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018A -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018A
KR20210017018A KR1020190095628A KR20190095628A KR20210017018A KR 20210017018 A KR20210017018 A KR 20210017018A KR 1020190095628 A KR1020190095628 A KR 1020190095628A KR 20190095628 A KR20190095628 A KR 20190095628A KR 20210017018 A KR20210017018 A KR 2021001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lever
steering
pair
peripher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3574B1 (en
Inventor
강영선
권승귀
홍이수
남요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74B1/en
Publication of KR2021001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for driving a crawler by using a pair of hydraulic motors. The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air of hydraulic motors (42, 44) to drive a pair of crawlers. Further, one main shift lever (20) for perform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y using the hydraulic motors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one steering lever (22) for performing steering by using the hydraulic motors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ontrol unit (12), which detects movement of the main shift lever (20) and the steering lever (22), controls the amount and direction of oil provided to the pair of hydraulic motors (42, 44) through a hydraulic controller (50) to perform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steering.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ensure safety.

Description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농업용 작업기{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본 발명은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주행 및 조향 컨트롤이 용이하게, 작업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using a hydraulic mo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configured to sufficiently increase workability whil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s a whole by using a hydraulic motor, and easy driving and steering control. will be.

이앙기와 콤바인 등과 같은 농기계는 엔진과, 엔진의 구동력을 조절하기 위한 트랜스미션을 기본적인 구동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성 및 큰 부피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큰 농기계와 같은 구성 및 원리를 이용하여 비교적 경량의 작업기를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를 들면 밭에서의 작업 등을 위한 작업기로써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Agricultural machines such as rice transplanters and combines have as a basic driving source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so they are bound to have a complex configuration and a large volume as a whole. It is not desirable to make a relatively lightweight work machine us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principle as such a large agricultural machine. For example, it can be said that it is desirable to use a hydraulic motor in order to have a basic configuration as a work machine for work in a field.

그리고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유압모터를 이용하고 있는데, 도 1에는 굴삭기와 같이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체의 기본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은, 한 쌍의 유압모터(6)를 이용하여 주행 및 조향이 이루어지는데, 좌우측 크롤러에 각각 별도로 배치되는 한 쌍의 유압모터(6)를 제어하기 위하여 한 쌍의 주행레버(2)를 장착하고 있다. And, in general, an excavator uses a hydraulic motor, and FIG. 1 shows a basic configuration of itself running using a hydraulic motor like an excavator. In such a conventional vehicle, driving and steering are performed using a pair of hydraulic motors 6, and a pair of driving levers are used to control a pair of hydraulic motors 6 separat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crawlers. 2) is equipped.

주행레버(2)의 조작에 기초하여, 주행컨트롤밸브(4)가 각각의 유압모터(6)로 분배되는 오일을 제어함으로써, 전후진과 같은 주행, 그리고 좌회전 또는 우회전과 같은 조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조향은 한 쌍의 주행레버(2)의 조작량을 달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travel lever 2, the travel control valve 4 controls the oil distributed to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6, thereby driving such as forward and backward, and steering such as left or right turn. For example, it can be said that steering is achieved by varying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pair of travel levers 2.

그리고 주행레버(2)는 작업자가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반응하여 동작하고, 작업자가 놓게 되면 중립 상태로 복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농업용 기계 및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굴삭기 등에 있어서, 주행레버(2)가 자유상태에서는 자동으로 중립으로 복귀하는 구성은 이미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특정 레버를 조작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도 공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어서, 이와 관련된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nd the travel lever 2 is designed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operator pushing forward or pulling backward, and to return to a neutral state when the operator releases it. Here, in the agricultural machinery and the excavator described in the prior art, it can be said that a variety of configurations in which the traveling lever 2 automatically returns to neutral in a free state are already widely used. In addition, when a specific lever is operated on the contrary, it can be said that it is also known that it is maintained in a state operated by a us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is omitted.

농업용 작업기의 실제 기능을 살펴보면, 주행을 하면서 소정의 작업(예를 들면 밭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위의 굴삭기와 같이 주행레버(2)가 두 개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못하고, 주행레버(2)를 놓게 되면 원래의 중립 상태(주행 정지)로 복귀하는 것도 농업용 작업기의 기본 기능에 비춰보면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Looking at the actual function of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there is no choice but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xample, field work) while driving.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have two driving levers 2 like the above excavator, and when the driving lever 2 is released, returning to the original neutral state (running stop) is not so good in light of the basic functions of agricultural work machines. Not desirable.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유압모터를 구동원으로 이용하면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 및 제어가 가능한 농업용 작업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tends to propose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capable of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control while using a hydraulic motor as a driving source.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크고 무거운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생산의 측면에서 경제적인 잇점을 가지는 농업용 작업기를 제안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having an economic advantage in terms of production by not using large and heavy components such as a transmission.

본 발명은 실제 농업용 작업기로써 제어가 간편하고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pose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sufficiently secured safety as an actual agricultural work machin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는, 한 쌍의 크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전후진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주변속레버, 상기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조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스티어링레버, 상기 주변속레버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위치 감지센서, 상기 스티어링레버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위치 감지센서, 상기 한 쌍의 유압모터로 제공되는 오일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전후진, 그리고 조향을 수행하기 위한 유압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제1위치 감지센서 및 제2위치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유압컨트롤러를 경유하는 오일의 양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압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air of hydraulic motors for driving a pair of crawlers, one peripheral speed lever for performing forward and backward using the hydraulic motor, the hydraulic motor One steering lever for performing steering, a first posi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a second posi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lever, and the pair of By controlling the amount and direction of the oil provided to the hydraulic motor, the hydraulic controller for performing forward and backward and steering, and the first position sensor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via the hydraulic controller In order to determine the amount and direction of oil to be carried out,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hydraulic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 예 의하면, 유압컨트롤러는, 한 쌍의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오일을 통로를 형성하는 유압컨트롤밸브와, 상기 유압컨트롤밸브 내부에서 오일의 양 및 방향을 결정하는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모터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ydraulic controller includes a hydraulic control valve that forms a passage for oil supplied to a pair of hydraulic motors, and a control motor that control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amount and direction of oil in the hydraulic control valve. Consists of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주변속레버는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티어링레버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eripheral speed lever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teering lever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농업용 작업기는 기본적으로 엔진의 힘을 이용하는 유압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및 클러치 등을 이용하던 종래의 것과 달리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다는 것은, 생산 및 관리 등에서도 유리한 측면이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agricultural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basically uses a hydraulic motor using the power of the engine as a driving sour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can have a simple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one using a transmission and a clutch. As such, it can be said that the simple structure has advantageous aspects in production and management.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직진 및 후진은 주변속레버에 의하여, 그리고 조향은 스티어링레버에 의하여 조작되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종래의 굴삭기 등과 같은 차량에 비하여 조작성이 현저하게 효율적이고, 이에 따라서 실제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도 보다 쉽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the peripheral speed lever and the steering lever by the peripheral speed lever, the operability is significantly more efficient than that of a vehicle such as a conventional excavator, for example, and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actual work to be performed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또한 주변속레버와 스티어링레버의 조작 정도를 각각 위치 감지센서가 정확하게 파악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있어서, 유압에 의하여 동작하는 한 쌍의 유압모터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기대된다.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는 주행 및 작업과 관련하여 차량의 제어를 전체적으로 더욱 효율적임과 동시에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베이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ccurately grasps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and the steering lever, respectively,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the advantage of more accurately controlling a pair of hydraulic motors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is expected. This point is expected to become a basic base that can perform more efficiently and safely control the vehicle overall in relation to driving and work.

본 발명의 주변속레버와 스티어링레버의 작동 형태는, 실질적으로 주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농업용 작업기에 가장 적절하게 구현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주변속레버에서 작업자가 손을 떼더라도 조작된 위치에 대응하는 속도로 주행할 수 있어서 다른 작업이 가능한 여유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스티어링레버는 외력이 제거되면 중립상태로 복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안정적인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considered that the operating modes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and the steering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st appropriately implemented in agricultural work machines that perform work while substantially driving. For example, even if the operato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peripheral speed lever, it will be able to travel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ed position, so that other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t is expected to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tability.

도 1은 종래의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차량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작업기의 주요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작업기의 주요 구성에 대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버 주변 구성을 보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of a vehicle using a conventional hydraulic motor.
Figure 2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ing machin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ing machine.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round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착상이 구현된 다목적 작업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기는, 한 쌍의 크롤러(40A,40B)를 주행장치로 하는 작업기이고, 이와 같은 한 쌍의 크롤러(40A,40B)는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유압모터(42,44)에 의하여 구동된다. 여기서 유압모터(42,44)의 회전에 의하여 크롤러(40A,40B)가 주행하는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shows a multi-purpose working machine in whic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shown, the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machine using a pair of crawlers 40A and 40B as a traveling device, and such a pair of crawlers 40A and 40B is a pair of crawlers installed inside each It is driven by hydraulic motors 42 and 44.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rawlers 40A and 40B travel by rotation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is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한 쌍의 유압모터(42,44)가 각각 한 쌍의 크롤러(40A,40B)를 주행시키는 동력원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유압모터(42,44)를 원하는 조건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주변속레버(20)와 스티어링레버(22)를 운전석(28) 전방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 주변속레버(20)는 작업기가 전진 또는 후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운전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주행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레버(22)는 좌우 방향 전환, 즉 조향을 위한 레버이다.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한 쌍의 주행레버를, 하나의 주변속레버(20)와 하나의 스티어링레버(22)로 구분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the pair of hydraulic motors 42 and 44 act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pair of crawlers 40A and 40B,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rive the pair of hydraulic motors 42 and 44 under desired conditions,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and the steering lever 22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28, respectively.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operated by the driver when the work machine needs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for driving. In addition, the steering lever 22 is a lever for turning left and right, that is, steering.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t can be seen that a pair of driving levers are divided into one peripheral speed lever 20 and one steering lever 22.

상술한 주변속레버(20)는 전후진 및 그 속도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주변속레버(20)의 기능을 유압모터(42,44)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유압모터(42,44)로 들어가는 오일의 방향(전진 또는 후진) 및 오일의 양(속도)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레버(22)는 조향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양측의 유압모터(42,44)로 들어가는 오일의 양의 차이와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eripheral speed lever 20 can be said to be relate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its speed, and the func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will be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the hydraulic motor 42, 44), it can be said that it i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oil entering (forward or backward) and the amount of oil (speed). In addition, since the steering lever 22 is for steering, it can be said that it is substantially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oil entering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on both sides.

상술한 주변속레버(20)와 스티어링레버(22)의 설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주변속레버(20)는 전진 및 후진과 같은 진행 방향 및 그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지지축(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전후진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속레버(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 자체는 이미 다른 농기계에서 사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install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and the steering lever 2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ince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for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such as forward and backward, as shown in FIG. 4, a certain ang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round the lower support shaft (one ax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range. Sin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rotatably installed is already a structure used in other agricultural machin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단, 기본적인 구조를 도 4에 기초하여 살펴보면, 주변속레버(20)는, 그 하단부의 가로 방향의 핀(20p)이 지지브라켓(20b)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브라켓(20a)의 조립공(20h)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브라켓(20b)은 프레임(F)과 연결된 고정부품(Fa)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다. 연결브라켓(20b)의 지지공(20d)이 지지브라켓(20b)의 가로방향 지지핀(20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속레버(20)는 지지브라켓(20b)의 지지핀(20c)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However, looking at the basic structure based on FIG. 4,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a connection bracket 20a in which a horizontal pin 20p at the low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a support bracket 20b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is coupled to the assembly hole 20h. Here, the support bracket 20b is supported while being fixed to the fixing part Fa connected to the frame F. The support hole 20d of the connection bracket 20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in 20c of the support bracket 20b.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pin 20c of the support bracket 20b.

그리고 주변속레버(20)의 움직임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2)가 예를 들면 지지브라켓(20b)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변속레버(20)가 연결되어 같은 회전 중심을 가지고 회동하는 연결브라켓(20a)에는 연동핀(21)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연동핀(21)은 주변속레버(20)의 회전 움직임을 위치 감지센서(32)의 엑추에이터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예시적인 구성에 의하면, 스티어링레버(20)의 전후 방향 회동은 위치 감지센서(32)에서 감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a detection sensor 32 for detecting a movement angl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installed, for example, on the support bracket 20b. In addition, an interlocking pin 21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bracket 20a, which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and rotates with the same rotational center, and this interlocking pin 21 preven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t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2. According to such an exemplary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lever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can be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32.

본 발명에서 주변속레버(20)의 회동 각도(움직임)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32)는, 예를 들면 포텐셔미터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위치 감지센서(32)는 주변속레버(20)의 움직임(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으로, 이렇게 감지된 감지값은 제어부(12)로 전달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2 for sensing the rotation angle (moveme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potentiometer,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2 accurately detects the movement (angle)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and the sens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2.

이상의 구성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주변속레버(20)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동 각도(움직임 정도)는 위치 감지센서(32)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12)로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변속레버(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위치, 예를 들면 전진 방향이고, 조작에 의하여 회동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구성 자체도 다른 농기계에서 이미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In summary,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degree of movement) is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32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 can do. And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the position manipula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position rotated by the operation, and this configuration itself is already applied in other agricultural machinery. There is.

같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조향을 담당하는 스티어링레버(34)는, 하부의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동 각도는 위치 감지센서(34)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12)로 전송된다. 이러한 스티어링레버(22)가 가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다른 농기계에서 이미 적용하고 있는 공지된 구조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티어링레버(32)는 복귀스프링(38)에 의하여 항상 중립위치로 복귀한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복귀스프링 자체는 다른 농기계에서 이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teering lever 34 in charge of stee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ound one lower axis, and the rotation angle is set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4. It is sensed by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 It is a well-known structure that is already applied in other agricultural machinery that the steering lever 22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steering lever 32 always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38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this return spring itself can be said to be used by other agricultural machinery.

스티어링레버(22)의 구성 자체는 예시적인 것이나, 기본적인 것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스티어링레버(22)의 하단부는 조립되는 연결브라켓(36a,36b,36c)을 통하여, 고정부품(Fb)에 설치된 전후방향 지지핀(3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스티어링레버(22)의 가로 방향 회동은, 고정부품(Fb)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 감지센서(34)에 의하여 감지되는데, 예를 들면 스티어링레버(22)와 같이 회동하는 부품에 설치되는 연동핀이 위치 감지센서(34)의 액츄에이터에 연결됨으로써, 스티어링레버(22)의 움직임이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teering lever 22 itself is exemplary, but the basic one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lever 22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support pins 35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Fb through the assembled connection brackets 36a, 36b and 36c.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steering lever 22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4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Fb, for example, an interlocking pin installed on a rotating part such as the steering lever 22 By being connected to the actuator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4,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lever 22 can be accurately detected.

이와 같은 위치 감지센서(34)는 스티어링레버(22)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포텐셔미터(34)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스티어링레버(22)를 중립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복귀스프링(38)이 설치된다. Any type of sensor may be used as long as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4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lever 22.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would be desirable to use a potentiometer 34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and operat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 return spring 38 is installed to return the steering lever 22 to a neutral state.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연결브라켓(36a,36b,36c)의 일측과, 작업기의 고정된 부품 사이에 복귀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향을 위하여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스티어링레버(22)는 원래의 위치(중립위치)로 항상 복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주변속레버(20)와 스티어링레버(22)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은 물론이고, 실질적으로는 다양한 농기계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할 것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return spring 38 is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s 36a, 36b, and 36c and a fixed part of the work machin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for steering is removed, the steering lever 22 always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neutral position). The configurations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and the steering lever 22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use a known material that is practically applied to various agricultural machines.

그리고 예를 들어 스티어링레버(22)는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하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한 레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회전에 의하여 조향을 수행할 수 있는 스티어링휠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휠로 구성하는 경우, 위치 감지센서(34)는 스티어링휠의 좌우 방향 회전 정도(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될 것임은 당연하다. And, for example, the steering lever 22 may be configured as a lever that can rotate left and right with the lower part as a support point,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it is also configured as a steering wheel capable of steering by rotation. It will be possible. When configured as a steering wheel as described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4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degree of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20) 및 스티어링레버(22)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32,34)의 신호는 제어부(12)로 입력된다. 이러한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2)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유압컨트롤러(50)로 보내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유압컨트롤러(50)는,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유압모터(42,44)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gnals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32 and 34 for detecting the positions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and the steering lever 22, respectively,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12. The control unit 12 receiving such a signal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o the hydraulic controller 50. The hydraulic controller 50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for controlling the amount and direction of oil supplied to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

이러한 유압컨트롤러(50)는, 유압탱크로부터의 오일을 한 쌍의 유압모터(42,44)로 각각 공급할 수 있는 유압컨트롤밸브(54)와, 상기 유압컨트롤밸브(54)에서 공급하는 오일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용모터(52a,52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유압컨트롤러(50) 자체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압컨트롤러(50)에 의하여, 각각의 유압모터(42,44)로 소정의 제어된 오일이 공급됨으로써 주행 및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hydraulic controller 50 includes a hydraulic control valve 54 capable of supplying oil from a hydraulic tank to a pair of hydraulic motors 42 and 44, respectively, and an amount of oil supplied from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And control motors 52a and 52b that control the direction. It is known that the hydraulic controller 50 itself has various types. By such a hydraulic controller 50, a predetermined controlled oil is supplied to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thereby driving and steering are performed.

유압컨트롤밸브(54) 및 제어용모터(52a,52b)는 실질적으로 공지된 구성이고, 다양한 형태의 것이 시판중에 있다. 간단하게 구성을 설명하면, 유압컨트롤밸브(54)는 각각의 유압모터(42,44)로 공급하는 유압경로(파이프)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유압모터로 공급하는 유압경로는 두 개의 경로(파이프)로 구성되고 이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컨트롤밸브(54)의 내부에는 오일의 방향(직진 또는 후진) 및 오일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부품이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부품은 제어용모터(52a,52b)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용모터(52a,52b)는 본 실시 예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유압모터(42,44)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과 방향을 결정하는 부품을 제어하게 된다.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and the control motors 52a and 52b are substantially known configurations, and various typ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Brief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is provided with hydraulic paths (pipes) supplied to the respective hydraulic motors 42 and 44, respectively. The hydraulic path supplied to one hydraulic motor consists of two paths (pipes), which can be said to be for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n addition, a component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oil (straight or backward) and the amount of oil is built inside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and these components are controlled by driving the control motors 52a and 52b. The control motors 52a and 52b are configured as a pai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control parts that determine the amount and direction of oil supplied to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예를 들면, 각각의 유압모터(42,44)로는 두 개의 유압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전진 및 후진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진 및 후진시 속도는 유압의 양에 따라서 결정된다. 여기서 유압컨트롤밸브(54)는 각각의 유압모터(42,44)와 연결되는 한 쌍의 유압파이프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압모터(42,44)에서 유압의 공급방향/오일의 양은 제어용모터(52a,52b)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상술한 주변속레버(20)/스티어링레버(22)의 조작에 대응하게 된다. For example,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is provided with two hydraulic connection passages, which are for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peed when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Here,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is provided with a pair of hydraulic pipes connected to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and the supply direction of hydraulic pressure in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 the amount of oil is the control motor By controlling by (52a, 52b), i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steering lever 22 described above.

그리고 한 쌍의 유압모터(42,44)로 공급되는 유압의 양이 상이하게 되면, 조향이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면, 주행하는 도중에서 운전자가 스티어링레버(22)를 조작하여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우측의 유압모터(44)에 공급되는 오일의 양이 좌측의 유압모터(42)에 공급되는 오일의 양보다 많게 제어되고, 이에 따라서 좌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좌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주행속도는 주변속레버(20)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And when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pair of hydraulic motors 42 and 44 is different, steering occurs. For example, when the driver manipulates the steering lever 22 and needs to turn left while driving, the amount of oil supplied to the hydraulic motor 44 on the right is the amount of oil supplied to the hydraulic motor 42 on the left. It is controlled more than the amount, and the left turn is made accordingly. Even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left turn, the driving speed will be determined based o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이와 같은 유압컨트롤러(50)는 실제로 다양한 사양의 것이 개발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제어모터(52)에 의하여 제어되는 유압경로를 따라 유압컨트롤밸브(54)가 유압모터(42,44)로 제어되는 양의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유압모터(42,44)로 오일을 공급하는 내부경로를 가지는 유압컨트롤밸브(54)는, 한 쌍의 제어모터(52a,52b)(물론 이에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하다)의 제어에 의하여, 각각의 유압모터에 대한 오일의 공급방향 및 오일의 공급량을 결정하게 된다.Such a hydraulic controller 50 has actually been developed with various specification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is controlled by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along the hydraulic path controlled by the control motor 52. If it can supply a positive oil, it can be applied sufficiently. That is,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having an internal path for supplying oil to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is a pair of control motors 52a and 52b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it cannot be limited thereto). By the control, the oil supply direction and the oil supply amount to each hydraulic motor are determined.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작업기가 주행하는 각각의 모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each mode in which the work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driven will be described.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은 주변속레버(20)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주변속레버(20)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위치 감지센서(32)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2)는 유압컨트롤러(50)를 제어하여 차량을 전진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12)는 제어모터(52)를 제어하여, 유압컨트롤밸브(54)가 각각의 유압모터(42,44)의 제1포트로 오일을 공급하여 직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vehicle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For example, when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rotates forward, the controller 12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2 controls the hydraulic controller 50 to advance the vehicle. That is, 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control motor 52 so that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supplies oil to the first ports of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to make a straight line.

그리고 주변속레버(20)의 후진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응하도록 제어부(12)는 제어모터(52)를 제어하여, 유압컨트롤밸브(54)가 각각의 유압모터(42,44)의 제2포트로 오일을 공급하여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변속레버(20)의 조작에 의한 전진 및 후진은, 각각의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오일의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nd when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control motor 52 to correspond thereto, so that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is the second of each of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Oil is supplied to the port so that it is reversed.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y the opera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0 is achieved by different directions of oil supplied to each hydraulic motor.

다음에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에 대하여 살펴본다. 스티어링레버(22)가 좌우 중의 어느 일측으로 조작되면, 스티어링레버(22)의 위치 감지센서(34)의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부(12)는 제어모터(52)를 제어하여 유압컨트롤밸브(54)가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한다. 즉 좌회전 또는 우회전은 실질적으로 좌우 크롤러(40A,40B)의 속도차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양측의 유압모터(42,44)가 회전속도의 차이를 가지도록 유압모터(42,44)에 각각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반경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일측의 유압모터를 정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이는 그 유압모터로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Next, look at the left or right turn. When the steering lever 22 is operated to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the control unit 12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34 of the steering lever 22 controls the control motor 52 to control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Is to behave as follows. That is, since the left or right rotation is substantially caused by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rawlers 40A and 40B, oil is applied to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so that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on both sides have a difference in the rotation speed. Will be supplied. Here, in order to minimize the rotation radius, it is possible to stop the hydraulic motor on either side, which means that oil is not supplied to the hydraulic motor.

다음에는 차량의 스핀턴에 대하여 살펴본다. 스핀턴은 거의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핀턴은 스티어링레버(22)의 죄대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스티어링레버(22)의 최대 조작에 의하여 스핀턴 명령이 내려지면, 위치 감지센서(34)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12)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Next, look at the spin turn of the vehicle. Spin turn can be said to mean turning around in place. This spin turn is performed by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lever 22. That is, when a spin turn command is issued by the maximum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lever 22, the control unit 12 performs the following control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position sensor 34.

제자리에서 회전을 수행하는 스핀턴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크롤러(40A,40B)가 회전 방향을 달리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2)는 제어모터(52)를 제어하여, 양측의 유압모터(42,44)로 공급되는 오일이 각각 방향을 달리하도록, 예를 들면 제1유압모터(42)는 정방향 회전(전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유압모터(44)는 역방향 회전(후진)이 일어나도록 유압컨트롤밸브(54)를 동작시킨다. In order to perform a spin turn that rotates in place, the crawlers 40A and 40B on both sides must be controll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rotation.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control motor 52 so that the oil supplied to the hydraulic motors 42 and 44 on both sides varies in respective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hydraulic motor 4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 Forward) is made, and the second hydraulic motor 44 operates the hydraulic control valve 54 so that reverse rotation (reverse) occur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오일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작업기는 별도의 유압탱크(48)를 구비하고 있음은 당연하고, 이러한 유압탱크 내의 오일을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구동원은 엔진을 이용하는 것임은, 일반적인 농기계와 동일하다. In order to form the flow of oil as mentioned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work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hydraulic tank 48, and the driving source for supplying the oil in the hydraulic tank at a predetermined pressure uses an engine. It is the same as that of general agricultural machiner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기는, 전진 및 후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주변속레버, 조향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스티어링레버를 기본적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유압모터를 전진 및 후진, 그리고 조향의 기본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basically designing one peripheral speed lever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forward and backward, and one steering lever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steering.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pair of hydraulic motors are used as the basic power source for forward, backward, and steering.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as described above,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12 ..... 제어부
20 ..... 주변속레버
20a ..... 연결브라켓
20b ..... 지지브라켓
20c ..... 지지핀
22 ..... 스티어링레버
38 ..... 복귀스프링
40A, 40B..... 크롤러
42, 44 ..... 유압모터
48 ..... 유압탱크
50 ..... 유압컨트롤러
52 ..... 제어모터
54 ..... 유압컨트롤밸브
12 ..... control
20 ..... peripheral speed lever
20a ..... Connection bracket
20b ..... Support bracket
20c ..... support pin
22 ..... Steering lever
38 ..... return spring
40A, 40B..... Crawlers
42, 44 ..... Hydraulic motor
48 ..... Hydraulic tank
50 ..... Hydraulic controller
52 ..... Control motor
54 ..... Hydraulic control valve

Claims (3)

한 쌍의 크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전후진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주변속레버;
상기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조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스티어링레버;
상기 주변속레버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위치 감지센서;
상기 스티어링레버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위치 감지센서;
상기 한 쌍의 유압모터로 제공되는 오일의 양 및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전후진, 그리고 조향을 수행하기 위한 유압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제1위치 감지센서 및 제2위치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유압컨트롤러를 경유하는 오일의 양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압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농업용 작업기.
A pair of hydraulic motors for driving a pair of crawlers;
One peripheral speed lever for perform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using the hydraulic motor;
One steering lever for performing steering using the hydraulic motor;
A first position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A second posi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of the steering lever;
A hydraulic controller for performing forward/reverse and steering by controlling the amount and direction of oil provided by the pair of hydraulic motors; And
An agricultural work machin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hydraulic controller to determine the amount and direction of oil passing through the hydraulic controller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of the first position sensor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컨트롤러는, 한 쌍의 유압모터로 공급되는 오일을 통로를 형성하는 유압컨트롤밸브와, 상기 유압컨트롤밸브 내부에서 오일의 양 및 방향을 결정하는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모터로 구성되는 농업용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ydraulic controller comprises a hydraulic control valve that forms a passage for oil supplied to a pair of hydraulic motors, and a control motor that control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an amount and direction of oil in the hydraulic control val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속레버는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티어링레버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농업용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ipheral speed lever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steering lever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KR1020190095628A 2019-08-06 2019-08-06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KR102303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28A KR102303574B1 (en) 2019-08-06 2019-08-06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28A KR102303574B1 (en) 2019-08-06 2019-08-06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018A true KR20210017018A (en) 2021-02-17
KR102303574B1 KR102303574B1 (en) 2021-09-17

Family

ID=7473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628A KR102303574B1 (en) 2019-08-06 2019-08-06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7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944A (en) * 1999-11-18 2001-05-2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Crawler traveling vehicle
JP2003130174A (en) * 2001-10-22 2003-05-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Transmission system of working vehicle
JP3737222B2 (en) * 1996-09-30 2006-01-1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Walking type management machine
KR20080044634A (en) * 2006-11-17 2008-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steering operation of wheel type construction equipment which uses handle and joystick
KR101370993B1 (en) * 2006-09-11 2014-03-1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Working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222B2 (en) * 1996-09-30 2006-01-1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Walking type management machine
JP2001138944A (en) * 1999-11-18 2001-05-2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Crawler traveling vehicle
JP2003130174A (en) * 2001-10-22 2003-05-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Transmission system of working vehicle
KR101370993B1 (en) * 2006-09-11 2014-03-1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Working vehicle
KR20080044634A (en) * 2006-11-17 2008-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steering operation of wheel type construction equipment which uses handle and joy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574B1 (en)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2027B2 (en) Variable engine speed control
US7210293B2 (en) Hydrostatic transmission vehicle and hydrostatic transmission controller
WO2009116329A1 (en) Steering operation device
KR20110063487A (en) Hydraulic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steering member and vehicle comprising a hydraulic steering system
CA3017597C (en) Excavator track tensioning
JP4967367B2 (en) Traveling vehicle
CA2832424A1 (en) Single pedal propulsion system for straight travel of work vehicle
KR102303574B1 (e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US10767344B2 (en) Hydraulic drive control
KR102304523B1 (e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KR102324909B1 (e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having controllable rotating speed
KR102303577B1 (e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using hydraulic moters
JP3581187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JP3708576B2 (en) Operation unit structure of hydraulic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JP7290619B2 (en) work vehicle
JP4217417B2 (en) Gearbox for work vehicle
WO2019094592A1 (en) Hydraulic circuit for a travel motor of a power machine
JP7235206B2 (en) work vehicle
JP7478111B2 (en) Work Machine
JP2004169569A (en) Hydraulic running system
JPH0365472A (en) System for steering, gear-changing and driving of crawler-type tractor
JPH115558A (en) Operating device for traveling of crawler traveling machine body
JP2007071328A (en) Travel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JP3596686B2 (en) Operating part structure of hydraulic traveling agricultural machine
JP2012219578A (en) Travel oper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