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883A - 사료 계량통 - Google Patents

사료 계량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883A
KR20210016883A KR1020190095247A KR20190095247A KR20210016883A KR 20210016883 A KR20210016883 A KR 20210016883A KR 1020190095247 A KR1020190095247 A KR 1020190095247A KR 20190095247 A KR20190095247 A KR 20190095247A KR 20210016883 A KR20210016883 A KR 2021001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ylinder
handle
lower c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085B1 (ko
Inventor
진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광
Priority to KR102019009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0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계량통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내부에 충전된 사료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린더(110); 실린더(110) 상부에 조립되고, 사료공급파이프(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실린더(11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구(121)가 관통되는 상부캡(120); 실린더(110) 하부에 조립되고,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서 공급하는 출구(131)가 관통되는 하부캡(130); 사료를 개량할 때 내부 경사면(141) 하단부에 형성된 사료배출공(142)이 하강하는 계폐볼에 막혀 폐쇄되고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때 승강하는 개폐볼에 의해 개방되며, 몸체에 가이드홀(143)이 관통되는 승강부재(140); 상기 하부캡(130)에 형성된 조립공에 끼워진 상태로 그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재(140)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캡(130) 외부로 노출된 몸체를 승,하강 조작하는 작업자에 의해 승,하강하여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하고, 하부캡(130)에 체결된 레버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는 손잡이(150); 및 승강부재(140)의 가이드홀(143)에 끼워진 상태로 실린더(110) 내부 길이방향에 수용되고, 그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캡(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캡(130)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손잡이(15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때 승강부재(14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봉(1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료 계량통{Feed measuring container}
본 발명은 축사에서 사육하는 소, 돼지, 닭, 오리 등을 포함한 가축들에게 정량 사료를 계량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 계량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료 계량을 위해 손잡이를 승,하강시켜 실린더 내부에 위치한 승강부재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때 손잡이와 승강부재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여 승강부재의 승,하강을 원활하게 안내하면서도 종래 고질적인 단점으로 지적된 승강부재의 비틀림 현상에 의해 승강부재와 실린더 사이의 발생하는 과도한 틈새로 사료가 유출되는 것을 제거하여 정량 사료를 계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 계량통에 관한 것이다.
소, 돼지와 같은 대형 가축에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축사에 배관된 사료공급파이프(1) 하부에 사료를 정량 계량하는 다수의 사료 계량통(2)을 필요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계량된 사료를 가축에 공급한다. 이 사료 계량통(2) 내부에는 높이 조절가능하게 승강부재(21)가 설치되는데, 이는 승강부재(21)에 고정되고 하부로 연장된 손잡이(22)를 레버(23)로 잠그거나 해제하여 승강부재(21)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사료공급파이프(1)로부터 계량통(2) 내부로 공급되어 승강부재(21) 상부에 적층된 사료(F)가 계량된 것이므로, 가축이 성장함에 따라 이 승강부재(21)를 아래로 이동시켜 그 상부에 점차 많은 사료가 적층되게 계량하여 성장시기에 맞추어 사료를 공급한다.
사료(F)를 계량할 때는 각 계량통(2) 상부에 위치한 셔터(3)를 인출시켜 사료공급파이프(3)의 출구를 개방하여 사료를 계량통(2)으로 공급되게 하고, 승강부재(21)의 사료 배출공(21a)은 개폐볼(4)에 의해 폐쇄되어 계량통(2)으로 공급된 사료는 승강부재(21) 상부에 적층되어 계량이 완료된다.
계량된 사료(F)를 가축에게 공급할 때는 사료공급파이프(3) 내부를 이동하는 사료를 정지시킨 후 기계장치 또는 작업자가 도 4의 레버(L)를 회전시켜 구동와이어(6)를 이동시키면 이 구동와이어(6)에 연결된 각 계량통(2)의 승강와이어(7)가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그 하부에 연결된 개폐볼(4)을 들어올려 승강부재(21)의 사료 배출공(21a)을 개방한다. 이렇게 다수의 계량통(2)의 사료 배출공(21a)이 개방되면 개량된 사료(F)는 사료 배출공(21a)으로 배출되어 가축에게 공급된다.
계량통(2)의 계량 사료(F) 공급이 완료되어 레버(L)의 회전상태를 해제하면, 도 5와 같이 구동와이어(6) 단부에 연결된 스프링(8)의 당김력에 의해 레버(L)가 원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구동와이어(6)도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이때 각 계량통(2)의 개폐볼(4)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승강부재(21)의 사료 배출공(21a)을 폐쇄하여 다시 사료를 개량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사료 계량통(2)의 사용을 정리하면 가축이 성장함에 따라 점차 많은 사료를 계량하는 등 필요한 사료량을 계량할 경우에 작업자가 손잡이(22)를 승,하강시켜 그 상단부에 위치한 승강부재(21)의 높이를 설정한 후 레버(23)를 조여 손잡이(22)를 고정시킴으로써 승강부재(21) 상부에 적층된 사료를 계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사료 계량통(2)은 승강부재(21) 하부에 고정된 손잡이(22)가 하부캡(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구조이므로, 사료 계량을 위해 손잡이(22)를 승,하강시킬 때 손잡이(22)를 지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도 6의 사진과 같이 손잡이(22)가 좌우로 이동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22)가 좌우로 이동하면 비틀어진 손잡이(22) 일부분이 하부캡(24)과 그리고 경사진 승강부재(21) 일부분이 실린더(25) 내벽과 심하게 밀착되고, 그 밀착부분에 마찰저항이 증가하여 손잡이(22)와 승강부재(21)는 승,하강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료를 계량할 때마다 손잡이(22)와 승강부재(21)가 비틀어져 마찰저항이 증가하면 하부캡(24)의 손잡이(22)가 관통하는 부분의 구멍(24a)이 넓어져 계량을 진행할수록 손잡이(22)와 승강부재(21)는 점점 더 비틀어져 헐거워지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22)가 비틀어지면 승강부재(21)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경사지게 기울어지므로 실린더(25) 내벽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계량이 진행될 때마다 이 틈새는 점점 더 벌어져 계량된 사료가 그곳으로 유출되어 정량 사료를 계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사료 계량통의 종래 특허 문헌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27801호의 가축사료 급이기와 등록실용신안 제20-0166294호의 가축사료 제한 급이기가 있다. 이 기술들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승,하강할 때 지지수단이 없어 손잡이가 비틀어지고, 계량이 진행됨에 따라 그 상부에 위치한 승강부재가 점점 경사져 실린더와의 사이에 큰 틈새가 발생되어 그곳으로 사료가 유출되는 문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780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6294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사료 계량통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료 계량을 위해 손잡이를 승,하강시켜 실린더 내부에 위치한 승강부재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때 손잡이와 승강부재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여 승강부재의 승,하강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사료 계량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고질적인 단점으로 지적된 승강부재의 비틀림 현상에 의해 승강부재와 실린더 사이의 발생하는 과도한 틈새를 통해 사료가 유출되는 것을 제거하여 정량 사료를 계량할 수 있는 사료 계량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계량통은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충전된 사료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부에 조립되고, 사료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실린더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구가 관통되는 상부캡;
상기 실린더 하부에 조립되고, 실린더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서 공급하는 출구가 관통되는 하부캡;
상기 실린더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몸체가 실린더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되고, 사료를 개량할 때 내부 경사면 하단부에 형성된 사료배출공이 하강하는 계폐볼에 막혀 폐쇄되고 실린더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때 승강하는 개폐볼에 의해 개방되며, 몸체에 가이드홀이 관통되는 승강부재;
상기 하부캡의 조립공에 끼워진 상태로 그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캡 외부로 노출된 몸체는 작업자에 의해 승,하강하여 승강부재의 계량 높이를 조절하고, 하부캡에 체결된 레버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는 손잡이; 및
상기 승강부재의 가이드홀에 끼워진 상태로 실린더 내부 길이방향에 수용되고, 그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캡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승강부재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때 승강부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부캡은 가이드봉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상부고정부재가 돌출된다.
본 발명의 하부캡은 가이드봉의 타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가 돌출된다. 상기 하부캡은 조립공 상부에 승,하강하는 손잡이를 수용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조리브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승강부재에 관통되는 가이드홀은 승강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은 측단부가 노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료 계량통은 사료 계량을 위해 손잡이를 승,하강시킬 때 이 손잡이와 함께 승,하강하는 승강부재가 가이드봉에 구속된 상태에서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와 승강부재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비틀어지지 않으므로 그들이 접촉하는 하부캡 및 실린더 내벽과 접촉하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줄어들어 승강부재의 승,하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하강하는 손잡이와 승강부재가 비틀어지지 않으므로 승강부재 가장자리와 실린더 내벽 사이에 계량된 사료가 유출되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정량 사료를 계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하강하는 손잡이와 승강부재가 비틀어지지 않으므로 손잡이, 승강부재, 및 실린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사료 계량통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료 공급장치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종래 사료 계량통에서 사료를 개량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사료 계량통에서 개량된 사료를 공급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사료 공급장치의 레버를 보인 사진
도 5는 일반적인 사료 공급장치의 구동와이어 단부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6은 종래 사료 계량통의 손잡이를 승,하강할 때 손잡이와 그 단부에 조립된 승강부재가 비틀어져 승강부재가 경사지게 치우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사료 계량통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료 계량통의 하부캡을 단면하여 가이드봉 하부 조립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료 계량통의 상부캡을 단면하여 가이드봉이 상부 조립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가이드봉이 승강부재에 끼움 조립된 상태에서 승강부재와 손잡이가 승,하강하는 것 보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가이드봉이 승강부재에 끼움 조립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상부캡 저면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하부캡 평면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승강부재 저면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조립된 실제품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료 계량통(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계량통(100)의 구성은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충전된 사료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린더(110);
상기 실린더(110) 상부에 조립되고, 사료공급파이프(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실린더(11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구(121)가 관통되는 상부캡(120);
상기 실린더(110) 하부에 조립되고,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서 공급하는 출구(131)가 관통되는 하부캡(130);
상기 실린더(110)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몸체가 실린더(110)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되고, 사료를 개량할 때 내부 경사면(141) 하단부에 형성된 사료배출공(142)이 하강하는 계폐볼(B)에 막혀 폐쇄되고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때 승강하는 개폐볼(B)에 의해 개방되며, 몸체에 가이드홀(143)이 관통되는 승강부재(140);
상기 하부캡(130)의 조립공(134)에 끼워진 상태로 그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재(140)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캡(130) 외부로 노출된 몸체는 작업자에 의해 승,하강하여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하고, 하부캡(130)에 체결된 레버(170)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는 손잡이(150); 및
상기 승강부재(140)의 가이드홀(143)에 끼워진 상태로 실린더(110) 내부 길이방향에 수용되고, 그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캡(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캡(130)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손잡이(15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때 승강부재(14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봉(160);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10)는 내부에 계량된 사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형태는 원통형상,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조의 편리성과 사료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확인성을 감안할 때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 실린더(110)에는 계량된 사료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캡(120)은 실린더(110) 상부에 조립되고, 사용 시 사료공급파이프(200)와 연통되게 장착되어 사료공급파이프(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실린더(11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도 12와 같이 사료공급파이프(200)의 출구와 연통되게 입구(121)가 관통된다. 또한 상부캡(120)은 가이드봉(160) 상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122)이 형성된 상부고정부재(123)가 돌출된다.
도 7 및 도 9와 같이 상기 상부캡(120)의 하부 내측에 실린더(110) 상단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부캡(120)과 실린더(110)의 접면부를 스크류로 체결하면 실린더(110) 상부에 상부캡(120)이 체결 고정된다.
상기 하부캡(130)은 상기 실린더(110) 하부에 조립되고,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서 공급하는 출구(131)가 관통된다. 하부캡(130)의 내측벽과 근접된 위치에는 가이드봉(160)의 타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132)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133)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고정부재(133)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손잡이(150)가 끼워지도록 조립공(134)이 관통되고, 이 조립공(134) 상부에는 도 13과 같이 손잡이(150)를 수용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조리브(135)가 더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하부캡(130)의 상부 내측에 실린더(110) 하단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캡(130)과 실린더(110) 접면부를 스크류로 체결하면 실린더(110) 하부에 상부캡(120)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승강부재(140)는 상부캡(120) 입구로부터 실린더(110)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몸체가 실린더(110)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된다. 사료를 개량할 때 내부 경사면(141) 하단부에 형성된 사료배출공(142)이 하강하는 계폐볼(B)에 막혀 폐쇄된다. 이렇게 계폐볼(B)에 사료배출공(142)이 폐쇄되면 실린더(110)로 공급된 사료는 승강부재(140)에 쌓여 계량된다. 한편,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때 승강하는 개폐볼(B)에 사료배출공(142)이 개방되어 계량된 사료는 상기 개방된 사료배출공(142)과 하부캡(130)을 통해 가축에게 공급된다.
상기 승강부재(140)는 가이드봉(160)을 끼워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에 가이드홀(143)이 관통된다. 이 가이드홀(143)은 되도록 계량된 사료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승강부재(1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홀(143)은 가이드봉(160)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데, 본 발명은 가이드봉(160)이 상,하부캡(130)의 내측벽에 근접되게 고정되므로 도 14와 같이 승강부재(140)의 측단부가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5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부재(14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140)와 일체로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손잡이(150)는 하부캡(130)에 형성된 조립공(134)에 끼워진 상태로 그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재(140)에 일체로 고정된다. 하부에 위치한 손잡이(150)의 타단부는 작업자가 승,하강 조작할 수 있도록 하부캡(130)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하부캡(130)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150)를 잡고 승,하강시키면 승강부재(140)도 함께 승,하강하므로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150)를 고정 또는 해제할 때는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하부캡(130)에 체결된 레버(170)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봉(160)은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사료 계량을 위해 승강부재(140)가 승,하강할 때 비틀어지지 않고 언제나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봉(160)은 상기 승강부재(140)의 가이드홀(143)에 끼워진 상태로 실린더(110) 내부 길이방향에 수용되고, 그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캡(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캡(1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봉(160)의 양단부가 상부캡(120)과 하부캡(130)의 내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면 손잡이(150)와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15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때 가이드봉(160)이 승강부재(140)의 가이드홀(143)에 수용된 상태가 되므로 승강부재(140)는 가이드봉(160)에 구속되어 승,하강할 때 흔들리지 않는 다. 즉 10 내지 도 11과 같이 수직으로 고정된 가이드봉(160)에 승강부재(140)가 구속된 상태에서 하부캡(130)의 조립공(134)에 끼워진 손잡이(150)를 승,하강시키면 승강부재(140)는 가이드봉(160)의 안내를 따라 승,하강하여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언제나 가이드봉(16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이드봉(160)이 상부캡(120)과 하부캡(130)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승강부재(140)의 가이드홀(143) 내부에 가이드봉(160)이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150)를 조작하여 승강부재(140)를 승,하강 시키면 승강부재(140)는 가이드봉(160)을 따라 승,하강할 수 밖에 없으로 승강부재(140)는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비틀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손잡이(150)와 가이드봉(160)이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비틀어지지 않아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승강부재(140)의 승,하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점, 승,하강하는 승강부재(140) 가장자리와 실린더(110) 내벽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정량 사료를 계량할 수 있는 점, 계량 과정에서 승강부재(140)가 비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150), 승강부재(140), 및 실린더(11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사료 계량통(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점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 분야에서 진보성을 갖춘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사료 계량통 110 : 실린더
120 : 상부캡 130 : 하부캡
140 : 승강부재 150 : 손잡이
160 : 가이드봉

Claims (6)

  1.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충전된 사료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린더(110);
    상기 실린더(110) 상부에 조립되고, 사료공급파이프(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실린더(11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구(121)가 관통되는 상부캡(120);
    상기 실린더(110) 하부에 조립되고,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서 공급하는 출구(131)가 관통되는 하부캡(130);
    상기 실린더(110)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몸체가 실린더(110)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조립되고, 사료를 개량할 때 내부 경사면(141) 하단부에 형성된 사료배출공(142)이 하강하는 계폐볼(B)에 막혀 폐쇄되고 실린더(110)에 충전된 계량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때 승강하는 개폐볼(B)에 의해 개방되며, 몸체에 가이드홀(143)이 관통되는 승강부재(140);
    상기 하부캡(130)의 조립공(134)에 끼워진 상태로 그의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재(140)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캡(130) 외부로 노출된 몸체는 작업자에 의해 승,하강하여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하고, 하부캡(130)에 체결된 레버(170)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는 손잡이(150); 및
    상기 승강부재(140)의 가이드홀(143)에 끼워진 상태로 실린더(110) 내부 길이방향에 수용되고, 그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캡(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캡(130)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손잡이(15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승강부재(140)의 계량 높이를 조절할 때 승강부재(14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봉(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계량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20)은 가이드봉(160)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계량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30)은 가이드봉(160)의 타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계량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140)에 관통된 가이드홀(143)은 승강부재(1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계량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140)에 관통되는 가이드홀(143)은 측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계량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130)은 손잡이(150)가 끼워지는 조립공(134) 상부에 손잡이(150)를 수용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조리브(13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계량통.

KR1020190095247A 2019-08-06 2019-08-06 사료 계량통 KR10225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247A KR102252085B1 (ko) 2019-08-06 2019-08-06 사료 계량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247A KR102252085B1 (ko) 2019-08-06 2019-08-06 사료 계량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83A true KR20210016883A (ko) 2021-02-17
KR102252085B1 KR102252085B1 (ko) 2021-05-14

Family

ID=7473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247A KR102252085B1 (ko) 2019-08-06 2019-08-06 사료 계량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6644A (zh) * 2021-03-25 2021-06-25 兰州天舜畜牧养殖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牛羊规模化舍饲养殖新型自动饲喂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94Y1 (ko) 1997-11-12 2000-01-15 안광덕 가축사료 제한 급이기
KR200179678Y1 (ko) * 1999-11-23 2000-04-15 주식회사현대축산토탈시스템 제한계량통의 사료공급장치
KR200427801Y1 (ko) 2006-07-14 2006-09-29 안광덕 가축사료 급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94Y1 (ko) 1997-11-12 2000-01-15 안광덕 가축사료 제한 급이기
KR200179678Y1 (ko) * 1999-11-23 2000-04-15 주식회사현대축산토탈시스템 제한계량통의 사료공급장치
KR200427801Y1 (ko) 2006-07-14 2006-09-29 안광덕 가축사료 급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6644A (zh) * 2021-03-25 2021-06-25 兰州天舜畜牧养殖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牛羊规模化舍饲养殖新型自动饲喂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085B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085B1 (ko) 사료 계량통
USRE32970E (en) Selective bird feeder
US2718211A (en) Aquarium feeder
KR102213371B1 (ko) 개폐볼 덮개와 이것을 이용한 축산용 사료 계량통
KR200427801Y1 (ko) 가축사료 급이기
US8534224B2 (en) Removable adapter to facilitate manual filling of animal feeders
KR101651847B1 (ko) 개량형 파종기
US3716172A (en) Automatic feeder device
JP4504994B2 (ja) ボルト状物供給装置
CN210571583U (zh) 混凝土原材料取样装置
KR20150138617A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US2997981A (en) Feed hopper and dispensing device
KR102020212B1 (ko)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CN216753162U (zh) 一种兔养殖喂食系统
CN212387175U (zh) 一种标线涂料原料输送机构
US6138608A (en) Feeder with training apparatus
CN107787859B (zh) 控量供饲料装置
US2811288A (en) Feeder for livestock
KR970001350Y1 (ko) 양봉용 자동사양기 어셈블리
CN215114792U (zh) 一种畜牧养殖用自动称重设备
CN214629090U (zh) 一种笼养家禽养殖设备用上料装置
CN221051561U (zh) 液态肥料定量式称重灌装机
CN217542093U (zh) 一种饲料生产用的称量装置
CN113879872B (zh) 一种环保降尘式耐火粉料计量输送装置
JPH06271083A (ja) 投入リ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