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93A -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993A
KR20210015993A KR1020210012154A KR20210012154A KR20210015993A KR 20210015993 A KR20210015993 A KR 20210015993A KR 1020210012154 A KR1020210012154 A KR 1020210012154A KR 20210012154 A KR20210012154 A KR 20210012154A KR 20210015993 A KR20210015993 A KR 2021001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peel
pack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667B1 (ko
Inventor
여혜림
주민영
임현주
김선영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287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28840A/ko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검, 피막형성제, 휘발성 실리콘 오일, 알코올계 화합물 및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로서 수용성 검을 포함하여 발림성과 고온에서 거품 형성 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상기 수용성 검이 수상에 분산되면서 체인 모양을 형성하고 그 안에 발포성 화합물을 안정화 시킴으로써,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휘발되는 정도를 감소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용성 검을 사용하여, 저온, 고온과 경시변화에 따라 제품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최소화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parkling peel-off pack}
본 발명은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토너, 로션,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과 함께 스페셜 케어 목적으로 시트 마스크와 워시오프 마스크와 같은 팩 제품군을 사용한다. 팩의 기능으로는 제형마다 차이가 있지만 피부의 노폐물의 물리적 제거, 피부 혈행 개선, 보습 등의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를 말하는 것으로 '감싼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용법에 따라 단시간 도포 후 씻어내는 워시오프 타입, 다음날 아침 씻어내는 수면팩 타입, 단시간 도포 후 형성된 막을 제거하는 필오프 타입이 있다. 필오프 타입은 피부 표면에 있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건조되는 과정에서 필름막이 형성되면서 피부를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일시적인 모공 수축 효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최근에 성장하고 있는 제품군이다. 다만, 물리적인 제거 방법으로 소비자 컨디션에 따라 자극이 나타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필오프의 피막 형성을 만드는 원료는 폴리비닐알코올(PVA)로 분자량은 가수분해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시판되고 있다. PVA의 비닐알코올은 불안정한 구조 형태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메탄올 용매에서 알칼리 또는 산을 촉매로 하여 에스터 교환 반응으로 제조한다. PVA는 비 뉴턴유동현상 중 구조가 깨져 점도가 감소하는 틱소트로피성 성질을 나타내며, 외부에서 힘을 가할 때 구조가 깨지는 변화가 일어난 뒤 정지 상태에서 안정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분체나 유화 입자와 같은 내상을 안정화 시키기 어려워 탄산 외관의 후발포 제형을 구현하고자 할 때 원료 특성으로 후발포 제형을 안정화 시키기가 매우 어려웠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2740호
본 발명은 휘발성 오일 및 수용성검을 포함하는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검 0.3 내지 0.9 중량%, 피막형성제 10 내지 25 중량%, 휘발성 실리콘 오일 1 내지 25 중량%, 알코올계 화합물 1 내지 25 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알코올계 화합물은 기포발생용 원료인 것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수용성 검은 잔탄 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구아 검, 캐럽콩 검, 만난 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데하이드로잔탄검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디실록산, 트리실록산, 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은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수용성 검과 피막형성제는 1 : 20~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수용성 검과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1: 7~3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기포발생용 원료로 불소계 화합물, 알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메칠퍼플루오로부틸에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152에이, 에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에칠퍼플루오로부틸에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폴리퍼플루오로메칠이소프로필에텔, C9-15플루오로알코올포스페이트, C9-13플루오로알코올, C8-18플루오로알코올포스페이트, 플루오로C2-8알킬디메치콘, 퍼플루오로퍼하이드로페난트렌,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퍼플루오로옥틸에칠트리메톡시실란, 퍼플루오로노닐에칠스테아릴디메치콘, 퍼플루오로노닐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디메칠/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트리플루오로프로필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메칠C1-4알킬디메치콘 및 트리플루 오로에칠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알칸계 화합물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보습제, 금속이온봉쇄제, 향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 및 잔탄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S1);
상기 S1단계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S2); 및
상기 S2단계의 혼합물에 휘발성 실리콘 오일, 알코올계 화합물, 및 양쪽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로서 수용성 검을 포함하여 과도한 거품 발생으로 인한 고온에서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피막 형성제로 폴리비닐알코올(PVA)을 포함하여 특이한 사용감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45℃에서 2달 안정도의 발포력을 비교한 광학 사진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필오프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화 메커니즘 이미지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실시예 1과 비교예 4의 필오프 막을 비교한 광학 사진이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필오프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제거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양상에 따른 필오프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제거능을 확인한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사용자들의 발포성 필오프팩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발포성 필오프팩의 안정성이 부족한 문제점과, 휘발성 오일의 기화점을 이용한 후발포로 인해 거품 모양이 발현되는 특이상을 구현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자들은 안정적이면서도 특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필오프 팩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기포발생용 원료로 휘발성 성분인 디실록산과 에탄올을 포함할 경우, 안정적인 스파클링 외관을 가진 필오프 팩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용성 검 0. 3 내지 0.9 중량%, 피막형성제 10 내지 25 중량%, 휘발성 실리콘 오일 1 내지 25 중량%, 알코올계 화합물 1 내지 25 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알코올계 화합물은 기포발생용 원료인 것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검과 피막형성제인 폴리비닐알코올이 수상에 분산되면서, 수용성 검이 체인 구조를 형성하고, 피막 형성 역할을 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이 보조 안정화제 역할을 하여, 조성물 내에 기포발생용 원료로 이용되는 휘발성 성분이 안정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서 수용성 검에 의해 형성되어있던 체인 구조가 깨지게 되고, 이때 휘발성 성분이 자연적으로 공기 중으로 기화되면서 거품이 형성되도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이자 안정화제로, 수용성 검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용성 검은 잔탄 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구아 검, 캐럽콩 검, 만난 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데하이드로잔탄검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스타치포스페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잔탄 검을 사용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검을 포함함으로써, 고온에서 거품 형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휘발성 성분을 수용성 검으로 안정화시켰기 때문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으면 휘발 성분이 휘발되는 정도가 적어 고온과 경시변화에 따라 제품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용성 검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0.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검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 증가에 의한 안정화 효과가 미비하고, 0.9 중량%를 초과하면 점성이 강해져 피막형성제(PVA)의 분산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막형성제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막형성제를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피막 형성능이 미비하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으로 펴발림성이 나빠지고 피부와 밀착력이 높아져 자극을 유발할 위험이 커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포발생용 원료로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알코올계 화합물을 사용하고, 추가적으로 불소계, 알칸계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발포시킬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디실록산, 트리실록산, 메치콘(0.1 ~ 5CS), 디메치콘(0.1 ~ 5CS),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또는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실록산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이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기화력이 부족하여 발포성이 부족해질 수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피막형성제를 분산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이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기화력이 부족하여 발포성이 부족해질 수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휘발성이 강해져 고온 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성분으로는 메칠퍼플루오로부틸에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152에이, 에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에칠퍼플루오로부틸에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폴리퍼플루오로메칠이소프로필에텔, C9-15플루오로알코올포스페이트, C9-13플루오로알코올, C8-18플루오로알코올포스페이트, 플루오로C2-8알킬디메치콘, 퍼플루오로퍼하이드로페난트렌,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퍼플루오로옥틸에칠트리메톡시실란, 퍼플루오로노닐에칠스테아릴디메치콘, 퍼플루오로노닐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디메칠/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트리플루오로프로필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메칠C1-4알킬디메치콘, 트리플루 오로에칠메타크릴레이트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칸계 성분으로는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실리콘계, 알코올계, 알칸계 원료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기포발생용 원료는,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에서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기포발생용 원료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화력이 낮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PVA를 분산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수용성 검과 피막형성제는 1 : 20~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검 1 중량부에 대하여 피막형성제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피부 밀착성이 떨어져 피막형성 효과가 미비해져 휘발성 성분을 충분히 안정화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과하게 상승하여 피부에 과하게 접착되어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수용성 검과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1: 7~3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이 수용성 검 1 중량부에 대하여 7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기포 발생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용성 검이 조성물을 안정화하는 것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수중에서 해리하여 생기는 음이온이 수용액의 표면에 흡착되어 표면 장력을 저하시키는 친수성 부분이 카르복실기, 황산, 인산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소디움, 포타슘, 암모늄, 칼슘, 아민류 등으로 중화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베타인계열, 구체적으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폴리쿼터늄 또는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 설테인을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40.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를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거품 생성능이 미비할 수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면 거품 생성량이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1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계면활성제는 1:0.3~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가 0.3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기포 발생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거품 생성량이 너무 많아져 사용감을 나쁘게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소듐 PCA,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라이콜, 레시틴, 스쿠알렌,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2 헥산디올 또는 디글리세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 1~3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 이온 봉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리소듐이디티에이, 또는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 봉쇄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1~2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천연유래추출물, 방부제로 사용되는 페녹시에탄올,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오프 팩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워시오프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성분들 이외에도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 및 잔탄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S1);
상기 S1단계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S2); 및
상기 S2단계의 혼합물에 휘발성 실리콘 오일, 알코올계 화합물, 및 양쪽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 정제수 및 수용성 검은 20-85℃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S2 단계에서는 S1 단계의 혼합물에 20-85℃의 온도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온도에서 혼합 및 첨가를 수행할 경우, 혼합물이 잘 분산되어, 이후 첨가제 등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에 저급 알콜, 중화제, 실리콘 오일 또는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을 추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에서 혼합은 5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혼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탄산 외관의 필오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20~80℃의 온도에서 호모 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A상(수상 및 점증제 부)을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 후 B상(PVA 부)을 같은 온도에서 투입 후 3500 rpm으로 3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C상(첨가물 부)을 넣어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기포를 제거하고 D상(발포 화합물 부)을 넣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비교예 3
(중량%)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0.02 0.02
잔탄검 0.3 0.6 1.0
숯가루 0.1 0.1 0.1
글리세린 5.0 5.0 5.0
B 폴리비닐알코올 12.0 12.0 12.0
C 향료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D 에탄올 5.0 5.0 5.0
디실록산 5.0 5.0 5.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 5.0 5.0
제조 결과, 비교예 1은 점성이 높아져서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비교예 2 및 3은 투명한 겔 형태의 필오프 조성물을 얻었다.PVA와 발포성 성분의 최적 함량을 알기 위하여 표 1의 안정도를 바탕으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으로 표 1과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
(중량%)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잔탄검 0.6 0.6 0.3 0.6 0.5 0.7 0.8 0.6 0.6
숯가루 0.1 0.1 0.1 0.1 0.1 0.1 0.1 0.1 0.1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B 폴리비닐알코올 12.0 12.0 15.0 15.0 17.0 20.0 25.0 15.0 15.0
C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D 디실록산 5.0 10.0 5.0 10.0 10.0 10.0 10.0 3.0 3.0
에탄올 5.0 10.0 5.0 10.0 10.0 10.0 10.0 10.0 10.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 10.0 5.0 10.0 10.0 10.0 10.0 12.0 15.0
제조 결과,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및 실시예 1 내지 6은 투명한 겔 형태의 필오프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2. 제형 안정도 평가
발포 능력을 가지는 필오프 화장료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4, 및 5의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4 및 5를 4주간 냉장, 상온, 37℃, 45℃에서 항온조 보관하는 방법을 통해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냉장 1주
2주
4주
상온 1주
2주
4주
37℃ 1주
2주
4주
45℃ 1주
2주
4주 X
○: 양호, △: 처음과 차이 있음, X: 성상 변화(분리, 현탁, 경도 변화, 사용감)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을 제외한 나머지 제형에서 1달간 모든 온도 조건에서 안정함을 얻었다. 이는 도 2의 메커니즘과 같이 수용성 검이 수상에 분산되면서 chain 모양을 형성하고 그 안에 발포성 화합물을 안정화 시켰기 때문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으면 휘발되는 정도가 적어 저온, 고온과 경시변화에 따라 제품 능이 떨어지는 문제 최소화 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실험예 3. 사용성 평가
발포 능력을 가지는 필오프 화장료의 사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2와 비교예 4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거품력 X X
필오프 X
○: 양호, △: 양호 대비 차이 있음, X: 불가
표 4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 실시예 5 내지 6은 거품력과 필오프가 모두 우수하고 PVA 함량이 비교적 높은 실시예 3과 4는 실시예 1 내지 2에 비해 형성된 피막이 두꺼워서 거품이 올라오는 속도는 늦으나 제형 구현에는 이상이 없었다. 이와 달리 비교예 2와 5는 거품력이 낮아 원하는 퍼포먼스를 얻을 수 없고,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비교예 4는 형성된 막의 필오프가 한번에 되지 않고 갈갈이 찢어지는 형태를 보였다. 이는 거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휘발성 성분과 계면활성제가 일정 함량 이상이 되어야 하며, 휘발성 성분과 계면활성제의 필요 이상 성분 함유는 과도한 거품 발생으로 PVA가 거품 막으로 소요되어 피부에 남는 PVA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필오프가 용이하지 않았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 각질 제거 평가
실시예의 각질 제거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후 피부에 남은 각질량 확인하는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 방법으로 시험 전. 시험부위(안면부)를 비누로 세정한 후 항온 항습실(22±2℃)에 10분간 대기한 뒤 B-SQUAM으로 사용전 각질을 채취한다. 제품을 피부에 골고루 도포한 후, 약 20분간 건조시킨후 때어난 후 B-SQUAM으로 사용 후 각질을 채취한 다음, 제품 사용 전/후의 각질 면적 분석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5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사용 후 각질 제거 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수용성 검 0.6 내지 0.9 중량%, 피막형성제 10 내지 17 중량%, 휘발성 실리콘 오일 5 내지 25 중량%, 알코올계 화합물 1 내지 10 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알코올계 화합물은 기포발생용 원료이며, 상기 수용성 검과 피막형성제는 1: 10∼28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수용성 검과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1: 5∼27의 중량비로 혼합하되, 상기 수용성 검은 잔탄검을, 상기 피막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디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포발생용 원료로 불소계 화합물, 알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메칠퍼플루오로부틸에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152에이, 에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에칠퍼플루오로부틸에텔,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폴리퍼플루오로메칠이소프로필에텔, C9-15플루오로알코올포스페이트, C9-13플루오로알코올, C8-18플루오로알코올포스페이트, 플루오로C2-8알킬디메치콘, 퍼플루오로퍼하이드로페난트렌,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퍼플루오로옥틸에칠트리메톡시실란, 퍼플루오로노닐에칠스테아릴디메치콘, 퍼플루오로노닐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디메칠/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트리플루오로프로필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메칠C1-4알킬디메치콘 및 트리플루 오로에칠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칸계 화합물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보습제, 금속이온봉쇄제, 향료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6. 정제수 및 잔탄검 0.6 내지 0.9 중량%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S1);
    상기 S1단계의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코올 10 내지 17 중량%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S2); 및
    상기 S2단계의 혼합물에 휘발성 실리콘 오일로 디실록산 5 내지 25 중량%, 알코올계 화합물 1 내지 10 중량%, 및 양쪽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12154A 2019-05-07 2021-01-28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54A KR102334667B1 (ko) 2019-05-07 2021-01-28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70A KR20200128840A (ko) 2019-05-07 2019-05-07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12154A KR102334667B1 (ko) 2019-05-07 2021-01-28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70A Division KR20200128840A (ko) 2019-05-07 2019-05-07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93A true KR20210015993A (ko) 2021-02-10
KR102334667B1 KR102334667B1 (ko) 2021-12-06

Family

ID=7893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154A KR102334667B1 (ko) 2019-05-07 2021-01-28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6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740A (ko)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7937B1 (ko) *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740A (ko)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7937B1 (ko) * 2016-01-05 2016-10-24 한국콜마주식회사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667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4909B1 (en) High internal aqueous phase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102623442B1 (ko)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8611A (ko) 자가 발포 기능을 갖는 클렌징용 마스크시트형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3144B1 (ko) 이산화탄소를 분사제로 사용하는 폼타입의 마사지 무스 팩화장료 조성물
KR20110102336A (ko)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KR20180003138A (ko)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 유화 조성물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20150105476A1 (en) O/w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dosage form stability
KR101991248B1 (ko) 화장료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가지는 시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8840A (ko)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8589B1 (ko) 전상온도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 제조 시 전상온도의 조절방법, 이를 통하여 제조한 o/w형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153771A (ja) 皮膚用乳化組成物
KR102334667B1 (ko)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EP1265585B1 (fr) Emulsion comprenant un systeme huile silicone / co-solvant concentre en matiere(s) active(s) cosmetique(s) liposoluble(s) et formulations cosmetiques correspondantes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JP2007031307A (ja) 毛髪化粧料
KR20030048255A (ko) 에어로졸 타입의 클렌징 폼 조성물
JP5063206B2 (ja) ゲル状整髪料
JP2009155225A (ja) 油分含有化粧料組成物
KR101904708B1 (ko) 발포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0935B1 (ko)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0833B1 (ko) 탄산수가 포접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7036261A (ja) ミコナゾール硝酸塩含有組成物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