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436A - 기능성 양봉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양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436A
KR20210017436A KR1020190096683A KR20190096683A KR20210017436A KR 20210017436 A KR20210017436 A KR 20210017436A KR 1020190096683 A KR1020190096683 A KR 1020190096683A KR 20190096683 A KR20190096683 A KR 20190096683A KR 20210017436 A KR20210017436 A KR 20210017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beekeeping
consumption
hone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374B1 (ko
Inventor
정원태
Original Assignee
정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태 filed Critical 정원태
Priority to KR1020190096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3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기능성 양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양봉장치는 복수의 소비가 내부에 설치되되 측면에 상기 소비의 출입을 위한 측면 소비 출입부가 형성되며, 양봉 작업으로 꿀이 생산되는 장소를 이루는 벌통; 상기 벌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 영역으로 여왕벌의 왕래하는 것을 통재하는 격왕판; 상기 격왕판의 상부에 마련되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격리통; 및 상기 격리통의 상부에 마련되며, 생산되는 꿀이 저장되는 꿀 저장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양봉장치{Function beekeeping device}
본 발명은, 기능성 양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비를 설치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하며, 특히 종전에 없던 여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양봉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양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봉(beekeeping)은 벌꿀과 밀랍(bee wax)을 생산하기 위해서 꿀벌을 사양하는 일련의 사업, 행위를 가리킨다.
물론, 근래에 와서는 전술한 것처럼 벌꿀과 밀랍을 생산하는 것 외에도 종봉 생산업, 여왕벌 생산업, 임대 양봉 또는 계획수정 양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산 분야를 총괄해서 양봉 혹은 양봉 사업이라 부르기도 한다.
양봉(혹은 양봉 사업)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부여한다. 즉 꿀벌을 이용해서 꽃에서 꽃꿀과 화분을 수집함으로써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둘째, 감미료의 다변화이다. 설탕의 생산량이 풍부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양봉을 장려하고 지도하여 벌꿀 증산을 꾀하고 있다. 때문에, 감미료로서의 벌꿀 소비량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한국에서 감미료의 주가 되는 설탕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설탕을 대신할 수 있는 감미료가 자급될 수 있는 양봉의 가치가 그만큼 높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벌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약용과 영양제로서 애용되고 있다.
넷째, 공업 원료 또는 화장품 원료를 생산한다.
다섯째, 농작물의 화분 매개체로서 농작물의 결실률을 증대시킨다.
이상과 같이 양봉이 가지는 중요성과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양봉을 할 수 있는 수단, 즉 양봉장치(혹은 기구물)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3940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39430호 등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 양봉장치를 구성하는 복잡한 상부 구조물을 모두 제거한 후에 소비를 꺼낼 수 있는 구조라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으며, 특히 양봉장치가 상자형 구조물을 쌓아 올린 단순 구조물 형태라서 기능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능성이 강화된 신개념의 기능성 양봉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3940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394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비를 설치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하며, 특히 종전에 없던 여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양봉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양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소비가 내부에 설치되되 측면에 상기 소비의 출입을 위한 측면 소비 출입부가 형성되며, 양봉 작업으로 꿀이 생산되는 장소를 이루는 벌통; 상기 벌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 영역으로 여왕벌의 왕래하는 것을 통재하는 격왕판; 상기 격왕판의 상부에 마련되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격리통; 및 상기 격리통의 상부에 마련되며, 생산되는 꿀이 저장되는 꿀 저장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벌통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벌통이 놓여 지지되는 받침대; 상기 꿀 저장통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부 덮개; 및 먹이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벌통 내에 마련되는 먹이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통의 일측에는 수벌이 출입하는 장소를 이루는 수벌 출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격리통과 상기 꿀 저장통에는 상기 격리통 또는 상기 꿀 저장통을 고정하는 걸쇠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리통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격리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격왕판 상에 떨어지는 이물을 제거하는 청소용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통을 포함한 그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무선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되게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비를 설치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하며, 특히 종전에 없던 여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양봉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격왕판의 세부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의 기능성 양봉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의 배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출입부 커튼 유닛의 동작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의 벌통 영역의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의 정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배면 구조도, 도 3은 도 1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비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격왕판의 세부 구조도, 그리고, 도 7은 도 1의 기능성 양봉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100)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비(130)를 설치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하며, 특히 종전에 없던 여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양봉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100)는 벌통(120), 격왕판(140), 격리통(150) 및 꿀 저장통(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벌통(120), 격왕판(140), 격리통(150) 및 꿀 저장통(160)은 개별적인 구조물이며 도면처럼 적재 방식으로 결합해서 하나의 기능성 양봉장치(100)를 이룬다.
벌통(120)은 양봉 작업으로 꿀이 생산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벌통(120)은 나무로 제작되며, 내부에 복수의 소비(130)가 설치된다.
소비(130)는 여왕별이 알을 낳는 프레임 틀을 이룬다. 이러한 소비(130)는 소비 몸체(131)와, 소비 몸체(131)에 형성되는 복수의 벌집 그루브(132)를 포함한다. 소비(130)는 나무일 수도 있고, 혹은 실리콘일 수도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기존에는 복잡한 상부 구조물을 모두 제거한 후에 소비(130)를 꺼낼 수 있는 구조였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밖에 없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측면 소비 출입부(123)가 벌통(120)에 형성된다. 즉 벌통(120)의 측면에 소비(130)의 출입을 위한 측면 소비 출입부(123)가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 소비 출입부(123)를 통해 소비(130)를 넣거나 꺼낼 수 있다. 종전처럼 상부 구조물을 모두 제거하지 않더라도 측면 소비 출입부(123)를 통해 소비(130)를 측면에서 넣거나 꺼낼 수 있게끔 함으로써 내검을 쉽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편리하고 효과적인 벌통(120)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끔 한다.
벌통(120) 내에는 먹이통(121)이 마련된다. 먹이통(121)을 넣어줌으로써 부족한 먹이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벌통(120)의 배면에는 장석(126)과 장석 고리(127)가 마련될 수 있다. 장석(126)과 장석 고리(127)는 금속재로 적용될 수 있다.
격왕판(140)은 벌통(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격왕판(140)은 플레이트 바디(141)와, 플레이트 바디(141)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슬릿(142)을 포함한다.
이러한 격왕판(140)은 상부 영역으로 여왕벌의 왕래를 통제한다. 따라서, 벌통(120)에서만 산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벌통(120)과 달리 격왕판(140)은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격리통(150)은 격왕판(140)의 상부에 마련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격리통(15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즉 격리통(150) PC 카보넷 투명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벌의 이동 및 꿀의 저장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격리통(150)의 일측에 수벌 출입부(151)가 형성된다. 수벌 출입부(151)는 수벌이 출입하는 개구이다. 상부에서 일벌의 산란으로 태어난 수벌이 수벌 출입부(151)를 통해 외부로 출입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격리통(150)과 꿀 저장통(160)에는 격리통(150) 또는 꿀 저장통(160)을 고정하는 걸쇠(165)가 마련된다. 걸쇠(165)를 걸어 격리통(150) 또는 꿀 저장통(160)을 고정할 수 있고, 반대로 걸쇠(165)를 풀어 격리통(150) 또는 꿀 저장통(160)을 분리할 수 있다.
격리통(150)의 일측에는 청소용 도어(152)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청소용 도어(152)를 열고 격리통(1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격왕판(140) 상에 떨어지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청소 작업이 완료되면 청소용 도어(152)를 닫으면 된다.
꿀 저장통(160)은 나무로 제작된다. 꿀 저장통(160)은 격리통(15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생산되는 꿀이 저장되는 장소를 이룬다. 복수 개의 층으로 꿀 저장통(160)이 배치될 수 있다.
벌통(120)의 하단부에는 벌통(120)이 놓여 지지되는 받침대(111)가 마련되고, 꿀 저장통(160)의 상단부에는 상부 덮개(113)가 배치된다. 상부 덮개(113)에 IP 카메라(171)가 마련될 수 있다.
받침대(111)와 상부 덮개(113)는 나무 재질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100)는 격왕판(140) 등의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모두가 나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양봉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100)에는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IP 카메라(171), 통신 모듈(173) 및 컨트롤러(180)가 마련된다.
IP 카메라(171)는 벌통(120)을 포함한 그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이긴 하지만 IP 카메라(171)는 상부 덮개(113)의 일측에 장착되어 벌통(120)을 포함한 그 주변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IP 카메라(171)가 상부 덮개(113)에 장착되는 것이 더욱 넓은 범위를 촬영하는 데 도움이 된다.
통신 모듈(173)은 IP 카메라(171)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무선통신하는 모듈이다.
컨트롤러(180)는 IP 카메라(171)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통신 모듈(173)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되게 IP 카메라(171) 및 통신 모듈(173)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IP 카메라(171)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통신 모듈(173)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되게 IP 카메라(171) 및 통신 모듈(173)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IP 카메라(171)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통신 모듈(173)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되게 IP 카메라(171) 및 통신 모듈(173)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비(130)를 설치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하며, 특히 종전에 없던 여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양봉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의 배면 구조도, 도 9는 도 8의 출입부 커튼 유닛의 동작 구조도,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측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200) 역시, 벌통(120), 격왕판(140), 격리통(150) 및 꿀 저장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벌통(120)에 소비(130)의 출입을 위한 측면 소비 출입부(12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면 소비 출입부(123)에 개폐 도어(223)가 더 마련된다. 개폐 도어(223)를 열거나 닫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었던 수벌 출입부(151)에는 출입부 커튼 유닛(290)이 갖춰진다. 출입부 커튼 유닛(290)은 샤프트(292)와, 샤프트(292)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291)와, 샤프트(292)에 감기거나 샤프트(292)에서 풀리는 블라인드(293)를 포함한다.
이에, 도 9의 (a)처럼 블라인드(293)를 내리면 수벌 출입부(151)가 닫히고, 도 9의 (b)처럼 블라인드(293)를 올리면 수벌 출입부(151)가 열리는데, 이러한 작용으로 수벌 출입부(151)를 개폐하면서 기능성 양봉장치(200)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비(130)를 설치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하며, 특히 종전에 없던 여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양봉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의 벌통 영역의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봉장치에 적용되는 벌통(120)에도 복수의 소비(130)가 갖춰진다.
이때, 복수의 소비(130)는 샤프트(391)에 끼워져 걸리는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벌통(120)의 측벽에는 소비(130)를 가압하는 수단으로서 소비 가압부(394)가 결합한다. 소비 가압부(394)는 샤프트(39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샤프트(391)를 가압하는 가압부(392)와, 가압부(392)의 단부에 결합하는 가압 헤드(393)를 포함한다.
이에, 가압 헤드(393)를 밀면 가압부(392)가 샤프트(391)를 가압하는 형태가 되므로 소비(130)를 벌통(120)에서 꺼내 유지보수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소비(130)를 설치하거나 꺼내는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하며, 특히 종전에 없던 여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양봉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양봉장치 111 : 받침대
113 : 상부 덮개 120 : 벌통
121 : 먹이통 123 : 측면 소비 출입부
130 : 소비 140 : 격왕판
150 : 격리통 151 : 수벌 출입부
152 : 청소용 도어 160 : 꿀 저장통
165 : 걸쇠 171 : IP 카메라
173 : 통신 모듈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복수의 소비가 내부에 설치되되 측면에 상기 소비의 출입을 위한 측면 소비 출입부가 형성되며, 양봉 작업으로 꿀이 생산되는 장소를 이루는 벌통;
    상기 벌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 영역으로 여왕벌의 왕래하는 것을 통재하는 격왕판;
    상기 격왕판의 상부에 마련되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격리통; 및
    상기 격리통의 상부에 마련되며, 생산되는 꿀이 저장되는 꿀 저장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벌통이 놓여 지지되는 받침대;
    상기 꿀 저장통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부 덮개; 및
    먹이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벌통 내에 마련되는 먹이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통의 일측에는 수벌이 출입하는 장소를 이루는 수벌 출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격리통과 상기 꿀 저장통에는 상기 격리통 또는 상기 꿀 저장통을 고정하는 걸쇠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통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격리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격왕판 상에 떨어지는 이물을 제거하는 청소용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을 포함한 그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무선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되게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봉장치.
KR1020190096683A 2019-08-08 2019-08-08 기능성 양봉장치 KR102242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83A KR102242374B1 (ko) 2019-08-08 2019-08-08 기능성 양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83A KR102242374B1 (ko) 2019-08-08 2019-08-08 기능성 양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436A true KR20210017436A (ko) 2021-02-17
KR102242374B1 KR102242374B1 (ko) 2021-04-20

Family

ID=7473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683A KR102242374B1 (ko) 2019-08-08 2019-08-08 기능성 양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3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244U (ko) * 2008-04-30 2009-11-04 고상인 토봉용 벌통
KR101464461B1 (ko) * 2014-07-31 2014-12-04 이지근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KR20170139430A (ko) 2016-06-14 2017-12-19 권순태 다수의 단말기 간 정보교류시스템.
KR20170139400A (ko) 2016-06-09 2017-12-19 (주)큐알코리아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981895B1 (ko) * 2018-08-27 2019-05-23 박효진 벌집틀의 상하 이동이 편리하여 천연벌꿀 생산이 용이한 다층 벌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244U (ko) * 2008-04-30 2009-11-04 고상인 토봉용 벌통
KR101464461B1 (ko) * 2014-07-31 2014-12-04 이지근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KR20170139400A (ko) 2016-06-09 2017-12-19 (주)큐알코리아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9430A (ko) 2016-06-14 2017-12-19 권순태 다수의 단말기 간 정보교류시스템.
KR101981895B1 (ko) * 2018-08-27 2019-05-23 박효진 벌집틀의 상하 이동이 편리하여 천연벌꿀 생산이 용이한 다층 벌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374B1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69814Y (zh) 叠加式蜂箱
KR101895246B1 (ko) 말벌의 진입이 방지되는 화분 채집 장치
CN206933011U (zh) 能实时监测数据的智能蜂箱
IL274613B1 (en) Automatic hive
CN107258607A (zh) 可降低人力劳动的智能养蜂设备
KR101030323B1 (ko)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KR20170076030A (ko) 슬라이딩식 꿀 채집기
KR20190083570A (ko)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CN103141410A (zh) 内圆外方自动恒温中蜂蜂箱
KR20130140363A (ko) 말벌 포획 장치
WO2017173902A1 (en) Multilayer artificial honeycomb
JP6186556B1 (ja) 養蜂用巣箱
KR102242374B1 (ko) 기능성 양봉장치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200451173Y1 (ko) 토봉용 벌통
CN104145849A (zh) 一种中蜂分蜂控制收捕器
CN107821232B (zh) 便于收取蜂蜜的蜂箱
CN2288579Y (zh) 养蜂多用器
CN107211921A (zh) 一种提高蜂蜜产量的智能养殖箱
JP2001340038A (ja) 養蜂方法と養蜂用の巣箱
RO128080B1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WO2008087398A1 (en) Apparatus for a hive
CN209788218U (zh) 一种用于葫芦蜂的控王收王装置
KR102268734B1 (ko) 기능성 양봉통
KR101453510B1 (ko) 양봉꿀 채취용 양봉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