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899A - 방열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열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1899A KR20210011899A KR1020200091940A KR20200091940A KR20210011899A KR 20210011899 A KR20210011899 A KR 20210011899A KR 1020200091940 A KR1020200091940 A KR 1020200091940A KR 20200091940 A KR20200091940 A KR 20200091940A KR 20210011899 A KR20210011899 A KR 202100118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onductive material
- thermally conductive
- mixture
- composite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63—Filling compound, e.g. potted res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2013/005—Thermal joints
- F28F2013/006—Heat conductiv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포된 복합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입자는, 필러, 및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의 표면에 코팅된 열전도 물질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의 표면들에 상기 무기 코팅층에 의해 코팅된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들이 서로 연결되어, 열 전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열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 바인더가 경화된 무기 코팅층에 의해 필러의 표면에 열전도 물질이 코팅된 방열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방열복합소재는 고분자, 세라믹 또는 금속 소재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의 소재를 사용하여 열을 전도할 수 있는 소재를 의미한다.
방열복합소재의 열전도는 어느 특정 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복합소재의 열전도성 물질에 의해 열이 전도되어 특정 장치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시키는 단계로 열전도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방열복합소재는 LED의 head lamp, 컴퓨터의 CUP 및 메인보드, 디스플레이, 휴대폰 베터리, 및 전기자동차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
활용 분야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방열 특성을 갖는 방열복합소재들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10-179767 에는 방열소재용 은-카본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그래파이트 분말과 은 분말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소정의 가스분위기하에 상기 혼합분말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은-카본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상기 그래파이트 분말을 마이크로파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그래파이트 분말은 박리되어 그래핀을 형성하며, 상기 그래핀은 상기 은 분말과 반응하여 상기 그래핀 표면에서 은 입자가 나노 입자로 성장한 구조의 은-카본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단계에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상기 혼합분말은 400 내지 1700 ℃의 온도로 자체 가열되어 은-카본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은-카본 나노 복합체의 열확산도는 140 내지 170mm2/S이고,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는 70 내지 140H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소재용 은-카본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열전도율이 향상된 방열복합소재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직방향으로 열도율이 개선된 방열복합소재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공정 비용이 절감된 방열복합소재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시간이 단축된 방열복합소재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량 생산이 용이한 방열복합소재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열복합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무기 바인더 및 필러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열전도 물질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무기 바인더가 경화된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의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이 코팅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입자 및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무기 바인더에 용매를 제공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상기 용매 및 상기 무기 바인더에 상기 필러를 제공하고 교반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열전도 물질을 열처리하여, 상기 열전도 물질 표면에 OH작용기를 생성하는 단계 및 OH작용기가 생성된 상기 열전도 물질을 상기 제1 혼합물에 제공하고 교반하여, 상기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도 물질은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되는 것을 포함하고, OH작용기가 생성된 상기 열전도 물질 및 상기 무기 코팅층이 화학결합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 바인더는 마그네슘 디알콕사이드,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 실리콘 트리메톡사이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콕사이드를 포함하는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 물유리(water glass), 실록산(siloxane), 또는 실라잔(silazane)등 열처리를 통해 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화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비극성 용매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열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열복합 소재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포된 복합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입자는, 필러, 및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의 표면에 코팅된 열전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매트릭스 내에, 상기 복합입자가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의 표면들에 상기 무기 코팅층에 의해 코팅된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들이 서로 연결되어, 열 전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러는 구리(Cu), 철(Fe), 은(Ag), 마그네슘(Mg), 니켈(Ni), 실리콘(Si),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의 금속 및 이 금속에서 유래한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도 물질은 질화 붕소계 물질인 무정형 BN(amorphous BN), h-BN, c-BN, 또는 BNNT(Boron nitride nanotubes), 혹은 그라파이트계 물질인 graphite, graphene 또는 CNT(Carbon Nanotube)이나, SiN, SiC, AlN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 코팅층은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산화 실리콘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고분자를 단독 또는 이종이상 블렌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열복합소재가 삽입된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소자는, 열을 발생하는 히트 제너레이션(heat generation), 열을 방출하는 히트 싱크(heat sink) 및 히트 제너레이션과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어 히트 제너레이션에 발생된 열을 히트 싱크로 전달하는 상술된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의 제조 방법은, 무기 바인더 및 필러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열전도 물질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무기 바인더가 경화된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의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이 코팅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입자 및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방열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의 표면에 코팅된 상기 열전도 물질에 의해, 상기 방열복합소재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열 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방열복합소재의 제조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도 물질의 표면에 OH작용기가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열전도 물질의 OH 작용기가 상기 무기 코팅층과 화학 결합하여, 상기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이 용이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코팅층, 상기 열전도 물질 및 상기 필러 간의 공극을 최소화 시켜, 열적 병목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코팅층 의해, 상기 무기 코팅층, 상기 열전도 물질 및 상기 필러가 상호 간 화학적결합 및 물리적결합을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기 복합입자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합입자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물질에 상기 복합입자을 제공하고 경화하여, 방열필름이 제조 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의 표면에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이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열 전달이 가능한 네트워크 형태의 열전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의 이방성 열전도 현상이 개선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 즉, 등방성으로 열전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방열 필름 내에,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과 상기 고분자 물질로 형성된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이 최소화되고,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이 직접적으로 접촉(directly contact)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열 필름의 열전도성 및 전기절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필름은 LED의 head lamp, 컴퓨터의 CUP 및 메인보드, 디스플레이, 휴대폰 베터리, 및 전기자동차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입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필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필름에 의한 열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실험 예 1 및 실험 예 2의 따른 복합입자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이다.
도 10은 실험 예 1 내지 실험 예 3에 따른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입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필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필름에 의한 열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실험 예 1 및 실험 예 2의 따른 복합입자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이다.
도 10은 실험 예 1 내지 실험 예 3에 따른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입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필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필름에 의한 열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기 바인더(102) 및 필러(106)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100)이 제조된다(S110).
상기 제1 혼합물(100)을 제조하는 단계는, 무기 바인더(102)에 용매(104)를 제공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상기 용매(104) 및 상기 무기 바인더(102)에 필러(106)를 제공하고 교반하여, 상기 제1 혼합물(10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바인더(102)는, 마그네슘 디알콕사이드,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 실리콘 트리메톡사이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콕사이드를 포함하는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 물유리(water glass), 실록산(siloxane), 또는 실라잔(silazane)등 열처리를 통해 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화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바인더(102)는 OH작용기를 포함하는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104)는 비극성 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104)는 톨루엔(toluene) 또는 자일렌(xylen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104)로 톨루엔 또는 자일렌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기 바인더(102)의 코팅 성능이 향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러(106)는, 산화 알루미늄(Al2O3)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리(Cu), 철(Fe), 은(Ag), 마그네슘(Mg), 니켈(Ni), 실리콘(Si),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의 금속 및 이 금속에서 유래한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필러(106)는, 산화 알루미늄 코어 및 산화 실리콘 쉘을 갖는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OH 작용기를 갖는 열 전도 물질(106)이, 상기 필러(106)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러(106)는 구형, 와이어, 로드, 또는 판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구형, 와이어, 로드, 또는 판상 등 다른 형태를 갖는 필러들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러(106)는 구형이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필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방열 필름 내에서 패킹(packing)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되는 열전도 물질에 의한 연속적인 열 전달 네트워크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혼합물(100)에 열전도 물질(106)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110)이 제조된다(S120).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열전도 물질(108)을 열처리하여, 상기 열전도 물질(108) 표면에 OH작용기를 생성하는 단계, 및 OH 작용기가 생성된 상기 열전도 물질(108)을 상기 제1 혼합물(100)에 제공하고 교반하여,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도 물질(108)을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하여, 상기 열전도 물질(108) 표면에 OH작용기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도 물질(108)의 열처리는 900℃에서 2시간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도 물질(108)은 질화 붕소계 물질인 h-BN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열전도 물질(180)은 무정형 BN(amorphous BN), c-BN, 또는 BNNT(Boron nitride nanotubes)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예와 달리, 예를 들어, 상기 열전도 물질(108)은 그래파이트계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graphite, graphene 또는 CNT(Carbon Nanotub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물질(108)인 h-BN는, 높은 열전도성 및 높은 전기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열전도 물질(108) 표면에 OH작용기가 없는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필러(106)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용이하게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전도 물질(108)에 의한 열전달 경로가 연속적인 네트워크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열전도 물질(108)을 포함하는 방열필름(123)의 열전도율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열처리하여 복합입자(118)가 제조된다(S130).
상기 복합입자(118)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열처리하여, 상기 무기 바인더(102)가 경화된 상기 무기 코팅층(116)에 의해 상기 필러(106)의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코팅된 상기 복합입자(118)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열처리하는 단계는, 열처리 전, 상기 제2 혼합물(110)을 건조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혼합물(110)을 건조하는 경우, 상기 무기 바인더(102)에 포함된 상기 용매(104)가 휘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혼합물(110)의 건조 온도는 6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된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열처리한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무기 바인더(102)가 경화되어 상기 무기 코팅층(11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혼합물(110)의 열처리 온도는 600℃ 내지 900℃일 수 있다.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OH작용기를 포함한 h-BN이고, 상기 무기 코팅층(116)이 OH작용기를 포함한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인 경우, 상기 무기 코팅층(116)의 OH작용기 및 상기 열전도 물질(108) 표면의 OH작용기가 탈수 반응하여, B-O-Si 형태의 화학결합이 형성되어 상기 필러(106) 표면에 상기 열전도(108) 물질이 용이하게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물질(108)에 의한 열전달 경로가 연속적인 네트워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 코팅층(116)에 의한 상기 열전도 물질(108) 및 상기 필러(106) 사이의 공극이 감소하여, 공극으로 인한 열적 병목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방열필름(123)의 열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다.
만약,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열전도 물질(108) 표면이 OH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열전도 물질(108) 및 상기 무기 코팅층(116)이 용이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러(106) 표면에 상기 열전도(108) 물질이 용이하게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물질(108)에 의한 열전달 경로가 연속적인 네트워크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결합되지 않은 상기 열전도 물질(108) 및 상기 무기 코팅층(116), 그리고 상기 필러(106)에 공극이 증가하여 공극으로 인한 열적 병목현상이 증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방열필름(123)의 열전도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입자(118)는, 상기 필러(106), 상기 무기 코팅층(116), 및 상기 열전도성 물질(1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무기 코팅층(116)에 의해 상기 필러(106)의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OH작용기를 포함한 h-BN이고, 상기 무기 코팅층(116)이 OH작용기를 포함한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인 경우, 상기 무기 코팅층(116)은 상기 열전도 물질(108)과 B-O-Si 형태의 화학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 물질(108), 상기 무기 코팅층(116) 및 상기 필러(106)는, 열처리로 인해 상호 간 화학적결합 및 물리적결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입자(118)의 구조가 안정적이며 기계적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무기 코팅층(116)은, 다른 예로,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살화 실리콘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합입자(118) 및 고분자 물질(120)을 혼합하여 방열복합소재(122)가 제조된다(S140).
상기 방열복합소재(122)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 물질(120)에 상기 복합입자(118)를 제공하고 교반하여, 상기 방열복합소재(122)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120)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고분자를 단독 또는 이종이상 블렌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물질(120)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물질(120)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열전도성을 가지는 고분자를 단독 또는 복합화 한 고분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필름(123)은 몰드(mold)에 상기 방열복합소재(122)를 제공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방열복합소재(122)의 기포를 제거하여, 열 경화 후, 상기 방열필름(123)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mold) 두께는 1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경화는 80℃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필름(123)은, 상기 고분자 물질(120)을 포함하는 매트릭스(124)에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118)들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118)에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108)들이 서로 연결되어, 열 전달 경로가 연속적인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필름(123)은 연속적인 네트워크 형태의 열 전달 경로를 통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방열필름(123)은 전자소자(130)에 적용되어 방열 기능을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소자(130)는 히트 제너레이션(126), 히트 싱크(128) 및 상기 방열필름(1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소자(130)는 상기 히트 제너레이션(126)과 상기 히트 싱크(128) 사이에 상기 방열필름(123)이 삽입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트 제너레이션(126)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필름(123)의 상기 열전도 물질(108)을 통해, 상기 히트 싱크(128)로 열전도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 물질(108)을 통해 전도된 열은, 상기 히트 싱크(128)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방열필름(123)이 상기 고분자 물질(120)을 포함하는 상기 매트릭스(124)에 상기 필러(106)가 생략되고,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108)들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 즉,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연속적인 열 전달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고, 이 경우,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이 낮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방열필름(123)의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은 공유결합 및 결정구조의 방향성으로 인해 이방성 열전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는 수직방향으로 원자간 분자간력(van der waals) 및 계면으로 포논(phonon) 산란이 발생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이 낮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106)를 생략하고,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필름(123)으로 제조한 경우, 수직방향으로 열전도율이 더 낮아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열필름(123)의 열전도율을 수직방향으로 높이기 위해,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 충진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 충진량이 특정수준 이상 넘어가면 오히려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 및 상기 매트릭스(124) 사이에 공극이 증가하여, 상기 방열필름(123)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열전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의 충진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발열필름(123)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106)를 생략하고,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필름(123)으로 제조한 경우,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이 서로 용이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아,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 사이에 상기 매트릭스(124)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 및 상기 매트릭스(124) 계면이 증가하여, 계면 간의 열저항 증가로 인해 상기 방열필름(123)의 열전도율이 더욱 더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방열필름(123)이 상기 고분자 물질(120)을 포함하는 상기 매트릭스(124)에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118)들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인 경우, 상기 방열필름(123)의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118)에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네트워크 구조의 열 전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필름(123)은 연속적인 네트워크 열 전달 경로를 통해, 열을 전도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열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h-BN인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은 수직방향으로 원자간 분자간력(van der waals) 및 계면으로 포논(phonon) 산란이 발생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이 낮을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118)에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이 연속적인 네트워크 열 전달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방열필름(123)의 열전도율이 수직방향으로 높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 연속적인 열 전달 네트워크를 형성한 경우,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 및 상기 매트릭스(124) 사이의 계면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계면 간의 열저항이 최소화되어, 상기 방열필름(123)의 열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방열필름(123) 내에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이 연속적인 열 전달 네트워크를 형성한 경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이 공유결합 및 결정구조의 방향성으로 갖는 이방성 열전도 현상을 개선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 즉, 등방성으로 상기 방열필름(123)의 열전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122)의 제조 방법은, 상기 무기 바인더(102) 및 상기 필러(106)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혼합물(10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100)에 상기 열전도 물질(108)을 혼합하여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열처리하여 상기 무기 바인더(102)가 경화된 상기 무기 코팅층(116)에 의해 상기 필러(106)의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코팅된 상기 복합입자(118)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입자(118) 및 상기 고분자 물질(120)을 혼합하여 상기 방열복합소재(122)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코팅층(116)에 의해 상기 필러(106)의 표면에 코팅된 상기 열전도 물질(108)에 의해, 상기 방열복합소재(122)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열 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방열복합소재(122)의 제조 공정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전도 물질(108)의 표면에 OH작용기가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열전도 물질(108)의 OH 작용기가 상기 무기 코팅층(116)과 화학 결합하여, 상기 무기 코팅층(116)에 의해 상기 필러(106)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용이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코팅층(116), 상기 열전도 물질(108) 및 상기 필러(106) 간의 공극을 최소화 시켜, 열적 병목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코팅층(116) 의해, 상기 무기 코팅층(116), 상기 열전도 물질(108) 및 상기 필러(106)가 상호 간 화학적결합 및 물리적결합을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기 복합입자(118)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합입자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물질(120)에 상기 복합입자(118)을 제공하고 경화하여, 상기 방열필름(123)이 제조 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118)의 표면에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108)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열 전달이 가능한 네트워크 형태의 열전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의 이방성 열전도 현상이 개선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 즉, 등방성으로 열전도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방열 필름(123) 내에,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과 상기 고분자 물질(120)로 형성된 상기 매트릭스(124) 사이의 계면이 최소화되고, 상기 열전도 물질(예를 들어, h-BN)이 직접적으로 접촉(directly contact)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열 필름(123)의 열전도성 및 전기절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필름(123)은 LED의 head lamp, 컴퓨터의 CUP 및 메인보드, 디스플레이, 휴대폰 베터리, 및 전기자동차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일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필러(106) 및 상기 무기 바인더(102)의 상기 제1 혼합물(100)을 열처리하여, 상기 필러(106)의 표면에 상기 무기 바인더(102)가 코팅된 제1 무기 코팅층이 형성되고, 이후, 도 1의 S110 단계에서 따라서 상기 제1 무기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필러(106)를 다시 상기 무기 바인더(102)와 혼합하여 상기 제1 혼합물(100)을 제조하고, 도 1의 S120 단계에서 따라서 상기 열 전도 물질(108)을 혼합하여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제조하고, 도 1의 S130 단계에서 따라서 상기 제2 혼합물(110)을 열처리하여, 상기 무기 바인더가 경화된 제2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제1 무기 코팅층의 표면에 상기 열 전도 물질(108)이 코팅된 제2 타입 복합 입자가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타입 복합 입자는, 상기 필러(106), 상기 필러(106)의 표면 상의 제1 무기 코팅층, 상기 제1 무기 코팅층 상에 상기 제2 무기 코팅층에 의해 코팅된 상기 열 전도 물질(10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복합 입자(118)를 제1 타입 복합 입자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타입 복합 입자는 상기 제1 타입 복합 입자와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으로 상기 방열 필름(123)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타입 복합 입자, 상기 제2 타입 복합 입자, 및 상기 고분자 물질(120)을 혼합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120)을 포함하는 상기 매트릭스(124) 내에 상기 제1 타입 복합 입자 및 상기 제2 타입 복합 입자가 분산된 방열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타입 복합 입자는, 상기 제1 무기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타입 복합 입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크기의 상기 필러(106)를 이용하여, 크기가 다른 상기 제1 타입 복합 입자 및 상기 제2 타입 복합 입자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제1 타입 복합 입자 및 상기 제2 타입 복합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 방열 필름이 제조되어, 상기 방열 필름 내, 복합 입자의 패킹율이 향상되어, 연속적인 열 전달 결로가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 상기 방열 필름의 열 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절약되고, 공정이 간소화된 방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열복합소재의 구체적인 실험 예 및 특성평가가 설명된다.
실험 예 1에 따른 방열복합소재 제조 방법
필러로 산화 알루미늄을 준비하고, 열전도 물질로 h-BN을 준비하고, 바인더로 소듐 실리케이트를 준비(15-30wt% 수용액)하고, 고분자 물질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준비하였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40vol%) 및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2vol%)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에 상기 h-BN(20vol%) 제공하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2혼합물을 60℃에서 건조한 후, 600℃ 내지 900℃로 열처리 하였다. 상기 폴리메틸실록산(38vol%)에 열처리 된 상기 제2 혼합물을 제공하고 5분간 교반하여,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열복합소재를 몰드(mold, 1mm)에 제공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포를 제거 한 후, 80℃에서 1 시간 경화하여, 방열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 예 2에 따른 방열복합소재 제조 방법
무기 바인더인 소듐 실리케이트 대신 유기 바인더인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2v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 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방열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 예 3에 따른 방열소재 제조 방법
필러로 산화 알루미늄을 준비하고, 열전도 물질로 h-BN을 준비하고, 고분자 물질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준비하였다. 소듐 실리케이트를 생략하고,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40vol%)에 상기 산화 알루미늄(40vol%) 및 상기 h-BN(20vol%)을 혼합하고 5분간 교반하여,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이후 실험 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방열필름을 제조하였다.
구분 | 필러 | 열전도성 물질 |
무기 바인더 | 유기 바인더 | 고분자 물질 |
산화 알루미늄 (vol%) |
h-BN (vol%) |
소듐실리케이트 (vol%) | (3-Glycidyloxypropyl) trimethoxysilane (vol%) |
폴리디메틸실록산 (vol%) |
|
실험 예 1 | 40 | 20 | 2 | - | 38 |
실험 예 2 | 40 | 20 | - | 2 | 38 |
실험 예 3 | 40 | 20 | - | - | 40 |
도 9는 실험 예 1 및 실험 예 2의 따른 복합입자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이다.
도 9 및 표1을 참조하면, 실험 예 1은 산화 알루미늄, h-BN 및 소듐 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입자 이고, 실험 예 2는 산화 알루미늄, h-BN 및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입자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 예 1에 따른 상기 복합입자가, 실험 예 2에 따른 상기 복합입자 보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더 용이하게 코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더 용이하게 코팅된 요인은, 열처리 과정에서 OH기를 포함하는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 즉, 무기 코팅층 및 OH기를 포함하는 상기 h-BN이 B-O-Si 형태의 화학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무기 코팅층, 상기 h-BN, 및 상기 산화 알루미늄 상호 간 화학적결합 및 물리적결합을 형성하여, 실험 예 2에 따른 상기 복합입자 보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더 용이하게 코팅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실험 예 1에 따른 상기 복합입자는, 실험 예 2에 따른 상기 복합입자 보다, 상기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더 용이하게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입자는, 상기 산화 알루미늄, 상기 무기 코팅층 및 상기 h-BN 사이에 공극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열적 병목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실험 예 1에 따른 상기 복합입자 내에 상기 h-BN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네트워크 형태의 열전달 경로를 구축한 경우, 상기 h-BN과 고분자를 포함하는 매트릭스의 계면 면적이 감소하고 계면 간 열전항이 감소하여,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예 1 에 따른 상기 복합입자에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방열필름 제조 시, 상기 h-BN이 연속적인 네트워크 형태의 열 전달 경로를 구축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실험 예 1 내지 실험 예 3에 따른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및 표 1을 참조하면, 실험 예 1 내지 실험 예 3은, 바인더의 사용 및 바인더 종류에 따른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을 비교할 수 있다. 실험 예 1 내지 실험 예 3은, 산화 알루미늄 및 h-BN을 각각, 40 vol% 및 20 vol%로 동일한 비율 사용하였지만, 실험 예 1의 경우, 무기 바인더로 소듐 실리케이트, 실험 예 2의 경우, 유기 바인더로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였고, 실험 예 3은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았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바인더 사용 유무에 대한 비교실험으로, 실험 예 1 및 실험 예 3을 비교하면,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험 예 1의 경우, 상기 방열필름 열전도율이 45%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실험 예 2 및 실험 예 3을 비교하면, 상기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를 사용한 실험 예 2의 경우,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30%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바인더를 사용한 경우,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높은 요인은, 바인더에 의해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코팅되고, 상기 h-BN이 네트워크 형태의 열전달 경로를 구축하여, 실험 예 1 및 실험 예 2의 경우,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낮아 상기 h-BN의 충진량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h-BN을 더 첨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h-BN의 충진량이 특성수준 이상 넘어가게 되면, 상기 방열필름 내에 상기 h-BN 및 고분자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사이에 공극이 증가하여, 열적병목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h-BN은 단가가 높아, 충진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방열필름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한 충진량의 상기 h-BN이 효율적인 열 전달 경로 즉, 상기 h-BN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형태의 열 전달 경로를 갖는 구조를 통해, 상기 h-BN을 더 첨가하지 않아도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방열필름의 제조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율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바인더 종류에 대한 비교실험으로, 실험 예 1 및 실험 예 2를 비교하면,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험 예 1의 경우가, 상기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한 실험 예 2의 경우보다,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15%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를 사용한 실험 예 2 경우,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더 낮은 요인은, 유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결합 및 코팅되어, 상기 h-BN이 네트워크 형태의 열 전달 경로를 구축하지만, 실험 예 1의 상기 방열필름보다, 다수의 공극이 존재하여 열적 병목 현상이 나타나고, 상기 h-BN과 상기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이 더 많이 존재하여 계면 간 열저항이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는 계면에서 포논(phonon) 산란 문제로 인해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더 낮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험 예 1의 경우,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 즉, 상기 무기 코팅층에 의해 OH 작용기를 포함하는 상기 h-BN 및 OH 작용기를 포함하는 상기 무기 코팅층이 탈수 반응하여 B-O-Si 형태의 화학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화 알루미늄, 상기 h-BN, 및 상기 무기 코팅층 상호관 화학적결합 및 물리적결합을 통하여, 앞서 설명한 도 9과 같이, 실험 예 2의 경우 보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더 용이하게 코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험 예 2의 상기 방열필름보다, 공극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열적 병목 현상 없고, 상기 h-BN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h-bN 및 상기 매트릭스 계면 간의 열저항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험 예 1의 경우,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이 더 높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소듐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실험 예 1이, 상기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를 사용한 실험 예2 보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 표면에 상기 h-BN이 더 용이하게 코팅되고 연속적인 열 전달 네크워크 경로를 구축하여, 상기 방열필름의 열전도율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혼합물
102: 무기 바인더
104: 용매 106: 필러
108: 열전도 물질 110: 제2 혼합물
116: 무기 코팅층 118: 복합입자
120: 고분자 물질 122: 방열복합소재
123: 방열필름 124: 매트릭스
126: 히트 제너레이션 128: 히트 싱크
130: 전자소자
104: 용매 106: 필러
108: 열전도 물질 110: 제2 혼합물
116: 무기 코팅층 118: 복합입자
120: 고분자 물질 122: 방열복합소재
123: 방열필름 124: 매트릭스
126: 히트 제너레이션 128: 히트 싱크
130: 전자소자
Claims (13)
- 무기 바인더 및 필러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열전도 물질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무기 바인더가 경화된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의 표면에 상기 열전도 물질이 코팅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입자 및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방열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무기 바인더에 용매를 제공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상기 용매 및 상기 무기 바인더에 상기 필러를 제공하고 교반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열전도 물질을 열처리하여, 상기 열전도 물질 표면에 OH작용기를 생성하는 단계; 및
OH작용기가 생성된 상기 열전도 물질을 상기 제1 혼합물에 제공하고 교반하여, 상기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물질은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되는 것을 포함하고,
OH작용기가 생성된 상기 열전도 물질 및 상기 무기 코팅층이 화학결합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바인더는 마그네슘 디알콕사이드, 알루미늄 트리에톡사이드, 실리콘 트리메톡사이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콕사이드를 포함하는 금속 알콕사이드(metal alkoxide), 물유리(water glass), 실록산(siloxane), 또는 실라잔(silazane)등 열처리를 통해 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화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의 제조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비극성 용매인 것을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의 제조방법.
-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포된 복합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입자는, 필러, 및 무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필러의 표면에 코팅된 열전도 물질을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내에, 상기 복합입자가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복합입자의 표면들에 상기 무기 코팅층에 의해 코팅된 복수의 상기 열전도 물질들이 서로 연결되어, 열 전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구리(Cu), 철(Fe), 은(Ag), 마그네슘(Mg), 니켈(Ni), 실리콘(Si), 알루미늄(Al), 텅스텐(W) 등의 금속 및 이 금속에서 유래한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물질은 질화 붕소계 물질인 무정형 BN(amorphous BN), h-BN, c-BN, 또는 BNNT(Boron nitride nanotubes), 혹은 그라파이트계 물질인 graphite, graphene 또는 CNT(Carbon Nanotube)이나, SiN, SiC, AlN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산화 실리콘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방열복합소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고분자를 단독 또는 이종이상 블렌딩하여 사용하는 방열복합소재.
- 열을 발생하는 히트 제너레이션(heat generation);
열을 방출하는 히트 싱크(heat sink); 및
히트 제너레이션과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어 히트 제너레이션에 발생된 열을 히트 싱크로 전달하는 제 7항에 따른 방열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778 | 2019-07-23 | ||
KR20190088778 | 2019-07-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899A true KR20210011899A (ko) | 2021-02-02 |
KR102384105B1 KR102384105B1 (ko) | 2022-04-07 |
Family
ID=7419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1940A KR102384105B1 (ko) | 2019-07-23 | 2020-07-23 | 방열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098463A1 (ko) |
KR (1) | KR102384105B1 (ko) |
WO (1) | WO202101558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006A (ko) * | 2021-12-02 | 2023-06-09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분말혼합방식을 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저유전 고방열 필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49009A (zh) * | 2021-05-08 | 2021-08-13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湖州供电公司 | 一种母排用高效散热绝缘涂层及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10496A1 (en) * | 2000-07-28 | 2002-02-07 | Rex Roto Technologies, Inc. | Compositions of crystal made from glp-1-derived peptide analogs |
KR20090077805A (ko) * | 2006-09-28 | 2009-07-15 | 지멘스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 전기 절연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 및 성능의 나노 및 메조 쉘―코어 제어 |
KR20170046570A (ko) * | 2015-10-21 | 2017-05-02 | 주식회사 테토스 | 열전도성 입자, 상기 열전도성 입자를 포함한 열전도성 복합재, 상기 열전도성 복합재를 포함한 열전도성 접착 필름 및 상기 열전도성 복합재를 포함한 기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7001B1 (ko) * | 2010-08-20 | 2013-02-25 | 동현전자 주식회사 | 코어-쉘 타입의 필러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 및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
KR101980216B1 (ko) * | 2011-11-15 | 2019-05-20 | 덴카 주식회사 | 복합 입자, 그 제조 방법, 이차전지용 전극재료 및 이차전지 |
JP2013136658A (ja) * | 2011-12-28 | 2013-07-11 | Nippon Sheet Glass Co Ltd | 熱伝導性フィラー |
JP2016192474A (ja) * | 2015-03-31 | 2016-11-10 |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 造粒粉、放熱用樹脂組成物、放熱シート、放熱部材、および半導体装置 |
DE102016211948A1 (de) * | 2016-06-30 | 2018-01-04 | HÜTTENES-ALBERTUS Chemische Werk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Kern-Hülle-Partikel zur Verwendung als Füllstoff für Speisermassen |
CN109988409B (zh) * | 2017-12-29 | 2021-10-19 |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氮化硼团聚体、包含其的热固性树脂组合物及其用途 |
-
2020
- 2020-07-23 WO PCT/KR2020/009743 patent/WO202101558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7-23 KR KR1020200091940A patent/KR1023841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2-08 US US17/643,307 patent/US20220098463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10496A1 (en) * | 2000-07-28 | 2002-02-07 | Rex Roto Technologies, Inc. | Compositions of crystal made from glp-1-derived peptide analogs |
KR20090077805A (ko) * | 2006-09-28 | 2009-07-15 | 지멘스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 전기 절연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 및 성능의 나노 및 메조 쉘―코어 제어 |
KR20170046570A (ko) * | 2015-10-21 | 2017-05-02 | 주식회사 테토스 | 열전도성 입자, 상기 열전도성 입자를 포함한 열전도성 복합재, 상기 열전도성 복합재를 포함한 열전도성 접착 필름 및 상기 열전도성 복합재를 포함한 기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3006A (ko) * | 2021-12-02 | 2023-06-09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분말혼합방식을 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저유전 고방열 필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098463A1 (en) | 2022-03-31 |
KR102384105B1 (ko) | 2022-04-07 |
WO2021015580A1 (ko) | 2021-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a et al. | Strategies for enhancing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based thermal interface materials: A review | |
Zhao et al. | Synergistic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 composites with boron nitride nanosheets and microspheres | |
TWI718560B (zh) | 六方晶氮化硼粉末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其之組成物及散熱材料 | |
JP6351585B2 (ja) | 樹脂含浸窒化ホウ素焼結体およびその用途 | |
CN107434905B (zh) | 导热聚合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WO2017143625A1 (zh) | 一种高导热复合材料和由该材料制成的导热片及其制备方法 | |
Choi et al. | Synthesis of silica-coated graphite by enoliz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and its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polymer composites | |
TW201927689A (zh) | 六方晶氮化硼粉末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其之組成物及散熱材 | |
Yoon et al. | Review on three-dimensional ceramic filler networking composites for thermal conductive applications | |
TWI833828B (zh) | 氮化硼奈米材料及樹脂組成物 | |
JP2002088171A (ja) | 熱伝導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放熱装置 | |
JP6262522B2 (ja) | 樹脂含浸窒化ホウ素焼結体およびその用途 | |
JP2003060134A (ja) | 熱伝導性シート | |
US20220098463A1 (en) | Thermal dissipation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10127461A1 (en) |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m | |
JP2003112915A (ja) | 黒鉛化炭素粉末及び熱伝導性複合材料組成物 | |
CN106543728A (zh) | 一种石墨烯有机硅橡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416910B1 (ko) |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9337291B (zh) | 一种表面改性石墨烯-氮化碳-环氧树脂的热界面材料及其制备方法 | |
Permal et al. | Enhanced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filled with hybrid filler system of aluminium nitride and boron nitride | |
Wu et al. | Novel in-situ constructing approach for vertically aligned AlN skeleton and its thermal conductivity enhancement effect on epoxy | |
Mun et al. | Preparation of h‐BN microspheres for nanocomposites with high through‐plane thermal conductivity | |
Wang et al. | Thermally conductive electrically insulating polymer nanocomposites | |
KR20210084007A (ko) | 코어-쉘 혼성구조의 방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체 | |
WO2022054478A1 (ja) | 熱伝導性シート及び熱伝導性シ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