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883A -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3883A KR20210013883A KR1020190091631A KR20190091631A KR20210013883A KR 20210013883 A KR20210013883 A KR 20210013883A KR 1020190091631 A KR1020190091631 A KR 1020190091631A KR 20190091631 A KR20190091631 A KR 20190091631A KR 20210013883 A KR20210013883 A KR 202100138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hoke
- contact
- base plat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 하우징에 설치된 패스 라이너를 가압 접촉하도록 압연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쵸크 상부에 설치된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는 롤 쵸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블록과, 고정 블록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 블록과, 이동 블록의 상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패스 라이너와 접촉하는 접촉블록을 구비하며 이동 블록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가압 블록 및 가압 블록의 유동을 규제하도록 하단이 롤 쵸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가압 블록의 베이스판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유동규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질 압연기에 설치된 패스 라이너와 접촉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 코일을 소재로 하여 소둔 및 산세 작업에 의해 생산되는 완제품 및 냉연 반제품은 형상 개선을 위해 조질 압연기(skin pass mill)의 공정이 이루어진다.
조질 압연기는 압연 라인에서 생산된 코일에 경압하를 부여하여 스트립의 표면 및 형상 교정을 고객사가 원하는 수준으로 보증을 해야 하는 설비이다.
조질 압연기에는 상부 압연롤과 하부 압연롤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상태로 제공되고, 상부 압연롤과 하부 압연롤 사이에 스트립이 통과하면서 스트립의 평탄도가 교정되게 된다.
한편, 압연롤은 연속적인 작업으로 인하여 직경이 변경되므로 압연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압연롤을 지지하는 롤 쵸크의 상부에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패스 라이너와 접촉하는 쵸크 압력 블록(chock pressure block)이 설치된다.
그러나, 밀 하우징(mill housing)의 하부에 설치된 압하 실린더(push up cylinder)의 압력을 밀 하우징 상부의 패스 라이너에 맞닿는 쵸크 압력 블록이 직접 압연 하중을 받기 때문에 정밀한 형상과 찌그러짐이 없어야 하지만 쵸크 압력 블록은 불필요한 회전으로 인해 직각도가 틀어지고, 틀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압연 하중에 의해 찌그러짐이 발생하는 등 작업자가 형상 교정작업을 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고, 압연롤의 교체 작업 중에는 밸런스 실린더(balance cylinder) 상승 중에 작업자가 교정하려는 작업 과정에서 협착 사고 등 안전 사고의 위험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압연 하중 및 압연 하중 편차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밀 하우징에 설치된 패스 라이너를 가압 접촉하도록 압연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쵸크 상부에 설치된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로서, 상기 롤 쵸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의 상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스 라이너와 접촉하는 접촉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블록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가압 블록 및 상기 가압 블록의 유동을 규제하도록 하단이 상기 롤 쵸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 블록의 상기 베이스판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유동규제부재를 포함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은 상면이 볼록한 볼록면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블록은 하면이 상기 고정 블록의 상기 볼록면과 밀착되는 오목한 오목면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규제부재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규제부재는 각각, 상기 롤 쵸크 상면에 결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블록, 상기 이동 블록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각 측방을 덮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벤딩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를 덮는 상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는 이격된 제1 유동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접촉블록의 단부와, 상기 접촉블록의 단부와 인접한 양측을 둘러싸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접촉블록 사이는 이격된 제2 유동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패스 라이너에 직접적인 압연 하중이 가해지는 압력 블록의 직각도 불량 발생으로 인한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하여 스트립 형상 교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압연롤 교체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협착사고의 잠재 위험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질 압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질 압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질 압연기(10)는 밀 하우징(mill housing,11) 내에서 상부 압연롤(12)과 하부 압연롤(13)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재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상부 압연롤(12)과 하부 압연롤(13)은 각각 양단이 롤 쵸크(20)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부 압연롤(12)의 롤 쵸크(20) 상부에는 밀 하우징(11)에 설치된 패스 라이너(pass liner,14)와 접촉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30)가 설치된다.
밀 하우징(11)의 하부에는 하부 압연롤(13)을 밀어올려 상부 압연롤(12)에 밀착시키면서 스킨 패스라인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푸시 업 실린더(push up cylinder,15)가 설치된다.
패스 라이너(14)는 압연롤의 직경에 대응하여 두께를 달리하는 계단형 라이너가 밀 하우징(11)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고, 푸시 업 실린더(15)의 압력에 의해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30)가 패스 라이너(14)에 가압 접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30)는 롤 쵸크(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블록(40)과, 고정 블록(4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 블록(50)과, 이동 블록(50)에 고정 결합되는 가압 블록(60)과, 가압 블록(60)의 유동을 규제하는 유동규제부재(70)를 포함한다.
고정 블록(40)은 롤 쵸크(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블록(40)의 상면은 상부로 볼록한 볼록면(41)이 형성된다.
이동 블록(50)은 고정 블록(40)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고정 블록(40)의 상면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동 블록(50)의 하면에는 고정 블록(40)의 볼록면(41)과 대응하는 오목한 오목면(51)이 형성된다. 이동 블록(50)이 고정 블록(40) 위에 얹혀진 경우 오목면(51)이 볼록면(41)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블록(5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블록(60)은 이동 블록(50)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동 블록(5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블록(60)은 이동 블록(50)의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판(61)과, 베이스판(61)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패스 라이너(14)와 접촉하는 접촉블록(62)을 포함한다.
접촉블록(62)은 베이스판(61)의 상면 중앙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블록(62)의 높이는 베이스판(6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여 외부에서 접촉블록(62)과 패스 라이너(14)의 접촉부분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연롤 교체 작업 시 밸런스 업(balance up) 중 교정하려는 작업 과정에서 협착의 잠재위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접촉블록(62)의 상단 모서리(63)는 패스 라이너(14)와의 간섭 발생 시 직각도 교정과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따기 가공 처리된 챔퍼(chamfer)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규제부재(70)는 고정 블록(40) 위에서 이동 블록(50)과 일체로 유동하는 가압 블록(60)의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단이 롤 쵸크(20)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단이 가압 블록(6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동규제부재(70)는 정비 작업 및 이송 과정에서 가압 블록(60)이 고정 블록(4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동규제부재(70)는 롤 교체 직후 또는 라인 정지 후 작업 개시 초기에 하부에서 푸시 업 실린더(15)의 압연 하중이 기계적인 영향 등으로 압연롤의 양측에 불균형(unbalance)이 발생 시 가압 블록(60)이 고정 블록(40) 위에서 불안정한 상태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규제할 수 있다.
즉 유동규제부재(70)는 압연롤의 양측에 언밸런스 발생 시 가압 블록(60)이 좌우,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갭(gap)을 부여하여 가압 블록(60)이 찌그러지거나 직각도가 틀어져 형상교정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유동규제부재(70)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고, 한 쌍의 유동규제부재(70)는 각각 호 형상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동규제부재(70)는 롤 쵸크(20) 상면에 결합되는 호 형상의 체결판(71)과, 체결판(71)의 내주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72)과, 측판(72)의 상단에서 벤딩되는 상판(73)을 포함한다.
체결판(71)은 롤 쵸크(20) 상면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측판(72)은 고정 블록(40), 이동 블록(50) 및 베이스판(61)의 각 측방을 덮도록 체결판(71)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판(73)은 측판(72)의 상단에서 베이스판(61)의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판(73)과 베이스판(61) 사이에는 가압 블록(60)의 상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는 제1 유동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상판(73)에는 가압 블록(60)의 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절개부(74)가 형성되고, 절개부(74)와 가압 블록(60) 사이에는 가압 블록(60)의 좌우 유동을 허용할 수 있는 제2 유동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판(73)의 절개부(74)가 가압 블록(60)의 단부와 맞물리는 경우, 절개부(74)는 접촉블록(62)의 단부(62a)와, 단부(62a)와 인접한 가압 블록(60)의 양측(62b)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 예의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30)는 패스 라이너(14)와 접촉하는 가압 블록(60)은 베이스판(61)에서 돌출된 접촉블록(62)이 밀 스탠드 외부에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고, 유동규제부재(70)는 고정 블록(40) 위에서 이동 블록(50)과 일체로 움직이는 가압 블록(60)의 이탈 방지 및 제한적인 유동을 허용함에 따라 압연 작업 시 가압 블록(60)의 유동에 의해 직각도가 틀어진 상태에서 패스 라이너(14)에 가압됨에 따른 국부적 변형을 방지하고, 압연롤의 양측 압연 하중 편차로 인한 형상 교정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조질 압연기,
11: 밀 하우징,
12: 상부 압연롤, 13: 하부 압연롤,
14: 패스 라이너, 20: 롤 쵸크,
30: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40: 고정 블록,
41: 볼록면, 50: 이동 블록,
51: 오목면, 60: 가압 블록,
61: 베이스판, 62: 접촉블록,
70: 유동규제부재, 71: 체결판,
72: 측판, 73: 상판,
74: 절개부.
12: 상부 압연롤, 13: 하부 압연롤,
14: 패스 라이너, 20: 롤 쵸크,
30: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40: 고정 블록,
41: 볼록면, 50: 이동 블록,
51: 오목면, 60: 가압 블록,
61: 베이스판, 62: 접촉블록,
70: 유동규제부재, 71: 체결판,
72: 측판, 73: 상판,
74: 절개부.
Claims (6)
- 밀 하우징에 설치된 패스 라이너를 가압 접촉하도록 압연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쵸크 상부에 설치된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로서,
상기 롤 쵸크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의 상면에 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스 라이너와 접촉하는 접촉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블록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가압 블록; 및
상기 가압 블록의 유동을 규제하도록 하단이 상기 롤 쵸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 블록의 상기 베이스판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유동규제부재;를 포함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면이 볼록한 볼록면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블록은 하면이 상기 고정 블록의 상기 볼록면과 밀착되는 오목한 오목면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고정 블록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규제부재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규제부재는 각각, 상기 롤 쵸크 상면에 결합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블록, 상기 이동 블록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각 측방을 덮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벤딩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를 덮는 상판을 포함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는 이격된 제1 유동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접촉블록의 단부와, 상기 접촉블록의 단부와 인접한 양측을 둘러싸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절개부와 상기 접촉블록 사이는 이격된 제2 유동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631A KR102318543B1 (ko) | 2019-07-29 | 2019-07-29 |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631A KR102318543B1 (ko) | 2019-07-29 | 2019-07-29 |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3883A true KR20210013883A (ko) | 2021-02-08 |
KR102318543B1 KR102318543B1 (ko) | 2021-10-29 |
Family
ID=7456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631A KR102318543B1 (ko) | 2019-07-29 | 2019-07-29 |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854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9105U (ja) * | 1991-12-10 | 1993-06-29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圧延機圧下装置のプレッシャブロック |
KR20020001596A (ko) * | 2000-06-27 | 2002-01-09 | 게일 엠. 윌콕스 | 압연기에서 롤의 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장치 |
KR20030039197A (ko) | 2001-11-12 | 2003-05-17 | 주식회사 포스코 | 조질압연기의 롤 간격조정장치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631A patent/KR1023185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9105U (ja) * | 1991-12-10 | 1993-06-29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圧延機圧下装置のプレッシャブロック |
KR20020001596A (ko) * | 2000-06-27 | 2002-01-09 | 게일 엠. 윌콕스 | 압연기에서 롤의 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장치 |
KR100421158B1 (ko) * | 2000-06-27 | 2004-03-04 | 모건 컨스트럭션 캄파니 | 압연기에서 롤의 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장치 |
KR20030039197A (ko) | 2001-11-12 | 2003-05-17 | 주식회사 포스코 | 조질압연기의 롤 간격조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8543B1 (ko) | 2021-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80785A (en) | Metal strip planishing installation | |
EP2248609B1 (en) | Plate rolling mill and plate rolling method | |
US11806769B2 (en) | Device for guiding metal strips with wear bodies in a finishing train | |
KR100530623B1 (ko) | 스트립 압연용 압연대 및 스트립 압연방법 | |
RU2391154C2 (ru) | Выпуклый валок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рофиля и плоскостности катаной полосы | |
KR20210013883A (ko) | 쵸크 압력 블록 조립체 | |
US7310985B2 (en) | Rolling device | |
US5778717A (en) | Process and device for rolling bands with uneven thickness and/or length distribution over their width | |
US20120151980A1 (en) | Method for adjusting the rolls of a roll stand and roll stand | |
JP4399034B2 (ja) | 平らな製品の圧延設備 | |
US6244090B1 (en) | Roll mill with bending means for the working rolls | |
US9744577B2 (en) | Asymmetric coil support | |
WO2008068172A1 (de) | Walzspaltmessung für ein vielwalzengerüst | |
CN110052499B (zh) | 一种降低单角翘缺陷的方法 | |
US3132546A (en) | Intermediate guide for adjacent vertical and horizontal bar-mill stands | |
KR19990077946A (ko) | 롤스탠드용롤러 | |
US5558017A (en) | Roll stand | |
KR100246827B1 (ko) |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 |
US20110232350A1 (en) | Roll stand | |
WO2023286486A1 (ja) | デフレクターロール及びそのデフレクターロールを用いた鋼板の製造方法 | |
KR20180129350A (ko) | 냉간 압연기 | |
JP2003136120A (ja) | 鋼帯の幅反りおよび光沢むらを防止する調質圧延機および調質圧延方法 | |
KR20220161971A (ko) | 롤 베이스 프레임의 변형 방지 장치 | |
JPS6013547Y2 (ja) | 帯状金属板の形状修正装置 | |
JPH032000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