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984A -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984A
KR20210016984A KR1020190095546A KR20190095546A KR20210016984A KR 20210016984 A KR20210016984 A KR 20210016984A KR 1020190095546 A KR1020190095546 A KR 1020190095546A KR 20190095546 A KR20190095546 A KR 20190095546A KR 20210016984 A KR20210016984 A KR 20210016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brightness
image
exposure value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식
김윤식
김정훈
원영준
전흥수
김성오
박지윤
송원석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6984A/ko
Priority to PCT/KR2020/008119 priority patent/WO2021025285A1/ko
Publication of KR2021001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984A/ko
Priority to US17/649,388 priority patent/US202201591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H04N5/23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06T5/00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6Image acquisition using multiple overlapping images; Image sti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3Bracketing, i.e. taking a series of images with varying exposure conditions
    • H04N5/235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41Special mode during image acquisition
    • G06T2207/10144Varying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208High dynamic range [HDR] image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상기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하고, 상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및/또는 상기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High Dynamic Range, HDR)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EXPOSURE VALUE OF IMAGE INCLUDING FAC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한 프리뷰(Preview) 영상 및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되는 영상인 브라케팅(Bracketing) 영상 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는 얼굴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인물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는 얼굴이 포함된 얼굴 영역의 휘도 정보를 활용하여 전체 영상의 노출 값(Exposure Value, EV)을 계산하여 영상의 밝기를 제어하는 자동 노출(Automatic Exposure, AE)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전자 장치는 고 동적 범위(High Dynamic Range, HDR)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고 동적 범위 영상은 저 휘도 영역 및 고 휘도 영역을 모두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노출 값이 다른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노출을 제어하거나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영상을 촬영할 때 전자 장치는 얼굴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갖도록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노출 값을 계산하는 자동 노출을 수행할 때 얼굴 영역의 밝기 및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배경 영역의 밝기의 차이를 고려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물의 얼굴이 외부의 빛을 등지고 있는 역광 영상을 촬영할 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는 얼굴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갖도록 노출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증가된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을 이용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 배경 영역이 지나치게 밝아져서 배경 영역을 시인하기 어려운 배경 포화(satur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배경 포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노출 값을 감소시키는 경우 얼굴 영역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영역이 얼굴 영역보다 지정된 값 이상 어두운 경우 얼굴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갖도록 촬영하면 배경 영역이 어두워서 시인하기 어렵고 배경 영역을 표현하기 위해 노출 값을 증가시키는 경우 얼굴 영역이 포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얼굴 영역의 밝기 및 배경 영역의 밝기를 비교하여 노출 값을 조절하여 얼굴 영역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가지면서도 배경 영역의 시인성을 개선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상기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하고, 상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및/또는 상기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High Dynamic Range, HDR)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가 획득한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프로세서가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상기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는 동작, 상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및/또는 상기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가 획득한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상기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는 동작, 상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및/또는 상기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얼굴 영역의 밝기 및 배경 영역의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기본 노출 값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제2 영상의 제2 노출 값 및/또는 기본 노출 값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제3 영상의 제3 노출 값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얼굴 영역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가지면서도 배경 영역의 시인성을 개선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얼굴 영역의 밝기 및 배경 영역의 밝기의 차이가 큰 경우에서 인물 사진을 촬영할 때 배경이 포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예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영상의 제1 비율에 따른 제2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영상의 제1 비율에 따른 제2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3 영상의 제2 비율에 따른 제3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3 영상의 제2 비율에 따른 제3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a는 기존의 고 동적 범위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배경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을 예시하는 블럭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80)은 렌즈 어셈블리(210), 플래쉬(220), 이미지 센서(230),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 메모리(250)(예: 버퍼 메모리),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이미지 촬영의 대상인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집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메라 모듈(180)은, 예를 들면,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 중 일부는 동일한 렌즈 속성(예: 화각, 초점 거리, 자동 초점, f 넘버(f number), 또는 광학 줌)을 갖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는 다른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속성들과 다른 하나 이상의 렌즈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예를 들면, 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22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는 빛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쉬(220)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예: RGB(red-green-blue) LED, white LED, infrared LED, 또는 ultraviolet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어 렌즈 어셈블리(210)를 통해 전달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230)는, 예를 들면, RGB 센서, BW(black and white) 센서, IR 센서, 또는 UV 센서와 같이 속성이 다른 이미지 센서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센서,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또는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에 포함된 각각의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카메라 모듈(18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렌즈 어셈블리(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230)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미지 센서(230)의 동작 특성을 제어(예: 리드 아웃(read-out) 타이밍을 조정 등)할 수 있다. 이는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움직임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하게 해 준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은 카메라 모듈(18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자이로 센서(미도시) 또는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80) 또는 전자 장치(101)의 그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예를 들면, 광학식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이미지 센서(2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음 이미지 처리 작업을 위하여 적어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에 따른 이미지 획득이 지연되거나,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고속으로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원본 이미지(예: Bayer-patterned 이미지 또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메모리(250)에 저장이 되고, 그에 대응하는 사본 이미지(예: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표시 장치(160)을 통하여 프리뷰 될 수 있다. 이후,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예: 사용자 입력 또는 시스템 명령) 메모리(250)에 저장되었던 원본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획득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이미지 센서(2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 또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은, 예를 들면, 깊이 지도(depth map) 생성, 3차원 모델링, 파노라마 생성, 특징점 추출, 이미지 합성, 또는 이미지 보상(예: 노이즈 감소, 해상도 조정, 밝기 조정, 블러링(blurring), 샤프닝(sharpening), 또는 소프트닝(softening)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카메라 모듈(18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이미지 센서(230))에 대한 제어(예: 노출 시간 제어, 또는 리드 아웃 타이밍 제어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메모리(250)에 다시 저장 되거나 카메라 모듈(180)의 외부 구성 요소(예: 메모리(130), 표시 장치(160),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60)는 프로세서(120)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거나, 프로세서(12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이 프로세서(120)과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그대로 또는 추가의 이미지 처리를 거친 후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각각 다른 속성 또는 기능을 가진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각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front side)을 나타낸 도면(300)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후면(rear side)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20), 및 카메라(330, 360, 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310)은 제1 면, 제2 면, 및 제3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은 제1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제1 면은 전자 장치(101)의 전면에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투명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은 제1 면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제2 면은 전자 장치(101)의 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제3 면은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면은 전자 장치(10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제3 면은 전자 장치(101)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 부재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면은 제2 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320)는 하우징(310)의 제1 면을 통해 제1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20)는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포함된 수 있다. 디스플레이(320)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330, 360, 370)는 하우징(310)의 제1 면을 통해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거나 하우징(310)의 제2 면을 통해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330, 360, 370)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330) 및 전자 장치(101)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360, 37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30, 360, 37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320) 및 카메라(330, 360, 370)와 작동적으로 연결될(operationally connected)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카메라(330, 360, 370)가 촬영한 영상에 관련된 영상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카메라(330, 360, 370)로부터 전달 받은 영상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3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330, 360, 370)는 하나의 영상을 촬영할 때 복수의 브라케팅(bracketing)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각각의 노출 값(Exposure Value, EV)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은 저 동적 범위(Low Dynamic Range, LDR) 영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High Dynamic Range, HD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20)는 프로세서(120)가 생성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나타낸 도면(4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얼굴이 포함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80),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프로세서(120), 및 노출 값이 조절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80)은 얼굴이 포함된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80)의 이미지 센서(예: 도 2의 이미지 센서(230))는 외부를 촬영하는 중 사이에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예: 도 2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로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전달 받은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생성한 영상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얼굴 검출부(410),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 밝기 추출부(430), 노출 값 산출부(440), 및 영상 합성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얼굴 검출부(410)는 카메라 모듈(180)로부터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얼굴 검출부(410)는 획득한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 할 수 있다. 얼굴 검출부(410)는 획득한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에서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의 주변을 얼굴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얼굴 검출부(410)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에서 피부색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얼굴 검출부(410)는 추출한 피부색 영역에서 밝기가 변화하는 경계선을 얼굴의 윤곽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얼굴 검출부(410)는 얼굴의 윤곽선 내부의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인물의 두 눈 및 입이 있는 위치에 두 눈 및 입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얼굴 검출부(410)는 두 눈과 입이 존재하는 경우에 얼굴의 윤곽선 내부의 영역 및 얼굴의 윤곽선의 주변 영역을 합하여 사각형으로 정의되는 영역을 얼굴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얼굴 검출부(41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에서 인물의 얼굴이 포함된 일부 영역을 얼굴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기본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기본 노출 값은 프리뷰 영상에서 얼굴의 밝기를 지정된 밝기로 만들 수 있는 노출 값일 수 있다.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얼굴 영역의 밝기를 측정하여 얼굴의 밝기를 적정 얼굴 밝기가 되도록 기본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밝기 값(pixel brightness value) 중 하나인 그레이 레벨(gray level)이 약 140인 경우 얼굴의 밝기가 적정 얼굴 밝기가 될 수 있다.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얼굴 영역의 밝기를 적정 얼굴 밝기로 하는 노출 값이 0EV인 경우,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고 동적 범위 영상의 밝기의 표준이 되는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0EV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역광에 의해 인물의 얼굴이 배경보다 어둡게 나와서 얼굴 영역의 밝기를 적정 얼굴 밝기로 하는 노출 값이 0EV보다 큰 값인 +EV인 경우,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고 동적 범위 영상의 밝기의 표준이 되는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EV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밝기 추출부(430)는 검출된 얼굴 영역의 밝기 정보 및 영상 전체 또는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밝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추출부(430)는 얼굴 영역의 밝기의 평균 값 및 영상 전체의 밝기의 평균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는 얼굴 영역의 밝기의 평균 값 및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밝기의 평균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는 얼굴 영역의 밝기 및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일부분의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밝기 추출부(430)는 제2 밝기를 추출하기 위해 얼굴 영역인 제1 영역(예: 도 6의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예: 도 6의 제2 영역(620))의 밝기를 모두 추출하거나, 제2 영역(620) 중 지정된 범위의 밝기를 벗어난 밝기를 갖는 일부 영역의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밝기 추출부(430)는 노출 값 산출부(440)가 포화와 같이 사용자가 시인하기 용이하지 않은 부분이 시인될 수 있도록 하는 올바른 노출 값을 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얼굴 영역의 밝기 및 영상 전체의 밝기 또는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밝기를 비교할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을 제외한 브라케팅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값 산출부(440)는 기본 노출 값을 적용하는 경우 배경이 지나치게 밝아지는 배경 포화(saturation)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보다 낮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노출 값 산출부(440)는 기본 노출 값을 적용하는 경우 배경이 지나치게 어두워져서 사용자가 배경을 시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보다 높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합성부(450)는 서로 다른 노출 값을 갖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합성할 수 있다. 영상 합성부(450)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공간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영상 합성부(450)는 기본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에 기본 노출 값보다 높은 노출 값 및/또는 기본 노출 값보다 낮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들을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합성부(450)는 기본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에서 고 휘도 영역에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보다 낮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합성부(450)는 기본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에서 저 휘도 영역에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보다 높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합성부(450)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합성부(450)는 생성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표시 장치(16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동작 510에서, 카메라(예: 도 3a 및 3b의 카메라(330, 360, 370))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Preview)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120))는 얼굴 검출부(예: 도 4의 얼굴 검출부(410))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각각에서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520에서,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얼굴이 적절한 밝기를 갖도록 제1 영상을 제1 밝기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본 노출 값 설정부(예: 도 4의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이 제1 밝기를 갖도록 제1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제1 영상이 약 140 그레이 레벨을 갖도록 제1 노출 값을 OEV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530에서, 제1 밝기 및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배경 영역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1 밝기 및 제2 밝기를 별도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밝기 추출부(예: 도 4의 밝기 추출부(430))를 이용하여 제1 영역의 평균 밝기 값을 제1 밝기로 추출하고 제2 영역의 평균 밝기 값을 제2 밝기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합한 전체 영역의 평균 밝기 값을 제2 밝기로 추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는 제2 영역의 일부분의 밝기 값을 제2 밝기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540에서, 제1 밝기 및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카메라(330, 360, 370)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Bracketing) 영상들 중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1 밝기 및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얼굴 영역 및 배경 영역의 밝기의 차이가 심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얼굴 영역 및 배경 영역의 밝기의 차이가 심한 경우 노출 값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합성을 진행하는 경우 배경 영역이 밝은 경우에는 배경이 포화되고 배경 영역이 어두운 경우에는 배경 영역을 제대로 시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의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3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2 노출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노출 값을 감소시켜 배경 영상이 지나치게 밝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2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3 노출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3 노출 값을 증가시켜 배경 영상이 지나치게 어두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550에서,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제2 영상 및/또는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High Dynamic Range, HD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기본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의 제2 밝기에 따라 제2 영상 및/또는 제3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에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영상 합성부(예: 도 4의 영상 합성부(450))는 제2 영역이 제1 영역보다 밝은 경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 및 제2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합성부(450)는 제2 영역이 제1 영역보다 어두운 경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 및 제3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합성부(450)는 제2 영역에 제1 밝기보다 지정된 차이 값 이상 밝은 부분 및 지정된 차이 값 이상 어두운 부분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모두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560에서,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디스플레이(예: 도 3a의 디스플레이(320))에 표시할 수 있다. 고 동적 범위 영상은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기본 노출 값은 제1 노출 값이 적용된 제1 밝기를 가져 얼굴이 적정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서 노출 값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영역의 노출 값이 조절되는 경우 배경이 지나치게 밝아서 배경이 포화되거나 반대로 배경이 지나치게 어두워서 배경이 시인되기 어려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6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카메라(예: 도 3a 및 도 3b의 카메라(330, 360, 370))를 이용하여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3a의 디스플레이(320)) 상에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프리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프레임 당 서로 다른 노출 값을 갖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기준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1 영상,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 및 제1 노출 값보다 큰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프리뷰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여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610) 및 제1 영역(610)을 제외한 제2 영역(620)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얼굴 검출부(예: 도 4의 얼굴 검출부(410))를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320)에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20)는 제1 영역(610)을 제2 영역(620)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320)는 프리뷰 영상에서 제1 영역(610)을 사각 형태의 박스 영역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610)이 검출된 경우 얼굴이 지정된 밝기 범위 이내의 밝기로 표현되도록 기본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얼굴이 지정된 밝기 범위 이내의 밝기로 표현될 때 밝기가 증가하는 경우 영상을 시인하는 사용자에게 얼굴이 보다 잘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기본 노출 값 설정부(예: 도 4의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제1 영역(610)이 검출된 경우 기본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제1 영역(610)이 검출된 경우 제1 노출 값을 0EV에서 +EV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얼굴을 포함하는 제1 영역(610)이 검출된 경우 제1 밝기 및 제2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밝기 추출부(예: 도 4의 밝기 추출부(430))는 제1 밝기를 제1 영역(610)에 배치된 화소들 각각의 밝기를 추출한 후 화소들 각각의 밝기의 평균 값을 제1 밝기로 계산하고, 제2 영역(620)에 배치된 화소들 각각의 밝기를 추출한 후 화소들 각각의 밝기의 평균 값을 제2 밝기로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는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 전체에 배치된 화소들 각각의 밝기를 추출한 후 화소들 각각의 밝기의 평균 값을 제2 밝기로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는 제2 영역(620) 중 최대 밝기 값 또는 최소 밝기 값을 갖는 화소가 포함된 일부 영역에 배치된 화소들의 밝기를 제2 밝기로 추출할 수 있다. 밝기 추출부(430)는 최대 밝기 값 또는 최소 밝기 값을 갖는 화소가 포함된 일부 영역에 배치된 화소들의 밝기를 제2 밝기로 추출하여 제2 밝기가 제2 영역(620)에서 최대 밝기 값을 밝거나 최소 밝기 값을 갖는 부분을 충분히 반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의 밝기 추출부(430)는 제1 밝기 및 제2 밝기를 비교할 수 있다. 밝기 추출부(430)는 제1 밝기 및 제2 밝기의 차이가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이 경우,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로 제1 밝기, 제2 밝기, 및/또는 제1 밝기와 제2 밝기 차이 값을 전달할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밝기 및 제2 밝기의 차이가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이 경우 제2 영상 및/또는 제3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3 노출 값을 유지하고 제2 영상의 제2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2 노출 값을 유지하고 제3 영상의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2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3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제2 영상의 제1 비율에 따른 제2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3 노출 값을 유지하므로 제1 영상 및 제3 영상의 노출 값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출 값은 0EV, 제3 노출 값은 +EV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비율에 따라 제2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비율은 제1 밝기와 비교한 제2 밝기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율은 제2 밝기/제1 밝기일 수 있다.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 제1 비율은 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의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경계 값은 1 이상인 값일 수 있다. 제1 보정 값은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노출 값을 제2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경계 값은 제1 경계 값보다 작고 1 이상인 값일 수 있다. 제2 보정 값은 제1 보정 값보다 크고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제2 노출 값을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보정 값은 제2 보정 값보다 크고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경계 값을 3으로 설정하고, 제2 경계 값을 2로 설정할 수 있다. 기본 노출 값 설정부(예: 도 4의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에서 제1 노출 값을 0EV로 설정한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보정 값을 -4EV, 제2 보정 값을 -3EV, 제3 보정 값을 -2EV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밝기 추출부(예: 도 4의 밝기 추출부(430))에서 측정한 제1 밝기 및 제2 밝기를 이용하여 제1 비율을 산출하고 제2 노출 값을 제1 비율에 따라 제1 보정 값, 제2 보정 값, 및/또는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영역(610)의 제1 밝기를 100㏓로 추출하고 제2 영역(620)의 제2 밝기를 350㏓로 추출한 경우 제1 밝기와 비교한 제2 밝기의 비율은 3.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율이 3.5가 되어 제1 경계 값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인 -4EV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밝기를 100㏓로 추출하고 제2 밝기를 250㏓로 추출한 경우 제1 밝기와 비교한 제2 밝기의 비율은 2.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율이 2.5가 되어 제1 경계 값보다 작고 제2 경계 값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노출 값을 제2 보정 값인 -3EV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밝기를 100㏓로 추출하고 제2 밝기를 150㏓로 추출한 경우 제1 밝기와 비교한 제2 밝기의 비율은 1.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율이 1.5가 되어 제2 경계 값보다 작고 1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노출 값을 제3 보정 값인 -2EV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제2 영상의 제1 비율에 따른 제2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800)이다. 도 8의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3 노출 값을 유지하므로 제1 영상 및 제3 영상의 노출 값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출 값은 0EV, 제3 노출 값은 +EV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의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밝기와 비교한 제2 밝기의 비율인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이고 제2 경계 값은 제1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제1 비율이 감소할수록 제2 노출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보다 크고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비율이 감소할수록 제2 노출 값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에서 제2 경계 값으로 변화할 때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에서 제3 보정 값으로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노출 값은 제2 영상을 지정된 밝기 범위로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단위 면적 당 빛의 양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2 노출 값을 변화시켜 제2 영상이 지정된 밝기 범위로 표시되도록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비율의 최대 문턱 값인 제1 경계 값과 제1 비율의 최소 문턱 값인 제2 경계 값 이상인 범위에서 제2 노출 값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노출 값이 단위 값만큼 증가할 때 빛의 양이 2배만큼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출 값이 -2EV에서 -EV로 변화한 경우 빛의 양은 2배만큼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노출 값이 -3EV에서 -EV로 변화한 경우 빛의 양은 4배만큼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노출 값이 선형적으로 변화할 때 제2 영상의 밝기는 지수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비율이 감소할수록 제2 영상의 밝기를 지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지정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제2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지정된 계산식은 도 8과 같이 제2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계산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tempEV = SCALE*{제1 비율-THRESHOLD} + MIN_EV
If tempEV > MAX_EV, Under_EV = -MAX_EV
Else if tempEV < MIN_EV, Under_EV = -MIN_EV
Else Under_EV = - tempEV
이 식을 도 8과 대응시키는 경우 Under_EV가 제2 노출 값일 수 있다. 또한 -MAX_EV가 제1 보정 값이고 -MIN_EV가 제3 보정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비율이 변화함에 따라 지정된 기울기인 SCALE에 따라 선형적으로 tempEV를 계산하여 음의 값을 Under_EV 값으로 적용함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정된 계산식을 이용하는 경우 제1 비율에 대응하는 제2 노출 값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지정된 계산식에서 SCALE = 1, THRESHOLD = 2, MAX_EV = 4, MIN_EV = 1일 때 제2 영역(예: 도 6의 제2 영역(620))의 밝기인 제2 밝기가 제1 영역(예: 도 6의 제1 영역(610))의 밝기인 제1 밝기의 3배인 경우 다음과 같이 tempEV 및 Under_EV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tempEV = 1*(3-2)+2 = 3, Under_EV = -3EV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제3 영상의 제2 비율에 따른 제3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2 노출 값을 유지하므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노출 값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출 값은 0EV, 제2 노출 값은 -2EV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2 비율에 따라 제3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비율은 제2 밝기와 비교한 제1 밝기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율은 제1 밝기/제2 밝기일 수 있다.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제2 비율은 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의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경계 값은 1 이상인 값일 수 있다. 제4 보정 값은 제1 노출 값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3 노출 값을 제5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4 경계 값은 제3 경계 값보다 작고 1 이상인 값일 수 있다. 제5 보정 값은 제4 보정 값보다 작고 제1 노출 값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4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제3 노출 값을 제6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6 보정 값은 제5 보정 값보다 작고 제1 노출 값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3 경계 값을 4로 설정하고, 제4 경계 값을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본 노출 값 설정부(예: 도 4의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에서 제1 노출 값을 0EV로 설정한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4 보정 값을 +3EV, 제5 보정 값을 +2EV, 제6 보정 값을 +1EV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밝기 추출부(예: 도 4의 밝기 추출부(430))에서 측정한 제1 밝기 및 제2 밝기를 이용하여 제2 비율을 산출하고 제3 노출 값을 제2 비율에 따라 제4 보정 값, 제5 보정 값, 및/또는 제6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영역(610)의 제1 밝기를 150㏓로 추출하고 제2 영역(620)의 제2 밝기를 30㏓로 추출한 경우 제2 밝기와 비교한 제1 밝기의 비율은 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율이 5가 되어 제3 경계 값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인 +3EV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밝기를 150㏓로 추출하고 제2 밝기를 40㏓로 추출한 경우 제2 밝기와 비교한 제1 밝기의 비율은 3.7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율이 3.75가 되어 제3 경계 값보다 작고 제4 경계 값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3 노출 값을 제5 보정 값인 +2EV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밝기를 150㏓로 추출하고 제2 밝기를 60㏓로 추출한 경우 제2 밝기와 비교한 제1 밝기의 비율은 2.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율이 2.5가 되어 제4 경계 값보다 작고 1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3 노출 값을 제6 보정 값인 +1EV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3 영상의 제2 비율에 따른 제3 노출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2 노출 값을 유지하므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노출 값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출 값은 0EV, 제2 노출 값은 -2EV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의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밝기와 비교한 제1 밝기의 비율인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이고 제4 경계 값은 제3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제2 비율이 감소할수록 제3 노출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4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보다 작고 제1 노출 값보다 큰 제6 보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비율이 감소할수록 제3 노출 값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에서 제4 경계 값으로 변화할 때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에서 제6 보정 값으로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노출 값은 제3 영상을 지정된 밝기 범위로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단위 면적 당 빛의 양을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3 노출 값을 변화시켜 제3 영상이 지정된 밝기 범위로 표시되도록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비율의 최대 문턱 값인 제3 경계 값과 제2 비율의 최소 문턱 값인 제4 경계 값 이상인 범위에서 제3 노출 값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노출 값이 단위 값만큼 감소할 때 빛의 양이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노출 값이 +3EV에서 +2EV로 변화한 경우 빛의 양은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노출 값이 +3EV에서 +1EV로 변화한 경우 빛의 양은 1/4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노출 값이 선형적으로 변화할 때 제3 영상의 밝기는 지수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노출 값 산출부(440)는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비율이 감소할수록 제2 영상의 밝기를 지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출 값 산출부(440)는 지정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제3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지정된 계산식은 도 10과 같이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계산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tempEV = SCALE*{제2 비율-THRESHOLD} + MIN_EV
If tempEV > MAX_EV, Over_EV = MAX_EV
Else if tempEV < MIN_EV, Over_EV = MIN_EV
Else Over_EV = tempEV
이 식을 도 10과 대응시키는 경우 Over_EV가 제3 노출 값일 수 있다. 또한 MAX_EV가 제4 보정 값이고 MIN_EV가 제6 보정 값일 수 있다. 또한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비율이 변화함에 따라 지정된 기울기인 SCALE에 따라 선형적으로 tempEV를 계산하여 양의 값을 Over_EV 값으로 적용함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정된 계산식을 이용하는 경우 제2 비율에 대응하는 제3 노출 값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지정된 계산식에서 SCALE = 1, THRESHOLD = 2, MAX_EV = 3, MIN_EV = 1일 때 제1 영역(예: 도 6의 제1 영역(610))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제2 영역(예: 도 6의 제2 영역(620))의 밝기인 제1 밝기의 3배인 경우 다음과 같이 tempEV 및 Over_EV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tempEV = 1*(3-2)+1 = 2, Over_EV = +2EV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1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10에서, 얼굴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얼굴 검출부(예: 도 4의 얼굴 검출부(410))를 이용하여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30, 360, 370))가 획득한 프리뷰 영상에 얼굴이 있는 경우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예: 도 6의 제1 영역(610))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330, 360, 370)가 획득한 프리뷰 영상에 얼굴이 없는 경우(동작 1110 - NO) 프로세서(120)는 동작 1115를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330, 360, 370)가 획득한 프리뷰 영상에 얼굴이 있는 경우(동작 1110 - YES) 프로세서(120)는 동작 1120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15에서, 기본 노출 값에 따라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촬영 및 합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본 노출 값 설정부(예: 도 4의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에서 기본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노출 값을 적용한 브라케팅 영상인 제1 영상, 제1 노출 값보다 낮은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을 적용한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 제1 노출 값보다 높은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적용한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영상에 제2 영상 및/또는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20에서, 얼굴 영역의 밝기를 얼굴 대상(face target) 밝기가 되도록 노출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에서 제1 영역(610)의 밝기가 얼굴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제1 노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노출 값 설정부(420)는 얼굴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1 노출 값을 지정된 값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얼굴이 검출되기 전보다 제1 영역(610)이 지정된 값만큼 밝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30에서, 설정된 노출 조건에서 얼굴 영역의 밝기(a)와 영상 전체 또는 얼굴을 제외한 영상의 일부의 밝기(b)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밝기 추출부(예: 도 4의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영역(610)의 밝기를 제1 밝기(a)로 추출할 수 있다. 밝기 추출부(430)는 영상 전체의 밝기 또는 제2 영역(예: 도 6의 제2 영역(620))의 밝기를 제2 밝기(b)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40에서, 얼굴 영역의 밝기(a)와 영상 전체 또는 얼굴을 제외한 영상의 일부의 밝기(b)로부터 최적의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위한 노출을 계산하고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에서 제1 밝기(a) 및 제2 밝기(b)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제2 영상의 제2 노출 값 및/또는 제3 영상의 제3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노출 값 산출부(440)에서 산출한 노출 값을 적용한 상태에서 카메라(330, 360, 370)가 제2 영상 및/또는 제3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40에서, 촬영된 두 장 이상의 영상으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영상 합성부(예: 도 4의 영상 합성부(450))를 이용하여 제1 영상과 제2 영상 및/또는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표시 장치(예: 도 4의 표시 장치(160))로 생성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320))가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1140)이다. 도 12의 흐름도(1140)는 도 11의 동작 1140에 포함된 동작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41에서, 제1 밝기(a)가 제2 밝기(b)보다 큰 값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밝기 추출부(예: 도 4의 밝기 추출부(430))에서 제1 밝기(a) 및 제2 밝기(b)를 각각 추출하여 밝기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밝기 추출부(430)는 노출 값 설정부(예: 도 4의 노출 값 설정부(440))에 제1 밝기(a) 및 제2 밝기(b)를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밝기(a)가 제2 밝기(b)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동작 1141 - Yes) 동작 1142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밝기(a)가 제2 밝기(b)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동작 1141 - No) 동작 1143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42에서, 제1 밝기(a)가 클수록 0ver EV를 올릴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노출 값 설정부(440)는 제1 밝기(a)가 제2 밝기(b)보다 밝아서 배경 영역이 어두운 경우 제1 밝기(a)가 증가할수록 제3 영상의 제3 노출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43에서, 제2 밝기(b)가 클수록 Under EV를 낮출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노출 값 설정부(440)는 제2 밝기(b)가 제1 밝기(a)보다 밝아서 배경 영역이 밝은 경우 제2 밝기(b)가 증가할수록 제2 영상의 제2 노출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44에서, 계산된 EV에 따라 두 장 이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30, 360, 370))가 기본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적용한 제1 영상에 더하여, 기본 노출 값보다 낮은 노출 값을 적용한 제2 영상 및/또는 기본 노출 값보다 높은 노출 값을 적용한 제3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3a는 기존의 고 동적 범위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14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기존의 고 동적 범위 영상은 인물이 외부의 광을 등지고 있어 역광을 배경이 밝은 경우 얼굴 영역을 시인되도록 하기 위해 노출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노출 값을 증가시키는 경우 얼굴 영역은 시인되지만 얼굴 영역을 제외한 배경 영역은 지나치게 밝아져서 배경 영역이 포화 상태가 될 수 있다. 포화 상태가 된 배경은 하얗게 되어 사용자는 배경에 무엇이 있는지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존의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은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320))를 구성하는 전체 화소들 중 해당 밝기를 갖는 화소들의 비율을 밝기 별로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그램은 그레이 레벨과 같은 밝기를 가로 축으로 설정하고, 전체 화면의 넓이와 비교하여 해당 밝기를 갖는 영역의 넓이의 비율인 비율인 화면 비율을 세로 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경 포화가 발생한 경우 히스토그램 상으로 높은 밝기 성분인 192 레벨부터 255 레벨까지의 화면 비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145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은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합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적어도 일부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은 인물의 얼굴이 배치된 얼굴 영역 및 얼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노출 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은 인물이 외부의 광을 등지고 있어 역광을 배경이 밝은 경우 얼굴 영역은 시인되는 노출 값을 기본 노출 값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기본 노출 값보다 낮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감소시켜 배경 포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을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할 경우, 높은 밝기 성분인 192 레벨부터 255 레벨까지의 화면 비율이 감소하고, 중간 밝기 성분인 128 레벨부터 192 레벨까지의 화면 비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 동적 범위 영상을 나타낸 도면(15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얼굴이 포함된 역광 이미지를 촬영할 때, 얼굴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갖도록 노출 값을 설정한 브라케팅 영상 (a)에서는 배경이 포화될 수 있다. 또한 배경의 포화를 막기 위해 노출 값을 감소시킨 브라케팅 영상 (b)에서는 얼굴이 어둡게 나타날 수 있다. 브라케팅 영상 (a) 및 브라케팅 영상 (b)를 결합한 고 동적 범위 영상 (c)에서는 얼굴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가지면서도 배경이 포화되지 않아 얼굴 및 배경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브라케팅 영상 (a)와 브라케팅 영상 (b)를 결합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 (c)를 생성하는 상황은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3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2 노출 값을 감소시키는 상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경이 얼굴에 비해 매우 어두운 경우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갖도록 노출 값을 설정한 브라케팅 영상 (d)에서는 배경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경을 적정 밝기로 표현한 브라케팅 영상 (e)에서는 얼굴 영역이 포화될 수 있다. 브라케팅 영상 (d) 및 브라케팅 영상 (e)를 결합한 고 동적 범위 영상 (f)에서는 배경이 지정된 밝기 범위를 가지면서도 얼굴이 포화되지 않아 얼굴 및 배경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브라케팅 영상 (d)와 브라케팅 영상 (e)를 결합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 (f)를 생성하는 상황은 제2 밝기가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제1 노출 값 및 제2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3 노출 값을 증가시키는 상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배경 영역(예: 도 6의 제2 영역(620))의 밝기를 산출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16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120))는 영상 중 얼굴 영역(예: 도 6의 제1 영역(610))을 제외한 제2 영역(620) 중 지정된 밝기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의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밝기 추출부(예: 도 4의 밝기 추출부(430))는 제2 영역(620)을 복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분하여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추출부(430)는 영상을 9개의 서브 영역들로 구분하고, 얼굴 영역인 정 중앙의 서브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620)을 구성하는 8개의 서브 영역들의 밝기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밝기 추출부(430)는 중 복수의 서브 영역들 중 지정된 밝기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을 확인하고, 지정된 밝기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의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추출부(430)는 제2 영역(620)을 구성하는 8개의 서브 영역들 중 지정된 밝기 범위보다 밝아 포화가 발생하는 좌측 상단 영역(1610)을 확인하고, 포화가 발생한 좌측 상단 영역(1610)의 밝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밝기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에서 배경이 시인될 수 있도록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노출 값 산출부(예: 도 4의 노출 값 산출부(440))를 이용하여 지정된 밝기 범위를 벗어나 올바르게 시인되지 않는 영역에 맞추어 브라케팅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정된 좌측 상단 영역(1620)에서는 포화가 발생하지 않고 배경이 올바르게 시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메모리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310: 하우징 320: 디스플레이
330, 360, 370: 카메라 410: 얼굴 검출부
420: 기본 노출 값 설정부 430: 밝기 추출부
440: 노출 값 산출부 450: 영상 합성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상기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하고,
    상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및/또는 상기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High Dynamic Range, HDR) 영상을 생성하고, 및
    상기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가 상기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 상기 제1 노출 값 및 상기 제3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2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2 밝기의 비율인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2 경계 값은 상기 제1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1 보정 값보다 큰 제2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2 보정 값보다 크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2 밝기의 비율인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2 경계 값은 상기 제1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1 비율이 감소할수록 상기 제2 노출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1 보정 값보다 크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가 상기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상기 제1 노출 값 및 상기 제2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1 밝기의 비율인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4 경계 값은 상기 제3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상기 제4 보정 값보다 작은 제5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4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상기 제5 보정 값보다 작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큰 제6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1 밝기의 비율인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4 경계 값은 상기 제3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2 비율이 감소할수록 상기 제3 노출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4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상기 제5 보정 값보다 작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큰 제6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밝기를 모두 추출하거나, 상기 제2 영역 중 지정된 범위의 밝기를 벗어난 밝기를 갖는 일부 영역의 밝기를 추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가 획득한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프로세서가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상기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는 동작;
    상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및/또는 상기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가 상기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 상기 제1 노출 값 및 상기 제3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2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2 밝기의 비율인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2 경계 값은 상기 제1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1 보정 값보다 큰 제2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2 보정 값보다 크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2 밝기의 비율인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2 경계 값은 상기 제1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1 비율이 감소할수록 상기 제2 노출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1 보정 값보다 크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가 상기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상기 제1 노출 값 및 상기 제2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1 밝기의 비율인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4 경계 값은 상기 제3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상기 제4 보정 값보다 작은 제5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4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상기 제5 보정 값보다 작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큰 제6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1 밝기의 비율인 제2 비율이 제3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제4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3 경계 값 미만 제4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4 경계 값은 상기 제3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2 비율이 감소할수록 상기 제3 노출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비율이 상기 제4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노출 값을 상기 제5 보정 값보다 작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큰 제6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16.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가 획득한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할 때 미리 확인하는 작업을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얼굴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얼굴이 포함된 영역인 제1 영역의 밝기인 제1 밝기가 지정된 밝기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뷰 영상들 중 기본 노출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인 제1 영상의 노출 값인 제1 노출 값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밝기인 제2 밝기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밝기 및 상기 제2 밝기의 차이가 지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영상 처리를 위한 기초 작업에 사용하기 위해 획득하는 복수의 브라케팅 영상들 중 상기 제1 영상보다 작은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2 영상의 노출 값인 제2 노출 값 및/또는 상기 제1 영상보다 큰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인 제3 영상의 노출 값인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는 동작;
    상기 제1 노출 값을 갖는 브라케팅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및/또는 상기 제3 영상을 합성하여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고 동적 범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2 밝기가 상기 제1 밝기보다 밝은 경우 상기 제1 노출 값 및 상기 제3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2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기록 매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2 밝기의 비율인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2 경계 값은 상기 제1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1 보정 값보다 큰 제2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2 보정 값보다 크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기록 매체.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밝기와 비교한 상기 제2 밝기의 비율인 제1 비율이 제1 경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제1 보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1 경계 값 미만 제2 경계 값 이상이고 상기 제2 경계 값은 상기 제1 경계 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상기 제1 비율이 감소할수록 상기 제2 노출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경계 값 미만 1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노출 값을 상기 제1 보정 값보다 크고 상기 제1 노출 값보다 작은 제3 보정 값으로 설정하는 기록 매체.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2 밝기가 상기 제1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상기 제1 노출 값 및 상기 제2 노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3 노출 값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기록 매체.
KR1020190095546A 2019-08-06 2019-08-06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6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46A KR20210016984A (ko) 2019-08-06 2019-08-06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8119 WO2021025285A1 (ko) 2019-08-06 2020-06-24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US17/649,388 US20220159168A1 (en) 2019-08-06 2022-01-31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exposure value of image including 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46A KR20210016984A (ko) 2019-08-06 2019-08-06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84A true KR20210016984A (ko) 2021-02-17

Family

ID=7450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46A KR20210016984A (ko) 2019-08-06 2019-08-06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59168A1 (ko)
KR (1) KR20210016984A (ko)
WO (1) WO20210252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219B1 (ko) * 2004-07-06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노출 보정 방법 및 보정 장치
JP4600684B2 (ja) * 2006-08-18 2010-12-1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08206111A (ja) * 2007-02-23 2008-09-04 Victor Co Of Japan Ltd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1812807B1 (ko) * 2011-06-29 2017-1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영역별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자동 노출 제어 방법
JP7057079B2 (ja) * 2017-09-01 2022-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285A1 (ko) 2021-02-11
US20220159168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46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related to image displayed through display and image stored in memory based on image analysis
US11461910B2 (en) Electronic device for blurring image obtained by combining plural images based on depth information and method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US11558553B2 (en) Electronic device for stabiliz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3435655B1 (en)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image using plurality of camera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using the same
KR20190032061A (ko)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582391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effect,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KR102383134B1 (ko)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64129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images
US111071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noise pattern into image on which bokeh 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KR20200067027A (ko) 복수의 카메라들 또는 깊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US10958833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frame rate of image sensor and method thereof
US1135477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7295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HDR image generation method therefor
KR20210092620A (ko) 카메라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00111446A (ko)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01226A (ko)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30156349A1 (en) Method for genera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10144151A (ko) Awb를 수행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16984A (ko) 얼굴이 포함된 영상의 노출 값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2762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의 가림을 인식하는 방법
US202300850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image by using multiple cameras
EP4319136A1 (en) Image captu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00118600A (ko)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