分配方法
RU2709394C1 (ru) Стопка листов бумаги, диспенсер, имеющий такую стопку,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акой стопки
JP2020011742A (ja) 衛生薄葉紙包装体
US20020060222A1 (en) Sheet package
KR20210020333A (ko) 세로배출형 여행용화장지
JP6830838B2 (ja) 薄葉紙収納箱
JP5449927B2 (ja) ポケットティシュー収納製品
JP6477963B1 (ja) キッチンペーパーパッケージおよびキッチンペーパー束
CN107280559B (zh) 抽取式折叠纸巾及抽纸用品
JP7195394B2 (ja) 収容体、及び薄葉紙製品
JP4606662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容容器の取出口構造
JP3128654U (ja) 一枚ずつ取り出し可能な紙箱に収納されたごみ袋。
JP6388071B1 (ja) キッチンペーパーパッケージおよびキッチンペーパー束
JP2020186010A (ja) 衛生紙パッケージおよび衛生紙束
JP395007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7463169B2 (ja) 薄葉紙収納箱
JP7127430B2 (ja) キッチンペーパーパッケージおよびキッチンペーパー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