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719A - 가스 난방기 - Google Patents

가스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719A
KR20210012719A KR1020190090921A KR20190090921A KR20210012719A KR 20210012719 A KR20210012719 A KR 20210012719A KR 1020190090921 A KR1020190090921 A KR 1020190090921A KR 20190090921 A KR20190090921 A KR 20190090921A KR 20210012719 A KR20210012719 A KR 2021001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gas hea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희
김주수
박한샘
정용기
하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719A/ko
Publication of KR2021001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3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having means for moistening the combustion air with condensate from the combustion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가스 난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난방기는, 연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포트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배출포트에 결합되는 노즐; 공기와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 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혼합기가 연소되며 생성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난방기{GAS FURNACE}
본 발명은 가스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의 유동가이드 구조를 통해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난방기는 연료가스의 연소 시 발생되는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는 기기이다.
가스 난방기는 열교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가스 난방기는 실내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다시 고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9,297,552B2호는 열교환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 사이에 유동 가이드를 설치하여 가스 난방기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내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미국 등록특허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기류 패턴이 바뀌는 경우, 가스 난방기의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변화하는 기류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유동 가이드를 구비한 가스 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공기를 균일하게 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 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과제는, 공기의 풍량 변화에 따라 유량을 균일하게 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 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연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포트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배출포트에 결합되는 노즐; 공기와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 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혼합기가 연소되며 생성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일변과 교차하는 상기 프레임의 타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제1 변; 상기 제1 변과 대향하는 제2 변;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변의 일단과 상기 제2 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변; 그리고,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변의 타단과 상기 제2 변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3 변과 대향하는 제4 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1 수직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제2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수직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3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1 수평 블레이드; 상기 제4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4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수평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제3 변과 상기 제4 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변 또는 상기 제4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수평 블레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축에 대하여, 음(-)의 각도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축에 대하여, 음(-)과 양(+)의 각도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변화하는 기류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유동 가이드를 구비한 가스 난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공기를 균일하게 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 난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공기의 풍량 변화에 따라 유량을 균일하게 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 난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난방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난방기의 일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난방기의 다른 일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를 구비한 가스 난방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도 2 등에 도시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여 X축, Y축 및 Z축을 정의한다. 각 축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 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가스 난방기(Gas furnace. 10)는 연료가스(R)의 연소 시 발생되는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P)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는 기기이다.
가스 난방기(10)는, 매니폴드(30)에 연료가스(R)를 공급하는 가스밸브(20)와, 매니폴드(30)로부터 배출된 연료가스(R)가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기를 형성하며 유동하는 버너(40)와, 버너(40)에서 혼합기가 연소되어 생성된 연소가스(P)가 유동하는 열교환기(50)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 난방기(10)는 연소가스(P)가 열교환기(50)를 거쳐 배기관(80)으로 배출되는 유동을 일으키는 유도팬(70)과, 열교환기(50) 주위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60)과, 열교환기(50) 및/또는 배기관(8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트랩(90)을 포함한다.
가스밸브(20)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가스(R)로는, 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냉각하여 액화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석유 정제 공정의 부산물로 얻은 가스를 가압하여 액화한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를 사용할 수 있다.
가스밸브(20)의 개폐에 따라 매니폴드(30)로 연료가스(R)가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고, 가스밸브(2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매니폴드(30)로 연료가스(R)가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가스밸브(20)는 가스 난방기(1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난방기(10)는 가스밸브(20)의 개폐 여부 또는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니폴드(30)는 연료가스(R)를 버너(40)로 안내할 수 있고, 버너(40)로 유입된 연료가스(R)는 공기와 함께 혼합기를 형성하며 유동될 수 있다.
버너(40)를 유동하는 상기 혼합기는 점화기의 불꽃 점화로 인해 연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혼합기가 연소되어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P)가 생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50)에 연소가스(P)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열교환기(50)는 제1 열교환기(51) 및/또는 제2 열교환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차 열교환기(51)는 일단이 버너(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차 열교환기(51)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은, 커플링 박스(1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차 열교환기(5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통과하는 연소가스(P)는 커플링 박스(14)를 통해 제2차 열교환기(52)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차 열교환기(52)의 일단은 커플링 박스(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차 열교환기(51)를 통과한 연소가스(P)는 제2차 열교환기(52)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제2차 열교환기(52)를 통과할 수 있다.
제2차 열교환기(52)는 제1차 열교환기(51)를 통과한 연소가스(P)를 제2차 열교환기(52)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와 다시 한번 열교환시킬 수 있다.
즉, 제2차 열교환기(52)를 통해 제1차 열교환기(51)를 통과한 연소가스(P)의 열에너지를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가스 난방기(10)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2차 열교환기(52)를 통과하는 연소가스(P)는 제2차 열교환기(52)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전달 과정을 통해 응축되어,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소가스(P)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로 상태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1차 열교환기(51) 및 제2차 열교환기(52)를 구비한 가스 난방기(10)는, 콘덴싱(condensing) 가스 난방기로도 불리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2차 열교환기(52)의 타단을 통과한 연소가스(P)는, 유도팬(70)에 의해 배기관(80)을 거쳐 가스 난방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차 열교환기(52)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수 트랩(90)으로 빠져나간 후, 토출구를 거쳐 가스 난방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도팬(70)은 연소가스(P)가 제1차 열교환기(51), 커플링 박스(14) 및 제2차 열교환기(52)를 통과하여, 배기관(80)으로 배출되는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점에서, 유도팬(70)은 IDM(Induced Draft Motor)으로 칭할 수 있다.
가스 난방기용 송풍팬(블로어, blower)(60)은 가스 난방기(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는, 송풍팬(60)에 의하여 가스 난방기(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송풍팬(60)은 IBM(Indoor Blower Motor)으로 칭할 수 있다.
송풍팬(60)은 열교환기(50) 주위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송풍팬(60)에 의하여 열교환기(50)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50)를 매개로 고온의 연소가스(P)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됨으로써, 실내가 난방될 수 있다.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이하, 내기)(RA)가 통과하는 내기덕트(D1)가 송풍팬(6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이하, 급기)(SA)가 통과하는 급기덕트(D2)가 열교환기(5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송풍팬(60)이 동작하면, 내기덕트(D1)를 통해 실내로부터 유입된 내기(RA)가 열교환기(50)를 거치며 온도가 상승되어 급기덕트(D2)를 통해 실내로 공급(SA)될 수 있고, 이로써 실내가 난방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유동 가이드(100)는 송풍팬(60)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팬(60)은 유동 가이드(100)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팬(60)은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송풍팬(60)은 팬의 회전축방향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팬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원주면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100)는 송풍팬(6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100)는 프레임(110), 그리고 블레이드(blade: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20,130)는 수직 블레이드(120), 그리고 수평 블레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블레이드(120)는 복수개일 수 있고, 수평 블레이드(130)는 복수개일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제1 변(S1), 제1 변(S1)과 대향하거나 마주하는 제2 변(S2), 제1 변(S1)과 제2 변(S2)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변(S1)의 일단과 제2 변(S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변(S3), 그리고 제1 변(S1)과 제2 변(S2)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변(S1)의 타단과 제2 변(S2)의 타단을 연결하며 제3 변(S3)과 마주하거나 대향하는 제4 변(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블레이드(121)는 제1 변(S1)에 인접하여 제1 변(S1)을 길이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직 블레이드(121)는 블레이드의 장변을 축으로 피벗되거나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수직 블레이드(122)는 제2 변(S2)에 인접하여 제2 변(S2)을 길이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직 블레이드(122)는 블레이드의 장변을 축으로 피벗되거나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수직 블레이드(120)를 수직 베인(vertical vane:120)으로 칭할 수 있다. 수직 블레이드(120)는 폭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각도는 30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풍량제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제1 수평 블레이드(131)는 제3 변(S3)에 인접하여 제3 변(S3)을 길이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5 수평 블레이드(135)는 제4 변(S4)에 인접하여 제4 변(S4)을 길이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평 블레이(132)드, 제3 수평 블레이드(133), 제4 수평 블레이드(134)는 제3 변(S3) 또는 제4 변(S4)을 길이방향으로 제1 수평 블레이드(131)와 제5 수평 블레이드(135)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평 블레이드(131), 제2 수평 블레이드(132), 제3 수평 블레이드(133), 제4 수평 블레이드(134) 및/또는 제5 수평 블레이드(135)는 서로 평행할 수 있고, 각각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수평 블레이드(130)를 수평 베인(horizontal vane: 130)으로 칭할 수 있다. 수평 블레이드(130)는 폭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각도는 30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풍량제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모터(140)는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140)는 수직 블레이드(120) 및/또는 수평 블레이드(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140)는 스텝 모터일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1 수평 블레이드(131)와 제2 수평 블레이드(132)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2 수평 블레이드(132)와 제3 수평 블레이드(133) 사이의 제2 거리(D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수평 블레이드(133)와 제4 수평 블레이드(134) 사이의 제3 거리(D3)는 제2 거리(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3 거리(D3)는 제4 수평 블레이드(134)와 제5 수평 블레이드(135) 사이의 거리인 제4 거리(D4) 보다 클 수 있다.
수평 블레이드들(130)이 프레임(110)의 수직축(Vx)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는 수평 블레이드들(130)의 회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는 0도에서 20도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팬(60)에서 열교환기(50)로 향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으면(또는 최소가 되면) 수평 블레이드들(130)의 각도는 수직축(Vx)에 대하여 2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송풍팬(60)에서 열교환기(50)로 향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으면(또는 최대가 되면) 수평 블레이드들(130)의 각도는 수직축(Vx)에 대하여 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60)에서 열교환기(50)로 향하는 공기의 유량은 풍속에 비례할 수 있다.
제1 수평 블레이드(131), 제2 수평 블레이드(132) 및/또는 제3 수평 블레이드(133)는 수직축(Vx)에 대하여 제3 변(S3)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4 수평 블레이드(134)는 수직축(Vx)에 대하여 제3 변(S3) 방향 또는 제4 변(S4)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5 수평 블레이드(135)는 수직축(Vx)에 대하여 제4 변(S4)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60)에서 열교환기(50)로 향하는 공기의 유량을 열교환기(50)에 고르게 균등분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직 블레이드들(120)이 프레임(110)의 수직축(Vx1, Vx2)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는 수직 블레이드들(120)의 회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는 20도에서 -20도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팬(60)에서 열교환기(50)로 향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으면(또는 최소가 되면) 수직 블레이드들(120)의 각도는 수직축(Vx1, Vx2)에 대하여 -2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송풍팬(60)에서 열교환기(50)로 향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으면(또는 최대가 되면) 수직 블레이드들(120)의 각도는 수직축(Vx1, Vx2)에 대하여 2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60)에서 열교환기(50)로 향하는 공기의 유량은 풍속에 비례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송풍팬(60)에서 제공하는 공기의 유량이 많은 경우, 수직 블레이드들(120)은 수직축(Vx1, Vx2)에 대하여 양(+)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팬(60)에서 제공하는 공기의 유량이 최대인 경우, 수직 블레이드들(120)은 수직축(Vx1, Vx2)에 대하여 20도의 각도를 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50)에 제공되는 공기의 분포가 넓어지게 되어 열교환기(50)에서 공기로의 연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 및 10을 참조하면, 송풍팬(60)에서 제공하는 공기의 유량이 적은 경우, 수직 블레이드들(120)은 수직축(Vx1, Vx2)에 대하여 음(-)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팬(60)에서 제공하는 공기의 유량이 최소인 경우, 수직 블레이드들(120)은 수직축(Vx1, Vx2)에 대하여 -20도의 각도를 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50)에 제공되는 공기의 분포를 집중시킴으로써 열교환기(50)에서 공기로의 연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난방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범위내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가스 난방기 20: 가스밸브
30: 가스밸브 40: 버너
50: 열교환기 60: 송풍팬
70: 유도팬 80: 배기관
90: 응축수 트랩

Claims (8)

  1. 연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포트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상기 배출포트에 결합되는 노즐;
    공기와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
    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혼합기가 연소되며 생성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일변과 교차하는 상기 프레임의 타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변;
    상기 제1 변과 대향하는 제2 변;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변의 일단과 상기 제2 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변; 그리고,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변의 타단과 상기 제2 변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3 변과 대향하는 제4 변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1 수직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제2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수직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3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1 수평 블레이드;
    상기 제4 변에 인접하여 상기 제4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수평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제3 변과 상기 제4 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변 또는 상기 제4 변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수평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축에 대하여, 음(-)의 각도로 회동가능한 가스 난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축에 대하여, 음(-)과 양(+)의 각도로 회동가능한 가스 난방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블레이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


KR1020190090921A 2019-07-26 2019-07-26 가스 난방기 KR20210012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21A KR20210012719A (ko) 2019-07-26 2019-07-26 가스 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21A KR20210012719A (ko) 2019-07-26 2019-07-26 가스 난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19A true KR20210012719A (ko) 2021-02-03

Family

ID=7457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21A KR20210012719A (ko) 2019-07-26 2019-07-26 가스 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7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3378A1 (en) Burner system for a furnace
US11639793B2 (en) Gas furnace
EP3745026B1 (en) Gas furnace
KR20200138040A (ko) 가스 퍼니스
CN107477578A (zh) 燃烧器及热水器
KR20210012719A (ko) 가스 난방기
CN202101394U (zh) 一种直燃式箱型燃油热风炉
KR101282507B1 (ko) 펠릿 송풍난방장치
US11499750B2 (en) Gas furnace to produce heated air and optionally hot water via a bypass pipe
US11592176B2 (en) RPM control method for inducer for gas furnace
US11428403B2 (en) Gas furnace
US20210025621A1 (en) Gas furnace
JP3144345U (ja) 温風機における空気加熱のための構造
KR20210012718A (ko) 가스 난방기
KR20200143253A (ko) 가스 퍼니스
KR102521859B1 (ko) 가스 난방기용 버너
CN109387076B (zh) 转底炉及其改造方法
CN207298940U (zh) 燃烧器及热水器
CN106439860B (zh) 一种酒精脱水蒸汽加热系统
KR102658124B1 (ko) 가스 퍼니스
CN219607101U (zh) 一种焚烧炉壳体保护及热量回收一体化结构
CN217274827U (zh) 一种燃油气混合风热风炉
CN216244400U (zh) 一种梭式窑用燃烧设备
WO2023120404A1 (ja) アンモニア燃料ボイラシステム
HU223643B1 (hu) Kondenzációs hõcserélõjû, elõkeverõ égõs gázboj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