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550B1 -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 Google Patents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550B1
KR102376550B1 KR1020220013815A KR20220013815A KR102376550B1 KR 102376550 B1 KR102376550 B1 KR 102376550B1 KR 1020220013815 A KR1020220013815 A KR 1020220013815A KR 20220013815 A KR20220013815 A KR 20220013815A KR 102376550 B1 KR102376550 B1 KR 10237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consumption
rotary
frame
n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석
이상범
Original Assignee
권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재석 filed Critical 권재석
Priority to KR102022001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6Devices for extracting wax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에 관한 것으로, 소비장의 측면 상·하 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거치부재를 삽입하여 벌집통 내부에 거치함으로써 소비장 전체를 회전하여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장의 상부 저밀이 봉해지면 잘라내어 꿀을 채취한 후 소비장을 뒤집어 하부에 조소와 산란·육아를 유도하고 상부에 일벌 우화 후 저밀 유도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25일 간격으로 연 7회에 걸쳐 토종꿀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틀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115)을 통해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틀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와이어(120)가 설치된 소비장(110);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모양에 맞추어 모서리 부분을 바깥쪽에서 감싸며 설치된 보강부재(160); 상기 소비장(1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벌통 내부에 거치하는 거치부재(130); 상기 와이어(120)를 가열하여 가열된 와이어(120)에 녹여서 상기 소비장(110)의 틀 내부에 부착된 천연밀랍소초(140); 및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상기 소비장(110)의 하부틀(113) 사이에 형성된 꿀벌 이동 공간(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Rotary honey extractor for improvement honey comb of natura bee using supporting rod}
본 발명은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장의 측면 상·하 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거치부재를 삽입하여 벌집통 내부에 거치함으로써, 소비장(또는 벌집틀, 소광대라고도 함) 전체를 회전하여 거치할 수 있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장의 상부 저밀이 봉해지면 잘라내어 꿀을 채취한 후 소비장을 뒤집어 하부에 조소 및 산란과 육아를 유도하고 상부에 일벌 우화 후 저밀 유도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25일 간격으로 연 7회에 걸쳐 토종꿀을 수확할 수 있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장 내부에 천연 밀랍으로 육각의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천연밀랍소초를 설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봉(韓蜂)과 양봉은 벌이 먹이로 저장해 놓은 꿀을 채취하는 점에서는 모두 동일하지만 채밀시기나 치는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다. 양봉은 수입된 이후 급속도로 퍼져나갔는데 이는 높은 생산성에 기인한다. 양봉은 이동식으로 철따라 꽃따라 이동하며 기른다. 유채, 아카시아, 밤, 싸리꽃 등의 만개지역을 찾아다니며 연간 5∼6회 꿀을 얻는다.
반면 한봉은 한 장소에서 1년간 딱 한번만 꿀을 뜬다. 보통 첫서리가 내린 후 채밀에 들어간다. 따라서 생산량을 장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라도 많이 내리면 벌들이 그동안 저장해 놓은 꿀들을 다 먹어치우기 때문에 그동안의 노력이 헛수고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양봉이 수입되기 이전만 해도 토종벌이 양봉보다 많이 퍼져 있었으나 양봉이 들어오면서부터 우리나라 전지역에는 양봉의 사육량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2007년에는 양봉이 150만군, 토종벌이 35만군이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었다. 그러나, 2007년 이후 재래식 뒷박형 벌통은 봉군 내부 온도 유지가 어려워 낭충봉아부패병이 다시 재발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등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이 만연하여 토종벌 95%가 붕괴되거나 사라졌으나 최근 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 저항성 신품종 선발 및 농가 도입 확산과 봉군 온도보전이 양호한 양봉벌통형인 개량벌통으로 전환하여 약 12만군이 사육되고 있으며, 농가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토종벌 개량벌통에는 일반소비장(벌집틀)을 사용하여 1) 늦가을에 연 1회 토종벌꿀을 수확하는 형태, 2) 개량벌통용 소비장의 틀 내부에 회전판을 부착하여 수시로 벌꿀을 수확하는 형태(이하 기존 회전소비장)가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회전소비장은 기본틀 내부에 별도의 회전판이 들어감으로써 벌집수가 줄어들고 벌의 특성상 밀랍으로 회전판을 붙여 놓아 회전 시 힘이 가해지면 형태가 변형하기 쉬워 장기간 사용상 문제점이 다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일반소비장은 기본틀을 이용하여 토종벌집을 형성하고, 벌집형성 후 상부는 저밀, 하부는 산란과 육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일반소비장은 고정식 소비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 1회 가을철에만 벌꿀 채취가 가능하여 벌꿀의 수확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토종벌이 묵은 집에는 산란하지 않는 특성으로 오래된 벌집이 벌통에 많을 경우 분봉을 통해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봉세가 커지면 산란과 육아 자리가 모자라서 더 이상 산란을 하지 않아 일벌수가 적어지는 문제와 이로 인하여 분봉(기존 벌이 집을 떠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회전소비장의 경우 내부의 회전소비장 내에 상부 저밀, 하부에 산란과 저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 저밀이 봉해지면 잘라내어 벌꿀 채취를 하게 된다. 벌꿀 채취 후 회전소비장을 뒤집어 하부에 조소하게 하고 산란과 육아를 하게 하며, 상부에는 일벌 우화 후 저밀 유도를 반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소비장은 기본틀과 회전소비장을 관통하는 둥근구멍을 뚫어 둥근나무막대로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구조이고, 기본틀 내부에 회전소비장이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토종벌이 이용할 수 있는 내부 면적이 그 만큼 작아져서 벌꿀의 수확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의 회전소비장이 부착된 기본틀이 오랫 동안 벌통 내부에 있을 경우 벌들이 기본틀과 회전소비장 사이를 밀랍으로 고정시켜 내부의 회전소비장이 기본틀과 분리되지 않아 회전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기본틀에 밀랍으로 고정된 내부의 회전소비장을 강제로 분리시킬 경우 내부의 회전소비장의 강도가 약해서 변형이 잘 되어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의 회전소비장을 회전시켜 붙일 때 일벌이 끼어 죽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토종벌 농가 증식 향상 및 벌꿀생산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회전소비장(회전벌집틀) 및 양봉의 기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벌통에 설치되는 채집판은 꿀벌이 서식하기에 좋은 상태로 구비되어야 하지만,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채집판은 파라핀계의 재료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꿀벌의 생태를 위한 육각형태의 벌집구조로 제조하고 있을 뿐 꿀벌의 수명에 따른 생존과는 상당한 격차가 있었고 꿀벌이 채취한 꿀을 채집하는데만 집중되어 있다. 이에 따라 꿀벌이 자기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쉽게 죽는 현상이 발생하고, 꿀의 채집량도 기대보다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라핀계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채집판은 파라핀이 온도에 민감하여 처음의 제조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키기 어려웠으며, 그 제조도 매우 난해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사용수명이 짧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채집판에 육각의 꿀을 저장하기 위한 홈을 임의적으로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꿀벌이 꿀을 토출할 때 허니컴의 테두리에 꿀벌의 날개가 닿게 되어 허니컴내에서 서식하는 진드기 등의 해충에 의해 날개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꿀벌이 쉽게 죽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꿀의 채취량도 크게 줄어들어 양봉 사업의 큰 손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5495호(등록일자: 2020.06.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8345호(등록일자: 2020.11.05.)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비장의 측면 상·하 부분에 형성된 거치구멍에 거치부재를 삽입하여 벌집통 내부에 거치함으로써, 소비장(또는 벌집틀, 소광대라고도 함) 전체를 회전하여 거치할 수 있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봉 형태 또는 사각형 막대 형태의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소비장의 측면 상·하에 형성된 거치구멍에 삽입하여 소비장 전체를 아래 위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평행하게 설치된 2개 봉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ㄷ'자 형태의 거치부재를 이용하여 소비장의 측면 상·하에 형성된 거치구멍에 삽입하여 소비장 전체를 아래 위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비장의 상부틀과 하부틀 측면에 거치구멍 형성시 나무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비장의 각 모서리 부분에 보강부재를 설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강부재의 양쪽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벌집통 내부에 소비장을 설치할 때 소비장과 소비장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꿀벌들이 소광대에 끼어서 죽는 일을 방지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비장 내부에 천연 밀랍으로 육각의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천연밀랍소초를 설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회전소비장(또는, 회전벌집틀)의 상부 저밀이 봉해지면 잘라내어 꿀을 채취한 후 소비장을 뒤집어 하부에 조소 및 산란과 육아를 유도하고 상부에 일벌 우화 후 저밀 유도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25일 간격으로 연 7회에 걸쳐 토종꿀을 수확할 수 있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틀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115)을 통해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틀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와이어(120)가 설치된 소비장(110);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모양에 맞추어 모서리 부분을 바깥쪽에서 감싸며 설치된 보강부재(160); 상기 소비장(1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벌통 내부에 거치하는 거치부재(130); 상기 와이어(120)를 가열하여 가열된 와이어(120)에 녹여서 상기 소비장(110)의 틀 내부에 부착된 천연밀랍소초(140); 및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상기 소비장(110)의 하부틀(113) 사이에 형성된 꿀벌 이동 공간(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틀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115)을 통해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틀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와이어(120)가 설치된 소비장(110);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모양에 맞추어 모서리 부분을 바깥쪽에서 감싸며 설치된 보강부재(160); 상기 소비장(1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벌통 내부에 거치하는 거치부재(130); 상기 소비장(110)의 상부틀(111) 하단에 소정 모양과 크기로 부착된 천연밀랍소초(140); 및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상기 소비장(110)의 하부틀(113) 사이에 형성된 꿀벌 이동 공간(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는, 천연 밀랍을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천연 밀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름망을 통해 2 내지 3회 걸러서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용해된 천연 밀랍을 금형틀에 주입하여 천연밀랍소초를 성형하고, 상기 금형틀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하여 천연밀랍소초를 냉각시킨 다음 상부 및 하부 금형틀을 분리하여 천연밀랍소초를 취출하고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60)는 양쪽 측면에 돌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재(130)는 평행하게 설치된 2개 봉 또는 막대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ㄷ'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을 그대로 상하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소비장의 측면 상·하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거치봉을 삽입하여 소비장을 아래 위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소비장(회전벌집틀)의 측면 상·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거치부재를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벌집통 내부에 거치할 수 있고 소비장 전체를 아래 위로 뒤집어 설치할 수 있으로써, 벌꿀 채취 후 토종벌이 벌집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지어 산란과 육아 활동을 반복할 수 있고, 토종꿀의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실험결과 기존의 벌집틀에 비해 6배 이상의 증대 효과가 있었음).
또한, 회전소비장의 측면 상·하 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거치부재를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손쉽게 소비장 전체를 아래 위로 뒤집어 상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노동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토종벌통에 비해 상부 저밀, 하부 산란과 육아의 구분이 잘 되고, 육안관찰이 용이하고 사양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본틀 내부에 회전판을 부착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소비장에 비해 토종벌 사육과 저밀 면적이 크게 향상(예를 들어, 22.5% 증가)되어 토종벌 일벌수와 꿀벌의 수확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소비장을 통째로 상하로 회전시키므로 일벌이 끼어 죽는 일이 없으며, 회전소비장을 쉽고 빠르게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운 벌집을 계속 조성하여 산란과 육아를 하여 일벌수를 많이 생산하고, 많은 일벌이 계속 토종꿀을 수집하여 꿀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 일반소비장과 회전소비장의 벌집에 비해 토종꿀 수확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5일 간격으로 연 7회에 걸쳐 토종꿀을 수확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토종꿀 생산량을 6배 이상 수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부재를 회전소비장의 측면 상부 구멍에 간편하게 탈부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손쉬운 봉군관리와 함께 수시 토종꿀 수확과 판매가 가능하다.
또한, 천연 밀랍으로 육각형 허니컴(Honey comb) 구조의 천연밀랍소초를 형성함으로써 산란을 유도하여 초기 산란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밀랍을 녹여서 금형을 통해 육각형 허니컴(Honey comb) 구조의 천연밀랍소초를 대량으로 제조 및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은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2는 소비장(110)의 측면도이고,
도3은 거치부재(130)를 삽입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4는 거치부재(130)의 구성도이다.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5는 보강부재(160)가 설치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6은 보강부재(160)의 사시도이다.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7은 천연밀랍소초(140)가 부착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8은 천연밀랍소초(140)가 부착된 소비장(110)과 거치부재(13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9는 거치부재(130)가 삽입된 천연밀랍소초(140)가 부착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10은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보강부재(160)가 설치된 모습의 구성도이다.
도11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1은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돌출부(161)가 형성된 보강부재(160)가 설치된 모습의 구성도이고,
도12는 돌출부(161)가 형성된 보강부재(160)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의 제1실시예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은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2는 소비장(110)의 측면도이고, 도3은 거치부재(130)를 삽입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4는 거치부재(13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은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비장(110)과 거치부재(1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소비장(110)은 사각형의 벌통 내부 공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거치하여 설치된다.
상기 소비장(110)은 상부틀(111), 좌·우측 측면틀(112), 하부틀(113)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틀 모양으로 형성되고, 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소비장(110)의 재질은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에 나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비장(110)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와이어(wire; 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120)는 벌이 벌집을 만들기 좋게 도와주는 동시에 벌집을 단단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wire; 120)는 상기 소비장(110)의 좌·우측 측면틀(112)에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115)을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멍(115) 속에는 금속파이프 또는 금속링을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120)의 삽입시 상기 구멍(115)이 파손되지 않게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 상기 소비장(110)의 좌·우측 측면틀(112)에 와이어(wire)(110)를 결속하여 상기 소비장(110)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소비장(110)은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상기 거치구멍(114)은 상기 측면(112)의 상·하부에 2개씩 평행하게 형성되고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도2 참조).
한편, 상기 거치구멍(114)은 1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거치부재(130)의 단면 모양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비장(110)은 측면 상·하부에 형성된 상기 거치구멍(114)에 상기 거치부재(130)를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거치부재(130)가 상부 양쪽에 삽입된 소비장(110)은 벌통(미도시)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벌통 내부 상단에 상기 거치부재(130)를 걸어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 소비장(110)은 4개의 모서리 부분, 즉 상기 측면틀(112)의 상·하부에 상기 거치구멍(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소비장(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기 거치구멍(114)에 상기 거치부재(130)를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소비장(110)을 상하로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30)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거치구멍(114)이 2개일 경우 2개의 거치봉(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130)는 평행하게 설치된 2개 봉 또는 막대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ㄷ'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b).
상기 거치부재(130)는 플라스틱, 금속, 고무, 나무 재질을 사용하여 소정의 길이와 모양(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은 상기 소비장(110)의 상·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소비장(110) 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상기 거치부재(130)를 삽입하여 벌통 내부에 거치할 수 있다.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의 제2실시예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5는 보강부재(160)가 설치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6은 보강부재(16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은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의 회전소비장(100)에서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보강부재(160)를 추가로 설치한 점이 다르고 나머지는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보강부재(160)는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모양에 맞추어 모서리 부분을 바깥쪽에서 감싸며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부재(160)는 위에서 바라볼 때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바라볼 때 'ㄱ'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6 참조).
상기 보강부재(160)는 플라스틱, 금속, 고무, 나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60)는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나사나 못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소비장(110)에 상기 보강부재(160)를 끼워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160)는 상기 소비장(110)의 측면 상·하부에 상기 거치구멍(114) 형성시 나무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의 제3실시예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7은 천연밀랍소초(140)가 부착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8은 천연밀랍소초(140)가 부착된 소비장(110)과 거치부재(13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9는 거치부재(130)가 삽입된 천연밀랍소초(140)가 부착된 소비장(110)의 정면도이고, 도10은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보강부재(160)가 설치된 모습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은 도7 내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소비장(110)의 사각형 틀 내부에 천연밀랍소초(140)를 상기 와이어(120)에 지지 및 고정하여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의 소비장(110)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소비장(110)의 측면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구멍(114)에 상기 거치부재(130)를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상기 보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비장(1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은 상기 와이어(120)를 가열하여 가열된 와이어(120)에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를 붙여서 녹여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는 천연 밀랍을 이용하여 금형을 통해 판상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전면 및 후면에 육각 형태의 벌집(Honey comb)(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는 상기 소비장(110)의 틀 내부에 꿀벌 이동 공간(150)만 남기고 꽉 차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꿀벌 이동 공간(150)은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하부틀(11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꿀벌 이동 공간(150)은 소정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벌꿀들이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천연 밀랍에 열을 가하여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천연 밀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름망을 통해 2 내지 3회 걸러서 제거한다. 이때, 천연 밀랍은 45℃ 정도에 녹기 시작하여 80℃ 정도에 완전히 녹게 된다. 따라서 천연 밀랍은 80∼85℃까지 열을 가하여 용해시키면 된다.
그 다음,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용해된 천연 밀랍을 금형틀(미도시)에 주입하여 천연밀랍소초(140)를 성형한다. 이때, 상기 금형틀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 구멍(미도시)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를 냉각시킨 다음 상부 및 하부 금형틀(미도시)을 분리하여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를 취출한다.
그 다음, 상기 소비장(110)의 크기에 맞도록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소비장(1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120)에 열을 가한 후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를 상기 와이어(120)에 붙여서 상기 소비장(110) 내부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비장(110) 내부에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를 설치할때,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상기 소비장(110) 사이에 소정의 크기로 꿀벌 이동 공간(15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회전소비장(100)은 틀 내부의 벌집에 저밀과 산란·육아 부분이 완전히 형성되면 아래의 산란·육아 부분만 남겨놓고 위쪽의 저밀부분을 잘라서 채취한 다음, 상기 회전소비장(100)을 상하로 뒤집어서 산란·육아 부분이 위쪽에 오도록 배치하여 벌통에 설치함으로써 벌꿀을 여러번 채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종벌은 아래로만 새로운 벌집을 지어가고 새로운 벌집에만 산란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회전소비장(100)은 25일 간격으로 꿀을 수집하고 회전시켜 새로운 벌집을 조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월부터 9월까지 25일 간격으로 약 7회에 걸쳐 토종꿀을 수확할 수 있고, 새로운 벌집을 계속 조성하여 산란과 육아를 함으로써 일벌수가 많이 생산되고, 많은 일벌이 계속 토종꿀을 수집하여 옴으로써 꿀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토종벌은 아래로만 새로운 벌집을 지어가고, 새로운 벌집에만 산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회전식소비장의 경우, 25일 간격으로 꿀을 수집하고 회전시켜 새로운 벌집을 조성하게 된다. 3월부터 9월까지 25일 간격으로 약 7회에 걸쳐 토종꿀을 수확할 수 있고, 새로운 벌집을 계속 조성하여 산란과 육아를 반복 함으로써 일벌수가 많이 생산되고, 많은 일벌이 계속 토종꿀을 수집하여 올 수 있도록 한다.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의 제4실시예
도11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11은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돌출부(161)가 형성된 보강부재(160)가 설치된 모습의 구성도이고, 도12는 돌출부(161)가 형성된 보강부재(16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은 상기 제3실시예(도10)에서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보강부재(160)의 측면에 돌출부(161)가 형성된 점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16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61)는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61)는 상기 소비장(110)이 벌통 내부에 설치될 때 상기 돌출부(161)가 서로 마주보고 접촉되기 때문에 소비장과 소비장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꿀벌들이 소비장 사이에 끼여서 죽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의 제5실시예
도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은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소비장(110)의 상부틀(111) 하단에 천연밀랍소초(140)를 소정의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상기 소비장(110)의 하부틀(113) 사이에는 꿀벌 이동 공간(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5실시예의 회전소비장(100)을 벌통에 투입하면, 틀 내부에서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에서부터 새로운 벌집을 형성하여 확장해 가면서 위쪽에 저밀과 아래쪽에 산란과 육아가 진행하게 된다. 이후, 저밀과 산란·육아 부분이 발생되면 하부의 산란·육아 부분만 남기고 상부의 저밀부분을 잘라내어 벌꿀을 채취한 다음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상하를 뒤집어서 상기 거치부재(130)를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상부 양쪽 모서리 부분의 삽입홈(114)에 거치하여 벌통 내부에 거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양봉 방법의 실시예
본 발명의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100)을 이용한 양봉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소비장(1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틀 모양의 소비장(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비장(110)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와이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소비장(100)은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130)를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상기 거치부재(130)를 삽입한 후 벌통에 투입하여 거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소비장(110) 내부에 벌집이 형성되어 저밀과 산란·육아 부분이 발생되면 하부의 산란·육아 부분만 남기고 상부의 저밀부분을 잘라내어 벌꿀을 채취한 다음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상하를 뒤집게 된다.
이후, 상기 벌집의 산란·육아 부분이 위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상하를 뒤집은 다음,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상기 거치부재(130)를 삽입한 후 벌통 내부에 거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틀 내부에 새로운 벌집이 형성되어 위쪽에 저밀과 아래쪽에 산란과 육아가 진행되면, 하부의 산란·육아 부분만 남기고 상부의 저밀부분을 잘라내어 벌꿀을 채취한 다음 상기 회전소비장(100)의 상하를 뒤집어서 다시 벌통 내부에 거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은, 소비장의 측면 상·하 부분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거치부재(130)를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벌집통 내부에 거치함으로써 소비장(110) 전체를 회전하여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은, 소비장의 상부 저밀이 봉해지면 잘라내어 꿀을 채취한 후 소비장을 뒤집어 하부에 조소 및 산란·육아를 유도하고 상부에 일벌 우화 후 저밀 유도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토종꿀 생산량을 6배 이상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은, 토종벌에 대해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토종벌 외에 양봉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0 :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110 : 소비장 111 : 상부틀
112 : 측면틀 113 : 하부틀
114 : 거치구멍 115 : 구멍
120 : 와이어(wire) 130 : 거치부재
140 : 천연밀랍소초
141 : 육각 형태의 벌집(Honey comb)
150 : 꿀벌 이동 공간
160 : 보강부재 161 : 돌출부

Claims (4)

  1.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틀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115)을 통해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틀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와이어(120)가 설치된 소비장(110);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모양에 맞추어 모서리 부분을 바깥쪽에서 감싸며 설치된 보강부재(160);
    상기 소비장(1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벌통 내부에 거치하는 거치부재(130);
    상기 와이어(120)를 가열하여 가열된 와이어(120)에 녹여서 상기 소비장(110)의 틀 내부에 부착된 천연밀랍소초(140); 및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상기 소비장(110)의 하부틀(113) 사이에 형성된 꿀벌 이동 공간(150);
    을 포함하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2.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틀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의 상·하부에 거치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115)을 통해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틀 내부 공간에 수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와이어(120)가 설치된 소비장(110);
    상기 소비장(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모양에 맞추어 모서리 부분을 바깥쪽에서 감싸며 설치된 보강부재(160);
    상기 소비장(1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거치구멍(114)에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벌통 내부에 거치하는 거치부재(130);
    상기 소비장(110)의 상부틀(111) 하단에 소정 모양과 크기로 부착된 천연밀랍소초(140); 및
    상기 천연밀랍소초(140)의 하단과 상기 소비장(110)의 하부틀(113) 사이에 형성된 꿀벌 이동 공간(150);
    을 포함하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천연밀랍소초(140)는,
    천연 밀랍을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천연 밀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름망을 통해 2 내지 3회 걸러서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용해된 천연 밀랍을 금형틀에 주입하여 천연밀랍소초를 성형하고, 상기 금형틀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하여 천연밀랍소초를 냉각시킨 다음 상부 및 하부 금형틀을 분리하여 천연밀랍소초를 취출하고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60)는 양쪽 측면에 돌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재(130)는 평행하게 설치된 2개 봉 또는 막대의 일측이 일체로 연결된 'ㄷ'자 형태로 구성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KR1020220013815A 2022-01-30 2022-01-30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KR10237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815A KR102376550B1 (ko) 2022-01-30 2022-01-30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815A KR102376550B1 (ko) 2022-01-30 2022-01-30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550B1 true KR102376550B1 (ko) 2022-03-18

Family

ID=8093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815A KR102376550B1 (ko) 2022-01-30 2022-01-30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5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6557A (en) * 1977-10-05 1980-08-12 Stapla Hans-Dieter Golde GmbH & Co KG Honeycomb frame for beehives
KR102125495B1 (ko) 2018-01-04 2020-06-22 김종석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KR102178345B1 (ko) 2018-12-13 2020-11-11 대한민국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6557A (en) * 1977-10-05 1980-08-12 Stapla Hans-Dieter Golde GmbH & Co KG Honeycomb frame for beehives
KR102125495B1 (ko) 2018-01-04 2020-06-22 김종석 꿀 및 벌집꿀 채집을 위한 벌통
KR102178345B1 (ko) 2018-12-13 2020-11-11 대한민국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9381B (zh) 一种清洁方便的中蜂蜂箱及其高产饲养蜜蜂的方法
KR920004684B1 (ko) 밀봉사육용 인공벌집과 이것을 사용한 인공양봉방법
CN104719263B (zh) 胡蜂大棚高产养殖法
CN106719106B (zh) 多功能蜂螨控制器及控螨方法
CN106900597B (zh) 一种立式双门中蜂箱及用其养殖中蜂的方法
CN203538100U (zh) 组合蜂箱
CN103181341A (zh) 斜底方形自动恒温中蜂蜂箱
CN103734036B (zh) 一种组合式蜂箱及其使用方法
KR101464461B1 (ko)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KR102178345B1 (ko)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KR102376549B1 (ko)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KR101433558B1 (ko) 벌집 꿀 생산용 소광
CN106172086A (zh) 一种蜂箱和中蜂的饲养方法
US20190075762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ire bees
CN107410098B (zh) 可循环取蜜的蜜蜂活动巢框
KR102376550B1 (ko) 거치봉을 이용한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CN202958447U (zh) 一种清洁方便的中蜂蜂箱
KR20230066280A (ko) 만능 벌집소초 제조방법
KR102376548B1 (ko)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및 그의 천연밀랍소초 제조 방법
CN109566474B (zh) 一种中蜂组合蜂箱
CN203206934U (zh) 斜底方形自动恒温中蜂蜂箱
KR102376551B1 (ko)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CN108094354B (zh) 一种狄氏瓦螨生物诱杀器的制作与设伏方法
Dutton et al. The present status of beekeeping in Oman
CN212087625U (zh) 新型分体式蜜蜂巢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