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684A -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684A
KR20210018684A KR1020190096928A KR20190096928A KR20210018684A KR 20210018684 A KR20210018684 A KR 20210018684A KR 1020190096928 A KR1020190096928 A KR 1020190096928A KR 20190096928 A KR20190096928 A KR 20190096928A KR 20210018684 A KR20210018684 A KR 2021001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frame
nozz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석 filed Critical 최용석
Priority to KR102019009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8684A/ko
Publication of KR2021001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프레임, 중앙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이 3단계의 분리형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팬을 이용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프레임에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고,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 사이에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공기가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프레임의 상부에서 노즐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프레임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폴링을 이용해 물과 공기가 접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대하고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녹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water spray air cleaner}
본 발명은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프레임, 중앙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이 3단계의 분리형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팬을 이용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프레임에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고,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 사이에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공기가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프레임의 상부에서 노즐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프레임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폴링을 이용해 물과 공기가 접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대하고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녹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소정의 필터 또는 전기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며, 가습기는 공기 청정 기능과는 무관하게 초음파 또는 열을 이용한 수증기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바람을 이용하는 자연 기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증기를 발생시켜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에 대한 가습을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제품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데, 이들을 에어워셔(Airwasher) 또는 습식형 공기정화기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가습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3307호(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805667호(특허문헌 2), 공개특허 10-2010-0084828호(특허문헌 3) 등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공기정화기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에 다수의 디스크를 설치하며, 이러한 다수의 디스크는 그 일부가 물탱크에 담긴 물에 잠긴 상태로 회전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조립체를 향하여 송풍팬으로부터의 에어플로를 형성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디스크의 표면에 형성된 수막에 포획되도록 하여 물탱크 내부의 물 속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은 물은 송풍팬의 송풍에 의해 자연 증발시킴으로써 가습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와 같은 공기청정 및 가습 기능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물기를 자연 증발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에어플로와 물과의 접촉 면적의 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첫째 송풍팬에서 발생한 에어플로가 접촉하는 면적은 실질적으로 디스크의 표면적의 일부로 한정되고 있고, 둘째 에어플로가 디스크의 표면에 한 번 접촉한 후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공기청정 및 가습 기능에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디스크는, 그 표면적을 충분히 넓히기 위하여 그 간격이 좁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그 표면의 청소가 어렵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공기청정이라고 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성능이 나빠질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다수의 디스크를 장착하고 있는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모터와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의 모터를 포함하여 다수의 모터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모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은 구성부품의 수가 증가함은 물론이고, 이로 인한 조립 공정도 복잡해지는 단점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음은 당연하다. 즉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성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한 생산 단가의 상승 및 조립공정에서의 생산성 저하라고 하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KR10-0863307 (등록번호) 2008.10.07 KR10-0805667 (등록번호) 2008.02.14 KR10-2010-0084828 (공개번호) 2010.07.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어부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공기가 물과 만나며 정화되는 중앙부프레임,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이 보관되는 하부프레임이 3단계의 분리형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팬을 이용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프레임에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고,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 사이에서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공기가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대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노즐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되, 상기 내부프레임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폴링을 이용해 물과 공기가 접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대하여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녹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보관되는 물은 펌프에 의해서 계속 순환하고, 순환되는 과정에서 농축되는 오염물질은 상기 내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거름망을 통해 걸러지며, 상기 거름망은 탈부착가능하여 손쉽게 교환가능한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유로 구조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하방흐름과 상방흐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방흐름이 있는 공간에서 물과 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된 공기가 물과 접하는 과정에서 플라즈마 이온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음이온과 미량의 오존이 추가되어 물에 녹는 과정에서 공기와 물을 살균하여 물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손잡이를 이용해 상부프레임을 중앙부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상기 중앙부프레임 상부에서 부족한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를 정화하는 거름망의 입자가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을 거름망에서 걸러내어 오염물질이 노즐의 분사구를 막지 않도록 하며,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거름망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부(110)가 설치되고, 상부공간(100a) 하부 중심부에 팬(120)이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제2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되며, 상기 팬(120) 하부에서 공기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하부공간(100b)에 플라즈마 이온발생기(140)가 장착되고, 중심부에 펌프(150)가 연결된 노즐(160)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대부(170)에 삽입장착되는 상부프레임(100)과;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210)과, 상기 외부프레임(210) 내측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흡입구(211)에서 유입된 공기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유입망(220)이 삽입장착되고 내부공간에 물 표면적을 확대하는 다수개의 폴링(230)이 삽입되며 하부에 상기 폴링(230)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유출망(240)이 구비되는 내부프레임(250)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프레임(250) 하부에서 외주면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1공기배출구(260)가 형성되고 거름망(270)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앙부프레임(200)과; 상기 중앙부프레임(2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름망(270)을 통과한 물이 보관되며, 내부에 보관된 물이 노즐(160)로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10)에는 전원버튼(111)과 제어를 위한 스위치(11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을 중앙부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동을 위한 손잡이(113)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프레임(100)에는 하부에서 확대부(17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확대부(170) 양측에 부채꼴 형태의 상부공기이동부(180)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프레임(210)의 상부면에는 중심부에 확대부(170)가 삽입되는 확대부삽입부(212)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기이동부(180)와 대응되는 하부공기이동부(213)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210)의 하부면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프레임(300)에 보관되는 물은 펌프(150)에 의해 끌어올려져 물이송부(190)를 통해 이동하여 확대부(170)에 설치된 노즐(160)에서 분사되며, 상기 거름망(270)은 그 입자의 크기가 노즐(160)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프레임(300) 하부에는 받침다리(310)가 다수개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유입망(220)에는 상부 외주면에 고정돌기(22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50)의 상부에 고정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공기가 물과 만나며 정화되는 중앙부프레임,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이 보관되는 하부프레임이 3단계의 분리형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팬을 이용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프레임에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고,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 사이에서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공기가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대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노즐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되, 상기 내부프레임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폴링을 이용해 물과 공기가 접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대하여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녹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보관되는 물은 펌프에 의해서 계속 순환하고, 순환되는 과정에서 농축되는 오염물질은 상기 내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거름망을 통해 걸러지며, 상기 거름망은 탈부착가능하여 손쉽게 교환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공기의 유로 구조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하방흐름과 상방흐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방흐름이 있는 공간에서 물과 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정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가 물과 접하는 과정에서 플라즈마 이온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음이온과 미량의 오존이 추가되어 물에 녹는 과정에서 공기와 물을 살균하여 물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손잡이를 이용해 상부프레임을 중앙부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상기 중앙부프레임 상부에서 부족한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정화하는 거름망의 입자가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을 거름망에서 걸러내어 오염물질이 노즐의 분사구를 막지 않도록 하며,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거름망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의 단면을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5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 상태도이고,
도 5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에서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여 실내 공기의 정화 및 가습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공간(100a)에 제어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간(100a) 하부 중심부에 팬(120)이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제2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되며, 상기 팬(120) 하부에서 공기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하부공간(100b)에 플라즈마 이온발생기(140)가 설치되고, 중심부에 펌프(150)가 연결된 노즐(160)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대부(170)에 삽입장착되는 상부프레임(100)과,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210)과, 상기 외부프레임(210) 내측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흡입구(211)에서 유입된 공기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유입망(220)이 삽입장착되고 내부공간에 물 표면적을 확대하는 다수개의 폴링(230)이 삽입되며 하부에 상기 폴링(230)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유출망(240)이 구비되는 내부프레임(250)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프레임(250) 하부에서 외주면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1공기배출구(2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배출구(260) 하부에서 거름망(270)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앙부프레임(200)과,
상기 중앙부프레임(2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름망(270)을 통과한 물이 보관되며, 내부에 보관된 물이 노즐(160)로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상부프레임(100), 중앙부프레임(200), 하부프레임(300)이 3단계의 분리형 모듈로 이루어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제어부(110)와 팬(120)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부프레임(200)은 공기가 물과 만나며 정화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300)은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이 보관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상부공간(100a)과 하부공간(100b) 그리고 상부공간(100a)과 하부공간(100b) 사이에 팬(120)이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100a)은 제1격벽(101)으로 팬(120)이 설치되는 공간과 분리되고, 상기 하부공간(100b)은 제2격벽(102)으로 팬(120)이 설치되는 공간과 분리된다.
상기 상부공간(100a)에 설치되는 제어부(110)는 상면부에 전원버튼(111)과 제어를 위한 스위치(11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을 중앙부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게 하고 이동을 위한 손잡이(113)가 설치된다.
상기 제1격벽(101)과 제2격벽(102) 사이에 설치되는 팬(120)은 중심에 모터(121)가 장착되는 다수의 날개로 구비되어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흡입구(211)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하여 제1공기배출구(260) 및 제2공기배출구(13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팬(120)은 제어부(110)의 스위치(112)에 의해 속력이 조절되어 흡입되고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격벽(102)은 팬(120)이 설치되는 중심부가 개방되어 팬(120)에서 중앙부프레임(200)의 내부프레임(250)에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공기배출구(13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공기배출구(130)는 상부공간(100a)과 하부공간(100b) 사이에서 상부프레임(10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팬(120)에서 흡입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플라즈마 이온발생기(140)는 오염된 외부공기가 물과 접하는 과정에서 살균 이온을 분출하여 공기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살균 이온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물필터를 이용하여 2중으로 공기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펌프(150)는 하부프레임(300)에 보관되는 물을 펌핑하여 노즐(160)을 통해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노즐(160)과 물이송부(190)가 연결장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기 노즐(160)이 중심부에 삽입고정되는 확대부(17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확대부(170) 양측에 부채꼴 형태의 상부공기이동부(180)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공기이동부(180)는 정화된 공기가 상부프레임(100)으로 유입되는 부분으로 외부공기는 유입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프레임(200)의 하부공기이동부(213)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공기이동부(180)는 일측에 물이송부(190)가 삽입되어 상부프레임(100)의 하부공간(100b)에서 상기 물이송부(190)가 펌프(150)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물이송부(190)는 상기 하부프레임(30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펌프(150)로 이송하는 관으로 하부프레임(300) 내측에서 중앙부프레임(200)을 지나 상부프레임(100)까지 이송하도록 그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상기 손잡이(113)를 잡아당겨서 상기 중앙부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중앙부프레임(200), 하부프레임(3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손잡이(113)를 잡고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하부에서 돌출형성되는 확대부(17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중심부에 설치되는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물이 방사상으로 넓게 퍼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프레임(200)의 외부프레임(210) 상부면 중심에 관통형성되는 확대부삽입부(212)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확대부삽입부(212)는 확대부(170)가 삽입되는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00)에 보관된 물이 부족할 경우 상부프레임(100)을 분리하고 물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중앙부프레임(200)은 외부프레임(210)과, 상기 외부프레임(210) 내측에서 일정간격 이격형성된 내부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프레임(210)과 내부프레임(250)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211)에서 흡입된 외부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프레임(210)은 상부면 중심부에 확대부삽입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확대부삽입부(212)의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부채꼴 형태의 하부공기이동부(213)가 형성되되, 상기 흡입구(211)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는 바로 하부공기이동부(213)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내부프레임(25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211)는 외부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내부프레임(2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과는 격벽으로 분리형성된다.
상기 외부프레임(210)과 내부프레임(250) 사이에는 네 개의 분리된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네 개의 공간 중에 두 개의 공간이 흡입구(211)에서 흡입된 외부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두 개의 공간이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구(211)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는 실내공기가 되며, 오염된 상태의 공기로서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를 위해 내부프레임(250)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플라즈마 이온발생기(140)에서 발생하는 음이온과 오존에 의해 살균되고, 상기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물과 만나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노즐(160)에서 분사된 물과 만난 공기는 상기 내부프레임(250)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유입망(220)을 통과하고, 상기 내부프레임(250)의 내측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폴링(230)에 의해 물표면적을 확대하여 물과 접촉되는 시간이 늘어나도록 구비된다.
상기 유입망(220)은 상기 내부프레임(250)에 삽입되되, 내부프레임(250) 상부에서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221)에 의해 내부프레임(250)의 상부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확대부(170)보다 그 면적이 넓게 구비된다.
상기 폴링(230)은 내부프레임(250)에 삽입구비되는 필터와 같은 역할로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되고, 수세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과 공기가 접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대하여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녹여내도록 한다.
상기 폴링(230)은 내부프레임(250) 내측에서 상기 유입망(220)과 유출망(240) 사이에 가득차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물이 내려오는 속도를 늦출 수 있게 구비된다.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물에 녹아내려 오염된 물을 내부프레임(250)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망(240)을 통과하여 거름망(27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져 하부프레임(300)에 보관되게 된다.
이때, 오염물질이 물에 녹아내려 정화된 공기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망(2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공기배출구(260)를 통과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상기 내부프레임(250)과 외부프레임(210) 사이 공간, 상기 흡입구(211)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 사이에 격벽에 의해 분리된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중앙부프레임(200)의 하부공기이동부(213)와 상부프레임(100)의 상부공기이동부(180)를 통과하여 팬(120) 하부 공간에서 빨아올려져 제2공기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거름망(27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하부프레임(300)에 보관되되, 상기 펌프(150)에서 펌핑하여 상기 노즐(160)을 통해 분사되도록 순환시키기 위해 물이송부(190)가 구비되며, 상기 물이송부(190)가 상기 하부프레임(300) 내측에서 중앙부프레임(200)을 지나 상부프레임(100)까지 연장설치되어 물을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름망(270)은 그 입자의 크기가 노즐(160)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물 속의 입자성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노즐(160)이 막히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공기배출구(260) 하부에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기간마다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거름망(270)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오염물질이 쌓여서 압력센서에서 이를 인지하면 상기 제어부(110)에서 거름망(270)의 교체시기를 알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250)에서는 물과 만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되, 하부로는 이물질이 섞인 물이 배출되어 거름망(270)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분리되고, 물과 만나 정화된 공기는 제1공기배출구(260)를 통해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거름망(270)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분리된 물이 보관되되, 상기 물이송부(190)를 통해 이송될 물을 저장해야하는 하부프레임(300)은 내측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물이 일정높이 이하로 줄어들면 제어부(110)에 신호를 보내 사용자가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300)을 물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용기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한 받침다리(3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상부프레임(100)의 상부면에 설치된 전원버튼(111)을 누르면 팬(120)이 회전하며 중앙부프레임(200)의 외부프레임(210)에 형성된 흡입구(211)를 통해 실내에 있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프레임(25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내부프레임(250) 상부측에서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많은 양의 물에 의해 공기와 물이 만나 낙하한다.
이때, 상기 플라즈마 이온발생기(140)로부터 발생된 음이온과 미량의 오존에 의해 공기와 물이 살균되고, 상기 폴링(230)에 의해 물이 내려오는 속도가 늦춰져 물과 공기가 오래 만나게 되며, 오염물질을 물에 녹여내어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정화된 공기는 내부프레임(25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1공기배출구(260)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공기배출구(130)를 통해 외부, 즉 실내로 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제어부(110)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0), 공기가 물과 만나며 정화되는 중앙부프레임(200), 공기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이 보관되는 하부프레임(300)이 3단계의 분리형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팬(120)을 이용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부프레임(200)에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210)과 내부프레임(250)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고,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 사이에서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에서 공기가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프레임(25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대부(170)의 중심에 설치되는 노즐(160)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되, 상기 내부프레임(25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폴링(230)을 이용해 물과 공기가 접할 수 있는 표면적을 확대하여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물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녹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하부프레임(300)에 보관되는 물은 펌프(150)에 의해서 계속 순환하고, 순환되는 과정에서 농축되는 오염물질은 상기 내부프레임(250) 하부에 설치되는 거름망(270)을 통해 걸러지며, 상기 거름망(270)은 탈부착가능하여 손쉽게 교환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공기의 유로 구조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하방흐름과 상방흐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방흐름이 있는 공간에서 물과 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정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가 물과 접하는 과정에서 플라즈마 이온발생기(140)로부터 발생된 음이온과 미량의 오존이 추가되어 물에 녹는 과정에서 공기와 물을 살균하여 물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설치된 손잡이(113)를 이용해 상부프레임(100)을 중앙부프레임(200)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고, 상기 중앙부프레임(200) 상부에서 하부프레임(300)으로 부족한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정화하는 거름망(270)의 입자가 노즐(160)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을 거름망(270)에서 걸러내어 오염물질이 노즐(160)의 분사구를 막지 않도록 하며,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거름망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다.
100 : 상부프레임 100a : 상부공간
100b : 하부공간 101 : 제1격벽
102 : 제2격벽 110 : 제어부
111 : 전원버튼 112 : 스위치
113 : 손잡이
120 : 팬 130 : 제2공기배출구
140 : 플라즈마 이온발생기 150 : 펌프
160 : 노즐 170 : 확대부
180 : 상부공기이동부 190 : 물이송부
200 : 중앙부프레임 210 : 외부프레임
211 : 흡입구 212 : 확대부삽입부
213 : 하부공기이동부 220 : 유입망
221 : 고정돌기 230 : 폴링
240 : 유출망 250 : 내부프레임
260 : 제1공기배출구 270 : 거름망
300 : 하부프레임 310 : 받침다리

Claims (7)

  1. 제어부(110)가 설치되고, 상부공간(100a) 하부 중심부에 팬(120)이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제2공기배출구(130)가 형성되며, 상기 팬(120) 하부에서 공기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하부공간(100b)에 플라즈마 이온발생기(140)가 장착되고, 중심부에 펌프(150)가 연결된 노즐(160)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확대부(170)에 삽입장착되는 상부프레임(100)과;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외부프레임(210)과, 상기 외부프레임(210) 내측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흡입구(211)에서 유입된 공기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노즐(160)에서 분사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는 유입망(220)이 삽입장착되고 내부공간에 물 표면적을 확대하는 다수개의 폴링(230)이 삽입되며 하부에 상기 폴링(230)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유출망(240)이 구비되는 내부프레임(250)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프레임(250) 하부에서 외주면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1공기배출구(260)가 형성되고 거름망(270)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앙부프레임(200)과;
    상기 중앙부프레임(2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름망(270)을 통과한 물이 보관되며, 내부에 보관된 물이 노즐(160)로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프레임(300);을 포함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에는 전원버튼(111)과 제어를 위한 스위치(11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을 중앙부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동을 위한 손잡이(113)가 설치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에는 하부에서 확대부(17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확대부(170) 양측에 부채꼴 형태의 상부공기이동부(180)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10)의 상부면에는 중심부에 확대부(170)가 삽입되는 확대부삽입부(212)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기이동부(180)와 대응되는 하부공기이동부(213)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210)의 하부면은 개방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00)에 보관되는 물은 펌프(150)에 의해 끌어올려져 물이송부(190)를 통해 이동하여 확대부(170)에 설치된 노즐(160)에서 분사되며,
    상기 거름망(270)은 그 입자의 크기가 노즐(160)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보다 작은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00) 하부에는 받침다리(310)가 다수개 구비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망(220)에는 상부 외주면에 고정돌기(221)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50)의 상부에 고정장착되는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KR1020190096928A 2019-08-08 2019-08-08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KR20210018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28A KR20210018684A (ko) 2019-08-08 2019-08-08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28A KR20210018684A (ko) 2019-08-08 2019-08-08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684A true KR20210018684A (ko) 2021-02-18

Family

ID=7468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928A KR20210018684A (ko) 2019-08-08 2019-08-08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86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735A (ko) 2021-07-14 2023-01-25 문웅주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67B1 (ko) 2006-12-29 2008-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기 및 가습기용 디스크
KR100863307B1 (ko) 2007-03-26 2008-10-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KR20100084828A (ko) 2009-01-19 2010-07-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67B1 (ko) 2006-12-29 2008-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기 및 가습기용 디스크
KR100863307B1 (ko) 2007-03-26 2008-10-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KR20100084828A (ko) 2009-01-19 2010-07-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735A (ko) 2021-07-14 2023-01-25 문웅주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0333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JP2008518776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1152015B1 (ko)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US20060230713A1 (en) Wet type air cleaner
JP2008518777A (ja) 湿式空気清浄機
JP2012525258A (ja) 湿式空気浄化装置
JP2008520422A (ja) 湿式空気清浄機
JP2008520423A (ja) 湿式空気清浄機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20180107656A (ko) 공기 청정기
KR102107164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KR20120051887A (ko) 공기청정기
KR20210018684A (ko) 물분사식 공기 청정기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20200001819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1321602B1 (ko) 공기 정화, 방향, 살균 및 가습 기능을 가지는 습식 방식의 공기 여과기
JP2000033216A (ja) ミスト発生装置
KR20060020979A (ko) 공기 정화 겸용 가습기
JP2017176334A (ja) 空気浄化装置
KR102237686B1 (ko) 공기 살균 장치
KR20220125593A (ko) 공기청정기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