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273A -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273A
KR20210012273A KR1020190089707A KR20190089707A KR20210012273A KR 20210012273 A KR20210012273 A KR 20210012273A KR 1020190089707 A KR1020190089707 A KR 1020190089707A KR 20190089707 A KR20190089707 A KR 20190089707A KR 20210012273 A KR20210012273 A KR 2021001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n
repayment
electronic signature
attorne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규
이길재
이창섭
황세은
남국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파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파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파인
Priority to KR102019008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273A/ko
Publication of KR2021001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는 대출기관의 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문서 번호, 전자위임 확인서를 포함하여 전자 서명을 요청하고 전자서명된 대출 상환 위임장을 수신하는 전자 서명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인증 확인을 통한 하나 이상의 식별번호 또는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면, 위임장에 대한 본인인증과 전자서명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전자서명된 대출 상환 위임장을 이용하여 상환 기관 서버로부터 상환 금액 및 계좌를 수신하면, 대출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계좌에 상환 금액을 송금하는 대출 상환부, 그리고 전자서명 또는 대출상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REDIT LOAN REVOLVING USING DIGITAL SIGNATURE AND METHOD THEREOF}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대환대출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이전의 대출금이나 연체금을 갚는 제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대환대출은 신용불량자나 신용카드 대금 연체자가 연체금을 분할 납부할 수 있도록 장기 대출로 변경하거나 여러 곳에서 진행된 고금리 대출 내역을 하나로 통합하여 저금리 대환대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환대출은 장기적인 시각으로 사용자가 채무 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사용자의 이중대출 또는 대출금 유용에 따른 위험을 방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고자 금융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대환대출을 통해 선순위 대출을 상환하고자 할 때, 채무자의 의사에 따라 채무를 변제한다는 증빙 자료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임장과 국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감증명서 등과 같은 서류를 구비하여 제출해야 한다.
다만, 이러한 서류를 발급받고, 이를 제출함에 있어, 물리적,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용대출 프로세서의 원활한 업무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면으로 위임에 대한 증빙 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신용을 기반으로 대출을 제공하는 금융기관에서 전자서명을 통한 위임장으로 선순위 대출을 상환하고 신규 대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는 대출기관의 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문서 번호, 전자위임 확인서를 포함하여 전자 서명을 요청하고 전자서명된 대출 상환 위임장을 수신하는 전자 서명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인증 확인을 통한 하나 이상의 식별번호 또는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면, 위임장에 대한 본인인증과 전자서명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전자서명된 대출 상환 위임장을 이용하여 상환 기관 서버로부터 상환 금액 및 계좌를 수신하면, 대출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계좌에 상환 금액을 송금하는 대출 상환부, 그리고 전자서명 또는 대출상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자서명된 위임장은, 전자서명된 시점 정보(TSA, Time Stamp Authority)가 날인되거나 QR코드가 부여되어 전자서명된 위임장에 대한 유효 조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인증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위임장에 대한 문서번호와 전자서명에 대한 웹 페이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문서번호에 대한 식별 정보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한 본인 인증에 따른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위임장에 대응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서명에 대한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면, 1회용 인증서에 따른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전자서명에 인증 코드가 입력되면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할 수 있다.
대출 상환부는, 대출기관 서버와 공유되는 지급 총액이 설정된 법인 계좌를 이용하여, 법인 계좌를 통해 상환 금액을 송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대출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에 있어서, 대출기관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대환대출을 신청받으면, 사용자의 신용 정보와 기존 대출 정보를 수집하고, 신용 정보에 따른 대환대출 가능 여부를 심사하는 대환대출 심사부, 대환대출이 승인되면,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로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 대출 상환에 대한 위임장에 전자서명을 요청하는 전자서명 관리부, 사용자의 상환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의 계좌로 송금하는 대환 대출부, 그리고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로부터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 증빙자료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대한 신규 신용대환대출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대출기관 서버 그리고 상환기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대환대출 방법에 있어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는 대출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사용자의 기존 대출 상환을 위한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로 하나 이상의 인증 단계를 거쳐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하면,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대출기관 서버 또는 상환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환기관 서버로부터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 금액과 계좌를 수신하고, 대출기관 서버의 제출 지시에 의해 연계된 법인계좌의 잔액에서 상환 금액을 계좌로 송금하는 단계, 그리고 송금이 완료되면, 대출 상환에 대응한 증빙 자료를 수집하여 대출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대환대출 과정에서 요구되는 서류를 전자서명을 통한 위임으로 대체함으로써, 일반적인 거래관계에서 요구되는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를 막고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위임장, 인감 증명서를 우편 등기로 송부하거나 직접 내방하는 방식을 전자서명을 통한 위임으로 대체함으로써, 물리적,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고 신용 대출 프로세스에 대한 빠른 의사 결정으로 유리한 조건의 대출 상품간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대환대출 과정에서 이중 대출 실행에 따른 위험이나 대출금 유용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여 대환대출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전자서명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출기관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입력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대환대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전자서명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대출기관 서버(200), 상환기관 서버(300) 그리고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이들이 혼합된 네트워크 등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든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신용대환대출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개인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법인과 같은 사업자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 기기, 태블릿(tablet) 등을 나타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는 대출기관 서버(200) 또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환대출 신청 및 전자 서명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거나 모바일 웹등을 통해 신용대환대출을 신청하고 본인 인증 절차와 함께 전자서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출기관 서버(200)는 금융기관 또는 대출 중개 기관등과 같이, 사용자의 대출 신청에 따라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수집하여 대출 가능성을 심사한다.
그리고 대출기관 서버(200)는 대출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이전 대출이력에서 선순위 대출을 선택하여 해당 대출의 상환을 위한 위임장에 전자서명을 요청한다. 이때 대출기관 서버(200)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자서명에 대한 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다.
그리고 대출기관 서버(200)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를 통해 사용자의 대출 상환을 간접적으로 수행하고, 대출 상환에 대한 증빙 자료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로 신규 대출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환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에 대해 이전시점에 대출을 제공한 금융기관의 서버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대출기관과 상환기관을 별개의 기관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대출기관과 상환기관은 동일한 금융기관일 수 있다.
상환기관 서버(300)는 사용자의 대출 상환에 대해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하면, 대출 상환금액과 입금 계좌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금 계좌번호는 1회성의 가상계좌로 해당 대출에 대응하여 새롭게 개설될 수 있다.
이때, 1회성의 가상계좌는 입금 금액이 설정되어 해당 금액만 입금이 가능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상환기관 서버(300)는 대출 상환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이 입금되면, 입금 확인서, 상환 영수증, 또는 대출 상환 확인서등 증빙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환기관 서버(300)는 별도로 사용자 단말(100)로 대출에 대한 상환이 완료되었음을 별도로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요청받은 문서에 전자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버로, 문서 번호를 기준으로 해당 사용자 본인인증을 분석하고, 해당 문서에 전자서명이 완료되도록 서식 또는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대출기관 서버(200)를 대리하여 대출 금액을 상환기관 서버(300)에서 요청하는 계좌에 송금할 수 있다.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서명 또는 대출상환에 대한 결과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대출기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문서 관리 센터를 연계하여 관리 센터의 DB(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종 전자 문서의 등록과 저장, 관리 및 송수신 조회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서명이 완료된 문서는 TSA(Time Stamp Authority)가 날인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전자문서 관리 센터로 이관될 수 있다. 이때, 전자서명이 완료된 문서마다 QR 코드 (quick response code)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서명된 문서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 또는 상환기관 서버(300)에 전자 위임에 대한 조회를 제공하며, 위임장 내용, 전자서명한 시점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환기관 서버(300)는 전자서명된 위임장의 진위 여부를 요청하면,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QR 코드를 통해 확인하거나 RSA(Rivest Shamir Adleman) 또는 서명 인증을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대출기관 서버(200)와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별개의 서버로 도시하였지만,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대출기관 서버(200)에 포함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은 개인 신용 정보, 대출 진행, 대출금 상환 등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암호화 또는 복호화등을 통한 인터넷 암호화 및 하나 이상의 인증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출기관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출기관 서버(200)는 대환대출 심사부(210), 전자서명 관리부(220), 대환대출부(230) 그리고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대환대출을 신청받으면,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수집한다.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예를 들어, 나이스평가 정보와 같이 개인 또는 기업의 신용을 평가하고 각 등급에 따라 산출하여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사용자의 신용정보 조회를 통해 기존 대출 존재 여부, 신규 대출가능 금액 등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따른 대환대출 가능 여부 또는 대출 가능 금액을 심사한다.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대출기관 자체에 설정된 신용평가 기준에 따라 신용 등급을 구분하고, 해당되는 신용 등급에 기초하여 대환대출 가능여부를 심사할 수 있다.
이때,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기존 대출 대환 조건부로 신규 대출이 진행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대출가능 금액이 기존의 대출 상환 금액과 같거나 큰 금액인 경우에만 승인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대출 상환 금액은 반드시 사용자의 이전 시점에서 받은 총 대출 금액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총 대출 금액 중에서 선순위 대출 금액에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대출 상환 금액의 범위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대환대출 심사부(210)의 심사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지급 총액이 설정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의 계좌에 보유된 금액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따른 신규 대출가능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대환대출 심사부(210)는 신규 대출가능 금액이 기존의 대출 상환 금액과 같거나 큰 금액인 경우에만 승인을 할 수 있다.
전자서명 관리부(220)는 연계되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대출 상환 위임을 위한 서비스를 의뢰한다. 전자서명 관리부(220)는 대출 상환에 대한 위임장을 받기 위한 사용자 기본 정보, 위임장 서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서명 관리부(220)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부터 전자 서명과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받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전자서명 관리부(220)는 전자서명된 상환 위임장이 생성된 시점, 위임장의 유효 기간, 유효 용도, 유효 사용처, 유효 횟수 등에 대한 위임장 정보를 수신하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서명 관리부(220)는 전자서명된 상환 위임장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유효 기간까지 남은 일수, 유효 횟수 중에 사용된 횟수 등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대환대출부(230)는 대환대출 심사가 통과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대출상환에 대한 위임장을 정상적으로 수신함을 보고 받으면,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부터 대출 상환 금액, 계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대환대출부(230)는 대환대출 심사부(210)에서 수집한 정보와 대출 상환 금액을 비교하거나 해당 대출상환 금액 및 계좌에 대한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대환대출부(230)는 대출 상환 금액과 계좌 정보에 대해서 유효함을 확인하면, 해당 금액을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으로 송금한다.
제어부(240)는 대출 상환금액이 송금이 완료되면, 상환 증빙 자료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신용 대출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환 증빙 자료는 입금 확인서, 대출 상환 확인서, 영수증과 같이, 상환기관 서버(300)에서 발행한 문서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대출상환에 대한 결과 데이터와 신규 신용 대출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신규 대출 금액이 대출 상환 금액보다 큰 경우, 사용자 개인 계좌를 수신받아 차액을 송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서명부(410), 인증부(420), 대출 상환부(430) 그리고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전자서명부(410)는 서비스를 의뢰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문서 번호와 전자 서명에 대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웹페이지 주소(URL)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문서 번호는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민번호, 여권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서명부(4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서명된 위임장은 기간, 용도, 사용처 등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급일 또는 발급 시점으로부터 7일 또는 48시간 이내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임장에 특정 대출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여 해당 대출에 대해서만 상환 위임장으로 적용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임장의 유효 조건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거나 전자서명 서비스를 의뢰한 대출기관 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인증부(420)는 본인 인증 확인을 통한 하나 이상의 식별번호 또는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면, 위임장에 대한 사용자 본인인증과 전자서명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4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URL을 통해 요청한 위임장에 대응하여 본인 인증 절차 처리 결과를 수신하면, 해당 위임장에 대한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본인 인증 결과를 분석한다.
인증부(420)는 사용자의 본인 인증이 일치하면, 다음 전자 서명을 받기 위해 개인정보이용 동의를 요청할 수 있고, 본인 인증이 불일치하면, 해당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부(4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개인 정보 이용 동의와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면, 1회용 인증서에 대응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대출 상환부(430)는 전자서명된 상환 위임장을 이용하여 상환기관 서버(300)로부터 상환 금액 및 계좌를 수신한다. 그리고 대출 상환부(430)는 대출기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환금액을 해당 계좌로 송금한다.
이때, 대출 상환부(430)는 송금한 상환 금액, 계좌 정보등을 별도로 기록하며, 상환기관 서버(300)로 대출금 상환에 대한 증빙자료를 요청하거나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하면, 해당 결과에 대응한 보고서를 생성하여 대출기관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상환기관 서버(300)로부터 상환 영수증을 수집하면 해당 상환 영수증에 대응하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대출기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대출기관 서버(200) 또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서버, 단말,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단말은 각각 메모리(memory), 프로세서(processor)를 구비함으로써 연산 처리 능력을 갖춘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 기기, 태블릿(tablet) 등이 있다.
서버는 복수개의 모듈(module)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그리고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모듈에 반응하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어하는 액션(action)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통신 수단, 그리고 UI(user interface)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기타 비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등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수단은 단말과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한다.
UI 표시 수단은 장치의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UI 표시 수단은 UI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출력하거나 표시하는 독립된 장치일 수도 있으며, 또는 장치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에서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이용하여 대환대출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입력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대출기관 서버(200)로 대환대출을 신청한다(S510).
사용자 단말(100)은 이전 시점에서 대출 계약을 체결한 조건에 비해 금리, 기간, 금액 등 하나 이상의 조건이 상이한 신용 대출에 대해서 대환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이때, 대출 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의 신용 정보 및 금융 거래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확보한 경우 사용자의 기존 대출 조건보다 유용한 조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대환대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추천받은 대환대출 상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다.
대출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의 신청에 대응하여 대환대출심사를 수행한다(S520).
대출기관 서버(200)는 신용정보 조회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용등급, 사용자의 대출 상환 계획, 기존 대출 존재 여부, 선순위 대출상환 금액, 신규 대출가능 금액등을 분석한다.
대출기관 서버(200)는 대환대출에 특성상, 기존 대출의 대환을 조건부로 신규 대출이 진행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용 대출 심사 이외에도 신규 대출가능 금액이 상환해야 할 대출 금액보다 작은 경우, 대환대출 심사를 불승인한다. 여기서, 상환해야 할 대출 금액은 반드시 총 대출 금액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선순위 대출 상환 금액으로 일부 대출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대출기관 서버(200)는 공유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의 계좌에 보유된 금액에 기초하여 대환대출심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대환대출이 진행되는 경우, 지급 총액이 1억이고 6천만원의 제1 대환대출, 5천만원의 제2 대환대출, 2천만원의 제3 대환대출이 심사 중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지급 총액의 1억원 내에서, 제1 대환대출 금액이 상환되면, 공유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의 계좌에 남은 잔액이 4천만원이 된다.
이후, 제2 대환대출은 금액이 5천만원으로 계좌에 남은 잔액보다 크기 때문에 대출에 대한 승인이 보류되거나 거절될 수 있다. 반면에, 남은 4천만원 이내에서 신규 대출 진행이 가능한 제3 대환대출(2천만원)에 대해서는 승인이 가능하다.
한편, 대출기관 서버(200) 또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대리 상환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계좌에 설정된 지급 총액을 기준으로 배상책임 보험에 가입함으로써, 보험료를 절감하고 리스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대출기관 서버(200)는 대환대출심사가 승인이 되면 전자서명 서비스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의뢰한다(S530).
대출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의 기존 대출금 상환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기 위해 대출 상환 위임을 위한 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다.
이때, 대출기관 서버(200)는 서비스를 의뢰할 때, 대환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생년월일, 전화번호와 같은 기본 정보, 대출 예정 금액, 대출 예정 일자와 같은 대출 정보, 대환 예정 금액, 대출 기관명 등과 같은 대환 정보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비스 신청에 대해 위임장에 대한 문서 서식, 종류, 위임장의 유효 조건(기간, 용도, 사용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의뢰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문서 번호와 함께 전자서명 URL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540).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대출기관 서버(200)에서 제공받은 사용자의 기본정보 등을 토대로 대환대출 업무진행을 위한 의뢰서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가 결합된 "문서번호"를 각각의 대출 진행 건 마다 생성하여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의 방법으로 전자서명을 진행하기 위한 URL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한 URL에 문서 번호를 입력하고, 본인인증을 수행한다(S550).
사용자 단말(100)은 URL에 접속하여 문서 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식별 번호가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별도의 본인확인 시스템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하게 되면 식별번호가 자동으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은 수신한 식별 번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와 상이할 경우, 전자서명 절차를 중지하고 해당 내용을 메시지로 대출기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한다(S560).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된 본인인증이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전자서명 위임을 위한 개인(신용)정보 수집, 이용, 제공 관련하여 동의서에 확인을 요청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해당 동의서에 동의를 선택하면 대출상환 위임업무를 위임한다는 위임장을 열람하게 되고, 내용에 동의하면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서명에 동의를 선택받으면, 자동으로 인증코드 요청에 대한 1회용 인증서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한다(S570).
여기서, 1회용 인증서는 기존의 공인인증서와 같이 복잡한 절차에서 편의성, 간소화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해 전자서명만을 위한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인증코드를 발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580).
여기서 인증코드는 숫자로 구성된 키 값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후에 관리자에 의해 숫자+문자의 결합으로 구성된 키 값 또는 숫자+문자+기호로 구성된 키 값으로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을 수행하여 전자서명된 문서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한다(S590).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인증코드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완료한다.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수신한 전자서명된 문서에 대응하여 보고서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의뢰한 대출기관 서버(200)로 발송한다(S600).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서명이 완료되면 전자서명된 문서에 대해 TSA(Time Stamp Authority) 날인 후 저장되어 전자문서관리센터로 이관되어 보관할 수 있고, 전자서명을 통한 위임을 받았다는 보고서를 대출기관 서버(200)에 전달한다.
이때, TSA 날인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자서명을 수행하는 시점에 문서에 날인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대환대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서명된 상환 위임장을 상환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S610).
그러면 상환기관 서버(300)는 상환금액 및 계좌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달한다(S620).
상환기관 서버(300)는 상환 위임장을 수신하면, 먼저 해당 위임장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해당 전자서명 시점을 확인하거나 서류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로 사용자 단말(100)로 확인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상환기관 서버(300)는 상환 위임장의 유효성을 확인하면, 사용자의 상환금액과 입금 계좌번호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환기관 서버(300)는 해당 상환금액에 대한 입금만 가능하도록 임금금액이 한정된 1회성 가상 계좌를 개설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가상 계좌는 일정 기간 동안만 유효한 계좌로, 입금 시점과 입금 금액, 입금자명 등에 대한 조건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개설되었다가, 입금이 완료되거나 해당 기간이 도과하면 자동으로 거래 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계좌에 입금이 된 후에는 상환기관 서버(300)는 정상적인 일반 계좌로 연동하여 해당 금융 거래를 종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상환 금액, 계좌를 대출기관 서버(200)로 전송하고 입금을 요청한다(S630). 그리고 대출기관 서버(200)는 상환 금액을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에 송금한다(S640).
여기서, 대출기관 서버(200)가 입금하는 계좌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의 법인 계좌로 대출기관 서버(200)와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간에 서로 공유하는 계좌를 의미한다.
이때,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와 대출기관 서버(200)는 법인 계좌에 대해서 전산 연결을 통해 사전에 협의된 지급 총액을 설정하고 해당 한도 내에서만 입금과 출금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출기관 서버(200)가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에 상환 금액을 송금하는 의미는 해당 금액에 대한 출금 지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대출기관 서버(200)와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가상 계좌를 이용하거나 동시에 진행되는 신용대출 건에 대해서 일정 기간 지급 총액 기준으로 계좌에 보유된 금액 내에서 진행되도록 법인 계좌에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상환 금액을 확인한 후, 해당 계좌에 송금한다(S650).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최종 제출지시를 받은 대환대출 건에 대응하여 상환 금액을 상환기관 서버(300)에서 제공한 계좌에 송금하면서 송금 증빙자료를 실시간으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환기관 서버(300)는 상환 영수증을 발행하여 제공한다(S660).
상환기관 서버는 공식적인 증빙자료로 상환 영수증, 입금 확인서 등을 발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증빙자료는 수정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 이미지와 같은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상환 보고서를 생성하여 대출기관 서버(200)로 발송한다(S670).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400)는 대출금 상환을 완료하면 증빙자료를 포함하는 해당 대출 상환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출기관 서버(200)는 신규 신용대출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680).
대출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의 대출금을 상환을 완료하면 해당 사실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면서 신규 대출에 대한 최종 대출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대출기관 서버(200)는 사용자에 대응하여 승인된 대출가능 금액에서 상환 금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이 있는 경우, 해당 금액을 개별 사용자 계좌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여기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대출기관 서버
210: 대환대출 심사부 220: 전자서명 관리부
230: 대환대출부 240: 제어부
300: 상환기관 서버 400: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
410: 전자 서명부 420: 인증부
430: 대출 상환부 440: 제어부

Claims (13)

  1. 대출기관의 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문서 번호, 전자위임 확인서를 포함하여 전자 서명을 요청하고 전자서명된 대출 상환 위임장을 수신하는 전자 서명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 인증 확인을 통한 하나 이상의 식별번호 또는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면, 상기 위임장에 대한 본인인증과 상기 전자서명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전자서명된 대출 상환 위임장을 이용하여 상환 기관 서버로부터 상환 금액 및 계좌를 수신하면, 상기 대출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계좌에 상기 상환 금액을 송금하는 대출 상환부, 그리고
    상기 전자서명 또는 대출상환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
  2. 제1항에서,
    상기 전자서명된 위임장은,
    전자서명된 시점 정보(TSA, Time Stamp Authority)가 날인되거나 QR코드가 부여되어 전자서명된 위임장에 대한 유효 조건들이 저장되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
  3. 제1항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상기 위임장에 대한 문서번호와 상기 전자서명에 대한 웹 페이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문서번호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한 본인 인증에 따른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임장에 대응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
  4. 제1항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서명에 대한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면, 상기 1회용 인증서에 따른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전자서명에 상기 인증 코드가 입력되면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하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
  5. 제1항에서,
    상기 대출 상환부는,
    상기 대출기관 서버와 공유되는 지급 총액이 설정된 법인 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법인 계좌를 통해 상기 상환 금액을 송금하는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
  6. 사용자 단말과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대출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출기관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대환대출을 신청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신용 정보와 기존 대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신용 정보에 따른 대환대출 가능 여부를 심사하는 대환대출 심사부,
    상기 대환대출이 승인되면,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 대출 상환에 대한 위임장에 전자서명을 요청하는 전자서명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상환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의 계좌로 송금하는 대환 대출부, 그리고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기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 증빙자료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신규 신용대환대출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대환대출 심사부는,
    상기 기존 대출 정보에 대응하여 선순위 대출을 선정하고, 상기 선순위 대출에 대한 상환 금액과 상기 사용자의 신용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신규 대출가능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신규 대출가능 금액이 상기 상환금액과 같거나 크면 상기 대환대출 심사를 승인하는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8. 제6항에서,
    상기 대환대출 심사부는,
    지급 총액이 설정된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의 계좌에 보유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신용 정보에 따른 상기 신규 대출가능 금액을 산출하는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9. 제6항에서,
    상기 대환 대출부는,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자서명된 위임장에 대한 메시지와 상기 상환 금액에 대한 정보 및 입금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와 공유되는 상기 계좌에 미리 설정된 지급 총액 내에서 해당 상환 금액에 대해 송금 지시를 수행하는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10. 제6항에서,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본인인증에 대한 식별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번호를 분석하여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대출 상환에 대한 위임장에 전자서명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하는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 대출기관 서버 그리고 상환기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대환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서명 플랫폼 서버는
    상기 대출기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기존 대출 상환을 위한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나 이상의 인증 단계를 거쳐 상기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수신하면, 상기 전자서명된 위임장을 대출기관 서버 또는 상환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환기관 서버로부터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 금액과 계좌를 수신하고, 상기 대출기관 서버의 제출 지시에 의해 연계된 법인계좌의 잔액에서 상기 상환 금액을 상기 계좌로 송금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금이 완료되면, 상기 대출 상환에 대응한 증빙 자료를 수집하여 상기 대출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대환대출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주민번호, 여권번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문서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서 번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문서 번호에 대한 식별 번호, 본인 인증에 대한 식별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식별 번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일치 여부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대환대출 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위임장에 대한 전자서명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확인 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 정보 이용 동의와 1회용 인증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1회용 인증서에 대응하는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 전자서명을 완료한 위임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용대환대출 시스템의 대환대출 방법.

KR1020190089707A 2019-07-24 2019-07-24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2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07A KR20210012273A (ko) 2019-07-24 2019-07-24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07A KR20210012273A (ko) 2019-07-24 2019-07-24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273A true KR20210012273A (ko) 2021-02-03

Family

ID=7457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707A KR20210012273A (ko) 2019-07-24 2019-07-24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2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6443B (zh) 用于形成通用记录的系统和方法
US83069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circulating a currency
US903220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signed digital certificate in real time
US201400468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CN115147112A (zh) 用于使用数字签名创建可信数字资产转移的方法和系统
US20080301055A1 (en) unified platform for reputation and secure transactions
US2011031390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generation of bills
US20220222673A1 (en) Identity-based transaction processing
US200700612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ning, funding, and managing financial accounts
EP3514753A1 (en) System for disclosing bank account information including virtual currency address
US20120023025A1 (en) Secure donation system and its method
CN113628042B (zh) 基于区块链和联邦学习的银行保函优化方法、装置及设备
CN115545719A (zh) 一种基于数字人民币的etc拓展交易实时清分结算方法
KR20210012273A (ko) 전자서명을 이용한 신용대환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2385B1 (ko) 개인 대 개인 간 대출중개시스템
KR20110095762A (ko) 온라인 개인 신용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5769B1 (ko) 인터넷을 통한 담보대출채권채무의 승계상환에 의한 부동산 매매대금 지급의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0765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를 이용한 입출금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91356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ssuance of financial accounts
KR20080104411A (ko) 융자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349B1 (ko) 담보 대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60086074A (ko) 현금지급장치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대출신청 시스템
KR2003000343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기업인터넷뱅킹 서비스 방법
JP2024066250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030090898A (ko) 네트워크 기반의 역경매를 이용한 금융상품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