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642A -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642A
KR20160027642A KR1020140115916A KR20140115916A KR20160027642A KR 20160027642 A KR20160027642 A KR 20160027642A KR 1020140115916 A KR1020140115916 A KR 1020140115916A KR 20140115916 A KR20140115916 A KR 20140115916A KR 20160027642 A KR20160027642 A KR 20160027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air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568B1 (ko
Inventor
이강옥
정정호
Original Assignee
이강옥
정정호
빛나매크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옥, 정정호, 빛나매크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강옥
Priority to KR102014011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0Under-feed arrangements
    • F23K3/14Under-feed arrangements feeding by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믹히터를 이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을 열풍점화시키므로 히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강제 급배기(FF 급배기방식)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고,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3차 연소식 시스템을 채용하여 점화 후에는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넓은 전열면적과 하향식 열교환 방식으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내부 순환 팬을 이용하여 온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적외선 세라믹 내화유리를 채용하고, 또한 에어커튼을 채용하여 내화유리판의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실의 전면에 설치된 내화유리판을 통해서 선명하게 불꽃을 볼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FOR USING AS A BURNING OF FULE A PELLET}
본 발명은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세라믹히터를 이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을 열풍점화시키므로 히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강제 급배기(FF 급배기방식)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고,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3차 연소식 시스템을 채용하여 점화 후에는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넓은 전열면적과 하향식 열교환 방식으로 열교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적외선 세라믹 내화유리를 채용하고, 또한 에어커튼을 채용하여 내화유리판의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실의 전면에 설치된 내화유리판을 통해서 선명하게 불꽃을 볼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알려진 펠릿 난로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5205호(공개일자 2012년11월14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5205호에 개시되어 있는 펠릿 난로는 난로 본체와; 상기 난로 본체의 점화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펠릿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릿을 연소시키는 연소유닛과;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소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덕트; 및 상기 방열덕트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열을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펠릿 난로는 난로 본체와; 상기 난로 본체의 점화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펠릿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릿을 연소시키는 연소유닛과;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소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덕트; 및 상기 방열덕트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열을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순환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펠릿 난로는 펠릿을 공급하여 초기에 점화시에는 가스점화유닛을 이용하여 점화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신속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로 점화 초기에 발생될 수 있는 연기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연소된 고온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연소가스 순환유닛을 통해 연소유닛과 방열덕트를 계속해서 경유하도록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나가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로의 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연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펠릿 난로는 초기에 점화시에 가스점화유닛을 이용하여 점화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가스점화유닛을 수명을 연장할 수 없고, 연소된 고온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연소가스 순환유닛을 통해 연소유닛과 방열덕트를 계속해서 경유하도록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점화초기에 연기가 발생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있으며, 또한 그을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믹히터를 이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을 열풍점화시키므로 히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제 급배기(FF 급배기방식)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3차 연소식 시스템을 채용하여 점화 후에는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전열면적과 하향식 열교환 방식으로 열교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순환 팬을 이용하여 온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적외선 세라믹 내화유리를 채용하고, 또한 에어커튼을 채용하여 내화유리판의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실의 전면에 설치된 내화유리판을 통해서 선명하게 불꽃을 볼 수 있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는 상부도어를 개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이 투입되는 펠릿저장통과; 기어드 모터의 회전시 그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펠릿저장통에 저장된 상기 펠릿을 펠릿공급관을 통해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펠릿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펠릿을 받아서 전원이 인가될 때에 연소공기를 흡입구에서 흡입하여 제1 공기공급관을 통해 세라믹히터에 공급하여 상기 세라믹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A)을 열풍공급관을 통해 받아 상기 펠릿을 연소하는 제1 연소실과; 상기 제1 연소실의 우측 하부로부터 좌측 상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제1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된 상기 펠릿 및 펠릿 연소가스를 다시 연소시키는 제2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의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제2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제2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된 상기 펠릿 및 펠릿 연소가스를 또 다시 연소시키는 제3 연소실과; 상기 제1 연소실에서 상기 펠릿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재를 용이하게 수거하도록 손잡이와 상기 제1 연소실 전면벽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된 제1 재받이와; 상기 제3 연소실의 상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A)이 지그재그형상으로 흐를 때에 상부덮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온풍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온풍(B)을 따뜻하게 열교환하여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안전그릴을 통해 실내로 배출하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 브래킷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연돌과; 상기 제1 내지 제3 연소실에서 상기 펠릿이 연소될 때에 온도가 떨어진 실내의 하부공기를 흡입하여 순환공기 공급관을 통과할 때에 상기 제2 및 제3 연소실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온풍을 상부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온풍배출구를 통해 온풍(B)을 열교환실로 배출하는 순환팬과; 상기 연돌을 통과하면서 온풍(B)을 따뜻하게 열교환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공기에 함유된 재를 필터링하는 제2 재받이와; 상기 제2 재받이에서 재가 필터링된 공기를 연소가스 배출구로 배출하는 배기팬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에 의하면, 세라믹히터를 이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을 열풍점화시키므로 히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강제 급배기(FF 급배기방식)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고,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3차 연소식 시스템을 채용하여 점화 후에는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넓은 전열면적과 하향식 열교환 방식으로 열교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원적외선 세라믹 내화유리를 채용하고, 또한 에어커튼을 채용하여 내화유리판의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실의 전면에 설치된 내화유리판을 통해서 선명하게 불꽃을 볼 수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도어(11)를 개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12)이 투입되는 펠릿저장통(10)과; 기어드 모터(21)의 회전시 그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22)을 통해 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펠릿저장통(10)에 저장된 상기 펠릿(12)을 펠릿공급관(23)을 통해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20)와; 상기 펠릿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펠릿(12)을 받아서 전원이 인가될 때에 연소공기를 흡입구(32a)에서 흡입하여 제1 공기공급관(32)을 통해 세라믹히터(34)에 공급하여 세라믹히터(34)에 의해 가열된 열풍(A)을 열풍공급관(35)을 통해 받아 상기 펠릿(12)을 연소하는 제1 연소실(30)과; 상기 제1 연소실(30)의 우측 하부로부터 좌측 상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제1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50a)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불완전 연소된 상기 펠릿(12 ; 또는 펠릿 연소가스라고도 한다)을 다시 연소시키는 제2 연소실(50)과; 상기 제2 연소실(50)의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제2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55a)가 설치되어 제2 연소실(50)에서 불완전 연소된 상기 펠릿(12 ; 또는 펠릿 연소가스라고도 한다)을 세라믹히터(34)에 의해 가열된 열풍(A)에 의해 또 다시 연소시키는 제3 연소실(55)과;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상기 펠릿(12)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재(ash)를 용이하게 수거하도록 손잡이(41)와 상기 제1 연소실(30) 전면벽 사이에 단열재(42)가 설치된 제1 재받이(40)와; 상기 제3 연소실(55)의 상부 배출구(55b)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A)이 지그재그형상으로 흐를 때에 상부덮개(64)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온풍배출구(64a)에서 배출되는 온풍(B)을 따뜻하게 열교환하여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안전그릴(100a)을 통해 실내로 배출하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 브래킷(70a)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연돌(70)과; 상기 제1 내지 제3 연소실(30,50,55)에서 상기 펠릿(12)이 연소될 때에 온도가 떨어진 실내의 하부공기를 흡입하여 순환공기 공급관(62)을 통과할 때에 상기 제2 및 제3 연소실(50,55)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온풍을 상부덮개(64)의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온풍배출구(64a)를 통해 온풍(B)을 열교환실(66)로 배출하는 순환팬(60)과; 상기 연돌(70)을 통과하면서 온풍(B)을 따뜻하게 열교환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공기에 함유된 재를 필터링하는 제2 재받이(85)와; 상기 제2 재받이(85)에서 재가 필터링된 공기를 연소가스 배출구(90a)로 배출하는 배기팬(90)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9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연소실(30)과 상기 제2 연소실(50) 사이의 전면에 배설되어 상기 제1 연소실(30) 내에 공급된 상기 펠릿(12)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도록 내열성 유리로 이루어진 관찰창(52)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관찰창(52)의 내열유리 내면에 1차 공기를 공급하여 재쌓임을 방지하는 에어 커튼(52a)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소실(30)과 상기 배기팬(90) 사이에는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상기 펠릿(12)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열풍(A)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열풍 차폐판(9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95)는 전원의 입출력을 단속하는 전원버튼(95a)과; 송풍량을 조정함과 동시에, 상기 펠릿(12)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송풍량/펠릿투입량 조정버튼(95b)과, 가열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버튼(95c)과; 상기 온도설정버튼(95c)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온도 및 현재 가열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95d)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102는 전면도어이고, 102a는 전면도어(102)에 설치된 잠금장치이고, 103은 재를 외부로 인출하는 하부도어이고, 103a는 상기 하부도어(103)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이다.
또한, 23a는 상기 펠릿공급관(23)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소실(30)로부터의 역화를 방지하는 역화방지 바이메탈이고, 105는 상기 본체(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하부코너에 각각 설치된 캐스터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체(100)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부덮개(64)의 우측면에 설치된 상부덮개(11)를 열고, 펠릿(12)을 투입한 상태에서 제어기(95)의 전원버튼(95a)을 스위칭 온하면 전원이 본체(100)에 인가됨에 따라 기어드 모터(21)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어드 모터(21)의 회전력이 동력전달수단(22)을 통해 스크류 컨베이어(20)에 전달되어 스크류 컨베이어(20)가 회전되며, 이때 송풍량/펠릿투입량 조정버튼(95b)을 스위칭 온하면 송풍량 및 상기 펠릿저장통(10)에 저장된 상기 펠릿(12)이 펠릿공급관(23)을 통해 제1 연소실(30)에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온도설정수단(95c)을 사용하여 가열온도를 설정하면, 온도표시수단(95d)에 의해 설정된 가열온도가 상기 온도표시수단(95d)에 표시됨과 동시에, 외부온도 및 현재 가열온도를 표시한다.
상기 온도설정수단(95c)은 1회 눌렀을 경우에는 송풍풍량 및 펠릿투입량을 약하게 설정(예를 들면, 펠릿(12)이 50% 배출되도록 설정)하고, 2회 눌렀을 경우에는 송풍풍량 및 펠릿투입량을 중으로 설정(예를 들면, 상기 펠릿(12)이 70% 배출되도록 설정)하고, 3회 눌렀을 경우에는 강하게 설정(예를 들면, 상기 펠릿(12)이 90% 배출되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펠릿(12)이 펠릿공급관(23)을 통해 제1 연소실(30)에 공급되면 세라믹히터(34)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흡입팬이 회전되어 흡입구(32a)에서 연소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기공급관(32)을 통해 세라믹히터(34)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세라믹히터(34)에서 방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연소공기를 열풍공급관(35)을 통해 받아 제1 연소실(30)에 투입된 상기 펠릿(12)을 1차로 연소한다.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1차로 연소된 상기 펠릿(12) 및 불완전 연소된 연소가스(또는 불완전 펠릿 연소가스)는 상기 제1 연소실(30)의 우측으로부터 좌측 상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설치된 제1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50a)와 제1 연소실(50)과의 간극을 통해 제2 연소실(50)로 공급되어 2차로 다시 연소된다.
또한, 상기 제2 연소실(50)에서 2차로 다시 연소된 상기 펠릿(12) 및 불완전 연소된 연소가스(또는 불완전 펠릿 연소가스)는 상기 제2 연소실(50)의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설치된 제2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55a)와 상기 제2 연소실(50)과의 간극을 통해 제3 연소실(50)로 공급되어 3차로 다시 연소된다.
상기 제3 연소실(55)로 공급되어 3차로 다시 연소된 열풍(상기 온도설정버튼(95c)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열풍(A))은 상기 제3 연소실(55)의 상부 배출구(55b)를 통해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된 연돌(70)을 통과하면서 따뜻하게 열교환되어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안전그릴(100a)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하향식 열교환됨에 따라 열교환 효율을 높여서 실내를 따뜻한 온도로 공조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연소실(30,50,55)에서 상기 펠릿(12) 및 불완전 연소된 연소가스에 따라 생성되는 재(ash)는 상기 제1 연소실(30)의 하부에 설치된 제1 재받이(40)에 수집되며, 손잡이(41)와 상기 제1 연소실(30) 외벽면 사이에는 상기 제1 재받이(40)에 수집된 재를 용이하게 수거하도록 단열재(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연소실(30,50,55)은 펠릿의 연소시에 발생된 열이 연돌(70)을 통과하여 하부에 설치된 배기팬(90)의 구동에 따라 연소가스 배출구(9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돌(70)을 통과하면서 온풍(B)을 따뜻하게 열교환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공기에 함유된 재는 제2 재받이(85)에 필터링하고, 상기 제2 재받이(85)에서 재가 필터링된 온도가 떨어진 연소가스는 배기팬(90)의 회전에 따라 배출구(90a)로 배출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연소실(30,50,55)에서 상기 펠릿(12)이 연소될 때에 온도가 떨어진 실내의 하부공기를 순환팬(60)의 회전에 따라 흡입하여 순환공기 공급관(62)을 통과할 때에 상기 제2 및 제3 연소실(50,55)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온풍(B)을 상부덮개(64)의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온풍배출구(64a)를 통해 열교환실(66)로 배출한다.
상기 제1 연소실(30)과 상기 제2 연소실(50) 사이의 전면에는 관찰창(52)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연소실(30) 내에 공급된 상기 펠릿(12)의 연소 상태를 관찰할 수 있고, 상기 관찰창(52)의 내열유리 내면에는 1차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 커튼(5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찰창(52)의 내면에 재쌓임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연소실(30)과 상기 배기팬(90) 사이에는 열풍 차폐판(9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상기 펠릿(12)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열풍(A)이 상기 배기팬(9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펠릿공급관(23) 내에는 역화방지 바이메탈(23a)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상기 펠릿(12)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화염이 펠릿저장통(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라믹히터를 이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을 열풍점화시키므로 히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강제 급배기(FF 급배기방식)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고,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3차 연소식 시스템을 채용하여 점화 후에는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넓은 전열면적과 하향식 열교환 방식으로 열교환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내부 순환 팬을 이용하여 온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적외선 세라믹 내화유리를 채용하고, 또한 에어커튼(52a)을 채용하여 내화유리판의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연소실(30)의 전면에 설치된 내화유리판을 통해서 선명하게 불꽃을 볼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설계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 펠릿저장통 11: 상부도어
12 : 펠릿 20 : 스크류 컨베이어
21 : 기어드 모터 22 : 동력전달수단
23 : 펠릿공급관 23a : 역화방지 바이메탈
30 : 제1 연소실 32 : 제1 공기공급관
32a : 흡입구 34 : 세라믹히터
35 : 열풍공급관 40 : 제1 재받이
41 : 손잡이 42 : 단열재
50 : 제2 연소실 50a : 제1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
52 : 관찰창 52a : 에어 커튼
55 : 제3 연소실 55a : 제2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
60 : 순환팬 62 : 순환공기 공급관
64 : 상부덮개 64a : 온풍배출구
66 : 열교환실 70 : 연돌
70a : 지지 브래킷 80 : 제2 재받이
90 : 배기팬 90a : 연소가스 배출구
92 : 열풍 차폐판 95 : 제어기
100 : 본체 100a : 안전그릴
102 : 전면도어 102a : 잠금장치
103 : 하부도어 103a : 손잡이
105 : 캐스터

Claims (7)

  1. 상부도어(11)를 개방하여 연소연료인 펠릿(12)이 투입되는 펠릿저장통(10)과;
    기어드 모터(21)의 회전시 그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22)을 통해 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펠릿저장통(10)에 저장된 상기 펠릿(12)을 펠릿공급관(23)을 통해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20)와;
    상기 펠릿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펠릿(12)을 받아서 전원이 인가될 때에 연소공기를 흡입구(32a)에서 흡입하여 제1 공기공급관(32)을 통해 세라믹히터(34)에 공급하여 상기 세라믹히터(34)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열풍공급관(35)을 통해 받아 상기 펠릿(12)을 연소하는 제1 연소실(30)과;
    상기 제1 연소실(30)의 우측 하부로부터 좌측 상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제1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50a)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불완전 연소된 상기 펠릿(12)과 펠릿 연소가스를 다시 연소시키는 제2 연소실(50)과; 상기 제2 연소실(50)의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제2 화염 가이드 플레이트(55a)가 설치되어 제2 연소실(50)에서 불완전 연소된 상기 펠릿(12)과 펠릿 연소를 또 다시 연소시키는 제3 연소실(55)과;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상기 펠릿(12)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재(ash)를 용이하게 수거하도록 손잡이(41)와 상기 제1 연소실(30) 전면벽 사이에 단열재(42)가 설치된 제1 재받이(40)와;
    상기 제3 연소실(55)의 상부 배출구(55b)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A)이 지그재그형상으로 흐를 때에 상부덮개(64)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온풍배출구(64a)에서 배출되는 온풍(B)을 따뜻하게 열교환하여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안전그릴(100a)을 통해 실내로 배출하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 브래킷(70a)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연돌(70)과; 상기 제1 내지 제3 연소실(30,50,55)에서 상기 펠릿(12)이 연소될 때에 온도가 떨어진 실내의 하부공기를 흡입하여 순환공기 공급관(62)을 통과할 때에 상기 제2 및 제3 연소실(50,55)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온풍을 상부덮개(64)의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온풍배출구(64a)를 통해 온풍(B)을 열교환실(66)로 배출하는 순환팬(60)과;
    상기 연돌(70)을 통과하면서 온풍(B)을 따뜻하게 열교환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공기에 함유된 재를 필터링하는 제2 재받이(85)와;
    상기 제2 재받이(85)에서 재가 필터링된 공기를 연소가스 배출구(90a)로 배출하는 배기팬(90)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95);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실(30)과 상기 제2 연소실(50) 사이의 전면에 배설되어 상기 제1 연소실(30) 내에 공급된 상기 펠릿(12)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도록 내열성 유리로 이루어진 관찰창(52)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관찰창(52)의 내열유리 내면에 1차 공기를 공급하여 재쌓임을 방지하는 에어 커튼(52a)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소실(55)로 공급되어 3차로 다시 연소된 열풍(상기 온도설정버튼(95c)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열풍(A))은 상기 제3 연소실(55)의 상부 배출구(55b)를 통해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된 연돌(70)을 통과하면서 따뜻하게 열교환되어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안전그릴(100a)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하향식 열교환됨에 따라 열교환 효율을 높여서 실내를 따뜻한 온도로 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연소실(30,50,55)은 펠릿의 연소시에 발생된 열이 연돌(70)을 통과하여 하부에 설치된 배기팬(90)의 구동에 따라 연소가스 배출구(9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실(30)과 상기 배기팬(90) 사이에는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상기 펠릿(12)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열풍(A)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열풍 차폐판(92)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95)는 전원의 입출력을 단속하는 전원버튼(95a)과; 송풍량을 조정함과 동시에, 상기 펠릿(12)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송풍량/펠릿투입량 조정버튼(95b)과, 가열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버튼(95c)과; 상기 온도설정버튼(95c)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온도 및 현재 가열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95d)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공급관(23) 내에는 상기 제1 연소실(30)에서 상기 펠릿(12)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화염이 펠릿저장통(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역화방지 바이메탈(23a)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KR1020140115916A 2014-09-02 2014-09-02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KR10164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16A KR101646568B1 (ko) 2014-09-02 2014-09-02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16A KR101646568B1 (ko) 2014-09-02 2014-09-02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642A true KR20160027642A (ko) 2016-03-10
KR101646568B1 KR101646568B1 (ko) 2016-08-08

Family

ID=5553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16A KR101646568B1 (ko) 2014-09-02 2014-09-02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396A (zh) * 2018-05-18 2018-10-23 酒泉中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日光温室生物质颗粒增温防冻系统
CN108916906A (zh) * 2018-07-21 2018-11-30 潘真清 一种多功能燃料采暖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186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디웨이브 고형연료 연소장치
EP2083221B1 (en) * 2008-01-23 2012-03-07 Thermorossi S.P.A. Heating apparatuses such as pellet-fired stoves and thermostoves
KR101282507B1 (ko) * 2013-01-25 2013-07-04 전철희 펠릿 송풍난방장치
EP2629012A1 (en) * 2012-02-20 2013-08-21 Roberto Scimone Pellet stove with system of self-cleaning of the braz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3221B1 (en) * 2008-01-23 2012-03-07 Thermorossi S.P.A. Heating apparatuses such as pellet-fired stoves and thermostoves
KR20110105186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디웨이브 고형연료 연소장치
EP2629012A1 (en) * 2012-02-20 2013-08-21 Roberto Scimone Pellet stove with system of self-cleaning of the brazier
KR101282507B1 (ko) * 2013-01-25 2013-07-04 전철희 펠릿 송풍난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396A (zh) * 2018-05-18 2018-10-23 酒泉中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日光温室生物质颗粒增温防冻系统
CN108684396B (zh) * 2018-05-18 2023-11-03 酒泉中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日光温室生物质颗粒增温防冻系统
CN108916906A (zh) * 2018-07-21 2018-11-30 潘真清 一种多功能燃料采暖炉
CN108916906B (zh) * 2018-07-21 2021-09-24 芜湖优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燃料采暖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68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9533A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US4375213A (en) Self-clean oven
KR101524436B1 (ko) 화목겸용 펠렛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US10041682B1 (en) High efficiency solid fuel burning stove with optimized burning conditions and low level of emission
KR101646568B1 (ko) 펠릿을 연소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장치
WO2011131036A1 (zh) 一种燃烧炉
KR20180001236A (ko) 외부 공기조절이 용이한 난로
KR20110043564A (ko) 단열된 수직연소로의 화목연소장치 와 열교환기
WO2011131037A1 (zh) 一种燃烧炉
RU2378580C2 (ru) Печь твердотопливная
RU2551183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8004024A1 (ko) 보일러 일체형 하이브리드 난로
KR100582735B1 (ko) 점화장치가 부착된 실외공기 연소식 실내공기 강제 순환 벽난로
KR20100019836A (ko) 온풍기능을 구비한 화목형 벽난로
US20130206133A1 (en) X-vent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RU2281433C2 (ru) Печь для бани
RU2446359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а в печи
CN210128369U (zh) 一种取暖炉
WO2016093404A1 (ko)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
KR200277942Y1 (ko) 피자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