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472A -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 - Google Patents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472A
KR20210013472A KR1020190090688A KR20190090688A KR20210013472A KR 20210013472 A KR20210013472 A KR 20210013472A KR 1020190090688 A KR1020190090688 A KR 1020190090688A KR 20190090688 A KR20190090688 A KR 20190090688A KR 20210013472 A KR20210013472 A KR 20210013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reaction force
axis
carrier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053B1 (ko
Inventor
위-신 린
츠-잉 옌
Original Assignee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09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0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21Screw mechanisms with means for avoiding over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Abstract

장착 베드(91) 상에 장착 가능한 볼 스크류는, 축선(L)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샤프트 보디(21)와, 샤프트 보디(21) 상에 마련된 나선형 외부 홈(22)을 구비하는 스크류 샤프트(2); 샤프트 보디(2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브되어 있고 장착 베드(91)를 운반하는 캐리어 부분(311)을 구비한 캐리어 시트(31)를 갖는 볼 너트(3); 및 캐리어 시트(31)에 부착되며, 스크류 샤프트(2)를 따라 볼 너트(3)가 변위하는 동안 볼 너트(3)에 의해 장착 베드(91) 상에 작용하는 반력을 측정하기 위해 장착 베드(91)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반력 감지 모듈(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BALL SCREW WITH A LOAD CONDITION FEEDBACK MECHANISM}
본 발명은 볼 스크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대만 특허 제 I513927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볼 스크류는 스크류 샤프트와, 스크류 샤프트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브되어 있는 볼 너트 조립체와, 볼 너트 조립체 상에 배치된 2개의 평행도 센서를 포함한다. 볼 너트 조립체는 스크류 샤프트의 축 방향에서 서로 커플링된 2개의 볼 너트를 구비한다. 평행도 센서는 볼 너트 사이에 배치되며, 스크류 샤프트에 대해서 서로 반경방향으로 대향되어 볼 너트 사이의 사전부하를 검출하여 스크류 샤프트의 평행도를 검출한다. 평행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함으로써, 스크류 샤프트의 평행도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러나, 볼 너트는 이들 사이에 끼워진 평행도 센서를 갖도록 서로 커플링되어 있으며, 따라서 강성이 낮고 정밀도가 떨어진다.
대만 특허 제 I513927 호 공보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볼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볼 스크류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착 베드 상에 장착 가능하며, 스크류 샤프트와, 볼 너트와, 적어도 하나의 반력 감지 모듈을 포함한다. 스크류 샤프트는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샤프트 보디와, 샤프트 보디 상에 마련되며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외부 홈을 포함한다. 볼 너트는 샤프트 보디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브되어 있고 장착 베드가 그 위에 배치되는 캐리어 시트를 포함한다. 캐리어 시트는 장착 베드가 운반되는 캐리어 부분을 구비한다. 반력 감지 모듈은 캐리어 시트에 부착되며,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볼 너트가 변위하는 동안 볼 너트의 장착 베드 상에 작용하는 반력을 측정하기 위해 장착 베드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볼 스크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착 베드 및 가이드 레일 조립체 상에 장착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위치로 이동된 볼 스크류의 볼 너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제 2 위치로 이동된 볼 너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볼 스크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볼 스크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볼 스크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4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개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경우, 선택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도 있는 대응 또는 유사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서 참조번호 또는 참조번호의 종단 부분이 반복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볼 스크류의 제 1 실시예는 장착 베드(91) 상에 장착 가능하다. 장착 베드(91)는 베이스 시트(911)와, 길이 방향에서 베이스 시트(911)를 통해 연장되는 장착 구멍(912)을 구비한다. 볼 스크류는 스크류 샤프트(2), 볼 너트(3), 6개의 반력 감지 모듈(4) 및 6개의 장착 노치(5)를 포함한다.
스크류 샤프트(2)는 축선(L)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샤프트 보디(21)와, 샤프트 보디(21) 상에 마련되며 축선(L)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외부 홈(22)을 포함한다.
볼 너트(3)는, 샤프트 보디(2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브되어 있고 장착 베드(91)가 그 위에 배치되는 캐리어 시트(31)를 포함한다. 캐리어 시트(31)는 장착 베드(91)를 운반하기 위해 장착 구멍(912)에 배치될 수 있는 캐리어 부분(311)과, 축선(L)의 방향에서 캐리어 부분(311)에 대향 연결되고 캐리어 부분(311)이 장착 구멍(912)에 배치될 때 장착 베드(91)에 대해서 접촉할 수 있는 플랜지 부분(912)을 구비한다.
플랜지 부분(312)은, 축선(L)의 방향을 횡단하며, 축선(L)의 방향을 횡단하는 캐리어 부분(311)의 횡단면보다 큰 치수인 횡단면을 구비하여, 캐리어 부분(311)과 인접하며 축선(L)의 방향을 향하는 숄더 표면(313)을 형성한다.
반력 감지 모듈(4)은 캐리어 시트(31)에 부착되며, 스크류 샤프트(2)를 따라 볼 너트(3)가 변위하는 동안 볼 너트(3)에 의해 장착 베드(91) 상에 작용하는 반력을 측정하기 위해 장착 베드(91)에 대해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력 감지 모듈(4)은 각각 장착 노치(5)에 수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반력 감지 모듈(4)은 스트레인 게이지로 제조된다.
각 장착 노치(5)는 플랜지 부분(312)에 형성되며, 플랜지 부분(312)의 주변에 인접하여 숄더 표면(313)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다. 장착 노치(5)는 반력 감지 모듈(4)을 각각 수납하기 위해 축선(L)을 중심으로 서로에서 각도가 변위된다. 각 반력 감지 모듈(4)은 숄더 표면(313)과 맞물리는 제 1 측면과, 축선(L)의 방향에서 제 1 측면에 대향되며 장착 베드(91)에 대해 접촉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한다.
사용시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반력 감지 모듈(4)과 전자적으로 연결되면, 볼 스크류는 스크류 샤프트(2)의 휨의 결정하기 위한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프로세스에서, 장착 베드(91)는 가이드 레일 조립체(92)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 조립체(92)는 길이 방향에서 맞물리는 2개의 가이드 레일(921)과, 가이드 레일(921)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장착 베드(91)와 연결된 섀들(922)을 구비한다. 스크류 샤프트(2)는 전자 유닛과 전자적으로 연결된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되어, 스크류 샤프트(2)를 따라(즉, 축선(L)을 따라) 볼 너트(3)를 왕복 운동시킨다.
스크류 샤프트(2)의 회전에 의해, 장착 베드(91)는 가이드 레일(921)을 따라 제 1 위치(도 4 참조)로 볼 너트(3)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여기에서 볼 너트(3)에 의해 장착 베드(91) 상에 작용된 반력은 반력 감지 모듈(4)에 의해 측정되며, 이를 나타내는 제 1 힘 값이 제어 유닛에 의해 기록된다. 다음에, 볼 너트(3)는 제 2 위치(도 5 참조)로 추가 이동 가능하며, 여기에서 볼 너트(3)에 의해 장착 베드(91) 상에 작용된 반력은 반력 감지 모듈(4)에 의해 측정되며, 이를 나타내는 제 2 힘 값이 제어 유닛에 의해 기록된다.
제어 유닛은 제 1 및 제 2 힘 값에 따라서 스크류 샤프트(2)의 휨을 결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힘 값이 제 1 힘 값보다 작을 경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스크류 샤프트(2)의 연장과, 제 2 위치에서의 대응 반력 감지 모듈(4)로부터 멀리 있는 스크류 샤프트(2)의 축선(L)의 휨이 결정된다. 제 2 힘 값이 제 1 힘 값보다 큰 경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스크류 샤프트(2)의 연장과, 제 2 위치에서의 대응 반력 감지 모듈(4)에 근접한 스크류 샤프트(2)의 축선(L)의 휨이 결정된다. 제어 유닛의 결정된 휨 결과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주기 위해 스크린 또는 조명 알람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샤프트(2)는 상부 좌측으로부터 하부 우측을 향해 편향되며, 그 결과 볼 너트(3)에 의해 장착 베드(91) 상에 작용된 반력은 반력 감지 모듈(4)에 가해진다. 볼 너트(3)가 좌측 측면에서의 제 1 위치로부터 우측 측면에서의 제 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921)을 따라 섀들(922)의 이동에 따라, 상부 측면에서의 반력 감지 모듈(4)이 힘을 수용한다. 한편, 가이드 레일(921), 섀들(922) 및 장착 베드(91)는 장착 베드(91)와 볼 너트(3) 사이에서의 구조적 강도보다 큰 구조적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장착 베드(91)는 가이드 레일(921)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하는 볼 너트(3)를 가압하여, 제 2 힘 값보다 큰 제 1 힘 값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대응 반력 감지 모듈(4)에 의해 수용되는 힘은 점차 감소되며, 이것은 스크류 샤프트(2)의 축선(L)이 대응 반력 감지 모듈(4)로부터 멀리 편향되는 것, 즉 스크류 샤프트(2)의 우측 측면이 도면에서 하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볼 너트(3)가 좌측 측면에서의 제 1 위치로부터 우측 측면에서의 제 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하부 측면에서의 반력 감지 모듈(4)이 장착 베드(91)에 의해 볼 너트(3)에 가해진 반력을 수용하여, 제 2 힘 값보다 작은 대응 반력 감지 모듈(4)에 의해 측정된 제 1 힘 값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대응 반력 감지 모듈(4)에 의해 수용되는 힘은 점차 증가되며, 이것은 스크류 샤프트(2)의 축선(L)이 대응 반력 감지 모듈(4)에 근접하여 편향되는 것, 즉 스크류 샤프트(2)의 좌측 측면이 도면에서 하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반력 감지 모듈(4)의 측정 결과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정밀한 결정을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반력 감지 모듈(4)이 마련될 수 있다.
반력을 측정하기 위한 반력 감지 모듈(4)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2)의 평행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될 수 있다. 종래의 볼 스크류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볼 너트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본 개시에 따른 볼 스크류의 구조는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사용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부하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각 반력 감지 모듈(4)에 의해, 작동을 편리하게 하고 유연성을 제공하는 2개의 평행도 센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반력 감지 모듈(4) 및 장착 노치(5)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반력 감지 모듈(4) 및 4개 이상의 장착 노치(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어 시트(31)는 캐리어 부분(311)을 구비하지만, 플랜지 부분(312)은 생략된다. 캐리어 부분(311)은 축선(L)을 따라 연장되어 2개의 단부 표면(315)에서 종단된다. 4개의 반력 감지 모듈(4) 및 4개의 장착 노치(5)가 마련되며, 축선(L)을 중심으로 서로에서 각도가 변위된다. 장착 노치(5) 각각은 캐리어 부분(311)에 형성되며, 단부 표면(315)의 주변에 인접하여 하나의 단부 표면(315)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다. 반력 감지 모듈(4)은 장착 노치(5)에 각각 수용되며, 각 모듈은 캐리어 부분(311)과 맞물리는 제 1 측면과, 축선(L)에 횡단하는 방향에서 제 1 측면에 대향되며 장착 베드(91)에 대해서 접촉되는 제 2 측면을 구비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베드(91) 내의 장착 구멍(912)은 서로 대향되어 있는 대경 섹션(913) 및 소경 섹션(914)과, 대경 섹션(913)과 소경 섹션(914) 사이의 접촉 표면(918)을 구비한다. 캐리어 시트(31)의 캐리어 부분(311) 및 플랜지 부분(312)은 각기 소경 섹션(913) 및 소경 섹션(914)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볼 스크류는 하나의 반력 감지 모듈(4)을 포함한다. 반력 감지 모듈(4)은 축선(L)을 둘러싸는 슬리브 링(42)과, 슬리브 링(42)의 내부 주변 표면에 연결되어 배치되며 축선(L)을 중심으로 서로에서 각도가 변위되어 있는 4개의 힘 감지 유닛(41)을 포함한다. 슬리브 링(42)은 플랜지 부분(312)의 주변 상에 슬리브되어 주변과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으며, 접촉 표면(918)에 대해서 접촉된다. 슬리브 링(42)의 내부 주변 표면은 힘 감지 유닛(41)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4개의 장착 노치(5')를 구비하며, 그 결과 힘 감지 유닛(41)은 플랜지 부분(312)의 주변에 대해서 접촉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베드(91)는 베이스 시트(911)와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는 6개의 스크류 패스너(915)를 더 포함한다. 스크류 패스너(915) 각각은 헤드(916)와, 베이스 시트(911)와 나사식으로 맞물린 나사형 생크(917)를 구비한다. 장착 노치(5)는 플랜지 부분(312)에 형성되며, 플랜지 부분(312)의 주변에 인접하여 숄더 표면(312)에 대향된 플랜지 부분(312)의 단부 표면(316)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다. 반력 감지 모듈(4)은 각기 장착 노치(5)에 수용되며, 축선(L)의 방향에서 장착 노치(5) 및 반력 감지 모듈(4)을 통해 연장되며 베이스 시트(911)와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스크류 패스너(915)를 구비하여 플랜지 부분(312)과 맞물린다. 볼 스크류는 6개의 관통 슬롯(6)을 더 포함하며, 각 슬롯은 플랜지 부분(312)에 형성되며, 장착 노치(5)의 각각 하나와 연통되도록 숄더 표면(313)으로부터 축선(L)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반력 감지 모듈(4) 각각은 링의 형태이다. 관통 슬롯(6) 각각은 각 장착 노치(5)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있다. 각 스크류 패스너(915)의 헤드(916)는 각 장착 노치(5)에 수용되며, 각 반력 감지 모듈(4)에 대해서 접촉된다. 각 스크류 패스너(915)의 나사형 생크(917)는 베이스 시트(911)에 고정되도록 각 반력 감지 모듈(4) 및 각 관통 슬롯(6)을 통해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그러한 변경예 및 균등 구조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포괄할 의도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0)

  1.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착 베드(mounting bed) 상에 장착 가능한 볼 스크류에 있어서,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샤프트 보디와, 상기 샤프트 보디 상에 마련되며 축선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외부 홈을 구비하는 스크류 샤프트;
    상기 샤프트 보디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슬리브되어 있고 장착 베드가 그 위에 배치되는 캐리어 시트를 포함하는 볼 너트 ― 상기 캐리어 시트는 장착 베드가 운반되는 캐리어 부분을 구비함 ―; 및
    상기 캐리어 시트에 부착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상기 볼 너트가 변위하는 동안 상기 볼 너트의 장착 베드 상에 작용하는 반력을 측정하기 위해 장착 베드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반력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노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시트는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캐리어 부분에 대향 연결된 플랜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 부분은, 축선의 방향을 횡단하며, 축선의 방향을 횡단하는 상기 캐리어 부분의 횡단면보다 큰 치수인 횡단면을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 부분과 인접하며 축선의 방향을 향하는 숄더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 노치는 상기 플랜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부분의 주변에 인접하여 상기 숄더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은 상기 장착 노치에 수용되며, 상기 숄더 표면과 맞물리는 제 1 측면과,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되며 장착 베드에 대해 접촉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크류는 복수의 상기 반력 감지 모듈 및 복수의 상기 장착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노치는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에서 각도가 변위되어 있고,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은 각기 상기 장착 노치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분은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2개의 단부 표면에서 종단되며, 상기 장착 노치는 상기 캐리어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 부분의 상기 단부 표면 중 하나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고 하나의 단부 표면의 주변에 인접하여 있으며,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은 상기 장착 노치에 수용되며, 상기 캐리어 부분과 맞물리는 제 1 측면과, 축선에 횡단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되며 장착 베드에 대해 접촉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크류는 복수의 상기 반력 감지 모듈 및 복수의 상기 장착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노치는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에서 각도가 변위되어 있고,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은 각기 상기 장착 노치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베드는 베이스 시트와 장착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 구멍은 서로 대향된 대경 섹션 및 소경 섹션과, 대경 섹션과 소경 섹션 사이의 접촉 표면을 구비하도록 길이 방향에서 베이스 시트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장착 구멍에 상기 캐리어 시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은 축선을 둘러싸는 슬리브 링과, 상기 슬리브 링의 내부 주변 표면에 연결되어 배치되며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각도가 변위되어 있는 복수의 힘 감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시트는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캐리어 부분에 대향 연결된 플랜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 부분 및 상기 플랜지 부분은 각기 소경 섹션 및 대경 섹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 부분은, 축선의 방향을 횡단하며, 축선의 방향을 횡단하는 상기 캐리어 부분의 횡단면보다 큰 치수인 횡단면을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 부분과 인접하며 축선의 방향을 향하는 숄더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슬리브 링은 상기 플랜지 부분의 주변 상에 슬리브되어 주변과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으며, 접촉 표면에 대해서 접촉되며, 상기 힘 감지 유닛은 상기 플랜지 부분의 상기 주변에 대해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베드는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와 나사식으로 맞물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패스너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 시트는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캐리어 부분에 대향 연결된 플랜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 부분은, 축선의 방향을 횡단하며, 축선의 방향을 횡단하는 상기 캐리어 부분의 횡단면보다 큰 치수인 횡단면을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 부분과 인접하며 축선의 방향을 향하는 숄더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 노치는 상기 플랜지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 부분의 주변에 인접하여 상기 숄더 표면에 대향된 상기 플랜지 부분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은 상기 장착 노치에 수용되며,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장착 노치 및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을 통해 연장되며 베이스 시트와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스크류 패스너를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 부분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크류는 복수의 상기 반력 감지 모듈과,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에서 각도가 변위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장착 노치와, 복수의 관통 슬롯을 포함하며, 각 관통 슬롯은 상기 플랜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 노치의 각각 하나와 연통되도록 상기 숄더 표면으로부터 축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통 슬롯 각각은 상기 각 장착 노치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반력 감지 모듈 각각은 링의 형태이며, 장착 베드는 복수의 스크류 패스너를 구비하며, 스크류 패스 각각은, 상기 각 장착 노치에 수용되며, 상기 각 반력 감지 모듈에 대해서 접촉되는 헤드와, 상기 각 반력 감지 모듈 및 상기 각 관통 슬롯을 통해 연장되며 베이스 시트와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나사형 생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휨을 결정하기 위한 검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배치되며, 장착 베드는, 2개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장착 베드와 연결된 섀들을 구비하는 가이드 레일 조립체에 배치되며, 상기 반력 감지 모듈은 제어 유닛과 전자적으로 연결되며, 그 결과 상기 볼 너트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축선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장착 베드를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볼 너트에 의해 장착 베드 상에 작용된 반력은 상기 반력 감지 모듈에 의해 측정되며, 이를 나타내는 제 1 힘 값이 제어 유닛에 의해 기록되며, 또한 볼 너트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볼 너트에 의해 상기 장착 베드 상에 작용된 반력은 상기 반력 감지 모듈에 의해 측정되며, 이를 나타내는 제 2 힘 값이 제어 유닛에 의해 기록되며, 그 결과 제어 유닛은 제 1 및 제 2 힘 값에 따라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스크류.
KR1020190090688A 2019-07-26 2019-07-26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 KR10224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88A KR102246053B1 (ko) 2019-07-26 2019-07-26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88A KR102246053B1 (ko) 2019-07-26 2019-07-26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472A true KR20210013472A (ko) 2021-02-04
KR102246053B1 KR102246053B1 (ko) 2021-04-29

Family

ID=7455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688A KR102246053B1 (ko) 2019-07-26 2019-07-26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927B1 (ko) 2003-03-21 2005-09-08 류일환 키토산이 함유된 우유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8031A (ko) * 2006-12-15 2009-10-14 인더스트리얼 볼팅 테크놀로지 앤 서플라이 그룹 비.브이. 나사 단부에 위치한 너트 조임 방법 및 장치, 및 조립 와셔 및 상기 장치용 너트
KR101999267B1 (ko) * 2017-12-28 2019-07-11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축방향력의 측정이 가능한 나사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927B1 (ko) 2003-03-21 2005-09-08 류일환 키토산이 함유된 우유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8031A (ko) * 2006-12-15 2009-10-14 인더스트리얼 볼팅 테크놀로지 앤 서플라이 그룹 비.브이. 나사 단부에 위치한 너트 조임 방법 및 장치, 및 조립 와셔 및 상기 장치용 너트
KR101999267B1 (ko) * 2017-12-28 2019-07-11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축방향력의 측정이 가능한 나사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053B1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682B2 (en) Ball screw with tilt detector
CN108691972B (zh) 滚珠丝杠机构的检查方法、检查装置以及制造方法
KR101207810B1 (ko) 인장 및 압축 하중 부가장치
CN107677415B (zh) 一种扭矩扳手检定装置
CN1229615C (zh) 长度测量装置
US7478566B2 (en) Electrical torque-indicating wrench
US11268608B2 (en) Ball screw with a load condition feedback mechanism
KR102246053B1 (ko) 부하 조건 피드백 메카니즘을 갖는 볼 스크류
JP2008111468A (ja) ボールねじ装置およびその磨耗量検出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動射出成形機
TWI693128B (zh) 電動起子的扭力控制裝置
JP5375772B2 (ja) 材料試験機の軸心調整装置
TWM576947U (zh) Torqu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screwdriver
JP2000046141A (ja) ボールねじの予圧動トルク測定方法および装置
CN107143690A (zh) 阀门位置传感器及智能定位器
CN206816940U (zh) 阀门位置传感器及智能定位器
US11733018B2 (en) Measuring device
CN107764468B (zh) 一种扭矩扳子检定装置
KR200491530Y1 (ko) 예압 조정 및 측정이 가능한 더블 너트 볼 스크류
TWI529324B (zh) A ball screw for instantaneous monitoring of thrust
JP2002070978A (ja) ねじ係合部における摩耗等検出装置
JP7409328B2 (ja) 試験機用のクランプ構造、および、試験機
CN214378216U (zh) 一种位移开关的构造
CN214793575U (zh) 螺栓锁固作业用的螺栓夹紧力传感器
CN110005658B (zh) 活塞旋转力矩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20103909U (zh) 制导舱支撑装置及制导舱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