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602A -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602A
KR20210014602A KR1020200094718A KR20200094718A KR20210014602A KR 20210014602 A KR20210014602 A KR 20210014602A KR 1020200094718 A KR1020200094718 A KR 1020200094718A KR 20200094718 A KR20200094718 A KR 20200094718A KR 20210014602 A KR20210014602 A KR 20210014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extraction
spoiler
suc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198B1 (ko
Inventor
토비아스 바그너
세바스티안 좀머
파트릭 보흘
안드레아스 뢰스너
한스-게오르그 게우스
Original Assignee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ublication of KR2021001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2Inorganic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25/00Lap-forming devices not integral with machines specified abov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섬유를 방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적 돌기 및 부직포 웹으로 섬유를 적층하기 위한 통기성 적층 컨베이어를 갖는다. 메인 추출 영역에서 섬유의 적층 영역에서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를 흡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기가 제공된다. 입구 영역에서 적층 컨베이어 아래의 메인 추출 영역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흡입 파티션에 의해 한정되는 적층 컨베이어 및 적층 컨베이어의 출구 영역에 한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 또는 적층 컨베이어로부터의 가장 짧은 수직 간격에 있는 관련 흡입 파티션의 부분은 10 ㎜ 내지 250 ㎜의 적층 컨베이어에 대한 수직 간격(A)을 갖는다.

Description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NONWOVEN FABRIC FROM FIBERS}
본 발명은 섬유,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섬유를 방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적 장치 및 부직포 웹(nonwoven web) 또는 부직포 상으로 섬유의 적층을 위한 통기성 적층 컨베이어(air-permeable deposit conveyor), 특히 메쉬 벨트(mesh belt)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로부터 이러한 부직포를 제조하는 상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는 연속 필라멘트이다. 연속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10 ㎜ 내지 60 ㎜의 상당히 더 짧은 길이를 갖는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s)와는 그들의 거의 무한한 길이(endless length)로 인해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연속 필라멘트로 구성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 nonwoven fabric)이다.
위에서 설명한 유형의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실제로 그리고 종래 기술로부터 상이한 변형예들로 알려져 있다. 많은 용례들에서, 두께가 크고 연성(softness)이 높은 부직포가 필요하다. 크림핑(crimped) 또는 크림핑된 필라멘트가 사용되는 경우, 부직포의 높은 두께가 일반적으로 달성된다. 특히, 나란한 구성 또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eccentric core-sheath configuration)을 갖는 다성분 필라멘트 또는 2성분 필라멘트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상당한 두께 및 연성은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비교적 낮은 강도와 관련이 있다. 이는 기계 방향(MD)에서의 인장 강도 및 부직포 표면의 내마모성 모두에 적용된다. 부직포 재료의 압밀로 인한 강도의 증가는 차례로 부직포의 두께의 감소 및/또는 연성의 감소로 이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목표의 충돌이 존재한다. 다른 문제점은 적층된 부직포 웹이 특히 영역에 대해 종종 바람직한 균일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직포 면 또는 부직포 표면의 결함이 종종 발견된다. 이러한 결함은 주로 소위 블로우 백 효과(blow-back effects)에 의해 발생한다. 적층 컨베이어 상에 적층된 부직포 웹이 적층 컨베이어의 더 흡입된 영역으로부터 적층 컨베이어의 덜 흡입된 영역으로 전이될 때, 필라멘트 또는 부직포 구성 요소는, 말하자면, 덜 흡입된 영역으로부터 더 흡입된 영역으로 당겨지게 된다(pulled out of)(블로우 백 효과). 이는 부직포 웹 또는 부직포 표면에서 교란 결함(disturbing defects) 또는 클럼프(clumps)를 초래한다. 이들은 최적의 제품 품질의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두께 및 높은 연성을 갖는 부직포가 제조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강도 또는 내마모성을 특징으로 하며, 무엇보다도 대체로 결함이 없고 특히 섬유 클럼프가 없는 부직포를 섬유로부터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부직포를 제조하는 상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섬유,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교시하며, 섬유를 방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적 돌기 및 부직포 웹 또는 부직포를 형성하기 위해 섬유의 적층을 위한 통기성 적층 컨베이어, 특히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메쉬 벨트가 제공되며,
메인 추출 영역(main extraction area)에서 섬유의 적층 영역에서 또는 메인 적층 영역에서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를 아래로부터 흡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출기가 제공되며, 적층 컨베이어 아래의 메인 추출 영역은 (입구 측의) 적층 컨베이어의 입구 영역 및 (출구 측의) 적층 컨베이어의 출구 영역으로 형성되고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흡입 파티션(suction partition)에 의해 한정되며,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가장 짧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 특히 하나의 흡입 파티션 또는 대응하는 흡입 파티션의 부분의 컨베이어 측 단부는 10 ㎜ 내지 250 ㎜, 특히 25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29 ㎜ 내지 14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120 ㎜의 적층 컨베이어로부터의 수직 간격(A)을 갖는다. "수직 간격(A)"은, 특히 컨베이어 측에서 흡입 파티션의 단부를 통해 연장되고 적층 컨베이어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수직선을 따라 측정되는 간격(A)을 의미한다.
여기서 그리고 아래에 주어진 기하학적 파라미터 및 기하학적 관계는 특히 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 즉 특히 공기 또는 공정 공기의 추출이 없고 열 공기(hot air)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하학적 파라미터 및 관계가 또한 공기 충전 상태에서 정확하거나 또는 적어도 대체로 정확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영역과 스포일러 부분(spoiler parts) 사이의 흡입 파티션들 또는 파티션들은 유체적 양태에 따라 설계되는 것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데, 왜냐하면 이들 부분들은 또한 유동 지향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간격(A)은 20 ㎜ 내지 160 ㎜,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150 ㎜, 특히 30 ㎜ 내지 150 ㎜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 특히 하나의 흡입 파티션은, 그 상부 컨베이어 측 단부에, 나머지 흡입 파티션으로부터 각을 이루고 스포일러로 설계되는 파티션 섹션을 포함한다.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가장 짧은 수직 간격을 갖는 이러한 스포일러의 컨베이어 측 단부 또는 이러한 스포일러의 최상단 부분은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수직 간격(A)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권장 실시예에서, 흡입 파티션의 스포일러 또는 각을 이룬 단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적층 컨베이어 또는 적층 컨베이어 면(F)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수직선(V) 또는 장치의 수직 중심 평면(M)과 각도(α)를 형성한다. 이러한 각도(α)는 유리하게는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85° 미만이다. 이러한 권장 실시예에서, 스포일러는 직선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형 단면을 갖는 경사지게 각을 이룬 스포일러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 특히 하나의 흡입 파티션은, 그 컨베이어 측 단부에,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2개의 스포일러 부분을 갖는 L-형 요소 형태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이 스포일러의 컨베이어 측 단부 또는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가장 짧은 수직 간격을 갖는 이 스포일러의 부분은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수직 간격(A)을 갖는다. 스포일러 또는 L-형 요소는 적층 컨베이어 면(F)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는 스포일러 부분을 갖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스포일러 또는 L-형 요소는 적층 컨베이어 면(F)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스포일러 부분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2개의 스포일러 부분은 유리하게는 서로 직접 연결되어 L-형 요소를 형성한다.
스포일러의 코너 또는 굴곡점 및/또는 스포일러의 평행한 스포일러 부분의 연결점은 20 ㎜ 내지 200 ㎜, 특히 30 ㎜ 내지 190 ㎜의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로부터의 수직 간격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공기 또는 공정 공기의 최대 추출은 섬유의 메인 적층 영역 아래의 2개의 흡입 파티션에 의해 한정된 메인 추출 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추가의 추출 영역에서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흡입되는 경우,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인 추출 영역에서 추출된 공기 또는 공정 공기는 가장 높은 추출 속도(vH)를 갖는다. 추가의 추출 영역이 메인 추출 영역의 상류 및/또는 하류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에 의한 추출과 관련하여 공기 또는 공정 공기의 추출 속도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 바로 위에서, 유리하게는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또는 메쉬 벨트로부터 0 ㎜ 내지 5 ㎜의 간격에서 측정된다.
섬유의 메인 적층 영역 아래에서 2개의 흡입 파티션에 의해 한정되는 추출 영역은 기본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컨베이어 측의 이들 2개의 흡입 파티션의 단부들은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일부 장치들에서 다소 만곡되어 있다. 그러나, 컨베이어 측의 이들 흡입 파티션들의 단부들은 적층 컨베이어까지 또는 메쉬 벨트까지 연장되고, 흡입 파티션의 컨베이어 단부와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 사이에는 매우 작은 간격만이 존재하거나 또는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와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 사이에 비교적 큰 수직 간격(A)이 유지된다는 점에서, 이들 공지된 장치들과는 이미 상당히 상이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메인 추출 영역의 단지 하나의 흡입 파티션만이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수직 간격(A)을 유지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컨베이어 측 상의 또는 그 컨베이어 측의 그 단부에 스포일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흡입 파티션은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출구 측의 흡입 파티션인 것이 권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도움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특히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파티션의 몸체로부터 각을 이루는 스포일러는 단면이 직선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이러한 스포일러의 표면은 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컨베이어 측에서 만곡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만곡되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흡입 파티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의 구성과 상이하다. 각을 이루는 스포일러는 적층 컨베이어 표면(F)에 수직으로 배향된 수직선에 대해 또는 장치의 수직 중심 평면(M)에 대해 각도(α)로 설정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각도(α)는 유리하게는 1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20°보다 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25°보다 크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α)는 30°보다 크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도(α)가 35°보다 크고 특히 40°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을 이루는 스포일러는 메인 추출 영역의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의 적층 컨베이어 측 파티션 섹션보다 적층 컨베이어 면(F)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선(V)에 대해 또는 장치의 수직 중심 평면(M)에 대해 더 각을 이루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는 메인 추출 영역의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의 적층 컨베이어 측 파티션 섹션보다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만큼 더 각을 이룬다.
본 발명의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는, 각을 이루는 스포일러가 적층 컨베이어 면(F) 상으로의 그 수직 투영에서, 메인 추출 구역의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의 적층 컨베이어 측의 각을 이룬 또는 구부러진 파티션 섹션의 대응하는 투영보다 더 큰 길이(L)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층 컨베이어 면(F) 상으로의 각을 이룬 스포일러의 투영의 길이(L)는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35 ㎜ 내지 180 ㎜,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150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L)는 50 ㎜ 내지 150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길이(L)가 적층 컨베이어로부터의 간격(A)보다 크거나 또는 간격(A)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장치의 중심 평면(M) 상으로의 투영에서, 각을 이룬 스포일러의 수직 높이(h), 유리하게는 5 ㎜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50 ㎜, 특히 15 ㎜ 내지 100 ㎜이다.
스포일러는 적층 컨베이어 측의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의 파티션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보다 그 컨베이어 측 단부에서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더 큰 수직 간격(A)을 유지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스포일러의 컨베이어 측 단부의 간격(A)은 유리하게는 메인 추출 영역의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의 적층 컨베이어 측 파티션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의 대응하는 간격(A)보다 적어도 0.8배, 특히 적어도 1.5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배 더 크다. 스포일러가 기계 방향(MD)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의 폭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에 걸쳐 연장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여기서 그리고 아래에서 "기계 방향(MD)"이라 함은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 또는 적층된 부직포 웹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포일러는 메인 추출 영역의 중심 또는 중심 평면(M)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각각의 흡입 파티션의 측면을 향해 배향되거나 또는 각을 이룬다. 여기서, 스포일러는 따라서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포일러는 메인 추출 영역의 중심 또는 중심 평면(M)을 향해 배향되거나 또는 각을 이룬다. 이 마지막 언급된 실시예에서, 스포일러는 따라서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는 유리하게는 섬유를 방적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방적 돌기 또는 방적 빔을 갖는 2-빔 시스템 또는 다중-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섬유를 방적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방적 돌기 또는 방적 빔이 제공되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메인 흡입 영역은 각각의 방적 돌기 또는 방적 빔과 관련되고, 이들 메인 흡입 영역의 각각은 2개의 흡입 파티션에 의해 한정되고,
각각의 메인 추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은 스포일러를 가지며,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제1 메인 적층 영역의 제1 스포일러,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1 메인 추출 영역의 출구 측 흡입 파티션에 연결된 스포일러는 이러한 제1 메인 추출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또는 중심 평면(M)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연결된 흡입 파티션의 측면에 대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고,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 메인 추출 영역의 제2 스포일러,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2 메인 추출 영역의 출구 측 흡입 파티션에 연결된 스포일러는 이러한 제2 메인 흡입 영역의 중심 또는 중심 평면(M)을 향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상류 추출 영역에 대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류 추출 영역에 대해, 본 실시예의 적어도 2개의 메인 추출 영역 각각에서, 최대 추출은 최고 추출 속도(vH)로 수행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이동 방향으로 제1 방적 빔과 관련된 스포일러는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고, 한편 이동 방향으로 제2 방적 빔과 관련된 스포일러는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룬다. 적어도 2개의 방적 빔에 의해 생성된 섬유 적층들 또는 부직포 웹이 동일한 적층 컨베이어 상에 또는 동일한 메쉬 벨트 상에 적층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그 외에는, 스포일러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구성들은 바람직하게는 2-바 시스템(two-bar system) 또는 다중-바 시스템의 적어도 2개의 스포일러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한 권장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스펀본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빔 시스템 또는 다중-빔 시스템으로 작업할 때, 이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개의 스펀본드 장치 또는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스펀본드 장치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크림핑된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스펀본드 장치이다. 유리하게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 또는 나란한 구성을 갖는 다성분 필라멘트 또는 2성분 필라멘트는 스펀본드 장치로 제조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장치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크림핑된 연속 필라멘트를 제조하는데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스펀본드 장치 구성 요소는 방적 돌기의 하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기 및 냉각기의 하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신기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확산기는 바람직하게는 연신기의 하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매우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냉각기와 연신기로 이루어진 서브 어셈블리가 폐쇄된 유닛으로서 설계되며, 냉각기에서의 냉각 공기의 공급 이외에, 이 서브 어셈블리로의 추가의 외부 공기 공급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라멘트의 유동 방향으로 확산기 또는 마지막 확산기를 떠나는 섬유 또는 연속 필라멘트는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 상에 적층된다.
본 발명의 매우 입증된 실시예는 적층 컨베이어 바로 위의 또는 메쉬 벨트 위의 확산기가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을 가지며, 2개의 하부 발산 확산기 벽 섹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산기의 2개의 하부 발산 확산기 벽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확산기의 중심 평면(M)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향된다. 적층 컨베이어에 대한 입구 측 확산기 벽 섹션은 출구 측 확산기 벽 섹션보다 확산기의 중심 평면(M)과 더 작은 각도(ß)를 형성하는 것이 권장된다. 유리하게는, 입구 측 확산기 벽 섹션이 중심 평면(M)과 형성하는 각도(ß)는 출구 측 확산기 벽 섹션이 중심 평면(M)과 형성하는 대응하는 각도보다 적어도 1° 더 작다. 중심 평면(M)에 대한 확산기의 비대칭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적층 컨베이어 측의 발산 확산기 벽 섹션의 단부는 장치의 중심 평면(M)과 다른 간격(e)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입구 측 확산기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의 간격(e1)은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중심 평면(M)으로부터 출구 측 확산기 벽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의 간격(e2)보다 더 작다. 간격들의 비(e1:e2)는 유리하게는 0.6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65 내지 0.9, 특히 0.7 내지 0.9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컨베이어로부터의 간격(A)은 간격들(e1 및 e2)의 합(e1 + e2)의 10% 내지 20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층 컨베이어 측의 발산 확산기 벽 섹션들의 단부들이 전달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로부터 상이한 수직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구 측 확산기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출구 측 확산기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보다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로부터 더 작은 간격을 갖는다. 입구 측 확산기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출구 측 확산기 섹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 간격의 20% 내지 60%, 특히 20% 내지 40%이다. 여기서, 간격들(e1 및 e2)은 유리하게는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에 대해 수평으로 또는 평행으로 측정된다. 2-바 시스템 또는 다중-바 시스템에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특히 제2 바의 확산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는, 적층 컨베이어 바로 위에 또는 메쉬 벨트 위에 배치된 확산기는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을 가지며, 확산기의 유입 단부에는 각각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들 중 하나에 있는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2차 공기 입구 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산기의 "유입 단부"는 여기서 인발된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들어가는 확산기의 단부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출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을 통한 것보다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입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을 통해 더 적은 2차 공기 스트림이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 방향(MD)에서의 입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은 출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보다 좁다. 입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의 폭 및/또는 출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의 폭이 조정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입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의 2차 공기 스트림은 출구 측 2차 공기 입구 슬롯을 통한 2차 공기 스트림보다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특히 적어도 15% 더 적은 것이 권장된다. 입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 및 출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에서 상이한 2차 공기 스트림을 갖는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장치의 메인 추출 영역은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흡입되는 제2 추출 영역이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의 이동 방향으로 뒤따르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제2 추출 영역에서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한 공정 공기의 추출 속도(v2)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보다 낮다. 이러한 제2 추출 영역에 더하여, 추가의 추출 영역이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방적 빔의 메인 추출 영역의 하류에 뒤따르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한 공기 또는 공정 공기의 추출 속도가 이동 방향으로 메인 추출 영역으로부터 추가의 추출 영역으로 감소하여, 메인 추출 영역이 가장 높은 추출 속도(vH)를 갖고, 제2 추출 영역이 제2 가장 높은 추출 속도(v2)를 가지며, 제2 추출 영역을 뒤따르는 추가의 추출 영역이 제2 추출 영역의 추출 속도(v2)보다 더 낮은 추출 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해 흡인되는 상류 추출 영역은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메인 추출 영역의 상류에 연결된다. 이 상류 추출 영역에서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한 공정 공기의 추출 속도(vV)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보다 더 낮다. 추출 속도(vV)는 유리하게는 제2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2)보다 더 크다. 이러한 상류 추출 영역은, 특히 후속하는 메인 추출 영역이 2-바 시스템 또는 다중-빔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적 빔을 뒤따르는 방적 빔과 관련되는 경우, 제공된다. 상류 추출 영역을 갖는 이러한 마지막에 언급된 실시예에서, 출구 측 흡입 파티션에 연결된 스포일러는 메인 추출 영역의 중심 또는 중심 평면(M)을 향해 유리하게는 각을 이룬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 스포일러는 또한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룰 수 있다. 2-바 시스템 또는 다중-바 시스템의 경우, 제1 방적 빔의 제1 메인 추출 영역의 출구 측 흡입 파티션에 연결된 스포일러는 이러한 제1 메인 추출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에 따라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향하도록, 연결된 흡입 파티션의 측면을 향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어야 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메인 추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의 적어도 하나의 스포일러 및 특히 출구 측 흡입 파티션의 하나의 스포일러가 설계 및/또는 배치 및/또는 정렬되며,
메인 추출 영역의 추출 속도(vH)로부터 제2 추출 영역의 추출 속도(v2)로의 연속적인 균일한 전이가 존재하고, 및/또는
상류 추출 영역의 추출 속도(vV)로부터 메인 추출 영역의 추출 속도(vH)로의 연속적인 균일한 전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출 속도는 적어도 14 ㎝, 특히 적어도 16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 ㎝ 길이의 전이 범위에 걸쳐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로부터 하류 제2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2)로 균일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류 추출 영역의 경우, 추출 속도는 적어도 10 ㎝, 특히 적어도 16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 ㎝의 길이에 걸쳐 상류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V)로부터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로 균일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두 경우 모두, 전이 범위는 길이가 유리하게는 최대 40 ㎝, 특히 최대 35 ㎝,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장치에서, 위에서 설명된 추출 속도의 감소 또는 추출 속도의 증가는 다소 급격하게 발생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 속도의 연속적인 전이를 위해 적어도 10 ㎝의 전이 범위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부직포를 예비-압밀시키기(preconsolidating)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예비-압밀기, 특히 하나의 예비-압밀기가 메인 추출 영역의 하류에 있는 제2 추출 영역의 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예비-입밀기는 유리하게는 열 공기 예비-입밀 장치 및 바람직하게는 열 공기 나이프이다. 원칙적으로, 열 공기 오븐이 또한 열 공기 예비-입밀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예비-입밀은 또한 압축 롤러 및/또는 캘린더를 사용해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입증된 실시예는 장치 또는 확산기의 중심 평면(M)과 예비-입밀기 사이의 간격(B)이 100 ㎜ 내지 1000 ㎜, 특히 110 ㎜ 내지 600 ㎜, 바람직하게는 120 ㎜ 내지 5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격(B)은 특히 중심 평면(M)과, 이동 방향으로 뒤따르는 예비-입밀기의 제1 구성 요소 또는 구조적 구성 요소 사이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섬유,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교시하고, 섬유는 방적되어 공기-투과성 적층 컨베이어, 특히 공기-투과성 메쉬 벨트 상에 부직포 웹 또는 부직포를 형성하도록 적층되고, 섬유를 위한 적층 영역에서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메인 추출 영역에서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해 아래로부터 흡입되고, 메인 추출 영역은 기계 방향(MD)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의 흡입 파티션에 의해 한정되고,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메인 추출 영역 또는 입구 측 흡입 파티션의 상류에 있는 추출 영역이 제공되고 및/또는 제2 추출 영역이 메인 추출 영역 또는 출구 측 흡입 파티션의 하류에 제공되며,
상류 추출 영역 및/또는 하류 제2 추출 영역에서, 공기가 메인 추출 영역에서보다 더 낮은 추출 속도로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해 흡입되고,
흡입 파티션의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측 파티션 섹션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고, 특히 각을 이룬 스포일러가 흡입 파티션의 컨베이어 측 단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정렬되어, 각각,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공기의 추출 속도는 상류 추출 영역으로부터 메인 추출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증가하고 및/또는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를 통해 추출된 공기의 추출 속도는 메인 추출 영역으로부터 하류 제2 추출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는 상류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V) 및/또는 하류 제2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2)보다 1.2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배, 매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배 더 크다. 추출 속도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10 ㎝, 특히 적어도 14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 ㎝ 길이의 전이 범위에서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로부터 하류 제2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2)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감소한다. 전이 범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 특히 최대 30 ㎝이다. 이와 관련하여, 언급된 추출 속도가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로부터 더 낮은 추출 속도(v2)로 급격히 감소하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방법과는 차이가 있다.
메인 추출 영역의 상류에 있는 추출 영역의 경우, 추출 속도는 적어도 10 ㎝, 특히 적어도 14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 ㎝의 길이의 전이 범위에서 상류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V)로부터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증가한다. 전이 범위는 유리하게는 최대 40 ㎝,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스펀본드 부직포는 연속 필라멘트, 특히 크림핑된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연속 필라멘트는 유리하게는 2성분 필라멘트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2성분 필라멘트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이다. 필라멘트 단면의 시스가 필라멘트 원주의 적어도 20%, 특히 적어도 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에 걸쳐 일정한 두께(d)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를 갖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2성분 필라멘트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필라멘트의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의 필라멘트 단면의 면적의 50% 초과, 특히 55%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초과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70% 초과를 차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유리하게는, 필라멘트의 코어는 필라멘트 단면에서 볼 때 원의 세그먼트의 형태로 설계되며, 그 원주에 대해, 원형 아치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아치형 표면 구역 및 직선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형 표면 구역을 갖는다. 코어의 원형 아치형 표면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코어의 원주의 50% 초과, 특히 55%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는 65% 초과를 차지한다. 필라멘트 단면에서 볼 때, 필라멘트의 시스는 시스 구역 외부에서 일정한 두께(d)를 갖는 원의 세그먼트의 형태로 형성되며, 여기서 원의 이러한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그 원주에 대해 원형 아치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아치형 표면 구역을 가지며 직선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형 표면 구역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라멘트 단면에서 볼 때, 필라멘트의 시스는 필라멘트 원주의 45% 초과, 특히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55% 초과, 바람직하게는 60% 초과에서 일정한 두께(d)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를 갖는다. 그 일정한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의 구역에서 시스의 두께는 필라멘트 직경(D) 또는 최대 필라멘트 직경(D)의 10% 미만, 특히 8%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인 것이 권장된다. 그 일정한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d)의 구역에서 시스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 ㎛ 내지 5 ㎛, 특히 0.1 ㎛ 내지 4 ㎛,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2 ㎛이다. 본 발명의 훨씬 바람직한 실시예는, 필라멘트 단면에 대해, 시스 중심으로부터 코어의 센트로이드(centroid)의 간격(a)이 필라멘트 직경(D) 또는 최대 필라멘트 직경(D)의 5% 내지 45%, 특히 6%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섬유 또는 연속 필라멘트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섬유 또는 연속 필라멘트는 유리하게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코어-시스 구성의 필라멘트 또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필라멘트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코어 및/또는 시스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다. 필라멘트의 코어 및 시스 양자 모두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시스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고,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원칙적으로, 필라멘트의 코어 및/또는 시스가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코폴리에스테르(copolyester)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는 필라멘트의 코어가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코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필라멘트의 시스가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변형 실시예는 필라멘트의 코어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고, 시스가 코어 성분보다 더 낮은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코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필라멘트, 또는 필라멘트의 코어 및/또는 시스의 성분이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E 공중합체, PP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ET 공중 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PBT 공중합체, 폴리락티드(PLA), PLA 공중합체"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또는 코어 및/또는 시스가 이들 중합체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필라멘트에서 시스의 플라스틱은 코어의 플라스틱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맥락에서, 1 den 내지 12 den, 매우 바람직하게는 1.0 den 내지 2.5 den의 선형 밀도를 갖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유리하게는 사용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는 선형 밀도가 1.7 den 내지 2.3 den, 바람직하게는 1.8 den 내지 2.2 den인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적층 영역 내에 그리고 메인 추출 영역 위에 적층된 부직포 웹이 메인 적층 영역 이후에 예비-입밀기에 의해 예비-입밀되고, 바람직하게는 열 공기에 의해 예비 압밀되는 것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비-압밀기 또는 열 공기 예비-입밀기는 유리하게는 공정 공기가 바람직하게는 추출 속도(v2)로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흡입되는 제2 추출 영역 위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예비-입밀기 이후에 부직포 웹은 적층 컨베이어에 의해, 또한 유리하게는 열 공기 예비-입밀기로서 설계되는 제2 예비-입밀기로 안내된다. 공정 열 공기는 메인 추출 영역의 추출 속도(vH)보다 낮고 또한 제2 추출 영역의 추출 속도(v2)보다도 낮은 추출 속도(vX)로, 이러한 제2 예비-입밀기에서 또는 그 아래에서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흡입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두 예비-입밀 또는 열 공기에 의한 두 예비-입밀기 모두가 동일한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수행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예비-입밀기는 열 공기 나이프로 설계되고, 제2 예비-입밀기는 열 공기 오븐으로 설계된다. 원칙적으로, 예비-입밀기들 또는 열 공기 예비-입밀기들의 다른 조합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 특히 대체로 결함이 없고 균일한 부직포 면 또는 부직포 표면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는 인식을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적층 컨베이어의 메인 적층 영역과 후속하는 영역들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의 유해한 역류 효과(블로우 백 효과)가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섬유의 관련 결함, 특히 클럼프가 대체로 회피될 수 있다는 인식을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이 크림핑된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에 특히 적합하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높은 두께 및 높은 연성을 갖는 부직포는 여기서 어떠한 문제도 없이 그리고 특히 결함 없이 그리고 파괴적인 섬유 클럼프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연속 필라멘트, 및 특히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상기 설명된 바람직한 필라멘트는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는 두께 또는 연성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손실을 수용할 필요 없이 용이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압밀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부직포의 충분한 강도(MD 방향) 및 다른 한편으로는 충분한 내마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동시에, 원하는 두께 및 연성이 문제 없이 유지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부직포 면의 파괴적 결함 없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두께, 연성, 강도 및 결함으로부터의 자유의 최적의 조합이 달성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원하는 특성이 파라미터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는 최적의 하이-로프트(high-loft) 부직포에 대한 모든 요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이러한 유리한 특성들은 비교적 적은 노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적층 컨베이어에서 도 1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3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2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메인 추출 영역과 제2 추출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의 위치에 대한 추출 속도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부분을 갖는 2-빔 시스템 또는 다중-빔 시스템을 통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편심 코어-시스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필라멘트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1은 열가소성 재료의 섬유로부터 부직포(1)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섬유는 연속 필라멘트(2)이고, 구체적으로 권장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2성분 필라멘트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바람직한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연속 필라멘트(2)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권장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스펀본드 장치로서 설계된다.
도 1은 연속 필라멘트(2)를 방적하기 위한 방적 돌기(10)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방적된 무한 필라멘트(2)는 냉각 챔버(12)를 갖는 냉각기(11) 내로 도입된다. 유리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공급 컴파트먼트(13 및 14)는 냉각 챔버(12)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서로 중첩되어 있다. 서로 다른 온도의 공기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 이들 공기 공급 컴파트먼트(13, 14)로부터 냉각 챔버(12) 내로 유리하게 도입된다.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모노머 추출기(15)가 방적 돌기(10)과 냉각기(11) 사이에 있다. 이러한 모노머 추출기(15)에 의해, 방적 공정 중에 발생하는 파괴성 가스가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들 가스는 예를 들어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분해 생성물 등일 수 있다.
필라멘트 유동 방향으로, 연속 필라멘트(2)를 인발하기 위한 연신기(16)가 냉각기(11)의 하류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연신기(16)는 냉각기(11)를 연신기(16)의 샤프트(18)에 연결하는 중간 통로(17)를 가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냉각기(11) 및 연신기(16)로 이루어진 서브 어셈블리 또는 냉각기(11), 중간 통로(17) 및 샤프트(18)로 이루어진 서브 어셈블리는 폐쇄 유닛으로서 설계되며, 냉각기(11)에서의 냉각 공기의 공급 이외에, 외부로부터 이 서브 어셈블리로의 추가의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권장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필라멘트(2)가 통과하는 확산기(19)는 필라멘트 유동 방향으로 연신기(16)에 인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기(19)를 통과한 후, 연속 필라멘트는 메쉬 벨트(20)로서 설계되는 적층 컨베이어 상에 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메쉬 벨트(20)는 무한으로 순환하는 메쉬 벨트(20)로서 설계된다. 메쉬 벨트(20)는 공기 투과성이므로, 공정 공기가 메쉬 벨트(20)를 통해 아래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적층 벨트(20) 바로 위의 확산기(19)는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기(20)의 중심 평면(M)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설계되는 2개의 하부 발산 확산기 벽 섹션(21, 22)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쉬 벨트 측의 입구 측의 확산기 벽 섹션(21) 또는 입구 측 확산기 섹션(21)의 단부는 메쉬 벨트 측의 출구 측 확산기 벽 섹션(22) 또는 출구 측 확산기 섹션(22)의 단부의 간격(e2)보다 확산기(19) 또는 장치의 중심 평면(M)으로부터 더 작은 간격(e1)을 갖는다. 권장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입구 측 확산기 섹션(21)은 대향하는 출구 측 확산기 벽 섹션(22)보다 확산기(19) 또는 장치의 중심 평면(M)과 더 작은 각도(ß)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권장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기(19)의 유입 단부(23)에는 각각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들 중 각각의 하나에 있는 2개의 대향하는 2차 공기 입구 갭(24, 25)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출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25)을 통한 것보다 메쉬 벨트(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입구 측의 2차 공기 입구 갭(24)을 통해 더 작은 2차 공기 스트림이 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추출 영역(27)에서 필라멘트(2)의 적층 영역 또는 메인 적층 영역(26)에서 메쉬 벨트(20)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를 흡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기가 제공된다. 메인 추출 영역(27)은 각각의 흡입 파티션(28.1 및 28.2)에 의해 메쉬 벨트(20)의 입구 영역 및 메쉬 벨트(20)의 출구 영역으로 메쉬 벨트(20) 아래로 한정된다.
흡입 파티션(28.1 및 28.2)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단부에서, 스포일러(30)로서 설계된 파티션 섹션을 컨베이어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은, 컨베이어 측의 그 단부에, 나머지 흡입 파티션(28.2)으로부터 각을 이루고 스포일러(30)로서 설계된 파티션 섹션을 갖는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포일러(30)는, 말하자면,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의 일체형 부분이며, 단지 이 파티션(28.2)의 각진 섹션으로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메쉬 벨트(20)로부터 스포일러(30)의 컨베이어 측 단부의 수직 간격(A)은 10 ㎜ 내지 250 ㎜,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8 ㎜ 내지 120 ㎜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스포일러(30)는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각각의 흡입 파티션(28.2)의 측면에서 각을 이룬다.
도 3은 스포일러(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포일러(30)는 여기서 출구 측 흡입 파티션 벽(28.2)에 별도의 L-형 요소로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L-형 요소는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는 2개의 스포일러 부분(34, 35)으로만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스포일러 부분(34, 35)은 서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포일러(30)의 하나의 스포일러 부분(34)은 메쉬 벨트(20)의 적층 컨베이어 면(F)에 수직이고, 다른 스포일러 부분(35)은 적층 컨베이어 면(F)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여기서, 컨베이어 측의 스포일러(30)의 단부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컨베이어 또는 메쉬 벨트(20)로부터 간격(A)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도 1에 따르면, 메쉬 벨트(20)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흡입되는 제2 추출 영역(29)은 메쉬 벨트(20)의 이동 방향으로 메인 추출 영역(27)의 하류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추출 영역(29)에서 메쉬 벨트(20)를 통한 공정 공기의 추출 속도(v2)는 메인 추출 영역(27)에서의 추출 속도(vH)보다 낮다.
부직포 웹의 이동 방향으로 적층 영역(26)의 하류에 또는 메인 추출 영역(27)의 하류에는 부직포 웹의 열적 예비-입밀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열적 예비-입밀기가 존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이러한 열적 예비-압밀기가 제2 추출 구역(29) 상에 또는 그 위에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적 예비-입밀기는 열 공기와 함께 작동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인 추출 구역(27)의 하류에 연결된 이러한 열적 예비-입밀기는 열 공기 나이프(31)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또 다른 예비-압밀기 또는 열 공기 예비-압밀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부직포 웹의 필라멘트들(2) 사이의 결합은 열적 예비-압밀기 또는 열 공기 예비-압밀기로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기(19) 또는 장치의 중심 평면(M)과 특히 열 공기 나이프 형태의 제1 열 공기 예비-압밀기 사이의 간격(B)(도 2 및 도 3)은 유리하게는 31-120 ㎜ 내지 550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직포 웹을 예비-압밀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열적 예비-입밀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여기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부직포 웹의 이동 방향으로의 제1 열적 예비-입밀기는 열 공기 나이프(31)이고, 열 공기 오븐(32) 형태의 제2 열적 예비-입밀기는 바람직하게는 메쉬 벨트(20)의 이동 방향으로 이러한 열 공기 나이프(31)의 하류에 연결된다. 공기가 또한 열 공기 오븐(32)에서 메쉬 벨트(20)를 통해 흡입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메쉬 벨트(2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추출 속도는 메쉬 벨트(20)의 이동 방향으로 메인 추출 영역(27)으로부터 추가의 추출 영역으로 감소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30)는 메인 추출 영역(27)으로부터 제2 추출 영역(29)으로 추출 속도의 연속적이고 다소 매끄러운 전이를 보장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스포일러(30)는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각각의 흡입 파티션(28.2)의 측면에 대해 또는 중심 평면(M)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측면에 대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룬다.
도 2에 도시된 스포일러(3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포일러(30)는 메쉬 벨트(20)를 향하는 추가의 대향하는 추출 분할 벽(28.1)의 분할 벽 섹션보다 적층 컨베이어 면(F)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선(V)에 대해 더 크게 각을 이룬다. 도 2는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포일러(30)는 메쉬 벨트(20)를 향하는 추가의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 벽(28.1)의 각을 이룬 또는 구부러진 파티션 벽 섹션의 대응하는 투영보다 적층 컨베이어 표면(F) 상으로의 그 투영에서 더 큰 길이(L)를 갖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포일러(30)는 메쉬 벨트(20)를 향하는 추가의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 벽(28.1)의 파티션 벽 섹션의 단부보다 메쉬 벨트 측의 그 단부에서 메쉬 벨트(20)로부터 더 큰 수직 간격(A)을 갖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스포일러(30)의 수직 높이(h)(중심 평면(M) 상으로의 투영)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10 ㎜, 특히 15 ㎜ 내지 100 ㎜이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30)는 메인 추출 영역(27)으로부터 메쉬 벨트(20)의 이동 방향으로 이에 후속하는 영역으로, 특히 제2 추출 영역(29)으로 추출 속도의 매우 균일하고 연속적인 전이를 보장한다. 스포일러(30)의 배향으로 인해, 추출 속도의 점진적이고 연속적이며 일정한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추출 속도의 점진적인 연속적인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웹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1)에서 추출 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결함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도,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에서 부직포 웹의 불리한 불균일성, 특히 파괴적인 필라멘트 응집체를 초래하는, 메인 추출 영역(27)과 제2 추출 영역(29)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의 소위 블로우 백 효과가 회피될 수 있다.
도 4는 메인 추출 영역(27)과 제2 추출 영역(29)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메쉬 벨트(20)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메쉬 벨트(20)를 통한 추출 속도(v)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프로파일에 대해, 추출 속도는 메쉬 벨트(20) 바로 위에 0 ㎜ 내지 5 ㎜ 이격되어 있는 직경 80 ㎜의 임펠러 풍속계를 갖는 10 ㎝ 그리드에서 측정되었다. 좌측의 최대값은 메인 추출 영역(27)에서의 높은 추출 속도(vH)에 대응하고, 우측의 다소 수평 곡선은 제2 추출 영역(29)에서의 추출 속도(v2)를 나타낸다. 최대 배출과 수평 배출 사이의 곡선의 저하는 메인 추출 영역(27)과 제2 추출 영역(29) 사이의 추출 속도(v)의 전이에 대응한다. 곡선(K1 및 K2)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일러(30)가 없는 종래의 스펀본드 장치에서 추출 속도의 저하에 대응한다. 곡선(K3)은 특히 상이한 추출 속도(v2)에서 스포일러(3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장치에 대한 추출 속도의 저하를 도시한다. 도 2에 따른 각진 스포일러(30)가 여기서 사용되었다. 종래의 스펀본드 장치(곡선 K1 및 K2)에 대한 추출 속도는 메인 추출 영역(27)과 제2 추출 영역(29)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매우 급격히 저하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조적으로, 스포일러(3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장치에서, 추출 속도는 전이 영역에서 또는 약 20 ㎝의 메쉬 벨트 섹션에 걸쳐 보다 덜 급격하게 그리고 오히려 점진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스포일러(30)가 없는 종래의 스펀본드 장치와 비교하여, 추출 속도의 훨씬 매끄러운 연속적인 감소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것이 메인 추출 영역(27)과 제2 추출 영역(29)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의 불리한 블로우 백 효과가 크게 회피될 수 있다는 상당한 이점과 관련되어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펀본드 장치와 비교하여, 그들의 면 또는 표면에 걸쳐 훨씬 더 균일하게 제조되고 특히 파괴적인 필라멘트 응집체를 갖지 않는 부직포 웹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포일러(3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장치는 상당한 이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라 부직포 웹을 위한 동일한 메쉬 벨트(20) 상에 무한 필라멘트(2)를 적층하는 직렬로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스펀본드 장치를 갖는 2-바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정도까지, 이 시스템은 2개의 부직포 웹 또는 2개의 스펀본드 부직포(1)의 라미네이트를 생성한다. 원칙적으로, 이 시스템은 또한 추가의 방적 돌기(10)을 갖는 다중-빔 시스템의 부분일 수도 있다.
단순화를 위해, 완전한 스펀본드 장치는 도 5에 도시되지 않았고, 메쉬 벨트(20) 위에 확산기(19)를 갖는 하부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두 스펀본드 장치는 메쉬 벨트(20) 위에 도 1에 따른 스펀본드 장치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 5의 좌측의 제1 바 또는 제1 방적 돌기(10)에서, 제1 스포일러(30)는 메인 추출 영역(27)의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이 스포일러(30)는 이 좌측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연결된 흡입 파티션(28.2)의 측면에 대해 각을 이룬다. 결과적으로, 메인 추출 영역에서의 추출 속도(vH)로부터 제2 추출 영역(29)에서의 추출 속도(v2)로의 추출 속도의 매끄러운 연속적인 전이가 달성된다. 이어서, 제1 적층된 부직포 웹은 바람직하게는 열 공기 나이프(31) 및 이러한 열 공기 나이프(31)의 하류에 있는 열 공기 오븐(32)으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되는 2개의 열적 열 공기 예비-압밀기를 통과한다. 예비-입밀기는 도 5에 도시되지 않았다.
이어서, 추가의 부직포 웹이 우측에서 제2 바 또는 제2 방적 돌기(10) 상에 적층된다. 이러한 제2 부직포 웹은 제1 부직포 웹 상에 적층된다. 이러한 제2 바에서, 스포일러(30)의 배향은 제1 바와 다르다. 여기에서, 제2 스포일러(30)는 또한 메인 추출 영역(27)의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에 연결된다. 그러나, 제1 바와 대조적으로, 제2 바의 이러한 제2 스포일러(30)는 제2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을 향해 각을 이룬다. 여기서, 공정 공기가 추출 속도(vV)로 메쉬 벨트(20)를 통해 흡입되는 추가의 추출 영역(33)이 메인 추출 영역(27)의 상류에 연결된다. 상류 추출 영역(33)의 이러한 추출 속도(vV)는 후속하는 메인 추출 영역(27)의 추출 속도(vH)보다 더 낮거나 또는 상당히 더 낮다. 여기서 상류 추출 영역(33)으로부터 메인 추출 영역(27)으로의 추출 속도의 연속적인 전이를 보장하기 위해, 이 제2 바에서, 스포일러(30)는 설명된 방식으로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을 향해 각을 이룬다. 이것은 또한 상류 추출 영역(33)으로부터 메인 추출 영역(27)으로의 추출 속도의 매끄러운 연속적인 전이를 보장한다.
도 6은 특별한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무한 필라멘트(2)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연속 필라멘트(2)로부터 부직포(1)를 제조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들 연속 필라멘트(2)의 경우에, 시스(3)는 필라멘트 단면에서 일정한 두께(d)를 가지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 원주의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55% 초과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필라멘트(2)의 코어(4)는 필라멘트(2)의 필라멘트 단면의 면적의 65% 초과를 차지한다. 바람직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필라멘트 단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4)는 원의 세그먼트 형태로 설계된다. 유리하게는 여기서, 이 코어(4)는 원형 아치형 표면 구역(5) 및 이의 원주에 대한 직선 표면 구역(6)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4)의 원형 아치형 표면 구역은 코어(4)의 원주의 50% 초과, 바람직하게는 55% 초과를 차지한다. 유리하게는, 여기서, 필라멘트 단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라멘트(2)의 시스(3)는 원의 세그먼트의 형태로 일정한 두께(d)로 시스 영역 외부에 형성된다. 케이싱(3)의 이러한 원형 세그먼트(7)는, 바람직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아치형 표면 구역(8) 및 이의 원주에 대한 직선 표면 구역(9)을 갖는다. 일정한 두께의 구역에서 시스(3)의 두께(d) 또는 평균 두께(d)는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 직경(D)의 1% 내지 8%, 특히 2% 내지 10%이다. 여기서, 일정한 두께의 구역에서 시스(3)의 두께(d)는 0.2 ㎛ 내지 3 ㎛일 수 있다.
도 6은 무한 필라멘트(2)의 시스(3)의 표면의 센트로이드로부터 코어(4)의 센트로이드의 간격(a)을 도시한다. 코어와 시스 재료의 주어진 질량 비율에 대해, 시스(3)로부터 코어(4)의 센트로이드의 이러한 간격(a)은 편심 코어-시스 구성을 갖는 종래의 연속 필라멘트(2)의 경우보다 여기에서 바람직한 연속 필라멘트(2)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더 크다. 시스(3)의 센트로이드로부터 코어(4)의 센트로이드의 간격(a)은 바람직하게는 본 필라멘트(2)에서 필라멘트 직경(D) 또는 최대 필라멘트 직경(D)의 5% 내지 40%이다.

Claims (23)

  1. 섬유,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섬유로부터 부직포(1)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섬유를 방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적 돌기(10) 및 부직포 웹 또는 상기 부직포(1)를 위한 상기 섬유의 적층을 위한 통기성 적층 컨베이어(air-permeable deposit conveyor), 특히 메쉬 벨트(20)가 제공되며,
    메인 추출 영역(main extraction area)(27)에서 상기 섬유의 적층 영역(26)에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를 흡인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기가 제공되며, 상기 적층 컨베이어 아래의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28.1, 28.2)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입구 영역 및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출구 영역으로 한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 특히 단일 흡입 파티션(28.1, 28.2)의 컨베이어 측 단부 또는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가장 짧은 수직 간격에 있는 관련 흡입 파티션(28.1, 28.2)의 부분은 10 ㎜ 내지 250 ㎜, 특히 25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28 ㎜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29 ㎜ 내지 120 ㎜, 매우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120 ㎜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 대한 수직 간격(A)을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 특히 단일 흡입 파티션(28.1, 28.2)은, 그 컨베이어 측 단부에, 상기 흡입 파티션(28.1, 28.2)의 나머지 부분과 각을 이루고 스포일러(30)로서 설계되는 파티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 컨베이어 측의 상기 스포일러(30)의 단부 또는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가장 짧은 수직 간격을 갖는 상기 스포일러(30)의 부분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수직 간격(A)을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 특히 하나의 흡입 파티션(28.1, 28.2)은, 그 컨베이어 측 단부에,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배치된 2개의 스포일러 부분들(34, 35)을 갖는 각진 요소의 형태의 스포일러(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30)의 상기 컨베이어 측 단부 또는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가장 짧은 수직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스포일러(30)의 부분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수직 간격(A)을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30)는 적층 컨베이어 표면(F)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스포일러 부분(34)을 갖고, 상기 스포일러(30)는 또한 상기 적층 컨베이어 면(F)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스포일러 부분(35)을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 하나의 흡입 파티션(28.1, 28.2)만이 상기 컨베이어 측의 그 단부에 상기 스포일러(30)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포일러(30)는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 상에 제공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30)는,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상기 흡입 파티션 벽(28.1, 28.2)의 적층 컨베이어 측 파티션 벽 섹션보다 상기 적층 컨베이어 표면(F)에 수직으로 배향된 수직선(V)에 대해 더 각을 이루고, 및/또는
    상기 적층 컨베이어 표면(F) 상으로의 투영에서, 상기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28.1, 28.2)의 적층 컨베이어 측의, 각을 이룬 또는 구부러진 파티션 섹션의 대응하는 투영보다 더 큰 길이(L)을 가지며, 및/또는
    상기 추가의 또는 대향하는 흡입 파티션(28.1, 28.2)의 상기 적층 컨베이어 측 파티션 섹션의 상기 컨베이어 측 단부보다 그 컨베이어 측 단부에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로부터 더 큰 간격(A)을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30)는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각각의 흡입 파티션(28.1, 28.2)의 측면에 대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고, 또는 상기 스포일러(30)는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을 향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를 방적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방적 돌기(10) 또는 방적 빔이 제공되며,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메인 흡입 영역(27)은 각각의 방적 돌기(10) 또는 각각의 방적 빔과 관련되고, 상기 메인 흡입 영역(27)의 각각은 2개의 흡입 파티션(28.1, 28.2)에 의해 한정되고, 각각의 메인 흡입 영역(27)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28.1, 28.2)은 스포일러(30)를 가지며,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제1 적층 컨베이어(27)의 제1 스포일러(3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메인 추출 영역(27)의 상기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에 연결된 스포일러(30)는 상기 제1 메인 추출 영역(27)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결된 흡입 파티션(28.1, 28.2)의 측면에 대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고,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해 하류에 배치되는 제2 메인 추출 영역(27)의 제2 스포일러(3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메인 추출 영역(27)의 상기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에 연결된 스포일러(30)는 상기 제2 메인 흡입 영역(27)의 중심을 향해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연속 필라멘트(2), 특히 크림핑된 연속 필라멘트(2)로부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스펀본드 장치인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방적 돌기(10)의 하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기(11) 및 상기 냉각기(11)의 하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신기(16), 및 상기 연신기(16)의 하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기(19)를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11)와 상기 연신기(16)로 이루어진 서브 어셈블리는 폐쇄된 유닛으로 설계되며, 상기 냉각기(11)에서의 냉각 공기의 공급 이외에, 상기 서브 어셈블리로의 추가의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 바로 위의 확산기(19)는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을 가지며, 상기 확산기(19) 또는 상기 장치의 중심 평면(M)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비대칭인 2개의 하부 발산 확산기 벽 섹션(21, 22)이 제공되며, 특히 입구 측 확산기 벽 섹션(21)은 출구 측 확산기 벽 섹션(22)보다 상기 확산기(19) 또는 상기 장치의 상기 중심 평면(M)과 더 작은 각도(ß)를 형성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 바로 위의 확산기(19)는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을 가지며, 상기 확산기(19)의 유입 단부(23)에서 상기 2개의 대향하는 확산기 벽의 각각의 하나에는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2차 공기 입구 갭(24, 25)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출구 측 2차 공기 입구 갭(25)을 통하는 것보다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해 입구 측의 상기 2차 공기 입구 갭(24)을 통해 더 낮은 2차 공기 스트림이 도입될 수 있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제2 추출 영역(29)이 뒤따르고, 및/또는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은,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상류 흡입 영역(33)이 선행하며,
    상기 제2 추출 영역(29)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추출 영역에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한 상기 공정 공기의 추출 속도(v2)가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에서의 추출 속도(vH)보다 더 낮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상류 추출 영역(3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류 추출 영역(33)에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공정 공기의 흡입 속도(vV)가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에서의 상기 추출 상기 속도(vH)보다 더 낮도록 구성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 파티션(28.1, 28.2)의 적어도 하나의 스포일러(30) 및 특히 상기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의 하나의 스포일러(30)는,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의 상기 추출 속도(vH)로부터 상기 제2 추출 영역(29)의 상기 추출 속도(v2)로의 연속적인 균일한 전이가 존재하고 및/또는 상기 상류 추출 영역(33)의 상기 추출 속도(vV)의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의 상기 추출 속도(vH)로의 연속적인 균일한 전이가 존재하도록, 설계 및/또는 배치 및/또는 정렬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의 예비-압밀(pre-consolidation)을 위한 예비-압밀기가 상기 제2 추출 영역(29) 상에 또는 그 위에 있는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19)의 상기 중심 평면(M)과 상기 예비-압밀기 사이의 간격(B)은 100 ㎜ 내지 1000 ㎜, 특히 110 ㎜ 내지 600 ㎜, 바람직하게는 120 ㎜ 내지 550 ㎜인 것인 부직포 제조 장치.
  18.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섬유,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섬유로부터 부직포(1)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섬유는 방적되어, 통기성 적층 컨베이어, 특히 부직포 웹 또는 상기 부직포(1)를 위한 메쉬 벨트(20) 상에 적층되고,
    공기 또는 공정 공기가 메인 추출 영역(27)에서 상기 섬유의 적층 영역(26)에서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아래로부터 흡입되고,
    상기 메인 흡입 영역(27)은 2개의 흡입 파티션(28.1, 28.2)에 의해 한정되고,
    추출 영역(33)이 상기 적층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 또는 입구 측 흡입 파티션(28.1)의 상류에 제공되고, 및/또는
    제2 추출 영역(29)이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 또는 출구 측 흡입 파티션(28.2)의 하류에 제공되고,
    상기 상류 추출 영역(33) 및/또는 상기 하류 제2 추출 영역(29)에서 공기는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에서보다 더 낮은 추출 속도로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흡입되고,
    흡입 파티션(28.1, 28.2)의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측 파티션 섹션은 정렬되거나 또는 각을 이루고, 특히 각을 이룬 스포일러(30)가 흡입 파티션(28.1, 28.2)의 컨베이어 측 단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정렬되어, 상기 적층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공기의 추출 속도는 상기 상류 추출 영역(33)으로부터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증가하고 및/또는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으로부터 상기 하류 제2 추출 영역(29)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감소하는 것인 부직포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펀본드 부직포가 연속 필라멘트(2), 특히 크림핑된 연속 필라멘트(2)로 제조되고, 상기 연속 필라멘트(2)는 바람직하게는 2성분 필라멘트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로서 방적되고, 바람직하게는 2성분 필라멘트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는 편심 코어-시스 구성으로 방적되는 것인 부직포 제조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에서의 추출 속도(vH)는 상기 상류 추출 영역(33)에서의 추출 속도(vV)보다 및/또는 상기 하류 제2 추출 영역(29)에서의 흡입 속도(v2)보다 1.2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배, 매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배 더 큰 것인 부직포 제조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H로부터 v2로의 상기 추출 속도의 저하는 기계 방향(MD) 또는 상기 부직포(1)의 상기 이동 방향으로 10 ㎝ 당 1 내지 8 m/s,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m/s의 구배를 갖는 것인 부직포 제조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속도는 적어도 10 ㎝, 특히 적어도 16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 ㎝ 길이의 전이 범위에서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에서의 추출 속도(vH)로부터 상기 하류 제2 추출 영역(29)에서의 추출 속도(v2)로 균일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인 부직포 제조 방법.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속도는 적어도 10 ㎝, 특히 적어도 16 ㎝ 길이의 전이 범위에서 상기 상류 추출 영역(33)에서의 추출 속도(vV)로부터 상기 메인 추출 영역(27)에서의 추출 속도(vH)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균일하게 증가하는 것인 부직포 제조 방법.
KR1020200094718A 2019-07-30 2020-07-29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18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89208.2A EP3771762B1 (de) 2019-07-30 2019-07-3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liesstoffes aus fasern
EP19189208.2 2019-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602A true KR20210014602A (ko) 2021-02-09
KR102518198B1 KR102518198B1 (ko) 2023-04-04

Family

ID=6751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718A KR102518198B1 (ko) 2019-07-30 2020-07-29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618983B2 (ko)
EP (1) EP3771762B1 (ko)
JP (1) JP7096294B2 (ko)
KR (1) KR102518198B1 (ko)
CN (1) CN112301553B (ko)
AR (1) AR119513A1 (ko)
BR (1) BR102020014090A2 (ko)
DK (1) DK3771762T3 (ko)
ES (1) ES2886885T3 (ko)
IL (1) IL276307B (ko)
MX (1) MX2020008055A (ko)
PL (1) PL3771762T3 (ko)
RU (1) RU2759705C1 (ko)
ZA (1) ZA202004714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456A (ja) * 1999-08-25 2001-04-10 Reifenhaeuser Gmbh & Co Mas Fab 合成樹脂フィラメントから成るスパンボンデット不織布の製造装置
KR20170124095A (ko) * 2016-04-29 2017-11-09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92A (en) 1965-05-12 1968-09-24 United States Radium Corp Encapsulated radioactive light sources
JPS496786B1 (ko) * 1970-12-23 1974-02-16
DE3522208A1 (de) * 1984-07-18 1986-01-23 Ernst Dr. Linz Fehrer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aservliesen
GB2203764B (en) * 1987-04-25 1991-02-13 Reifenhaeuser Masch Production of spun fleece from continuous synthetic filaments
DE19521466C2 (de) * 1995-06-13 1999-01-14 Reifenhaeuser Masch Anlage für die Herstellung einer Spinnvliesbahn aus thermoplastischen Endlosfäden
US6499982B2 (en) * 2000-12-28 2002-12-31 Nordson Corporation Air management system for the manufacture of nonwoven webs and laminates
ES2290209T3 (es) 2002-02-28 2008-02-16 REIFENHA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Instalacion de fundicion por soplado.
ES2298302T5 (es) 2002-02-28 2011-02-24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Instalación para la fabricación continua de una banda de velo de hilatura.
ATE381630T1 (de) * 2002-02-28 2008-01-15 Reifenhaeuser Gmbh & Co Kg Anlage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einer spinnvliesbahn
US20060040008A1 (en) * 2004-08-20 2006-02-23 Reifenhae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nonwoven web
CN101027442B (zh) * 2004-09-24 2010-06-16 阿尔比斯有限公司 用来将合成纤维铺放成无纺布的装置
EP1726700B1 (de) * 2005-05-25 2013-02-27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pinnvlieses
EP1941090A1 (de) * 2005-10-26 2008-07-09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lage von synthetischen fasern zu einem vlies
ATE483052T1 (de) * 2006-12-06 2010-10-15 Reifenhaeus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pinnvlieses
US8585388B2 (en) * 2006-12-15 2013-11-19 Fa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s from extruded filaments
DE602006012527D1 (de) * 2006-12-15 2010-04-08 Fare Spa Vorrichtung und Prozess zur Herstellung einer Spinnvliesmatte
CN101636529B (zh) * 2007-01-19 2011-05-11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用于铺放合成纤维以形成无纺织网的设备和方法
EP2126165B1 (en) * 2007-01-31 2011-03-16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and depositing a plurality of fibers to form a non-woven
US8037088B2 (en) 2008-12-22 2011-10-1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Change management
US8623268B2 (en) * 2009-03-25 2014-01-07 Toray Industries, Inc. Production method for filament non-woven fabric
PL2738297T3 (pl) * 2012-12-03 2016-08-31 Reifenhaeuser Masch Urządzenie i sposób do produkcji pasma włókniny spod filiery z filamentów
DE102014002060B4 (de) * 2014-02-18 2018-01-18 Carl Freudenberg Kg Volumenvliesstoffe, Verwendungen davo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I3372719T1 (sl) * 2015-01-30 2020-04-30 Reifenhae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Naprava za vodenje netkane koprene
PL3088585T3 (pl) * 2015-04-27 2017-11-30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arzania włókniny typu spunbond z filamentów i włóknina typu spunbond
EP3382081B1 (de) * 2017-03-31 2019-08-28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innvliesen aus endlosfilamenten
DK3575469T3 (da) * 2018-05-28 2020-10-19 Reifenhaeuser Masch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filterduge ud fra endeløse filamenter
DK3771763T3 (da) * 2019-07-30 2022-03-07 Reifenhaeuser Masch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vliesstof af krusede fib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456A (ja) * 1999-08-25 2001-04-10 Reifenhaeuser Gmbh & Co Mas Fab 合成樹脂フィラメントから成るスパンボンデット不織布の製造装置
KR20170124095A (ko) * 2016-04-29 2017-11-09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연속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9705C1 (ru) 2021-11-17
US20210032788A1 (en) 2021-02-04
ES2886885T3 (es) 2021-12-21
CN112301553B (zh) 2022-10-14
EP3771762B1 (de) 2021-06-16
AR119513A1 (es) 2021-12-22
KR102518198B1 (ko) 2023-04-04
ZA202004714B (en) 2021-09-29
IL276307A (en) 2021-01-31
CN112301553A (zh) 2021-02-02
DK3771762T3 (da) 2021-08-30
JP2021025187A (ja) 2021-02-22
US11618983B2 (en) 2023-04-04
IL276307B (en) 2022-06-01
PL3771762T3 (pl) 2021-11-08
BR102020014090A2 (pt) 2021-02-09
MX2020008055A (es) 2021-12-02
JP7096294B2 (ja) 2022-07-05
EP3771762A1 (de)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324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элементарных нитей и фильер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RU26949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непрерывных элементарных нитей
JP7280855B2 (ja) 捲縮繊維から不織布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DE4236514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örderung und Ablage von Scharen endloser Fäden mittels Luftkräften
US20240051259A1 (en) Spunbond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20251747A1 (en) Spunbond nonwoven of continuous fila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3e
JP7536077B2 (ja) 不織布材料の製造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518198B1 (ko) 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RU27845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извитых волокон
RU2794313C2 (ru)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из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ло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RU28106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