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852A - 가변형 차선규제봉 - Google Patents

가변형 차선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852A
KR20210011852A KR1020190089243A KR20190089243A KR20210011852A KR 20210011852 A KR20210011852 A KR 20210011852A KR 1020190089243 A KR1020190089243 A KR 1020190089243A KR 20190089243 A KR20190089243 A KR 20190089243A KR 20210011852 A KR20210011852 A KR 2021001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height
cylinder
driving uni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국
성준용
성창현
송승현
서영재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9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852A/ko
Publication of KR2021001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소 차선을 규제하며, 상황발생 시 긴급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높이가 낮아지는 가변형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 형상의 지지봉(1); 상기 지지봉 상단과 결합되며, 바닥면에 매립되는 구동부(2); 상기 지지봉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발광장치(3); 및 상기 지지봉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RFID를 이용하고, 원거리에서 제어장치를 통해 지지봉의 높이 조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21),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회전모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장치(23) 또는 공압장치(2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장치는, 유연성이 있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RFID는 고주파형 및 능동형 태그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차선규제봉{variable type Road line delineator}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 등에 설치되어 차선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선규제봉은 평소 차선을 규제하며, 상황발생 시 긴급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높이가 낮아지는 가변형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중앙선 침범사고는 불법추월, 과속 및 졸음운전 등 운전자의 부주의와 중앙분리대의 교통안전시설 부족과 시설의 부실에 기인한다.
또한, 야간의 교통사고는 도로의 조명이 적절하지 못한 채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사고는 시선유도의 부재로 인하여 주로 발생한다.
그리고,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는 야간이 되면 실종되는 도로차선으로 인해 운전자들은 불편과 위험을 겪고있으며, 특히 비오는 날 등의 악천후 시에는 아예 도로주행 시 가시거리의 확보가 매우 힘들어 대형 교통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는 차로나 중앙선 등 노면차선의 재귀반사기능이 재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야간 조명이 없는 곳에서도 차선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도로에 반사재를 사용해야한다는 경찰청의 "도로안전시설 실무편람" 규정상에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운전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차선이 일정한 기준의 재귀반사 명시도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차선이나 중앙선 등 노면 표시에 이 기준이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시인성 저하를 보완할 목적으로 도로에는 차선표지병과 차선규제봉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차선규제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인근 차선으로부터의 합류를 방지하는 교통 안전시설물이며,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횡단보도의 표시, 보도와 차도의 분리표시, 안전지대의 표시, 버스전용차선의 표시 등 각종 경계를 표시하거나 과속으로 인한 급커브 길에서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리고, 차선규제봉은 도로상에 설치되어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며,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중앙선이나 기타 차선에 자동차의 진행이나 진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선규제봉은 U턴, 버스전용차선 등 급히 차선을 변경해야할 시 높이가 고정되어있으므로, 긴급 상황발생 시 소방차, 구급차 등 긴급차량의 움직임을 오히려 제한시켜 골든타임 확보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긴급 상황발생 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긴급 차량이 차선규제봉 위로 지나갈 수 있는 가변형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 형상의 지지봉(1); 상기 지지봉 상단과 결합되며, 바닥면에 매립되는 구동부(2); 상기 지지봉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발광장치(3); 및 상기 지지봉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RFID를 이용하고, 원거리에서 제어장치를 통해 지지봉의 높이 조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21),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회전모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장치(23) 또는 공압장치(2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장치는, 유연성이 있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RFID는 고주파형 및 능동형 태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된 가변형 차선규제봉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긴급 상황발생 또는 제어장치에 의해 높이 조절이 되어 차량 등이 지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야간, 흐린 날씨 등 가시거리 확보가 힘들 경우, 발광장치를 구비하여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소방차, 구급차, 경찰 등 차량 사용자 및 타 장소에서도 손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차선규제봉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차선규제봉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차선규제봉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차선규제봉에 관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 (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가변형 차선규제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 형상의 지지봉(1); 상기 지지봉 상단과 결합되며, 바닥면에 매립되는 구동부(2); 상기 지지봉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발광장치(3); 및 상기 지지봉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4)는 RFID(41)를 이용하고, 원거리에서 제어장치를 통해 지지봉의 높이 조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봉(1)의 스프링 형상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도 3의 형상처럼 지지봉(1)의 높이가 낮아졌을 때, 지지봉(1)의 상단 부분이 하단 부분과 겹치지 않고 바닥면에 평행하게 부착될 수 있다.
지지봉(1)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원기둥, 직사각형 등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고, 상단 부분은 하단 부분 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1)의 재질은, 차량 등이 밟고 지나갈 시 복원력 및 탄성력이 뛰어난 소재로 구성되거나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하지 않을만큼의 강성을 지닌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여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2)는 차량 등 외력에 의해 파손될 수 있으므로, 바닥면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성을 지닌 케이스를 구비하여 그 내에 구동부(2)를 구비하여 바닥면 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가 긴급차량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높이가 낮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21),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회전모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모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는 토크를 증가시켜 실린더 및 지지봉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회전모터 및 감속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기어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터로는 DC모터, AC모터, 브러쉬모터, 브러쉬리스모터 등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부(2)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장치(23) 또는 공압장치(2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장치는 실린더에 유압을 가하여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장치로서, 유압을 생성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압장치는 실린더에 공압을 가하여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장치로서,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컴프레셔,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장치는, 유연성이 있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발광장치는, 지지봉(1)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지지봉(1)의 재질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발광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폐유리 가루, 불소 수지, 유기 용제, 분산제, 나노이산화티타늄 및 발광 재료 분말 등을 포함하는 분말 재료로 이루어진 발광 도료를 지지봉(1)에 직접 도포할 수 있다.
아울러, 야간이나 우천 시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휘도의 반사 시트를 추가로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 도료는, 폐유리 분말 6~18중량%, 불소 수지 5~20중량%, 유기 용제 15~25중량%, 분산제 0.1~4중량%, 나노이산화티타늄 0.1~4중량%, 발광 재료 분말 3~30중량%를 포함하는 분말 재료 20~40중량%, 막 형성 물질 15~25중량%, 백색 충전제 8~20중량% 및 보조제 0.1~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발광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광 출력부재, 발광부, 유도 반사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 출력부재는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1)의 상단 부분에 투명하게 형상이 동일한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1)과 광 출력부재는 투칼라 열 접착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봉(1)과 광 출력부재가 동일한 TPU 재질을 가짐으로 상기 지지봉(1)과 광 출력부재의 우수한 결합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강하고 탄성이 우수하여 충격에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TPU 재질의 특성상 상기 지지봉(1) 및 광 출력부재의 우수한 내충격성을 기대할 수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광 출력부재는 상기 지지봉(1)과 접착제를 통해 견고히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1)과 우수한 결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강하고 탄성이 우수하여 충격에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제작되어 외부의 충격에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견딜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지지봉(1)의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봉(1)은 투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광하여 광원을 출력한다.
상기 발광부는 저용량의 전원으로 고휘도의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종류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도 반사필름은 상기 광 출력부재를 제외한 상기 지지봉(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광원을 반사시켜 상기 광 출력부재를 통해외부로 출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지지봉(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광원이 상기 유도 반사필름에 반사 안내되어 용이하게 상기 광 출력부재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게 한다.
따라서, 출력되는 광원이 효율적으로 상기 광 출력부재에 집중되어 외부로 출력되어 우수한 광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RFID는 고주파형 및 능동형 태그로 구성될 수 있다.
고주파형(HF)은 간섭이 거의 없거나 더 큰 태그 폼팩터와 관련된 양호환 환경에서 판독 범위가 더 길어질 수 있으며, 높은 데이터 속도와 충돌방지 시스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능동형은 배터리를 사용하며, 수동형 태그에 비해 정확도가 높고 인식거리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소방차, 경찰차, 구급차 등 긴급차량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RFID를 통해 원격으로 작동되며, 제어장치를 통해 구동부를 작동시켜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통제실 즉, 도로에 설치되는 CCTV를 통해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장소에서도 원격으로 제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 : 지지봉
2 : 구동부
21 : 실린더
22 : 회전모터
23 : 유압장치
24 : 공압장치
3 : 발광장치
4 : 제어장치
41 : RFID

Claims (5)

  1.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 형상의 지지봉;
    상기 지지봉 상단과 결합되며, 바닥면에 매립되는 구동부;
    상기 지지봉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발광장치; 및
    상기 지지봉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RFID를 이용하고, 원거리에서 제어장치를 통해 지지봉의 높이 조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며, 지지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유연성이 있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는 고주파형 및 능동형 태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차선규제봉.
KR1020190089243A 2019-07-23 2019-07-23 가변형 차선규제봉 KR20210011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43A KR20210011852A (ko) 2019-07-23 2019-07-23 가변형 차선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43A KR20210011852A (ko) 2019-07-23 2019-07-23 가변형 차선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52A true KR20210011852A (ko) 2021-02-02

Family

ID=7455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43A KR20210011852A (ko) 2019-07-23 2019-07-23 가변형 차선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1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782B1 (ko) 도로경계석
PL1779353T3 (pl) Zintegrowany system bezpieczeństwa ruchu, szczególnie w warunkach niskiej widoczności i sposób jego stosowania
JP2012062718A (ja) 有機el照明を用いた横断歩道
US7699507B2 (en) Device and method of optically signalling road or traffic lanes, specifically in low visibility conditions
KR20230074464A (ko) 복합기능이 구비되는 볼라드
KR101293435B1 (ko) 도로표지병
KR20210011852A (ko) 가변형 차선규제봉
US7423552B2 (en) “Warning Bump” traffic safety device
EP1012400A1 (en) Active light emitting road marking system
KR100966326B1 (ko) 횡단보도용 도로 상판 유니트
KR101330836B1 (ko) 시선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시선유도장치
WO2013117887A1 (en) A stud and safety system
KR20130045959A (ko) 도로의 정지신호장치
KR101745944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발광 지팡이
CN207405517U (zh) 一种交通指示牌
JP4235016B2 (ja) 再帰反射体
KR102488592B1 (ko) 보행자 및 야생동물의 도로횡단시 운전자와 보행자 쌍방이 위험을 인식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안전시스템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CN215164865U (zh) 一种地面交通标线发光指示装置
KR20200055219A (ko) Led를 이용한 도로 매립형 차량 정지선 장치 및 시스템
CN213952027U (zh) 一种市政道路阻车桩
US11859356B2 (en) Temporary light strip system
KR102651234B1 (ko) 운전자 과속 및 신호위반 예방을 위한 신호 알림 시스템
KR102597716B1 (ko)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US20230162600A1 (en) Lighted traffic contro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