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703A -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703A
KR20210017703A KR1020190097385A KR20190097385A KR20210017703A KR 20210017703 A KR20210017703 A KR 20210017703A KR 1020190097385 A KR1020190097385 A KR 1020190097385A KR 20190097385 A KR20190097385 A KR 20190097385A KR 20210017703 A KR20210017703 A KR 20210017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st
terminal device
song
post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오 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어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어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어유
Priority to KR102019009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703A/ko
Publication of KR2021001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4Rebates after completed purch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들의 참여로 다양한 주제의 콘테스트가 열리게 하고, 누구나 자신의 녹음/녹화곡을 이용해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며, 콘테스트의 시상뿐만 아니라, 녹음/녹화곡을 후원한 유저에게도 랜덤으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SERVER FOR PROVIDING CONTEST SERVICE}
본 발명은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테스트 서비스의 제공자가 직접 개최하거나 기업들의 참여를 통하여 다양한 주제의 콘테스트가 열리게 하고, 누구나 자신의 녹음/녹화곡을 이용해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며, 콘테스트의 시상뿐만 아니라, 콘테스트에 응모한 유저와 녹음/녹화곡을 후원한 유저에게도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널리 대중화되고,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나 마이크의 성능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유투브 등 개인이 스마트폰을 통해 방송 컨텐츠를 제작하고,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인의 재능을 뽐낼 수 있는 다수의 컨텐츠가 제작되고 있으며, 대중의 많은 인기를 얻은 컨텐츠의 제작자는 광고 또는 팬들에게서 후원받은 유료 아이템을 환전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출원인의 노래 공유 플랫폼 서비스에 기반한 것으로서, 단순히 노래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것에서 한층 더 나아가, 다양한 주제의 콘테스트가 열리게 하고, 누구나 자신의 녹음/녹화곡을 이용해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며, 콘테스트에 응모한 유저와 녹음/녹화곡을 후원한 유저에게도 랜덤으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주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콘테스트 서비스의 제공자가 직접 개최하거나 기업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주제의 콘테스트가 열리게 하고, 누구나 자신의 녹음/녹화곡을 이용해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며, 콘테스트에 응모한 유저와 녹음/녹화곡을 후원한 유저에게도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테스트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콘테스트의 명칭, 기간 및 상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콘테스트 조회 수단,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노래 등록 요청 및 선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전송하는 노래 제공 수단,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테스트 응모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 장치의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녹음/녹화곡을 상기 콘테스트에 응모 처리하는 응모 처리 수단, 상기 녹음/녹화곡에 대한 게시물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게시물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열람 요청에 상응하는 게시물의 유저 정보, 선곡 정보 및 녹음/녹화곡을 전송하는 게시물 제공 수단,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게시물 후원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 장치의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하고, 차감된 유료 아이템을 상기 게시물의 녹음/녹화곡을 제작한 유저에게 지급하는 후원 처리 수단 및 상기 콘테스트에 응모한 유저 중 상기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상기 콘테스트의 수상자에게 상기 콘테스트의 상금을 지급하며, 상기 콘테스트에 응모한 유저 또는 상기 콘테스트에 후원한 유저에게 상기 콘테스트의 리워드 상금을 지급하는 콘테스트 시상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테스트 서비스의 제공자가 직접 개최하거나 기업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주제의 콘테스트가 열리게 하고, 누구나 자신의 녹음/녹화곡을 이용해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며, 녹음/녹화곡을 후원한 유저에게도 랜덤으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콘테스트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4a, 4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노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지정곡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6a, 6b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반주음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녹음/녹화곡 편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콘테스트 응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게시물 열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10a, 10b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후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광고 노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녹음/녹화곡” 용어는 단말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녹음한 '녹음곡' 또는 단말 장치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녹화한 '녹화곡'을 말하며, 이하에서는 “녹음/녹화곡”은 '녹음곡' 또는 '녹화곡'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 네트워크(1)를 포함하여 콘테스트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는 네트워크(1)를 통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결되며,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설치되는 응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를 통해 콘테스트 서비스 서버(100)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는 스마트 TV,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이동 단말(Mobile Device), 핸드헬드(handheld) 기기 또는 핸드헬드 PC,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통신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지털 CE(Consumer Electronic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는 오프라인 노래방에 설치되는 노래방 기기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셋톱박스, 음성 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기기가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의 동작은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설치되는 브라우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네트워크(1)는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와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인터넷 망, 이동 통신망 또는 랜(LAN) 등이 네트워크(1)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서버(100)는 콘테스트 등록 수단(110), 유저 관리 수단(120), 콘테스트 조회 수단(130), 노래 제공 수단(140), 응모 처리 수단(150), 게시물 제공 수단(160), 랭킹 집계 수단(170), 후원 처리 수단(180) 및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테스트 등록 수단(110)은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테스트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는 콘테스트의 명칭, 기간, 주제 및 상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는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테스트 등록 수단(110)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콘테스트의 명칭, 기간, 주제 및 상금 등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테스트를 등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콘테스트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콘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노출될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콘테스트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콘테스트 등록 수단(110)은 콘테스트에서 노출될 광고 정보를 등록하는 광고 등록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정보는 영상 프레임, 커서 아이콘, 워터마크 및 배너 광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저 관리 수단(120)은 유저의 회원 가입, 본인 인증 및 유료 아이템의 결제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저 관리 수단(120)은 유저의 회원 가입에서 필요한 서비스 이용 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을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제공할 수 있으며, 유저가 미성년자인 경우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저 관리 수단(120)은 직접 본인 인증을 수행하거나, 또는 외부의 본인 인증 기관의 서버와 연동하여 유저의 본인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유저 관리 수단(120)은 유저의 본인 인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외부 본인 인증 기관의 서버로부터 본인 인증 여부의 결과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테스트 조회 수단(130)은 콘테스트 등록 수단(110)에 의하여 등록된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 즉 콘테스트의 명칭, 주제, 기간 및 상금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조회 수단(130)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콘테스트 조회 요청을 수신하며, 콘테스트 조회 요청에는 콘테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조회 수단(130)은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콘테스트의 명칭, 주제, 기간 및 상금 등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고,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의 콘테스트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조회한 콘테스트의 명칭, 주제, 기간 및 상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래 제공 수단(140)은 유저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서 자신의 녹음/녹화곡을 생성할 수 있도록 노래 검색 및 검색된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 가사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조회 수단(130)이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전송한 콘테스트의 명칭, 주제, 기간 및 상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콘테스트에 응모하기 위한 링크 기능을 실행하는 '참가 버튼'이 마련되어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노래 제공 수단(140)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서 누른 참가 버튼에 대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노래 등록 요청을 식별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의 노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노래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래 제공 수단(140)은 인기 차트, 최신 곡, 인기 UGC 곡, 추천 테마에 따른 노래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마다 응모할 수 있는 지정곡이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노래 제공 수단(140)은 콘테스트에서 정해진 지정곡 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래 제공 수단(140)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선곡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래 제공 수단(140)는 반주음에 대한 음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수신한 음정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수신한 선곡 정보의 노래가 여성 가수가 부른 노래인 경우, 음정 설정에 따라 반주음을 남성키에 맞춘 반주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래 제공 수단(140)은 반주음에 대한 구간 별 설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래의 전 구간에 대한 반주음을 제공하거나, 또는 노래의 일부 구간에 대한 반주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래 제공 수단(140)은 반주음과 함께 해당 노래의 가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래 제공 수단(140)은 반주음에 싱크를 맞추어 가사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서는 노래 제공 수단(140)이 제공한 반주음이 재생되면서 이와 동시에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의 마이크를 통해 녹음된 음성 또는 카메라를 통해 녹화된 영상이 녹음/녹화되어 유저의 녹음/녹화곡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응모 처리 수단(150)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서 생성된 녹음/녹화곡을 콘테스트에 응모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하여 녹음/녹화곡을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고, 차감된 유료 아이템은 콘테스트 상금에 합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에 응모할 때 차감되는 유료 아이템의 수량은 콘테스트 등록 수단(110)이 콘테스트를 등록할 때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콘테스트 조회 수단(130)이 제공하는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와 더불어, 콘테스트 응모에 필요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을 표시한 '응모 버튼'이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응모 처리 수단(150)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응모 버튼을 누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의 콘테스트 응모 요청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응모 처리 수단(150)은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의 콘테스트 응모 요청이 있으면, 유저 관리 수단(120)으로부터 해당 단말 장치의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을 조회한다.
이어서, 해당 유저가 콘테스트 응모에 필요한 수량 이상의 유료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으면, 해당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에서 콘테스트 응모에 필요한 수량 만큼을 차감하고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 수신한 녹음/녹화곡이 콘테스트에 응모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게시물 제공 수단(160)은 녹음/녹화곡의 게시물의 생성하고,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로부터의 게시물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게시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게시물"은 녹음/녹화곡을 비롯하여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내에서 생성된 유저의 저작물을 말하고, 전술한 게시물에 관한 정보에는 유저의 닉네임 등 유저 정보, 유저의 녹음/녹화곡 등 저작물에 대한 선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시물 제공 수단(160)이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제공하는 게시물 및 게시물에 관한 정보에는 녹음/녹화곡과 함께 녹음/녹화곡에 대한 조회수, 댓글, 좋아요 등의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랭킹 집계 수단(170)은 게시물에 대한 콘테스트 랭킹 및 후원 랭킹을 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콘테스트 랭킹"이란 해당 콘테스트 내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른 게시물의 랭킹을 말하고, "후원 랭킹"이란 해당 콘테스트 내에서 후원한 유저의 랭킹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랭킹 집계 수단(170)은 게시물의 조회수, 관심수 및 게시물에 후원하는데 차감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을 집계하고, 이를 기초로 콘테스트 랭킹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랭킹 집계 수단(170)은 게시물에 차감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을 집계하고, 이를 기초로 후원 랭킹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조회 수단(110)이 제공하는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에는 콘테스트 랭킹 및 후원 랭킹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랭킹 집계 수단(170)은 콘테스트 랭킹 및 후원 랭킹을 실시간으로 집계하고, 콘테스트 조회 수단(110)은 조회 당시의 콘테스트 랭킹 및 후원 랭킹을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랭킹은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시물 제공 수단(160)이 단말 장치(10_1, 10_2, 10_3, …, 10_n)에 제공하는 게시물에는 '후원하기'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 버튼을 누름으로써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해당 녹음/녹화곡을 부른 유저에게 후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원 처리 수단(180)은 전술한 '후원하기' 버튼을 통해 게시물에 대해 후원 요청한 유저의 유료 아이템을 차감하고 차감된 유료 아이템을 해당 게시물의 녹음/녹화곡을 제작한 유저에게 지급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후원 처리 수단(180)은 전술한 후원하기 버튼에 대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게시물 후원 요청을 식별하고, 게시물 후원 요청에는 게시물 또는 유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원하기 버튼을 통해 차감된 유료 아이템은 해당 게시물의 유저에게 지급된다. 또한, 게시물에 후원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은 콘테스트 랭킹 및 후원 랭킹을 산정하는 기준이 되고, 후술하는 것처럼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에 대해 설정된 기간 동안 콘테스트가 진행되고 나면 콘테스트를 종료하고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가리게 된다. 또한, 콘테스트에서 소모된 유료 아이템을 더함으로써 콘테스트의 총 상금을 산출하고, 콘테스트의 수상자와 후원 유저에게 지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은 콘테스트를 종료하고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선정하여 콘테스트의 상금을 지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은 콘테스트 기간이 종료되면, 콘테스트가 종료된 시점의 콘테스트 랭킹에 기초하여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선정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게시물의 조회수, 관심수 및 게시물을 후원하는데 차감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을 집계하여 이를 기초로 랭킹이 산출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한 수치를 기초로 하여 콘테스트 랭킹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은 콘테스트를 등록할 때의 특별한 시상 기준에 따라서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테스트의 시상 규모에 따라 콘테스트 대상은 콘테스트 랭킹을 기준으로 수상자를 결정하고, 콘테스트의 인기상은 게시물에 후원된 유료 아이템의 순위를 기준으로 수상자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은 콘테스트의 상금에 해당 콘테스트에서 소모된 유료 아이템에 따른 금액을 합산한 금액을 콘테스트의 상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응모 처리 수단(150)은 콘테스트에 응모하는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해 콘테스트에 응모 처리하고, 본 발명의 후원 처리 수단(180)은 게시물을 후원하는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해 게시물에 후원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은 콘테스트의 상금에, 콘테스트에 응모하는데 소모된 유료 아이템에 따른 금액 및 게시물을 후원하는데 소모된 유료 아이템에 따른 금액을 더하여 콘테스트의 상금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의 상금은 콘테스트의 수상자 이외에 콘테스트에 응모한 참가 유저 또는 콘테스트에 후원한 후원 유저에게도 리워드 상금으로 지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은 콘테스트의 상금 중 소정의 비율에 따른 금액을 리워드 상금으로 결정하고, 콘테스트에 응모한 참가 유저 및 콘테스트에 후원한 후원 유저 중에서 리워드 상금을 지급할 당첨자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테스트 시상 수단(190)은 리워드 상금을 지급할 당첨자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워드 상금은 본 발명에서의 유료 아이템으로 당첨자에게 지급하거나 다른 결제 수단을 통해 지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수행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말 장치(10_A, 10_B, 10_C)에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 장치(10_A, 10_B, 10_C)에 제공되는 정보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여 스폰서 유저의 단말 장치(10_A), 참가 유저의 단말 장치(10_B), 후원 유저의 단말 장치(10_C)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스폰서 유저"는 콘테스트의 명칭, 주제, 기간 및 상금을 정하여 콘테스트를 등록하고 콘테스트에서 광고 노출을 의뢰하는 유저를 말하고, "참가 유저"는 콘테스트에 녹음/녹화곡을 응모하여 콘테스트에 참가하는 유저를 말하며, "후원 유저"는 게시물에 후원하는 유저를 말한다.
다만,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 스폰서 유저의 단말 장치(10_A), 참가 유저의 단말 장치(10_B), 후원 유저의 단말 장치(10_C)가 물리적으로 구분될 필요는 없고, 스폰서 유저의 단말 장치(10_A)가 콘테스트에 참가하는 때에는 유저의 단말 장치(10_B)로도 될 수 있고, 유저의 단말 장치(10_B)가 다른 유저의 게시물을 후원하는 때에는 후원 유저의 단말 장치(10_C)로도 될 수도 있다.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폰서 단말 장치(10_A)로부터의 콘테스트 등록 요청(A11)에 따라 스폰서 단말 장치(10_A)로부터 콘테스트 명칭, 주제, 상금 및 광고 등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테스트를 등록한다(S210).
다음으로,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로부터의 콘테스트 조회 요청(B21)에 응답하여, 단계(S210)에서 등록된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에 전송한다(S220).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S220)에서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때 노래 등록 요청(B22)를 수신할 수 있는 버튼이 함께 마련되어 제공된다.
다음으로,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로부터의 노래 등록 요청(B22) 및 선곡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제공한다(S230).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S230)는 노래 등록 요청(B22)에 대하여 노래 검색을 제공하고,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로부터의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30)는 노래 등록 요청(B22)에 대하여 콘테스트에 대하여 정해진 지정곡 목록을 제공하고,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로부터의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에서는 마이크를 통해 녹음된 음성 또는 카메라를 통해 녹화된 영상과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반주음에 의하여 녹음/녹화곡이 생성되어, 콘테스트 응모 요청과 함께 생성된 녹음/녹화곡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B23).
단계(B23)에서의 콘테스트 응모 요청 및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로부터 전송된 녹음/녹화곡을 수신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참가 유저 단말 장치(10_B)의 참가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조회하여, 콘테스트 응모에 필요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단계(S240)에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할 수 있으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콘테스트에 녹음/녹화곡을 응모하고, 콘테스트에 응모된 녹음/녹화곡에 대한 게시물을 생성한다(S250).
단계(S240)에서 차감할 유료 아이템이 부족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결제 수단을 통해 유료 아이템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S242).
다음으로,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후원 유저 단말 장치(10_C)의 게시물 열람 요청(C31)에 응답하여, 게시물에 관한 정보를 후원 유저 단말 장치(10_C)에 제공한다(S260).
단계(S260)에서 게시물에 관한 정보에는 녹음/녹화곡을 부른 유저에 대한 정보, 녹음/녹화곡의 선곡 정보, 녹음/녹화곡의 음성 또는 영상 및 스폰서의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후원 유저 단말 장치(10_C)의 후원 요청(C32)이 있으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후원 유저 단말 장치(10_C)의 후원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조회하여, 유료 아이템을 차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0).
단계(S270)에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할 수 있으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게시물의 제작자에게 유료 아이템을 지급한다(S274).
단계(S270)에서 차감할 유료 아이템이 부족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결제 수단을 통해 유료 아이템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S272).
콘테스트 기간이 종료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콘테스트의 게시물 랭킹을 집계하고,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선정한다(S280).
다만, 콘테스트 기간이 종료되지 않더라도,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실시간 콘테스트 랭킹 및 후원 랭킹을 집계하고,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에 콘테스트 랭킹 및 후원 랭킹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콘테스트의 상금 및 리워드 상금을 지급한다(S290). 콘테스트의 상금은 콘테스트의 상금에 단계(S240) 및 단계(S270)에서 차감된 유료 아이템에 따른 금액이 더해진 상금이 콘테스트의 상금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산출된 콘테스트의 상금은 콘테스트의 수상자와 콘테스트의 참가 유저 또는 후원 유저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 장치에서 보여지는 구체적인 화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콘테스트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에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때 콘테스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콘테스트 아이콘(301)이 표시된다.
단말 장치에서 콘테스트 아이콘(301)을 누르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한 현재 진행 중인 콘테스트의 목록(303)과 콘테스트의 총 상금(302)에 대한 정보가 단말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단말 장치에 표시된 콘테스트의 목록(303) 중 어느 하나의 콘테스트에 대한 조회 요청이 있으면, 도 3b의 화면이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한 콘테스트의 명칭(304), 콘테스트의 기간(305), 콘테스트의 상금(306), 콘테스트의 주제(307)가 단말 장치를 통해 표시되며, 콘테스트의 랭킹(310) 및 후원 행킹(312)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콘테스트의 상금(306)은 콘테스트의 최초 상금(15,000,000원)에 콘테스트에서 소모된 유료 아이템에 따른 금액(213,590원)이 더해진 최종 상금(15,213,590)이 되며,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콘테스트의 상금(306)을 확인하여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다.
또한, 콘테스트 조회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콘테스트에 관한 정보와 함께 콘테스트에 참가할 수 있는 참가하기 버튼(320)이 표시되며, 이를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테스트 응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참가하기 버튼(320)에는 콘테스트 응모에 필요한 유료 아이템(15)에 대한 안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노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3b에서 참가하기 버튼(320)을 선택하면 도 4a의 화면이 단말 장치에 표시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검색어로 노래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402)과 추천 검색어(404) 및 인기 검색어(406)를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도 4a에 도시된 인기 검색어(406)의 "아이유"라는 가수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해당 가수의 노래를 검색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하며, 단말 장치에는 도 4b와 같이 해당 가수의 노래의 일람(408)이 표시된다.
도 4a, 4b와 달리,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콘테스트에서 정해진 지정곡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지정곡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박재정 발라드 커버 콘테스트"라는 명칭(502)의 콘테스트에서는 "사랑한 만큼", "너의 마지막이고 싶다",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의 지정곡 목록(504)이 제공되며, 제공된 지정곡 목록(504)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게 된다.
도 6a, 6b은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반주음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4b 또는 도 5와 같이 단말 장치로부터 선곡 정보가 수신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도 6a, 도 6b와 같은 화면을 단말 장치에 제공하여 반주음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선곡 정보에 대해서 키 설정(602a), 녹음/녹화 설정(604), 구간 설정(606) 기능을 제공하여 단말 장치에서 반주음에 대한 설정을 하도록 한다.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도 6a의 키 설정(602a)에 대한 입력에 따라 남성 키(602b)로 설정할 수 있으며,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 장치로부터 선곡 정보 및 반주음에 대한 설정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단말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도 6a,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해당 곡명 정보와 일치하는 여러 유저들의 녹음/녹화곡을 검색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a, 6b에서 반주음 설정을 마친 후에는, 도 7a 내지 도 7c,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단말 장치에서 녹음/녹화곡을 생성하고 편집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녹음/녹화곡 편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7a, 7b를 참조하면, 녹음/녹화곡을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는 단말 장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702), 영상에 표시할 스티커 버튼(704) 또는 필터 버튼(706)이 표시된다.
도 7a에서 스티커 버튼(704)을 선택하면, 도 7b에 도시된 스티커 목록(710)이 표시되고, 도 7a의 촬영 버튼(708)을 누름으로써 반주음이 재생되면서 단말 장치에서 녹음/녹화곡을 생성할 수 있다. 녹음/녹화곡을 생성한 뒤에는, 도 7c에 도시된 것처럼 목소리에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72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콘테스트 응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녹음/녹화곡 생성 과정을 마친 뒤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녹음/녹화곡의 썸네일(802)이 생성되어 녹음/녹화곡의 선곡 정보(804)와 함께 단말 장치에 표시되고, 녹음/녹화곡에 대한 설명(806)과 목소리 타입(808)을 선택하여 하단의 참가하기 버튼(810)을 통해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콘테스트에 응모하기 위해서는 콘테스트에 응모하는 유저가 유료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8에 도시된 참가하기 버튼(810)을 통해 콘테스트 응모 요청이 있으면, 해당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15)를 차감하고 녹음/녹화곡을 콘테스트에 응모 처리한다.
전술한 것처럼,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콘테스트에 응모한 녹음/녹화곡을 게시물로 생성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게시물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게시물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에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게시물 열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의 게시물 열람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에 제공되어 표시되는 화면에는, 녹음/녹화곡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902), 콘테스트 명칭(903), 선곡 정보(904)가 표시되고, 게시물을 제작한 유저 정보(909), 좋아요, 조회수에 관한 정보(908), 좋아요 버튼(906), URL을 통해 게시물을 공유할 수 있는 공유하기 버튼(907), 댓글 입력창(910)이 제공된다.
또한,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에는 게시물을 후원할 수 있는 후원하기 버튼(905)이 제공된다.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후원하기 버튼(905)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콘테스트 후원 요청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0a, 10b는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후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9에서 후원하기 버튼(905)을 누름으로써 도 10a와 같이 유료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되며, 유료 아이템의 단위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아이콘이 제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0a에서 후원하기 버튼이 선택되면, 응원 메시지와 함께 유료 아이템이 채팅창에 표시되며,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이 없는 경우에는 충전하기 버튼(1004)을 누름으로써 도 10b과 같은 스토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는 결제 수단을 이용해 묶음 수량 단위의 유료 아이템(1006)을 충전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콘테스트는 스폰서 유저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테스트 등록 요청에 의해서 등록될 수 있으며, 콘테스트를 등록할 때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콘테스트 등록 요청이 있으면,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프레임, 커서 아이콘, 워터마크 및 배너 광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게시물 열람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에 게시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때 콘테스트에 광고를 적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게시물에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9의 녹음/녹화곡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902)은 도 11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서 진행되는 광고 노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녹음/녹화곡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의 프레임(1102a, 1102b), 워터마크(1104), 커서 아이콘(1106) 및 배너 광고(1108)에 스폰서가 등록한 광고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들의 참여로 다양한 주제의 콘테스트가 열리게 하고, 누구나 자신의 녹음/녹화곡을 이용해 콘테스트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며, 녹음/녹화곡을 후원한 유저에게도 랜덤으로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테스트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콘테스트의 명칭, 기간 및 상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콘테스트 조회 수단;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노래 등록 요청 및 선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전송하는 노래 제공 수단;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테스트 응모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 장치의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녹음곡을 상기 콘테스트에 응모 처리하는 응모 처리 수단;
    상기 녹음곡에 대한 게시물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게시물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열람 요청에 상응하는 게시물의 유저 정보, 선곡 정보 및 녹음곡을 전송하는 게시물 제공 수단;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게시물 후원 요청이 있으면, 해당 단말 장치의 유저가 보유한 유료 아이템을 차감하고, 차감된 유료 아이템을 상기 게시물의 녹음곡을 제작한 유저에게 지급하는 후원 처리 수단; 및
    상기 콘테스트에 응모한 유저 중 상기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상기 콘테스트의 수상자에게 상기 콘테스트의 상금을 지급하며, 상기 콘테스트에 후원한 유저에게 상기 콘테스트의 리워드 상금을 지급하는 콘테스트 시상 수단
    을 포함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시상 수단은
    상기 콘테스트의 상금에 상기 콘테스트에 응모하는데 소모된 유료 아이템 및 상기 콘테스트에 후원하는데 소모된 유료 아이템에 따른 금액을 더하여 상기 콘테스트의 상금을 산출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시상 수단은
    상기 콘테스트에 후원한 유저 중 상기 리워드 상금을 지급할 후원 유저를 랜덤으로 선정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유저의 회원 가입 및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유료 아이템을 충전하거나 상기 유료 아이템의 환전을 수행하는 유저 관리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의 조회수, 관심수 및 상기 게시물에 차감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을 기준으로 콘테스트 랭킹을 집계하고, 상기 게시물에 차감된 유료 아이템의 수량을 기준으로 후원 랭킹을 집계하는 랭킹 집계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시상 수단은
    상기 랭킹 집계 수단에서 집계된 콘테스트 랭킹을 기준으로 상기 콘테스트의 수상자를 결정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테스트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콘테스트의 명칭, 기간 및 상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콘테스트 등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등록 수단은
    상기 콘테스트에 노출될 광고 정보를 등록하는 광고 등록 수단
    을 포함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게시물의 영상 프레임, 커서 아이콘, 워터마크 및 배너 광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제공 수단은
    상기 콘테스트에서 정해진 지정곡 목록을 전송하고, 상기 지정곡 목록 중에서 선택된 선곡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선곡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전송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제공 수단은
    상기 반주음에 대한 음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음정 정보에 상응하는 반주음을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제공 수단은
    상기 반주음에 싱크를 맞추어 가사를 전송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90097385A 2019-08-09 2019-08-09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10017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85A KR20210017703A (ko) 2019-08-09 2019-08-09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85A KR20210017703A (ko) 2019-08-09 2019-08-09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703A true KR20210017703A (ko) 2021-02-17

Family

ID=7473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385A KR20210017703A (ko) 2019-08-09 2019-08-09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7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8904B2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共有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767490B2 (en) Communication facilitator
JP2014174911A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共有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57591B1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JP5996502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CN110415008B (zh) 信用数据管理方法、装置、节点设备、存储介质以及系统
JP5706929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JP2021119540A (ja) 情報処理装置、配当実行プログラム、及び配当実行方法
JP5710798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KR20070075754A (ko)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7703A (ko) 콘테스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10030608A (ko) 스폰서 광고를 제공하는 콘테스트 서비스 서버
KR20210030609A (ko) 콘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JP5710799B2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5793537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CN112380442A (zh) 电子资源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80017533A (ko) 온라인 컨텐츠 중개 시스템
KR101827560B1 (ko)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1033471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necting content promoters and artists for content promotion transactions
JP6924350B2 (ja) 情報処理装置、特典提供プログラム、及び特典提供方法
JP2002099678A (ja) オーディションシステム
CN111131764B (zh) 资源兑换视频数据处理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6165639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KR101709439B1 (ko) 뉴스와 sns가 조화된 인터뷰 뉴스 플랫폼 제공장치
KR20150127911A (ko) 유명인 서명을 활용한 광고 및 홍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