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600A -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600A
KR20220129600A KR1020227028594A KR20227028594A KR20220129600A KR 20220129600 A KR20220129600 A KR 20220129600A KR 1020227028594 A KR1020227028594 A KR 1020227028594A KR 20227028594 A KR20227028594 A KR 20227028594A KR 20220129600 A KR20220129600 A KR 2022012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resource
frequency
type termin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쥐안 정
차오준 리
하이룽 허우
저 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되고,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갖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솔루션은 BWP를 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므로, 시스템이 다양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고 필요한 시스템 대역폭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initial)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신규 무선(new radio, NR) 시스템은 신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무선 인터페이스 설계에 기반한 5세대(fifth generation, 5G) 모바일 통신 기술 표준이며, 차세대 셀룰러 모바일 기술의 매우 중요한 기반이다. NR 시스템에는 상당히 다양한 서비스가 있으며, 그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서비스, 초신뢰성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서비스,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NR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는 NR 시스템이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bandwidth capability)을 가진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 요건(requirement)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eMBB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URLLC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NR 시스템의 광대역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NR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설계 비용, 저전력 소모 등을 고려하여, mMTC 서비스를 전송하는 일부 단말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매우 큰 작동 대역폭으로 설계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일반적으로 좁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액세스를 수행한다.
NR 시스템의 대역폭은 넓고 최소 100MHz이다. 단말 디바이스의 상이한 대역폭 능력으로 인해, 단말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이 상이하다. 일부 단말 디바이스는 80MHz, 40MHz, 20MHz 또는 더 좁은 대역폭만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NR에서는 최대 대역폭에 대한 단말 디바이스의 요건에 적응하기 위해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개념을 도입한다.
본 출원은 상이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의 초기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의 초기 액세스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신규 초기 BWP 설계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은 초기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4.5G 또는 5G 무선 통신 시스템, NR 기반의 더욱 진화된 시스템 및 미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음 -; 및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폰(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Pad) 또는 무선 송수신기 기능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거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산업 제어(industrial control), 자율 주행(self driving), 원격의료(telemedicine),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교통 안전(transportation safety), 스마트 시티(smart city), 스마트 홈(smart home)과 같은 시나리오에서 사용되는 무선 단말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전술한 단말 디바이스와 전술한 단말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칩을 총칭하여 단말 디바이스라고 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기술 및 단말 디바이스의 특정 디바이스 형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측면은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제1 측면으로부터 배울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설계가 단순하고 기존 제2 초기 BWP의 독창적인 설계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표준 설계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버전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Release 15에 대응하는 NR 단말 디바이스와 Release 17에 대응하는 NR 단말 디바이스가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능력을 지원한다.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데이터 처리 시간 능력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1 세트에 속하며, 상기 제1 세트는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다.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다.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으로부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중첩 관계(nesting relationship)를 구현하여, 다양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해 시스템에 필요한 시스템 대역폭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3 구현으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오버헤드를 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또는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M개의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과 상기 제1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M개의 인덱스 값은 모두 상기 제1 인덱스 값의 인덱스 값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한다.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으로부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특정 방식이 제공되므로, 솔루션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modulo operation)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고, 상기 제1 인덱스 값 및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한다.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으로부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특정 방식이 제공되므로, 솔루션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 및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며,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은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7 구현으로부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특정 방식이 제공되므로, 솔루션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되는 무선 프레임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또는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음 -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으로부터, 시스템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전송을 지원하기 시작할 때 시스템에 배치되었을 수 있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전송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도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공통 정보 전송 및 SSB 전송이 동일한 슬롯 또는 동일한 무선 프레임에서 수행될 때, 이 구현에서,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초기 액세스에 대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으로부터, 공통 정보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면서 또한 복수의 제1 시간 자원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공동 채널 추정 성능이 보장될 수 있으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조합 탐지 성능을 구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측면의 제10 가능한 구현으로부터, 제1 자원의 특정 설계 방식이 제공되므로 솔루션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으로부터, 제1 자원의 특정 설계 방식이 제공되므로 솔루션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제8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제12 구현으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오버헤드를 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갖는다.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이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이 큰 시스템의 경우, 이 구현에서 배포된 eMBB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예: eMBB 서비스와 mMTC 서비스 모두 지원).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며,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되는 무선 프레임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또는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3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고,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갖는다. 제3 측면으로부터, 시스템 주파수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간의 중첩 관계를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 대역폭이 작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시스템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고,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은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고, 여기서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4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음 - 구성된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1 세트에 속하며, 상기 제1 세트는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다.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또는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M개의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및 상기 제1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M개의 인덱스 값은 모두 상기 제1 인덱스 값의 인덱스 값보다 작거나 같음 -; 그리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제2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고, 상기 제1 인덱스 값 및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함 -; 그리고 상기 제2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 및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은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며,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되는 무선 프레임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또는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측면의 제8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5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5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이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이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5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선택적으로,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5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6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및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6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이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6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선택적으로,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6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7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구성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 또는 제7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1 세트에 속하며, 상기 제1 세트는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다.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또는 제7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M개의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과 상기 제1 인덱스 값은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M개의 인덱스 값은 모두 상기 제1 인덱스 값의 인덱스 값보다 작거나 같음 -; 그리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제2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고, 상기 제1 인덱스 값 및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함 -; 그리고 상기 제2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 및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며,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은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 또는 제7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이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이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 또는 제7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이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 또는 제7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8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8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구성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8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8 측면 또는 제8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은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8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선택적으로, 제8 측면 또는 제8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8 측면 또는 제8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8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9 측면은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구성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9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9 측면 또는 제9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은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거나,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제9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선택적으로, 제9 측면 또는 제9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9 측면 또는 제9 측면의 가능한 제1 구현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9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제10 측면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1 측면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2 측면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3 측면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4 측면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5 측면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4 측면, 제7 측면, 제10 측면 및 제13 측면의 유익한 효과는 제1 측면에서 설명된 유익한 효과와 동일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5 측면, 제8 측면, 제11 측면 및 제14 측면의 유익한 효과는 제2 측면에서 설명된 유익한 효과와 동일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6 측면, 제9 측면, 제12 측면 및 제15 측면의 유익한 효과는 제3 측면에서 설명된 유익한 효과와 동일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6 측면은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기술된 단말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7 측면은 칩을 제공하며,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측면 내지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솔루션은 BWP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므로, 시스템이 다양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대역폭이 감소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상이한 주파수 자원의 RB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설계 방식의 개략적인 표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일부일 뿐이고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는 아님이 명백하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에서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존재하는 경우)는 유사한 객체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지만 반드시 특정한 순서나 시퀀스를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명된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므로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되거나 설명된 순서가 아닌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및 "갖다"라는 용어 및 기타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또는 유닛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명시적으로 나열된 단계 또는 유닛으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지만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대해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았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때때로 줄여서 통신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데이터 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시에 데이터 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조정된 다지점 송수신(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CoMP)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셀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에 협력하여 참여하거나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공동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셀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협력 스케줄링 또는 협력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셀은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할 수 있으며, 채널 이득, 경로 손실, 수신 신호 세기, 수신 신호 명령어 등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 또는 도 2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만을 도시함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출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해서는 안 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더 많거나 더 적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더 많은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서로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량은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들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할 때,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또는 NR 시스템에 액세스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면서 또한 시간 동기 및/또는 주파수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를 결정한 다음, 결정된 동기 정보에 기반하여, PBCH 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포함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요건에 기반하여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를 추가로 판독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판독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SIB1에 포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의 구성 정보 또는 다른 시스템 메시지 SI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상이한 시스템에서는 SIB1의 이름이 상이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PBCH를 검출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검출되는 것이면서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시스템 메시지를 SIB1이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MSI)는 SIB1로 이해될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 전술한 특징을 만족하는 시스템 정보는 SIB1이다.
다음은 무선 시스템에 대한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NR 시스템을 예로 사용한다. NR 시스템의 대역폭은 넓고 최소 100MHz이다. 단말 디바이스의 능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이 상이하다. 일부 단말 디바이스는 80MHz, 40MHz, 20MHz 또는 더 좁은 대역폭만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NR에서는 최대 대역폭에 대한 단말 디바이스의 요건에 적응하기 위해 BWP 개념이 도입된다. 구체적으로, BWP는 현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되어 단말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에 적응한다. 현재,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유휴 상태(idle state) 또는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에 기반하여 무선 자원 제어 연결(RRC-connected)에 진입하기 전에 SI를 수신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을 브로드캐스팅하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캠핑(camping)을 수행한다. SSB는 1차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2차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및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을 운반한다. PBCH는 마스터 시스템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을 운반한다. MIB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0의 구성 정보(예를 들어, CORESET 0의 대역폭 크기, 주파수 도메인 위치, 시간-주파수 자원), SIB1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의 구성 정보(예를 들어, PDCCH의 시간 도메인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MIB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초기 BWP(initial BWP)의 대역폭이 CORESET 0의 대역폭이라고 결정하고, 초기 BWP에서 SIB1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그런 다음 SIB1의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초기 BWP 상에서 SIB1을 수신한다. 현재 NR 시스템에서, PBCH에서 운반되는 MIB는 pdcch-ConfigSIB1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8비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SIB1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CORESET의 구성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초기 하향링크 BWP는 유휴 모드 또는 비활성 모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초기 BWP이다. NR에서, SIB1을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CORESET 0에 대응하는 주파수 자원의 위치 및 크기는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의 위치 및 크기로 간주될 수 있다.
현재 NR의 시스템 설계에서는 eMBB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URLLC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주로 고려하며, mMTC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특별한 설계는 없다. 구체적으로, NR의 시스템 설계에서 eMBB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URLLC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eMBB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 및 URLLC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주로 고려하며, mMTC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및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해서는 특별한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시나리오에서, PBCH를 통해 NR에서 통지된 초기 하향링크 BWP의 대역폭은 mMTC 서비스를 전송하는 일부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 성능보다 클 수 있다. 결과적으로, mMTC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NR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없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를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라고 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의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1) 대역폭 능력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반송파에서 최대 대역폭이 100MHz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반송파에서 최대 대역폭이 20MHz, 10MHz 또는 5MHz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2)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4R2T 또는 4R1T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최대 2R1T 또는 1R1T를 지원한다. 다시 말해서, 상이한 수량의 송신 안테나 및/또는 상이한 수량의 수신 안테나를 지원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3)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23dBm 또는 26dBm일 수 있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4dBm 내지 20dBm 중 하나일 수 있다.
(4) 프로토콜 버전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NR Release 17의 단말 디바이스이고(또는 제1 단말 디바이스는 NR Release 17 또는 이후의 단말 디바이스임),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NR Release 15 및/또는 NR Release 16의 단말 디바이스이다. 본 출원에서, NR Release 16 또는 이전의 단말 디바이스는 NR-레거시(NR-Legacy) 단말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5) 지원되는 반송파 집성 능력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 집성을 지원할 수 있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 모두 반송파 집성을 지원할 수 있지만,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집성을 지원하는 반송파의 최대 수량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서 집성을 지원하는 반송파의 최대 수량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최대 5개 반송파 또는 32개 반송파의 집성을 지원할 수 있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최대 2개 반송파의 집성을 지원할 수 있다.
(6) 이중 능력(Duplex capability)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전이중(full-duplex) FDD를 지원하거나,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전이중 FDD와 반이중(half-duplex) FDD를 모두 지원하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반이중 FDD만 지원한다.
(7) 데이터 처리 시간 능력이 상이하다. 데이터 처리 시간 능력이 강한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고, 데이터 처리 시간 능력이 약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처리 시간 능력은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레이턴시 간의 관계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거나,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대 레이턴시 간의 관계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거나, 하나의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최소 레이턴시와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최대 레이턴시 사이의 관계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처리의 레이턴시는 또한 다음 방식: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송신하는 것 사이의 레이턴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레이턴시, 또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사이의 레이턴시 중 적어도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송신하는 것 사이의 최소 레이턴시는,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송신하는 것 사이의 최소 레이턴시보다 작거나, 및/또는 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최소 레이턴시는,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사이의 최소 레이턴시보다 작다.
(8) 처리 능력이 상이하다.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능력은 다음: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및/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서 지원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의 수량, 소프트 버퍼(soft buffer)의 크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및/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서 지원되는 최고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능력이 강한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고, 처리 능력이 약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9)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피크율(peak rates) 및/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피크율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 중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NR-라이트(NR-light) 단말 디바이스이고,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비NR-라이트(non-NR-light) 단말 디바이스 또는 NR-light 및 non-NR-light 기능을 모두 갖는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NR Release 15 단말 디바이스 및/또는 NR Release 16 단말 디바이스, 또는 LTE 단말 디바이스 또는 NR 단말 디바이스에 제한되지 않는 미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진화된 단말 디바이스)이다. NR-light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구별되는 특징 설명에서 감소된 능력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르게는,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는 모두 NR-light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 간에는 전술한 구별 특징이 존재한다. 두 가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는 모두 NR-light 단말 디바이스이고, 한 반송파에서 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데이터 전송 대역폭은 20MHz일 수 있고, 한 반송파에서 다른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의 최대 데이터 전송 대역폭은 10MHz일 수 있다. 또한, NR-light 단말 디바이스는 NR 감소된 능력(NR Reduced Capability, NR REDCAP) 단말 디바이스로도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을 3가지 측면에서 설명한다. 제1 측면은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제2 측면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제3 측면은 제1 시간 자원의 주기(periodicity)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제1 측면에서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본 출원은 구체적으로 BWP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세 가지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1 방식으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된다. 제2 방식으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overlap) 않는다. 제3 방식으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는다. 제2 측면에서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본 출원은 구체적으로 세 가지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시간 자원의 3가지 설계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주파수 자원의 전술한 3가지 설계 방식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3 측면에 대해 본 출원은 두 가지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3 측면에서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제2 측면에서 제공되는 시간 자원의 세 가지 설계 방식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초기 BWP는 공통 정보 전송을 포함하는 BWP로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공통 정보 전송은 다음: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 여기서 시스템 정보는 스케줄링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를 포함할 수 있음;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페이징(paging) 정보 및/또는 페이징 정보의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 또는
(3)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초기 BWP에 포함된 공통 정보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제2 초기 BWP에 포함된 공통 정보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관련 공통 정보를 사용할 때, 제1 초기 BWP에 포함된 공통 정보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 모두에 대응하고, 또는 제2 초기 BWP에 포함된 공통 정보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 모두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하나의 BWP는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하고, 하나의 RB는 12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하며, BWP의 주파수 대역폭은 BWP를 포함하는 반송파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폭보다 크지 않다. 현재 NR 시스템에서, 하나의 반송파 또는 하나의 서빙 셀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전송이 하나의 활성(active) BWP에서 구현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최대 4개의 BWP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초기 BWP는 MIB를 사용하여 통지된 주파수 자원, 예를 들어, MIB에 포함된 pdcch-ConfigSIB1을 사용하여 통지된 주파수 자원, 또는 SIB1 정보에 구성된 주파수 자원으로 이해된다. 여기서 SIB1 정보는 SIB1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 및/또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해 전송되는 SIB1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1) 주파수 자원의 제1 설계 방식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면은 SSB 전송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 범위,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범위 및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범위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범위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면서 또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 및/또는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범위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면서 또한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 및/또는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다.
이 구현에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이 결정되고, 여기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되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갖는다. 본 출원에서 "포함된다"는 것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범위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범위를 커버함(cover)을 의미한다. 다음은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 구현에서, 감소된 능력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비감소된 능력(non-reduced-capability)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대역폭이 작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양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여 다양한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MBB 서비스와 mMTC 서비스를 모두 지원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구축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1 세트에 속하며, 제1 세트는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동기 신호 블록(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고, 제2 주파수 오프셋은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다. 달리 말하면,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SSB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세트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SSB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세트의 서브세트이다. 제1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 블록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SSB일 수 있거나,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SSB일 수 있으며, 제2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SSB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SSB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non-NR REDCAP 단말 디바이스이고, non-NR REDCAP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SSB는 Release 15 SSB이다. 이 경우, 제1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SSB도 Release 15 SSB이다.
선택적으로, 제1 주파수 오프셋의 값은 시스템 대역폭, 제1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SSB 전송에 대응하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 및 초기 BWP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는 SCS와 관련된다. 제1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SSB는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SSB를 나타낸다. 초기 BWP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는 SCS는 초기 BWP에 포함된 공통 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SCS로 나타낼 수 있다. 공통 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SCS는 공통 정보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SCS로 나타내거나, 공통 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SCS로 직접 나타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SCS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SCS로 이해될 수 있다. 공통 정보 전송에 대응하는 SCS에 대한 설명은 동일하며, 자세한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공통 정보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SCS는 제어 정보를 운반하는 PDCCH SCS로도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여기서 PDCCH SCS는 예를 들어, SIB1 스케줄링 정보를 운반하는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SCS, 또는 SIB1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Type0-PDCCH 탐색 공간 세트(Type0-PDCCH search space set)에 대응하는 SCS이다. 여기서, SIB1 스케줄링 정보는 SIB1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PDCCH SCS가 설명을 위해 초기 BWP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는 SCS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예를 사용한다.
현재 5G NR 시스템에서 SSB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과 초기 BWP의 SCS가 지원하는 조합은: {SSB SCS, PDCCH SCS}={{15, 15}, {15, 30}, {30, 15}, {30, 30}, {120, 60}, {120, 120}, {240, 60}, {240, 120}} kHz를 포함한다. {{15, 15}, {15, 30}, {30, 15}, {30, 30}} kHz의 조합은 NR 시스템의 중심 반송파가 6GHz 이하일(below) 때 사용할 수 있는 조합이며, {{120, 60}, {120, 120}, {240, 60}, {240, 120}} kHz의 조합은 NR 시스템의 중심 반송파가 6GHz 이상일(above) 때 사용할 수 있는 조합이다. 다음은 NR 시스템의 중심 반송파가 6GHz 이하일 때 사용할 수 있는 조합을 이용한 주파수 자원의 제1 설계 방식을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대역폭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 능력과 매칭하는 대역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 능력이 5MHz라면,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대역폭도 5MHz이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대역폭 능력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면 - 여기서, 예를 들어 NR REDCAP 단말 디바이스는 대역폭 능력이 각각 5MHz, 10MHz 및 20MHz인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함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대역폭은 상이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거나,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최소 대역폭 능력, 예를 들어, 이 예에서 5MHz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은 다르게는 다른 값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초기 BWP의 대역폭(대역폭 능력) 값은 미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MHz 또는 10MHz일 수 있다.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을 RB 단위로 나타낸다면, 대역폭은 예를 들어 24개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또는 48개의 RB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RB는 정수 수량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12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은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상에서 운반되는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을 사용하여 통지되거나,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음을 보장하면, 다른 방식으로 통지될 수 있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을 획득하는 방법은 본 출원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에서는 추가로, Type0-PDCCH 탐색 공간 세트를 포함하는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을 설명할 수 있다. Type0-PDCCH 탐색 공간 세트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system informatio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I-RNTI)를 사용하여 적어도 스크램블링된 제어 정보의 검출을 수행한다.
카테고리 1: 최소 시스템 대역폭이 5MHz 또는 10MHz이고 {SSB SCS, PDCCH SCS}={15kHz, 15kHz}일 때,
카테고리 1의 시나리오에서,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는 {0, 2, 4, 12, 16, 38}이며, 여기서 {0, 2, 4, 12, 16, 38}은 RB 단위로 값이 지정된다(valued).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제1 세트에 속하고 제1 세트가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0, 2, 4, 12, 16, 38} 중 어느 하나이다. 실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제2 주파수 오프셋만 결정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세트는 제2 유형의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 세트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음은 이 카테고리 시나리오에서 몇 가지 특정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24개의 RB이고, 제2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이며, 제2 주파수 오프셋이 12 또는 16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또는 4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24개의 RB이고, 제2 초기 BWP의 대역폭이 96개의 RB이며, 제2 주파수 오프셋이 38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2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일 때, 제1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12, 16, 38} 중 어느 하나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96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38이다.
본 출원에서, 제1 유형 초기 BWP의 대역폭이 24개의 RB일 때, 여기서 RB에 대응하는 부반송파 간격은 초기 BWP에 대응하는 부반송파 간격이거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DCCH 부반송파 간격으로 나타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PDCCH 부반송파 간격은 초기 BWP에 대응하는 부반송파 간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24개의 RB가 아닌 경우에도 다음의 구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주파수 자원 A와 다른 주파수 자원 B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주파수 자원 A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와 주파수 자원 B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 사이의 RB 수량 차이로 나타낼 수 있으며, 또는 주파수 자원 A의 끝(end)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와 주파수 자원 B의 끝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 간의 RB 수량 차이로 나타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주파수 자원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RB는 주파수 자원의 가장 낮은 주파수 또는 가장 높은 주파수에 대응하는 RB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주파수 자원의 끝 위치에 대응하는 RB는 주파수 자원의 가장 높은 주파수 또는 가장 낮은 주파수에 대응하는 RB일 수 있다. 상이한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을 기술할 때, 상이한 주파수 자원의 시작 위치는 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의 가장 낮은 주파수에 대응하는 RB 또는 가장 높은 주파수에 대응하는 RB를 사용하여 동일한 측정 방법으로 결정된다.
본 출원에서, 상이한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부반송파 간격은 상이할 수 있거나 동일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이 서로 다른 부반송파 간격에 대응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는 RB의 수량은 주파수 자원 중 하나의 RB의 수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의 RB 경계가 정렬되지(aligned)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자원 A와 주파수 자원 B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하나의 RB보다 작으며, 여기서 하나의 RB는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12개의 부반송파이다. 도 4에 도시된 경우에 주파수 자원 A와 주파수 자원 B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이 0 RB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자원 A와 주파수 자원 B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1개의 RB보다 크고 2개의 RB보다 작다.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의 RB 경계가 정렬되지는 않았지만, 도 4의 b에 도시된 경우에 주파수 자원 A와 주파수 자원 B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이 하나의 RB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내용의 다른 부분에도 적용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카테고리 2: 최소 시스템 대역폭이 5MHz 또는 10MHz이고, {SSB SCS, PDCCH SCS}={15kHz, 30kHz}일 때,
카테고리 2의 시나리오에서 제2 주파수 오프셋 세트는 {5, 6, 7, 8, 18, 20}이며, 여기서 {5, 6, 7, 8, 18, 20}은 RB 단위로 값이 지정된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제1 세트에 속하고 제1 세트가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5, 6, 7, 8, 18, 20} 중 어느 하나이다. 다음은 이 카테고리 시나리오에서 몇 가지 특정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2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이고 제2 주파수 오프셋이 18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5, 6} 중 하나이다.
제2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이고 제2 주파수 오프셋이 20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7, 8} 중 하나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18, 20} 중 하나이다.
카테고리 3: 최소 시스템 대역폭이 5MHz 또는 10MHz이고, {SSB SCS, PDCCH SCS}={30kHz, 15kHz}일 때,
카테고리 3의 시나리오에서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는 {2, 6, 28}이며, 여기서 {2, 6, 28}은 RB 단위로 값이 지정된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제1 세트에 속하고 제1 세트가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2, 6, 28} 중 어느 하나이다. 다음은 이 카테고리 시나리오에서 몇 가지 특정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2 초기 BWP의 대역폭이 96개의 RB이고 제2 주파수 오프셋이 28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2개의 RB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96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28이다.
카테고리 4: 최소 시스템 대역폭이 5MHz 또는 10MHz이고, {SSB SCS, PDCCH SCS}={30kHz, 30kHz}일 때,
카테고리 4의 시나리오에서 제2 주파수 오프셋 세트는 {0, 1, 2, 3, 4, 12, 17, 16}이며, 여기서 {0, 1, 2, 3, 4, 12, 17, 16}는 RB 단위로 값이 지정된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제1 세트에 속하고 제1 세트가 제2 주파수 오프셋 세트이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0, 1, 2, 3, 4, 12, 17, 16} 중 어느 하나이다. 다음은 이 카테고리 시나리오에서 몇 가지 특정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2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이고 제2 주파수 오프셋이 12, 17, 16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각각 0, 2, 4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12, 17, 16} 중 어느 하나이다.
카테고리 5: 최소 시스템 대역폭이 40MHz이고, {SSB SCS, PDCCH SCS}={30kHz, 15kHz}일 때,
카테고리 5의 시나리오에서,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는 {4, 0, 56}이며, 여기서 {4, 0, 56}은 RB 단위로 값이 지정된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제1 세트에 속하고 제1 세트가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4, 0, 56} 중 어느 하나이다. 다음은 이 카테고리 시나리오에서 몇 가지 특정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96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56} 중 하나이다.
카테고리 6: 최소 시스템 대역폭이 40MHz이고, {SSB SCS, PDCCH SCS}={30kHz, 30kHz}일 때,
카테고리 6의 시나리오에서 제2 주파수 오프셋 세트는 {0, 4, 28}이며, 여기서 {0, 4, 28}은 RB 단위로 값이 지정된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제1 세트에 속하고 제1 세트가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세트 {0, 4, 28} 중 어느 하나이다. 다음은 이 카테고리 시나리오에서 몇 가지 특정 설계 방식을 제공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일 때,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28} 중 하나이다.
전술한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중첩 관계가 구현되어, 다양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해 시스템이 요구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 오프셋의 특정 값은 설계에서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서로 다른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설계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대역폭, 서로 다른 동기 신호 블록의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 등의 영향을 고려하므로, 제1 주파수 오프셋의 값이면서 또한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상이한 값들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특정 값이,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설계 및 표준 설계 복잡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도록 감소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0이거나,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값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값을 뺀 값이다. 달리 말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시작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와 동일하고;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끝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끝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와 동일하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 구성 방식으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거나,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지시 정보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거나,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경우를 별도로 설명한다.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제1 설계 방식에서, 제1 초기 BWP는 초기 상향링크 BWP 및 초기 하향링크 BWP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초기 하향링크 BWP를 예로 사용한다.
(1)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사전 구성 방식으로 결정된다.
이 방식에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구성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미리 구성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이 구현을 설명한다. 앞에서 다양한 카테고리 시나리오에서 몇 가지 특정 설계 방식에 대해 설명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몇 가지 구체적인 설계 방식을 표의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표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시나리오에서 제공되는 몇 가지 구체적인 설계 방식이며, 도 6의 b에 도시된 표는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시나리오에서 제공되는 몇 가지 구체적인 설계 방식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표들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무선 시스템에 액세스할 때,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표에 따라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오프셋만을 구성 정보로 저장할 수 있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은 미리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르게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과 제1 주파수 오프셋만을 저장할 수 있고,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과 제2 주파수 오프셋은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2)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며,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설계 또는 제1 주파수 오프셋의 값은 이 구현의 독창적인 점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과 단말 디바이스가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 솔루션에서는 기존 기술의 두 솔루션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3)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고,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구성 정보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상은 주파수 자원의 제1 설계 방식을 설명하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관계를 제공한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한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추가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오버헤드를 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기존 기술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는다. 다음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몇 가지 구체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다음의 몇 가지 특정 구현 이외에,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이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범위에 포함된다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식이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701: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제1 구성 정보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702: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지시 정보는 MIB 메시지이다. MIB의 pdcch-ConfigSIB1은 표의 인덱스(index)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의 시나리오에서 구체적으로 최소 시스템 대역폭이 5MHz 또는 10MHz이고 {SSB SCS, PDCCH SCS}={15kHz, 15kHz}일 때, pdcch-ConfigSIB1은 다음 표 1의 인덱스를 지시하며, 표의 마지막 열에 있는 오프셋(offset)은 제2 오프셋이다. 표 1은 RB의 개수(number)(quantity of RBs)와 심볼의 개수(quantity of symbol)를 포함하며, 여기서 RB의 개수는 제2 초기 BWP의 대역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심볼의 개수는 시간적 측면에서 CORESET 0이 점유하는 시간 자원 시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CORESET 0이 시간적 측면에서 점유하는 시간 자원은 주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여기서 심볼의 개수는 한 주기에서 CORESET 0의 시간 자원, 다시 말하면 시간적 측면에서 점유하는 심볼의 개수를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표 1은 SS/PBCH 블록 및 PDCCH CORESET 다중화 패턴(SS/PBCH block and CORESET multiplexing pattern)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과 크게 연관되지 않으므로 표 1에서 나타내지 않는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pdcch-ConfigSIB1에 대응하는 값이 7이면, 인덱스는 7이며, 즉 제1 인덱스 값은 7인 것으로 결정된다.
인덱스 RB의 개수 심볼의 개수 오프셋(RB)
0 24 2 0
1 24 2 2
2 24 2 4
3 24 3 0
4 24 3 2
5 24 3 4
6 48 1 12
7 48 1 16
8 48 2 12
9 48 2 16
10 48 3 12
11 48 3 16
12 96 1 38
13 96 2 38
14 96 3 38
15 예약(Reserved)
703: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M개의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M개의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한다.
M은 양의 정수이다. M개의 인덱스 값과 제1 인덱스 값은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제1 세트는 {0, 2, 4, 12, 16, 38}이다. M개의 인덱스 값은 모두 제1 인덱스 값의 인덱스 값보다 작거나 같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M개의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이 7이라고 결정하면, 표 1에서 7보다 작은 인덱스 값은 0 내지 6이므로 M은 7이다. 이 경우, 인덱스 값 0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은 0이고, 인덱스 값 1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은 2이며, 인덱스 값 2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은 4이고, 인덱스 값 3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은 0이며, 인덱스 값 4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은 2이고, 인덱스 값 5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은 4이며, 인덱스 값 6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은 12이다. 따라서,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2, 4, 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801: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802: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한다.
단계(801) 및 단계(802)의 이해를 위해, 도 7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단계(701) 및 단계(702)를 참조한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803: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고, 여기서 제2 인덱스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여기서 제2 인덱스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고, 제1 인덱스 값 및 제2 인덱스 값은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한다.
다음은 카테고리 1에 설명된 시나리오를 예로 사용하여 이 구현을 설명한다. pdcch-ConfigSIB1에 대응하는 값이 제1 인덱스 값이고,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이 구현에서, 미리 설정된 값은 제1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표에 포함되면서 또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보다 크지 않은 초기 BWP 대역폭에 대응하는 구성의 총 수량(total quantit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시나리오에서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은 24개의 RB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값은 6(즉, 인덱스 값 0 내지 5에 대응하는 모든 구성 정보의 수량)일 수 있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표 1을 참조하여 모듈로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분포(distribution)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덱스 값이 9이면, 6을 사용한 9에 대한 모듈로 연산의 결과(9 mod 6)는 3이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오프셋이 표 1의 인덱스 값 3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 즉, 0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시나리오에서는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이 48개의 RB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값은 12(즉, 인덱스 값 0 내지 11에 대응하는 모든 구성의 수량)일 수 있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표 1을 참조하여 모듈로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분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덱스 값이 13이면, 12를 사용한 13에 대한 모듈로 연산의 결과(13 mod 12)는 1이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오프셋이 표 1의 인덱스 값 1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 즉 2개의 RB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 및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고,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다
다음은 카테고리 1에 설명된 시나리오를 예로 사용하여 이 구현을 설명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pdcch-ConfigSIB1에 기반하여, 제2 초기 BWP에 포함된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이 48개의 RB*1개의 OFDM 심볼임을 결정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이 24개의 RB라고 가정하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표 1에 기반하여, 제1 초기 BWP에 포함된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이 24개의 RB*2개의 OFDM 심볼일 때,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이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초기 BWP에 포함된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 24개의 RB*2개의 OFDM 심볼일 때,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표에서의 오프셋)은 0, 2 또는 4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2, 4} 중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2, 4}에서 가장 작은 인덱스 값, 또는 주파수 오프셋에서 가장 작은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으로 미리 구성된다.
다른 예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pdcch-ConfigSIB1에 기반하여, 제2 초기 BWP에 포함된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이 48개의 RB*2개의 OFDM 심볼 이상이라고 결정할 때,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초기 BWP에 포함된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 24개의 RB*3개의 OFDM 심볼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제1 초기 BWP에 포함된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 24개의 RB*3개의 OFDM 심볼일 때,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표에서의 오프셋)은 0, 2, 또는 4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2, 4}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구현에서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 2, 4}에서 가장 작은 인덱스 값 또는 주파수 오프셋에서 가장 작은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오프셋은 0으로 미리 구성된다.
(2) 주파수 자원의 제2 설계 방식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며, 여기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진다.
이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이 큰 시스템의 경우, 이 구현에서 배포된 eMBB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예: eMBB 서비스와 mMTC 서비스 모두 지원).
구체적인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MHz일 수 있다.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미리 정의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1개의 RB이다. 이렇게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제2 설계 방식에서, 제1 초기 BWP는 초기 상향링크 BWP 및 초기 하향링크 BWP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3) 주파수 자원의 제3 설계 방식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며, 여기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진다.
또한, 선택적으로, 이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SSB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고,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더 포함된다.
이 구현에서, 시스템 주파수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 대역폭이 작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시스템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SSB의 주파수 자원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은 미리 정의될 수 있고,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폭, 예를 들어, 5MHz로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값일 수 있다. 이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위치로 나타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시작점과 제1 초기 BWP의 대역폭, 또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끝점과 제1 초기 BWP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제2 초기 BWP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제공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현은 NR 반송파 주파수가 6GHz보다 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상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주파수 자원의 세 가지 설계 방식을 설명한다. 다음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ORESET 0은 위와 같이 이해될 수 있거나,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을 포함하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로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스케줄링 정보는 초기 BWP에 포함된 공통 정보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이다. 예를 들어, CORESET 0은 SIB1 PDCCH의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세트, 페이징 PDCCH의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세트 및/또는 RAR PDCCH의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세트이다. SIB1 PDCCH는 SIB1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운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고, 페이징 PDCCH는 페이징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운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며, RAR은 RAR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를 운반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다. CORESET 0의 주파수 자원은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동등할(equivalent) 수 있으며, CORESET 0의 시간 자원은 CORESET 0과 연관된, PDCCH 탐색 공간(search space, SS) 또는 PDCCH 탐색 공간 세트(search space set)가 나타나는 시간 위치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PDCCH SS 또는 PDCCH 탐색 공간 세트가 CORESET 0과 연관되는 것은 다음: CORESET 0에 대응하는 주파수 자원이 PDCCH SS 또는 PDCCH 탐색 공간 세트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탐색 공간 세트는 단말 디바이스가 검출을 수행해야 하는 PDCCH 후보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세트로 이해될 수 있다. PDCCH 후보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검출하거나, 제어 정보를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PDCCH 후보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지에 따라 다르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셀 특정(cell-specific) 제어 정보일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 특정 제어 정보일 수도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CORESET 0의 시간 자원은, 예를 들어, MIB에 포함된 pdcch-ConfigSIB1을 사용하여 통지되는 시간 자원, 즉 Type0-PDCCH 탐색 공간 세트에 대응하는 시간 자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 자원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1)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1 설계 방식
이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에 대응하는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 자원이 결정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거나,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slot)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빔(beam)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바람직하게, 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에 매핑되며, 그리고 제1 시간 자원과 관련된 SSB 인덱스의 오름차순에서, 슬롯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슬롯에 매핑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자원이 매핑되는 슬롯은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이한 시간 위치에서의 제1 시간 자원은 동일한 빔 방향에 대응할 수 있거나 상이한 빔 방향에 대응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구현의 장점은 시스템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전송을 지원하기 시작할 때, 시스템에 배치되었을 수 있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전송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도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공통 정보 전송 및 SSB 전송이 동일한 슬롯 또는 동일한 무선 프레임에서 수행될 때, 이 구현에서,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초기 액세스에 대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NR REDCCAP 단말 디바이스이고,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NR에 배치된 eMBB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NR R15/R16 단말 디바이스)이다.
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에 있으면서 또한 모든 빔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의 매핑을 지원하기 위해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 슬롯이 충분하지 않을 때, 매핑되지 않은 제1 시간 자원은 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으면서 또한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 슬롯에 계속 매핑된다.
특정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에서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달리 말하면, 하나의 SSB와 동일한 의사 콜로케이션(quasi colocation, QCL) 관계를 갖는 복수의 제1 시간 자원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서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이 구현에서, 공통 정보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면서 또한 복수의 제1 시간 자원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공동 채널(joint channel) 추정 성능이 보장될 수 있으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조합 검출 성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이 바람직하게 두 개의 연속된 슬롯에 분산되어 있으면, 동일한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된 슬롯들은 동일한 무선 프레임에 위치되고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이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시간 측면에서, 동일한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CORESET 0에 포함된 SIB1 제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검출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보장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시간 자원이 상이한 빔 방향에 대응한다는 것은 다음: CORESET 0과 연관된 SSB 인덱스가 상이하면, CORESET 0은 상이한 빔 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SB 인덱스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빔 방향을 구별할 수 있다. SSB 인덱스가 상이하면, SSB와 연관된 CORESET 0에 대응하는 빔 방향이 상이한 것으로 간주한다. 실제로도 서로 다른 SSB 인덱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동일한 빔 방향의 데이터는, 본 출원에서 서로 다른 빔 방향의 데이터로 간주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시간 자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은 특정 예를 참조하여 설명을 제공한다.
제1 시간 자원은 다음 수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제2 구성 정보는 MIB 메시지일 수 있으며,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파라미터 O 및 파라미터 M은 MIB에 포함된 pdcch-ConfigSIB1의 지시에 기반하여 직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L은 SSB의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수 있는 SSB의 최대 수량이다. NR 시스템에서, SSB는 5ms의 하프 프레임마다 주기적으로 송신되며, SSB를 포함하는 하프 프레임 주기는 {5ms, 10ms, 20ms, 40ms, 80ms, 160ms}일 수 있다. 하나의 하프 프레임에서, SSB는 여러 번 반복 송신될 수 있으며, 최대 반복 수량은 L이다. L의 값은 NR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에 의해 결정된다.
Offset'은 시간 오프셋을 나타내며, 미리 구성된 값이거나 제2 구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다.
i는 제1 CORESET 0의 시간 자원에 대응하는 SSB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M'의 값은 M의 값과 동일할 수 있다.
u는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 또는 상이한 수비학(numerologies)에 대응한다. u 값은 표 2를 참조한다.
Figure pct00002
부반송파 간격
Figure pct00003
0 15
1 30
2 60
3 120
4 240
계산을 통해 획득된 슬롯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의 인덱스는 슬롯의 인덱스가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계산을 통해 획득된 슬롯이 NR SSB 전송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제1 시간 자원이 위치하는 시간 자원(예를 들어, 슬롯)은 다르게는 다음 수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MIB에 포함된 pdcch-ConfigSIB1에 기반하여 전술한 수식의 파라미터 O 및 M의 값을 결정한 다음, 사전 정의된 시간 오프셋 및 전술한 수식에 따른 계산을 통해 획득되는 n0에 기반하여,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시간 오프셋은 동일한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과 제2 시간 자원 사이의 시간 오프셋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ConfigSIB1이 지시하는 O가 0이라면, 미리 정의된 시간 오프셋은 5일 수 있다. 다른 예로, pdcch-ConfigSIB1이 지시하는 O의 특정 값에 관계없이 시간 오프셋은 항상 5일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전술한 수식에서 파라미터 O 및 M의 값을 결정하고,
Figure pct00005
의 미리 정의된 값에 기반하여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되는 슬롯을 직접 결정한다. 제어 정보의 구체적인 전송 방식 및 제어 정보를 운반하는 전송 채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이와 같이 계산을 통해 획득된 슬롯이 위치된 무선 프레임의 인덱스는 슬롯의 인덱스가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계산을 통해 획득된 슬롯이 NR SSB 전송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기술 솔루션에서,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는 동일한 정보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구성 정보와 제2 구성 정보는 서로 다른 정보일 수 있지만, 동일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해 운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채널은 방송 채널, 하향링크 제어 정보, 또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자원 및 SSB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은 시분할 다중화(time-division multiplexed, TDMed)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제1 시간 자원 및 SSB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은 시간적 측면에서 중첩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SSB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과 제1 시간 자원은 서로 다른 슬롯에 대응하거나, 서로 다른 OFDM 심볼에 대응한다.
(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2 설계 방식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이 구현은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이면서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 주파수의 제1 또는 제2 설계 방식으로 결정되는 주파수 자원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자원 및 SSB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은 TDMed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제1 시간 자원 및 SSB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은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SSB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과 제1 시간 자원은 서로 다른 슬롯에 대응하거나, 서로 다른 OFDM 심볼에 대응한다.
(3)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3 설계 방식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이 결정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SSB는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SSB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시간 자원의 3가지 설계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주파수 자원의 전술한 3가지 설계 방식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의 제1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1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3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1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2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11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1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3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12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2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1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13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2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2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9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2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3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14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3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1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15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3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2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16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주파수 자원의 제3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3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해를 위해 도 10의 개략도를 참조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서비스 요건에 따라 전술한 조합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X개의 구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X개의 구성은 전술한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의 구성만 구성하면, 구성은 전술한 조합 중 하나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2개의 구성을 구성하면 2개의 구성은 전술한 조합 중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 및 시간 자원(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정 구성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과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측면에서 초기 BWP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시간 자원은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다음은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의 설계 방법을 설명한다.
(1)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1 설계 방식
제2 시간 자원은 주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제2 시간 자원의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현에서,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제2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정수 배수 또는 소수 배수일 수 있다.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제2 시간 자원의 주기는 상이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의 능력에 기반하여, 공통 정보 전송을 운반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 자원을 적응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는 공통 정보 전송 성능, 특히 커버리지 성능을 보장하면서 자원 활용 효율성을 보장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 불필요한 자원 오버헤드를 방지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1 설계 방식은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위에서 설명한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세 가지 설계 방식 및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세 가지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1 설계 방식을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설계 방식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사용할 때, 시간 자원의 각 주기의 제1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설계 방식과 동일하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1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2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1 설계 방식이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2 설계 방식과 조합되어 적용될 때,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되며, 이는 다음 이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제2 시간 자원의 주기는 동일하며, 제2 CORESET 0이 나타나는 제2 시간 자원은 제1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기에서,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은 슬롯에 있는 M1번째 OFDM 심볼부터 M2번째 OFDM 심볼(M1번째 OFDM 심볼 및 M2번째 OFDM 심볼을 포함)까지의 시간 자원 범위에 대응한다. 이 경우, 제1 CORESET 0의 시간 자원은 슬롯에 있는 M3번째 OFDM 심볼 내지 M4번째 OFDM 심볼(M3번째 OFDM 심볼 및 M4번째 OFDM 심볼을 포함)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M3은 M1보다 작지 않으며, M4는 M2보다 크지 않는다.
(2)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제2 시간 자원의 주기가 상이하고,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제2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정수 배수이며, 제1 시간 자원은 제1 시간 자원이 제2 시간 자원과 중첩되는 시간 자원 상의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시간 자원은 다르게는 다음을 충족할 수 있다: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제2 시간 자원의 주기는 상이하고,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제2 시간 자원의 주기의 소수 배수이며, 제1 시간 자원은 제1 시간 자원이 제2 시간 자원과 중첩되는 시간 자원 상의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2 시간 자원의 주기는 10ms이고,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5ms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자원은 또한 중첩 자원 상의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 구현은 제1 시간 자원이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구현에서,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1) 및 (2)), 또는 제1 시간 자원의 일부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예를 들어, (3)).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공통 정보를 제2 시간 자원의 범위 내에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추가로, 제2 시간 자원에서,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통 정보를 상이한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심볼을 셧다운(shutting down)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여기서, 예를 들어, 셧다운되는 심볼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공통 정보 전송을 운반하는 심볼일 수 있음), 데이터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전력 소비가 더 감소된다.
(2)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2 설계 방식
SSB의 시간 자원은 주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SSB의 시간 자원의 주기와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SSB의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정수 배수 또는 소수 배수일 수 있다.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SSB의 전송 주기는 상이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데이터의 커버리지 성능에 기반하여, 공통 정보 전송을 운반하기 위해 시간 자원을 적응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는 자원 활용 효율성을 보장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 불필요한 자원 오버헤드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SSB 전송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에너지 축적을 통해 SSB 전송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공통 정보 전송을 포함하는 제1 시간 자원의 경우, 공통 정보의 전송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SSB와 상이한 전송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2 설계 방식은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위에서 설명한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세 가지 설계 방식 및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세 가지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제2 설계 방식을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설계 방식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사용할 때, 시간 자원의 각 주기의 제2 설계 방식은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설계 방식과 동일하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제3 설계 방식과 조합하여 제2 설계 방식을 적용할 때, 제1 시간 자원은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되며, 이는 다음 이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SSB의 시간 자원의 주기는 동일하며, SSB가 나타나는 시간 자원은 제1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기에서, SSB의 시간 자원은 슬롯에 있는 M1번째 OFDM 심볼부터 M2번째 OFDM 심볼(M1번째 OFDM 심볼 및 M2번째 OFDM 심볼을 포함)까지의 시간 자원 범위에 대응한다. 이 경우, 제1 CORESET 0의 시간 자원은 슬롯에 있는 M3번째 OFDM 심볼 내지 M4번째 OFDM 심볼(M3번째 OFDM 심볼 및 M4번째 OFDM 심볼을 포함)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M3은 M1보다 작지 않으며, M4는 M2보다 크지 않다.
(2)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SSB의 시간 자원의 주기가 상이하고,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SSB의 시간 자원의 주기의 정수 배수이며, 제1 시간 자원은 제1 시간 자원이 SSB의 시간 자원과 중첩되는 시간 자원 상의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3) 또한, 선택적으로, 제1 시간 자원은 다르게는 다음을 충족할 수 있다: 제1 시간 자원의 주기와 SSB의 전송 주기가 상이하고,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SSB의 전송 주기의 소수 배수이며, 그리고 제1 시간 자원은 제1 시간 자원이 제2 시간 자원과 중첩되는 시간 자원 상의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SSB의 전송 주기는 10ms이고, 제1 시간 자원의 주기는 5ms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자원은 또한 중첩 자원 상의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 구현은 제1 시간 자원이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방식 (3)에서, 제1 시간 자원은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되거나, 제1 시간 자원의 일부가 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심볼을 셧다운할 확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공통 정보 전송 및 SSB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NR 반송파 주파수가 6GHz보다 큰 제1 시간 자원도 전술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자원의 주기, 공통 정보 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자원의 주기, 또는 제1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주기는 단말 디바이스의 디폴트 주기, 예를 들어 20ms일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실제로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는 5ms, 10ms, 20ms, 40ms 등이 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실제로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 중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제2 시간 자원의 주기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SSB의 전송 주기는 단말 디바이스의 디폴트 주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SSB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실제로 SSB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SB를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주기는 5ms, 10ms, 20ms, 40ms 등일 수 있고, 실제로 SSB를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주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주기 중 임의의 값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초기 BWP 결정 방법은 주파수 자원의 설계 방식, CORESET 0의 시간 자원의 설계 방식, 시간 자원의 주기 설계 방식의 3가지 측면에서 상술하였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설계 방식은 설계가 단순하고, 기존 제2 초기 BWP의 독창적인 설계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표준 설계의 복잡성을 줄여준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술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의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를 참조하여, 본 출원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아니면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 솔루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하드웨어 구조면에서, 도 3 내지 도 16의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물리적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복수의 물리적 디바이스에 의해 공동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하나의 물리적 디바이스 내의 논리적 기능 모듈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도 17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1701) 및 프로세서(1702)를 포함하고, 메모리(17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1)는 트랜시버와 같은 임의의 장치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702)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PLD는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일반 어레이 논리(generic array logic, GAL),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2)는 통신 라인(1704) 및 일반 처리를 담당하고, 타이밍,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전압 조정,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703)는 프로세서(1702)가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703)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정적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정보와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또는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콤팩트 디스크 저장소, 광 디스크 저장소(컴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을 포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면서 또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1703)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통신 라인(1704)을 통해 프로세서(1702)와 연결된다. 다르게는, 메모리(1703)는 프로세서(1702)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703) 및 프로세서(1702)가 상호 독립된 컴포넌트이면, 메모리(1703)는 프로세서(170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1703) 및 프로세서(1702)는 통신 라인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1)와 프로세서(1702)는 통신 라인을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1701)가 프로세서(170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라인(1704)은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bridge)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라인(1704)은 프로세서(1702)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02) 및 메모리(1703)로 표시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연결한다. 통신 라인(1704)은 추가로, 주변 디바이스, 전압 안정기, 및 전력 관리 회로와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이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출원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구성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고,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구성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과 중첩되지 않으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짐 - 구성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상이한 능력을 가지는 것은: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1 세트에 속하며, 제1 세트는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다.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동기 신호 블록(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고, 제2 주파수 오프셋은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1 구성 정보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2 주파수 오프셋과 동일하다.
특정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M개의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M은 양의 정수이고, M개의 인덱스 값과 제1 인덱스 값은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M개의 인덱스 값은 모두 제1 인덱스 값의 인덱스 값보다 작거나 같음 -; 그리고 M개의 인덱스 값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제2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제2 인덱스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고, 제1 인덱스 값 및 제2 인덱스 값은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함 -; 그리고 제2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에서,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 및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제1 세트에 포함될 수 있는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고,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다.
특정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되는 무선 프레임은 동기 신호 블록(SSB)을 전송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으며, 또는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할 수 없다.
특정 구현에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의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된다.
특정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추가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자원은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7 측면의 제8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2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시간 자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트랜시버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고, 처리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단말 디바이스의 저장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트랜시버 유닛(1810), 처리 유닛(1820) 및 저장 유닛(1830)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트랜시버,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또한 프로세서, 처리 보드, 처리 모듈, 처리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1810)에 있으면서 또한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가 수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고, 트랜시버 유닛(1810)에 있으면서 또한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가 송신 유닛으로 고려될 수 있다. 즉, 트랜시버 유닛(1810)는 수신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유닛은 때때로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트랜시버 회로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수신 유닛은 때때로 수신기 머신, 수신기, 수신 회로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송신 유닛은 때때로 송신기 머신, 송신기, 송신 회로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트랜시버 유닛(1810)은 도 3 내지 도 15의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측에서의 수신 작동 및 송신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820)은 도 3 내지 도 15의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측의 처리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유닛(1830)은 도 3 내지 도 15의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 측의 저장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때,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가 포함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다른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유선(예: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한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실시예의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에 지시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초기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BWP), 장치 및 저장 매체를 결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원리 및 구현은 특정 예를 사용하여 이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의 방법 및 핵심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이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아이디어에 기반하여 특정 구현 및 애플리케이션 범위의 측면에서 본 출원에 변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내용이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7)

  1. 초기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음 -; 및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1 세트에 속하며, 상기 제1 세트는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과 동일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M개의 인덱스 값을 결정하는 단계 -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및 상기 제1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M개의 인덱스 값은 모두 상기 제1 인덱스 값의 인덱스 값보다 작거나 같음 -; 및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인덱스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고, 상기 제1 인덱스 값 및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함 -; 및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 및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며,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은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되는 무선 프레임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음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시간 자원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임 -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14. 초기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결정하는 장치로서,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도록 -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음 - 구성된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에 기반하여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는 것은,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대역폭 능력을 가짐;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수량을 가짐 -; 또는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가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은 제1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제1 세트에 속하며, 상기 제1 세트는 제2 주파수 오프셋의 세트이고; 그리고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1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SSB의 주파수 자원에 대한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의 오프셋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초기 BWP의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이 상기 제2 주파수 오프셋과 동일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M개의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및 상기 제1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M개의 인덱스 값은 모두 상기 제1 인덱스 값의 인덱스 값보다 작거나 같음 -; 그리고
    상기 M개의 인덱스 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제2 인덱스 값을 결정하며 -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인덱스 값에 대해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값이고, 상기 제1 인덱스 값 및 상기 제2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함 -; 그리고
    상기 제2 인덱스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오프셋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 및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1 세트에 포함된 주파수 오프셋에 대응하며,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1 수량은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에 가장 가까운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이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제2 수량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의 CORESET 0에 대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수량인, 장치.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간 자원들이 위치되는 무선 프레임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제1 시간 자원이 위치된 슬롯은 상기 제2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동일한 SSB에 대응하는 제1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에서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에 분산되는, 방법.
  24.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제2 시간 자원에 포함되는, 장치.
  25.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유형 단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자원 세트 0(control resource set 0, CORESET 0)의 시간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동기 신호 블록(SSB)의 시간 자원에 포함되는,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자원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자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27.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27028594A 2020-01-22 2020-01-22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KR20220129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73794 WO2021146998A1 (zh) 2020-01-22 2020-01-22 一种确定初始带宽部分bwp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600A true KR20220129600A (ko) 2022-09-23

Family

ID=7699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594A KR20220129600A (ko) 2020-01-22 2020-01-22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61122A1 (ko)
EP (1) EP4087344A4 (ko)
JP (1) JP7407957B2 (ko)
KR (1) KR20220129600A (ko)
CN (1) CN114846881A (ko)
WO (1) WO2021146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472A1 (ko) * 2018-08-03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자원 블록 그리드에 관계 없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564221B2 (en) * 2020-02-12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COREST0 configuration and/or SS0 configuration for reduced capability UES
WO2021161622A1 (ja) 2020-02-13 2021-08-19 日本電気株式会社 Ranノード、無線端末、及びこれらのための方法
CN113271675B (zh) 2020-02-17 2023-03-2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传输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US11800495B2 (en) 2021-08-13 2023-10-24 Nokia Technologies Oy Power saving for reduced capability devices
CN115942338A (zh) * 2021-09-30 2023-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传输方法及装置
WO2024079796A1 (ja) * 2022-10-11 2024-04-1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9265B2 (en) * 2016-12-07 2021-04-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ntrol channel for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13499B1 (ko) * 2017-09-08 2022-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대역폭 구간(bwp) 설정들을 사용한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10785804B2 (en) * 2018-02-17 2020-09-22 Ofinno, Llc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information
PL3777392T3 (pl) * 2018-04-06 2022-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zełączanie części szerokości pasma
US11553478B2 (en) 2018-07-05 2023-01-10 Ntt Docomo, Inc.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CN110475361B (zh) * 2019-08-16 2022-06-1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接入资源的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07957B2 (ja) 2024-01-04
CN114846881A (zh) 2022-08-02
WO2021146998A1 (zh) 2021-07-29
JP2023511897A (ja) 2023-03-23
US20220361122A1 (en) 2022-11-10
EP4087344A4 (en) 2023-04-05
EP4087344A1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9600A (ko) 초기 대역폭 부분(bwp)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KR101926004B1 (ko) 직류 컴포넌트 부반송파 구성 방법 및 장치
US9986552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reduced interference
US20170019915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license assisted access (laa)
CN107534992B (zh) 上行链路数据发送方法和用户设备以及上行链路数据接收方法和基站
EP3342226B1 (en) Radio frame configuration
KR20190138656A (ko) 단일 반송파 광대역 동작을 위한 대역폭 부분 구성
US95598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ntrol signalling in an LTE network
AU2017316376A1 (en) Control channel bandwidth determination
EP2560436B1 (en) Method for efficiently updating secondary carrier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CN111432349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19004402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rb 그리드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8162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ccess via anchor carrier
KR20110090813A (ko) 확장 캐리어에서의 측정 수행 방법 및 장치
JP6987137B2 (ja) 信号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KR101520710B1 (ko)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핸드오버/스캐닝 트리거 방법
CN114080851A (zh) 在非许可频段中收发数据的方法和设备
US2022003907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2021241A1 (zh) 同步信号块的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394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230042274A1 (en) Enhancements for Reduced Capability New Radio Devices
US20230217373A1 (en) Uplink power control for dual connectivity
WO2023010450A1 (en) Enhancements for reduced capability new radio devices
CN116367186A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WO2024035644A1 (en) Dual uplink mode uplink transmitter swit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