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041A -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5041A KR20210015041A KR1020190093283A KR20190093283A KR20210015041A KR 20210015041 A KR20210015041 A KR 20210015041A KR 1020190093283 A KR1020190093283 A KR 1020190093283A KR 20190093283 A KR20190093283 A KR 20190093283A KR 20210015041 A KR20210015041 A KR 202100150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part
- coil
- flange
- fus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 이너 보빈과,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 이너 보빈과,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과,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퓨즈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물, 냉매, 공기 등의 유로를 개폐하거나 유로의 크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전자식 밸브이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플런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런저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유로가 개폐되거나, 상기 유로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상기 열이 소정의 온도가 되면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퓨즈를 구비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157호(2011.04.06. 공개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퓨즈를 구비한 '전자식 급수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은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에 퓨즈가 설치되어서, 상기 코일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퓨즈가 끊어져서 상기 코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상기 코일에 상기 퓨즈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납땜하여 결합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코일에 납땜에 의해 쇼트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작업을 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코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의 일단만이 상기 보빈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타단은 상기 보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의 타단에 상기 코일을 연결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코일과 터미널의 연결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너 보빈과, 코일과, 플런저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과, 퓨즈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보빈은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보빈은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 보빈은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코일연결부는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된다.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타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는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와 교차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은 상기 제1 플랜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에는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사이에 호형상의 제1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만곡부는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사이에 호형상의 제2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제2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사이에 제3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아우터 보빈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보빈은 상기 이너 보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제1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일면을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셰이딩 코일과, 셰이딩 코일 가이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이딩 코일은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는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부를 통해 상기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는 상기 플런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는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제2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타면을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브라켓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양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보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의 타면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는 플랜지 바디와 플랜지 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캡은 상기 플랜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는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은, 퓨즈용접단계와 보빈사출단계와 터미널커팅단계와 코일권선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퓨즈용접단계에서는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이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이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및 상기 제3 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부재를 준비한 후,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퓨즈를 용접하여, 상기 퓨즈로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한다. 상기 보빈사출단계에서는 상기 퓨즈가 용접된 상기 터미널부재를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터미널커팅단계에서는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1 연결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2 연결부를 제거한다. 상기 코일권선단계에서는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코일의 일단을 상기 제1 코일연결부에 연결하고, 상기 코일의 타단을 상기 제2 코일연결부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은 상기 코일권선단계 후에 코일보호단계와 보빈보호단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보호단계에서는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을 보호테이프로 감쌀 수 있다. 상기 보빈보호단계에서는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상기 이너 보빈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 내에 수용하고,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를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유닛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사용된다. 상기 터미널 유닛은 터미널부재와 퓨즈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부재는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과,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터미널의 일단부에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터미널의 타단부에는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한다.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되어,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에 따르면, 퓨즈가 이너 보빈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터미널에 형성된 제1 코일연결부와 제2 터미널에 형성된 제2 코일연결부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서 코일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코일연결부에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서 상기 코일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코일연결부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브라켓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단면도,
도 6은 제1 터미널, 제2 터미널, 제3 터미널 및 퓨즈가 제1 플랜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랜지 캡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퓨즈용접단계 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보빈사출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터미널커팅단계, 코일권선단계 및 코일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d는 도 9에 도시된 보빈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브라켓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단면도,
도 6은 제1 터미널, 제2 터미널, 제3 터미널 및 퓨즈가 제1 플랜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랜지 캡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퓨즈용접단계 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보빈사출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터미널커팅단계, 코일권선단계 및 코일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d는 도 9에 도시된 보빈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브라켓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너 보빈(10)과, 코일(20)과, 플런저(30)와, 제1 터미널(41)과, 제2 터미널(42)과, 제3 터미널(43)과, 퓨즈(50)와, 아우터 보빈(60)과, 셰이딩 코일(70)과,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와, 브라켓(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은 길이방향으로 중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5)은 원형의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은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는 이너 보빈(10)의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은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2)는 이너 보빈(10)의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 이너 보빈(1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플랜지(11)는 이너 보빈(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플랜지(12)는 이너 보빈(1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이너 보빈(10)의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이너 보빈(10)의 일단부는 이너 보빈(10)의 상단부로, 이너 보빈(10)의 일단은 이너 보빈(10)의 상단으로, 이너 보빈(10)의 타단부는 이너 보빈(10)의 하단부로, 이너 보빈(10)의 타단은 이너 보빈(10)의 하단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플런저(30), 아우터 보빈(60), 셰이딩 코일 가이드(80) 및 브라켓(90) 각각의, 일단은 상단으로, 타단은 하단으로, 일측은 상측으로, 타측은 하측으로, 일면은 상면으로, 타측은 하면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플랜지(11)는, 환형의 일부를 형성하는 아크형부(11A)와, 아크형부(11A)에서 연장되되 아크형부(11A)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아크형부(11A)에 가장 먼 끝단의 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판형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형부(11A)의 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형부(11B)의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플랜지(11)의 둘레면 중, 아크형부(11A)에 해당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판형부(11B)에 해당하는 면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형부(11B)의 측면은 3개의 평면으로 형성된다.
판형부(11B)의 측면이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너 보빈(10)이 아우터 보빈(60) 내에 삽입된 상태일 때, 이너 보빈(10)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플랜지(1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제외한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20)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될 수 있다. 코일(20)은 전류가 통하는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코일(20)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20)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코일(20)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될 수 있다. 도면에는 코일(20)이 와이어의 형태로 나타나 있지 않으나, 이는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20)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20)을 보호테이프(25)로 감싼 후, 이너 보빈(10)의 외측에 수지가 몰딩될 수 있으며, 이 몰딩된 수지는 경화되어 아우터 보빈(60)이 될 수 있다.
코일(20)을 감싼 보호테이프(25)와, 아우터 보빈(60)은, 코일(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코일(20)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플런저(30)는 원형의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30)는 중공(15)에 삽입되어 이너 보빈(10)의 상단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30)는 코일(2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미널(41)의 제1 플러그부(41A)에 양전류가 입력되고, 제3 터미널(43)의 제2 플러그부(43A)에 음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플런저(30)는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터미널(41)의 제1 플러그부(41A)에 음전류가 입력되고, 제3 터미널(43)의 제2 플러그부(43A)에 양전류가 입력되는 경우, 플런저(3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플런저(3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별도로 마련된 유로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유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수기에 설치되는 경우, 플런저(3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정수기 내에 마련된 수로를 닫을 수 있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정수기 내에 마련된 수로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는 플랜지 바디(11C)와 플랜지 캡(11D)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바디(11C)의 일면에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가 안착될 수 있다. 플랜지 캡(11D)은 플랜지 바디(11C)에 결합되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덮을 수 있다.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서, 상기 수지가 경화된 이너 보빈(10)을 먼저 사출한 후,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플랜지 바디(11C)의 상측면에 배치시킨 후, 플랜지 바디(11C)의 상측면을 플랜지 캡(11D)으로 덮어서,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이너 보빈(1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외부로부터 아우터 보빈(60) 내로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이너 보빈(10)과 금형 내에서 인서트 사출되어, 이너 보빈(10) 및 아우터 보빈(6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 및 아우터 보빈(60)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이너 보빈(10)을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제1 플랜지(11)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아우터 보빈(60)의 상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플랜지 캡(11D)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세이딩 코일(20)은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는 이너 보빈(10)의 하단부를 통해 중공(15)에 삽입될 수 있다.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는 플런저(30)를 향하는 상면에 셰이딩 코일(20)이 삽입되는 삽입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는 삽입홈(81)의 바닥면에 셰이딩 코일(20)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은 제2 플랜지(12)보다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은 아우터 보빈(60)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다.
브라켓(90)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양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9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브라켓(90)에는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9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홀(95)은 브라켓(90)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의 하면에는 이너 보빈(10)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83)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90)에는 결합돌기(83)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9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96)은 브라켓(90)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90)은 브라켓 바디(91)와 브라켓 커버(9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91)는, 제2 삽입홀(96)이 형성된 바닥판부(91A)와, 바닥판부(91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위로 연장되는 양측판부(91B)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판부(91B)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홀(95)은 브라켓 커버(92)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커버(92)는 양측판부(91B)의 끝단 사이를 덮을 수 있고, 양측판부(91B)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커버(92)는 바닥판부(91A)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제1 터미널, 제2 터미널, 제3 터미널 및 퓨즈가 제1 플랜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랜지 캡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터미널(41)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4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는 제1 플랜지(11)의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터미널(41)의 타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코일연결부(41B)가 형성된다. 제1 코일연결부(41B)는 코일(2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일단부를 제1 코일연결부(41B)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제1 코일연결부(41B)는 제1 플랜지(11)의 타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일연결부(41B)는 제1 플러그부(41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플랜지(11)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터미널(41)에는 제1 플러그부(41A) 및 제1 코일연결부(41B) 사이에 호형상의 제1 만곡부(41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만곡부(41C)는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중공(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2)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코일연결부(4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연결부(42A)는 코일(2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타단부를 제2 코일연결부(42A)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제2 코일연결부(42A)는 제1 플랜지(11)의 타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코일연결부(42A)는 후술하는 제2 플러그부(43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플랜지(11)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는 제1 플랜지(11)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2)의 타단부에는 제1 퓨즈연결부(4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는 제2 코일연결부(42A)와 교차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은 제1 플랜지(11)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미널(42)은 제2 코일연결부(42A) 및 제1 퓨즈연결부(42B) 사이에 호형상의 제2 만곡부(4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만곡부(42C)는 제1 만곡부(41C)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중공(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터미널(43)의 일단부에는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4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러그부(43A)는 제1 플랜지(11)의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제1 플랜지(11)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제1 플랜지(11)의 판형부(11B) 중 아크형부(11A)에서 먼 끝단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의 상단부는 제1 플랜지(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의 상단부 중 제1 플랜지(11)의 판형부(11B)에 대응되는 부분의 끝단은, 브라켓(90)의 개구된 일면을 통해 브라켓(9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이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된 상태일 때,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아우터 보빈(60)의 상단부 중 브라켓(9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된 부분의 끝단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은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가 돌출되는 일측이 브라켓(90)의 개구된 일면을 통해 브라켓(9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터미널(43)의 타단부에는 제2 퓨즈연결부(4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퓨즈연결부(43B)는 제2 플러그부(43A)와 교차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은 제1 플랜지(11)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는 제1 플랜지(11)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는 제1 플러그부(41A), 제2 플러그부(43A),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와 교차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터미널(43)은 제2 플러그부(43A) 및 제2 퓨즈연결부(43B) 사이에 제3 만곡부(43C)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만곡부(43C)는 제1 만곡부(41C) 및 제2 만곡부(42C)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중공(1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퓨즈(50)는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를 연결할 수 있다. 퓨즈(50)는 전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발생된 열이 소정온도 이상이면 끊어져서 코일(20)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플랜지 바디(11C)의 상면과 플랜지 캡(11D)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퓨즈(50)가 쉽게 끊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랜지 바디(11C)의 상면과 플랜지 캡(11D)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퓨즈(50)가 삽입되는 홈이 소정의 여유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퓨즈(50)는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에 용접될 수 있다. 퓨즈(50)의 일단부는 제1 퓨즈연결부(42B)에 용접될 수 있고, 퓨즈(50)의 타단부는 제2 퓨즈연결부(43B)에 용접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이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된 상태일 때,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아우터 보빈(6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별도로 마련된 콘센트의 홈에 꼽혀서 상기 콘센트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의 내주면에는, 제1 코일연결부(41B)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1 홈(60A)과, 제2 코일연결부(42A)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2 홈(60B)과,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3 홈(60C)과,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이 삽입되는 제4 홈(60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일연결부(41B)의 끝단이 제1 홈(60A)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1 터미널(41)은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코일연결부(42A)의 끝단이 제2 홈(60B)에 삽입되고,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이 제3 홈(60C)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2 터미널(42)은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이 제4 홈(60D)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3 터미널(43)은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시키기 위해, 제1 플랜지(11)가 플랜지 바디(11C) 및 플랜지 캡(11D)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가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되어서,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너 보빈(10)을 상기 금형 내에서 사출할 시, 상기 금형 내에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이너 보빈(10)을 형성하기 위한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서,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할 수 있다.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이 완료되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는 제1 플랜지(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따른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은, 퓨즈용접단계(S1)와, 보빈사출단계(S2)와, 터미널커팅단계(S3)와, 코일권선단계(S4)와, 코일보호단계(S5)와, 보빈보호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a 내지 도 10d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퓨즈용접단계 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a를 참조하면, 퓨즈용접단계(S1)에서는 터미널부재(40)를 준비한 후,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에 퓨즈(50)를 용접하여, 퓨즈(50)로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부재(40)에 퓨즈(50)가 용접되어 일체로 된 구성을 솔레노이드 밸브에 사용되는 터미널유닛으로 지칭할 수 있다.
터미널부재(40)는 추후에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및 제3 터미널(43)이 되는 부재일 수 있다. 즉, 터미널부재(40)는 제1 코일연결부(41B)의 끝단 및 제2 코일연결부(42A)의 끝단이 제1 연결부(44)에 의해 연결되고, 제1 퓨즈연결부(42B)의 끝단 및 제2 퓨즈연결부(43B)의 끝단이 제2 연결부(45)에 의해 연결되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및 제3 터미널(43)이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보빈사출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보빈사출단계(S2)에서는 상기 터미널유닛인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를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할 수 있다. 즉,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를 금형 내에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금형 내에서 사출된 후 이너 보빈(10)이 되는 수지일 수 있다.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는 상기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되어 이너 보빈(10)의 제1 플랜지(1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를 금형 내에서 이너 보빈(10)과 인서트 사출하면, 제1 플러그부(41A), 제2 플러그부(43A), 제1 코일연결부(41B), 제2 코일연결부(42A), 제1 퓨즈연결부(42B), 제2 퓨즈연결부(43B), 제1 연결부(44) 및 제2 연결부(45)는 제1 플랜지(11)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터미널부재(40)의 나머지 부분과 퓨즈(50)는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을 상기 금형 내에서 사출할 시, 퓨즈(50)가 용접된 터미널부재(40)가 일체로 결합된 상기 터미널유닛 하나만을 상기 금형 내에 삽입하기 때문에,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금형 내에서 삽입하는 경우에 비해,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제3 터미널(43) 및 퓨즈(50)를 제1 플랜지(11) 내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터미널커팅단계, 코일권선단계 및 코일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c를 참조하면, 터미널커팅단계(S3)에서는 제1 코일연결부(41B) 및 제2 코일연결부(42A)를 커팅하여 제1 연결부(44)를 제거할 수 있고, 제1 퓨즈연결부(42B) 및 제2 퓨즈연결부(43B)를 커팅하여 제2 연결부(45)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4) 및 제2 연결부(45)를 제거하면, 터미널부재(40)는 제1 터미널(41), 제2 터미널(42) 및 제3 터미널(43)로 분할될 수 있다.
코일권선단계(S4)에서는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코일(20)을 권선한 후, 코일(20)의 일단부를 제1 코일연결부(41B)에 연결할 수 있고, 코일(20)의 타단부를 제2 코일연결부(42A)에 연결할 수 있다.
코일보호단계(S5)에서는 이너 보빈(10)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20)을 보호테이프(25)로 감쌀 수 있다.
도 10d는 도 9에 도시된 보빈보호단계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d를 참조하면, 보빈보호단계(S6)에서는 이너 보빈(10)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이너 보빈(10)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이너 보빈(10)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하면, 이너 보빈(10) 및 아우터 보빈(60)은 일체가 될 수 있다.
이너 보빈(10)을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하면, 제1 플러그부(41A) 및 제2 플러그부(43A)는 아우터 보빈(6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보빈(10)을 아우터 보빈(60) 내에 수용하면,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아우터 보빈(60)의 상면을 관통할 수 있고,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은 아우터 보빈(60)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후에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의 삽입홈(81)에 셰이딩 코일(70)을 삽입한 후, 셰이딩 코일 가이드(80)를 이너 보빈(10)의 하단(17)을 통해 중공(15)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후에, 아우터 보빈(60)을 브라켓 바디(91)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아우터 보빈(60)를 브라켓 바디(91) 내에 삽입하면, 셰이딩 코일 가이드(80)에 형성된 결합돌기(83)는 브라켓 바디(91)에 형성된 제2 삽입홀(96)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에,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을 통해 중공(15)에 플런저(30)를 삽입한 후, 브라켓 바디(91)의 상단에 브라켓 커버(92)를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91)의 상단에 브라켓 커버(92)를 결합하면, 이너 보빈(10)의 상단(16)은 브라켓 커버(92)에 형성된 제1 삽입홀(95)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바디(91)의 상단에 브라켓 커버(92)를 결합하면, 플런저(30)의 상단은 브라켓 커버(92)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퓨즈(50)가 이너 보빈(10)의 제1 플랜지(11)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터미널(41)에 형성된 제1 코일연결부(41B)와 제2 터미널(42)에 형성된 제2 코일연결부(42A)가 제1 플랜지(1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일단부를 제1 코일연결부(41B)에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이너 보빈(10)의 외측에서 코일(20)의 타단부를 제2 코일연결부(42A)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이너 보빈
11 : 제1 플랜지
11C : 플랜지 바디 11D : 플랜지 캡
12 : 제2 플랜지 15 : 중공
20 : 코일 25 : 보호테이프
30 : 플런저 40 : 터미널부재
41 : 제1 터미널 41A : 제1 플러그부
41B : 제1 코일연결부 41C : 제1 만곡부
42 : 제2 터미널 42A : 제2 코일연결부
42B : 제1 퓨즈연결부 42C : 제2 만곡부
43 : 제3 터미널 43A : 제2 플러그부
43B : 제2 퓨즈연결부 43C : 제3 만곡부
44 : 제1 연결부 45 : 제2 연결부
50 : 퓨즈 60 : 아우터 보빈
70 : 셰이딩 코일 80 : 셰이딩 코일 가이드
81 : 삽입홈 82 : 가이드돌기
83 : 결합돌기 90 : 브라켓
91 : 브라켓 바디 92 : 브라켓 커버
95 : 제1 삽입홀 96 : 제2 삽입홀
11C : 플랜지 바디 11D : 플랜지 캡
12 : 제2 플랜지 15 : 중공
20 : 코일 25 : 보호테이프
30 : 플런저 40 : 터미널부재
41 : 제1 터미널 41A : 제1 플러그부
41B : 제1 코일연결부 41C : 제1 만곡부
42 : 제2 터미널 42A : 제2 코일연결부
42B : 제1 퓨즈연결부 42C : 제2 만곡부
43 : 제3 터미널 43A : 제2 플러그부
43B : 제2 퓨즈연결부 43C : 제3 만곡부
44 : 제1 연결부 45 : 제2 연결부
50 : 퓨즈 60 : 아우터 보빈
70 : 셰이딩 코일 80 : 셰이딩 코일 가이드
81 : 삽입홈 82 : 가이드돌기
83 : 결합돌기 90 : 브라켓
91 : 브라켓 바디 92 : 브라켓 커버
95 : 제1 삽입홀 96 : 제2 삽입홀
Claims (16)
-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 이너 보빈;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 및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타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는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와 교차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은 상기 제1 플랜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사이에,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제1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사이에, 상기 제1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제2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제2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사이에,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 배치되는 호형상의 제3 만곡부가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보빈을 내부에 수용하는 아우터 보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는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제1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일면을 관통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9에 있어서,
링형의 셰이딩 코일과,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부를 통해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셰이딩 코일 내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셰이딩 코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제2 플랜지보다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은 상기 아우터 보빈의 타면을 관통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너 보빈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양면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보빈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셰이딩 코일 가이드의 타면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이너 보빈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가 일면에 안착되는 플랜지 바디와,
상기 플랜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를 덮는 플랜지 캡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상기 제3 터미널 및 상기 퓨즈는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 이너 보빈;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 및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이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이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터미널, 상기 제2 터미널 및 상기 제3 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부재를 준비한 후,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퓨즈를 용접하여, 상기 퓨즈로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용접단계;
상기 퓨즈가 용접된 상기 터미널부재를 금형 내에서 상기 이너 보빈과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제1 플러그부, 상기 제2 플러그부, 상기 제1 코일연결부, 상기 제2 코일연결부, 상기 제1 퓨즈연결부, 상기 제2 퓨즈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보빈사출단계;
상기 제1 코일연결부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1 연결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커팅하여 상기 제2 연결부를 제거하는 터미널커팅단계; 및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코일의 일단부를 상기 제1 코일연결부에 연결하고, 상기 코일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코일연결부에 연결하는 코일권선단계;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선단계 후에,
상기 이너 보빈의 외주에 권선된 코일을 보호테이프로 감싸는 코일보호단계; 및
상기 이너 보빈의 외측에 수지를 몰딩하여 상기 이너 보빈을 상기 수지가 경화된 아우터 보빈 내에 수용하고, 상기 제1 플러그부 및 상기 제2 플러그부를 상기 아우터 보빈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보빈보호단계;를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작방법. - 솔레노이드 밸브에 사용되는 터미널유닛에 있어서,
일단부에 제1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코일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1 코일연결부가 형성된 제1 터미널과, 일단부에 상기 코일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 코일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2 터미널과, 일단부에 제2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퓨즈연결부가 형성된 제3 터미널과, 상기 제1 코일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코일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퓨즈연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에 용접되어, 상기 제1 퓨즈연결부 및 상기 제2 퓨즈연결부를 연결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터미널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283A KR102215742B1 (ko) | 2019-07-31 | 2019-07-31 |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283A KR102215742B1 (ko) | 2019-07-31 | 2019-07-31 |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5041A true KR20210015041A (ko) | 2021-02-10 |
KR102215742B1 KR102215742B1 (ko) | 2021-02-16 |
Family
ID=7456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3283A KR102215742B1 (ko) | 2019-07-31 | 2019-07-31 |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574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7527A (ko) * | 2008-01-11 | 2009-07-15 | 한라공조주식회사 |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접지터미널 설치구조 |
KR20100031828A (ko) * | 2008-09-16 | 2010-03-25 |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솔레노이드 |
KR20110035157A (ko) | 2009-09-30 | 2011-04-06 |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전자식 급수밸브 |
KR101460633B1 (ko) * | 2013-11-07 | 2014-11-20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단자 조립식 솔레노이드 |
KR101470073B1 (ko) * | 2012-06-21 | 2014-12-15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
KR101715874B1 (ko) * | 2016-07-12 | 2017-03-13 | 배수근 | 솔레노이드 밸브 결합 구조체 |
-
2019
- 2019-07-31 KR KR1020190093283A patent/KR1022157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7527A (ko) * | 2008-01-11 | 2009-07-15 | 한라공조주식회사 |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접지터미널 설치구조 |
KR20100031828A (ko) * | 2008-09-16 | 2010-03-25 |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솔레노이드 |
KR20110035157A (ko) | 2009-09-30 | 2011-04-06 |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전자식 급수밸브 |
KR101470073B1 (ko) * | 2012-06-21 | 2014-12-15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
KR101460633B1 (ko) * | 2013-11-07 | 2014-11-20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단자 조립식 솔레노이드 |
KR101715874B1 (ko) * | 2016-07-12 | 2017-03-13 | 배수근 | 솔레노이드 밸브 결합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5742B1 (ko) | 2021-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83277B1 (en) | Electromagnetic drive coil unit and molding method thereof | |
CN108879102B (zh) | 天线仪器 | |
CN100404900C (zh) | 用于压缩机的电磁离合器的励磁线圈组件 | |
KR102091117B1 (ko) |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 |
US20050275498A1 (en) | Coil bobbin and transformer | |
EP0544477A1 (en) | Molded transformer | |
US8117735B2 (en) | Two piece bi-metal coil terminal and electrical coil assembly incorporating same | |
US7187262B1 (en) | Plastic sealing of solenoid bobbins | |
JP4602963B2 (ja) | 内燃エンジンのための燃料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20130186986A1 (en) | Fuel Injector Having a Reduced Number of Components | |
KR20140003131A (ko) | 코일 부품과 그 실장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
KR102172923B1 (ko) |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 |
KR102215742B1 (ko) |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것의 제작방법과 솔레노이드 밸브에 포함되는 터미널유닛 | |
JP2017103549A (ja) |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 |
CN114365244B (zh) | 树脂模制电磁线圈及其制造方法、以及具备该树脂模制电磁线圈的电磁阀 | |
KR102024534B1 (ko) | 다이오드 파손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전자클러치용 코일 어셈블리 | |
US20190378641A1 (en) | Inductor and inductor manufacturing method | |
CN113196424B (zh) | 模制线圈及其制造方法 | |
KR20160042559A (ko) | 코일 부품 | |
US8587397B2 (en) | Solenoid with a connection region | |
CN211181815U (zh) | 电磁线圈结构和膨胀阀 | |
US3138771A (en) | Meltable plastic spacer for securing coil to tubular support and housing, and methodof assembly | |
CN112992464A (zh) | 电磁线圈结构和膨胀阀 | |
JP2016052035A (ja) | アンテナ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2823401B (zh) | 变压器及其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