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570A -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 Google Patents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570A
KR20190083570A KR1020180001385A KR20180001385A KR20190083570A KR 20190083570 A KR20190083570 A KR 20190083570A KR 1020180001385 A KR1020180001385 A KR 1020180001385A KR 20180001385 A KR20180001385 A KR 20180001385A KR 20190083570 A KR20190083570 A KR 20190083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honey
beehive
main body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495B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8000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4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에 있어서,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벌통본체, 벌통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하부가 개방되고 커버에 형성된 홀에 결합하여 벌집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집채 부재 및 하부가 개방되고 제1 집채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부의 내측면에서 제1 집채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 집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HIVE FOR HARVESTING HONEY AND HONEY COMB}
본 발명은 꿀 및 벌집꿀을 채집하기 위한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養蜂)은 서양종 벌을 이용하는 양봉(洋蜂)과 토종벌을 이용하는 한봉(韓蜂)으로 나눠진다.
벌이 먹이로 저장해 놓은 꿀을 채취한다는 점에서는 양봉이나 한봉 모두 같지만 채밀시기나 치는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다. 한봉 방식 또는 양봉 방식으로 벌꿀을 생산 및 판매할 때, 벌들이 벌집을 만들고 그 벌집 안에 꿀을 채우면 꿀이 든 벌집에서 채밀된 꿀을 판매하거나 벌집채로 판매함으로써 꿀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에게 꿀의 신뢰성을 증진시켜 주었다.
그러나 종래의 양봉을 위한 벌통은 여왕벌이 벌꿀이 형성되는 영역에 다수개의 알을 부화시켜 꿀의 생산이 비효율적이며, 각 벌집 속에 낳아진 알 또는 애벌레로 인하여 품질이 좋은 꿀 및 벌집꿀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벌집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벌통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은 꿀 및 알 또는 애벌레가 없는 벌집꿀 및 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에 있어서, 상기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벌통본체, 상기 벌통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홀에 결합하여 벌집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집채 부재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 집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홀을 폐쇄시키는 폐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양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기공 및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홀의 하부에 결합하여 여왕벌의 이동을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하는 철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하부와 상기 소초광의 상부는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철망의 메시(mesh) 간격은 상기 소정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통본체는 하부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소문 및 상기 소문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소문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문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통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통본체의 내부 공간에 일 측에 위치하며, 벌들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사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에 있어서, 상기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제1 벌통본체,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벌통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탈착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제2 벌통본체, 상기 제2 벌통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홀에 결합하여 벌집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집채 부재 및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여, 하부의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 집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벌통본체와 상기 제2 벌통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여왕벌의 이동을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은 가능한 격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 또는 애벌레가 없는 벌집꿀을 제공함으로써, 벌집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벌통으로 벌집꿀 및 꿀을 동시에 채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집채 부재 및 제2 집채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벌집꿀을 벌통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쇄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벌집꿀의 진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커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폐쇄부재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조립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110)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벌통본체(100), 벌통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홀(210)이 형성된 커버(200), 상하부가 개방되고 커버(200)에 형성된 홀(210)에 결합하여 벌집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집채 부재(300), 하부가 개방되고 제1 집채 부재(300)의 상부에 결합하여 폐쇄된 상부의 내측면에서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 집채 부재(400) 및 제1 집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310)에 결합되어 개방홀(310)을 폐쇄시키는 폐쇄 부재(5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벌통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소초광(110)은 벌집의 기초가 되는 소초(comb foundation)를 부착시킨 틀이다. 소초는 일반적으로 밀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벌통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개의 소초광(110)과 함께 격리판(120)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격리판(120)은 벌통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여 봉군(벌떼)가 안정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격리판(120)은 벌통본체(100) 내에서 벌이 분산되지 않고 소초광(110)에 잘 모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수직의 격리판(120)을 도시하였지만, 수평 또는 대각선의 격리판(120)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벌통본체(100)의 내부 공간의 일 측에 위치하여, 벌들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사양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양기(130)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이 초기에 설치될 경우, 부족한 벌들의 먹이를 제공하기 위해 사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양기(130)는 벌에게 설탕물을 먹이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양기(130) 내부에는 벌이 설탕물에 익사하지 않도록 익사방지기(131)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벌통본체(100)의 내부 공간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온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온판(미도시)은 바람직하게 스치로폼(Styrofoam)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타 보온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온판(미도시)는 월동포장 또는 교미상 편성시 벌통본체(100)에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벌통본체(100)의 하부 측면에는 벌들이 벌통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드나들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문(hive entrance)(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문(140)은 길이가 20cm이고 높이는 1cm이며, 벌의 종에 따라 소문의 길이 및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벌통본체(100)는 소문(14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소문(140)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문조절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문조절기(150)는 긴 타원형의 막대기 형태로 기후 또는 벌세력에 따라 소문(14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벌통본체(100)은 소문(140)에 인접하게 연장 형성된 착륙판(10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밀기(honey flow period)에 벌들의 활동이 왕성할 때, 착륙판(103)은 벌들이 앉아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며 커버(20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커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200)는 양측에 하나 이상의 환기공(2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환기공(220)은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공(220)에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망(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환기공(220)은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이동하거나 운반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200)의 내측에는 벌들이 헛집을 짓지 않도록 섬유나 천으로된 개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헛집이란, 양봉업자가 의도하지 않은 곳에 지어지는 벌집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헛집을 양봉업자가 의도하지 않은 곳에 지어지는 벌집으로 정의한다.
또한, 커버(200) 중심에 형성된 홀(210)의 하부에는 철망(230)이 결합할 수 있다. 철망(230)은 여왕벌의 이동을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철망(230)을 통해서, 벌통본체(100)에서 외부로 일벌은 자유롭게 지나다니면서 여왕벌은 벌통본체(100)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철망(230)은 벌의 종류 또는 크기 등에 따라 짜기철망, 용접철망, 마름모꼴철망, 귀갑철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철망(230)은 여왕벌의 이동은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메시(mesh)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메시(mesh)는 철망의 그물눈을 의미한다. 이때 메시 간격은 커버(200)의 하부와 소초광(110) 상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메시 간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구성이 결합될 때, 커버(200)와 소초광(110)은 이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200)의 하부와 소초광(110)의 상부는 소정거리(a)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철망(230)의 메시 간격은 소정거리(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거리(a)가 멀어지면 메시 간격은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이렇게 메시 간격이 소정거리(a)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여왕벌의 이동을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은 가능한 최적의 메시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커버(200)의 하부와 소초광(110)의 상부가 소정거리(a) 이격됨으로써, 벌들이 벌통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벌들이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소초광(110)에 보다 균형있게 벌집을 짓고 저밀하게 된다. 이때, 소정거리(a)가 너무 큰 경우, 벌들이 소초광(110)과 커버(200) 사이에 헛집을 짓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벌들의 이동은 용이하면서 벌들이 헛집을 짓지 않는 소정거리(a)를 유지하여야 한다. 여기서 소정거리(a)는 1cm정도가 바람직하다. 벌의 종류 또는 환경에 따라 소정거리(a)는 1cm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제1 집채 부재(300)는 일측에 개방홀(3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양봉업자는 개방홀(310)을 통해서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에 지어진 벌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방홀(310)은 환기 또는 벌들의 이동통로가 될 수도 있다. 개방홀(310)은 일반적으로 폐쇄 부재(500)에 의해 폐쇄되어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을 어둡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제1 집채 부재(300)는 커버(200)와 별도로 도시하였지만, 제1 집채 부재(300)는 커버(200)에 연장 형성된 구조일 수도 있다.
제2 집채 부재(400)는 하부에 결합된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내측 상단에 소초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벌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벌집을 짓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2 집채 부재(400)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에 위치한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을 짓게 된다.
구체적으로, 벌통본체(100)에서 커버(200) 하부에 설치된 철망(230) 및 커버(200)에 형성된 홀(210)을 통과한 벌들은 제2 집채 부재(400) 내측 상단에 위치한 소초에서 벌집을 짓기 시작해서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벌집을 짓는다. 이때, 철망(230)에 의해서 여왕벌은 제1 집채 부재(300) 및 제2 집채 부재(400)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제1 집채 부재(300) 및 제2 집채 부재(400)에 형성된 벌집에는 애벌래 및 알이 없다. 즉, 양봉업자는 제1 집채 부재(300) 및 제2 집채 부재(400)를 통해서 애벌래 및 알이 없는 벌집꿀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집채 부재(300) 및 제2 집채 부재(400)는 커버(200)에서 분리가 됨으로, 양봉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벌집꿀을 채집할 수 있다. 또한, 제1 집채 부재(300) 및 제2 집채 부재(400)를 분리를 통하여 벌집꿀을 간단하게 채집함으로써, 벌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벌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보다 양질의 벌꿀을 채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폐쇄 부재(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폐쇄 부재(500)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폐쇄 부재(500)는 “ㄱ” 형상이며, 제1 집채 부재(300)의 일 측에 형성된 개방홀(310)에 결합하여 개방홀을 폐쇄 시킬 수 있다. 이때, 폐쇄 부재(500)는 개방홀(310)에 “ㄱ”형상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부재(500)의 결합 방식은 별도의 결합 부재가 필요 없어 고장의 염려가 없다.
또한, 폐쇄 부재(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반사 부재(51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양봉업자는 반사 부재(510)를 이용함으로써, 개방홀(310)을 통해서 볼 수 없는 각도에 있는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 또는 제2 집채 부재(400)의 내부 공간을 보다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부재(510)를 개방홀(310)에 일부분 넣어 제1 집채 부재(300) 또는 제2 집채 부재(400)의 내부 공간을 볼 수 있다.
또한, 반사 부재(510)를 이용하여 자연광을 제1 집채 부재(300) 및 제2 집채 부재(400)의 내부 공간에 반사함으로써 어두운 내부 구석구석을 효과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인위적 조명 수단(ex: LED) 대신 자연광을 이용함으로써, 환경에 민감한 벌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벌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보다 양질의 벌꿀을 채집할 수 있으며, 봉군(벌떼)의 붕괴현상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보다 많은 벌집꿀을 채집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제1 집채 부재(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복수개의 제1 집채 부재(300)와 제1 집채 부재(300)에 대응되는 폐쇄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집채 부재(300)를 이용함으로써, 제2 집채 부재(400) 내측 상단에서 지어진 벌집이 보다 넓은 제1 집채 부재(300)의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제1 집채 부재(300)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벌집꿀을 채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집채 부재(300)에 대응되는 폐쇄 부재(500)를 이용하여 벌집꿀의 진행상태를 보다 면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벌통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상자를 복수 개 적층시켜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봄과 같이 벌들의 전체적인 개체수가 적을 때는 내부에 공간적인 여유가 있으나, 여름을 거쳐 가을로 갈수록 벌들의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적절하게 벌통의 내부 공간을 늘려주는 등의 대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제1 집채 부재(300)를 추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벌의 개체수에 따라 벌통의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집채 부재(300)의 추가 또는 제거가 간단함으로, 벌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6개의 제1 집채 부재(30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즉,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제1 집채 부재(300)를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복수의 벌통본체(1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의 조립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110)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제1 벌통본체(101), 상하부가 개방되고 제1 벌통본체(101)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탈착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제2 벌통본체(102), 제1 벌통본체(101)와 제2 벌통본체(102) 사이에 위치하여, 여왕벌의 이동을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은 가능한 격왕판(600), 제2 벌통본체(102)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홀(210)이 형성된 커버(200), 상하부가 개방되고 커버(200)에 형성된 홀(210)에 결합하여 벌집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집채 부재(300), 하부가 개방되고 제1 집채 부재(300)의 상부에 결합하여 폐쇄된 상부의 내특면에서 제1 집채 부재(300)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 집채 부재(400) 및 제1 집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310)에 결합되어 개방홀(310)을 폐쇄시키는 폐쇄 부재(5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벌통본체(101)와 같이 제2 벌통본체(102)의 내부 공간에도 소초광(110), 격리판(120) 또는 사양기(130)등을 탈착 가능하다.
또한, 제2 벌통본체(102)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벌들이 제1 벌통본체(101)로부터 제1 집채 부재(300)로 이동할 수 있다.
폭밀(瀑蜜)의 경우, 양봉업자는 추가적으로 제2 벌통본체(102)를 결합함으로써, 보다 많은 꿀을 채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제2 벌통본체(102)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즉,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제2 벌통본체(102)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벌통본체(100) 또는 제1 벌통본체(101) 및 제2 벌통본체(102)에서 꿀을 채밀할 수 있으며, 제1 집채 부재(300) 또는 제2 집채 부재(400)에서 벌집꿀을 채밀할 수 있다. 즉, 꿀과 벌집꿀을 동시에 채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벌통본체 101 : 제1 벌통본체
102 : 제2 벌통본체 103 : 착륙판
110 : 소초광 120 : 격리판
130 : 사양기 131 : 익사방지기
140 : 소문 150 : 소문조절기
200 : 커버 210 : 홀
220 : 환기공 230 : 철망
300 : 제1 집채 부재 310 : 개방홀
400 : 제2 집채 부재 500 : 폐쇄 부재
510 : 반사 부재 600 : 격왕판

Claims (10)

  1.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에 있어서,
    상기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벌통본체;
    상기 벌통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홀에 결합하여 벌집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집채 부재;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 집채 부재를 포함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홀을 폐쇄시키는 폐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양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기공; 및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홀의 하부에 결합하여 여왕벌의 이동을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하는 철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와 상기 소초광의 상부는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철망의 메시(mesh) 간격은 상기 소정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본체는
    하부 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소문; 및
    상기 소문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소문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문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본체의 내부 공간에 일 측에 위치하며, 벌들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사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9.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에 있어서,
    상기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착탈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제1 벌통본체;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제1 벌통본체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소초광이 탈착 가능하게 이격 결합되는 제2 벌통본체;
    상기 제2 벌통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에 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홀에 결합하여 벌집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집채 부재; 및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상부에 결합하여, 하부의 상기 제1 집채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벌집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제2 집채 부재를 포함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벌통본체와 상기 제2 벌통본체 사이에 위치하여, 여왕벌의 이동을 억제하되, 일벌의 이동은 가능한 격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KR1020180001385A 2018-01-04 2018-01-04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KR102125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85A KR102125495B1 (ko) 2018-01-04 2018-01-04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85A KR102125495B1 (ko) 2018-01-04 2018-01-04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70A true KR20190083570A (ko) 2019-07-12
KR102125495B1 KR102125495B1 (ko) 2020-06-22

Family

ID=6725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85A KR102125495B1 (ko) 2018-01-04 2018-01-04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24A (ko) * 2020-11-25 2022-06-02 동해안 청정꿀벌 영농협동조합 수분침투방지용 개포
KR102554257B1 (ko) * 2022-11-22 2023-07-11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551B1 (ko) 2021-10-04 2022-03-18 권재석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KR102376548B1 (ko) 2021-12-26 2022-03-18 권재석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및 그의 천연밀랍소초 제조 방법
KR102376549B1 (ko) 2022-01-30 2022-03-18 권재석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KR102376550B1 (ko) 2022-01-30 2022-03-18 권재석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92Y1 (ko) * 2003-05-07 2003-07-25 김동수 벌꿀포장용기를 내부에 설치한 계상형 벌통
KR101365402B1 (ko) * 2013-11-08 2014-02-19 최순창 벌집꿀 채집용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92Y1 (ko) * 2003-05-07 2003-07-25 김동수 벌꿀포장용기를 내부에 설치한 계상형 벌통
KR101365402B1 (ko) * 2013-11-08 2014-02-19 최순창 벌집꿀 채집용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24A (ko) * 2020-11-25 2022-06-02 동해안 청정꿀벌 영농협동조합 수분침투방지용 개포
KR102554257B1 (ko) * 2022-11-22 2023-07-11 주식회사 한국양봉산업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495B1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570A (ko)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KR101895246B1 (ko) 말벌의 진입이 방지되는 화분 채집 장치
US4337541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EP3250028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1966937B1 (ko) 양봉용 소비와 이를 이용한 벌통
US9320264B2 (en) Bumblebee nest box
EP3372075A1 (en) Wasp-capturing device
KR20110131494A (ko)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KR20120015682A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UA115480C2 (uk) Вулик
JP4191367B2 (ja) 養蜂用の巣箱
KR200374037Y1 (ko) 1군 2왕벌용 벌통
KR101719906B1 (ko)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4494263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bee flight control
KR102108379B1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US11540494B2 (en)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RO128080B1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WO2008087398A1 (en) Apparatus for a hive
GB2445861A (en) Trap for bee hive
KR200186570Y1 (ko) 꿀벌먹이통 겸용 채유광
KR20210033315A (ko) 연질의 격왕틀이 구비된 수평격왕판
RU2063685C1 (ru) Пыльцеуловитель
RU2796355C1 (ru) Пыльцесборник закрытого типа для многокорпусного ул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