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003A -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003A
KR20210012003A KR1020207036940A KR20207036940A KR20210012003A KR 20210012003 A KR20210012003 A KR 20210012003A KR 1020207036940 A KR1020207036940 A KR 1020207036940A KR 20207036940 A KR20207036940 A KR 20207036940A KR 20210012003 A KR20210012003 A KR 2021001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monitoring timing
information
timing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899B1 (ko
Inventor
레이 천
빙자오 리
리 차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7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providing pag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45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 H04B7/18547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for geolocalisation of a station
    • H04B7/1855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for geolocalisation of a station using a telephonic control signal, e.g. propagation delay variation, Doppler frequency variation, power variation, beam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장치가 모든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맹목적으로 모니터링할 때 발생하는 전력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통신 장치가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상기 시스템 정보 창은 OSI에 사용됨 - ; 및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의 정보 전송 프로세스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과 비교할 때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R) 시스템은 더 높은 스펙트럼에서 작동한다. 고주파 신호 전송 과정에서 빠른 감쇠와 큰 경로 손실로 인해 NR 시스템은 빔 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방향성이 좋은 빔을 얻음으로써 전송 방향의 전력을 향상시켜 전송 과정에서 고주파 신호의 감쇠에 저항할 수 있다.
현재, NR 시스템이 빔 포밍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빔 스위핑 방식으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 또는 페이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시간-주파수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통신 장치는 모든 모니터링 시기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빔의 제한된 커버리지 영역으로 인해 일부 모니터링 시기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보낸 빔이 통신 장치를 커버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모니터링 시기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지를 통신 장치가 모니터링하는 것은 확실히 비효율적이지만 대신 통신 장치의 전력이 낭비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기가 모든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맹목적으로 모니터링할 때 발생하는 전력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1 관점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가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상기 시스템 정보 창은 OSI에 사용됨 - ; 및 상기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상기 빔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특정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통신 기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서 각각의 모니터링 시기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할 필요없이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만 모니터링하면 되며, 이에 의해, 통신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횟수를 줄이고, 통신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서 효율성을 향상하고,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빔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이렇게 하면 셀 내의 각각의 빔이 시스템 정보 창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이렇게 하면 셀 내의 각각의 빔이 시스템 정보 창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의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 정보 창의 각각의 모니터링 시기가 고유한 번호를 가지게 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며; 또는 모니터링 시기는 제2 모니터링 시기이고 제2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다. 모니터링 시기가 제2 모니터링 시기인 경우 모니터링 시기와 업링크 심볼 사이, 모니터링 시기와 플렉서블 심볼 사이 또는 모니터링 시기와 SSB 사이의 충돌을 피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치가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통신 장치가 정상적으로 OSI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은 제1 모니터링 시기에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통신 장치가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상기 시스템 정보 창은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에 사용됨 - ; 및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는 시스템 정보 창에서 각각의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횟수를 줄여 다운링크 제어 모니터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킨다.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빔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이렇게 하면 셀 내의 각각의 빔이 시스템 정보 창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이렇게 하면 셀 내의 각각의 빔이 시스템 정보 창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의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 정보 창의 각각의 모니터링 시기가 고유한 번호를 가지게 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며; 또는 모니터링 시기는 제2 모니터링 시기이고 제2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다. 모니터링 시기가 제2 모니터링 시기인 경우 모니터링 시기와 업링크 심볼 사이, 모니터링 시기와 플렉서블 심볼 사이 또는 모니터링 시기와 SSB 사이의 충돌을 피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치가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통신 장치가 정상적으로 OSI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또는
SSB는 제1 모니터링 시기에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제3 관점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 ;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상기 빔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따르면, 페이징 시기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므로 페이징 시기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는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 이것은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시기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장치가 정상적으로 페이징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또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SSB는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기회를 결정하는 단계는: 식
Figure pct00001
에 따라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의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i_s는 페이징 기회의 번호를 나타내며,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며, UE_ID는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N = min(T, nB)이고,
Figure pct00002
이며, T는 통신 장치의 페이징 주기, nB는 미리 설정된 상수를 나타내고, nB의 값 집합은 {4T, 2T, T, T/2, T/4, T/8, T/16}이다.
번호가 0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0에서 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1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M에서 2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2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2M에서 3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3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3M에서 4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M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모니터링 시기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시작 경계 이후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이것은 페이징 프레임의 시작 경계 이후의 모니터링 시기가 고유한 번호를 가지도록 한다.
제4 관점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통신 장치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여기서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 ;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 솔루션에 따르면, 페이징 시기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므로 페이징 시기가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 장치는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신 장치가 정상적으로 페이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또한, 통신 기기는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만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므로 페이징 시점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마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어 통신 기기의 모니터링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모니터링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줄인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또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SSB는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기회를 결정하는 단계는: 식
Figure pct00003
에 따라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의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i_s는 페이징 기회의 번호를 나타내며,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며, UE_ID는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N = min(T, nB)이고,
Figure pct00004
이며, T는 통신 장치의 페이징 주기, nB는 미리 설정된 상수를 나타내고, nB의 값 집합은 {4T, 2T, T, T/2, T/4, T/8, T/16}이다.
번호가 0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0에서 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1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M에서 2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2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2M에서 3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3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3M에서 4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M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모니터링 시기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시작 경계 이후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이것은 페이징 프레임의 시작 경계 이후의 모니터링 시기가 고유한 번호를 가지도록 한다.
제5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싱 모듈 및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싱 모듈은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시스템 정보 창은 OSI에 사용된다. 전송 모듈은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빔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의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기는 제2 모니터링 시기이고, 제2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또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SSB는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제6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싱 모듈 및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싱 모듈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다. 프로세싱 모듈은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송 모듈은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빔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또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SSB는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기회를 결정하는 단계는: 식
Figure pct00005
에 따라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의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i_s는 페이징 기회의 번호를 나타내며,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며, UE_ID는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N = min(T, nB)이고,
Figure pct00006
이며, T는 통신 장치의 페이징 주기, nB는 미리 설정된 상수를 나타내고, nB의 값 집합은 {4T, 2T, T, T/2, T/4, T/8, T/16}이다.
번호가 0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0에서 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1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M에서 2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2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2M에서 3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3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3M에서 4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M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모니터링 시기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시작 경계 이후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제7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제1 관점 또는 제3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8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관점 또는 제3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9 관점에 따르면,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관점 또는 제3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0 관점에 따르면, 칩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칩 시스템은 제1 관점 또는 제3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기능을 구현할 때 네트워크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는 네트워크 장치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관점 내지 제10 관점에서의 임의의 설계에 의해 생기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1 관점 또는 제3 관점에서의 상이한 설계에 의해 생기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1 관점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모듈 - 여기서 프로세싱 모듈은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시스템 정보 창은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시스템 정보 창은 OSI에 사용됨 - ; 및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의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며; 또는 모니터링 시기는 제2 모니터링 시기이고 제2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또는
SSB는 제1 모니터링 시기에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제12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싱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싱 모듈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다. 프로세싱 모듈은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은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디자인에서 사전 설정 조건은 다음: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의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동안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또는
SSB는 제1 모니터링 시기에 운송되지 않는다
중 하나 이상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기회를 결정하는 단계는: 식
Figure pct00007
에 따라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의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i_s는 페이징 기회의 번호를 나타내며,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며, UE_ID는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N = min(T, nB)이고,
Figure pct00008
이며, T는 통신 장치의 페이징 주기, nB는 미리 설정된 상수를 나타내고, nB의 값 집합은 {4T, 2T, T, T/2, T/4, T/8, T/16}이다.
번호가 0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0에서 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1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M에서 2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2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2M에서 3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3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3M에서 4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M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모니터링 시기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시작 경계 이후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제13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 장치가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실행하므로 통신 장치는 제2 관점 또는 제4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제14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관점 또는 제4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5 관점에 따르면,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관점 또는 제4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6 관점에 따르면, 칩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칩 시스템은 제2 관점 또는 제4 관점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기능을 구현할 때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메모리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관점 내지 제16 관점에서의 임의의 설계에 의해 생기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2 관점 또는 제4 관점에서의 상이한 설계에 의해 생기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은 빔 스위핑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공통 검색 공간에서의 모니터링 시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1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2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3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4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1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2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3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4이다.
본 출원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그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모니터링 시기와 제2 모니터링 시기는 단지 서로 다른 모니터링 시기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그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고 3 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고 A와 B가 모두 존재하며 B만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관련 객체 간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라는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식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식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더 많은 이점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정확하게, "예시적인" 또는 "예시적인" 등의 단어의 사용은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 및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의 출현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솔루션이 유사한 기술 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다음은 먼저 몇 가지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1. 무선 프레임
현재, NR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하나의 슬롯은 14 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e, SCS)이 15kHz 인 경우 슬롯의 시간 영역 길이는 1ms이다.
슬롯에서 OFDM 심볼의 전송 방향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일 수 있다. OFDM 심볼의 전송 방향이 다운링크라는 것은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장치에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FDM 심볼의 전송 방향이 업링크라는 것은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에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FDM 심볼의 전송 방향이 유연하다는 것은 OFDM 심볼의 전송 방향이 업링크이거나 다운링크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슬롯에서 심볼들의 전송 방향의 조합은 슬롯의 포맷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현재 표준은 슬롯 형식을 지정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표 1에 나와 있다. 표 1에서 D는 심볼의 전송 방향이 다운링크임을 나타내고, U는 심볼의 전송 방향이 업링크임을 나타내고, X는 심볼의 전송 방향이 플렉서블임을 나타낸다.
슬롯 포맷 슬롯에서의 심볼 번호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0 D D D D D D D D D D D D D D
1 U U U U U U U U U U U U U U
2 X X X X X X X X X X X X X X
3 D D D D D D D D D D D D D X
4 D D D D D D D D D D D D X X
5 D D D D D D D D D D D X X X
6 D D D D D D D D D D X X X X
7 D D D D D D D D D X X X X X
... ...
27 D D D X X X X X X X X U U U
... ...
2. 빔
빔은 통신 자원이며,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한 후 서로 다른 공간 방향으로 형성되는 신호 강도 분포로 이해될 수 있다. 빔은 데이터 채널 정보, 제어 채널 정보, 사운딩 신호 등을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다른 빔을 사용하여 동일한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빔 포밍 기술이 적용된 후, 네트워크 장치는 셀을 완전히 커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진 복수의 빔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치는 일반적으로 빔 스위핑 방식으로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며, 즉, 네트워크 장치는 방향성이 다른 빔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빔 스위핑 방식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네트워크 장치는 빔 1, 빔 2 및 빔 3을 사용하여 셀을 커버한다.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먼저 빔 1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보낸 다음 네트워크 장치가 빔 2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빔 3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 통신 장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네트워크 장치가 전송 한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3. 시스템 정보
시스템 정보는 최소 시스템 정보(Minimum system information, MSI) 및 OSI를 포함한다.
MSI는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과 시스템 정보 블록 1(System Information Block 1, SIB1)을 포함한다. MIB에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와 같은 중요한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SIB1에는 통신 장치가 셀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캠핑 임계 값(camping threshold)과 같은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OSI는 SIB1 이외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OSI는 SIB2, SIB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공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
공통 검색 공간은 시간-주파수 자원이다. 공용 검색 공간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PDCCH는 OSI의 페이징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운송한다. 통신 장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얻기 위해 공용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기에서 공용 검색 공간을 맹목적으로 탐지해야 한다.
현재 표준에서 공통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기는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1) 슬롯 단위로 측정되는 주기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
(2) 하나의 사이클에서 연속적인 측정될 슬롯의 수량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 여기서 측정될 슬롯은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는 슬롯이다.
(3) 오프셋 슬롯
Figure pct00013
.
(4) 14 비트 비트 맵(bit map)으로 표현되는 슬롯 내 사운딩 심볼 비트 정보. 슬롯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제1 심볼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5) 사운딩 기간은 모니터링 시기에 포함된 연속적인 심볼의 수량이다.
(6) 무선 프레임에서 제1 측정 대상 슬롯은 식
Figure pct00014
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는 무선 프레임의 슬롯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는 무선 프레임의 제1 측정 대상 슬롯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의 경우, 사운딩 지속 시간이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 및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의 세 개의 심볼인 경우, 공통 검색 공간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도 2에 도시될 수 있다.
5. 시스템 정보 창(SI-Windows)
시스템 정보 창은 OSI를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OSI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OSI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 창에서만 전송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의 시스템 정보 창에서는 해당 OSI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만 전송할 수 있고 다른 OSI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전송할 수 없다.
시스템 정보 창은 다음의 파라미터: 시스템 정보 창의 시작 프레임과 시작 슬롯, 시스템 정보 창의 길이, 시스템 정보 창의 주기, OSI 목록 내의 OSI 일련 번호에 따라 결정된다.
시스템 정보 창의 길이는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슬롯의 수량이다. OSI 목록은 전송될 OSI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OSI 목록에 있는 OSI는 1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네트워크 장치의 경우 시스템 정보 창의 주기, 시스템 정보 창의 길이, OSI 목록은 모두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단말 장치의 경우 수신된 SIB1을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 창의 주기, 시스템 정보 창의 길이, OSI 목록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창의 길이는 통신 장치가 수신한 SIB1의 si-WindowLength 필드에 의해 지정된다. OSI 목록은 SIB1의 scheduleInfoList 필드에 의해 지정된다. 시스템 정보 창의 주기는 SIB1의 si-Periodicity 필드에 의해 지정된다.
시스템 정보 창의 시작 프레임은 식
Figure pct00033
에 따라 결정된다. SFN은 시스템 정보 창의 시작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T는 시스템 정보 창의 주기를 나타내고, d는 무선 프레임에서 슬롯의 수량을 나타내고, d는 일반적으로 10이고,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이고, 여기서 w는 시스템 정보 창의 길이를 나타내고, n은 OSI 목록에서 OSI의 순번을 나타낸다.
시스템 정보 창의 시작 프레임의 시작 슬롯은 식
Figure pct00036
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a는 시작 슬롯의 번호를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정보 전송 방법은 5 세대(5th Generation, 5G) 통신 기술의 NR 통신 시스템, 미래 진화 시스템 또는 복수의 통신이 수렴되는 시스템과 같이, 빔 포밍 기술을 사용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솔루션은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시나리오, 매크로-마이크로 통신 시나리오,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 mobile broadband, eMBB) 시나리오와 같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고 신뢰 저 지연 통신(Ultra-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시나리오 및 대규모 머신 유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통신 장치 간의 통신 시나리오,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 시나리오,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장치 간의 통신 시나리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 솔루션에 적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10)은 네트워크 장치(20) 및 통신 장치(3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20)는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거나,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에서 NodeB(NodeB)일 수 있거나, 또는 LTE 시스템에서 진화된 NodeB(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다. 대안으로, 기지국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또는 협 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B-IoT)에서의 eNB 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확실히, 네트워크 장치(20)는 다른 네트워크의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래의 5G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미래의 발전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30)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단말 장치, 단말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장치, 무선 통신 장치, 단말 에이전트 또는 단말 장치 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휴대폰, 무선 전화기,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핸드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프로세싱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의 통신 장치, 미래에 진화하는 대중의 통신 장치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등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20) 및 통신 장치(30)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1),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302) 및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303)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30)는 출력 장치(304) 및 입력 장치(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1), 메모리(302) 및 송수신기(303)는 버스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프로세서(301)는 범용 중앙 프로세싱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출원의 솔루션의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301)는 복수의 CPU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301)는 단일 코어(single-CPU)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multi-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장치, 회로 또는 처리 코어(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일 수 있다.
메모리(302)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정적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장치,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다른 유형의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동적 저장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컴팩트 디스크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컴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 디스크 등을 포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 형태를 가지며 컴퓨터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예상 프로그램 코드를 휴대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302)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버스를 이용하여 프로세서(301)와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메모리(302)는 프로세서(301)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302)는 본 출원의 솔루션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실행은 프로세서(301)에 의해 제어된다. 프로세서(301)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3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303)는 다른 장치 또는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송수신기와 같은 임의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송수신기(303)는 전송기(Tx) 및 수신기(Rx)를 포함한다.
출력 장치(304)는 프로세서(301)와 통신하고, 정보를 복수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30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장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장치, 프로젝터(projector) 등일 수 있다. 입력 장치(305)는 프로세서(3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305)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장치, 감지 장치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01),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02),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203)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1), 메모리(202), 송수신기(20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는 버스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는 링크(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 링크(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201), 메모리(202) 및 송수신기(203)에 대한 관련 설명은 통신 장치(30)에서의 프로세서(301), 메모리(302) 및 송수신기(303)의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가 OSI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신 장치로 보내는 시나리오에 적용된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 S101 내지 단계 S105를 포함한다.
S101. 네트워크 장치는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한다.
빔은 실제로 임의의 셀에 의해 전송되는 빔이다. 빔에 관한 정보에는 빔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빔의 인덱스는 SSB의 인덱스이다.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으며 시스템 정보 창은 OSI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다.
그러나 제1 모니터링 시기는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니터링 시기에 포함된 모든 심볼은 업링크 심볼이다. 제1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통신 장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도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통신 장치가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여전히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면, 통신 장치는 확실히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없지만 대신 통신 장치의 전력이 낭비된다.
따라서, 통신 장치가 비효율적인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방지하고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이다. 미리 설정된 조건은 제1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구체적으로 제1 모니터링 시기인지, 제2 모니터링 시기인지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장치 간의 협상을 통해 결정되거나 사전 설정을 통해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1)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2)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3)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4)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미리 설정된 수량은 상위 레이어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신 장치가 미리 설정된 수량의 특정 값을 알게 한다.
(5)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6)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과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7)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 시에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이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네트워크 장치는 통지 메시지를 통신 장치에 전송하여, 통신 장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안 제1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이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학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8) 제1 모니터링 시기에는 SSB가 운송되지 않는다. SSB는 1차 동기화 신호, 2차 동기화 신호 및 물리 방송 채널을 포함하며, 물리 방송 채널은 SSB 및 MIB의 인덱스와 같은 정보를 운송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SSB는 빔 스위핑 방식으로 전송되며, SSB를 전송하는 각각의 빔은 SSB 빔이며, SSB의 인덱스는 해당 빔의 인덱스이다. 다운링크 공통 채널을 전달하기 위한 빔 및 SSB 빔은 의사-코로케이션(quasi-colocation, QCL) 관계를 가진다. 다시 말해, 다운링크 공통 채널을 운송하기 위한 빔도 SSB 빔의 인덱스를 사용한다.
다음은 예를 들어 전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1) 내지(8)의 구현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이 다운링크 심볼이지만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SSB가 운송되어야 하는 경우, 제1 모니터링 시기는 제2 모니터링 시기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지만,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전송 시 제1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이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1 모니터링 시기는 제2 모니터링 시기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모니터링 시기의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고,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전송 시 제1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이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모니터링 시기는 제2 모니터링 시기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 또는 일대다 대응관계이다.
또한, 셀 내의 각각의 빔이 시스템 정보 창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는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매핑 관계는 다음과 같다: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값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의 정수 배수를 포함한다.
다른 예를 들어,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 이렇게 하면 셀 내의 각각의 빔이 시스템 정보 창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목록 또는 식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연히,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대응관계는 대안으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 2는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의 예를 보여준다.
빔의 인덱스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0 0, 1
1 2, 3
... ...
N-1 2N-2, 2N-1
예를 들어,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시스템 정보 창에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번호 지정하는 규칙은: 시스템 정보 창에서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서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해서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제1 모니터링 시기일 때, 시스템 정보 창의 제1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의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해서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가 제2 모니터링일 때, 시스템 정보 창의 제2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의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해서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창은 모니터링 시기 a, 모니터링 시기 b, 모니터링 시기 c, 모니터링 시기 d를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기 a 및 모니터링 시기 d가 2차 모니터링인 경우를 가정한다.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제1 모니터링 시기일 때, 모니터링 시기 a는 0의 번호가 지정되고, 모니터링 시기 b는 1의 번호가 지정되고, 모니터링 시기 c는 2의 번호가 지정되며, 모니터링 시기 d는 3의 번호가 지정된다.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제2 모니터링 시기일 때, 모니터링 시기 a는 0의 번호가 지정되고, 모니터링 시기 d는 1의 번호가 지정된다.
S102. 네트워크 장치는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빔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OSI를 운송하기 위한 PDSCH의 시간-주파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PDCCH에 실려 운송된다.
예를 들어,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인덱스가 0인 빔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 창에서 0과 1로 번호가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인덱스가 1인 빔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 창에서 2와 3으로 번호가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장치는 인덱스가 N-1인 빔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 창에서 2N-2 및 2N-1로 번호가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S103. 통신 장치는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타깃 빔에 관한 정보는 타깃 빔의 인덱스를 포함한다.
타깃 빔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빔이다. 예를 들어,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신호 강도 순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되어 있는 것과 관련해서, 타깃 빔의 신호 강도는 미리 설정된 장소보다 순위가 높다.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장소보다 순위가 높다는 것은 통신 장치가 타깃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음을 나타내며, 따라서 통신 장치는 타깃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통신 장치는 빔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여 타깃 빔을 결정하고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결정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타깃 빔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시 말해, 통신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빔을 타깃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S104. 통신 장치는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한다.
타깃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타깃 모니터링 시기는 타깃 빔에 대응한다.
단계 S104는 단계 S101과 유사하다. 관련 설명은 단계 S101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105. 통신 장치는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제1 모니터링 시기인 경우, 통신 장치는 타깃 빔에 대응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한 후 타깃 빔에 대응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한다(즉, 타깃 빔에 대응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가 제2 모니터링 시기인지를 결정한다). 타깃 빔에 대응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통신 장치는 제1 모니터링 시기에 기초해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목표 빔에 대응하는 제1 모니터링 시기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제1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가 제2 모니터링 시기인 경우, 통신 장치는 목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따르면, 통신 장치는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여 통신 장치가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만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는 시스템 정보 창의 각각의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횟수를 줄이고 통신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통신 장치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전술한 단계 S101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세서(201)가 메모리(20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102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2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103 및 단계 S104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301)가 메모리(30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105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현재, 통신 장치는 페이징 시기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통신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징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나 현재 표준에서 정의한 모니터링 시기는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시기에 포함된 모든 심볼은 업링크 심볼이다. 이 경우,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없으며, 또한 통신 장치는 페이징 정보를 얻을 수 없어 통신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시기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7을 포함한다.
S201.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한다.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다. 미리 설정된 조건은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1) 모니터링 시기에서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2) 모니터링 시기에서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3) 모니터링 시기에서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4)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미리 설정된 수량은 상위 레이어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신 장치가 미리 설정된 수량의 특정 값을 알게 된다.
(5)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6)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심볼 및 플렉서블 심볼의 총 개수가 미리 설정된 수량보다 많다.
(7) 모니터링 시기에서 플렉서블 심볼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중에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된다. 네트워크 장치는 통지 메시지를 통신 장치에 전송하여, 통신 장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안 제1 모니터링 시기의 플렉서블 심볼이 다운링크 심볼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학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8) 모니터링 시기에서 SSB는 운송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는 페이징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및 페이징 시기의 번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페이징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는 식
Figure pct00037
에 따라 결정된다. SFN은 페이징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offset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의 오프셋 값을 나타내고, T는 통신 장치의 페이징 주기를 나타내고, UE_ID는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실제 적용에서 UE_ID = mod(IMSI, 1024)이고,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IMSI)은 모바일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이고, div는 정확한 구분을 나타내고, N = min(T, nB)이고, nB는 미리 설정된 상수이고, nB의 값 집합은 {4T, 2T, T, T/2, T/4, T/8, T/16}이다.
페이징 시기의 번호는 식
Figure pct00038
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i_s는 페이징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39
이다. i_s의 값 집합은 {0, 1, 2, 3}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번호가 0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0에서 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1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M에서 2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2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2M에서 3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번호가 3인 페이징 시기는 번호가 3M에서 4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M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지정 규칙은 다음과 같다: 모니터링 시기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프레임의 시작 경계 이후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시작하여 0부터 순차적으로 번호가 지정된다.
S202. 네트워크 장치는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한다.
빔에 관한 정보는 빔의 인덱스를 포함한다. 빔은 실제로 모든 셀에서 보낸 빔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매핑 관계는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일대일 대응관계이다.
예를 들어,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과 같다: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같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값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의 정수 배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목록 또는 식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연히, 빔과 모니터링 시기 사이의 대응관계는 대안으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 3은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의 예를 보여준다.
빔의 인덱스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0 0
1 1
... ...
N-1 N-1
예를 들어,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에서 모니터링 시기의 수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고,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S203. 네트워크 장치는 빔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빔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PDCCH에 실려 운송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페이징 정보를 운송하기 위한 PDSCH의 시간-주파수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인덱스가 0인 빔을 사용하여 번호 0이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인덱스는 1인 빔을 사용하여, 번호 1이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장치는 인덱스가 N-1인 빔을 사용하여 번호 N-1이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S204.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한다.
단계 S201은 단계 S204와 유사하다. 관련 설명은 단계 S204를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205. 통신 장치는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타깃 빔에 관한 정보는 타깃 빔의 인덱스를 포함한다.
타깃 빔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빔이다. 예를 들어,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신호 강도 순위가 높음에서 낮음으로 되어 있는 것과 관련해서, 타깃 빔의 신호 강도는 미리 설정된 장소보다 순위가 높다.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장소보다 순위가 높다는 것은 통신 장치가 타깃 빔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음을 나타내며, 따라서 통신 장치는 타깃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 구현에서, 통신 장치는 빔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여 타깃 빔을 결정하고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결정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타깃 빔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으며, 즉, 통신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빔을 타깃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S206. 통신 장치는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한다.
타깃 모니터링 시기는 타깃 빔에 대응한다.
단계 S206은 단계 S202와 유사하다. 관련 설명은 단계 S202를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S207. 통신 장치는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표 3을 참조하여 설명이 제공된다. 통신 장치가 타깃 빔의 인덱스가 0이라고 결정하면, 통신 장치는 0으로 번호가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통신 장치가 타깃 빔의 인덱스가 1이라고 결정하면, 통신 장치는 1로 번호가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유사하게, 통신 장치가 타깃 빔의 인덱스가 N-1이라고 결정하면, 통신 장치는 N-1로 번호가 지정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며, 여기서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모니터링 시기는 업링크 심볼, 플렉서블 심볼 또는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 이것은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시기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통신 장치가 정상적으로 페이징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전술한 단계 S201 및 단계 S202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세서(201)에 의해 메모리(20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203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2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204 내지 단계 S206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301)에 의해 메모리(30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207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솔루션은 주로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상호 작용의 관점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와 결합하여,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본 출원에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해야 한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기술 솔루션의 설계 제약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는 전술한 방법 예에 따라 각각 분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기능에 따라 모듈 또는 단위로 분리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프로세싱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전술한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모듈 또는 단위 분할은 예로서 사용되며 단지 논리 기능 분할이다.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모듈을 기능별로 구분하면, 도 7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장치의 가능한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싱 모듈(701) 및 전송 모듈(70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701)은 도 5의 단계 S101, 도 6의 단계 S201 및 단계 S202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702)은 도 5의 단계 S102, 도 6의 단계 S203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장치는 기능에 기초한 기능 모듈의 분할에 의해 제시되거나, 장치는 통합 방식으로 기능 모듈의 분할에 의해 제시된다. 본 명세서의 "모듈"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회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는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전송 모듈(702)은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2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프로세싱 모듈(701)은 도 4의 프로세서(2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구현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8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무선 송수신기(802) 및 일부 다른 구성 요소(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 장치와 같은 장치 포함)를 포함한다. 도 8에서, 프로세서(801)는 전술한 프로세싱 모듈(701)의 기능을 구현하고, 무선 송수신기(802)는 전술한 전송 모듈(702)의 기능을 구현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는 단지 예로서 사용되며, 이 실시예의 구현에 필수인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독립 구성 요소의 형태로 존재하는 대신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도 9는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구현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서(901), 프로세서(902) 및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903)를 포함한다. 도 9에서, 데이터 송신 프로세서(901)는 전술한 전송 모듈(702)의 기능을 구현하고, 프로세서(902)는 전술한 프로세싱 모듈(701)의 기능을 구현한다. 도 9는 채널 인코더 및 채널 디코더를 도시하지만, 이들 모듈은 본 실시예의 제한적인 설명을 구성하지 않고 단지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은 네트워크 장치의 다른 구현을 나타낸다. 프로세싱 장치(1000)는 변조 서브시스템, 중앙 처리 서브시스템 및 주변 서브시스템과 같은 모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변조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조 서브시스템은 프로세서(1001) 및 인터페이스(100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1)는 전술한 프로세싱 유닛(701)의 기능을 구현하고, 인터페이스(1003)는 전술한 전송 모듈(702)의 기능을 구현한다. 변형으로서, 변조 서브시스템은 메모리(1002), 프로세서(1001)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정보 전송 방법이 구현된다. 메모리(1002)가 프로세서(1001)에 연결될 수 있다면, 메모리(1002)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일 수 있고, 변조 서브시스템에 위치하거나 프로세싱 장치(1000)에 위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again.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장치는 전술한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달성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가 네트워크 장치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 시스템을 제공하고, 칩 시스템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을 구현할 때 네트워크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네트워크 장치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메모리가 칩 시스템에 없을 수도 있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능 모듈을 기능별로 구분하면, 도 1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통신 장치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는 프로세싱 모듈(1101) 및 수신 모듈(110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1101)은 도 5의 단계 S103 및 단계 S104, 도 6의 단계 S204 내지 단계 S206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1102)은 도 5의 단계 S105, 도 6의 단계 S207 및/또는 이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장치는 기능에 기초한 기능 모듈의 분할에 의해 제시되거나, 장치는 통합 방식으로 기능 모듈의 분할에 의해 제시된다. 본 명세서의 "모듈"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회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는 통신 장치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수신 모듈(1102)은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3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프로세싱 모듈(1101)은 도 4의 프로세서(3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는 통신 장치의 다른 구현을 도시한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12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카메라, 입출력 인터페이스, 무선 송수신기(1202) 및 일부 다른 구성 요소(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 장치와 같은 장치 포함)를 포함한다. 도 12에서, 프로세서(1201)는 전술한 프로세싱 모듈(1101)의 기능을 구현하고, 무선 송수신기(1202)는 전술한 수신 모듈(1102)의 기능을 구현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는 단지 예로서 사용된 것이며, 본 실시예의 구현에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카메라는 생략될 수 있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독립적인 구성 요소의 형태로 존재하는 대신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3은 통신 장치의 다른 구현을 도시한다. 통신 장치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서(1301), 프로세서(1302) 및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1303)를 포함한다. 도 13에서, 프로세서(1302)는 전술한 프로세싱 모듈(1101)의 기능을 구현하고,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1303)는 전술한 수신 모듈(1102)의 기능을 구현한다. 도 13은 채널 인코더 및 채널 디코더를 도시하지만, 이들 모듈은 본 실시예의 제한적인 설명을 구성하지 않고 단지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통신 장치의 다른 구현을 도시한다. 프로세싱 장치(1400)는 변조 서브시스템, 중앙 처리 서브시스템 및 주변 서브시스템과 같은 모듈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통신 장치는 변조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조 서브시스템은 프로세서(1401) 및 인터페이스(140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1)는 전술한 프로세싱 유닛(1101)의 기능을 구현하고, 인터페이스(1403)는 전술한 수신 모듈(1102)의 기능을 구현한다. 다른 변형으로서, 변조 서브시스템은 메모리(1402), 프로세서(1401)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정보 전송 방법이 구현된다. 메모리(1402)가 프로세서(1401)에 연결될 수 있다면, 메모리(1402)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일 수 있고, 변조 서브시스템에 위치하거나 프로세싱 장치(1400)에 위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전술한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으로 달성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가 통신 장치에서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 시스템을 제공하고, 칩 시스템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구현할 때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통신 장치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당연히, 메모리는 칩 시스템에 없을 수도 있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이용해서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예를 실행하는 사용될 때,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 상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로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이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은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으로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으로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는 컴퓨터 또는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한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이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보호를 주장하는 이 출원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당업자는 첨부된 도면, 개시된 내용 및 첨부된 도면을 보고 개시된 실시예의 다른 변형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다른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a" 또는 "하나"는 복수의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은 청구 범위에 열거된 여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측정값은 서로 다른 종속 클레임에 기록되지만 이러한 측정값을 결합하여 더 나은 효과를 낼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본 출원은 특정 특징 및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명백히,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출원의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본 출원의 범위를 포함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수정, 변형, 조합 또는 등가물로 간주된다. 명백히, 당업자는 본 출원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다음 청구 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에 의해 정의된 보호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59)

  1.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monitoring occasion)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system information window)에 있고, 상기 시스템 정보 창은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에 사용됨 - ; 및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rounding down)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을 만족하며: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 창에서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순번이 시작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정보 전송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상기 시스템 정보 창은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에 사용됨 - ; 및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전송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을 만족하며: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 전송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 창에서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순번이 시작하는, 정보 전송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정보 전송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빔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빔인, 정보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다; 또는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장소보다 높은 순위이다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9. 네트워크 장치로서,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monitoring occasion)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system information window)에 있고, 상기 시스템 정보 창은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에 사용됨 - ; 및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을 만족하며: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 창에서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순번이 시작하는, 네트워크 장치.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네트워크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7. 통신 장치로서,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는 시스템 정보 창에 있고, 상기 시스템 정보 창은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에 사용됨 - ; 및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의 인덱스와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인덱스가 i인 빔은 번호가 i*m에서(i+1)*m-1까지인 m 개의 모니터링 시기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m = floor(M/N)이고, floor는 반올림을 나타내고, M은 시스템 정보 창에 포함된 모니터링 시기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다음 식을 만족하며:
    mod(Occasion index, N) = i;
    여기서, Occasion index는 시스템 정보 창의 모니터링 시기의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셀에 의해 실제로 전송된 빔의 총 개수를 나타내며, i는 빔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 창에서 제1 모니터링 시기부터 순번이 시작하는, 통신 장치.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통신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통신 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5. 제27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빔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빔인, 통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다; 또는
    타깃 빔의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장소보다 높은 순위이다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37.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 ;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 중에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빔에 관한 정보는 빔의 인덱스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인덱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인덱스인, 정보 전송 방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정보 전송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인, 정보 전송 방법.
  42.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통신 장치가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 ;
    상기 통신 장치가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 중에서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빔에 관한 정보는 빔의 인덱스를 포함함 - ;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인덱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인덱스인, 정보 전송 방법.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정보 전송 방법.
  45.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46. 제42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인, 정보 전송 방법.
  47. 네트워크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다음의 단계:
    통신 장치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 ;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 중에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빔에 관한 정보는 빔의 인덱스를 포함함 - ; 및
    상기 빔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인덱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인덱스인, 네트워크 장치.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네트워크 장치.
  50. 제4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51. 제4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인, 네트워크 장치.
  52.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다음의 단계: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시기는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기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 - ;
    타깃 빔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깃 빔에 관한 정보 및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모니터링 시기 중에서 타깃 모니터링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빔에 관한 정보는 빔의 인덱스를 포함함 - ; 및
    상기 타깃 모니터링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인덱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인덱스인, 통신 장치.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업링크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플렉서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시기가 SSB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것인, 통신 장치.
  55. 제52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다운링크 심볼이다;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이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 시기의 모든 심볼은 플렉서블 심볼 또는 다운링크 심볼이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6.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에 관한 정보와 모니터링 시기 간의 매핑 관계는 빔과 모니터링 시기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인, 통신 장치.
  57.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명령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제9항 내지 제18항, 제37항 내지 제41항 및 제42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
  58.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제9항 내지 제18항, 제37항 내지 제41항 및 제42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
  59.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한 항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제27항 내지 제36항 중 한 항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47항 내지 제51항 중 한 항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제52항 내지 제56항 중 한 항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07036940A 2018-06-21 2019-05-28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76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46206.X 2018-06-21
CN201810646206.XA CN110635875B (zh) 2018-06-21 2018-06-21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PCT/CN2019/088738 WO2019242461A1 (zh) 2018-06-21 2019-05-28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003A true KR20210012003A (ko) 2021-02-02
KR102376899B1 KR102376899B1 (ko) 2022-03-18

Family

ID=6873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940A KR102376899B1 (ko) 2018-06-21 2019-05-28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72465B2 (ko)
EP (2) EP3654573B1 (ko)
JP (2) JP7374136B2 (ko)
KR (1) KR102376899B1 (ko)
CN (4) CN110545167B (ko)
MX (1) MX2020013845A (ko)
WO (1) WO2019242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5167B (zh) * 2018-06-21 202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WO2020032849A1 (en) * 2018-08-09 2020-0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occasion reallocation of incapable user equipment
US11658783B2 (en) * 2018-08-10 2023-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SB transmissions in unlicensed spectrum
US20220086914A1 (en) * 2019-02-15 2022-03-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reference signal, and device for same
US11582713B2 (en) 2019-07-08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information and paging monitoring for multiple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WO2022021267A1 (en) * 2020-07-31 2022-02-03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for a next paging occasion
WO2023159466A1 (zh) * 2022-02-25 2023-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映射关系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5915395A (zh) * 2022-10-09 2023-04-04 哲库科技(北京)有限公司 寻呼碰撞处理方法及装置、终端设备、芯片、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496A (ko) * 2014-11-11 2016-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80124773A1 (en) * 2016-11-01 2018-05-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ci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3911B2 (en) * 2002-07-30 2009-01-06 Applied Materials, Israel, Ltd. Specimen current mapper
IL168150A (en) * 2005-04-20 2011-02-28 Elta System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atellite communication data
JP2011100585A (ja) * 2009-11-05 2011-05-19 Keiji Takahashi ビームプロファイルモニター
CN103906244B (zh) * 2012-12-28 2017-09-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传输的方法、系统和设备
CN103259728B (zh) * 2013-05-24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ofs带内通信方法及ofs
US9474013B2 (en) * 2014-06-16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point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a directional wireless network
CN106921468B (zh) * 2015-12-28 2020-05-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06961713B (zh) 2016-01-12 2021-07-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接入方法及终端和基站
BR112018068108A2 (pt) * 2016-02-25 2019-01-15 Ericsson Telefon Ab L M paginação em espectro não-licenciado
CN107425948B (zh) * 2016-05-24 2020-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和用户设备
WO2018016800A1 (ko) * 2016-07-20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빔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17909A (ko) * 2016-08-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빔의 특성에 따라 랜덤 엑세스 과정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57881B2 (en) * 2016-09-15 2018-08-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cheduling of paging notifications supporting beam sweeping
CN107872834B (zh) * 2016-09-28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和装置
CN107896121A (zh) * 2016-09-29 2018-04-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6792792B (zh) * 2016-09-30 2019-01-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基站、用户终端及其下行数据控制方法及装置
CN107948987B (zh) * 2016-10-13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EP3533149A1 (en) * 2016-10-27 2019-09-04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with beamforming training
CN106793124B (zh) * 2016-12-30 2020-05-0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上行信号传输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KR102454598B1 (ko) * 2017-02-02 2022-10-17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스위핑된 다운링크 빔들에서 페이징 블록들의 전송을 위한 장치들
EP3606269A4 (en) * 2017-03-22 2020-09-23 LG Electronics Inc. -1- METHOD FOR PERFORMING A DIRECT ACCESS METHOD AND DEVICE FOR IT
CN107223347B (zh) * 2017-04-18 2020-09-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获取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10736077B2 (en) * 2017-05-05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remaining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window
CN109245876B (zh) * 2017-09-27 2019-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的方法、通信定时的方法和装置
CN107888466A (zh) * 2017-11-15 2018-04-06 国网天津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lldp的自组织分布式广域保护网络通信方法
CN108012273B (zh) * 2017-12-25 2020-05-29 北京理工大学 一种认知星-地网络的安全传输方法
US11012197B2 (en) * 2018-01-12 2021-05-18 Apple Inc. Resource set configurations using automatic repeat request information
EP3794847A4 (en) * 2018-06-07 2021-06-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ITY PROCESS BASED ON PREDICTION AND PREPARATION
CN110545167B (zh) * 2018-06-21 202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496A (ko) * 2014-11-11 2016-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80124773A1 (en) * 2016-11-01 2018-05-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ci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8197* *
3GPP TS 38.300 V15.2.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52656A (ja) 2023-04-11
CN110611917A (zh) 2019-12-24
EP3654573A4 (en) 2020-11-18
CN117879776A (zh) 2024-04-12
CN110635875B (zh) 2023-12-15
US20200022108A1 (en) 2020-01-16
WO2019242461A1 (zh) 2019-12-26
EP3654573A1 (en) 2020-05-20
CN110545167B (zh) 2020-11-10
CN110545167A (zh) 2019-12-06
JP2021528013A (ja) 2021-10-14
EP3654573B1 (en) 2022-02-09
CN110635875A (zh) 2019-12-31
US11172465B2 (en) 2021-11-09
EP4061059B1 (en) 2023-12-27
EP4061059A1 (en) 2022-09-21
MX2020013845A (es) 2021-03-25
US20220061022A1 (en) 2022-02-24
KR102376899B1 (ko) 2022-03-18
US11871377B2 (en) 2024-01-09
CN110611917B (zh) 2021-03-05
JP7374136B2 (ja)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899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893545B2 (en) Resource determining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2603689B1 (ko) 랜덤 액세스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치
EP3726879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606177A1 (e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storage medium
US90371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evice identifiers (STID)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20210204328A1 (en)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KR20230164194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치
TW201707493A (zh) 一種進行資料傳輸的方法和設備
US10660079B2 (en) Bandwidth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8634337B2 (en)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JP7282182B2 (ja) Ra-rnti処理方法及び装置
KR20220129600A (ko)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US20220070851A1 (en)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device
EP418801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7181673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20220132466A1 (en) Reducing unsuccessful paging
WO2021161481A1 (ja) 端末
CN116980927A (zh) 小区搜索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904759A (zh) 控制信息接收方法、控制信息发送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