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578A -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 Google Patents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578A
KR20210017578A KR1020190097051A KR20190097051A KR20210017578A KR 20210017578 A KR20210017578 A KR 20210017578A KR 1020190097051 A KR1020190097051 A KR 1020190097051A KR 20190097051 A KR20190097051 A KR 20190097051A KR 20210017578 A KR20210017578 A KR 2021001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metal pipe
negative pressure
pneumatic
s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상현
Original Assignee
진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상현 filed Critical 진상현
Priority to KR102019009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578A/ko
Publication of KR2021001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8Hand implements for emptying sewers or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중인 금속 관로의 내부에 있는 녹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에서 사용되어 스크래칭 작업이 완료된 금속 관로의 내벽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샌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공압 및 부압을 이용하여 금속 관로(1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에서 공전하면서 스크래칭 작업을 하는 작업 대차(10)와 교체되어 사용되고; 베어링을 개재하여 공압 파이프(30')가 연결된 공압 공급부재(66)와, 부압 호스(35)가 연결되고 다수의 구멍(64')이 천공된 부압 제공부재(64)와, 상기 부압 제공부재(64)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기 부압 제공부재(64)의 구멍(64')에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65')을 구비하는 본체(65)와, 상기 본체(6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부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63)와, 상기 본체(65)의 외측에 설치된 모래 저장통(62)과, 상기 공압 공급부재(66)로부터 공급된 공압을 이용하여 모래 저장통(62)의 모래를 금속 관로(100)의 내벽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61)과, 상기 모래 저장통(62)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재(90)와, 상기 공압 공급부재(66)와 분사 노즐(61)을 연결하는 공압 공급관로(61')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저장통(62)으로부터 공급된 모래를 상기 분사 노즐(61)로 공급하기 위한 모래 흡입부(68)와, 상기 모래 저장통(62)의 모래를 상기 모래 흡입부(68)로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67)와, 상기 본체(65)에 결합되고 보조대차(20)의 공전용 모터(25)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65)가 공전되도록 하는 링 기어(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sandin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orm inside the metal}
본 발명은 금속 관로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스크래칭 작업이 완료된 금속 관로의 내벽에 모래를 분사하여 잔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금속 관로의 내벽면을 매끄럽게 가공하여, 이어지는 페인팅 작업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금속 관로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페인트의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금속 관로 내벽의 페인팅면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중인 금속 관로의 내부에 있는 녹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에서 사용되어 스크래칭 작업이 완료된 금속 관로의 내벽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샌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관로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에 녹 등의 이물질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금속 관로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저해함은 물론 유체에 불순물이 섞이는 요인이 된다. 특히, 수도관으로 사용되는 금속 관로의 경우에는 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녹 등의 이물질이 내부에 천착되고, 그 중 일부가 물에 포함되어 각 수요처에 공급됨으로써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된 금속 관로의 경우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금속 관로가 땅 속에 매설되어 있는 관계로 금속 관로의 교체에는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즉, 금속 관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금속 관로가 매설된 지역에 대한 굴착, 교체 및 재매설 등의 작업이 수반되므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 안에 있는 녹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금속 관로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금속 관로의 교체에따르는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에서 사용되는 샌딩 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에서 사용되는 작업 대차와 교체 사용될 수 있고, 샌딩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밀폐시켜 금속 관로 내부의 이물질 및 작업을 마친 모래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한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공압 및 부압
을 이용하여 금속 관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에서 공전하면서 스크래칭 작업을 하는 작업 대차와 교체되어 사용되고; 베어링을 개재하여 공압 파이프가 연결된 공압 공급부재와, 부압 호스가 연결되고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부압 제공부재와, 상기 부압 제공부재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기 부압 제공부재의 구멍에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부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모래 저장통과, 상기 공압 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공압을 이용하여 모래 저장통의 모래를 금속 관로의 내벽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모래 저장통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재와, 상기 공압 공급부재와 분사 노즐을 연결하는 공압 공급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된 모래를 상기 분사 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모래 흡입부와, 상기 모래 저장통의 모래를 상기 모래 흡입부로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보조대차의 공전용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가 공전되도록 하는 링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내벽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금속 관로의 내벽 스크래칭 작업시 스크래칭이 완료된 금속 관로의 내벽에 모래를 분사하여 금속 관로의 내벽을 매끄럽게 하는 샌딩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공전하면서 모래를 분사하고 분사된 모래를 회수하게 되어 작업이 용이하고 추가
적인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내벽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소정의 공간 내에서 샌딩 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래 및 이물질을 부압을 이용하여 회수하게 되므로 금속 관로에 대한 샌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내벽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회전부재와 슬립부재를 이용하여 본체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모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의 요부 구성인 작업 대차 및 보조 대차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를 스크래칭 장치의 작업 대차 위치에 결합시킨 형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흡입부가 도시된 단면도
본 발명의 금속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상기 모래 저장통의 외부에는 크기가 큰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상기 모래 흡입부는 그 내부 공간에 상기 공압 공급관로의 노즐부가 구비되어 노즐부에서의 공압 분출에 따른 부압을 이용하여 상기 모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모래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상기 모래 공급부는 상기 모래 저장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래를 흡입하는 모래 흡입관과, 상기 모래 흡입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모래 흡입관의 단부가 항상 하측을 향하도록 하는 무게추와, 상기 모래 흡입관과 상기 모래 흡입부를 연결하여 모래 흡입부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에 따르면, 상기 모래 공급부재는, 상기 모래 저장통에 연통되고 상기 밀폐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링형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의 사이에 실링 부재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모래 호스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통해 모래 저장통의 상측으로만 모래가 공급되도록 하는 링형의 슬립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 및 슬립부재의 외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의 요부 구성인 작업 대차 및 보조 대차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를 스래래칭 장치의 작업 대차 위치에 결합시킨 형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모래 흡입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금속 관로의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공압 파이프(30')가 연결된 공압 공급부재(66)와, 부압 호스(35)가 연결되고 다수의 구멍(64')이 천공된 부압 제공부재(64)와, 상기 부압 제공부재(64)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기 부압 제공부재(64)의 구멍(64')에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65')을 구비하는 본체(65)와, 상기 본체(6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부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63)와, 상기본체(65)의 외측에 설치된 모래 저장통(62)과, 상기 공압 공급부재(66)로부터 공급된 공압을 이용하여 모래 저장통(62)의 모래를 금속 관로(100)의 내벽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61)과, 상기 모래 저장통(62)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재(90)와, 상기 공압 공급부재(66)와 분사 노즐(61)을 연결하는 공압 공급관로(61')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저장통(62)으로부터 공급된 모래를 상기 분사 노즐(61)로 공급하기 위한 모래 흡입부(68)와, 상기 모래 저장통(62)의 모래를 상기 모래 흡입부(68)로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67)와, 상기 본체(65)에 결합되고보조대차(20)의 공전용 모터(25)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65)가 공전되도록 하는 링 기어(69)와, 상기 모래저장통(62)의 외부에 설치되어 크기가 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스크린(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래 흡입부(68)는 그 내부 공간에 상기 공압 공급관로(61')의 노즐부(61")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61")에서의 공압 분출에 따른 부압을 이용하여 상기 모래 공급부(67)로부터 공급되는 모래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래 공급부(67)는, 상기 모래 저장통(6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래를 흡입하는 모래 흡입관(67a)과, 상기 모래 흡입관(67a)의 단부에 설치되어 모래 흡입관(67a)의 단부가 항상 하측을 향하도록 하는 무게추(67b)와, 상기 모래 흡입관(67a)과 상기 모래 흡입부(68)를 연결하여 모래 흡입부(68)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관(67c)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모래 공급부재(90)는, 상기 모래 저장통(62)에 연통되고 상기 밀폐부재(63)와 함께 회전되는 링형의 회전부재(91)와, 상기 회전부재(91)와의 사이에 실링 부재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모래 호스(95)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91)를 통해 모래 저장통(62)의 상측으로만 모래가 공급되도록 하는 링형의 슬립부재(92)와, 상기 밀폐부재(63)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91) 및 슬립부재(92)의 외측을 지지하는 케이스(93)를 포함한다. 또, 상기압력 공급부재(66)의 선단부에는 구동부(40)의 와이어(41)가 연결되는 연결 고리(47)가 설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는, 금속 관로(100)의 내부에서 공전되면서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절삭부재(11)를 이용하여 금속 관로(1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 대차(10)와; 상기 작업 대차(10)에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면서 상기 작업 대차(10)를 지지하는 보조 대차(20)와; 상기 작업 대차(10)로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 호스(30)와; 상기 작업 대차(10)로 부압을 제공하여 금속 관로(10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회수하는 부압 호스(35)와; 상기 작업 대차(10)에 연결되어 작업 대차(10)를 일정 속도로 전진시키는 구동부(40)와 상기 공압 호스(30) 및 부압 호스(35)를 상기 작업 대차(10)의 이동 속도에 맞게 공급하는 호스 공급부(50)로 구성된다.
상기한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는 금속 관로의 내벽에 형성된 녹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금속 관로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작업 대차(10)와 보조 대차(20)를 연결한 후, 금속 관로(100)의 입구로 투입한다. 이때, 구동부(40)는 금속 관로(100)의 출구에 설치하며, 구동부(40)의 와이어(41)를 작업 대차(10)에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 대차(10)의 공압 공급부재(16)에 공압 호스(30)에 연결된 공압 파이프(30')를 연결하고 부압 제공부재(14)에 부압 호스(35)를 연결하여 공압 및 부압을 각각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공압 호스(30) 및 부압 호스(35)를 통해 작업 대차(10)에 공압 및 부압을 인가하면, 작업 대차(10)가 전진 및 공전하면서 금속 관로(1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제거된 이물질은 부압 호스(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금속 관로(100)의 내벽에 부착된 녹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금속 관로(100)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금속 관로(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금속 관로(100)의 내벽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므로 노후된 금속 관로(100)를 교체할 필요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를 이용한 스크래칭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 대차(10)를 분리하고 그 위치에 본 발명의 샌딩 대차(60)를 결합시켜 샌딩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샌딩 대차(60)가 금속 관로(100)의 내부에서 전진과 동시에 공전하면서 금속 관로(100)의 내벽에 모래를 분사함으로써 금속 관로(100)의 내벽을 매끄럽게 가공하게 된다.
연결 고리(47)에 구동부(40)의 와이어(4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부(40)의 작동에 따라 샌딩 대차(60)는 일정 속도로 전진하게 되고, 동시에 보조 대차(20)에 설치된 공전용 모터(25)에 의해 회전하는 링 기어(69)로 인해 본체(65)가 공전하게 된다. 이때, 공압 파이프(30')가 연결된 공압 공급부재(66) 및 부압 호스(35)가 연결된 부압 제공부재(64)는 베어링의 작용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모래 호스(95)가 연결된 슬립부재(92) 역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래 호스(95)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가 모래 저장통(62)의 상측으로만 공급된다.
공압 파이프(30')를 통해 인가된 공압은 공압 공급관로(61')의 중간에 설치된 모래 흡입부(68)를 거쳐 분사 노즐(61)로 공급되어 분출된다. 이때, 상기 모래 흡입부(68) 내에서는 노즐부(61")의 작용으로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부압에 의해 모래 저장통(62)의 모래가 모래 흡입관(67a)으로 흡입되고, 모래 공급관(67c)을 거쳐 모래 흡입부(68)로 공급된다. 따라서, 모래 흡입부(68)와 분사 노즐(61)을 연결하는 공압 공급관로(61')를 통해모래가 공급되어 분사 노즐(61)이 모래를 금속 관로(100)의 내벽에 분사하게 된다.
공압에 의해 분사된 모래는 금속 관로(100)의 내벽을 타격하여 매끄럽게 가공하게 되고, 압력을 잃은 모래는 본체(65) 및 부압 제공부재(64)에 형성된 구멍(64')을 통해 부압 제공부재(64)의 내부로 흡입되어 회수된다.
이때, 입자의 크기가 작은 일부 모래는 모래 저장통(62)으로 회수될 수 있으나, 입자의 크기가 큰 모래나 이물질은 상기 모래 저장통(62)의 상부에 있는 스크린(62')으로 인해 모래 저장통(62)으로 회수되지 않고 부압 제공부재(64)의 부압에 의해 모래 제공부(도시 생략)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모래 흡입관(67a)의 선단에 구비된 무게추(67b)로 인해 모래 흡입관(67a)의 선단부가 항상 모래 저장통(6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모래 저장통(62)이 완전히 비기 전에는 모래 저장통(62)의 모래를 모래 흡입부(68)를 통해 분사 노즐(61)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모래 저장통(62)의 하부측에 있는모래 중 입자의 크기가 작은 일부는 스크린(62')을 통해 빠져나가 부압 제공부재(64)의 내부로 흡입되지만, 입자의 크기가 큰 모래는 무게추(67b)에 의해 선단이 스크린(62')에 근접한 모래 흡입관(67a)을 통해 흡입되어 아래쪽의 분사 노즐(61)을 통해 금속 관로(100)의 내벽으로 분사되어 샌딩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모래 공급부재(90)의 회전부재(91)는 밀폐부재(63)에 결합된 케이스(93)와 함께 공전하나, 모래 호스(95)가 연결된 슬립부재(92)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래 호스(95)를 통해 모래 제공부의 모래를 모래저장통(62)의 상부측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 관로(100)의 내벽에 모래를 분사하는 샌딩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금속 관로(100)의 내벽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스크래칭 작업에 따라 거친 표면으로 남아 있는 금속 관로(100)의 내벽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지는 페인팅 작업시 페인트가 금속 관로(100)의 내벽에 원활하게 부착되도록 함은 물론 페인트의 부착력이 향상되어 페인트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61: 분사 노즐 62: 모래 저장통
63: 밀폐 부재 64: 부압 제공부재
65: 본체 66: 공압 공급부재
67: 모래 공급부 68: 모래 흡입부
69: 링 기어 90: 모래 공급부재
91: 회전부재 92: 슬립부재
93: 케이스

Claims (1)

  1. 공압 및 부압을 이용하여 금속 관로(1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에서 공전하면서 스크래칭 작업을 하는 작업 대차(10)와 교체되어 사용되고베어링을 개재하여 공압 파이프(30')가 연결된 공압 공급부재(66)와, 부압 호스(35)가 연결되고 다수의 구멍(64')이 천공된 부압 제공부재(64)와, 상기 부압 제공부재(64)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기 부압 제공부재(64)의 구멍(64')에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65')을 구비하는 본체(65)와, 상기 본체(6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부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63)와, 상기 본체(65)의 외측에 설치된 모래 저장통(62)과, 상기 공압 공급부재(66)로부터 공급된 공압을 이용하여 모래 저장통(62)의 모래를 금속 관로(100)의 내벽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61)과, 상기 모래 저장통(62)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재(90)와, 상기 공압 공급부재(66)와 분사 노즐(61)을 연결하는 공압 공급관로(61')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저장통(62)으로부터 공급된 모래를 상기 분사 노즐(61)로 공급하기 위한 모래 흡입부(68)와, 상기 모래 저장통(62)의 모래를 상기 모래 흡입부(68)로 공급하는 모래 공급부(67)와, 상기 본체(65)에 결합되고 보조대차(20)의 공전용 모터(25)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65)가 공전되도록 하는 링 기어(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KR1020190097051A 2019-08-09 2019-08-09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KR20210017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51A KR20210017578A (ko) 2019-08-09 2019-08-09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51A KR20210017578A (ko) 2019-08-09 2019-08-09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78A true KR20210017578A (ko) 2021-02-17

Family

ID=7473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051A KR20210017578A (ko) 2019-08-09 2019-08-09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061A (zh) * 2021-07-15 2021-10-15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用于清洗金属粉尘的管道清洗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061A (zh) * 2021-07-15 2021-10-15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用于清洗金属粉尘的管道清洗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285B1 (ko) 노후관 갱생 장비의 자동 스티어링 장치
KR100863263B1 (ko) 노후관로 갱생장치 및 방법
KR101236341B1 (ko) 관로 청소용 이동 대차
US5178223A (en) Device for making a hole in the ground
WO2016125659A1 (ja) 管内タービンブラストシステム
KR20210017578A (ko) 금속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JP2018108626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システ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削孔方法
US20210323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ating operations
CN107752340A (zh) 一种清洁液可回流的清洁器
JP6967182B2 (ja) 流れのある管内を走行し且つ該流れから動力を得るタービンクローラ
CN107214593A (zh) 汽车维修用的漆面打磨装置
KR20070104001A (ko)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샌딩 대차
WO20180759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ating operations
JP6293626B2 (ja) 塗装方法及び塗装装置
JPH07171531A (ja) 配管保守ロボット
KR20070104002A (ko)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페인팅 대차
KR100834035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관로 갱생방법 및 장치
CN214132337U (zh) 一种轮毂加工用流水喷涂设备
KR100796820B1 (ko) 워터젯을 이용한 배관 세척장치
KR102092086B1 (ko) 에어 블라스트 머신
FR2667087A1 (fr) Dispositif pour le decapage et le nettoyage de sols.
JP2003094338A (ja) 大口径管の内面の研掃方法およびその設備
KR20090098264A (ko) 강관내부작업용 이동로봇
US101552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tanks on a customized paint vehicle
CN213509444U (zh) 一种可回料的腻子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