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017A -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017A
KR20210020017A KR1020207035731A KR20207035731A KR20210020017A KR 20210020017 A KR20210020017 A KR 20210020017A KR 1020207035731 A KR1020207035731 A KR 1020207035731A KR 20207035731 A KR20207035731 A KR 20207035731A KR 20210020017 A KR20210020017 A KR 2021002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ntral control
housing cover
bol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야 인
찬밍 조우
Original Assignee
유온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933327.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8304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933957.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5276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623230.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791686B/zh
Application filed by 유온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유온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2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방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를 제공하였는 바, 상기 하우징 커버는 연결판을 통하여 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연결판은 볼트에 의해 접합되며, 상기 볼트의 볼트 헤드는 차량의 배터리 쪽을 향하여 설치되고, 차량의 배터리는 볼트 헤드 부위에서 차단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상기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전자식 로크를 포함하고 전자식 로크의 로크 헤드는 상기 배터리를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에 상기 로크 헤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크 헤드와 정합되는 제1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로크 헤드가 상기 수용부까지 돌출 나올 시, 상기 배터리 위치가 잠겨지고, 상기 배터리를 꺼낼 수 없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활동 가능 방식으로 차량에 연결되고 내부의 차량 탑재용 부품은 타인에 의해 분해 절도하여 파괴되기 어렵고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차량의 방범성과 사용 용이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
본 발명은 모페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들의 환경보호 의식이 강화됨에 따라 녹색 출행의 환경 보호 관념이 점점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잡게 되었는 바 전동 모페드는 저탄소 환경 보호의 출행 도구로서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동차의 지능화 정도도 점점 높아졌고 점점 많은 전자 부품이 모페드에 설치되어 모페드의 사용 편리성을 제고하는데 사용하게 되었다. 이런 전자 부품은 통상적으로 하우징 커버 또는 박스 본체 내에 설치되는 바 하우징 커버 또는 박스 본체는 용접 또는 볼트 연결의 방식을 통하여 차량의 받침대에 연결된다. 용접 또는 기타 고정 연결의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할 때 분해하기가 어렵기에 문제가 발생시 수리하고 교체하기가 불편하며, 볼트 또는 기타 활동 연결의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 시 볼트 등이 통상적으로 밖에 노출되므로 불법자들이 이용하기 쉽고 이를 분해하여 절취하거나 차량의 전자 부품을 파괴하여 차량 소유자에게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할동 방식으로 차량에 연결되고 타인에 의해 분해 및 절취하여 파괴하기 어려운 차량 탑재용 전자 부품인 하우징 커버 및 해당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고 차량의 방범성과 사용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중앙 제어 부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의 모페드의 구조 중에서 배터리를 자주 탈리시켜 충전해야 하므로 대부분은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직접 안장의 후방의 아래측에 장착하고 안장을 뒤집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므로 안장을 들어올려 배터리를 꺼낼 수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안장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어 배터리가 도난당하기 쉽고 외부에 설치하는 체인 로크로 안장을 잠가 놓아도 절도자는 여전히 안장 전체를 안장 시트 튜브에서 탈리시켜 배터리를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가 직접 모페드의 프레임 내에 장착되어 있는 바, 정합 틈새가 존재하므로 운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와 프레임 사이에 빈번한 부딪침과 진동이 발생하므로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및 기타 정합 부품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절취하기 어렵고 배터리와 프레임의 정합이 긴밀하고 운행하는 과정에서 진동과 소음이 작은 모페드 방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동 방식을 통하여 차량에 연결되고 타인에 의해 탈리하여 절취하여 파괴하기 어려운 차량 탑재용 전자 부품 하우징 커버, 및 해당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고 차량의 방범성과 사용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중앙 제어 부품 및 배터리가 절취되기 어렵고 배터리와 프레임의 정합이 긴밀하고 행진하는 과정에서 진동과 소음이 작은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부품인 하우징 커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한 측면의 밑부분에 판상의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와 소재되어 있는 측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에 제1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연결판을 통하여 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은 수평부와 상기 돌출부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상기 제1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연결판은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볼트는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하며, 상기 제1볼트의 볼트 헤드는 상기 돌출부의 한 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의 안장 시트 튜브와 프레임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과 상기 프레임은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제1볼트를 통하여 상기 연결판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가 위치된 측면은 상기 배터리 쪽을 향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볼트 헤드의 위치에서 차단을 형성하여 제1볼트를 꺼내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로 하여금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분해되지 못하게 하며; 상기 배터리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꺼낼 시 상기 볼트 헤드 부위의 차단이 제거되고 상기 제1볼트를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는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연결판은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상부 커버는 제2볼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우징 커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볼트는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상부 커버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이를 고정 연결시키고 상기 제2볼트의 볼트 헤드는 상기 하부 셀의 내부에 위치되고 볼트는 단지 중앙 제어 부품에서 연결판으로부터 분해하여 꺼낼 수 있는 하우징 커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중앙 제어 부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항의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전자식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로크는 돌출 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는 로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헤드는 상기 배터리를 향한 쪽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에 상기 로크 헤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에 상기 로크 헤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로크 헤드와 정합되는 제1수용부가 설치되며 상기 로크 헤드가 상기 수용부까지 돌출 나올 시 상기 배터리 위치가 잠겨지고, 상기 배터리를 꺼낼 수 없게 되는 중앙 제어 부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는 제어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자식 로크와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박스는 통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식 로크의 개폐를 제어하고 즉 로크 헤드의 신축여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부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커버는 중공의 하부 셀과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셀은 상기 연결판과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상부 커버는 제2볼트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하부 셀 내부에 격판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과 상기 하부 셀은 고정 연결되어 하부 셀을 상하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박스는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판과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자식 로크는 하부에 설치되며 격판과 연결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제어 부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박스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로크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박스의 통신 유닛은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로크의 개폐를 제어하고 브레이크 로크가 폐쇄되는 상황하에서 브레이크 로크는 차바퀴를 잠그고 차바퀴가 회전할 수 없는 중앙 제어 부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전기량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량 표시 유닛과 상기 제어 박스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박스의 처리 유닛은 상기 배터리의 전기량을 검측하고 전기량을 상기 전기량 표시 유닛을 통하여 표시하는 중앙 제어 부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식 로크는 동물 발톱같은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의 수평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와 정합되는 제2수용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식 로크는 상기 연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부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안장 시트 튜브, 프레임과 상호 작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방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범 장치는 중앙 제어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 시트 튜브는 상기 프레임은 고정 연결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중앙 제어 부품,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장 시트 튜브와 상기 수용 공간의 상방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의 형상은 상기 배터리의 형상과 정합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는 방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에 상기 안장 시트 튜브를 향한 일측에 호형 홈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안내부의 상기 배터리를 향한 일측에 레일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 가이드는 상기 안장 시트 튜브에 평행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에 상기의 레일 가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와 정합되는 가이드 홈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호형 홈과 싱기 안장 시트 튜브가 정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이 상기 레일 가이드와 정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는 방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범 장치는 또한 밑받침을 포함하고 상기 밑받침은 상기 수용 공간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안장 시트 튜브와 고정 연결되며 상기 밑받침에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저부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요함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요함부의 형상은 서로 매칭되는 방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밑받침에 또한 제1전기 연결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밑받침 내에 전동기 제어기가 설치되며 상기 전동기 제어기는 제1전기 연결 부품을 통하여 배터리와 연결되고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는 방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의 정부에 회전가능한 핸들이 설치되는 방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 아치형의 톱날 방지 봉이 설치되고 상기 톱날 방지 봉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과 상기 배터리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톱날 방지 봉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과 상기 배터리의 접촉면의 외측에서 차단을 형성하고 상기 톱날 방지 봉의 높이는 상기 로크 헤드의 높이보다 높은 방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톱날 방지봉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톱날 방지편이 설치되고 상기 톱날 방지편의 일단이 상기 톱날 방지 봉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톱날 방지편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과 상기 배터리의 접촉면의 외측에 위치되는 방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모페드를 공개하였는 바 상기와 같은 방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방안을 사용한 후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1. 하우징 커버는 차량에 활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차량 탑재 부품의 수리와 교체에 편리하다.
2. 하우징 커버는 타인에 의해 분해되기 어렵고 또한 그 내부의 차량 탑재용 부품이 절취되거나 파괴되기 어렵다.
3. 중앙 제어 부품이 차량 배터리가 절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사용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다.
4. 중앙 제어 스위치를 통하여 로크 헤드의 들어감을 제어해야 전자식 로크를 열 수 있고 배터리를 꺼낼 수 있는 바, 잠겨진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배터리를 꺼낼 수 없어 일정한 정도에서 배터리의 방범 확율을 낮추었다.
5. 배터리와 안장 시트 튜브, 및 차량 받침대의 정합이 긴밀하고 모페드가 행진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작고 발생하는 소음이 낮으며 배터리 및 기타 정합 부품이 손상하기 어렵다.
6. 배터리와 중앙 제어 유닛 양측의 프레임에 톱날 방지 봉이 설치되어 배터리가 로크 헤드를 절단하는 것을 통하여 절취되기 어렵고 프레임의 안정성을 높였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하우징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하우징 커버가 프레임에 장착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되는 하우징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되는 중앙 제어 부품의 분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방범 장치의 장착한 후의 구조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배터리를 절반 꺼낼 때의 방범 장치의 구조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방범 장치의 분해도이다.
다음으로 도면과 구체적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우점을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후속의 설명에서 요소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듈”, “부품” 또는 “유닛” 등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편리하기 위한 것인 바 그 자체는 특정된 의미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모듈”과 “부품”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차량 탑재용 부품인 하우징 커버(1)이다. 상기 차량 탑재용 부품을 구비하는 차량은 모페드, 전동차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1)은 중공의 커버 구조이고 내부에 상기 차량 탑재용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있고 밑면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기타 각 면은 봉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1)의 한 측면의 밑부분에 판상의 돌출부(11)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11)와 소재되어 있는 측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11)에 제1통공(12)이 설치되어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커버(1)는 연결판(2)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프레임(3)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2)은 수평부(21)와 상기 돌출부(11)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절곡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22)에 상기 제1통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통공(221)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1)와 상기 연결판(2)은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볼트는 상기 제1통공(12)과 상기 제2통공(221)을 차례대로 통과하며, 상기 제1볼트의 볼트 헤드는 상기 돌출부의 한 측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통공(12)과 제2통공(211)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볼트는 제1통공(12)과 제2통공(211)의 내측 나사산과 차례대로 치합되어 하우징 커버(1)와 연결판(2)을 연결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부(22)의 통공(221)의 외측에는 상기 제1볼트와 서로 정합되는 너트가 고정 설치되고 너트는 절곡부(22)에 용접되고 너트의 스크류 홀(screwed hole)은 상기 제2통공과 맞춰지고 제1볼트는 제1통공(12)과 제2통공(211)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제2통공(211) 외측의 너트와 치합되어 하우징 커버(1)와 연결판(2)을 연결시킨다.
상기 차량의 안장 시트 튜브(4)와 프레임(3)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5)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판(2)과 상기 프레임(3)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절곡부(22)는 상기 배터리(5)를 향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접하는 방식을 통하여 고정 연결하고 상기 연결판(2)의 외부 가장자리는 프레임(3)에 용접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1)는 상기 제1볼트를 통하여 상기 연결판(2)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11)가 위치된 측면은 상기 배터리(5) 쪽을 향한다. 배터리(5)는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되고 배터리(5)는 상기 볼트 헤드의 위치에서 차단을 형성하여 제1볼트를 꺼내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1)로 하여금 상기 연결판(2)으로부터 분해되지 못하게 하며; 상기 배터리(5)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꺼낼 시 상기 볼트 헤드 부위의 차단이 제거되고 상기 제1볼트를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1)가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터리(5)가 수용 공간 내에 있으면 하우징 커버(1)를 분해시킬 수 없게 되고 하우징 커버(1) 내의 차량 탑재용 부품도 절취되거나 파괴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 중에서 차량 배터리(5)를 차에 고정하여 잠그는 것을 통하여 배터리의 절취를 방지하는 바, 배터리의 절취를 방지하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는데 매우 용이하기에 여기에서는 더는 상세하게 언급하지 아니한다.
도3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커버는 하부 셀(13)과 상부 커버(14)를 포함하고 하부 셀(13)은 중공의 구조인 바 상하관통되고 주위에 측벽이 있고 하부 셀(13)의 상부에는 스크류 홀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14)의 형태는 상기 하부 셀(13)과 서로 적응되고 상기 상부 커버(14)에서 상기 하부 셀(13)의 스크류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하게 스크류 홀이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11)는 상기 하부 셀(13)의 한 측면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셀(13)과 상기 연결판(2)은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하부 셀(13)과 상부 커버(14)는 제2볼트를 통하여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볼트는 상기 하부 셀(13)과 상기 상부 커버(14)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이를 고정 연결시키고 상기 제2볼트의 볼트 헤드는 상기 하부 셀(13)의 내부에 위치되고 볼트는 단지 중앙 제어 부품에서 연결판으로부터 분해하여 꺼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셀(13)과 상부 커버(14)의 스크류 홀 내에 나사산이 설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14) 스크류 홀의 외곽에 상기 제2볼트와 매칭되는 너트가 용접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되는 중앙 제어 부품(6)의 분해도이다. 상기 중앙 제어 부품(6)은 상기 하우징 커버(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제어 부품(6)은 전자식 로크(61)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로크(61)는 돌출 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는 로크 헤드(611)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헤드(611)는 상기 배터리(5)를 향한 쪽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1)에 상기 로크 헤드(6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5)에 상기 로크 헤드(6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로크 헤드(611)와 정합되는 제1수용부(51)가 설치되며 상기 로크 헤드(611)가 상기 수용부(51)까지 돌출 나올 시 상기 배터리(5)의 위치가 잠겨지고, 상기 배터리(5)를 꺼낼 수 없게 된다. 이 때, 배터리(5)는 하우징 커버(1)와 연결판(2)을 연결하는 제1 볼트의 볼트 헤드 외측에서 차단을 형성하고 배터리(5)를 꺼낼 수 없는 상황에서 하우징 커버(1)도 분해될 수 없게 되고 하우징 커버(1) 내의 전자식 로크(61)도 꺼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단지 전자식 로크(611)를 여는 방식만으로 배터리(5)를 꺼내어 하우징 커버(1)를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제어 부품(6)과 하우징 커버(1)는 배터리(5)와 정합하는 것을 통하여 배터리(5)의 방범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중앙 제어 부품(6) 자신의 방범도 실현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 부품(6)은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는 제어 박스(6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62)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 연결되고 배터리(5)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 박스(62)는 상기 전자식 로크(61)와 전기 연결되며 상기 전자식 로크(61)에 대해 제어한다. 상기 전자식 로크(61)는 상기 제어 박스(62)를 통하여 배터리(5)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식 로크(61)는 배터리(5)와 직접 전기 연결되고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 박스(62)는 통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식 로크(61)의 개폐를 제어하고 즉 로크 헤드(611)의 신축여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유닛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또는 WiFi통신 모듈 및/ 또는 NFC통신 모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식 로크(61)와 제어 박스(62)는 하부 셀(13)과 상부 커버(14)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셀(13) 내부에 격판(63)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63)과 상기 하부 셀(13)은 고정 연결되어 하부 셀을 상하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 고정 연결의 방식은 바람직하게 용접을 선택한다. 상기 제어 박스(62)는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판(63)과 상기 상부 커버(1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자식 로크(61)는 하부에 설치되며 격판(63)과 연결판(2) 사이에 위치된다. 전자식 로크(61)가 제어 박스(62)에 비해 원가가 더욱 높기에 이러한 설치는 상부 커버(14)가 파괴되어 제어 박스(62)가 꺼내게 되어도 전자식 로크(61)를 열어 배터리(5)를 꺼낼 수 없는 것을 확보하였다. 이로부터 하부 셀(13)도 분해할 수 없게 되어 전자식 로크(61)를 꺼낼 수 없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박스(62)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로크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로크는 차량의 앞부분 또는 뒤부분에 설치되며 차량의 앞 포크 또는 차신의 지지대에 고정연결되고 앞바퀴 또는 뒤바퀴를 잠그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박스의 통신 유닛은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로크의 개폐를 제어하고 브레이크 로크가 폐쇄되는 상황하에서 브레이크 로크는 차바퀴를 잠그고 차바퀴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의 방범 성능을 제고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전기량 표시 유닛(64)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량 표시 유닛과 상기 제어 박스(62)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박스(62)의 처리 유닛은 상기 배터리(5)의 전기량을 검측하고 전기량을 상기 전기량 표시 유닛(64)을 통하여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량 표시 유닛은 4개의 LED램프를 포함하고 4개의 LED램프가 모두 켜질 때 배터리(5)의 전기량이 충만되는 것을 표시하고 4개의 LED램프가 모두 꺼질 때 배터리(5)의 전기량이 0인 것을 표시한다. 램프가 켜진 개수는 전기량의 백분율에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식 로크(61)의 밑부분에 동물 발톱같은 지지부(612)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2)의 수평부(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와 정합되는 제2수용부(211)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612)는 상기 제2수용부(21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식 로크(61)는 상기 연결판에 연결된다.
도5,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방범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모페드의 안장 시트 튜브(7), 프레임(3)과 상호 작용하여 배터리(5)를 고정시킨다. 상기 차량은 모페드, 전동차를 포함하는 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방범 장치는 중앙 제어 부품(6)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 시트 튜브(7)는 상기 프레임(3)과 고정 연결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3)은 안장 시트 튜브(7)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일단은 안장 시트 튜브(7)와 고정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차바퀴 축과 고정 연결되며 대칭되는 프레임(3) 사이는 즉 상기 수용공간이다. 상기 중앙 제어 부품(6)은 상기 프레임(3)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과 고정 연결된다. 상기 중앙 제어 부품(6), 상기 프레임(3)과 상기 안장 시트 튜브(7)은 상기 수용 공간의 상방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의 형상은 상기 배터리(5)의 형상과 정합되며 상기 배터리(5)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된다. 상기 중앙 제어 부품(6)은 전자식 로크(61)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로크(61)는 신축가능한 로크 헤드(611)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헤드(611)는 상기 배터리(5)를 향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5)에서 상기 로크 헤드(6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수용부(51)가 설치되며 상기 상기 로크 헤드(611)가 돌출 나올 시 상기 제1수용부(51)와 정합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5)의 위치가 잠겨지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꺼낼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중앙 제어 부품(6)을 통하여 전자식 로크(61)를 열어 전자식 로크(61)의 로크 헤드(611)가 들어가게 하여야만 배터리(5)를 꺼낼 수 있는 바, 안장을 들어 올리거나 안장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배터리(5)를 꺼낼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방범 장치는 우수한 방범 성능을 구비하고 배터리가 절취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5)에 상기 안장 시트 튜브(7)를 향한 일측에 호형 홈(52)이 설치되고 호형 홈(52)의 호도( 弧度, radian)는 안장 시트 튜브(7)의 호도와 일치하며,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안내부(8)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8)는 상기 프레임(3)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안내부(8)의 상기 배터리(5)를 향한 일측에 레일 가이드(81)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 가이드(81)는 상기 안장 시트 튜브(7)에 평행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5)에 상기의 레일 가이드(81)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와 정합되는 가이드 홈(54)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5)는 상기 호형 홈(52)과 상기 안장 시트 튜브(7)가 정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54)이 상기 레일 가이드(81)와 정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된다. 호형 홈(52)과 안장 시트 튜브(7)의 라디안이 일치되거나 안장 시트 튜브(7)의 라디안보다 약간 크므로 가이드 홈(54)과 레일 가이드(81)의 크기가 서로 매칭되며 가이드 홈(54)과 레일 가이드(81)가 안장 시트 튜브(7)와 평행되며 한 방면으로는 호형 홈(52)과 안장 시트 튜브(7)를 맞추고 가이드 홈(54)과 레일 가이드(81)를 맞추기만 하면 배터리(5)로 하여금 상기 수용공간에 순리롭게 흘러들어 가도록 할 수 있어 배터리(5)의 장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다른 한 방면에서 가이드 홈(54)과 레일 가이드(81)의 정합 및 호형 홈(52)과 안장 시트 튜브(7)의 정합이 배터리(5)로 하여금 단지 레일 가이드(81)의 방향에 따라 운동할 수 밖에 없도록 하게 되어 로크 헤드(611)가 제1수용부(51)까지 도출 나올 시 배터리의 위치가 완전히 잠겨져 이동할 수 없게 되고, 배터리(5)와 안장 시트 튜브(7) 및 안내부(8)의 정합이 긴밀하기에 행진하는 과정에서 배터리(5)와 프레임(3) 및 안장 시트 튜브(7) 사이의 부딪침과 진동이 작아져 발생하는 소음이 작고 배터리(5) 및 차량 상의 기타 부품도 진동 중에서 파괴되기가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범 장치는 또한 밑받침(9)을 포함하고 상기 밑받침(9)은 상기 수용 공간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프레임(3)과 고정 연결된다. 상기 밑받침(9)에 돌기부(91)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5)의 저부에 요함부가 설치되며 상기 요함부와 상기 돌기부(91)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고 형상이 서로 매칭된다. 상기 배터리(5)는 위로부터 아래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고 배터리(5)는 밑받침(9)의 위에 설치되고 배터리(5)의 저부의 요함부와 밑받침(9) 상의 돌기부(91)가 정합하고 추가적으로 배터리(5)가 밑받침(9)의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이들의 정합이 더욱 긴밀하도록 하여 행진 과정에서의 배터리(5)의 진동을 감소하였고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하였으며 배터리(5) 및 차량 상의 기타 부품도 진동 중에서 파괴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밑받침(9)에 또한 제1전기 연결 부품(92)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5)의 저부에 상기 제1전기 연결 부품(9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전기 연결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5)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제1전기 연결 부품(92)과 제2전기 연결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밑받침(9) 내에 전동기 제어기가 설치되며 상기 전동기 제어기는 제1전기 연결 부품(92)과 제2전기 연결 부품을 통하여 배터리(5)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여 모페드 전동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5)에는 회전가능한 핸들(53)이 설치되어 배터리(5)를 편리하게 장착하고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5, 도6을 계속 참조하기로 한다. 제조 장착 과정에서 오차가 존재하므로 상기 중앙 제어 부품(6)과 상기 배터리(5) 사이에 미흡한 간격이 존재한다. 불법자가 해당 간격을 통하여 로크 헤드(611)를 절단하여 배터리(5)를 절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3)에 아치형의 톱날 방지 봉(20)이 설치되고 상기 톱날 방지 봉(20)은 경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톱날 방지 봉(20)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6)과 상기 배터리(5)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접의 방식으로 프레임(3)과 연결된다. 상기 톱날 방지 봉(20)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6)과 상기 배터리(5)의 접촉면의 외측에서 차단을 형성하고 상기 톱날 방지 봉(20)의 높이는 상기 로크 헤드(611)의 높이보다 높다. 따라서 불법자가 로크 헤드(611)를 절단하는 방식을 통하여 배터리(5)를 절취하기가 어렵다. 동시에 톱날 방지 봉(20)은 또한 프레임(3)의 안정성을 제고하였고 더욱 견고하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상기 톱날 방지봉(20)과 상기 프레임(3) 사이에 톱날 방지편(30)이 설치되고 상기 톱날 방지편(30)도 경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톱날 방지편(30)의 일단이 상기 톱날 방지 봉(20)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프레임(3)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톱날 방지편(30)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6)과 상기 배터리(5)의 접촉면의 외측에 위치되고 톱날 방지 봉(20)의 존재는 로크 헤드(611)를 절단하는 난도를 추가로 높였으며 배터리가 더욱 절취되기 어렵게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모페드를 공개하였고 해당 모페드는 상기 방범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설명 중에서 이해해야 하는 것은 용어로서의 “종방향”, “횡방향”,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정부”, “저부”,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초로 한 방위 또는 위치관계인 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편리하기 위한 간략한 설명이고 기리키는 장치 또는 부품이 반드시 특정된 방위가 있어야 하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하거나 조작하여야 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주의해야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성이 있는 바 본 발명의 임의의 형식에 대한 제한이 아니다. 본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개시한 기술 내용에 근거하여 동등한 유효한 실시예로 변경하거나 수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탈리하지 않는 내용, 및 본 발명의 기술 실질에 근거하여 상기 실시예에 대해 진행한 어떤 수정 또는 동등한 변화 및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의 범위에 속한다.
1-하우징 커버 11-돌출부, 12-제1통공,
13-하부 셀, 14-상부 커버, 2-연결판,
21-수평부, 211-제2수용부, 22-절곡부,
221-제2통공, 3-프레임, 4-안장 시트 튜브,
5-배터리, 51-제1수용부, 6-중앙 제어 부품,
61-전자식 로크, 611-로크 헤드, 612-지지부,
62-제어 박스, 63-격판, 64-전기량 표시 유닛,
7-안장 시트 튜브, 52-호형 홈, 53-핸들,
54-가이드 홈, 8-안내부, 81-레일 가이드,
9-밑받침, 91-돌기부, 92-제1전기 연결 부품,
20-톱날 방지 봉, 30-톱날 방지편

Claims (17)

  1. 차량 탑재용 부품인 하우징 커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한 측면의 밑부분에 판상의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와 소재되어 있는 측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부에 제1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연결판을 통하여 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은 수평부와 상기 돌출부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상기 제1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연결판은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볼트는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하며, 상기 제1볼트의 볼트 헤드는 상기 돌출부의 한 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의 안장 시트 튜브와 프레임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과 상기 프레임은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제1볼트를 통하여 상기 연결판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가 위치된 측면은 상기 배터리 쪽을 향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볼트 헤드의 위치에서 차단을 형성하여 제1볼트를 꺼내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로 하여금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분해되지 못하게 하며; 상기 배터리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꺼낼 시 상기 볼트 헤드 부위의 차단이 제거되고 상기 제1볼트를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가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중공의 하부 셀과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 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연결판은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상부 커버는 제2볼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는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상부 커버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이를 고정 연결시키고 상기 제2볼트의 볼트 헤드는 상기 하부 셀의 내부에 위치되고 볼트는 단지 중앙 제어 부품에서 연결판으로부터 분해하여 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커버.
  4. 중앙 제어 부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제1항의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전자식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로크는 돌출 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는 로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헤드는 상기 배터리를 향한 쪽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에 상기 로크 헤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에 상기 로크 헤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로크 헤드와 정합되는 제1수용부가 설치되며 상기 로크 헤드가 상기 수용부까지 돌출 나올 시 상기 배터리 위치가 잠겨지고, 상기 배터리를 꺼낼 수 없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 내에 설치되는 제어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자식 로크와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박스는 통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식 로크의 개폐를 제어하고 즉 로크 헤드의 신축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중공의 하부 셀과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셀은 상기 연결판과 제1볼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하부 셀과 상기 상부 커버는 제2볼트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하부 셀 내부에 격판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과 상기 하부 셀은 고정 연결되어 하부 셀을 상하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박스는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판과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자식 로크는 하부에 설치되며 격판과 연결판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부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박스와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로크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박스의 통신 유닛은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브레이크 로크의 개폐를 제어하고 브레이크 로크가 폐쇄되는 상황하에서 브레이크 로크는 차바퀴를 잠그고 차바퀴가 회전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부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전기량 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량 표시 유닛과 상기 제어 박스는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박스의 처리 유닛은 상기 배터리의 전기량을 검측하고 전기량을 상기 전기량 표시 유닛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부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로크는 동물 발톱같은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의 수평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와 정합되는 제2수용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식 로크는 상기 연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부품.
  10.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안장 시트 튜브, 프레임과 상호 작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방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범 장치는 청구항4의 중앙 제어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 시트 튜브는 상기 프레임은 고정 연결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 제어 부품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중앙 제어 부품,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장 시트 튜브와 상기 수용 공간의 상방에서 개구를 형성하고 개구의 형상은 상기 배터리의 형상과 정합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상기 안장 시트 튜브를 향한 일측에 호형 홈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안내부의 상기 배터리를 향한 일측에 레일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 가이드는 상기 안장 시트 튜브에 평행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에 상기의 레일 가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와 정합되는 가이드 홈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호형 홈과 싱기 안장 시트 튜브가 정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이 상기 레일 가이드와 정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장치는 또한 밑받침을 포함하고 상기 밑받침은 상기 수용 공간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안장 시트 튜브와 고정 연결되며 상기 밑받침에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저부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요함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요함부의 형상은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밑받침에 또한 제1전기 연결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밑받침 내에 전동기 제어기가 설치되며 상기 전동기 제어기는 제1전기 연결 부품을 통하여 배터리와 연결되고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정부에 회전가능한 핸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아치형의 톱날 방지 봉이 설치되고 상기 톱날 방지 봉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과 상기 배터리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톱날 방지 봉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과 상기 배터리의 접촉면의 외측에서 차단을 형성하고 상기 톱날 방지 봉의 높이는 상기 로크 헤드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톱날 방지봉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톱날 방지편이 설치되고 상기 톱날 방지편의 일단이 상기 톱날 방지 봉과 고정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며 상기 톱날 방지편은 상기 중앙 제어 부품과 상기 배터리의 접촉면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장치.
  17. 청구항 제10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범 장치를 포함하는 모페드.
KR1020207035731A 2018-06-15 2019-05-17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 KR202100200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933327.8U CN208683045U (zh) 2018-06-15 2018-06-15 一种防盗装置及具有该装置的助力车
CN201820933957.5U CN208452769U (zh) 2018-06-15 2018-06-15 一种车载部件的外壳罩及一种中控部件
CN201810623230.1A CN108791686B (zh) 2018-06-15 2018-06-15 一种防盗装置及具有该装置的助力车
CN201810623230.1 2018-06-15
CN201820933957.5 2018-06-15
CN201820933327.8 2018-06-15
PCT/CN2019/087323 WO2019237883A1 (zh) 2018-06-15 2019-05-17 车载部件的外壳罩、中控部件、防盗装置及具有该装置的助力车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017A true KR20210020017A (ko) 2021-02-23

Family

ID=6884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731A KR20210020017A (ko) 2018-06-15 2019-05-17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0017A (ko)
WO (1) WO20192378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7073B2 (ja) * 2013-10-02 2017-04-19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バッテリボックスのロック機構および電動アシスト自転車
CN206691314U (zh) * 2017-04-17 2017-12-01 常州永安公共自行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可拆卸的共享助力自行车
CN107826182B (zh) * 2017-12-05 2024-02-27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车锁机构及其远程控制系统
CN108116581B (zh) * 2017-12-14 2023-10-20 天津爱玛车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
CN108791686B (zh) * 2018-06-15 2024-01-19 永安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盗装置及具有该装置的助力车
CN208452769U (zh) * 2018-06-15 2019-02-01 永安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部件的外壳罩及一种中控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7883A1 (zh)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91686B (zh) 一种防盗装置及具有该装置的助力车
JP2010120626A (ja) 自動二輪車
CN104608739A (zh) 一种汽车防盗系统及方法
US20100052907A1 (en) Bicycle or other mobile object anti-theft alarm device
US11866962B2 (en) Security locking assembly for shipping container doors
KR20210020017A (ko) 차량 탑재용 부품의 하우징 커버, 중앙 제어 부품, 방범 장치 및 해당 장치를 구비한 모페드
US11936412B2 (en) Unlocking an electric bicycle via a mounted device
CN205385055U (zh) 一种防盗式铅酸蓄电池
JP3065337U (ja) 盗難防止用施錠装置
CN109353290B (zh) 汽车车标总成及汽车
CN208452769U (zh) 一种车载部件的外壳罩及一种中控部件
WO2022243743A1 (en) Security locking assembly for shipping container doors
CN212685791U (zh) 一种安全的电池防盗结构
CN210032942U (zh) 无线充电报警碟刹锁
US10611236B2 (en) Work vehicle fuel anti-theft system
CN217789159U (zh) 一种欧式箱变的防盗窃装置
CN205769731U (zh) 摩托车机电联控防盗锁
CN202175132U (zh) 一种电动车防盗装置
CN106043508B (zh) 摩托车机电联控防盗锁
CN217496335U (zh) 一种防电瓶被盗的电动车车架
CN2934506Y (zh) 电子中控防盗锁
CN211468625U (zh) 一种环保电动车防盗装置
CN101397037B (zh) 摩托车发动机锁
CN211765996U (zh) 一种电动自行车的电池防盗锁的防护装置
CN213008517U (zh) 一种防盗锂电池电动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