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266A -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 Google Patents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266A
KR20210018266A KR1020207034902A KR20207034902A KR20210018266A KR 20210018266 A KR20210018266 A KR 20210018266A KR 1020207034902 A KR1020207034902 A KR 1020207034902A KR 20207034902 A KR20207034902 A KR 20207034902A KR 20210018266 A KR20210018266 A KR 2021001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rapping material
wiring
conductive
lin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하기하라
시게토 오쿠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7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bonding or embedding conductive wire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7Conductive fabrics or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40Electronic or electrical compon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3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 D10B2403/0243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functional properties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sensor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63Mea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81Layout details of a single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ven Fabr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포재 본체,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상기 전극부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배선부를 가지고, 상기 전극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와 상기 배선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가,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인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Description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본 개시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布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체 신호 계측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하는 포재로는, 예를 들면, 생체 접촉용 또는 센서 접속용의 전극부와 이것에 접속하는 배선부를 구비한 포재가 이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등).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17-70599호
그러나, 전극부 및 배선부를 구비하는 포재에서는, 전극부와 배선부를 별개로 설치하고 접속 재료(땜납, 도전성 페이스트 등) 또는 접속 부재(코킹(caulking), 커넥터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특히, 포재에 생체 접촉용 전극부를 설치하는 경우, 생체 접촉용 전극부는 노출될 필요가 있는 한편, 배선부는 절연하기 위해 절연재로 피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극부와 배선부를 개별적으로 제작해, 접속 재료 또는 접속 부재로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포재의 반복적인 변형(예를 들면, 뒤틀림, 접어 구부림, 신장(伸長) 등)에 의해, 전극부와 배선부의 접속부가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접속 재료 또는 접속 부재에 의해 전극부와 배선부를 접속하면, 반복의 포재의 변형에 의해, 접속 재료 또는 접속 부재의 균열이 생긴다. 그리고, 접속부의 열화가 진행하면, 전극부와 배선부의 접속 불량이 생긴다.
또한 전극부에 포함되는 도전성 선상체(線狀體)와 배선부에 포함되는 도전성 선상체를,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한 구조는, 접속 재료에 의해 접속한 구조에 비해, 반복의 포재의 변형에 대한 내구성은 높지만, 접속부의 유연성이 뒤떨어져, 유연성을 가지는 포재로서 이용가치가 저하한다.
그래서, 본 개시 과제는, 포재로서 유연성을 가지면서, 반복적인 변형에 의한 전극부와 배선부의 접속 불량을 억제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1>
포재 본체,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상기 전극부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배선부,
를 가지고,
상기 전극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와 상기 배선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는,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인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2>
신축성을 가지는 <1>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3>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신장하기 전의 상기 배선부의 저항에 대한, 최대 신장의 50%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신장한 경우의 상기 배선부의 저항 변화율이 10% 이하인 <2>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4>
상기 전극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의 일부가 상기 포재 본체의 실로 구속되어 있는 <1> ~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5>
상기 전극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는 상기 포재 본체에 직조되어 있거나(woven), 편조되어 있거나(knitted), 혹은 자수놓아져 있거나(embroidered), 또는 상기 전극부는 상기 도전성 선상체에 의해 바느질되어 있는 <4>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6>
상기 전극부는,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1> ~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7>
상기 전극부는, 생체 접촉용 전극부인 <6>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8>
상기 배선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의 일부가 상기 포재 본체의 실로 구속되어 있는 <1> ~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9>
상기 배선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는 상기 포재 본체에 직조되어 있거나, 편조되어 있거나, 혹은 자수놓아져 있거나, 또는 상기 배선부는 상기 도전성 선상체에 의해 바느질되어 있는 <8>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10>
상기 배선부는, 상기 포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1> ~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11>
상기 전극부 및 상기 배선부에 포함되는 도전성 선상체는, 카본 나노 튜브사(carbon nanotube yarn)를 포함하는 도전성 선상체인 <1> ~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본 개시에 따르면, 포재로서 유연성을 가지면서, 반복적인 변형에 의한 전극부와 배선부의 접속 불량을 억제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에서, 도전성 선상체를 직조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에서, 도전성 선상체를 편조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에서, 도전성 선상체를 자수놓은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의 제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의 제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 일례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전체 도면을 통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 ~ 」를 이용한 수치 범위는, 「 ~ 」의 전후에 나타낸 수치가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되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서, 하나의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로 치환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실시예에 나타내고 있는 값으로 치환되어도 좋다.
「공정」이라는 용어는, 독립한 공정 뿐만이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 공정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는, 포재 본체,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상기 전극부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배선부를 가진다.
그리고, 전극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와 배선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란,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이다.
또한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란, 도전성 선상체의 단부끼리를, 선상체 이외의 다른 접속 재료(땜납, 도전성 페이스트 등) 또는 접속 부재(코킹, 커넥터 등)를 이용하지 않고, 매듭 또는 꼬임 등에 의해 결합된 선상체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에서는, 전극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와 배선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를,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로 하고 있다. 즉, 전극부와 배선부는,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포재의 반복적인 변형〔예를 들면, 뒤틀림, 접어 구부림, 신장 등)에 의해, 전극부와 배선부의 접속부가 열화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전극부와 배선부의 접속 불량이 억제된다. 그리고, 포재로서 유연성도 유지된다.
여기서, 「포재 본체」란, 도전성 선상체가 설치되는 대상이 되는 포재를 나타낸다.
「전극부 또는 배선부가 포재 본체의 표면에 설치된다」는 것은, 포재 본체의 표리면을 구성하는 포재층(부분적으로 표리면을 구성하는 포재층도 포함한다)에, 전극부 또는 배선부(즉, 도전성 선상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바꾸어 말하면, 「전극부 또는 배선부가 포재 본체의 표면에 설치된다」는 것은, 포재 본체로부터 전극부 및 배선부를 구성하는 도전성 선상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전극부 또는 배선부(즉, 도전성 선상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전극부 또는 배선부가 포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다」는 것은, 포재 본체 중층에, 예를 들면, 포재 본체 내층이 되는 포재층 중 또는 포재층 간에, 전극부 또는 배선부(즉, 도전성 선상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전극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와 배선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가,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이다」는 것은, 배선부가, 전극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가 연재한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것(바꾸어 말하면, 전극부가, 배선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가 연재한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도 1 ~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포재 본체(10), 전극부(20), 및 배선부(30)를 가지고 있다.
(포재 본체)
포재 본체(10)는, 예를 들면, 표면을 구성하는 표면포재층(10A), 이면을 구성하는 이면포재층(10B), 및 표면포재층(10A)과 이면포재층(10B)의 사이에 가지는 중간포재층(10C)의 3 중의 포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재 본체(10)는, 3 중의 포재층 이외에, 예를 들면, 1중, 2중, 또는 4중 이상의 포재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2층 이상의 포재층으로 구성된 다중의 포재 본체(10)는, 예를 들면, 각 포재층을 제작한 후, 봉합하는 수법으로 제작해도 좋고, 직편기에 의해 일괄적으로 다중의 포재 본체(10)를 제작해도 좋다.
포재 본체(10)로는, 예를 들면, 직편물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포재 본체(10)는 부직포이어도 좋다.
직편물로는, 평직물, 능직물, 주자직물, 주지의 응용 직물 등의 직물; 위편물, 경편물, 레이스 편물, 주지의 응용 편물 등의 편물을 들 수 있다.
포재 본체(10)를 구성하는 실(선상체)은, 절연성 실로 한다. 절연성 실이란, 선저항이 1.0×106Ω/cm 이상의 실을 나타낸다. 절연성 실의 선저항은, 후술하는 도전성 선상체의 선저항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는 선저항이다.
포재 본체(10)를 구성하는 실(선상체)로는, 예를 들면, 주지의 섬유의 실을 들 수 있다.
주지의 섬유의 실은, 합성 섬유의 실이어도 좋고, 천연 섬유의 실이어도 좋다.
합성 섬유의 실로는,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등), 폴리아미드 섬유(나일론 6 섬유, 나일론 66 섬유, 나일론 46 섬유 등),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와 방향족 에테르의 공중합체 등), 비닐론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레이온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 폴리옥시메틸렌 섬유; 설폰계 섬유(파라페닐렌설폰 섬유, 폴리설폰 섬유 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섬유, 폴리에테르이미드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등의 실을 들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실로는, 면, 견, 마, 양모 등의 섬유의 실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포재 본체(10)는, 신축성을 가지는 포재인 것이 좋다. 즉,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특히,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가 신축성을 가지면, 반복적인 신축에 의해, 전극부(20)와 배선부(30)의 접속부가 열화하고, 접속 불량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극부(20)와 배선부(30)의 접속 불량이 억제된다.
신축성을 가지는 포재 본체(10)는, 탄성사를 이용한 직편물을 적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탄성사로는, 예를 들면, 탄성사의 외주에 비탄성사를 코일 형상으로 감은 커버드 얀(covered yarns)(싱글 커버드 얀 또는 더블 커버드 얀), 탄성사와 비탄성사를 정방교연(精紡交撚)한 코어 스펀 얀(core-spun yarns), 압공 노즐을 이용하여 탄성사의 외주에 비탄성사를 감은 에어 교락(交絡) 커버드 얀, 탄성사와 비탄성사를 연사(撚絲)하여 이루어지는 트위스티드 얀 등을 들 수 있다.
탄성사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탄성 섬유, 폴리아미드 탄성 섬유 등, 이른바 고무상 탄성을 나타내는 섬유의 실을 들 수 있다.
비탄성사로는, 합성 섬유(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레이온 섬유), 천연 섬유(면, 견, 마, 양모 등의 섬유)의 실을 들 수 있다.
(전극부 및 도전부)
전극부(20)는, 제1 전극부(20A)와 제2 전극부(20B)를 가진다. 전극부(20)는, 목적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생체 신호 계측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하는 경우, 전극부(20)의 적어도 하나는, 생체 접촉용 전극부로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극부(20) 가운데, 제1 전극부(20A)를 생체 접촉용 전극부로 하고, 제2 전극부(20B)를 그 외의 기기 접속용(송신기기 접속용, 외부 기기 접속용 등) 전극부로 한다. 제1 전극부(20A)는, 생체 접촉용 전극부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 접속용 전극부로 해도 좋다. 또한, 3개 이상의 전극부(20)를 설치하고, 3개 이상의 전극부(20) 가운데, 2개 이상의 전극부를 생체 접촉용 전극부 및 센서 접속용 전극부의 쌍방으로 해도 좋다.
전극부(20)는, 포재 본체(10)의 표면포재층(10A)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전극부(20)는, 포재 본체(10)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부(20)는, 포재 본체(10)의 중간포재층(10C)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전극부(20)는, 포재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생체 접촉용 전극부(즉, 생체 접촉용 전극부를 구성하는 도전성 선상체(40))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한편, 센서 접속용 전극부 및 그 외의 기기 접속용(송신기기 접속용, 외부 기기 접속용 등) 전극부(즉, 센서 접속용 전극부 및 그 외의 기기 접속용 전극부를 구성하는 도전성 선상체(40))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로부터 노출될 필요는 없다. 포재 본체(10)의 내부에 센서 접속용 전극부 및 그 외의 기기 접속용 전극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핀 형상의 전극 등에 의해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배선부(30)는, 제1 전극부(20A)와 제2 전극부(20B)와 인접하고, 1개 설치되어 있다. 즉, 배선부(30)는, 제1 전극부(20A)와 제2 전극부(20B)를 연결하도록, 1개 설치되어 있다. 배선부(30)는, 전극부(20)의 수에 따라, 2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배선부(30)는, 포재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3층의 포재층으로 구성된 포재 본체(10)의 내층의 포재층(부분적으로 내층이 되는 포재층도 포함한다)인 중간포재층(10C)에, 배선부(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배선부(30)를 포재 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2층의 포재층으로 구성된 포재 본체(10)의 포재층의 사이에, 배선부(30)가 되는 도전성 선상체(40)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배선부(30)는, 포재 본체(10)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배선부(30)는, 3층의 포재층으로 구성된 포재 본체(10)의 표면포재층(10A) 또는 이면포재층(10B)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배선부(30)는, 포재 본체(10)에 의한 외부와의 절연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포재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에서, 도전성 선상체(40)의 적어도 일부는, 포재 본체(10)의 실로 구속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전극부(20) 또는 배선부(30)의 도전재료로서 기능하는 도전성 선상체(40)를, 전극부(20) 또는 배선부(30)를 포재 본체(1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포재 본체(10)에 구속되어 있는 도전성 선상체(40)는, 전극부(20) 및 배선부(30)의 양쪽 모두에 포함되는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이어도 좋고, 전극부(20) 또는 배선부(30)의 어느 하나에만 포함되는 다른 도전성 선상체(40)이어도 좋다. 또한 전극부(20) 또는 배선부(30)에서, 도전성 선상체(40)는 포재 본체(10)의 실로 구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전극부(20) 또는 배선부(30)가 접착제에 의해 포재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전극부(20) 또는 배선부(30)가 절연성 실에 의해 포재 본체(10)에 바느질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전성 선상체(40)가 포재 본체(10)의 실로 구속되어 있지 않아도, 전극부(20) 또는 배선부(30)를 포재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성 선상체(40)를 180°로 반복 굴곡 또는 만곡해 배치한 직사각형의 영역을 형성한다. 이 직사각형의 영역은, 포재 본체(10)의 표면포재층(10A)의 실에 도전성 선상체(40)의 일부를 구속시켜 형성한다. 그리고, 이 직사각형의 영역을 면 형상의 전극부(20)로 한다.
또한 도전성 선상체(40)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배치한 영역을, 전극부(20)로 해도 좋다. 또한, 도전성 선상체(40)를 굴곡 또는 만곡해 배치한 임의의 면형상(다각형, 원형 등)을, 전극부(20)로 해도 좋다.
한편, 전극부(20)(제1 전극부(20A) 및 제2 전극부(20B))의 도전성 선상체(40)를, 전극부(20) 간에 파선 형상으로 연재시켜, 파선 형상의 영역을 형성한다. 파선 형상의 영역은, 포재 본체(10)의 중간포재층(10C)의 실에 도전성 선상체(40)의 일부를 구속시켜 형성한다. 그리고, 파선 형상의 영역을 배선부(30)로 한다.
또한 도전성 선상체(40)를 직선 형상으로 배치한 직선 형상의 영역을, 배선부(30)로 해도 좋다. 다만,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신장에 의한 전극부(20)와 배선부(30)의 접속 불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배선부(30)는 파선 형상의 영역(즉, 파선 형상으로 도전성 선상체(40)를 배치한 영역)으로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포재 본체(10)가 직물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실 및 씨실로 짜여진 직물의 직조직에, 도전성 선상체(40)를 직조한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구성하는 것이, 포재 본체(10)를 직포에 의해 형성할 때에,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 포재 본체(10)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포재 본체(10)가 편물의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형상의 실이 편조된 편물의 편조직에, 상기 형상으로 도전성 선상체(40)를 편조하여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구성하는 것이, 포재 본체(10)를 편조하여 형성될 때에,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 포재 본체(10)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편물의 그물 조직에 도전성 선상체(40)를 편조하는 경우, 예를 들면, 패러렐 편물(parallel knitting), 플레이팅 편물, 인레이 편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인레이 편물을 채용해 도전성 선상체(40)를 편조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재 본체(10)에 대해서, 상기 형상으로 도전성 선상체(40)를 자수놓고,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구성하는 것이,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형성할 때에, 동시에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의 포재 본체(10)에의 고정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자수의 수법은, 예를 들면, 런닝 스티치, 코칭 스티치(couching stitch), 백 스티치, 체인 스티치, 아웃라인 스티치 등의 주지의 스티치를 채용할 수 있다. 도 5는, 체인 스티치를 채용해 도전성 선상체(40)를 자수놓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포재 본체(10)에 대해서,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도전성 선상체(40)로 바느질하여 고정하는 것이,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구성하는 도전성 선상체(40)와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고정하는 도전성 선상체(40)를 공통하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극부(20) 및/또는 배선부(30)를 도전성 선상체(40)로 바느질하여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는, 도전성 선상체(40)를 직조한 직물 또는 도전성 선상체를 편조한 편물로부터 전극부(20) 및 배선부(30)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그 전극부(20) 및 배선부(30)를 도전성 선상체(40)로 포재 본체(10)에 바느질한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3 중, 12는 포재 본체(10)(직물)를 구성하는 날실, 14는 포재 본체(10)(직물)를 구성하는 씨실을 나타낸다. 도 4 중, 16은, 포재 본체(10)(직물)를 구성하는 실을 나타낸다.
전극부(20) 및 배선부(30)는,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로 구성한 형태 이외에, 동일한 2개 이상의 도전성 선상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극부(20) 및 배선부(30)는, 각각, 복수개의 도전성 선상체(40)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복수개의 도전성 선상체(40) 가운데,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는, 전극부(20) 및 배선부(30)를 모두 구성하는 도전성 선상체(40)로 한다.
또한, 전극부(20)를 복수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20)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와 이것에 인접해서 설치되는 배선부(30)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를,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로 한다.
또한 포재 본체(10)를 구성하는 실로서 탄성사를 채용하는 경우, 탄성사를 신장한 상태로, 직편물을 형성하면서, 도전성 선상체를 포재 본체(10)에, 직조 또는 편조하는 것이 좋다.
(도전성 선상체)
전극부(20) 및 배선부(30)를 구성하는 도전성 선상체는,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선상체, 도전성 실을 포함하는 선상체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선상체(40)는, 금속 와이어 및 도전성 실을 포함하는 선상체(금속 와이어와 도전성 실을 꼬은 선상체 등)이어도 좋다.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선상체, 및 도전성 실을 포함하는 선상체는, 모두, 높은 전도성 및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도전성 선상체(40)로서 적용하면, 전극부(20) 및 배선부(30)의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금속 와이어로는,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철, 몰리브덴, 니켈, 티탄, 은,금등의 금속, 또는, 금속을 2종 이상 포함하는 합금(예를 들면, 스텐레스강, 탄소강 등의 강철, 놋쇠, 인청동, 지르코늄 구리합금, 베릴륨 구리, 철니켈, 니크롬, 니켈 티탄, 칸탈, 하스텔로이(hastelloy), 레늄 텅스텐 등)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와이어는 주석, 아연, 은, 니켈, 크롬, 니켈 크롬 합금, 땜납 등으로 도금된 것이어도 좋고, 후술하는 탄소 재료나 폴리머에 의해 표면이 피복된 것이어도 좋다.
금속 와이어로는, 탄소 재료로 피복된 금속 와이어도 들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탄소 재료로 피복되어 있으면, 금속 부식이 억제된다.
금속 와이어를 피복하는 탄소 재료로는, 카본 블랙, 활성탄, 하드 카본, 소프트 카본, 메소포러스카본, 카본화이버 등의 비정질 탄소; 그라파이트; 풀러렌; 그라펜; 카본 나노 튜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도전성 실을 포함하는 선상체는, 1개의 도전성 실로 이루어지는 선상체이어도 좋고, 복수개의 도전성 실을 꼬은 선상체이어도 좋다. 또한, 도전성 실와 절연성 실을 꼬은 것이어도 좋다. 도전성 실을 포함하는 선상체는,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선상체에 비해, 유연성이 높고, 포재 본체(10)에의 직조, 편조 혹은 자수 또는 포재 본체(10)에 바느질에 의한 단선이 생기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전성 실로는, 도전성 섬유(금속 섬유, 탄소섬유, 이온 도전성 폴리머의 섬유 등)를 포함하는 실, 도전성 미립자(카본 나노 입자 등)를 포함하는 실, 표면에 금속(구리, 은, 니켈 등)을 도금 또는 증착한 실, 금속 산화물을 함침시킨 실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실을 포함하는 선상체로는, 특히, 카본 나노 입자로서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실(카본 나노 튜브사)을 포함하는 선상체(이하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라고도 칭한다)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는, 예를 들면, 카본 나노 튜브 포레스트(카본 나노 튜브를, 기판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기판 상에 복수 성장시킨 성장체이고, 「어레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의 단부로부터, 카본 나노 튜브를 시트 형상으로 당기고, 당긴 카본 나노 튜브 시트를 다발로 묶은 후, 카본 나노 튜브의 다발을 꼬아 얻어진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 꼬을 때에 비틀림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본 형상의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가 얻어지고, 비틀림을 가한 경우에는, 실 형상의 선상체가 얻어진다. 리본 형상의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는, 복수의 카본 나노 튜브의 집합이 비틀린 구조를 가지지 않는 선상체이다. 이 외, 카본 나노 튜브의 분산액으로부터, 방사(紡絲)를 하는 것 등에 의해서도,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를 얻을 수 있다. 방사에 의한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의 제조는, 예를 들면, 미국 공개 공보 US2013/0251619(일본 특허공개 2011-25314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의 직경의 균일함이 얻어지는 관점에서는, 실 형상의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순도가 높은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가 얻어지는 관점에서는, 카본 나노 튜브 시트를 꼬아 실 형상의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는, 2개 이상의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끼리 꼬은 선상체이어도 좋다.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는, 카본 나노 튜브와 금속이나 도전성 고분자, 그라펜 등의 카본 나노 튜브 이외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선상체(이하 「복합 선상체」라고도 칭한다)이어도 좋다. 복합 선상체는,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의 상술한 특징을 유지하면서, 선상체의 도전성이 향상하기 쉬워진다.
복합 선상체로는, 예를 들면, 카본 나노 튜브와 금속을 포함하는 선상체를 예로 하면, (1) 카본 나노 튜브 포레스트의 단부로부터, 카본 나노 튜브를 시트 형상으로 당기고, 당긴 카본 나노 튜브 시트를 다발로 묶은 후, 카본 나노 튜브의 다발을 꼬은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를 얻는 과정에서, 카본 나노 튜브의 포레스트, 시트 혹은 다발, 또는 꼬은 선상체의 표면에, 금속 단체(單體) 또는 금속 합금을 증착,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습식 도금 등에 의해 담지시킨 복합 선상체, (2) 금속 단체의 선상체 혹은 금속 합금의 선상체 또는 복합 선상체와 함께, 카본 나노 튜브의 다발을 꼬은 복합 선상체, (3) 금속 단체의 선상체 혹은 금속 합금의 선상체 또는 복합 선상체와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 또는 복합 선상체를 꼬은 복합 선상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의 복합 선상체에서는, 카본 나노 튜브의 다발을 꼬을 때에, (1)의 복합 선상체와 마찬가지로 카본 나노 튜브에 대해서 금속을 담지시켜도 좋다. 또한, (3)의 복합 선상체는, 2개의 선상체를 짠 경우의 복합 선상체이지만, 적어도 1개의 금속 단체의 선상체 혹은 금속 합금의 선상체 또는 복합 선상체가 포함되어 있으면,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 또는 금속 단체의 선상체 혹은 금속 합금의 선상체 혹은 복합 선상체의 3개 이상을 짜 넣어도 좋다.
복합 선상체의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금, 은, 구리, 철, 알루미늄, 니켈, 크롬, 주석, 아연 등의 금속 단체, 이들 금속 단체의 적어도 일종을 포함하는 합금(구리-니켈-인 합금, 구리-철-인-아연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도전성 선상체(40) 중에서도, 카본 나노 튜브사를 포함하는 도전성 선상체(특히, 카본 나노 튜브사만을 포함하는 도전성 선상체나, 카본 나노 튜브사와 비금속계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선상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표면에 금속(구리, 은, 니켈 등)을 도금 또는 증착한 실, 금속 산화물을 함침시킨 실은, 신축이 반복되면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에 균열이 생기기 쉽고, 내구성이 낮다. 이 점에서,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는, 굴곡에의 내성이 강하고,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가 신축을 반복해도, 배선부의 저항값이 변화하기 어렵다. 또한, 카본 나노 튜브 선상체는, 내식성도 높은 이점도 있다.
여기서, 도전성 선상체(40)의 선저항은, 5.0×10-3Ω/cm ~ 1.0×103Ω/cm가 바람직하고, 1.0×10-2Ω/cm ~ 5.0×102Ω/cm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전성 선상체(40)의 선저항의 측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전성 선상체(40)의 양단에 은 페이스트를 도포해, 은 페이스트 간의 부분의 저항을 측정하고, 도전성 선상체(40)의 저항값(단위:Ω)을 구한다. 그리고, 얻어진 저항값을, 은 페이스트 간의 거리(cm)로 나눠, 도전성 선상체(40)의 선저항을 산출한다.
(그 외 특성)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신장 전에 배선부(30)의 저항에 대한, 최대 신장의 50%에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신장한 경우의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은, 10% 이하(바람직하게는 5% 이하)가 좋다.
또한 배선부(30)의 저항이란, 측정 대상이 되는 배선부(30)의 일단에,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를 공통화해 배치한 하나의 전극부(20)만을 가지는 경우, 전극부(20)와 배선부(30) 타단(배선부(30)에서의 전극부(20)와 인접하지 않는 쪽의 단부) 사이의 저항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신장 방향은, 하나의 전극부(20)의 중심과 배선부(30) 타단을 연결한 가상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한다.
또한, 배선부(30)의 저항이란, 측정 대상이 되는 배선부(30)의 양단에,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를 공통화해 배치한 2개의 전극부(20)(예를 들면 제1 전극부(20A) 및 제2 전극부(20B))를 가지는 경우, 2개의 전극부(20) 간의 저항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신장 방향은, 두 개의 전극부(2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한다.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이 적으면 포재의 신장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생체 신호 계측기 등) 등의 신축성의 디바이스의 동작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신장하는 정도가 큰 용도에 대해서도 디바이스의 동작의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최대 신장까지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신장한 경우에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은, 10% 이하(바람직하게는 5% 이하)가 좋다.
최대 신장의 50% 신장시 또는 최대 신장시의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을 10% 이하로 하려면, 예를 들면, 전술한, 포재 본체(10)를 구성하는 실로서 탄성사를 채용하고, 탄성사를 신장한 상태로, 직편물을 형성하면서, 도전성 선상체를 포재 본체(10)에, 직조 또는 편조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배선부(30)의 저항을 연속 측정하면서, 속도 1 mm/s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배선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최대 신장까지 신장시킨 후, 동일한 속도로 원래대로 돌아갈 때까지 수축시킨다. 이 때,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신장 전에 배선부(30)의 저항값 RA(Ω), 및 소정의 신장 정도(예를 들면, 최대 신장의 50%나, 최대 신장(100%))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신장한 경우에 배선부(30)의 저항값 RB(Ω)를 측정한다.
그리고, 식;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RB-RA)/RA×100에 의해,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을 산출한다. 또한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은 절대치이다.
여기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최대 신장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것이다.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최대 신장은,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적절한 장력으로 신장한 경우에, 그 이상 신장하지 않게 될 때의 길이이다. 즉,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신장이 정지하는 장력으로 신장시켰을 때의 길이를,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최대 신장으로 한다.
(변형예)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또는 개량해도 좋다. 이하,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상기 형태에 대해 설명한 부재와 동일하면,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제1 변형예-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1)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1)는, 표면포재층(10A), 중간포재층(10C) 및 이면포재층(10B)을 가지는 3 중의 포재 본체(10)를 가진다. 중간포재층(10C)에는, 도전성 선상체(40)를 포함하는 전극부(20)(제1 전극부(20A) 및 제2 전극부(20B))와 전극부(20)에 포함되는 도전성 선상체(40)가 연재한 도전성 선상체(40)를 포함하는 배선부(30)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포재층(10C)에 설치된 배선부(30)만을 표면포재층(10A)으로 덮고 있다.
-제2 변형예-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2)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전극부(20) 가운데, 제1 전극부(20A)를 복수 가지고 있다. 또한 도 7 중, 제1 전극부(20A)로서 제1 전극부(20A-1), 제1 전극부(20A-2)의 2개의 전극부를 가지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의 경우, 예를 들면, 제1 전극부(20A-1), 배선부(30) 및 제2 전극부(20B)에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A)를 공통화해 배치하고, 제1 전극부(20A-2), 배선부(30) 및 제2 전극부(20B)에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40B)를 공통화해 배치하고 있다.
(용도)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생체 신호 계측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기를 부착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재단 및 가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가지는 의류로 해도 좋다. 또한, 소정의 크기로 재단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의류에 부착해도 좋다.
또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는, 피복에 적용하는 것이 아닌 비웨어러블의 생체용 디바이스(센서 등), 카페트, 커텐, 쿠션 커버, 침구용 텍스타일, 텐트나 타프(tarps)의 천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를 들어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들 각 실시예는,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리콘 웨이퍼 상에 형성된 멀티 월 카본 나노 튜브 포레스트를 준비하였다. 카본 나노 튜브 포레스트의 측면에서 카본 나노 튜브의 리본을 당기면서, 리본에 꼬임을 가함으로써 직경 30㎛의 카본 나노 튜브사를 얻었다. 이 카본 나노 튜브사 8개를 서로 꼬아, 서로 꼬인 한 개의 카본 나노 튜브사를 얻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로 커버링된 폴리우레탄 섬유의 탄성사(신축성을 가지는 실)를 잡아늘이면서, 짜는 수법에 따라 2중의 포재로 가공하였다. 이 포재를 짜는 공정에서, 서로 꼬인 카본 나노 튜브사를, 2층의 포재층의 사이에, 천을 짜는 방향으로 진행해 대략 직선 형상으로 짰다. 이 파형의 카본 나노 튜브사가 짜여진 영역을 배선부로 하였다.
또한, 포재의 짜는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편조한 카본 나노 튜브사의 양단부에서는, 포재의 동일한 표면(표면포재층)에, 편조한 카본 나노 튜브사와 같은 카본 나노 튜브사를, 4각 형상이 되도록 반복 굴곡시켜 편조했다. 이 4각 형상의 카본 나노 튜브사가 편조된 영역을, 각각, 생체 접촉용 전극부(제1 전극부) 및 기기 접속용 전극부(제2 전극부)로 하였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도 1 참조)를 얻었다. 얻어진 포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의 특성-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의 사이즈:폭 20 mm×길이 110 mm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의 두께:약 500㎛
·기기 접속용 전극부의 사이즈:8mm×8mm
·생체 접촉용 전극부의 사이즈:8mm×8mm
·배선부에서 연결된 양전극 간의 거리:70mm
[실시예 2]
카본 나노 튜브사 대신에, 은을 도금한 폴리에스테르사(Osaka Electric Industry Co., Ltd.가 판매하는 ODEX40/2)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도 1 참조)를 얻었다.
[배선부의 저항 변화율]
기술의 방법에 따라서, 신장 전 및 최대 신장의 50%에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신장한 경우에 배선부의 저항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신장은 배선부에서 연결된 양전극 간의 부분에 대해 행했다. 실시예 1 및 2에서 제작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의 최대 신장은, 모두 56 mm이고, 최대 신장의 50%인 28 mm 신장한 경우와 최대 신장에서의 저항을 측정하고, 저항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반복 신축 조작 후의 내구성 평가]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에 대해서, 최대 신장까지, 왕복 주기 1 Hz 상태로, 10만회의 반복 신축 조작을 행해, 신축 조작 전후의 배선부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배선부의 저항값으로는, 반복 신축 조작 전에 대해서는, 비신장시의 저항값을 구하고, 반복 신축 조작 후에 대해서는, 최대 신장에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100)를 신장한 경우에 배선부의 저항값을 구하였다. 이 배선부의 저항값은, 배선부(30)의 저항 변화율과 같은 수법에 따라 구하였다. 그리고, 신축 조작 전의 배선부의 저항에 대한 신축 조작 후의 배선부의 저항 변화율을 구해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OK:배선부의 저항 변화율이±10% 이하
NG:배선부의 저항 변화율이±10% 초과
Figure pct00001
다만, 실시예 2에서는, 반복 신축 조작 후의 내구성 평가에 대해서, 50회의 반복 신축 조작까지는, OK 평가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는, 반복적인 변형에 의한 전극부와 배선부의 접속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부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10 포재 본체
10A 표면포재층
10B 이면포재층
10C 중간포재층
20 전극부
30 배선부
40 도전성 선상체
100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101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102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03874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개에 기록되었을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Claims (11)

  1. 포재 본체,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상기 전극부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도전성 선상체를 포함하는 배선부,
    를 가지고,
    상기 전극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와 상기 배선부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 선상체는, 동일한 1개의 도전성 선상체인,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2. 제1항에 있어서,
    신축성을 가지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3. 제2항에 있어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신장하기 전의 상기 배선부의 저항에 대한, 최대 신장의 50%로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를 신장한 경우의 상기 배선부의 저항 변화율이 10% 이하인,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의 일부가 상기 포재 본체의 실로 구속되어 있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는 상기 포재 본체에 직조되어 있거나, 편조되어 있거나, 혹은 자수놓아져 있거나, 또는 상기 전극부는 상기 도전성 선상체에 의해 바느질되어 있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포재 본체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생체 접촉용 전극부인,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의 일부가 상기 포재 본체의 실로 구속되어 있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에서, 상기 도전성 선상체는 상기 포재 본체에 직조되어 있거나, 편조되어 있거나, 혹은 자수놓아져 있거나, 또는 상기 배선부는 상기 도전성 선상체에 의해 바느질되어 있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포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 및 상기 배선부에 포함되는 도전성 선상체는, 카본 나노 튜브사를 포함하는 도전성 선상체인,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KR1020207034902A 2018-05-30 2019-05-28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KR20210018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3874 2018-05-30
JP2018103874 2018-05-30
PCT/JP2019/021125 WO2019230730A1 (ja) 2018-05-30 2019-05-28 電極配線付き布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266A true KR20210018266A (ko) 2021-02-17

Family

ID=6869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902A KR20210018266A (ko) 2018-05-30 2019-05-28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44332A1 (ko)
EP (1) EP3804614A4 (ko)
JP (2) JPWO2019230730A1 (ko)
KR (1) KR20210018266A (ko)
CN (1) CN112261905A (ko)
TW (1) TW202011851A (ko)
WO (1) WO2019230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1080A1 (en) * 2017-10-06 2019-04-11 Medtronic Xomed, Inc. BUFFER RECORDING AND STIMULATING ELECTRODE ASSEMBLIES
US20210388543A1 (en) * 2018-10-23 2021-12-16 Lintec Corporation Fabric material with electrode wiring
GB2595552B (en) * 2020-04-20 2024-01-10 Prevayl Innovations Ltd Fabric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576262B2 (en) 2020-04-27 2023-02-07 Apple Inc. Fabric-mounted components
GB2607957A (en) * 2021-06-18 2022-12-21 Prevayl Innovations Ltd Fabric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0599A (ja) 2015-10-08 2017-04-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ウエアラブル生体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30900A (en) * 1999-07-01 2001-01-22 N.V. Bekaert S.A. Garment comprising electrode
US6341504B1 (en) * 2001-01-31 2002-01-29 Vivometrics, Inc. Composite elastic and wire fabric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apparel
FR2858758B1 (fr) * 2003-08-14 2006-04-07 Tam Telesante Sarl Systeme de surveillance medicale au moyen d'un vetement
ITFI20030308A1 (it) * 2003-12-03 2005-06-04 Milior S P A Tessuto in maglia per il monitoraggio di segnali vitali.
US8926933B2 (en) * 2004-11-09 2015-01-06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Fabrication of twisted and non-twisted nanofiber yarns
GB0614383D0 (en) * 2006-07-20 2006-08-30 Univ Manchester Glove knitting techniques
CN100484469C (zh) * 2006-12-14 2009-05-06 东华大学 一种用于电子织物的应变式柔性呼吸传感器及其应用
EP2361113A2 (en) * 2008-09-17 2011-08-31 National Ict Australia Limited (NICTA) Knitted catheter
JP5432513B2 (ja) * 2008-12-18 2014-03-05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生体信号測定装置
JP5487496B2 (ja) * 2009-07-09 2014-05-07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生体電気信号計測用装置
JP2011253140A (ja) 2010-06-04 2011-12-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2070537A1 (ja) 2010-11-22 2012-05-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凝集紡糸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線
DE102012103856B4 (de) * 2012-02-16 2016-09-29 Peter Seitz Textiler Drucksensor
CN203113015U (zh) * 2013-01-23 2013-08-07 金鼎联合科技纤维股份有限公司 保湿导电结构
US10240265B2 (en) * 2013-02-08 2019-03-26 Footfalls And Heartbeats Limited Method for optimizing contact resistance in electrically conductive textiles
US9993199B2 (en) * 2013-04-10 2018-06-12 Omsignal Inc. Textile blank with seamless knitted electrode system
US9554465B1 (en) * 2013-08-27 2017-01-24 Flextronics Ap, Llc Stretchable conductor design and methods of making
US20150359485A1 (en) * 2014-06-17 2015-12-17 MAD Apparel, Inc. Biometric signal conduc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7010236A1 (ja) * 2015-07-14 2017-01-19 グンゼ株式会社 電気抵抗の可変特性を備えた導電性伸縮編地及び導電パーツ
US9816799B2 (en) * 2015-12-18 2017-11-14 Oculus Vr, Llc Embroidered strain sensing elements
US11045645B2 (en) * 2016-02-16 2021-06-29 Sorin Crm Sas Implantable lead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or for collecting electrical potentials on an organ, incorporating a passive component function
JP6986667B2 (ja) * 2016-08-25 2021-12-22 グンゼ株式会社 人体動作検出用装着具
JP6404308B2 (ja) 2016-12-27 2018-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N107385623B (zh) * 2017-09-06 2019-08-23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柔性应变传感机织物及其制作工艺
US20210388543A1 (en) * 2018-10-23 2021-12-16 Lintec Corporation Fabric material with electrode wi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0599A (ja) 2015-10-08 2017-04-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ウエアラブル生体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0730A1 (ja) 2019-12-05
JP2024056756A (ja) 2024-04-23
TW202011851A (zh) 2020-04-01
JPWO2019230730A1 (ja) 2021-08-12
EP3804614A4 (en) 2022-03-09
EP3804614A1 (en) 2021-04-14
CN112261905A (zh) 2021-01-22
US20210244332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8266A (ko) 전극 배선을 가지는 포재
WO2017010236A1 (ja) 電気抵抗の可変特性を備えた導電性伸縮編地及び導電パーツ
JP5993493B1 (ja) 導電用ハーネス
CN107109726A (zh) 导电性伸缩针织物以及导电用线束
TWI822887B (zh) 附電極配線的布材
WO2009107905A1 (en) Textile digital band and fabriticating method thereof
WO2017119489A1 (ja) 導電性伸縮糸、導電性伸縮布帛及び導電性伸縮編地
US20210277544A1 (en) Machine-knittable conductive hybrid yarns
JP7068569B2 (ja) 引張センサ
CN111091922A (zh) 一种弹性导电线及其制造方法
JP2017125291A (ja) 導電性伸縮糸、導電性伸縮布帛及び導電性伸縮編地
JP6910627B2 (ja) 電気回路に用いられるミシン用縫い糸
CN211957167U (zh) 一种弹性编织导电线
JP2013147765A (ja) 布帛構造
JP6689119B2 (ja) 組紐形態を利用した圧電素子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デバイス
JP2016129121A (ja) 伸縮配線
US20230148077A1 (en) Motion detection member
JP2020190535A (ja) 変位センサ
JP6407209B2 (ja) 導電性ハーネス及び導電性伸縮編地
KR102074081B1 (ko) 섬유사 압력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16216886A5 (ko)
TWM545145U (zh) 具有能伸縮的電子元件之彈性織帶組合
GB2545483A (en) Conductive fabric,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abric and apparatus therefor
TWM494378U (zh) 具有分歧末端的織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