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740A -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740A
KR20130012740A KR1020110074086A KR20110074086A KR20130012740A KR 20130012740 A KR20130012740 A KR 20130012740A KR 1020110074086 A KR1020110074086 A KR 1020110074086A KR 20110074086 A KR20110074086 A KR 20110074086A KR 20130012740 A KR20130012740 A KR 20130012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composition
skin
skin pack
parts
dispers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김동찬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7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740A/ko
Publication of KR2013001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부가 비수(非水) 분산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조성물로서, 상기 분말부는 고령토, 백선토, 황토, 석고, 및 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분말, 탄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은 분말부가 비수 분산용매에 분산된 반고체 상태의 비수계 제형을 가지므로, 사용 직전에 별도로 물과 혼합할 필요가 없고 피부에 도포시 부드러운 도포감을 가지며, 피부 도포 후 점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은 피부 도포 전에 물을 사용하지 않아 미세기포가 손실되지 않고, 피부에 도포 후 물을 뿌렸을 때 피부 상에서 미세기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마사지 기능 내지 세안 기능을 발휘한다.

Description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Skin pack composition with function of generating microbubb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부 및 비수 분산용매로 구성되어 있어서 피부 도포가 용이하고 피부 도포 후 미세기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이란 피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을 원하는 부위에 사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피부상에 필름 막을 형성하게 하고, 이를 제거하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팩은 피부의 노폐물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영양을 공급하며 특정 기능 성분을 포함시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팩의 종류는 크게 워시-오프(Wash-Off) 타입, 필-오프(Peel-Off) 타입, 패치(Patch) 타입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워시-오프 타입은 팩제를 바른 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물로 씻어내는 타입이다. 이에는 젤이나 크림 타입이 많고 자극이 적으므로 피부 타입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피부에 보습이나 영양 공급의 기능을 하는 제품이 많다. 둘째, 필-오프 타입은 팩제가 건조되면서 피부위에 필름 막을 형성하여 이 필름을 떼어내는 타입으로 노화된 각질 제거에 효과적이다. 셋째, 패치 타입은 부직포나 필름 등의 기재에 미용 성분을 도포시킨 것으로 사용이 간편하며 피부에 팩제가 남지않는 장점이 있다.
이 중 워시-오프 타입의 팩 조성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05852호에는 무기 분말을 단순히 혼합한 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팩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 직전에 물을 넣고 갠 후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팩 조성물은 물로 갠 후에도 피부에 도포시 도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피부, 특히 얼굴에 도포하였을 때 점착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팩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 물과 혼합되어 미세기포의 일부가 사전에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무기 분말을 포함하면서도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고, 피부 도포 후 점착성이 우수하고, 피부 도포 전에 물을 사용하지 않아 미세기포가 손실되지 않고, 피부 상에서 미세기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피부 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말부가 비수(非水) 분산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조성물로서, 상기 분말부는 고령토, 백선토, 황토, 석고, 및 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분말, 탄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말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분말 또는 당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수 분산용매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령토, 백선토, 황토, 석고, 및 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분말, 탄산염, 및 유기산을 혼합하여 분말부를 준비하는 단계;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부 및 비수 분산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말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분말 또는 당 알코올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오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온한 상태에서 혼합하고 유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은 분말부가 비수 분산용매에 분산된 반고체 상태의 비수계 제형을 가지므로, 사용 직전에 별도로 물과 혼합할 필요가 없고 피부에 도포시 부드러운 도포감을 가지며, 피부 도포 후 점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은 피부 도포 전에 물을 사용하지 않아 미세기포가 손실되지 않고, 피부에 도포 후 물을 뿌렸을 때 피부 상에서 미세기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마사지 기능 내지 세안 기능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 직전에 물과 혼합할 필요가 없고,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고, 피부 도포 후 점착성이 우수하고, 피부 도포 전에 물을 사용하지 않아 미세기포가 손실되지 않고, 피부 상에서 미세기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피부 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은 분말부가 비수(非水) 분산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조성물로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 반 고체 상태의 비수계 제형을 가진다. 이때, 상기 분말부:비수 분산용매의 중량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도포성 및 점착성 등을 고려할 때 7:3 내지 4:6인 것이 바람직하고, 6:4 내지 5: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은 얼굴 피부의 전체 또는 일부, 또는 전신 피부 또는 특정 부위(예를 들어, 손, 발, 목)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의 사용부위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을 분말부와 비수 분산용매로 나누어 설명한다.
분말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에서 분말부는 고령토, 백선토, 황토, 석고, 및 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분말, 탄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분말은 피부에 우수한 보습 및 미용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이다. 무기 분말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5~45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염은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성분으로서,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칼슘, 탄산수소칼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탄산나트륨이 가장 바람직하다. 탄산염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5~35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은 탄산염과 반응하여 탄산염으로부터 미세기포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성분으로서 구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산, 말레인산, 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연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기산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8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에서 상기 분말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티탄 분말은 자외선을 차단 내지 미백 기능을 발휘하는 성분으로서, 그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에서, 상기 분말부는 바람직하게는 당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 알코올은 피부에 보습 내지 영양을 공급하는 성분으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일리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당 알코올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비수 분산용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에서 비수(非水) 분산용매는 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분말부의 성분들을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로서, 여기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분말부의 탄산염과 반응하여 미세기포를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인 미세기포의 손실을 야기하는 정도 이하의 수준으로 물이 존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에서 비수 분산용매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피부 팩 조성물의 사용감을 개선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비수 분산용매의 매질 역할 및 보습 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프로필렌글리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9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75~85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은 피부 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도포감을 부드럽게 하고 보습, 영양 공급 등의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스쿠알란(Sqalan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메도폼 씨드 오일(Meadowfoam Seed Oil),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Macadamia Nut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카프릴릭/카프릭산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Acid Triglycerid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이소세틸 올리베이트(Hydrogenated Isocetyl Olivate), 디메티콘(Dimethicon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이 가장 바람직하다. 오일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8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다가 알코올과 오일을 유화시켜 피부 팩 조성물의 사용감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PEG-20 스테아레이트(PEG-20 Stearate),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바틸 알코올(batyl alcohol), 아라키딜 알코올(Arachidyl Alcohol),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C14-22 알코올(C14-22 alcohol), 부틸 글루코사이드(butyl glucoside),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C10-16 alkyl glucoside), C12-18 알킬 글루코사이드(C12-18 alkyl glucoside),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caprylyl glucoside),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caprylyl/cap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옥틸 도데실 글루코사이드(octyl dodecyl glucoside),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및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Arachidyl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14-22 알코올과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의 조합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업적으로 쉽게 입수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와 PEG-100 스테아레이트의 조합, 세테아릴 알코올과 PEG-20 스테아레이트의 조합(Polawax, 힐링아트사),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와 ㅅ소솔소르비탄 올리베이트의 조합(Olivem 1000, 힐링아트사), C14-22 알코올과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의 조합(Montanov L), 세테아릴 알코올과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의 조합(Montanov 68), 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의 조합(Montanov 202) 등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6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에서 상기 비수 분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점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PEG-12 디메티콘, PEG-18 디메티콘, PEG-20/PPG-23 디메티콘 및 PEG-10 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EG-10 디메티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디메티콘 코폴리올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4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 직전에 물과 혼합할 필요가 없고,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고, 피부 도포 후 점착성이 우수하고, 피부 도포 전에 물을 사용하지 않아 미세기포가 손실되지 않고, 피부 상에서 미세기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고령토, 백선토, 황토, 석고, 및 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분말, 탄산염, 및 유기산을 혼합하여 분말부를 준비하는 단계;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부 및 비수 분산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말부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분말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분말 또는 당 알코올을 더 혼합하여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 오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온한 상태에서 혼합하고 유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비수 분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더 혼합하여 준비될 수 있다.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가온은 바람직하게는 약 60~9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70~8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분말부 및 비수 분산용매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분말부 및 비수 분산용매의 혼합 중량비는 7:3 내지 4: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아니다.
1.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난 원료 중 원료 ① 내지 ⑤를 표에 나타난 배합비로 혼합하여 분말부를 제조하였다. 또한, 표 1에 나타난 원료 중 원료 ⑥ 및 ⑦를 표에 나타난 배합비로 혼합하고 약 75℃로 가온하여 제1비수 분산용매를 제조하고, 표 1에 나타난 원료 중 원료 ⑧ 및 ⑨를 표에 나타난 배합비로 혼합하고 약 75℃로 가온하여 제2비수 분산용매를 제조한 후 제2비수 분산용매에 제1비수 분산용매를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로 유화하고 냉각시켜 비수 분산용매를 제조하였다. 이후 분말부와 비수 분산용매를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피부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팩 조성물은 반 고체 상태의 비수계 제형을 가졌다.
원료 번호 원료명 배합비(중량부)


중탄산나트륨 32.0
구연산 16.0
이산화티탄 2.0
고령토(Kaolin) 42.0
자일리톨 7.0
비수
분산용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15.0
PEG-10 디메티콘(PEG-10 디메티콘) 1.5
C14-22 알코올 및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3.5
디프로필렌글리콜 80.0
비교제조예 1.
하기 표 2에 나타난 원료를 표에 나타난 배합비로 혼합하여 피부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배합비(중량비)
중탄산나트륨 44
구연산 22
알긴산 11
백선토 23
2. 피부 팩 조성물의 도포성, 점착성, 미세기포 발생의 지속성 시험
시험예 1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피부 팩 조성물을 화장품용 스파츌러(spatula)로 떠서 피부에 도포하고, 피부 팩 조성물이 도포된 피부에 물을 골고루 뿌렸다. 피부 팩 조성물에 대한 도포성은 5점 척도(1~5점)로 평가하였고, 점착성은 3점 척도(1~3점)로 평가하였으며, 미세기포 발생의 지속성은 미세기포의 발생이 지속되는 시간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미세기포 발생의 지속성은 물을 뿌린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시험예 1.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피부 팩 조성물 100 중량부를 물과 글리세린의 중량비가 7:3인 용액 100 중량부에 혼합하고 개어서 페이스트 상태의 피부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피부 팩 조성물을 화장품용 스파츌러(spatula)로 떠서 피부에 도포하였다. 피부 팩 조성물에 대한 도포성은 5점 척도(1~5점)로 평가하였고, 점착성은 3점 척도(1~3점)로 평가하였으며, 미세기포 발생의 지속성은 미세기포의 발생이 지속되는 시간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미세기포 발생의 지속성은 피부에 도포한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시험예 1 및 비교시험예 1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시험예 1 비교시험예 1
도포성 4.7 2.4
점착성 2.8 1.5
미세기포 발생의 지속성(min) 11.1 8.1
<도포성 평가 점수 기준>
1점 : 도포감이 매우 거침
2점 : 도포감이 약간 거침
3점 : 도포감이 보통임
4점 : 도포감이 약간 부드러움
5점 : 도포감이 매우 부드러움
<점착성 평가 점수 기준>
1점 : 도포된 피부 팩 조성물의 많이 흘러내림
2점 : 도포된 피부 팩 조성물의 일부가 흘러내림
3점 : 도포된 피부 팩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음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7)

  1. 분말부가 비수(非水) 분산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조성물로서,
    상기 분말부는 고령토, 백선토, 황토, 석고, 및 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분말, 탄산염,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분산용매는 다가 알코올,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분산용매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부:비수 분산용매의 중량비는 7:3 내지 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분말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염은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및 탄산수소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염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산, 말레인산, 및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9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Sqalan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메도폼 씨드 오일(Meadowfoam Seed Oil),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Macadamia Nut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카프릴릭/카프릭산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Acid Triglycerid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이소세틸 올리베이트(Hydrogenated Isocetyl Olivate), 디메티콘(Dimethicon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PEG-20 스테아레이트(PEG-20 Stearate),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바틸 알코올(batyl alcohol), 아라키딜 알코올(Arachidyl Alcohol),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C14-22 알코올(C14-22 alcohol), 부틸 글루코사이드(butyl glucoside),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C10-16 alkyl glucoside), C12-18 알킬 글루코사이드(C12-18 alkyl glucoside),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caprylyl glucoside),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caprylyl/cap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옥틸 도데실 글루코사이드(octyl dodecyl glucoside),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및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Arachidyl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부는 이산화티탄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분말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부는 당 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당 알코올의 함량은 분말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2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분산용매는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PEG-12 디메티콘, PEG-18 디메티콘, PEG-20/PPG-23 디메티콘 및 PEG-10 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의 함량은 비수 분산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
  23. 고령토, 백선토, 황토, 석고, 및 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분말, 탄산염, 및 유기산을 혼합하여 분말부를 준비하는 단계;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분말부 및 비수 분산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이산화티탄 분말 또는 당 알코올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는 다가 알코올, 오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온한 상태에서 혼합하고 유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분산용매를 준비하는 단계는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
  27. 제 23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부 및 비수 분산용매의 혼합 중량비는 7:3 내지 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74086A 2011-07-26 2011-07-26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12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86A KR20130012740A (ko) 2011-07-26 2011-07-26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86A KR20130012740A (ko) 2011-07-26 2011-07-26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740A true KR20130012740A (ko) 2013-02-05

Family

ID=4789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86A KR20130012740A (ko) 2011-07-26 2011-07-26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7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8057A (ja) * 2015-10-21 2017-04-27 株式会社 Mtg パック剤用組成物、パック剤及びパック剤キット
KR20200128840A (ko) 2019-05-07 2020-11-17 코스맥스 주식회사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5993A (ko) 2019-05-07 2021-02-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8057A (ja) * 2015-10-21 2017-04-27 株式会社 Mtg パック剤用組成物、パック剤及びパック剤キット
KR20200128840A (ko) 2019-05-07 2020-11-17 코스맥스 주식회사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5993A (ko) 2019-05-07 2021-02-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WO2019001940A1 (en) ANHYDROUS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ISETHIONIC ACID DERIVATIVE, GLUTAMIC ACID DERIVATIVE, AMPHOTOUS SURFACTANT AND LOADS
KR20130136994A (ko) 발포형 피부 외용제
JP5312847B2 (ja) 非水系温感皮膚洗浄用組成物
JP201400523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130012740A (ko) 미세기포 발생 기능을 가진 피부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374078A (zh) 外用组合物
KR20160061784A (ko) 분말타입 계면활성제 및 천연분말을 함유하는 온열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13693956A (zh) 一种洗面奶组合物
KR101490833B1 (ko) 탄산수가 포접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JP2009242356A (ja) 洗浄料
CN114796014A (zh) 一种高效祛痘抗敏洁面慕斯及制备方法
KR100769581B1 (ko) 탄산 캔디 함유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31575A (ko) 겔 또는 밤 타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2022020844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6083993B2 (ja) 発泡性の1剤式二酸化炭素外用剤
CN114191372A (zh) 一种温和净洗沐浴泡泡及其制备方法
KR20070072742A (ko) 냉감 효과를 가지는 비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37B1 (ko)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필링 겸용 클렌징용 조성물
KR102423683B1 (ko)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011262A (ja) 皮膚化粧料
KR102286135B1 (ko) 반투명 o/w 멀티밤용 화장료 조성물
CN104274334A (zh) 一种用于清洁的组合物
CN1572279A (zh) 洗涤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