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507B1 - 펠릿 송풍난방장치 - Google Patents

펠릿 송풍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507B1
KR101282507B1 KR1020130008430A KR20130008430A KR101282507B1 KR 101282507 B1 KR101282507 B1 KR 101282507B1 KR 1020130008430 A KR1020130008430 A KR 1020130008430A KR 20130008430 A KR20130008430 A KR 20130008430A KR 101282507 B1 KR101282507 B1 KR 10128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heat exchange
pellet
air
cr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희
Original Assignee
전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철희 filed Critical 전철희
Priority to KR102013000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returning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8Arrangements combining combustion-air and flue-gas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릿 송풍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펠릿(P)이 저장되는 펠릿저장통(20)과; 베이스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버너(30)와; 베이스몸체(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버너(3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열교환유로(41)(41')가 관통되게 형성된 화구(40)와; 펠릿저장통(20)으로부터 화구(40)로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부(50)와; 화구(40)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버너(30)로 가이드하기 위한 순환배관(60)과; 순환배관(60)으로 가이드되는 배기가스를 버너(30)로 강제 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와;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열교환유로(41)(41')로 개구된 송풍구(81)가 형성된 송풍가이더(80)와; 송풍가이더(80)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블로워(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펠릿 송풍난방장치{PELLET HEATER}
본 발명은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송풍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 방식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난방할 수 있는 펠릿 송풍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펠릿 난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펠릿 난방장치는, 하부측에 버너(1)가 설치되는 베이스몸체(2)와, 베이스몸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 버너(1)의 연소가스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구(3)와, 화구(3)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연통(4)과, 화구(3)의 측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펠릿이 저장되는 펠릿저장통(5)과, 펠릿저장통(5)과 화구(2)를 연결하는 가이드덕트(6)와, 펠릿저장통(5)에 설치되어 펠릿을 가이드덕트(6)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7)와, 이송스크류(7)를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터(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감속모터(8)에 의하여 이송스크류(7)가 회전함에 따라 펠릿은 가이드덕트(6)를 통하여 화구(3)로 공급되고, 펠릿이 연소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기는 화구(3)를 가열하여 주위를 난방한다. 그리고 펠릿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연통(4)을 통하여 건물 외부로 배기된다.
그런데 상기한 펠릿 난방장치에 있어서, 난방은 화구에서 가열된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하여 진행되므로, 화구(3) 근처는 과도하게 난방되고 화구(3)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은 충분히 난방되지 않았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하여, 건물 외부와 연결되는 연통(4)을 설치함으로서 이동성이 제약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송풍 방식으로 화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난방할 수 있는 펠릿 송풍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펠릿을 완전연소시켜 배기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연통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송풍난방장치는,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펠릿(P)이 저장되는 펠릿저장통(20); 상기 베이스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버너(30); 상기 베이스몸체(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너(3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열교환유로(41)가 관통되게 형성된 화구(40); 상기 펠릿저장통(20)으로부터 상기 화구(40)로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부(50); 상기 화구(40)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버너(30)로 가이드하기 위한 순환배관(60); 상기 순환배관(60)으로 가이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버너(30)로 강제 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 상기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유로(41)로 개구된 송풍구(81)가 형성된 송풍가이더(80); 및 상기 송풍가이더(80)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블로워(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관(60)과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순환배관(60)으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공기혼합가스로 만들기 위한 공기혼합탱크(7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41)는,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화구(40)의 측부 일측으로 개방된 제1열교환유로(41a)와, 상기 제1열교환유로(41a)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화구(40)의 측부 타측으로 개방된 제2열교환유로(41b)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구(81)는, 상기 제1,2열교환유로(41a)(41b)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 제1,2송풍구(81a)(81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41')는, 하부측에 위치되며 원통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제1열교환유로(41a')와, 제1열교환유로(41a')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원통형태를 이루는 제2열교환유로(41b')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구(81)는, 상기 제1,2열교환유로(41a')(41b')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 제1,2송풍구(81a)(81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가이더(80)를 경유하는 공기가 상기 화구(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화구(40)의 측부와 상기 송풍가이더(80)를 연결되는 서브송풍관(4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펠릿공급부(50)는, 상기 펠릿저장통(20)과 화구(40)를 연결하는 이송관(51)과, 상기 이송관(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릿(P)을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52)와, 상기 스크류(52)를 회전시키는 기어드모터(53)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51)운 상기 서브송풍관(45)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41)(41')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송풍구(81)에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열교환핀(46)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너(30)는, 상기 공기혼합탱크(75)를 경유한 공기혼합가스가 유입되는 연결구(31a)와,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1b)을 포함하는 외통(31)과; 상기 외통(3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측부 외주면에 다수의 제1구멍(32a)이 형성되는 제1내통(32)과; 상기 걸림턱(31b)에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중앙 상부에 거치공(33a)이 형성된 공기수렴캡(33)과; 상기 거치공(33a)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측부에 다수의 제2구멍(34a)이 형성된 제2내통(34)과; 상기 제2내통(34)의 상단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다수의 제3구멍(35a)이 형성된 연소단(35b)과, 상기 연소단(35b)의 상방측에 형성되며 통형상으로 된 몸체단(35c)로 구성되어, 상기 펠릿저장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펠릿(P)이 연소되는 연소통(3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방식을 채용함으로서 화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가열된 공기를 보낼 수 있어 넓은 면적을 고르게 난방할 수 있다.
또한 펠릿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순환시켜 재연소시킴으로써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연통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여러 장소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발생되는 열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효율을 높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펠릿 난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송풍난방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펠릿 송풍난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펠릿 송풍난방장치의 구성을 측면 방향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4에 채용되는 버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버너와 화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화구에 있어서, 열교환유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2의 공기혼합탱크와 배기가스 순환블로워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송풍난방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송풍난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펠릿 송풍난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펠릿 송풍난방장치의 구성을 측면 방향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5 및 도 6은 도 4에 채용되는 버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버너와 화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화구에 있어서, 열교환유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2의 공기혼합탱크와 배기가스 순환블로워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송풍난방장치는,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펠릿(P)이 저장되는 펠릿저장통(20)과; 베이스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버너(30)와; 베이스몸체(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버너(3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열교환유로(41)(41')가 관통되게 형성된 화구(40)와; 펠릿저장통(20)으로부터 화구(40)로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부(50)와; 화구(40)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버너(30)로 가이드하기 위한 순환배관(60)과; 순환배관(60)으로 가이드되는 배기가스를 버너(30)로 강제 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와; 순환배관(60)과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순환배관(60)으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공기혼합가스로 만들기 위한 공기혼합탱크(75);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열교환유로(41)(41')로 개구된 송풍구(81)가 형성된 송풍가이더(80)와; 송풍가이더(80)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블로워(90);를 포함한다.
베이스몸체(10)는 바닥을 지지하며, 버너(30),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 및 공기혼합탱크(75)가 설치된다.
버너(30)는, 펠릿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펠릿(P)을 연소한다. 이러한 버너(3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혼합탱크(75)를 경유한 공기혼합가스가 유입되는 연결구(31a) 및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1b)을 포함하는 외통(31)과; 외통(3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측부 외주면에 다수의 제1구멍(32a)이 형성되는 제1내통(32)과; 걸림턱(31b)에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삿갓 형상을 하며 중앙 상부에 거치공(33a)이 형성된 공기수렴캡(33)과; 거치공(33a)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측부에 다수의 제2구멍(34a)이 형성된 제2내통(34)과; 제2내통(34)의 상단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다수의 제3구멍(35a)이 형성된 연소단(35b) 및 연소단(35b)의 상방측에 형성되며 통형상으로 된 몸체단(35c)로 구성되어, 펠릿저장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릿(P)이 연소되는 연소통(35);을 포함한다.
외통(31)은 베이스몸체(10)에 설치되며, 연결구(31a)를 통하여 공기혼합탱크(75)로부터 공기혼합가스가 유입된다.
제1내통(32)은 외통(31)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위치된 것으로서, 연결구(31a)를 통하여 치우친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혼합가스를 제1내통(32) 내측으로 고르게 유입되게 한다. 즉 제1내통(3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1구멍(32a)을 고르게 형성함으로써, 제1내통(32)으로 치우치게 유입된 공기혼합가스는 다수개의 제1구멍(32a)으로 분배된 후 제1내통(32) 전체면으로 고르게 유입되는 것이다.
공기수렴캡(33)은 상방으로 돌출된 삿갓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통(31)으로 유입된 공기를 거치공(33a) 측으로 수렴되도록 가이드한다.
제2내통(34)은 연소통(35)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내통(32)으로 유입된 공기를 연소통(35)에 형성된 제3구멍(35a)으로 가이드한다.
한편 제2내통(34)의 내측에는 내주면과 이격되는 이격관(3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관(34b)은 버너(30) 하부단으로부터 펠릿의 점화를 위한 가스를 분사할 때, 연소통(35)의 연소단(35b)로 모아준다. 이에 따라 연소단(35b)에 투입된 펠릿(P)은 빠른시간내에 점화된다.
연소통(35)은 하부측에 위치된 연소단(35b)과 상부측에 위치된 몸체단(35c)으로 구성되며, 연소단(35b)이 제2내통(34) 내부에 위치되도록 몸체단(35c)이 제2내통(34)의 상단에 거치된다.
또한 연소통(35)의 내측에는 몸체단(35c)의 내주면과 이격된 내부연소통(35d)이 형성된다. 내부연소통(35d)에는 펠릿(P)을 연소단(35b)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날개(36)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날개(36)는 상방을 향하는데, 후술할 매개가이드날개(44)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매개가이드날개(44)로 이송되는 펠릿(P)을 연소단(35b)으로 가이드한다.
상기한 버너(30) 구조에 의하여, 연소통(35)으로 투입되는 펠릿(P)은, 공기수렴캡(33)을 통하여 수렴된 공기혼합가스와, 제1내통(32)의 제1구멍(32a) 및 제2내통(34)의 제2구멍(34b)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혼합가스에 의하여 완전연소된다.
화구(40)는 버너(3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연소되는 공간으로서,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화염은 화구(40)를 가열시킨다. 이러한 화구(4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열교환유로(41)(41')가 형성되며 이러한 열교환유로(41)(4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유로(41)의 일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위치되어 화구(40)의 측부 일측으로 개방된 제1열교환유로(41a)와, 제1열교환유로(41a)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화구(40)의 측부 타측으로 개방된 제2열교환유로(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열교환유로(41a)와 제2열교환유로(41b)는 지그재그 형태로 화구(40)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2열교환유로(41a)(41b)에 의하여, 화구(40)는 제1열교환유로(41a)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연소실(42a)과, 제1,2열교환유로(41a)(41b) 사이에 위치된 제2연소실(42b)과, 제2열교환유로(41b) 상부에 형성된 제3연소실(42c)이 지그재그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게 되고, 연소가스는 제1,2,3연소실(42a)(42b)(42c)을 경유하면서 연소되어 화구(40)를 가열시킨다.
또한 열교환유로(41')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위치되며 원통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제1열교환유로(41a')와, 제1열교환유로(41a')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원통 형태를 이루는 제2열교환유로(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1열교환유로(141a)는 화구(40)의 일측으로 치우치고, 제2열교환유로(141b)는 화구(40)의 타측으로 치우침으로써,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구(4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재를 치우기 위한 도어(43)가 힌지(h)에 연결되게 설치되는데, 더욱 상세하게 도어(43)는 제1연소실(42a)에 형성된다.
화구(40) 내측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공급부(50)의 이송관(51)과 버너(30)의 가이드날개(36)를 연결하는 매개가이드날개(44)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펠릿저장통(20)에 저장된 펠릿(P)은 이송관(51) 및 스크류(52)에 의하여 매개가이드날개(44)로 이송되고, 이후 매개가이드날개(44)로 이송된 펠릿(P)은 가이드날개(36)를 통하여 연소통(35)으로 공급된다.
또한 화구(40)의 측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송풍가이더(80)를 경유하는 공기를 그 화구(40)로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가이더(80)와 연결되는 서브송풍관(45)이 형성된다. 이러한 서브송풍관(45)에 의하여, 송풍가이더(80)에 의하여 공급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화구(40)로 유입되어 화구(40) 내부에서 연소가스가 더욱 완전하게 연소되게 한다.
상기한 서브송풍관(45)에는 후술할 펠릿공급부(50)의 이송관(51)이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송관(51)을 연결하기 위하여 화구(40)에 별도의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며, 완성되는 제품의 모양이 깔끔해진다.
그리고 열교환유로(41)(41')에는 후술할 송풍구(81)에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열교환핀(46)이 형성될 수 있다.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핀(46)은 핀형태로 설명되었으나, 공기외의 열접촉 면적을 늘릴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펠릿공급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저장통(20)과 화구(40)를 연결하는 이송관(51)과, 이송관(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펠릿(P)을 이송하는 스크류(52)와, 스크류(52)를 회전시키는 기어드모터(5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크류(52)가 천천히 회전됨에 따라 펠릿저장통(20)에 저장된 펠릿(P)은 일정한 양만큼씩 화구(40)로 공급된다. 상기한 이송관(51)은 후술할 서브송풍관(45)을 관통하게 설치된다.
순환배관(60)은 화구(40)의 상단, 정확하게는 제3연소실(42c)과 연결되며, 화구(40)에서 발생된 뜨거운 배기가스가 배기된다. 이때 배기가스는 열교환기(60)를 가열하여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공기와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그 표면에 다수의 열교환핀(6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는 순환배관(60)을 경유하는 배기가스를 버너(30)로 강제 순환시켜 배기가스가 재연소되게 한다.
공기혼합탱크(7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10)에 설치되며, 순환배관(60)으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공기혼합가스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기혼합탱크(75)는 외부로 개방되는 공기유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안전을 위하여 공기유입홈(76)에는 안전망(미도시)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열교환기(60)에서 배기되는 가스는 공기혼합탱크(75)에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와 혼합된 후 버너(30)에서 재연소됨으로서,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하여 건물 외부로 연결되는 연통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때 배기가스는 외부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연소되므로 완성연소가 가능한 것이다.
송풍가이더(80)는 순환배관(60)과 화구(40) 사이에 설치되어, 송풍구(81)를 통하여 화구(40)에 형성된 열교환유로(41)(41')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송풍구(81)는 열교환유로(41)(41')와 동일 개수가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제1,2열교환유로(41a)(41b)(41a')(41b')에 각각 대응되게 제1,2송풍구(81a)(81b)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제1,2송풍구(81a)(81b)에는 공기가 제1,2순환유로(41a)(41b)(41a')(41b')로 집중적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순환유로(41a)(41b)를 향하는 날개(81a')(81b')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송풍가이더(80)는 펠릿저장통(20)과 일체화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인다.
송풍블로워(90)는, 송풍가이더(80)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송풍구의 개수가 많을수록 많은 양의 공기를 송풍가이더(80)로 공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팬을 가지는 시로코타입의 송풍블로워를 채용한다.
다음 상기한 펠릿 송풍난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펠릿저장통(20)에 저장된 펠릿(P)은 펠릿공급부의 스크류(52)가 회전됨에 따라 이송관(51)을 통하여 화구(40)로 이송된다. 화구(40)로 이송된 펠릿(P)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가이드날개(44) 및 가이드날개(36)를 통하여 연소통(35)으로 공급되어 연소된다.
연소가스는 화구(40)에서 화염을 일으키며 연소되어 화구(40)를 가열시키는데, 이때 송풍가이더(80)에 의하여 송풍구(81)로 공급되는 공기는 열교환유로(41)(4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열교환되어 가열된 공기는 전방으로 송풍된다.
또한 순환배관(60)을 경유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에 의하여 공가혼합탱크(75)에서 혼합된 후 버너(30)로 순환되어 재연소되면서 완전연소된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완전 연소되므로 건물 외부로 연결되는 연통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고, 완전연소에 의하여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브송풍관(45)을 통하여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화구(40)로 공급되어 더욱 환전한 연소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 송풍난방장치에 따르면, 펠릿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순환시켜 재연소함으로써 완전연소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연통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여러 장소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발생되는 열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효율을 높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를 열교환기로 강제 송풍하여 가열시킴으로써, 빠른시간내에 멀리 있는 공간까지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베이스몸체 20 ... 펠릿저장통
30 ... 버너 31 ... 외통
31a ... 연결구 31b ... 걸림턱
32 ... 제1내통 32a ... 제1구멍
33 ... 공기수렴캡 33a ... 거치공
34 ... 제2내통 34a ... 제2구멍
35 ... 연소통 35a ... 제3구멍
35b ... 연소단 35c ... 몸체단
35d ... 내부연소통 36 ... 가이드날개
40 ... 화구 41, 41' ... 열교환유로
41a, 41b ... 제1,2열교환유로 42a, 42b, 42c ... 제1,2,3연소실
43 ... 도어 44 ... 매개가이드날개
45 ... 서브송풍관 46 ... 열교환핀
50 ... 펠릿공급부 51 ... 이송관
52 .... 스크류 53 ... 기어드모터
60 ... 순환배관 61 ... 열교환핀
70 ... 배기가스 순환블로워 75 ... 공기혼합탱크
80 ... 송풍가이더 81 ... 송풍구
81a, 81b ... 제1,2송풍구 90 ... 송풍블로워

Claims (8)

  1.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펠릿(P)이 저장되는 펠릿저장통(20);
    상기 베이스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버너(30);
    상기 베이스몸체(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너(3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열교환유로(41)(41')가 관통되게 형성된 화구(40);
    상기 펠릿저장통(20)으로부터 상기 화구(40)로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공급부(50);
    상기 화구(40)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버너(30)로 가이드하기 위한 순환배관(60);
    상기 순환배관(60)으로 가이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버너(30)로 강제 순환시키는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
    상기 베이스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유로(41)(41')로 개구된 송풍구(81)가 형성된 송풍가이더(80); 및
    상기 송풍가이더(80)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블로워(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관(60)과 배기가스 순환블로워(7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순환배관(60)으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공기혼합가스로 만들기 위한 공기혼합탱크(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41)는,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화구(40)의 측부 일측으로 개방된 제1열교환유로(41a)와, 상기 제1열교환유로(41a)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화구(40)의 측부 타측으로 개방된 제2열교환유로(41b)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구(81)는, 상기 제1,2열교환유로(41a)(41b)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 제1,2송풍구(81a)(8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41')는, 하부측에 위치되며 원통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제1열교환유로(41a')와, 제1열교환유로(41a')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원통형태를 이루는 제2열교환유로(41b')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구(81)는, 상기 제1,2열교환유로(41a')(41b')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 제1,2송풍구(81a)(8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가이더(80)를 경유하는 공기가 상기 화구(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화구(40)의 측부와 상기 송풍가이더(80)를 연결되는 서브송풍관(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공급부(50)는,
    상기 펠릿저장통(20)과 화구(40)를 연결하는 이송관(51)과, 상기 이송관(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릿(P)을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52)와, 상기 스크류(52)를 회전시키는 기어드모터(53)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51)운 상기 서브송풍관(45)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41)(41')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송풍구(81)에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열교환핀(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30)는,
    상기 공기혼합탱크(75)를 경유한 공기혼합가스가 유입되는 연결구(31a)와,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1b)을 포함하는 외통(31)과;
    상기 외통(3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측부 외주면에 다수의 제1구멍(32a)이 형성되는 제1내통(32)과;
    상기 걸림턱(31b)에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중앙 상부에 거치공(33a)이 형성된 공기수렴캡(33)과;
    상기 거치공(33a)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측부에 다수의 제2구멍(34a)이 형성된 제2내통(34)과;
    상기 제2내통(34)의 상단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다수의 제3구멍(35a)이 형성된 연소단(35b)과, 상기 연소단(35b)의 상방측에 형성되며 통형상으로 된 몸체단(35c)로 구성되어, 상기 펠릿저장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펠릿(P)이 연소되는 연소통(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송풍난방장치.
KR1020130008430A 2013-01-25 2013-01-25 펠릿 송풍난방장치 KR10128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30A KR101282507B1 (ko) 2013-01-25 2013-01-25 펠릿 송풍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30A KR101282507B1 (ko) 2013-01-25 2013-01-25 펠릿 송풍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507B1 true KR101282507B1 (ko) 2013-07-04

Family

ID=4899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430A KR101282507B1 (ko) 2013-01-25 2013-01-25 펠릿 송풍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5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42A (ko) * 2014-09-02 2016-03-10 이강옥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KR101772907B1 (ko) * 2016-12-29 2017-08-30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한 고체 연료 열풍기
KR102560015B1 (ko) * 2023-03-30 2023-07-25 박명수 펠릿 난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07B1 (ko) 2009-09-02 2011-10-17 (주)한별산업 펠릿을 연료로 한 열교환 연소장치
KR20120130802A (ko) *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쌍마기계 펠렛보일러
KR101212347B1 (ko) 2010-09-11 2012-12-13 전호건 수직 원통형 탄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07B1 (ko) 2009-09-02 2011-10-17 (주)한별산업 펠릿을 연료로 한 열교환 연소장치
KR101212347B1 (ko) 2010-09-11 2012-12-13 전호건 수직 원통형 탄화장치
KR20120130802A (ko) *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쌍마기계 펠렛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642A (ko) * 2014-09-02 2016-03-10 이강옥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KR101646568B1 (ko) 2014-09-02 2016-08-08 이강옥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KR101772907B1 (ko) * 2016-12-29 2017-08-30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한 고체 연료 열풍기
KR102560015B1 (ko) * 2023-03-30 2023-07-25 박명수 펠릿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US8591222B2 (en) Gas-fired furnace with cavity burners
KR101524436B1 (ko) 화목겸용 펠렛난로
KR101282507B1 (ko) 펠릿 송풍난방장치
US8978639B2 (en) Secondary room air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heating secondary room air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PL224288B1 (pl) Kocioł centralnego ogrzewania
CN108291718A (zh) 热水器
KR101243851B1 (ko) 열 효율을 극대화시킨 고체연료용 보일러
CN201779960U (zh) 燃油热风烘干系统
TWI649522B (zh) 具有頂燒式燃燒組件的熱水器
CN214199197U (zh) 一种大型分体间接换热式燃气热风炉
JP3144345U (ja) 温風機における空気加熱のための構造
KR101400265B1 (ko) 대류 현상으로 인한 열손실을 방지하는 오일히터
KR200394941Y1 (ko) 열풍기용 버너
KR101535983B1 (ko) 화목온풍기
KR101325663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TWI767018B (zh) 轉膛爐及其改造方法
KR20100019836A (ko) 온풍기능을 구비한 화목형 벽난로
CN112856813A (zh) 一种大型分体间接换热式燃气热风炉
KR101064871B1 (ko) 선박에 사용되는 가스 히터기
CN207702950U (zh) 一种内置式天然气烘箱
KR101831619B1 (ko) 보일러용 에어순환공급식 연소로
KR200397963Y1 (ko) 난방장치
KR20140134962A (ko) 펠릿 송풍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