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400A -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400A
KR20170139400A KR1020160071911A KR20160071911A KR20170139400A KR 20170139400 A KR20170139400 A KR 20170139400A KR 1020160071911 A KR1020160071911 A KR 1020160071911A KR 20160071911 A KR20160071911 A KR 20160071911A KR 20170139400 A KR20170139400 A KR 2017013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real
real cod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택
Original Assignee
(주)큐알코리아
주식회사 리디아위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알코리아, 주식회사 리디아위밍 filed Critical (주)큐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7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400A/ko
Publication of KR2017013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얼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산된 리얼코드가 부여되는 상품의 상품정보와 생산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생산자 단말,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에 부여된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판매정보 및 도난방지 적용선택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판매자 단말,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에 부여된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상기 상품의 정품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생산정보 및 판매정보를 표시하며, 복제품을 신고하도록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표시하고, 구매정보를 입력하는 구매자 단말 및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를 물류정보DB에 기록하고,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물류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물류정보 및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상품의 도난여부 및 복제여부를 감시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리얼코드를 생성하고, 물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는 즉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 및 각종 아이콘을 촬영화면에 팝업시켜 표시한다.

Description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GENUINENESS CONFIRMING AND THEFT/REPLIC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REALCODE}
본 발명은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정품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시리얼번호, 바코드 등을 제품에 부여하는 정품인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사기술, 제작기술 등의 발달로 인하여 제품에 부여된 시리얼번호 등과 같은 식별수단 자체를 복제하는 경우, 소비자가 제품의 정품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없다.
시리얼번호가 기재된 라벨 자체의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 반사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복제 가능성을 낮추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시리얼번호 등의 식별수단은 소비자가 거래과정에서 정품인지 여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생산자 또는 판매자 역시 복제품이 유통되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KR 10-0548801 B1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이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를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화면 상에 팝업으로 물류정보를 표시하는 정품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이 구매등록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가 판매등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매등록이 부존재하는 상태에서 구매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하고 판매자에게 경고메세지를 제공하는 도난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이 정품확인 또는 구매등록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대조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복제품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매자에게 경고메세지를 제공하는 복제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얼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산된 리얼코드가 부여되는 상품의 상품정보와 생산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생산자 단말,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에 부여된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판매정보 및 도난방지 적용선택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판매자 단말,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에 부여된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상기 상품의 정품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생산정보 및 판매정보를 표시하며, 복제품을 신고하도록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표시하고, 구매정보를 입력하는 구매자 단말 및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를 물류정보DB에 기록하고,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물류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물류정보 및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상품의 도난여부 및 복제여부를 감시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리얼코드를 생성하고, 물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는 즉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 및 각종 아이콘을 촬영화면에 팝업시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리얼코드의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물류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품확인부, 상기 생산자 단말, 판매자 단말,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기록하며,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각 단말에 상기 물류정보를 제공하는 물류관리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판매정보 및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도난감시부, 및 상기 물류정보 및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복제여부를 감시하는 복제감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난감시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물류정보에 도난방지가 적용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도난방지가 적용된 경우 상기 판매정보에 판매등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매등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복제감시부는 상기 로그정보에 기록되는, 정품확인 및 구매등록을 요청하는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상기 물류정보에 기록되는, 판매점 위치정보를 대조하여, 판매점 위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지역에서 일정량 이상의 요청이 검색되는 경우 복제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되거나, 상기 상품이 도난 또는 복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매자 단말로 경고메세지를 제공하는 경고메세지 발송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생산자 단말로부터 리얼코드 생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URL과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리얼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생산자 단말로 제공하는 리얼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은 구매자 단말이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를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정품확인부가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이 상기 상품의 물류정보, 복제품 신고 아이콘 및 구매정보입력 아이콘을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의 촬영화면에 팝업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이 구매등록 요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물류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도난감시 단계, 상기 서버의 복제감시부가 로그정보와 상기 물류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상품의 복제여부를 판단하는 복제감시 단계 및 상기 상품이 도난 또는 복제로 판단되거나,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되는 경우, 판매자 단말로 경고메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제감시 단계는 상기 정품확인 단계 및 상기 도난감시 단계와 동시에 병렬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도난감시 단계는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물류정보에 도난방지가 적용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상기 상품에 도난방지가 적용된 경우, 상기 물류정보에 판매등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상기 물류정보에 판매등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제감시 단계는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품확인 및 구매등록 요청을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함께 로그정보DB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복제감시부가, 상기 로그정보DB에 기록되는, 정품확인 및 구매등록을 요청하는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상기 물류정보에 기록되는, 판매점 위치정보를 대조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점 위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지역에서 일정량 이상의 요청이 검색되는 경우 복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이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를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화면 상에 팝업으로 물류정보를 표시하여, 구매자로 하여금 상품이 올바른 유통경로를 통해 판매되는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 단말에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여, 구매자의 적극적인 신고를 기대할 수 있어, 복제품의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이 구매등록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가 판매등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매등록이 부존재하는 상태에서 구매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하고 판매자에게 경고메세지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상품의 도난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이 정품확인 또는 구매등록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대조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복제품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매자에게 경고메세지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복제품이 유통되는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얼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품의 도난여부를 감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품의 복제여부를 감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단말이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팝업으로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물류정보DB에 저장되는 물류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리얼코드(5)는 QR코드의 한 종류로서,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는 URL과 각 리얼코드(5)를 서로 구분하는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특정한 QR코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은 리얼코드(5)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촬영하고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서버(50)에 QR코드를 전송하며, 사용자와 서버(50)의 동작에 따라 리얼코드(5)에 기초한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은 리얼코드(5)를 생성하고, 물류정보를 서버(50)에 전송하며, 리얼코드(5)를 촬영하는 즉시 리얼코드(5)에 대응하는 물류정보 및 각종 아이콘을 촬영화면에 팝업시켜 표시한다.
리얼코드(5)는 일반 QR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식되는 경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는 URL을 제공한다. 그러나, 리얼코드(5)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식되는 경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서버(50)는 리얼코드(5)의 고유코드를 추출하여 리얼코드(5)에 기초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은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 서버(50)를 포함한다.
생산자, 판매자, 구직자는 각각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50)에 접속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을 이용한다.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50)로 연결되며, 각 단말은 서버(5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50)와 정보를 교환한다.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 등이 될 수 있으며, 서버(5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생산자 단말(1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얼코드(5)를 생성하며, 생산된 리얼코드(5)가 부여되는 상품(2)의 상품정보와 생산정보를 서버(50)로 전송한다.
생산자 단말(1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생산자의 ID와 PASSWORD를 서버(50)로 전송하여 로그인한다. 생산자 단말(10)은 서버(50)에 리얼코드(5) 생성을 요청하고, 서버(50)로부터 수신한 리얼코드(5)를 프린터 등의 출력기기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생산자 단말(10)은 리얼코드(5)를 촬영하여 서버(50)로 전송하며, 리얼코드(5)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서버(50)로부터 수신하고 리얼코드 촬영화면에 팝업시켜 표시한다. 생산자 단말(10)은 물류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생산자가 상품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되는 상품정보입력 아이콘과, 생산자가 생산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되는 생산정보입력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품정보는 상품명, 제조년월일, 제조국, 원재료, 주의사항, 설명서 등의 상품(2)에 관한 정보를 말하며, 생산정보는 생산완료 확인단계의 생산등록, 품질검사 단계의 품질검사등록, 판매자에게 배송되는 과정의 출고등록 등의 물류(또는 유통)의 각 단계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생산자 단말(1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산자 ID로 생성한 모든 리얼코드(5)를 검색하고 분류하며 물류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물류정보를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생산자 단말(10)은 서버(50)로부터 제공되는 경고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 즉시 알람, 진동 등의 수단을 통해 생산자에게 경고메세지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2)에 부여된 리얼코드(5)를 촬영하고, 판매정보 및 도난방지 적용선택을 서버(50)로 전송한다.
판매자 단말(2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판매자 ID와 PASSWORD를 서버(50)로 전송하여 로그인한다. 판매자 단말(20)은 상품(2)에 부여된 리얼코드(5)를 촬영하고 서버(50)로 전송하며, 리얼코드(5)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서버(50)로부터 수신하고 리얼코드 촬영화면에 팝업시켜 표시한다.
판매자 단말(20)은 물류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판매자가 물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되는 판매정보입력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며, 리얼코드(5)에 해당하는 상품(2)에 도난방지를 적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판매정보는 생산자로부터 상품(2)이 입고되는 단계의 입고등록, 입고지에서 각 판매점으로 이동하는 단계의 지점배송, 판매점의 카운터에서 상품(2)의 대금 지불이 완료되고 판매되었음을 확인하는 판매등록 등의 판매의 각 단계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판매자 단말(2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판매자ID로 물류정보를 입력한 모든 리얼코드(5)를 검색하고 분류하며 물류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물류정보를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판매자 단말(20)은 서버(50)로부터 제공되는 경고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 즉시 알람, 진동 등의 수단을 통해 판매자에게 경고메세지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구매자 단말(3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2)에 부여된 리얼코드(5)를 촬영하고, 상품(2)의 정품여부를 확인하도록 생산정보 및 판매정보를 표시하며, 복제품을 신고하도록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표시하고, 구매정보를 입력한다.
구매자 단말(30)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구매자 ID와 PASSWORD를 서버(50)로 전송하여 로그인하여 본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로그인하지 않고 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30)은 상품(2)에 부여된 리얼코드(5)를 촬영하고 서버(50)로 전송하며, 리얼코드(5)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서버(50)로부터 수신하고 리얼코드 촬영화면에 팝업시켜 표시한다. 구매자 단말(30)은 물류정보와 함께, 상품(2)이 복제품으로 의심되는 경우 신고할 수 있는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표시한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30)로 상품(2)에 대한 물류정보를 확인하여 상품(2)이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품(2)에 부여된 리얼코드(5)를 촬영하였는데, 물류정보가 확인되지 않거나, 물류정보 중에 판매등록 또는 입고등록이 중복하여 표시되거나, 실제로 판매하고 있는 위치와, 등록된 판매점의 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품(2)을 복제품으로 의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5)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복제/도난감시 시스템은 구매자로 하여금 즉시 상품(2)의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자가 복제품 신고를 할 수 있으므로, 생산자 또는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2)이 복제되어 유통되는 사실을 즉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서버(5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50)는 인터페이스부(100), 회원정보 DB(210), 물류정보 DB(220), 로그정보 DB(230), 로그인부(310), 리얼코드 생성부(320), 정품확인부(330), 물류관리부(340), 도난감시부(350), 복제감시부(360),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0)는 웹사이트 지원부(110) 및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2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0)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과 서버(50)가 정보를 교환하도록 한다.
웹사이트 지원부(110)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이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제공하며, 웹사이트를 통하여 서버(50)와 각 단말기가 정보를 교환하도록 지원한다.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20)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에 다운로드 되고 설치될 수 있는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단말과 서버(50)가 정보를 교환하도록 지원한다.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20)의 URL은 리얼코드에 포함된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제공하는 URL과 동일할 수 있다.
회원정보 DB(2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사용자의 개인정보, ID, PASSWORD, 회원종류 등을 기록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이다.
각 회원은 리얼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생산자, 상품을 도매, 소매로 판매하는 판매자, 상품을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구매자로 구분된다. 또는, 생산자, 판매자가 회원으로 가입하고, 구매자는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고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물류정보 DB(220)는 상품의 물류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D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물류정보DB에 저장되는 물류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정보는 리얼코드의 고유번호마다 저장되며, 도난방지 적용여부,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 등을 포함한다. 물류정보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항목들(도난상태, 복제상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그정보 DB(230)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로부터 서버(50)에 전송되는 모든 요청, 신고 등의 정보교환 일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생산자 단말(10)이 출고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생산자 단말(10)에 로그인한 ID, 리얼코드의 고유번호, 요청시간, 생산자 단말(10)의 위치정보 등이 로그정보 DB(230)에 기록된다.
로그정보 DB(230)는 필요한 경우, 생산자 단말(10) 또는 판매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로그정보를 검색 및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로그인부(310)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이 ID와 PASSWORD를 입력하고 로그인하는 경우, 회원정보 DB(210)에 저장된 ID 및 PASSWORD와 비교하여 로그인을 승인하며, 새로운 이용자에게 회원가입에 필요한 일반적 기능들을 제공한다.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생산자 단말(10)로부터 리얼코드 생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URL과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생성하여 생산자 단말(10)로 제공한다.
즉,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생산자 단말(10)로부터 리얼코드생성이 요청되는 경우, 리얼코드를 생성하여 생산자 단말(10)로 제공한다.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리얼코드의 고유번호를 물류정보 DB(220)에 기록된 기존의 리얼코드의 고유번호와 중복되지 않도록 생성하고,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URL정보와 리얼코드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생성한다.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물류정보 DB(220)에 리얼코드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공간을 생성한다.
정품확인부(330)는 구매자 단말(30)로부터 전송된 리얼코드의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구매자 단말(30)로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상품이 올바른 유통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정품확인부(330)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로부터 QR코드가 촬영되어 서버(50)로 전송되는 경우, QR코드가 리얼코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리얼코드가 아닌 경우 QR코드에 포함된 URL 정보 등을 각 단말로 전송한다.
정품확인부(330)는 각 단말로부터 전송된 QR코드가 리얼코드인 경우, 리얼코드에 포함된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물류정보를 각 단말로 전송한다.
정품확인부(330)는 생산자 단말(10)에게 물류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품정보 및 생산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아이콘을 함께 제공하며, 판매자 단말(20)에게 물류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판매정보를 입력하고 도난방지 적용을 선택하는 아이콘을 함께 제공하며, 구매자 단말(30)에게 물류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구매등록과 복제품을 신고하는 아이콘을 함께 제공한다.
이때,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의 구분은 로그인 ID와 회원정보 DB(210)의 회원정보를 대조하여 회원종류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각 단말에 모두 로그인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생산자 단말(10) 및 판매자 단말(20)은 로그인을 요구하고,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 모두 구매자 단말(30)로 판단할 수도 있다.
물류관리부(340)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기록하며, 검색요청에 따라 각 단말에 물류정보를 제공한다.
즉, 물류관리부(340)는 정품확인부(330)에서 리얼코드의 인식 및 물류정보 제공 이후에,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로부터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의 입력, 수정, 삭제 요청 등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판매자 단말(20)로부터 리얼코드에 해당하는 상품의 입고등록 요청, 지점배송 요청, 판매등록 요청 등이 수신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정보를 물류정보 DB(220)에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또한, 생산자 단말(10)로부터 자신의 ID로 생성한 리얼코드에 속한 물류정보의 검색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검색 기준에 따라 물류정보 DB(220)를 검색 및 분류하여 생산자 단말(10)로 결과를 제공한다.
도난감시부(350)는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판매정보 및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도난여부를 판단한다.
즉, 도난감시부(350)는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물류정보 DB(220)에 기록된 물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상품이 도난된 것인지 판단한다.
도난감시부(350)는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물류정보에 도난방지가 적용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도난방지가 적용된 경우 판매정보에 판매등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매등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한다.
판매등록은 판매자가 판매점에서 상품을 판매함과 동시에 기록되는 판매정보이며, 판매한 상품이라는 의미의 판매등록이 물류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판매되지 않은 상품에 구매등록이 요청되는 것이므로 도난으로 판단한다.
도난감시부(350)는 도난으로 판단된 상품에 구매등록을 요청한 구매자 단말(30)의 위치정보 등을 로그정보 DB(230)로부터 획득하고, 해당 상품의 생산자 및 판매자 ID를 물류정보 DB(220)로부터 획득하여,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로 제공한다.
복제감시부(360)는 물류정보 및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복제여부를 감시한다. 즉, 복제감시부(360)는 로그정보에 기록되는, 정품확인 및 구매등록을 요청하는 구매자 단말(30)의 지역정보와 물류정보에 기록되는, 판매점 위치정보를 대조하여, 판매점 위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지역에서 일정량 이상의 요청이 검색되는 경우 복제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구매등록 요청 또는 정품확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구매자 단말(30)의 위치정보와 물류정보 DB(220)에 기록된 판매자의 판매점 위치정보를 대조하여, 불일치하는 횟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품이 복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하나의 상품에 하나의 리얼코드를 부여하여 판매되는 상품인 경우, 복제품이 판매되는 경우라면, 하나의 리얼코드에 다수의 구매자 단말(30)이 정품확인 요청 및 구매등록 요청을 하게 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 복제품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복수의 상품에 하나의 리얼코드를 부여하여 판매되는 상품인 경우, 복제품이 판매되는 경우라면, 생산자가 리얼코드에 상품의 생산 개수(예를들어, 100개)를 생산정보로 기록하고, 판매자가 소유하고 있는 재고의 개수(예를들어, 50개)와 판매된 개수(예를들어, 50개)가 판매정보로 기록된다. 따라서 구매등록의 개수(예를 들어, 50개)가 판매된 개수(50개)를 일정 개수(예를 들어, 30개) 이상 초과하여 등록되는 경우에 해당 상품이 복제되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제감시부(360)는 복제로 판단된 상품에 구매등록을 요청한 구매자 단말(30)의 위치정보 등을 로그정보 DB(230)로부터 획득하고, 해당 상품의 생산자 및 판매자 ID를 물류정보 DB(220)로부터 획득하여,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로 제공한다.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는 구매자 단말(30)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되거나, 상품이 도난 또는 복제로 판단되는 경우, 판매자 단말(20)로 경고메세지를 제공한다.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는 도난감시부(350)에서 상품이 도난으로 판단되거나, 복제감시부(360)에서 상품이 복제로 판단되거나, 구매자 단말(30)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된 상품의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로 경고메세지를 제공한다.
경고메세지는 해당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의 고유번호, 구매자 단말(30)의 위치정보, 구매등록 요청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생산자, 판매자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에 수신되는 경고메세지를 통해 자신의 상품이 도난되거나 복제되어 판매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도난 또는 복제에 대해 즉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상품유통경로를 확립할 수 있다.
종합하면, 서버(50)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를 물류정보DB에 기록하고,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구매자 단말(30)에 제공하며, 물류정보 및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품의 도난여부 및 복제여부를 감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30)의 화면에 물류정보를 표시하여, 구매자로 하여금 상품이 올바른 유통경로를 통해 판매되는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 단말(30)에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여, 구매자의 적극적인 신고를 기대할 수 있어, 복제품의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30)이 구매등록 요청을 서버(50)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50)가 판매등록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판매등록이 부존재하는 상태에서 구매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하고 판매자에게 경고메세지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상품의 도난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30)이 정품확인 또는 구매등록 요청을 서버(50)로 전송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30)의 위치정보와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대조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복제품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매자에게 경고메세지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복제품이 유통되는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리얼코드를 생성하고(S100), 생산자 단말(10)이 리얼코드가 부여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생산정보를 입력하며(S200), 판매자 단말(20)이 판매정보를 입력하고 도난방지 적용여부를 선택한다(S300).
구매자 단말(30)이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를 촬영하여 상품의 정품여부를 확인하고(S400), 구매자 단말(30)이 구매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서버(50)가 상품의 도난여부를 감시하는 도난감시 단계가 수행된다(S500).
정품확인 및 도난감시 단계와 병렬적으로, 상품이 복제된 것인지 여부를 감시하는 복제감시 단계(S600)가 수행된다. 상품이 도난 또는 복제로 판단되거나 구매자 단말(30)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50)는 생산자 단말(10) 및 판매자 단말(20)로 경고메세지를 제공한다(S7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얼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0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생산자 단말(10)이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1).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은 생산자 단말(10)의 화면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로그인 단계(S102)에서, 생산자 단말(10)이 생산자의 ID와 PASSWORD를 입력받아 서버(50)로 전송하면, 서버(50)의 로그인부(310)가 회원정보 DB(210)에 기록된 ID 및 PASSWORD를 대조하여 로그인을 승인한다. 로그인 후, 생산자 단말(10)은 리얼코드 촬영 화면과 리얼코드 생성 요청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얼코드 생성 요청 단계(S103)에서, 생산자 단말(10)이 서버(50)로 리얼코드의 생성을 요청한다. 리얼코드 생성 요청은 서버(50)의 리얼코드 생성부(320)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리얼코드 고유번호 생성 단계(S104)에서,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물류정보 DB(220)에 기록된 기존의 리얼코드 고유번호와 중복되지 않도록, 새로운 리얼코드 고유번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물류정보 기록단계(S105)에서,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새로운 리얼코드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물류정보가 기록될 영역을 물류정보 DB(220)에 생성한다.
다음으로, 리얼코드 생성단계(S106)에서,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새로운 리얼코드 고유번호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설치를 지원하는 URL을 포함하는 2차원바코드 형식의 리얼코드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리얼코드 생성부(320)는 생성된 리얼코드를 생산자 단말(10)로 전송하고(S107), 생산자 단말(10)은 수신한 새로운 리얼코드를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하거나, 상품에 인쇄하는 방법으로 리얼코드를 출력한다(S108).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P11 내지 P16)는 생산정보 입력단계(S200), 판매정보 입력단계(S300) 및 정품확인단계(S400)에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이다.
먼저,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이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P11).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은 각 단말의 화면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로그인 단계(P12)에서, 각 단말이 ID와 PASSWORD를 입력받아 서버(50)로 전송하면, 서버(50)의 로그인부(310)가 회원정보 DB(210)에 기록된 ID 및 PASSWORD를 대조하여 로그인을 승인한다. 로그인 후, 각 단말은 리얼코드 촬영 화면과 회원구분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는 아이콘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얼코드 촬영 및 전송 단계(P13)에서, 각 단말은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를 촬영하여 서버(5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리얼코드 고유번호 추출단계(P14)에서, 서버(50)의 정품확인부(330)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리얼코드에서 고유번호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물류정보 전송단계(P15)에서, 서버(50)의 정품확인부(330)는 리얼코드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물류정보 DB(220)로부터 검색하여 각 단말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물류정보 표시단계(P16)에서, 각 단말은 서버(50)로부터 수신된 물류정보를 리얼코드 촬영화면 상에 즉시 팝업으로 표시한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30)에 표시된 물류정보를 확인하여, 상품이 올바른 유통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정품인지 확인할 수 있다.
구매자 뿐만 아니라, 생산자, 판매자도 단말에 표시되는 물류정보를 확인하여 물류관리를 할 수 있고, 상품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단계 P11 내지 P16이 각 단말에서 공통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단계 P17 내지 P20이 수행되거나, 또는 병렬로 단계 P17 내지 P20이 수행된다.
먼저, 회원종류 판단단계(S17)에서, 정품확인부(330)가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서버(50)로 전송한 단말기에 로그인한 회원의 ID를 회원정보 DB(210)에 기록된 회원정보와 대조하고, 회원종류를 판단하여, 회원종류에 따라 각 단말로 추가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이콘 표시단계(S18 내지 20)에서, 각 단말은 물류정보를 표시한 화면에 회원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생산자 ID로 로그인한 생산자 단말(10)은 정품확인부(330)로부터 수신한 상품정보입력 아이콘, 생산정보입력 아이콘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판매자 ID로 로그인한 판매자 단말(20)은 정품확인부(330)로부터 수신한 판매정보입력 아이콘, 도난방지 적용선택 아이콘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구매자 ID로 로그인 하거나, 로그인 없이 리얼코드를 촬영하는 구매자 단말(30)은 정품확인부(330)로부터 수신한 구매정보입력 아이콘, 복제품 신고 아이콘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단말이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팝업으로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의 화면에 물류정보가 표시되며, 물류정보의 하단에 복제품 신고 아이콘, 구매정보 입력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생산자 단말(10)인 경우 상품정보입력 아이콘과 생산정보입력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고, 판매자 단말(20)인 경우 판매정보입력 아이콘과 도난방지 적용선택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으로, 각 단말이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물류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며, 로그인 ID에 따른 아이콘을 표시한 후, 각 단말은 물류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리얼코드 생성단계(S100) 이후에, 생산자 단말(10)이 리얼코드가 부여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 생산정보를 입력한다(S200). 상술한 단계 P11 내지 P20이 수행되면 생산자 단말(10)의 화면에 리얼코드가 부여된 상품의 물류정보와 생산자에게 제공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생산자가 상품정보입력 아이콘 또는 물류정보입력 아이콘을 선택하면 생산자 단말(10)은 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며, 입력된 각 정보를 서버(50)로 전송한다. 서버(50)의 물류관리부(340)는 생산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상품정보, 생산정보를 리얼코드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도록 물류정보 DB(220)에 기록한다(S200).
판매자 단말(20) 역시, 판매정보 및 구매정보를 입력받아 서버(50)로 전송하고, 물류관리부(340)가 수신한 판매정보 및 구매정보를 물류정보 DB(220)에 기록한다(S300). 이때, 판매자가 상품에 도난방지를 적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도난방지 적용 아이콘을 선택하고, 판매자 단말(20)이 도난방지 적용을 서버(50)로 전송하고, 서버(50)의 물류관리부(340)는 물류정보 DB(220)에 도난방지 적용여부를 기록한다.
다음으로, 구매자 단말(30)은 상품의 물류정보를 표시하여 정품여부를 확인하고, 복제품을 신고할 수 있다(S400).
구매자는 판매점에서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를 구매자 단말(30)로 촬영하여, 상품의 물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P11 내지 P20). 구매자는 물류정보가 기록되지 않거나, 이미 구매등록이 되어 있는 상품이거나, 물류정보에 기록된 판매점의 위치정보가 실제 판매점의 위치와 불일치 하는 등의 경우에 상품이 복제품이라는 의심을 할 수 있으며, 구매자 단말(30)에 표시된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30)이 복제품 신고를 서버(50)로 전송하는 경우,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는 생산자 단말(10) 및 판매자 단말(20)로 복제경고메세지를 발송한다(S700). 복제경고메세지에는 복제품 신고가 전송된 구매자 단말(30)의 위치정보, 시간정보, 해당 리얼코드의 고유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매자는 상품을 판매자로부터 구매하고, 구매등록을 서버(5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품의 도난여부를 감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상품의 도난감시 단계(S500)는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구매등록이 요청되는 경우 수행된다.
먼저, 구매자 단말(30)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이 수신된다(S501).
다음으로, 서버(50)의 도난방지부는 해당 리얼코드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물류정보 DB(220)에서 검색하여, 물류정보에 도난방지가 적용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502).
다음으로, 도난방지부는 물류정보에 도난방지가 적용된 경우, 물류정보에 판매등록이 기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503). 판매등록은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한 것을 증명하는 물류기록으로서, 판매등록이 부존재하는 상태에서 구매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것은, 상품이 도난되어 판매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난방지부는 물류정보에 판매등록이 부존재하는 경우, 상품이 도난된 것으로 판단하며, 물류정보 DB(220)의 물류정보에 도난상태를 도난의심으로 기록한다(S504).
다음으로, 도난방지부는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로 도난을 경고하는 도난경고메세지를 발송한다(S70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품의 복제여부를 감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복제감시 단계(S600)는 상술한 정품확인단계(S400) 및 도난감시 단계(S500)와 동시에 병렬로 수행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구매자 단말(30)과 서버(50)의 통신내역을 로그정보 DB(230)에 기록한다(S601). 로그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품확인 요청, 물류정보 입력, 리얼코드 생성 요청 등의 각종 요청내역, ID, 리얼코드의 고유번호, 시간, 단말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복제감시부(360)는 정품확인 요청, 구매등록 요청의 로그정보와 해당 상품의 물류정보를 대조한다(S602).
다음으로, 복제감시부(36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로그정보와 물류정보의 일치여부를 대조하고, 불일치 건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품이 복제되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603).
다음으로, 복제감시부(360)는 해당 상품의 물류정보에 복제상태를 복제의심으로 기록한다(S604).
다음으로,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는 해당 상품의 생산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로 상품이 복제되어 유통됨을 경고하는 복제경고메세지를 발송한다(S700). 복제경고메세지는 정품확인요청 및 구매등록 요청이 발생한 구매자 단말(30)의 위치정보,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상품에 하나의 리얼코드를 부여하여 판매되는 상품인 경우, 복제품이 판매되는 경우라면, 하나의 리얼코드에 다수의 구매자 단말(30)이 정품확인 요청 및 구매등록 요청을 하게 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 복제품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제감시부(360)는 하나의 리얼코드에 다수의 구매자 단말(30)이 정품확인 요청 또는 구매등록 요청을 하는 경우 상품이 복제된 것으로 판단하고(S604), 해당 상품의 물류정보에 복제상품으로 의심됨을 기록하여(S605), 추가적인 구매자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경고메세지 발송부(370)는 해당 상품의 생산자 및 판매자에게 복제경고메세지를 발송(S700)하여, 생산자 및 판매자가 즉시 복제를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를 들면, 복수의 상품에 하나의 리얼코드를 부여하여 판매되는 상품인 경우, 복제품이 판매되는 경우라면, 생산자가 리얼코드에 상품의 생산 개수(예를들어, 100개)를 생산정보로 기록하고, 판매자가 소유하고 있는 재고의 개수(예를들어, 50개)와 판매된 개수(예를들어, 50개)가 판매정보로 기록된다. 따라서 구매등록의 개수(예를 들어, 50개)가 판매된 개수(50개)를 일정 개수(예를 들어, 30개) 이상 초과하여 등록되는 경우에 해당 상품이 복제되어 유통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제감시부(360)는 상품의 생산 개수, 로그정보에 기록된 구매등록 요청의 개수, 물류정보에 기록된 판매자의 재고 개수 및 판매등록 개수를 비교하여, 구매등록 요청 개수가 판매등록 개수를 일정 개수 이상 초과하는 경우, 상품이 복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04).
또 다른 예를 들면, 상품의 복제품이 판매점 이외의 지역에서 판매되는 경우, 정품확인 요청 및 구매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구매자 단말(30)의 위치가 물류정보에 기록된 판매점의 위치정보와 상이하다.
복제감시부(360)는 로그정보에 기록된 정품확인 요청 및 구매등록 요청의 위치정보와 물류정보 DB(220)에 기록된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대조하여(S602), 불일치 건수가 설정값을 초과하고(S603), 정품확인 요청 및 구매등록 요청이 일정 지역 내에 집중되는 경우, 상품이 복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고메세지 제공단계(S70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30)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되거나, 도난감시부(350)에서 도난으로 판단되거나, 복제감시부(360)에서 복제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메세지 제공부는 생산자 단말(10) 및 판매자 단말(20)로 경고메세지를 발송한다.
경고메세지는 도난/복제 등의 경고사유, 도난/복제 등이 의심되는 지역의 위치정보, 도난/복제로 의심되는 상품에 대해 정품확인 요청 또는 구매등록 요청이 수신된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산자 및 판매자는 서버(50)가 제공하는 경고메세지를 각 단말로 수신하여, 자신의 상품의 도난/복제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생산자, 판매자, 구매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2: 상품 5: 리얼코드
10: 생산자 단말 20: 판매자 단말
30: 구매자 단말 40: 네트워크
50: 서버 100: 인터페이스부
110: 웹사이트 지원부 120: 어플리케이션 지원부
210: 회원정보 DB 220: 물류정보 DB
230: 로그정보 DB 310: 로그인부
320: 리얼코드 생성부 330: 정품확인부
340: 물류관리부 350: 도난감시부
360: 복제감시부 370: 경고메세지 발송부

Claims (10)

  1.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얼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생산된 리얼코드가 부여되는 상품의 상품정보와 생산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생산자 단말;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에 부여된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판매정보 및 도난방지 적용선택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판매자 단말;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에 부여된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고, 상기 상품의 정품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생산정보 및 판매정보를 표시하며, 복제품을 신고하도록 복제품 신고 아이콘을 표시하고, 구매정보를 입력하는 구매자 단말; 및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를 물류정보DB에 기록하고, 상기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물류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물류정보 및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상품의 도난여부 및 복제여부를 감시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리얼코드를 생성하고, 물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리얼코드를 촬영하는 즉시 상기 리얼코드에 대응하는 물류정보 및 각종 아이콘을 촬영화면에 팝업시켜 표시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리얼코드의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물류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품확인부;
    상기 생산자 단말, 판매자 단말,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상품정보, 생산정보, 판매정보, 구매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기록하며,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각 단말에 상기 물류정보를 제공하는 물류관리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판매정보 및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도난감시부; 및
    상기 물류정보 및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의 복제여부를 감시하는 복제감시부를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난감시부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물류정보에 도난방지가 적용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도난방지가 적용된 경우 상기 판매정보에 판매등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매등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제감시부는
    상기 로그정보에 기록되는, 정품확인 및 구매등록을 요청하는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상기 물류정보에 기록되는, 판매점 위치정보를 대조하여, 판매점 위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지역에서 일정량 이상의 요청이 검색되는 경우 복제로 판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되거나, 상기 상품이 도난 또는 복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매자 단말로 경고메세지를 제공하는 경고메세지 발송부를 더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생산자 단말로부터 리얼코드 생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URL과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리얼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생산자 단말로 제공하는 리얼코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7. 구매자 단말이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에 부여된 리얼코드를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정품확인부가 수신된 상기 리얼코드의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이 상기 상품의 물류정보, 복제품 신고 아이콘 및 구매정보입력 아이콘을 상기 리얼라인 어플리케이션의 촬영화면에 팝업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이 구매등록 요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물류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도난감시 단계;
    상기 서버의 복제감시부가 로그정보와 상기 물류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상품의 복제여부를 판단하는 복제감시 단계; 및
    상기 상품이 도난 또는 복제로 판단되거나,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복제품 신고가 수신되는 경우, 판매자 단말로 경고메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제감시 단계는
    상기 정품확인 단계 및 상기 도난감시 단계와 동시에 병렬로 수행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난감시 단계는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물류정보에 도난방지가 적용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상기 상품에 도난방지가 적용된 경우, 상기 물류정보에 판매등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의 도난감시부가, 상기 물류정보에 판매등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제감시 단계는
    서버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품확인 및 구매등록 요청을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함께 로그정보DB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복제감시부가, 상기 로그정보DB에 기록되는, 정품확인 및 구매등록을 요청하는 상기 구매자 단말의 지역정보와 상기 물류정보에 기록되는, 판매점 위치정보를 대조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점 위치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지역에서 일정량 이상의 요청이 검색되는 경우 복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방법.
KR1020160071911A 2016-06-09 2016-06-09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9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911A KR20170139400A (ko) 2016-06-09 2016-06-09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911A KR20170139400A (ko) 2016-06-09 2016-06-09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64A Division KR101977001B1 (ko) 2018-10-31 2018-10-31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400A true KR20170139400A (ko) 2017-12-19

Family

ID=6092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911A KR20170139400A (ko) 2016-06-09 2016-06-09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4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36A (ko) 2019-08-08 2021-02-17 정원태 기능성 양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36A (ko) 2019-08-08 2021-02-17 정원태 기능성 양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907B2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US11924324B2 (en) Registry blockchain architecture
US201903406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uthenticity of the products based on proof of ownership and transfer of ownership
US20160098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KR101795196B1 (ko) 무단 제품 검출 기술
US20160098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verification of goods
CN100545878C (zh) 验证与物品相关联的编码标识符的正确性的方法和装置
US20160358187A1 (en) Open registry for identity of things including social record feature
US20120280040A1 (en) Wireless-based checkout and loss prevention
KR101487430B1 (ko) 병행수입품 a/s 관리시스템
US11304059B2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of an item
CN110599322B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的数据审核方法及装置
KR20180038196A (ko) 대상 객체의 이미지 정보 검증을 통한 신뢰도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11288662B2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US20080162167A1 (en) Commodity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a counterfeit-impeding method thereof
KR20090080241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재고 관리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KR20170139400A (ko)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3217028A (ja) Pos端末装置の運用状況監視システム
JP2008310510A (ja) 商品認証システム及び商品認証方法
KR101977001B1 (ko) 리얼코드를 이용한 정품확인 및 도난/복제감시 시스템
US200401482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roduct
Prajapati et al. Strengthening Supply Chain Integrity with Blockchain-based Anti-Counterfeiting Measures
EP1978475A1 (en) A commodity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a counterfeit-impeding method thereof
JP6830074B2 (ja) リユース商品流通管理システムおよびリユース商品流通管理方法
KR20060003663A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상품 진위 판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