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862A - swimsuit - Google Patents

swims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862A
KR20210015862A KR1020207036586A KR20207036586A KR20210015862A KR 20210015862 A KR20210015862 A KR 20210015862A KR 1020207036586 A KR1020207036586 A KR 1020207036586A KR 20207036586 A KR20207036586 A KR 20207036586A KR 20210015862 A KR20210015862 A KR 2021001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msuit
tightening
fabric
tap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7393B1 (en
Inventor
히로유키 다나카
아이 시라모토
히로미 요시이
겐지 오타케
미요코 가메이
신지 도미무라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41D7/005Bathing drawers or trun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4Reducing drag or turbulence in air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천으로 구성되고, 착용 시에 적어도 대퇴부 및 둔부의 일부를 덮는 수영복으로서,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수중 자세를 안정화시키고, 또한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서포트할 수 있는 수영복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msuit that is composed of an elastic fabric and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gh and buttocks when worn, and is arranged such that two or more belt-shaped tight parts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And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and-shaped tightening portions relates to a swimsuit position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third of the hamstrings. Thereby, there is provided a swimsuit capable of stabilizing the underwater posture and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Figure P1020207036586
Figure P1020207036586

Description

수영복swimsuit

본 발명은,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착용 시에 적어도 착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의 일부를 덮는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msuit.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swimsuit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buttocks and thighs of the wearer when worn.

수영, 특히 경영에 있어서는, 물의 저항을 낮게 한 수영복이 요구된다. 물의 저항으로서는, 신체 형상에 의존하는 형상 저항 등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수영 시의 허리나 다리의 위치가 상반신의 위치보다 내려가는 것에 기인하는 형상 저항을, 대둔근 및 햄스트링스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긴체부(緊締部)를 형성함으로써 억제하고, 운동 퍼포먼스를 향상시킨 수영복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대퇴부 영역의 외측을 따라, 둔부 영역까지 연장되고 나서, 둔부 영역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상둔부 영역을 통하여 수영복의 중심선 쪽으로 연장되는 장력 밴드를 구비함으로써, 적절한 체위를 유지할 수 있게 보조하는 성능을 높인 수영복이 제안되어 있다.In swimming, especially in business, a swimsuit with low water resistance is required. The resistance of water includes shape resistan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dy. In Patent Document 1, the shape resistance caused by the lower back or leg position during swimming than the upper body position is suppressed by forming a tight body part in the area covering part of the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s, and exercise performance A swimsuit with improved In Patent Document 2, by providing a tension band extending from the hip region to the hip region along the outer side of the thigh region, and then extending from the hip region toward the center line of the swimsuit through the upper hip region, assisting in maintaining an appropriate position. A swimsuit with improved performance has been proposed.

일본 공개특허 제2014-91894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91894 일본 공표특허 제2017-52586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525864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의 수영복의 경우, 수중 자세의 안정 및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서포트하는 효과를 양립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wimsuits of Patent Documents 1 and 2, it is required to achieve both the stability of the underwater posture and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중 자세를 안정화시키고, 또한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서포트할 수 있는 수영복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msuit capable of stabilizing an underwater posture and supporting the movement of hamstrings.

본 발명은, 신축성 천으로 구성되고, 착용 시에 적어도 대퇴부 및 둔부의 일부를 덮는 수영복으로서,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둔부의 톱(top)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近位) 1/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msuit that is composed of an elastic fabric and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gh and buttocks when worn, and is arranged such that two or more belt-shaped tight parts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And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and-shaped tightening portions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본 발명의 수영복에 있어서, 상기 긴체부는, 수영복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천에 장력 테이프를 맞붙힌 후, 그 위로부터 상기 장력 테이프보다 폭이 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을 맞붙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 테이프 및 상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은, 수영복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햄스트링스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퇴이두근 및/또는 반건양근(半腱樣筋)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swim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hten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by attaching a tension tape to the elastic fabric constituting the swimsuit body, and then attaching a tape-shaped elastic fabric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tension tape from above. Do.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on tape and the tape-like elastic fabric are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swimsuit. In addition,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and-shaped tight parts is preferably located in a region covering a part of the hamstrings, and located in a region covering a part of the biceps femoris and/or the semitendinosus muscle (半腱樣筋). More preferable.

본 발명의 수영복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천은, JIS L 1096 8.14.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몸 길이 방향의 인장(引張) 탄성율이 140×10-5N/㎟ 이상 200×10-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체부는, JIS L 1096 8.14.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160×10-5N/㎟ 이상 220×10-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JIS L 1096 8.14.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220×10-5N/㎟ 이상 420×10-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wim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able fabric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measured based on JIS L 1096 8.14.A method of 140×10 -5 N/mm 2 or more and 200×10 -5 N/mm 2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follow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fastening part has a tensile modulus of the body length direction measured based on JIS L 1096 8.14.A method of 160×10 -5 N/mm 2 or more and 220×10 -5 N/mm 2 or les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two or more belt-shaped fastening parts is that the tensile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measured based on JIS L 1096 8.14.A method is 220×10 -5 N/mm2 or more and 420×10 -5 N/mm2 or less. desirable.

본 발명은, 수중 자세를 안정화시키고, 또한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서포트하는 수영복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wimsuit that stabilizes the underwater posture and supports the movement of hamstrings.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남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남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남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남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여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여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7]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여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8]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여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9] 도 9는 수영 시의 하반신의 배부(背部)의 무릎으로부터 요부까지에서의 피부의 신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a)는 크롤, (b)는 접영, (c)는 배영, (d)는 평영의 경우이다.
[도 10] 도 10은 하반신의 배부의 무릎으로부터 요부까지의 부분적 모식도이고,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1] 도 11은 비교예 1의 수영복(남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비교예 2의 수영복(여성용 하프 스패츠형)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배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 Is a rear view.
[Fig. 2]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 c) is a rear view.
[Fig. 3]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 c) is a rear view.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 c) is a rear view.
[Fig. 5]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fe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 c) is a rear view.
[Fig. 6]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fe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 c) is a rear view.
[Fig. 7]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fe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 c) is a rear view.
[Fig. 8] Fig. 8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female half spats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 c) is a rear view.
[Fig. 9]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longation of the skin from the knee to the lumbar part of the abdomen of the lower body during swimming, (a) is a crawl, (b) is a butterfly, (c) is a backstroke, ( d) is the case of breaststroke.
[Fig. 10] Fig. 10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from the knee of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to the lumbar part, and shows the positions of intersections of two or more belt-shaped tightening parts.
11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male half spats type) of Comparative Example 1,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Is also.
12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female half spats type) of Comparative Example 2,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c) is a rear view Is also.

본 발명자들은, 수영복에 의한 수중 자세의 안정 및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서포트하는 효과를 양립시키기 위해, 예의 검토하였다. 먼저, 크롤, 접영, 배영 및 평영 시의 하반신 배부에서의 피부의 신장을 특허 제383134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고 있다. (a)는 크롤, (b)는 접영, (c)는 배영, (d)는 평영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도면부호 200은 피부의 신장 정도를 나타내고, I로부터 II 방향으로 갈수록, 피부의 신장의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종 수영 시에,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을 덮는 영역의 피부 신장이 컸다. 본 발명의 수영복에서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신장 방향이라고도 함)을 따라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이하에 있어서, 단지 「교점」으로도 기재함)이,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영 시의 피부 신장이 큰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수중 자세를 안정화시키고, 또한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서포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영 시의 대둔근, 중둔근, 소전근 및 햄스트링스를 포함하는 고관절 신근군, 및 반건양근, 반건막근, 중둔근(외측), 소전근(외측) 및 대퇴근막장근을 포함하는 고관절 내전근군의 근육 부담이 경감된다. 햄스트링스는, 대퇴후면(하지후면)에 있는 대퇴이두근, 반막양근, 반건양근을 합한 호칭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이란, 햄스트링스의 근위 끝에서 원위(遠位) 끝까지의 신장 방향의 길이를 100%로 한 경우, 근위 끝으로부터의 거리가 100%/3인 부위를 말한다. 또한, 「둔부의 톱」이란, 대전근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신장 방향의 길이를 100%로 한 경우, 대전근의 하단으로부터의 거리가 100%/2인 부위를 말한다.The present inventors studied intensively in order to achieve both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stability of the underwater posture by the swimsuit and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First, the elongation of the skin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during crawl, butterfly stroke, backstroke, and breaststroke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No. 3831348.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9. (a) represents the crawl, (b) the butterfly, (c) the backstroke, and (d) the breaststroke. In Fig. 9,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the degree of elongation of the skin, and as the direction increases from I to II, the degree of elongation of the skin is higher. As can be seen from FIG. 9, during various swimming, the skin elongation in the area covering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from the top of the buttocks was large. In the swim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elt-shaped tightening parts crosses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lso referred to as the elongation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buttocks to the thigh. In the following, only the ``intersection'') is arranged so that it is located in a region from the top of the buttocks to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where the skin elongation during swimming is large, as shown in FIG. 10, It stabilizes the water posture and can also support the hamstrings movement. For example, the hip extensor group including the gluteus maximus, gluteus maximus, small adductor muscle and hamstrings during swimming, and the adductor muscle of the hip including the gluteus maximus, semitendon muscle, gluteus maximus (lateral), anterior minor muscle (lateral), and the femoral long muscle The muscle burden on the group is reduced Hamstrings is a term that combines the biceps femoris, biceps semi-membranous muscle, and bitennial biceps muscle on the posterior side of the thig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ximal 1/3 of hamstrings" means 100% of the distance from the proximal end when the length in the extension direction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hamstring is 100%. It refers to the phosphorus part. In addition, the "top of the buttocks" refers to a portion at which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anterior muscle is 100%/2 when the length in the extension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major muscle is 100%.

본 발명에 있어서, 「신축성 천」이란, 천의 몸 길이 방향에서의 신장율이 0%를 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의 신장율은, JIS L 1096 8.14.1 A법(하중 17.6N, 인장 속도 200㎜/min)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able fabric" means that the elongation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bric exceeds 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ongation of the fabric is measured based on the JIS L 1096 8.14.1 A method (load 17.6 N, tensile speed 200 mm/min).

상기 긴체부는, 다른 부분보다 긴체력, 즉,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높다. 본 발명의 수영복에 있어서, 긴체부의 인장 탄성율은 수영복의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천의 인장 탄성율보다 높고, 긴체부 중, 교점의 인장 탄성율이 가장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장 탄성율은, JIS L 1096 8.14. A법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는, 천 조각이 폭 5cm, 길이 10cm가 되도록 인장 시험기에 고정하고, 5% 신장 시의 응력의 기울기로부터 인장 탄성율(N/㎟)을 구한다. 천 조각의 길이는, 측정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사이즈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을 측정하는 경우, 천 조각의 길이는, 천 조각의 몸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의미하고, 몸의 폭 방향의 인장 탄성율을 측정하는 경우, 천 조각의 길이는, 천 조각의 몸의 폭 방향의 사이즈를 의미한다.The tightening part has a longer body force than other parts, that i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higher. In the swim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le modulus of the tightening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retchable fabric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swimsuit, and the tensile modulus of the intersection point is the highest among the tightening por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le modulus is JIS L 1096 8.14. Based on the method A, specifically, a piece of fabric is fixed to a tensile tester so that the width is 5 cm and the length is 10 cm, and the tensile modulus (N/mm 2) is obtained from the slope of the stress at the time of 5% elongation. The length of a piece of cloth means the size of the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measurement direction. For example, when measuring the tensile modulus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the length of the piece of cloth means the size of the piece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and when measuring the tensile modul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the length of the cloth piece is , Means the size of a piece of clo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신축성 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140×10-5N/㎟ 이상 200×10-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0-5N/㎟ 이상 190×10-5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10-5N/㎟ 이상 180×10-5N/㎟ 이하이다. 신축성 천의 인장 탄성율이 상술한 범위 내이면, 수영복의 피트성이 양호해지는 데에다, 착용성도 높아진다.The stretchable fabri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tensile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preferably 140×10 -5 N/mm 2 or more and 200×10 -5 N/mm 2 or less, more preferably 150×10 -5 N/mm 2 or more. It is 190×10 -5 N/mm 2 or less, more preferably 160×10 -5 N/mm 2 or more and 180×10 -5 N/mm 2 or less. Whe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tretchable fabric is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fit of the swimsuit is improved, and the wearability is increased.

상기 신축성 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수영복에 이용되는 신축성 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사를 포함하는 원웨이 또는 투웨이 의 직물 또는 편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사는, 폴리우레탄계 탄성사 및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치성이 높고, 스포츠 의류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사는, 베어 얀(나사(bare thread))로서, 비탄성사(리지드사(rigid thread))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또는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혹은 나일론 섬유가 피복된 커버드 얀(covered yarn)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신축성 천은 이중 천이어도 된다.The stretchable fabri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stretchable fabric commonly used in swimsuits can be used. For example, one-way or two-way fabrics or knitted fabrics comprising elastic yarns are preferred. The elastic yarn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urethane-based elastic yarn and polyester-based elastic yarn. This is because it has high stretch properties and is suitable for sports clothing. The elastic yar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inelastic yarn (rigid thread) as a bare yarn (bare thread), or a covered yarn with a polyester fiber or nylon fiber coated on the surface thereof. ) May be used. Further, the stretchable fabric may be a double fabric.

상기 신축성 천은, 단위면적당 중량이 50g/㎡ 이상 400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g/㎡ 이상 300g/㎡ 이하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g/㎡ 이상 200g/㎡ 이하의 범위이다. 이 범위이면 비침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심미성에 적합하고, 또한 중량감도 없어 착용성이 우수하다.The stretchable fabric preferably has a weight per unit area of 50 g/m 2 or more and 40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80 g/m 2 or more and 300 g/m 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0 g/m 2 or more and 200 g/m 2 It is the following range. If it is within this range, it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see-through, is suitable for aesthetics, and has no weight and is excellent in wearability.

상기 긴체부는,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160×10-5N/㎟ 이상 220×10-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10-5N/㎟ 이상 200×10-5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10-5N/㎟ 이상 190×10-5N/㎟ 이하이다. 상기 긴체부의 교점은,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220×10-5N/㎟ 이상 420×10-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10-5N/㎟ 이상 400×10-5N/㎟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60×10-5N/㎟ 이상 380×10-5N/㎟ 이하이다. 상기 긴체부 및 그 교점의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상술한 범위 내이면, 수영복이 착용하기 쉬운 데에다, 햄스트링스의 움직임, 예를 들면 킥 등을 서포트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상기 긴체부의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은, 수영복에 있어서, 교점 이외의 긴체부가 배치된 개소로부터, 1개의 띠형의 긴체부를 포함하는 천 조각(폭 5cm, 길이 15cm)을 잘라, 측정 샘플로서 이용하여 측정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300으로 나타내어지는 부분의 천 조각을 잘라, 긴체부의 인장 탄성율의 측정에 이용한다. 또한, 상기 긴체부의 교점의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은, 수영복에 있어서, 긴체부의 교점이 배치된 개소로부터, 긴체부의 교점을 포함하는 천 조각(폭 5cm, 길이 15cm)을 잘라, 측정 샘플로서 이용하여 측정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400으로 나타내어지는 부분의 천 조각을 잘라, 긴체부의 교점의 인장 탄성율의 측정에 이용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ightening part has a tensile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of 160×10 -5 N/mm 2 or more and 220×10 -5 N/mm 2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65×10 -5 N/mm 2 or more and 200×10 -5 N/mm 2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70×10 -5 N/mm 2 or more and 190×10 -5 N/mm 2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secting point of the tightening portion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220×10 -5 N/mm 2 or more and 420×10 -5 N/mm 2 or l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More preferably, it is 240×10 -5 N/mm 2 or more and 400×10 -5 N/mm 2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260×10 -5 N/mm 2 or more and 380×10 -5 N/mm 2 or less. When the tensile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ghtening portion and its intersection is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swimsuit is easy to wear, and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such as a kick, is enhanced.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of the tightening portion is, in a swimsuit, a piece of cloth (5 cm in width, 15 cm in length) including one strip-shaped tightening portion is cut from a location where the tightening portion other than the intersection point is arranged, and a measurement sample It is measured using as. For example, in Fig. 1, a piece of fabric at a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00 is cut and used for measuring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astening portion. In additio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tightening part is measured by cutting a piece of fabric (5 cm in width and 15 cm in length) including the intersection of the tightening part from the point where the intersection of the tightening part is arranged in a swimsuit. It is measured using it as a sample. For example, in Fig. 1, a piece of fabric at a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00 is cut and used for measurement o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the intersection of the tightening portion.

상기 긴체부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긴체부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교점이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까지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이상, 예를 들면 2개, 3개, 4개 등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착용감의 관점에서, 상기 긴체부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2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체부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2개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대략 X자형으로 된다.The tightening portion is arranged in a bel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Two or more, for example, two or thre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such that the intersecting point is located in the region from the top of the buttocks to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 It should just be arrange|positioned, such as dog, four, and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fit, it is preferable that two tightening portions are disposed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When two of the tightening portions are disposed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they are substantially X-shaped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상기 긴체부는 요부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효과적으로 수중 자세를 안정화할 수 있다. 상기 긴체부는, 수영복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효과적으로 수중 자세를 안정화할 수 있다. 상기 긴체부의 적어도 하나는, 보다 효과적으로 수중 자세를 안정화하는 관점에서, 선골 주변을 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체부의 교점은, 보다 효과적으로 수중 자세를 안정화하고,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서포트하는 관점에서, 햄스트링스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퇴이두근 및/또는 반건양근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ightening portion may extend to the concave portion. You can stabilize your underwater posture more effectively. The tightening portion may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swimsuit. You can stabilize your underwater posture more eff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tightening portions is dispo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periosteum periphery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stabilizing the underwater posture.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stabilizing the aquatic posture and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tightening part is preferably located in an area covering a part of the hamstrings, and covering a part of the biceps femoris and/or semitendon muscles. It is more preferable to be located in the area.

상기 긴체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수영복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천에 장력 테이프(장력 밴드라고도 함)를 장력 테이프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맞붙힌 후, 그 위로부터 상기 장력 테이프보다 폭이 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을, 상기 장력 테이프를 덮도록, 또한 이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맞붙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형상 저항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상기 장력 테이프 및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은,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테이프의 위로부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을 맞붙임으로써, 긴체부의 내구성을 높이고, 장력 테이프가 수영복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장력 테이프 및 상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은, 예를 들면 표면마찰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폭이 5㎜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 테이프 및 상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의 맞붙임은,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트 타입, 부직포 타입, 액상 타입 등을 들 수 있다.The tighten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tension tape (also referred to as a tension band) is attached to the elastic fabric constituting the swimsuit body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ension tape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and then the above A tape-like elastic fabric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a tension tape can be formed by sticking together so as to cover the tension tape and so that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tape-like elastic fabric is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shape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on tape and the tape-like elastic fabric are located on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By attaching the tape-shaped elastic fabric from the top of the tension tape, the durability of the tightening portion can be increased, and the tension tape can be suppressed from falling off the swimsuit body. The tension tape and the tape-like stretchable fabric have a width of preferably 5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more preferably 10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surface fri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adhere the tension tape and the tape-like stretchable fabric by bonding with a hot melt adhesive.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hot melt adhesive, For example, a sheet type, a nonwoven fabric type, a liquid type, etc. are mentioned.

상기 장력 테이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편물 및 직물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각종 장력 밴드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력 테이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긴체부의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을 160×10-5N/㎟ 이상 220×10-5N/㎟ 이하로 하기 쉬운 관점에서, 몸 길이 방향(장력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일치함)의 인장 탄성율이 5×10-5N/㎟ 이상 30×10-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5N/㎟ 이상 20×10-5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tension tape, You may use either a knitted fabric or a woven fabric. For example,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tension band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The tension t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being easy to set the tensile modulu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length of the tightening portion to 160 × 10 -5 N/mm 2 or more and 220 × 10 -5 N/mm 2 or less, the body length direction ( The tensile modulu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ably 5×10 -5 N/mm 2 or more and 30×10 -5 N/mm 2 or less, and 10×10 -5 N/mm 2 or more and 20×10 -5 N/mm 2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상기 수영복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착용성 및 피트성의 관점에서,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15% 이상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6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5% 이하이다. 상기 수영복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착용성 및 피트성의 관점에서, 몸의 폭 방향(주위 방향이라고도 함)의 신장율이 30% 이상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65% 이하이다. 상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착용성 및 긴체력의 관점에서,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3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7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70% 이하이다. 상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착용성 및 긴체력의 관점에서, 몸의 폭 방향의 신장율이 20% 이상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60% 이하이다.The stretchable fabric constituting the swimsuit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and fit,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15% or more and 7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or more and 6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5% or more and 55% or less. The stretchable fabric constituting the swimsuit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and fit,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also referred to a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30% or more and 7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Is 35% or more and 65% or less. The tape-shaped stretchable fabri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and tightness,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preferably 30% or more and 80% or less, more preferably 35% or more and 75% or less. , More preferably 40% or more and 70% or less. The tape-type stretchable fabri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and tightness, the elong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is preferably 20% or more and 6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5% or more and 60% or less. to be.

본 발명의 수영복은, 착용 시에 적어도 대퇴부 및 둔부의 일부를 덮는 수영복이면 되고, 그 타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프 스패츠형, 롱 스패츠형(스패츠형), 쇼트 존 원피스형(short john one-piece type), 롱 존 원피스형(long john one-piece type), 풀 바디 원피스형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The swim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wimsuit that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thigh and buttocks when worn, and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y one of a half spats type, a long spats type (spats type), a short john one-piece type, a long john one-piece type, and a full body one-piece type may be used.

수영복은 통상, 착용자의 신체의 표면에 거의 밀착한 상태로 착용된다. 「거의 밀착」의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체의 알몸 사이즈에 대하여, 주위 방향은 50% 이상 1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95% 이하, 기장은 75%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100% 이하로 하여 수영복을 형성한다. 물론 인체의 사이즈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상기의 비율은 기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JASPO 규격에 따라서 사이즈를 정한다.The swimsuit is usually worn in a state that is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earer's body. In order to create a state of ``near close contact'',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50% or more and 110% or less, more preferably 70% or more and 95% or less, and the length is 75% or more and 100% or less, more preferably with respect to the naked size of the human body. The swimwear is formed with 85% or more and 100% or less. Of cours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human body, so the above ratio is a guide. More specifically, the siz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JASPO standard.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1)은, 남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이다. 도 1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2 및 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이하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膝上) 긴체부로도 기재함), 긴체부(2 및 3)의 교점(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까지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2)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긴체부(3)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교점(4)은,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서포트하는 관점에서, 햄스트링스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퇴이두근 및/또는 반건양근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view of a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1 is a men's half spats type swimsuit. As shown in Fig. 1(c), the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2 and 3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hereinafter, the lower body The intersecting point (4) of the abdominal knee-shaped (膝上) tightening part) and the tightening part (2 and 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third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 The tightening portion 3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concave portion, specifically,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The intersection point 4 is preferably located in a region covering a part of the hamstrings, and more preferably located in a region covering a part of the biceps femoris and/or semitendon muscles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Do.

긴체부(2 및 3)는, 각각 수영복(1)의 본체를 구성하는 천(102)에, 장력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장력 테이프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인 후, 그 위로부터 장력 테이프보다 폭이 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을, 상기 장력 테이프를 덮도록, 또한 이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임으로써 형성한다. 수영복(1)의 본체 배부를 구성하는 천(102)과, 수영복(1)의 본체의 배부를 구성하는 천(101)은,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상이한 천이며, 착용성 및 무릎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는 관점에서, 천(101)의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은 천(102)의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수영 중에 둔부 및 햄스트링스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천(102)은 2종류의 천을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인 이중 천인 것이 바람직하다.Tightening portions 2 and 3 are, respectively, a tension tape (not shown) attached to the fabric 102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swimsuit 1 with a hot-melt adhesive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ension tape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Thereafter, from above, a tape-shaped elastic fabric 103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tension tape is applied, so that the tension tape is covered,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ape-shaped elastic fabric 103 is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It is formed by joining with. The fabric 102 constituting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of the swimsuit 1 and the cloth 101 constituting the back portion of the body of the swimsuit 1 are fabrics having different elongation 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provide wearability and movement of the knee. From the viewpoint of smooth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rate of the fabric 101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is higher than the elongation rate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of the fabric 102. From the viewpoint of stably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buttocks and hamstrings during swimming, the fabric 102 is preferably a double fabric in which two kinds of fabrics are bonded together with a hot melt adhesive.

수영복(1)은, 골반 주변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서혜부를 덮는 영역을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낮은 천(102)으로 구성하고, 서혜부의 주변부를 덮는 영역에 역ハ자형으로 배치된 긴체부(5)(이하에 있어서, 서혜부 긴체부로도 기재함)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수영복(1)은, 요부에서의 수영복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단부에 배치된 끈(6)을 가져도 된다. 서혜부 긴체부(5)도, 수영복의 본체를 구성하는 천(102)에, 장력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장력 테이프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인 후, 그 위로부터 장력 테이프보다 폭이 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을, 상기 장력 테이프를 덮도록, 또한 이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Swimsuit (1), from the viewpoint of stably maintaining the posture around the pelvis, the area covering the groin is composed of a cloth 102 having a low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s arranged in an inverted Ha shape in the area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groin. You may have a fastened part 5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groin fastening part). In addition, the swimsuit 1 may have a string 6 disposed at the upper en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swimsuit from shifting from the recess. The groin tightening part 5 also adheres a tension tape (not shown) to the fabric 102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swimsuit with hot melt adhesive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ension tape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and then from above Formed by attaching a tape-like elastic fabric 103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a tension tape with a hot melt adhesive so as to cover the tension tape and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ape-like elastic fabric 103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can do.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는 좌우의 각각에 있어서 2개이지만, 3개 이상, 4개 이상 등이어도 된다. 착용성의 관점에서, 둔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 등을 포함한 솔기(seam)의 개수는 합계로 9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성의 관점에서, 좌우의 대퇴부의 가랑이 아래부터 무릎 위까지의 각각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 등을 포함한 솔기의 개수는 합계로 4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re are two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art, 3 or more, 4 or more, etc. may be sufficient.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ttocks,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number of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arts, sewing lines, and adhesive lines with fabrics are preferably 9 or less in total.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in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crotch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to the top of the knee,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number of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 the sewing line, the adhesive line with the fabric, etc. It is preferably 4 or less.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11)은, 남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이다. 도 2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11)에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12 및 13)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긴체부(12 및 13)의 교점(1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까지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12)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1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외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긴체부(13)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1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영복(11)은, 긴체부(12 및 13), 및 긴체부(12 및 13)의 교점(14)의 배치 이외는, 도 1에 나타낸 수영복과 동일한 구성이면 된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11 is a men's half spats type swimsuit. As shown in Fig. 2(c), in the swimsuit 11 of this embodiment,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12 and 13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It is arranged so that the intersection 14 of the tightening parts 12 and 1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12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concave portion, specificall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1 to the out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The tightening portion 13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concave portion, specificall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1 to the inner side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The swimsuit 1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tightening portions 12 and 13 and the intersections 14 of the tightening portions 12 and 13.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21)은, 남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이다. 도 3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21)에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22 및 2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긴체부(22 및 23)의 교점(2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까지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22)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2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외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2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긴체부(23)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2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영복(21)은, 긴체부(22 및 23), 및 긴체부(22 및 23)의 교점(24)의 배치 이외는, 도 1에 나타낸 수영복과 동일한 구성이면 된다.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21 is a male half spats type swimsuit. As shown in (c) of FIG. 3, in the swimsuit 21 of this embodiment,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22 and 23 cross each other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buttocks to the thigh. It is arranged so that the intersection point 24 of the tightening parts 22 and 2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2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21 to the out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21. The tightening portion 23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specifically, the swimsuit 21. The swimsuit 2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tightening portions 22 and 23 and the intersections 24 of the tightening portions 22 and 23.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21)에 있어서, 대퇴부를 덮는 영역에 있어서, 긴체부(22)와 긴체부(23) 사이에 있는 영역을 구성하는 천(104)은, 무릎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는 관점에서, 천(102)보다,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실시형태에서도, 긴체부(22)와 긴체부(23) 사이에 있는 영역을 구성하는 천은, 천(102)보다,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높은 것이어도 된다.In the swimsuit 21 of the embodiment, in the area covering the thigh, the fabric 104 constituting the region between the tightening portion 22 and the tightening portion 23 is from the viewpoint of smoothing the movement of the kne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higher than that of the fabric 102. 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fabric constituting the region between the tightening portion 22 and the tightening portion 23 may have a higher elongation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an the cloth 10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31)은, 남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이다. 도 4의 (c)에게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31)에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32 및 3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긴체부(32 및 33)의 교점(3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까지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32)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3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3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긴체부(32)는, 둔부의 상부 중앙에 있어서 교차하고 있다. 긴체부(33)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3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영복(31)은, 긴체부(32 및 33), 및 긴체부(32 및 33)의 교점(34)의 배치 이외는, 도 1에 나타낸 수영복과 동일한 구성이면 된다.4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31 is a men's half spats type swimsuit. As shown in Fig. 4(c), in the swimsuit 31 of this embodiment,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32 and 33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buttocks to the thigh. It is arranged so that the intersection point 34 of the tightening parts 32 and 3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third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3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31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31. The left and right tightening portions 32 intersect in the upper center of the buttocks. The tightening portion 33 is disposed so as to reach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31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The swimsuit 3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tightening portions 32 and 33 and the intersections 34 of the tightening portions 32 and 3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41)은, 여성용 하프 슈트형이다. 도 5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42 및 4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긴체부(42 및 43)의 교점(4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42)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4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긴체부(43)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교점(44)은,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서포트하는 관점에서, 햄스트링스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퇴이두근 및/또는 반건양근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a swims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41 is a half suit type for women. As shown in Fig. 5(c), the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42 and 43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 respectively, and the tightening part 42 and The intersection 44 of 4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4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waist portion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41. The tightening portion 43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recess.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supporting the motion of the hamstrings, the intersection point 44 is preferably located in a region covering a part of the hamstrings, and more preferably located in a region covering a part of the biceps femoris and/or semitendon muscles. Do.

긴체부(42 및 43)는, 각각 수영복(41)의 본체를 구성하는 천(102)에, 장력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장력 테이프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인 후, 그 위로부터 장력 테이프보다 폭이 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을, 상기 장력 테이프를 덮도록, 또한 이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임으로써 형성한다. 수영복(41)에 있어서, 천(101과 102)은, 도 1에 나타내어진 수영복(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Tightening portions 42 and 43 are, respectively, a tension tape (not shown) attached to the fabric 102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swimsuit 41 with a hot melt adhesive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ension tape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Then, from above, a tape-shaped elastic fabric 103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tension tape is adhered with a hot melt adhesive so that the tension tape is covered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ape-shaped elastic fabric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Formed by In the swimsuit 41, the fabrics 101 and 10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swimsuit 1 shown in FIG. 1.

수영복(41)은, 체간으로부터 골반 주변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서혜부 및 하복부를 덮는 영역을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낮은 천(102)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혜부의 주변부를 덮는 영역에 역ハ자형으로 배치된 서혜부 긴체부(35)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수영복(41)은, 수영복의 측면에 배치된 측면 긴체부(36)를 가지고 된다. 서혜부 긴체부(35) 및 측면 긴체부(36)도, 수영복의 본체를 구성하는 천(102)에, 장력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장력 테이프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인 후, 그 위로부터 장력 테이프보다 폭이 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을, 상기 장력 테이프를 덮도록, 또한 이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stably maintaining the posture around the pelvis from the trunk, the swimsuit 4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abric 102 having a low elongation rate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in the area covering the inguinal portion and the lower abdomen. Further, you may have the groin fastening portion 35 arranged in an inverted hem shape in a region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groin portion. In addition, the swimsuit 41 has a side tightening portion 36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wimsuit. The groin tightening part 35 and the side tightening part 36 are also applied to the fabric 102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swimsuit with a tension tape (not shown) with a hot-melt adhesive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ension tape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After pasting, a tape-like elastic fabric 103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tension tape from above is placed so that the tension tape is covered,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ape-like elastic fabric 103 is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It can be formed by sticking with a hot melt adhesive.

해당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는 좌우 각각 2개이지만, 3개 이상, 4개 이상 등이어도 된다. 착용성의 관점에서, 둔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 등을 포함시킨 솔기의 개수는 합계로 11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성의 관점에서, 좌우의 대퇴부의 가랑이 아래부터 무릎 위까지의 각각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 등을 포함한 솔기의 개수는 합계로 4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re are 2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art, 3 or more, 4 or more, etc. may be sufficient.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ttocks,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number of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ortions, the sewing line, the fabric-bonded adhesive line, etc. are preferably 11 or less in total.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wearability, in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crotch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to the top of the knee,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number of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 the sewing line, the adhesive line with the fabric, etc. It is preferably 4 or les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51)은, 여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이다. 도 6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51)에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52 및 5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긴체부(52 및 53)의 교점(5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52)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외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긴체부(53)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영복(51)은 긴체부(52 및 53), 및 긴체부(52 및 53)의 교점(54)의 배치 이외는, 도 5에 나타낸 수영복과 동일한 구성이면 된다.6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51 is a half spats type swimsuit for women. As shown in Fig. 6(c), in the swimsuit 51 of this embodiment, two belt-shaped tightening portions 52 and 53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It is arranged so that, and the intersection 54 of the tightening parts 52 and 5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52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out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recess. The tightening portion 53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recess. The swimsuit 5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shown in FIG. 5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tightening portions 52 and 53 and the intersections 54 of the tightening portions 52 and 53.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61)은, 여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이다. 도 7의 (c)에게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61)에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62 및 6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긴체부(62 및 63)의 교점(6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62)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외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6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긴체부(63)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영복(61)은 긴체부(62 및 63), 및 긴체부(62 및 63)의 교점(64)의 배치 이외는, 도 5에 나타낸 수영복과 동일한 구성이면 된다.7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61 is a half spats type swimsuit for women. As shown in (c) of FIG. 7, in the swimsuit 61 of the embodiment, two belt-shaped tightening portions 62 and 63 cross each other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It is arranged so that the intersection 64 of the tightening parts 62 and 6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6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waist portion to the out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61. The tightening portion 63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recess. The swimsuit 6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shown in FIG. 5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tightening portions 62 and 63 and the intersections 64 of the tightening portions 62 and 63.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61)에 있어서, 대퇴부를 덮는 영역에 있어서, 긴체부(62)와 긴체부(63) 사이에 있는 영역을 구성하는 천(104)은, 무릎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는 관점에서, 천(102)보다,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실시형태에서도, 긴체부(22)와 긴체부(23) 사이에 있는 영역을 구성하는 천은, 천(102)보다,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이 높은 것이어도 된다.In the swimsuit 61 of the embodiment, in the area covering the thigh, the fabric 104 constituting the region between the tightening portion 62 and the tightening portion 63 is from the viewpoint of smoothing the movement of the kne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s higher than that of the fabric 102. 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fabric constituting the region between the tightening portion 22 and the tightening portion 23 may have a higher elongation 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an the cloth 102.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의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수영복(71)은, 여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이다. 도 8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형태의 수영복(71)에는,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72 및 7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긴체부(72 및 73)의 교점(74)은,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한다. 긴체부(72)는, 요부로부터 대퇴부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7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긴체부(72)는, 둔부의 상부 중앙에 있어서 교차하고 있다. 긴체부(73)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영복(71)은 긴체부(72 및 73), 및 긴체부(72 및 73)의 교점(74)의 배치 이외는, 도 5에 나타낸 수영복과 동일한 구성이면 된다.8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 swimsuit 71 is a half spats type swimsuit for women. As shown in Fig. 8(c), in the swimsuit 71 of this embodiment, two belt-shaped tightening portions 72 and 73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It is arranged so that the intersection 74 of the tightening parts 72 and 73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third of the hamstrings. The tightening portion 7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waist to the inner thigh portion a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71. The left and right tightening portions 72 intersect in the upper center of the buttocks. The tightening portion 73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recess. The swimsuit 7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shown in FIG. 5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tightening portions 72 and 73 and the intersections 74 of the tightening portions 72 and 73.

도 1∼도 8에 나타내어진 수영복은 바람직한 형태이며, 긴체부는 수영복의 이면측(체표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수영복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긴체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수영복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swimsuit shown in Figs. 1 to 8 is a preferred form,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but the swim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necessary, all or part of the tightening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swimsuit.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의 천을 이용하였다.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fabric was used.

천(101): 평직의 직물이며, 단위면적당 무게(basis weight)는 133g/㎡이고, 직물의 섬유 조성은 나일론 섬유 65%,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35%였다. 경사(經絲)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78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33dtex, 필라멘트수: 10개)를 커버링한 실을 사용하였다. 위사(緯絲)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55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33dtex, 필라멘트수 10개)를 커버링한 실을 사용하였다. 밀도(단위길이당 실 개수(the number of ends))는, 경사 188개/인치, 위사 182개/인치였다. 해당 천을 경사가 주위 방향을 따르도록 사용하였다. 천(101)의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은 41.7%이며, 몸의 폭 방향의 신장율은 35.2%였다.Fabric 101: Plain weave fabric, the basis weight per unit area was 133 g/m2, and the fiber composition of the fabric was 65% nylon fiber and 35% polyurethane elastic fiber. As the warp, a yarn covered with polyurethane elastic fibers (fineness: 78 dtex) and nylon fibers (fineness: 33 dtex, number of filaments: 10) was used. As the weft, a yarn covering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55 dtex) and a nylon fiber (fineness: 33 dtex, number of filaments 10) was used. The density (the number of ends per unit length) was 188 warps/inch and 182 weft yarns/inch. The fabric was used so that the warp follow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longation of the fabric 10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was 41.7%, and the elong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was 35.2%.

천(102): 이중 천을 사용하였다. 표면측 천은, 평직과 이중직을 조합한 직물이며, 단위면적당 무게는 138g/㎡이고, 직물의 섬유 조성은 나일론 섬유 65%,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35%였다. 경사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78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33dtex, 필라멘트수: 10개)를 커버링한 실을 사용하였다. 위사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55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33dtex, 필라멘트수 10개)를 커버링한 실과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44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33dtex, 필라멘트수 10개)를 커버링한 실을 이용하였다. 밀도(단위길이당 실 개수)는, 경사 184개/인치, 위사 188개/인치였다. 이면측 천은 평직의 직물이며, 단위면적당 무게는 114g/㎡이고, 직물의 섬유 조성은 나일론 섬유 66%,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34%였다. 경사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55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24dtex, 필라멘트수: 7개)를 커버링한 실을 사용하였다. 위사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44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24dtex, 필라멘트수 7개)를 커버링한 실을 사용하였다. 밀도(단위길이당 실 개수)는, 경사 219개/인치, 위사 187개/인치였다. 표면측 천와 이면측 천을 핫멜트 접착제(유택스사 제조, 품명 「J861」)로 천끝을 맞붙여 얻어진 이중 천을 천(102)으로서 사용하였다. 한편, 표면측 천와 이면측 천은, 모두 경사가 주위 방향을 따르도록 사용하였다. 천(102)의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은 30.9%이고, 몸의 폭 방향의 신장율은 56.8%였다.Cloth 102: A double cloth was used. The fabric on the surface side was a combination of plain weave and double weave, and the weight per unit area was 138 g/m 2, and the fiber composition of the fabric was 65% nylon fiber and 35% polyurethane elastic fiber. For warp, a yarn covering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78 dtex) and nylon fiber (fineness: 33 dtex, number of filaments: 10) was used. Weft yarn is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55dtex) covered with nylon fiber (fineness: 33dtex, number of filaments 10) and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44dtex) and nylon fiber (fineness: 33dtex, number of filaments: 10) ) Covered yarn was used. The density (the number of yarns per unit length) was 184 warps/inch and 188 weft yarns/inch. The fabric on the back side was a plain weave fabric, and the weight per unit area was 114 g/m2, and the fiber composition of the fabric was 66% nylon fiber and 34% polyurethane elastic fiber. For warp, a yarn covered with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55dtex) and nylon fiber (fineness: 24dtex, number of filaments: 7) was used. For the weft, a yarn covering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44 dtex) and nylon fiber (fineness: 24 dtex, number of filaments) was used. The density (the number of yarns per unit length) was 219 warps/inch and 187 weft yarns/inch. The double fabric obtained by bonding the ends of the fabric with a hot melt adhesive (manufactured by Utax, product name "J861") was used as the fabric 102. On the other hand, both the front side cloth and the back side cloth were used so that an inclination might follow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longation of the fabric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was 30.9%, and the elong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was 56.8%.

천(103): 평직의 직물이며, 단위면적당 무게는 140g/㎡이고, 직물의 섬유 조성은 나일론 섬유 63%,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37%였다. 경사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78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33dtex, 필라멘트수: 10개)를 커버링한 실을 사용하였다. 위사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섬도: 55dtex)에 나일론 섬유(섬도: 33dtex, 필라멘트수 10개)를 커버링한 실을 사용하였다. 밀도(단위길이당 실 개수)는, 경사 178개/인치, 위사 180개/인치였다. 해당 천을 경사가 주위 방향을 따르도록 사용하였다. 천(103)의 몸 길이 방향의 신장율은 56.2%이며, 몸의 폭 방향의 신장율은 46.2%였다. 그리고, 천의 신장율은, JIS L 1096 8.14.1 A법(하중 17.6N, 인장 속도 200㎜/min)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Fabric 103: Plain weave fabric, the weight per unit area was 140 g/m2, and the fiber composition of the fabric was 63% nylon fiber and 37% polyurethane elastic fiber. For warp, a yarn covering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78 dtex) and nylon fiber (fineness: 33 dtex, number of filaments: 10) was used. For the weft, a yarn covering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fineness: 55dtex) and nylon fiber (fineness: 33dtex, number of filaments 10) was used. The density (the number of yarns per unit length) was 178 warps/inch and 180 weft yarns/inch. The fabric was used so that the warp follow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longation of the fabric 10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was 56.2%, and the elong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was 46.2%. In addition, the elongation rate of the fabric was measured based on JIS L 1096 8.14.1 A method (load 17.6 N, tensile speed 200 mm/min).

(실시예 1)(Example 1)

천(101), 천(102 및 103)을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남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1)(JASPO 규격 M 사이즈)을 제작하였다. 도 1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2 및 3)가 서로 교차하도록, 또한, 긴체부(2 및 3)의 교점(4)이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긴체부(2)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었다. 긴체부(3)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었다. 교점(4)은, 둔부의 아래쪽 가장자리로부터 둔구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었다. 여기서 「둔부의 아래쪽 가장자리」란, 대전근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신장 방향의 길이를 100%로 한 경우, 하단으로부터의 거리가 100%/4인 부위를 말한다. 긴체부(2 및 3)는, 천(102)의 이면측(체표면측)에, 먼저 장력 테이프(산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RF-6200」,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구성된 니트, 폭 10㎜, 몸 길이 방향의 탄성율 17.5×10-5N/㎟)를 그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인 후, 그 위로부터 또한 폭 20㎜의 테이프형으로 자른 천(103)을 상기 장력 테이프를 덮도록, 또한 이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임으로써 형성하였다. 서혜부를 덮는 영역에 배치한 긴체부(5)도, 긴체부(2 및 3)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수영복 둔부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을 포함한 솔기의 개수는 합계로 9개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수영복 좌우의 대퇴부의 가랑이 아래부터 무릎 위까지의 각각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을 포함한 솔기의 개수는 합계로 4개 이하였다.Using the fabric 101 and the fabrics 102 and 103, a men's half spats-type swimsuit 1 (JASPO standard M size) as shown in FIG. 1 was produced. As shown in (c) of FIG. 1, the tightening parts 2 and 3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2 and 3 cross each other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 ), the intersection point (4) was plac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third of the hamstrings. Specifically, the tightening portion 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 The tightening portion 3 wa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1, specifically, the waist portion. The intersection point 4 was arrang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gluteal bulb from the lower edge of the buttocks. Here, the "lower edge of the buttocks"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is 100%/4 when the length in the elongation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major muscle is 100%. Tightening portions 2 and 3 are on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fabric 102, first with a tension tape ("RF-6200" manufactured by San Kasei Co., Ltd., a knit composed of polyester fiber, width 10 ㎜, elastic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7.5×10 -5 N/㎟), pasted with a hot-melt adhesive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n cut into a tape shape having a width of 20 mm from the top (103) Was formed by sticking with a hot melt adhesive so as to cover the tension tape and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is tape-shaped stretchable fabric 103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The tightening portion 5 arranged in the region covering the groin was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ightening portions 2 and 3. In the direction around the buttocks of the swimsuit in Example 1,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number of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ortions, the sewing line, and the fabric-bonded adhesive line were 9 in total. In addition, in eac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thigh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wimsuit from below the crotch to the top of the knee,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arts, sewing lines, and fabric-bonded adhesive lines was 4 in total. Was less than dog.

(실시예 2)(Example 2)

천(101), 천(102 및 103)을 사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여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41)(JASPO 규격 M 사이즈)을 제작하였다. 도 5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42 및 33)가 서로 교차하도록, 또한, 긴체부(42 및 33)의 교점(44)이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긴체부(42)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4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었다. 체부(43)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었다. 교점(44)은, 둔부의 아래쪽 가장자리로부터 둔구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었다. 긴체부(42 및 43)는, 천(102)의 이면측(체표면측)에, 먼저 장력 테이프(산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RF-6200」,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구성된 니트, 폭 10㎜, 몸 길이 방향의 탄성율 17.5×10-5N/㎟)을 그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인 후, 그 위로부터 또한 폭 20㎜의 테이프형으로 자른 천(103)을 상기 장력 테이프를 덮도록, 또한 이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103)의 길이 방향이 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핫멜트 접착제로 맞붙임으로써 형성하였다. 서혜부를 덮는 영역에 배치된 긴체부(35) 및 수영복의 측면에 배치된 측면 긴체부(36)도, 긴체부(42 및 33)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하였다. 실시예 2의 수영복의 둔부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을 포함한 솔기의 개수는 합계로 11개였다. 또한, 실시예 2의 수영복의 좌우의 대퇴부의 가랑이 아래부터 무릎 위까지의 각각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개수, 봉제 라인, 천을 맞붙인 접착 라인을 포함한 솔기의 개수는 합계로 4개였다.Using the fabric 101 and the fabrics 102 and 103, a female half spats-type swimsuit 41 (JASPO standard M size) as shown in FIG. 5 was produced. As shown in Fig. 5(c), the tightening parts 42 and 33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42 and 33 cross each other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 ), the intersection 44 was position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third of the hamstrings. Specifically, the tightening portion 42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waist portion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41. The body portion 43 wa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from the lumbar portion. The intersection point 44 was arranged so as to be located near the gluteal bulb from the lower edge of the buttocks. The tightening portions 42 and 43 are on the back side (body surface side) of the fabric 102, first, a tension tape ("RF-6200" manufactured by San Kasei Co., Ltd., a knit composed of polyester fiber, width 10 ㎜, elastic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7.5×10 -5 N/㎟) is pasted with a hot melt adhesive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n cut into a tape shape having a width of 20 mm from the top (103) Was formed by sticking with a hot melt adhesive so as to cover the tension tape and so that the length direction of this tape-shaped stretchable fabric 103 follows the body length direction. The tightening portion 35 disposed in the region covering the inguinal portion and the side tightening portion 36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wimsuit we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ightening portions 42 and 3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ttocks of the swimsuit of Example 2,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number of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ortions, the sewing line, and the fabric-bonded adhesive line was 11 in total. In addition, in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crotch to the knee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swimsuit of Example 2, the number of seams including the lower body abdominal knee-shaped tightening parts, the sewing line, and the fabric-bonded adhesive line is the total. There were four.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천(101), 천(102 및 103)을 사용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남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81)(JASPO 규격 M 사이즈)을 제작하였다. 도 11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82 및 83)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었다. 긴체부(82)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8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고, 긴체부(83)는 요부, 구체적으로는 수영복(81)의 상단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8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었다. 비교예 1의 수영복은 긴체부(82 및 83)의 배치 이외는, 실시예 1의 수영복과 마찬가지의 구성이었다.Using the fabric 101 and the fabrics 102 and 103, a men's half spats type swimsuit 81 (JASPO standard M size) as shown in FIG. 11 was produced. As shown in Fig. 11(c), the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82 and 83 are arranged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buttocks to the thigh. The tightening portion 82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concave portion, specificall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wimsuit 81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the tightening portion 83 is the concave portion,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swimsuit 81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So, it was also arranged to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swimsuit 81. The swimsuit of Comparative Example 1 ha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of Example 1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fastening portions 82 and 83.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천(101), 천(102 및 103)을 사용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여성용 하프 스패츠형 수영복(91)(JASPO 규격 M 사이즈)을 제작하였다. 도 12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게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92 및 93)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었다. 긴체부(92)은,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배치되고, 긴체부(93)는, 요부로부터 대퇴부의 내측부에 이르도록, 또한, 수영복(91)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었다. 비교예 2의 수영복은, 긴체부(92 및 93)의 배치 이외는, 실시예 2의 수영복과 마찬가지의 구성이었다.Using the fabric 101 and the fabrics 102 and 103, a female half spats-type swimsuit 91 (JASPO standard M size) as shown in FIG. 12 was produced. As shown in Fig. 12(c), the two belt-shaped tightening parts 92 and 93 are arranged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 The tightening portion 92 is disposed so as to reach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from the lumbar portion, and the tightening portion 93 is arranged so as to extend from the lumbar portion to the inner portion of the thigh portion and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swimsuit 91. The swimsuit of Comparative Example 2 ha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msuit of Example 2 except for the arrangement of the fastening portions 92 and 93.

수영복(1)으로부터, 도 1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폭 5cm, 길이 15cm의 천 조각(300)(긴체부의 인장 탄성율 측정용), 및 폭 5cm, 길이 15cm의 천 조각(400)(교점의 인장 탄성율 측정용), 폭 5cm, 길이 15cm의 천 조각(500)(그 외 부분의 인장 탄성율 측정용)을 잘라, 신축성 천, 긴체부 및 교점의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을 측정하였다. 수영복(81)으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긴체부를 포함하도록 폭 5cm, 길이 15cm의 천 조각(600)(2개의 긴체부)을 잘라서 인장 탄성율을 측정하였다.From the swimsuit 1, as shown in Fig. 1(c), a piece of cloth 300 having a width of 5 cm and a length of 15 cm (for measuring the tensile modulus of the tight body portion), and a piece of cloth 400 having a width of 5 cm and a length of 15 cm. ) (For measuring the tensile modulus of the intersection), a piece of fabric 500 with a width of 5cm and a length of 15cm (for measuring the tensile modulus of other parts) is cut, and the tensile modulus of the elastic fabric, the tightening part and the body length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is measured. I did. From the swimsuit 81, as shown in Fig. 11, a piece of fabric 600 (two tight parts) having a width of 5 cm and a length of 15 cm was cut to include two tight parts, and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was measured.

(인장 탄성율의 측정)(Measurement of tensile modulus)

JIS L 1096 8.14.A법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는, 천 조각을 폭 5cm, 길이 10cm가 되도록 인장 시험기에 고정하고, 5% 신장 시의 응력의 기울기로부터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N/㎟)을 구하였다.Based on JIS L 1096 8.14.A method, specifically, a piece of fabric is fixed to a tensile tester so that the width is 5 cm and the length is 10 cm, and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body length direction from the slope of the stress at the time of 5% elongation (N/mm2 ) Was obtained.

[표 1][Table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의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가 늘어나기 쉬운 영역에 배치한 2개의 긴체부가 교차하고 있는 교점의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2개의 교차하고 있지 않은 긴체부를 포함하는 경우의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보다 높고, 수중 자세를 안정화시키고, 또한 햄스트링스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data in Table 1, when the tensile elastic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t the intersection of the two tightening parts arranged in the area where the skin is easily stretched includes two non-intersecting tightening parts It is higher than the tensile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stabilizes the underwater posture, and can effective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실시예 1의 수영복 및 비교예 1의 수영복을 전국 대회 상위 레벨의 남자 대학생 8명에게 착용시키고, 12.5mSLD에서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수영복 전국 대회 상위 레벨의 여자 대학생 6명에게 착용시키고, 15mSLD에서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The swimsuit of Example 1 and the swimsuit of Comparative Example 1 were worn on eight male college students at the top level of the national competition, and the time at 12.5mSLD was measured. In addition, the swimsuits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worn on six female college students at the upper level of the national competition, and the time at 15mSLD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2 and 3 below.

[표 2][Table 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표 3][Table 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상기 표 2 및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수영복을 착용한 쪽이, 비교예의 수영복을 착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시간이 빠르고, 햄스트링스의 움직임, 구체적으로는 수중에서의 자세 유지를 효과적으로 서포트할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ables 2 and 3, the one wearing the swimsuit of the Example is faster than the case of wearing the swimsuit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movement of the hamstrings, specifically, in the water It was able to effectively support posture maintenance.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수영복을 착용하고 수영할 때(크롤 시)의 고관절 신근군 및 고관절 내선근(內旋筋)군의 근장력을, 일본특허 5920724호, 일본특허 383134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고관절 신근군은, 대둔근, 중둔근, 소전근 및 햄스트링스를 포함하고, 고관절 내선근군은, 반건양근, 반건막근, 중둔근(외측), 소전근(외측) 및 대퇴근막장근을 포함한다.The muscle tension of the hip extensor group and the hip joint inner adductor group when swimming (crawling) while wearing the swimsuit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5920724 and Japanese Patent No. 3831348. It evaluated using the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The hip extensor group includes the gluteus maximus, the gluteus maximus, the small adductor muscle and the hamstrings, and the inner hip muscle group includes the semitendon muscle, the semitendon muscle, the gluteus maximus (external), the small anterior muscle (lateral), and the quadriceps muscle.

[표 4][Table 4]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표 4의 데이터로부터, 실시예의 수영복을 착용한 경우, 비교예의 수영복을 착용한 경우에 비하여, 크롤 동작 시의 고관절 신근군 및 고관절 내선근군의 근장력이 작고,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띠형의 긴체부를 서로 교차하도록, 또한,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이 둔부의 톱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 1/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햄스트링스가 서포트되고, 나아가서는 고관절 신근군 및 고관절 내선근군이 서포트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data in Table 4, compared to the case of wearing the swimsuit of the Example and the swimsuit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muscle tension of the hip extensor group and the hip joint internal muscle group during the crawl operation was small, and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 , The hamstrings are arranged such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elt-shaped tightening parts intersect each other along the body length direction, and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elt-shaped tightening parts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third of the hamstrings. It was found that the hip joint extensor group and the hip joint internal adductor muscle group were support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수영복은, 특히 경영용 수영복에 호적하다.The swims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 management swimsuit.

1, 11, 21, 31, 41, 51, 61, 71, 81, 91 : 수영복
2, 3, 12, 13, 22, 23, 32, 33, 42, 43, 52, 53, 62, 63, 72, 73, 82, 83, 92, 93 : (하반신 배부슬상) 긴체부
4, 14, 24, 34, 44, 54, 64, 74 : (하반신 배부 슬상) 긴체부의 교점
5, 35 : (서혜부)긴체부
6 : 끈
36 : 측면 긴체부
101, 102, 103, 104 : 천
200 : 정도
300, 400, 500, 600 : 천 조각
1, 11, 21, 31, 41, 51, 61, 71, 81, 91: swimsuit
2, 3, 12, 13, 22, 23, 32, 33, 42, 43, 52, 53, 62, 63, 72, 73, 82, 83, 92, 93: (lower body abdominal knee)
4, 14, 24, 34, 44, 54, 64, 74: (lower body distributive knee upper) the intersection of the long body
5, 35: (groin part) tight body part
6: string
36: side tightening part
101, 102, 103, 104: thousand
200: degree
300, 400, 500, 600: thousand pieces

Claims (8)

신축성 천으로 구성되고, 착용 시에 적어도 대퇴부 및 둔부의 일부를 덮는 수영복으로서,
좌우 각각의 둔부로부터 대퇴부에 걸쳐, 몸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緊締部)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둔부의 톱(top)으로부터 햄스트링스의 근위(近位) 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영복.
As a swimsuit consisting of an elastic fabric and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gh and buttocks when worn,
Two or more band-shaped tight body portions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left and right hips to the thighs,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and-shaped tight parts is located between the top of the buttocks and the proximal 1/3 of the hamstrings,
swims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체부는, 수영복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천에 장력 테이프를 맞붙인 후, 그 위로부터 상기 장력 테이프보다 폭이 큰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을 맞붙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수영복.
The method of claim 1,
A swimsuit, wherein the tightening portion is formed by attaching a tension tape to an elastic fabric constituting the swimsuit body and then attaching a tape-like elastic fabric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tension tape from ab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테이프 및 테이프형의 신축성 천은, 수영복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수영복.
The method of claim 2,
The tension tape and the tape-shaped elastic fabric are located on the back side of the swimsu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햄스트링스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수영복.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ntersection of the two or more band-shaped tight parts is located in a region covering a portion of the hamstring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대퇴이두근 및/또는 반건양근(半腱樣筋)의 일부를 덮는 영역에 위치하는, 수영복.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swimsuit, wherein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two or more band-shaped tightening portions is located in a region that covers a part of the biceps femoris and/or the biceps femoris muscle (半腱樣筋).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천은, JIS L 1096 8.14.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몸 길이 방향의 인장(引張) 탄성율이 140×10-5N/㎟ 이상 200×10-5N/㎟ 이하인, 수영복.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tretchable fabric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measured based on JIS L 1096 8.14.A method of 140×10 -5 N/mm 2 or more and 200×10 -5 N/mm 2 or l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체부는, JIS L 1096 8.14.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160×10-5N/㎟ 이상 220×10-5N/㎟ 이하인, 수영복.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wimsuit, wherein the tightening portion has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measured based on JIS L 1096 8.14.A method of 160×10 -5 N/mm 2 or more and 220×10 -5 N/mm 2 or les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띠형의 긴체부의 교점은, JIS L 1096 8.14.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몸 길이 방향의 인장 탄성율이 220×10-5N/㎟ 이상 420×10-5N/㎟ 이하인, 수영복.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two or more strip-shaped fastening portions is that the tensile modul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measured based on the JIS L 1096 8.14.A method is 220×10 -5 N/mm 2 or more and 420×10 -5 N/mm 2 or less, swimsuit.
KR1020207036586A 2018-06-05 2019-05-30 swimsuit KR10265739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8018 2018-06-05
JP2018108018 2018-06-05
PCT/JP2019/021583 WO2019235360A1 (en) 2018-06-05 2019-05-30 Swimw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862A true KR20210015862A (en) 2021-02-10
KR102657393B1 KR102657393B1 (en) 2024-04-12

Family

ID=6877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586A KR102657393B1 (en) 2018-06-05 2019-05-30 swimsuit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227898A1 (en)
EP (1) EP3804549B1 (en)
JP (2) JP6849820B2 (en)
KR (1) KR102657393B1 (en)
CN (1) CN112243351B (en)
AU (1) AU2019282986B2 (en)
SG (1) SG11202012142UA (en)
TW (1) TWI745701B (en)
WO (1) WO201923536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5287A1 (en) * 2018-10-19 2021-10-14 Arena S.P.A. Two-piece female swimsuit for competition swimming
USD979882S1 (en) * 2020-01-20 2023-03-07 Hexin Holding Limited Body shaping pants
US11986028B2 (en) * 2021-05-06 2024-05-21 Ariat International, Inc. Equestrian pants garm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188A (en) * 2010-03-31 2011-10-27 Wacoal Corp Garment with crotch part
JP2014091894A (en) 2012-11-06 2014-05-19 Mizuno Corp Swimming wear
US20140338089A1 (en) * 2011-11-02 2014-11-20 Quiksilver, Inc. Technical Wetsuit
KR20140138936A (en) * 2012-04-10 2014-12-0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Crotched exercise garment
JP2017525864A (en) 2014-08-22 2017-09-07 スピード・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ッド Swimsui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724B2 (en) 1980-12-22 1984-05-15 重質油対策技術研究組合 Method for producing iron ore pellets for producing reduced iron
US5282277A (en) * 1992-04-27 1994-02-01 Shoji Onozawa Body cover for outdoor use
EP1342423B1 (en) * 2000-12-11 2007-03-07 Wacoal Corp. Garment
JP3831348B2 (en) 2003-02-18 2006-10-11 美津濃株式会社 Clothes design support device and program
JP4495674B2 (en) * 2003-04-15 2010-07-07 株式会社ワコール Clothing with crotch
JP4908025B2 (en) * 2006-03-16 2012-04-04 株式会社ワコール Clothing with crotch
US20080256675A1 (en) * 2007-04-17 2008-10-23 Joseph Di Lorenzo Swimsuit having compression panels
JP4549375B2 (en) * 2007-09-04 2010-09-22 株式会社デサント Swimsuit for competition to control the sports competition posture
JP5566953B2 (en) * 2011-06-14 2014-08-06 株式会社デサント Fabric structure
EP3251532B1 (en) * 2011-11-28 2019-03-27 Roka Sports Inc. A swimsuit
TWM439356U (en) * 2012-04-17 2012-10-21 Ming-Yao Luo Pants for function training
JP6604146B2 (en) * 2015-11-02 2019-11-13 株式会社ワコール Bottom clothing
PL3419451T3 (en) * 2016-02-22 2021-03-08 Arena Italia S.P.A. Swim suit, particularly for competition swimming
WO2017144938A1 (en) * 2016-02-22 2017-08-31 Arena Distribution S.A. Swim suit, particularly for competition swimming
US20190059465A1 (en) * 2017-08-28 2019-02-28 Elite Sportswear L.P. Technical swimwear with compression tap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4188A (en) * 2010-03-31 2011-10-27 Wacoal Corp Garment with crotch part
US20140338089A1 (en) * 2011-11-02 2014-11-20 Quiksilver, Inc. Technical Wetsuit
KR20140138936A (en) * 2012-04-10 2014-12-0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Crotched exercise garment
JP2014091894A (en) 2012-11-06 2014-05-19 Mizuno Corp Swimming wear
JP2017525864A (en) 2014-08-22 2017-09-07 スピード・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ッド Swims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98932A (en) 2021-07-01
JPWO2019235360A1 (en) 2020-06-25
AU2019282986A1 (en) 2021-01-07
CN112243351B (en) 2023-02-24
AU2019282986B2 (en) 2022-07-28
EP3804549B1 (en) 2024-04-03
TWI745701B (en) 2021-11-11
EP3804549A1 (en) 2021-04-14
KR102657393B1 (en) 2024-04-12
WO2019235360A1 (en) 2019-12-12
US20210227898A1 (en) 2021-07-29
TW202011849A (en) 2020-04-01
JP6849820B2 (en) 2021-03-31
CN112243351A (en) 2021-01-19
EP3804549A4 (en) 2022-03-30
SG11202012142UA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3786B1 (en) Sports garment
EP3419451B1 (en) Swim suit, particularly for competition swimming
EP3419452B1 (en) Swim suit, particularly for competition swimming
TWI538630B (en) Sportwear
JP2021098932A (en) Swimming wear
JP4368364B2 (en) Exercise spats
JP4295188B2 (en) Sports wear
JP7328333B2 (en) swimsuit
JPH073505A (en) Shape-up clothes
CN100377673C (en) Wearing article with crotch
JP2005146450A (en) Athletic tights
JP7494087B2 (en) Swimwear
JP5946393B2 (en) Swimsuit
JP2022064699A (en) Swimming wear
WO2019172028A1 (en) Sports underpants
JP2010281008A (en) Swimming suit having musculus gluteus medius tightening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