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281A - Vertical Transport Systems - Google Patents

Vertical Transport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281A
KR20210020281A KR1020190099332A KR20190099332A KR20210020281A KR 20210020281 A KR20210020281 A KR 20210020281A KR 1020190099332 A KR1020190099332 A KR 1020190099332A KR 20190099332 A KR20190099332 A KR 20190099332A KR 20210020281 A KR20210020281 A KR 20210020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belt
differential
power cable
shutt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2066B1 (en
Inventor
이성진
신성철
유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9009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066B1/en
Publication of KR20210020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2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0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Abstract

Disclosed is a vertical retur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returning system comprises: a carriage which supports a subject to be returned; a lifter which includes a carriage elevation/lowering unit which elevates/lowers the carriage between a plurality of floors, and a mast frame which guides the elevation/lowering of the carriage elevation/lowering unit; and at least one horizontal fire-prevention shutter which includes a carriage elevation/lowering passage opening/closing unit which selectively opens/closes a carriage elevation/lowering passage where the carriage is elevated/lowered, and an inter-floor smoke-blocking unit which is engaged with at least one of the carriage elevation/lowering passag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mast frame to, when the carriage elevation/lowering passage opening/closing unit closes the carriage elevation/lowering passage, prevent smoke from moving through a lifter passage formed by the mast frame.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stably and more efficiently block the movement of smoke.

Description

수직반송 시스템{Vertical Transport Systems}Vertical Transport Systems {Vertical Transport Systems}

본 발명은, 수직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convey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can prevent the spread of fire between floors, but also has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blowing device requiring power supply, and more efficiently and stably interlayer smoke It relates to a vertical transfer system that can prevent the diffusion of the.

수직반송 시스템은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할 때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도 1은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The vertical conveying system refers to what is used when conveying articles over a plurality of layers, and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vertical conveying system.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1')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대상(2')을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반송하기 위한 통로인 부쓰(Booth, 3')의 외부에 방화벽(4')을 설치하고, 방화벽(4')에는 입/출고 컨베이어(5')에 의해 반송 대상(2')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입/출고 통로(6')가 마련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1, the conventional vertical transfer system 1'has a firewall 4 outside the booth 3', which is a passage for carrying the transfer object 2'over a plurality of layers. ') is installed, and an entry/exit passage 6'through which the conveyance object 2'is received or released by an entry/exit conveyor 5'is provided in the firewall 4'.

이때 입/출고 통로(6')의 일측에 입/출고 통로(6')를 수직으로 개폐하는 수직방화셔터(7')를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입/출고 통로(5')를 폐쇄하고 층간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At this time, a vertical fire shutter (7')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y/exit passage (6')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entry/exit passage (6') closes the entry/exit passage (5') in case of fire and fires between floors. It was common to prevent sprea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수직반송 시스템의 최하층에서부터 최상층까지 전구간에 걸쳐 방화벽(4')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설치비를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of having to bear an expensive installation cost because the firewall 4'has to be installed over the entire area from the bottom layer to the top layer of the vertical transfer system.

또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간만이 아니고 모든 층의 수직방화셔터(7')가 동시에 작동하여야 층간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없으며, 수직방화셔터(7')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고, 장비의 유지 및 보수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only the section necessary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ut the vertical fire shutter (7') of all floors must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etween floors, it cannot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fire. Since the structure of the shutter 7'is complicated, reliability is 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cost is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equipment.

나아가, 부쓰(3')를 통해 다른 층으로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마련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연기의 층간 이동을 막을 수 있는데, 메인 전원 또는 UPS 전원이 끊어지게 되어 송풍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연기의 층간 이동에 의한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smoke to other floors through the booth (3'), by providing a blower and supplying power to generate wi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smoke between layers, but the main power or UPS power is cut off. If the blower does not operate due to the loss,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a large accident due to the movement of smoke between laye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1207호 (2006.08.30.)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21207 (2006.08.3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etween floors, but also to prevent the spread of smoke between floors more efficiently and stably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blowing device requiring power supply. It is to provide a vertical transfer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 대상을 지지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시키는 캐리지 승강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프터; 및 상기 캐리지가 승강하는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폐쇄할 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터 통로를 통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age for supporting a transport object; A lifter including a carriage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carriage between a plurality of floors, and a mast frame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carriage lifting unit; And a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closing unit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carriage lift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carriage elevates, and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closing unit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mast frame so that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opens and closes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A vertical convey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horizontal fire shutter having an interlayer shielding unit that blocks smoke from moving through the lifter passage formed by the mast frame when closed may be provided.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수평방화셔터는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화셔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by a sliding operation, and the horizontal fire shutter includes a fire shutter base coupled to allow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to slide and open and close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It may contain more.

상기 층간 차연유닛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통로의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마스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형성하는 방화 플레이트; 및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layer shielding unit may include: a fire protection plate coupled to the mast frame to block a part of the lift passage and forming at least one shielding opening/closing region surrounding at least one lifter linear member disposed inside the mast frame; And at least one differential shutt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sliding together according to a slid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re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일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에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타이밍 벨트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lifter linear member includes a timing bel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counterweight unit lif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rriage lifting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arriage lift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is the timing And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surrounding the belt, and the differential shutter may includ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for blocking smoke by closing 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타이밍 벨트를 감싸면서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ming belt difference shutter includes: a timing belt blade plate for closing a peripheral portion of the timing belt difference opening/closing area by contacting the fire prevention plate; And a timing belt coupled to one side of the timing belt blade plate and clo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while surrounding the timing belt when the timing belt blade plate closes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It may include a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타이밍 벨트 관통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timing belt blade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timing belt through groove in a central region along a moving direction so that the blade plate for the timing belt can approach the fire plat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timing belt.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block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blocks for timing bel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f the timing belt blade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timing belt through hole therebetwee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and is coupled to be movably relative to the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and is elastically biased to contact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timing belt through groove. It may include a pair of moving blocks for the timing belt.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he timing bel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moving blocks for the timing belt and the pair of fixing blocks for the timing bel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pair of moving blocks.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호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가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moving blocks for the timing belt may include a timing belt placement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which the timing belt is disposed.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moving blocks for the timing belt is provided at an end protruding toward the fire plate, and a guide for guiding the moving blocks for the pair of timing belts to mov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contacting the timing belt It may further include cott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is a pair of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It can be provided in pair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상기 캐리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전원 케이블을 둘러싸는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lifter linear member further includes a power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rriage, the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further includes a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surrounding the power cable, and the differential shutter It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shutter for a power cable blocking smoke by closing the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 and closing region.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전원 케이블을 감싸면서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able shielding shutter comprises: a blade plate for a power cable for closing a periphery of the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by contacting the fire protection plate; And a power cab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and clo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while surrounding the power cable when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closes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It may include a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케이블과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power cable through groov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in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can be approached toward the fire plat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power cable.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과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he power cable is a pair of power cabl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third plate of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pair of power cable through holes interposed therebetween Fixed block; A common fixing block for a power cabl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of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ower cable through holes; And two pairs of moving blocks for power cables,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block for the power cable and the common fixing block for the power cable, and are elastically biased so as to contact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through hole for the power cable. can do.

상기 방화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할 때 상기 차연셔터의 가장자리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차연셔터의 미리 결정된 부분이 상기 차연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안착되는 차연셔터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e protection plate includes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fferential shutter, respectively, and disposed to surrou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edge of the differential shutter when contacting the differential shutter, The lower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shutter seating groove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 is seated by a sliding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 안착홈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차연 가스켓이 안착되는 차연 가스켓 안착홈이 더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ielding shutter seating groove, and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gasket seating groove in which a shielding gasket for blocking smoke by contacting the shielding shutter is sea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마련함으로써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 the spread of fire between floors by providing at least one horizontal fire shutter, but also have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blowing device requiring power supply by providing an interlayer shielding unit. It can efficiently and stably prevent the diffusion of interlayer smoke.

도 1은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방화셔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수평방화셔터에서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방화 플레이트와 차연셔터 부분(A)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화 플레이트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상부 플레이트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하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에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에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vertical transport system.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rtical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fire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opened.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losed in the horizontal fire shutter of FIG. 3.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prevention plate and the differential shutter portion A of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fire protection plate of FIG. 5, illustrating a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is omitte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a timing belt of FIG. 5,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block is close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a timing belt is opened in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a timing belt of FIG. 7.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fference shutter for the power cable of FIG. 5,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fference shutter block for the power cable is closed.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he power cable is opened in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the power cable of FIG. 9.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방화셔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수평방화셔터에서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방화 플레이트와 차연셔터 부분(A)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방화 플레이트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상부 플레이트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하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vertical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fire sh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rriage lift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opened. It is a view showing the state,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losed in the horizontal fire shutter of Figure 3,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e protection plate and the differential shutter portion (A) of Figure 3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protection plate of FIG. 5, and is a view illustrating a lowe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is omitt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은, 캐리지(10)와, 리프터(20)와, 수평방화셔터(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vertical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age 10, a lifter 20, and a horizontal fire shutter 40.

먼저, 캐리지(10)는 반송 대상을 지지하며 캐리지 승강통로(CP, 도 3 참조)를 따라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昇降), 즉 상승(上昇) 및 하강(下降)함으로써 반송 대상(2)을 반송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carriage 10 supports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lifts and descends between a plurality of floors along the carriage hoistway (CP, see Fig. 3), that is, by raising and lowering the object 2 to be conveyed. It serves to return.

다음으로 리프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층 사이를 관통하여 마련되어 캐리지(1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와, 리프터 선형부재와, 마스트 프레임(Mast Frame, 25)과, 구동부(26)를 포함한다.Next, the lifter 20, as shown in FIG. 2, is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layers and serves to elevate the carriage 10, and the carriage elevating unit 21, the counterweight elevating unit 22, and , A lifter linear member, and a mast frame (Mast Frame, 25), and a driving unit (26).

캐리지 승강유닛(21)은 캐리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부(26)에 의해 승강되면서 캐리지(10)를 함께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균형추 승강유닛(22)은 캐리지 승강유닛(21)과 타이밍 벨트(23)에 의해 연결되어 캐리지 승강유닛(21)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캐리지 승강유닛(21)을 움직이는 구동부(26)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The carriage lifting unit 2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riage 10 to lift the carriage 10 together while being elevated by the driving unit 26, and the counterweight lifting unit 22 includes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and It is connected by the timing belt 23 to reduce the load of the driving unit 26 moving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while lif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도 2를 참조하여 리프터(20)의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구동부(26)가 동작하여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을 연결하고 있는 타이밍 벨트(23)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지 승강유닛(21)에 연결된 캐리지(10)를 원하는 층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Briefly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lifter 20 with reference to FIG. 2, the driving unit 26 operates to move the timing belt 23 connecting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and the counterweight lifting unit 22 in a desired direction. By moving, the carriage 10 connected to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can be transferred to a desired floor.

이 때, 마스트 프레임(25)은 복수 개의 층에 걸쳐 상하로 인접한 2개의 층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P)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리프터(20)의 골격과 같은 역할을 하는 동시에,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이 흔들림없이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레일(Rail)의 역할을 해주므로, 마스트 프레임(25)의 내부에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리프터 통로(LP, 도 3 참조)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mast frame 25 is disposed through a connection passage P formed between two adjacent layers up and down over a plurality of layers, and acts like a skeleton of the lifter 20,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carriage. Since the unit 21 and the counterweight lifting unit 22 serve as a rail that guides the lifting and descending without shaking,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and the counterweight lifting unit 22 inside the mast frame 25 A lifter passage (LP, see FIG. 3) for guiding the elevation of the) is formed.

이러한 수직반송 시스템에서는, 연결통로(P)에 캐리지 승강통로(CP, 도 3 참조)와 리프터 통로(LP, 도 3 참조)가 형성되므로, 이러한 통로를 통해 화재 발생시에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윗층으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하여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In such a vertical conveyance system, a carriage elevation passage (CP, see FIG. 3) and a lifter passage (LP, see FIG. 3)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assage P, so that a fire generated from a lower floor when a fire occurs through such a passage goes to the upper floor. Because it can sprea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etween floors for safety.

일반적으로 캐리지 승강통로(CP)는 캐리지(1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빈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개폐장치를 마련하여 어느 정도 차단이 가능할 수 있지만, 리프터 통로(LP)의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리프터 선형부재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간단하게 차단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In general, since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forms an empty space so that the carriage 10 can move up and down, it may be possible to block to some extent by providing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lifter passage (LP), several types of lifters are linear. Since the members are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difficulty that cannot be simply blocked.

특히 화재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차단이 가능할 수 있지만, 연기의 경우에는 조그마한 틈새로도 확산될 수 있으므로 완벽한 차단이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fire, it may be possible to block it to some extent, but in the case of smoke, it may spread to a small gap, so it is more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it.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할 수평방화셔터(40)를 마련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 뿐만 아니라 리프터 통로(LP)를 따라서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층간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horizontal fire shutter 40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the interlayer of smoke as much as possible along the lifter passage LP as well as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

수평방화셔터(40)는 상하로 인접한 2개의 층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P, 도 2 참조)에 마련되어 화재발생시 연결통로(P)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각층별로 설치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의 경우와 달리 원하는 구간의 연결통로를 선택하여 폐쇄할 수 있게 된다.The horizontal fire shutter 40 is provided in a connection passage (P, see Fig. 2) formed between two adjacent layers up and down and serves to block the connection passage (P) in case of a fire, and is installed for each floor. Unlike the case of the vertical transfer system,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close the connecting passage of the desired section.

예를 들어, 만약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은 모든 층의 입/출고 통로에 설치된 모든 수직방화셔터를 동시에 작동시켜야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if a fire occurs on the first floor, the conventional vertical transfer system requires that all vertical fire shutters installed in the entry/exit passages of all floors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etween floors. There is an inefficient problem of wasting unnecessary energy to operate.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1층과 2층 사이에 마련되는 수평방화셔터만 작동시키면 1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과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f only the horizontal fire shutt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is operated, the fire generated on the first floor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to other floors, so it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vertical transport syste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나아가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층의 연결통로(P)를 폐쇄함으로써 반송 대상을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반송하기 위한 통로인 부쓰(3)를 각층별로 단절시킬 수 있으므로 부쓰(3)의 내부를 통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어 부쓰(3)의 외부에 별도의 방화벽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closing the connection passage (P) of each floor, the booth (3), which is a passage for conveying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across a plurality of floors, can be disconnected for each floor, so that the inside of the booth (3) Since the spread of fire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firewall outside the booth (3).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방화셔터(40)를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방화벽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비의 설치, 유지 및 보수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the horizontal fire shutter 40,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firewall, thereby minimizing the cost of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equipment, and more efficiently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You can do it.

이러한 수평방화셔터(40)는,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셔터베이스(50)와,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과, 층간 차연유닛(70)을 포함한다.This horizontal fire shutter 40, as shown in detail in FIGS. 3 and 4, includes a fire shutter base 50, a carriage lift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and an interlayer shielding unit 70.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므로 하나의 캐리지(10)가 승강하는 도면으로 나타내었으나, 도 3의 수평방화셔터(40)는 서로 등지고 있는 두 개의 캐리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듀얼 타입의 수직반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두 개의 캐리지 승강통로(CP)가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었다.For reference,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vertical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one carriage 10 is shown as a view in which one carriage 10 moves up and down, but the horizontal fire shutter 40 of FIG. 3 Is used in a dual-type vertical transfer system that can lift two carriages facing each other, so two carriage lift passages (CP)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manner.

다만, 본 발명이 도 3과 같은 듀얼 타입의 수직반송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싱글 타입의 수직반송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ual-type vertical transfer system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applied to a single-type vertical transfer system that lifts and lowers one carriage shown in FIG. 2.

방화셔터베이스(50)는 연결통로(P, 도 2 참조)의 일측에 마련되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캐리지 승강통로(CP)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곳이다.The fire shutter base 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ssage (P, see FIG. 2), and the carriage hoistway opening/closing unit 60 slides to open and close the carriage hoistway CP.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은 캐리지(10)가 승강하는 캐리지 승강통로(CP)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데, 방화셔터베이스(5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캐리지 승강통로(CP)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serve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CP through which the carriage 10 moves up and down,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e shutter base 50 so that the carriage lifts and descends by a sliding operation. The passage CP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캐리지 통로 개폐유닛(6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캐리지 승강통로(CP)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에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캐리지 승강통로(CP)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으로 접근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를 폐쇄하게 된다.3 and 4, the operation of the carriage passage opening/closing unit 6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3,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is spaced apart from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CP. By positioning,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remains open, but as shown in FIG. 4, when a fire occurs, the carriage lift passage opening/closing unit 60 approaches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by sliding movement. The carriage hoistway (CP) is closed.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은 캐리지 승강유닛(21)이 캐리지(10)를 측면에서 지지하면서 승강시키기 때문에, 캐리지 승강통로(CP)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별도의 리프터 선형부재가 배치되지 않고 리프터 통로(LP)에만 리프터 선형부재가 배치되므로,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캐리지 승강통로(CP)를 간단하게 폐쇄하여 화재와 연기의 층간 확산을 막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rtical convey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raises and lowers while supporting the carriage 10 from the side, a separate lifter linear member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CP Since the lifter linear member is not arranged and only the lifter passage (LP) is disposed,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is simply closed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hoistway opening and closing unit (60)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smoke between layers. do.

한편, 층간 차연유닛(70)은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과 마스트 프레임(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캐리지 승강통로(CP)를 폐쇄할 때 마스트 프레임(25)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터 통로(LP)를 통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방화 플레이트(700)와, 차연셔터(800, 90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loor shielding unit 70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and the mast frame 25, and the mast when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closes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CP. It serves to block the movement of smoke through the lifter passage (LP) formed by the frame 25, and includes a fire protection plate 700, and differential shutters (800, 900).

방화 플레이트(700)는 마스트 프레임(25)에 결합되어 리프터 통로(LP)의 일부를 차단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 도 5 참조)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플레이트(710) 및 하부 플레이트(730)를 포함한다.The fire protection plate 700 is coupled to the mast frame 25 to block a part of the lifter passage LP, and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TZ, PZ, see FIG. 5) surrounding at least one lifter linear member. It serves to form and includes an upper plate 710 and a lower plate 730.

상부 플레이트(710) 및 하부 플레이트(730)는 후술할 차연셔터(800, 900)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되, 차연셔터(800, 900)와 접촉할 때 차연셔터(800, 900)의 가장자리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다.The upper plate 710 and the lower plate 730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nd 900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but when contacting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nd 900,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nd 900 ) Is arranged to surround a predetermined area of the edge.

도 6은 도 5의 방화 플레이트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상부 플레이트(710)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하부 플레이트(730)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protection plate of FIG. 5, and is a view illustrating the lower plate 73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710 is omitted.

하부 플레이트(730)에는 차연셔터(800, 900)의 미리 결정된 부분이 차연셔터(800, 90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안착되는 차연셔터 안착홈(731)이 마련된다.The lower plate 730 is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shutter seating groove 731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nd 900 is seated by a sliding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nd 900.

그리고, 차연셔터 안착홈(731)의 일측에는 차연셔터(800, 900)와 접촉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차연 가스켓(733)이 안착되는 차연 가스켓 안착홈(735)이 마련된다.In addition, a shielding gasket seating groove 73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ielding shutter seating groove 731 in which a shielding gasket 733 for blocking smoke by contacting the shielding shutters 800 and 900 is mounted.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차연셔터(800, 900)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방화 플레이트(700)로 접근하여 접촉할 때, 차연셔터 안착홈(731)에 차연셔터(800, 900)가 안착되면서 차연셔터(800, 900)와 하부 플레이트(730)의 사이에 차연 가스켓(733)이 밀착됨으로써, 그 사이로 연기가 통과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difference shutters 800 and 900 approach and contact the fire protection plate 700 by a sliding operation, the difference shutters 800 and 900 are seated in the difference shutter seating groove 731 and the difference shutter ( As the shielding gasket 733 is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800 and 900 and the lower plate 730, smoke is prevented from passing therebetween.

한편, 차연셔터(800, 900)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의 일측에 결합되어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된다.Meanwhile,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nd 900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riage hoistway opening/closing unit 60 to slide together accor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hoistway opening/closing unit 60, so that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TZ, PZ) )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is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TZ and PZ.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23, 도 2 참조)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과, 전원 케이블(미도시)을 둘러싸는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포함한다.Here, the at least one shielding opening/closing region TZ, PZ includes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Z surrounding the timing belt 23 (see FIG. 2 ), as shown in detail in FIG. 5, and a power cable. It includes a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PZ surrounding (not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이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 5,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Z is a pair of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 at least one timing belt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s TZ, and are provided as a pair.

중앙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캐리지 승강유닛(21)이 승강하는 통로이며,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 좌측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균형추 승강유닛(22)이 승강하는 통로이다.The timing belt difference opening/closing area in the center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moves up and down, and the timing belt difference opening/closing area on the left side provided with the same size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unterweight lifting unit 22 moves up and down.

그리고,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은 캐리지 승강유닛(21)이나 균형추 승강유닛(22)보다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배치되는 장소이므로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보다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cable difference opening/closing area PZ is a place where a power cable (not shown) occupying an area smaller than the carriage lifting unit 21 or the counterweight lifting unit 22 is disposed, it is smaller than the timing belt difference opening/closing area TZ. It was prepared by area.

이러한 차연 개폐영역에 대응하여, 차연셔터(800, 900)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와,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를 포함한다.Corresponding to such a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he differential shutters 800 and 900 clos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Z to block smoke, and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800, and a power cable isolation It includes a differential shutter 900 for a power cable for blocking smoke by closing the opening/closing area PZ.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타이밍 벨트와 전원케이블에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리프터 선형부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차연 개폐영역 및 차연셔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limited to the timing belt and the power cab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various lifter linear members are arranged, various types of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s and differential shutters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rovided.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지 승강통로(CP)는 캐리지(1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빈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개폐장치를 마련하여 어느 정도 차단이 가능할 수 있지만, 리프터 통로(LP)에 형성되는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과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경우에는 중앙 영역에 리프터 선형부재인 타이밍 벨트(23)와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간단하게 차단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forms an empty space so that the carriage 10 can move up and down, it may be possible to block to some extent by providing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but a timing belt formed in the lifter passage LP In the case of the differential open/close area (TZ) and the power cable, the timing belt 23 and power cable (not shown), which are lifter linear member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ral area. There are difficultie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할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와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를 마련함으로써,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과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리프터 선형부재를 감싸면서 그 영역을 폐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 승강통로(CP) 뿐만 아니라 리프터 통로(LP)를 따라서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층간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differential shutter 800 for a timing belt and a differential shutter 900 for a power cabl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enter of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close region TZ and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close region PZ Since it is possible to close the region while surrounding the lifter linear member disposed in the reg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the interlayer of smoke along the lifter passage LP as well as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도 7은 도 5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에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a timing belt of FIG. 5,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a timing belt is closed, and FIG. 8 is a differential shutter for a timing belt in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a timing belt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 is ope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와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800 includes a timing belt blade plate 810 and a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block 830.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는 방화 플레이트(700)와 접촉함으로써,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타이밍 벨트(23)와의 간섭 없이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이 마련된다.The timing belt blade plate 810 serves to close the periphery of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TZ by contacting the fire plate 700, and is directed toward the fire plate 700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timing belt 23. In order to be accessible, a timing belt through hole 815 is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은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가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폐쇄할 때, 타이밍 벨트(23)를 감싸면서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과, 탄성력 제공부(834)를 포함한다.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block 8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iming belt blade plate 810, and when the timing belt blade plate 810 closes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Z, the timing belt 23 ) To close the central part of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TZ), and a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831a, 831b), a pair of timing belt moving blocks (833a, 833b) and It includes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834.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은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의 제1 플레이트(811)와 제2 플레이트(812)에 각각 결합된다.A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831a and 831b are the first plate 811 and the second plate of the timing belt blade plate 81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timing belt through hole 815 interposed therebetween. 812) respectively.

그리고,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은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된다.And, a pair of timing belt moving blocks (833a, 833b) are arranged between the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831a, 831b) to move relative to the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831a, 831b). It is possible to be coupled, and is elastically biased to contact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timing belt through hole 815.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상호 접촉하는 면에는 타이밍 벨트(23)가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835)이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타이밍 벨트 배치홈(835)이 한 쌍으로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의 수량 및 위치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A timing belt arranging groove 835 in which the timing belt 23 is disposed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air of timing belt moving blocks 833a and 833b.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iming belts is provided. Although the timing belt arrangement groove 835 is provided as a pair for u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timing belt to be arranged.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는, 타이밍 벨트(23)와 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837a, 837b)이 마련된다.Guide surfaces 837a and 837b for guiding the pair of moving blocks 833a and 833b for timing belts to mov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contacting the timing belt 23 at the end protruding toward the fireproof plate 700 ) Is provided.

탄성력 제공부(834)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이동블록(833a, 833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834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timing belt moving blocks 833a and 833b and a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831a and 831b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pair of moving blocks 833a and 833b. Serves to provide.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조를 가진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830 for a timing belt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먼저, 평상시에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 도 5 참조)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7과 같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탄성력 제공부(8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Z, see FIG. 5) is open in normal times, a pair of moving blocks 833a and 833b for timing bel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The elastically biased state is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어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가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폐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도중에, 타이밍 벨트가 가이드면(837a, 837b)과 접촉하게 되면, 타이밍 벨트가 가이드면(837a, 837b)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8과 같이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Next, when a fire occurs and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800 is sliding to close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TZ, the timing bel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s 837a and 837b, Due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timing belt to the guide surfaces 837a and 837b, the pair of timing belt movement blocks 833a and 833b mov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iming belt through groove 815 is formed as shown in FIG. It becomes open.

그리고,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이 계속 이동하여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다시 도 7과 같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탄성력 제공부(8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가 되면서, 타이밍 벨트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835)에 위치하게 되고,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이 타이밍 벨트의 주위를 감싸면서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중앙부 즉,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폐쇄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block 830 continues to move to completely close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TZ, a pair of timing belt moving blocks 833a and 833b as shown in FIG. While being elastically bia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study 834, the timing belt is positioned in the timing belt arrangement groove 835, and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block 830 wraps around the timing belt. The central portion of the gap opening/closing region TZ, that is, the timing belt through groove 815 is closed.

이렇게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을 마련함으로써,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중앙부의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폐쇄하여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통해 층간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providing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block 830 in this way, the timing belt through hole 815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Z is closed to prevent interlayer smoke from spreading through the timing belt through groove 815. Can be prevented.

도 9는 도 5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에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the power cable of FIG. 5,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he power cable is closed, and FIG. 10 is a differential shutter for the power cable in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the power cable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 is ope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와,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fferential shutter 900 for a power cable includes a blade plate 910 for a power cable and a differential shutter block 930 for a power cable.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는 방화 플레이트(700)와 접촉함으로써,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전원 케이블(미도시)과의 간섭 없이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이 마련된다.The blade plate 910 for the power cable serves to close the periphery of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close area (PZ) by contacting the fire plate 700, and the fire plate 700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power cable (not shown) A pair of power cable through grooves 915 are provid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in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y can be approached.

전원 케이블(미도시)의 경우, 타이밍 벨트(23)와 달리, 두 개의 단위 전원 케이블이 캐리지(10)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었으므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이 각각의 단위 전원 케이블에 대응하여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a power cable (not shown), unlike the timing belt 23, since the two unit power cables are spaced apart from the carriage 10 by the same distance, it cros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fferential shutter 900 for the power cable moves. They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refore, the power cable through hole 915 must be separately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unit power cable.

따라서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는 제1 플레이트(911), 제2 플레이트(912) 및 제3 플레이트(913)가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과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된다.Therefore, the blade plate 910 for the power cable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plate 911, the second plate 912, and the third plate 913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a pair of power cable through grooves 915. .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은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가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폐쇄할 때, 전원 케이블(24)을 감싸면서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과,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932)과,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을 포함한다.The power cable differential shutter block 9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blade plate 910, and when the power cable blade plate 910 closes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close region PZ, the power cable 24 ) To close the central part of the power cable gap open/close area (PZ), a pair of fixing blocks for power cables (931a, 931b), a common fixing block for power cables 932, and two pairs of It includes moving blocks for power cables (933a, 933b, 933c, 933d).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은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915)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의 제1 플레이트(911)와 제3 플레이트(913)에 각각 결합된다.A pair of fixing blocks for power cables (931a, 931b) is a first plate (911) of the blade plate for power cables 91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air of power cable through holes 915 therebetween. It is coupled to the third plate 913, respectively.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932)은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915)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의 제2 플레이트(912)에 결합된다.The common fixing block 932 for power cables is coupled to the second plate 912 of the blade plate 910 for power cable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ower cables through holes 915.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은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과 공용 고정블록(932)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915)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된다.Two pairs of moving blocks for power cables (933a, 933b, 933c, 933d) ar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blocks for power cables (931a, 931b) and the common fixing block 932, respectively, and through grooves 915 for power cables are provided. In order to close, they are elastically biased to contact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과 마찬가지로,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상호 접촉하는 면에는 전원케이블이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 배치홈(935)이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하여 전원 케이블 배치홈(935)이 한 쌍으로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의 수량 및 위치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Like the pair of timing belt moving blocks 833a and 833b, the power cable arranging groove 935 in which the power cable is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two pairs of moving blocks for power cables 933a, 933b, 933c, 933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Is provided,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able arrangement groove 935 is provided as a pair in order to arrange a pair of power cab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power cables to be arranged and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location.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는, 전원 케이블과 접촉함으로써,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937a, 937b, 937c, 937d)이 마련된다.At the end protruding toward the fire protection plate 700, a guide surface 937a for guiding the two pairs of power cable moving blocks 933a, 933b, 933c, 933d to mov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contacting the power cable. 937b, 937c, 937d) are prepared.

탄성력 제공부(934)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 및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932)에 각각 연결되는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934 includes two pairs of power cable movable blocks 933a, 933b, 933c, 933d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air of power cable fixing blocks 931a, 931b and a common fixing block 932 for power cables. ) Is provided to provide elasticity.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930 for a power cable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먼저, 평상시에 전원 케이블용 차연 개폐영역(PZ, 도 5 참조)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9와 같이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탄성력 제공부(9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for the power cable (see PZ, see FIG. 5) is open in a normal state, two pairs of moving blocks for power cables 933a, 933b, 933c, 933d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as shown in FIG. 9. ) Maintains an elastically biased state so as to contact each other.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어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가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폐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도중에, 전원 케이블이 가이드면(937a, 937b, 937c, 937d)과 접촉하게 되면, 전원 케이블이 가이드면(937a, 937b, 937c, 937d)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10과 같이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Next, when a fire occurs, the power cable shielding shutter 900 slides to close the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PZ, and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to the guide surfaces 937a, 937b, 937c, and 937d. When contacted, the two pairs of power cable movable blocks 933a, 933b, 933c, 933d move in a direct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guide surfaces 937a, 937b, 937c, 937d. As shown in 10, the power cable through hole 915 is in an open state.

그리고,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이 계속 이동하여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다시 도 9와 같이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탄성력 제공부(9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가 되면서, 전원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 배치홈(935)에 위치하게 되고,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이 전원 케이블의 주위를 감싸면서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부 즉,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을 폐쇄하게 된다.And, when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shutter block 930 continues to move to completely close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close area PZ, as shown in FIG. 9, two pairs of power cable movable blocks 933a, 933b, 933c, and 933d ) Are elastically biased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934, the power cable is located in the power cable placement groove 935, and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930 for the power cable is placed around the power cable. While enclo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PZ, that is, the power cable through hole 915 is closed.

이렇게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을 마련함으로써,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부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을 폐쇄하여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을 통해 층간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providing the shielding shutter block 930 for the power cable in this way, the power cable through hole 915 in the central part of the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PZ is closed to prevent the spread of interlayer smoke through the power cable through hole 915.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마련함으로써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 뿐만 아니라 리프터 통로(LP)를 따라서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층간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etween floors by providing at least one horizontal fire shutter, as well as to provide the lifter passage (LP) as well as the carriage lift passage (CP) by providing the inter-floor isolation unit.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the spread of smoke between layers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smoke between floors more efficiently and stably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blower device requiring power supp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캐리지 20 : 리프터
21 : 캐리지 승강유닛 22 : 균형추 승강유닛
25 : 마스트 프레임 26 : 구동부
40 : 수평방화셔터 50 : 방화셔터베이스
60 : 캐리지 통로 개폐유닛 70 : 층간 차연유닛
700 : 방화 플레이트 710 : 상부 플레이트
730 : 하부 플레이트 733 : 차연 가스켓
800 :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 810 :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815 : 타이밍 벨트용 관통홈 830 :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
831a, 831b :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833a, 833b :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
834 : 탄성력 제공부 835 : 타이밍 벨트 배치홈
900 :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 910 :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915 :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 930 :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
931a, 931b :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
932 :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933a, 933b, 933c, 933d :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
934 : 탄성력 제공부 935 : 타이밍 벨트 배치홈
CP : 캐리지 승강 통로 LP : 리프터 통로
TZ :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 PZ :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
10: carriage 20: lifter
21: carriage lifting unit 22: counterweight lifting unit
25: mast frame 26: drive unit
40: horizontal fire shutter 50: fire shutter base
60: carriag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70: interfloor shielding unit
700: fire plate 710: upper plate
730: lower plate 733: shielding gasket
800: differential shutter for timing belt 810: blade plate for timing belt
815: through hole for timing belt 830: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iming belt
831a, 831b: Fixing block for timing belt
833a, 833b: moving block for timing belt
834: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835: timing belt arrangement groove
900: differential shutter for power cable 910: blade plate for power cable
915: through hole for power cable 930: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power cable
931a, 931b: Fixing block for power cable
932: Common fixed block for power cable
933a, 933b, 933c, 933d: Moving block for power cable
934: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935: timing belt arrangement groove
CP: Carriage lifting passage LP: Lifter passage
TZ: Timing belt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PZ: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Claims (17)

반송 대상을 지지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시키는 캐리지 승강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프터; 및
상기 캐리지가 승강하는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폐쇄할 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터 통로를 통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A carriage supporting the object to be conveyed;
A lifter including a carriage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carriage between a plurality of floors, and a mast frame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carriage lifting unit; And
A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carriage is elevating, and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mast frame to close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And at least one horizontal fire shutter having an interlayer shielding unit that blocks smoke from moving through the lifter passage formed by the mast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수평방화셔터는,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화셔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by a sliding operation,
The horizontal fire shutter,
The vertical conveyance system further comprises a fireproof shutter base coupled to allow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to slide to open and close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차연유닛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통로의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마스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형성하는 방화 플레이트; 및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layer shielding unit,
A fire protection plate coupled to the mast frame to block a part of the lift passage and forming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surrounding at least one lifter linear member disposed inside the mast frame; And
And at least one differential shutt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sliding together according to a sliding operation of the carriage lifting passage opening and closing unit, there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Vertical convey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일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에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타이밍 벨트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at least one lifter linear member,
A timing bel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counterweight unit for lif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rriage lifting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arriage lifting unit,
The at least on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includes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surrounding the timing belt,
The differential shutter,
And at least one differential shutter for a timing belt to block smoke by closing 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타이밍 벨트를 감싸면서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the timing belt,
A blade plate for a timing belt for closing a peripheral portion of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by contacting the fire prevention plate; And
The timing bel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iming belt blade plate, and when the timing belt blade plate closes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the timing belt is wrapped around the timing belt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is closed. Vertical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differential shutter bloc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타이밍 벨트 관통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blade plate for the timing belt,
A vertical convey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timing belt through groove is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along a moving direction so as to approach the fire plat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timing bel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he timing belt,
A pair of fixing blocks for timing bel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f the timing belt blade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timing belt through hol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s long as it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pair of timing belt fixing blocks, and is elastically biased to contact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timing belt through groove. Vertical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moving block for a pair of timing bel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he timing belt,
And an elastic force provid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moving blocks for timing belts and the pair of fixed blocks for timing belts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pair of moving block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호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가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pair of moving blocks for a timing belt,
And a timing belt arrangement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which the timing belt is dispos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pair of moving blocks for a timing belt,
It is provided at the end protruding toward the fire protection plate, by contacting the timing belt, the vertical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moving blocks for the pair of timing belts to mov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 is a pair of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reg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vertical transfer system, wherein 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shutte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at least one timing belt differential opening/closing area and is provided in a pai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상기 캐리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전원 케이블을 둘러싸는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at least one lifter linear member,
Further comprising a power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rriage,
The at least one shielded opening and closing region further includes a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 and closing region surrounding the power cable,
The differential shutter,
The vertical transfer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ifferential shutter for a power cable to block smoke by closing the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 and closing reg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전원 케이블을 감싸면서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differential shutter for the power cable,
A blade plate for a power cable for closing a periphery of the power cable shielding opening/closing area by contacting the fire protection plate; And
For a power cable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and when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closes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the power cable is wrapped around the power cabl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wer cable differential opening and closing region is closed. Vertical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differential shutter block.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케이블과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A vertical convey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power cable through holes are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along a moving direction so that access toward the fire plat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power cab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과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fferential shutter block for the power cable,
A pair of fixing blocks for power cabl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third plate of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pair of power cable through holes therebetween;
A common fixing block for a power cabl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of the blade plate for the power cabl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ower cable through holes;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block for the power cable and the common fixed block for the power cable, including two pairs of moving blocks for power cables that are elastically biased to contact each other b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through hole for the power cable. Vertical convey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할 때 상기 차연셔터의 가장자리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차연셔터의 미리 결정된 부분이 상기 차연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안착되는 차연셔터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e protection plate,
And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fferential shutter, respectively, and disposed so as to surround a predetermined area of an edge of the differential shutter when contacting the differential shutter,
The vertical transfer system, wherein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shutter seating groove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 is seated by a sliding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shutt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 안착홈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차연 가스켓이 안착되는 차연 가스켓 안착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The lower plate,
A vertical transf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gasket seating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fferential shutter seating groove and in which a shielding gasket for blocking smoke by contacting the differential shutter is seated.
KR1020190099332A 2019-08-14 2019-08-14 Vertical Transport Systems KR102282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32A KR102282066B1 (en) 2019-08-14 2019-08-14 Vertical Transport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32A KR102282066B1 (en) 2019-08-14 2019-08-14 Vertical Transport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81A true KR20210020281A (en) 2021-02-24
KR102282066B1 KR102282066B1 (en) 2021-07-27

Family

ID=7468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332A KR102282066B1 (en) 2019-08-14 2019-08-14 Vertical Transport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0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80A (en)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Vertical Transport System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1A (en) * 1998-10-26 2000-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Stacker crane and its mast
KR100621207B1 (en) 2004-11-04 2006-09-13 장종복 Fire shutter
KR100703766B1 (en) * 2006-05-30 2007-04-09 서미란 Singleness pillar type guide rail for lift
KR20080048813A (en) * 2006-11-29 2008-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Rack master and stocker having the same
JP2008230841A (en) * 2007-03-23 2008-10-02 Daifuku Co Ltd Article conveying device
KR20090058450A (en) * 2007-12-04 2009-06-0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Transport facility
KR20150022252A (en)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ocker apparatus and stocker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092488A (en) * 2015-01-27 2016-08-0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20170033532A (en) *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Vertical Transport System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1A (en) * 1998-10-26 2000-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Stacker crane and its mast
KR100621207B1 (en) 2004-11-04 2006-09-13 장종복 Fire shutter
KR100703766B1 (en) * 2006-05-30 2007-04-09 서미란 Singleness pillar type guide rail for lift
KR20080048813A (en) * 2006-11-29 2008-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Rack master and stocker having the same
JP2008230841A (en) * 2007-03-23 2008-10-02 Daifuku Co Ltd Article conveying device
KR20090058450A (en) * 2007-12-04 2009-06-0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Transport facility
KR20150022252A (en)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Stocker apparatus and stocker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092488A (en) * 2015-01-27 2016-08-0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20170033532A (en) *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Vertical Transport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80A (en)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Vertical Transport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066B1 (en)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60B1 (en) Vertical Transport Systems
KR102276842B1 (en)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TWI681921B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US20190119073A1 (en) Elevator arrangement
KR102282066B1 (en) Vertical Transport Systems
KR100572349B1 (en) Elevator
CN102515000B (en) Elevator ceiling device
JP2006036487A (en) Elevator device
JP2015051815A (en) Elevator device
KR102514155B1 (en) Vertical Transport Systems
CN104024139B (en) Elevator device including the car stopper for maintaining top clearance
CN113602290A (en) Protective device
JP6825600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KR20150145702A (en) Rescue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JP2017208437A (en) Article carrier facility
KR102339929B1 (en) Smart cage for multiuser data facility
WO2012060146A1 (en) Stacker crane and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goods
KR102049303B1 (en) Fire retardant shutter device for master rail of lift
JP2016141517A (en) Car floor adjustment mechanism, car, and elevator
JP2016145092A (en) Elevator device
KR102567005B1 (en) Improved apron apparatus for elevator
JP2879196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JP7222337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7485208B2 (en) Cart lifting device
JP7184003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