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386A -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386A
KR20210011386A KR1020207033993A KR20207033993A KR20210011386A KR 20210011386 A KR20210011386 A KR 20210011386A KR 1020207033993 A KR1020207033993 A KR 1020207033993A KR 20207033993 A KR20207033993 A KR 20207033993A KR 20210011386 A KR20210011386 A KR 2021001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ainer
valve device
valve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 모치즈키
아쓰코 다카하기
리키야 야마시타
미호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20Reformation or processes for removal of impurities, e.g. scaven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18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against thermal overloads, e.g.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01M50/333Spring-loaded vent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2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with means for neutralising or absorbing electrolyte;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electrolyte through vent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2Vents or other means allowing expa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지는, 전지 소자와 수용체와 밸브 장치를 구비한다. 수용체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지 소자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내부 공간을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수용 부분과, 내부 공간을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과 반대의 제2 측으로부터 덮는 제2 수용 부분을 포함한다. 밸브 장치는, 수용체에 장착되고, 수용체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과 연통 가능하다. 수용체에는, 제1 수용 부분과 제2 수용 부분이 각각의 주변부를 따라 융착됨으로써, 주변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 접합부에 있어서 제1 수용 부분과 제2 수용 부분 사이에 끼어 있다. 제1 수용 부분은,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주변 접합부보다 제1 측에 팽출한 팽출부를 가진다.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팽출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지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지 소자를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구성된 수용체에 수용한 전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수용체는, 그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형의 실링부와, 실링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실링부로부터 팽출한 팽출부를 가지고, 팽출부의 내부에 전지 소자가 배치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전지에서는, 실링부에, 다른 부위보다 박리하기 쉬운 개소(이하, 이(易)박리부라고 함)가 형성되어 있다. 이박리부는, 수용체 내에 있어서 가스가 발생하고, 수용체 내의 압력이 상승한 경우에 우선적으로 박리하고, 이박리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가스 제거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가스를 안전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전지 소자를 파우치형의 수용체에 수용한 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파우치형의 수용체에는, 그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에, 밸브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0-15384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6-31934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이박리부에 의해 수용체 내의 가스 제거를 행하는 경우, 가스 제거를 행하는 압력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와 같이, 밸브 장치를 장착해 두면, 가스 제거를 행하는 압력의 제어는 비교적 용이하게 되지만, 실링부에 장착된 밸브 장치는, 수용체 내에 배치되는 전지 소자를 상처입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밸브 장치에 의해 가스 제거를 행하는 압력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면서, 밸브 장치가 전지 소자를 상처입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는 전지는 전지 소자와, 수용체와, 밸브 장치를 구비한다. 수용체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지 소자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내부 공간을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수용 부분과, 내부 공간을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과 반대의 제2 측으로부터 덮는 제2 수용 부분을 포함한다. 밸브 장치는 수용체에 장착되고, 수용체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과 연통(連通) 가능하다. 수용체에는, 제1 수용 부분과 제2 수용 부분이 각각의 주변부를 따라 융착됨으로써, 주변 접합부(peripheral edge bonded part)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 접합부에 있어서 제1 수용 부분과 제2 수용 부분 사이에 끼어 있다. 제1 수용 부분은,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주변 접합부보다 전지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에 팽출한 팽출부를 가진다. 밸브 장치의 내측 단(端)은, 팽출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적어도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까지 도달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는, 밸브 장치의 근방에 위치하고, 밸브 장치와 교차하는 제1 라인과,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라인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는 제2 라인 및 제3 라인을 포함하고, 제1 라인은, 제2 라인 및 제3 라인보다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밸브 장치는, 수용체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수용체의 외부 공간에 배출하는 밸브 기구(機構)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수용체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밸브 기구로 유도하는 통기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주변 접합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통기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제1 부분의 외형은, 제2 부분의 외형으로부터 전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어져나와 있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보다, 통기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단면적이 커져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적층체는, 적어도, 기재층(基材層), 배리어층 및 열융착성(熱融着性) 수지층을 이 순서로 가지고, 제1 수용 부분과 제2 수용 부분은, 열융착성 수지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밸브 장치는, 수용체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수용체의 외부 공간에 배출하는 밸브 기구와, 밸브 기구가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고,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적어도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까지 도달하고 있고, 하우징의 내측 단부에는, 밸브 기구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수용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1 수용 부분의 열융착성 수지층과 제2 수용 부분의 열융착성 수지층 사이에 끼어 있는 부분의 외주와, 열융착성 수지층 사이에는, 해당 끼어 있는 부분 및 열융착성 수지층의 양쪽에 접착하도록 구성된 접착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열융착성 수지층과 접착 가능한 접착성 부재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1 수용 부분의 열융착성 수지층과 제2 수용 부분의 열융착성 수지층 사이에 끼어 있는 부분의 외주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상기 끼어 있는 부분의 재료에 관계없이, 수용체와 밸브 장치의 접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25℃ 환경에 있어서, JIS Z2331:2006「헬륨 누출 시험 방법」의 「진공 분사법(스프레이법)」에 규정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밸브 장치의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의 헬륨 누출량이 5.0×10-11Pa·m3/sec 이상, 5.0×10-6Pa·m3/sec 이하라도 된다.
이 전지에 의하면, 수용체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가스를 적절하게 수용체의 외부에 방출할 수 있고, 또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수용체의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지에 있어서, 수용체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가 밸브 장치를 통하여 수용체의 외부에 방출된 후에서의 수용체의 두께 방향의 최대 변형률은 30% 미만이어도 된다.
이 전지에 의하면, 적절한 타이밍에서 밸브 장치를 통하여 가스가 방출되므로, 밸브 장치를 통하여 수용체의 외부에 가스가 방출된 후에 수용체에 큰 주름이 형성되는 사태나 수용체의 형상이 크게 변형되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에 의하면, 수용체의 주변 접합부에 밸브 장치가 장착되므로, 가스 제거를 행하는 압력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용체는, 주변 접합부로부터 팽출하는 팽출부를 가지고,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수용체의 팽출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즉, 밸브 장치는 팽출부의 내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밸브 장치가 팽출부 내의 전지 소자를 상처입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2] 도 1의 II-II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 수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4b] 다른 예에서의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 포장 재료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실시형태 1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 도 6의 VI-VI 단면도이다.
[도 8]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9] 도 1의 VIII-VIII 단면도이며, 밸브 장치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원내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10b] 다른 예에서의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원내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11] 전지의 제조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2] 플랜지부와 포장 재료 사이에 밸브 장치를 탑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실시형태 2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 도 13의 XII-XII 단면도이다.
[도 15] 실시형태 3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 도 15의 XIV-XIV 단면도이다.
[도 17] 실시형태 4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8] 도 17의 XVI-XVI 단면도이다.
[도 19] 실시형태 5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 실시형태 6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1] 도 20의 XIX-XIX 단면도이다.
[도 22] 실시형태 7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 도 22의 XXI-XXI 단면도이다.
[도 24] 밸브 장치의 수용체로의 장착 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변형예 1에서의 밸브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변형예 2에서의 밸브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변형예 3에서의 밸브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변형예 4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9] 도 28의 XXVII-XXVII 단면도이다.
[도 30] 변형예 5에서의 포장 재료의 평면도이다.
[도 31] 도 30의 XXIX-XXIX 단면도이다.
[도 32] 다른 변형예에서의 밸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3] 도 32의 XXXIII-XXXIII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1. 실시형태 1]
<1-1. 전지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전지(10)는, 탭(300)의 양극과 음극이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전지를 다수 직렬 접속하여 고전압에서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전동 차량용에 배려한 형태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지(10)는 수용체(100)와, 전지 소자(400)와, 탭(300)과, 탭 필름(310)과, 밸브 장치(200)를 포함하고 있다.
수용체(100)는 포장 재료(110, 120)를 포함하고 있다. 수용체(100)의 주변부에 있어서는, 포장 재료(110, 120)가 히트 실링되고, 주변 접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주변 접합부(130)에 있어서는, 포장 재료(110, 120)가 서로 융착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주변 접합부(130)는, 히트 실링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초음파 실링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어쨌든, 주변 접합부(130)란, 포장 재료(110, 120)가 융착되고, 일체화하고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포장 재료(110, 120)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지 소자(400)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이차전지)나 커패시터 등의 축전 부재이다. 전지 소자(400)는, 수용체(100)의 내부 공간 S1에 수용되어 있다. 전지 소자(400)에 이상(異常)이 생기면, 수용체(100) 내에 있어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지 소자(400)가 커패시터인 경우에는, 커패시터에서의 화학 반응에 기인하여 수용체(100) 내에 있어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탭(300)은, 전지 소자(400)에서의 전력의 입출력에 사용되는 금속 단자이다. 탭(300)의 한쪽의 단부는 전지 소자(400)의 전극(양극 또는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다른 쪽의 단부는 수용체(100)의 끝에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탭(300)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니켈, 구리 등이다. 예를 들면, 전지 소자(400)가 리튬 이온 전지인 경우, 양극에 접속되는 탭(300)은, 통상 알루미늄 등에 의해 구성되며, 음극에 접속되는 탭(300)은, 통상 구리, 니켈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전지(10)에 있어서는, 2개의 탭(300)이 포함되어 있다. 한쪽의 탭(300)은, 수용체(100)의 주변 접합부(130) 중 화살표 L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탭 필름(310)을 통하여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 있다. 다른 쪽의 탭(300)은, 수용체(100)의 주변 접합부(130) 중 화살표 R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탭 필름(310)을 통하여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 있다.
탭 필름(310)은 접착성 보호 필름이며, 포장 재료(110, 120) 및 탭(300)(금속)의 양쪽과 접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탭 필름(310)을 통함으로써, 금속제의 탭(300)을 포장 재료(110, 120)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탭 필름(310)은 특히 고전압에서 이용하는 경우, 내열층 혹은 내열 성분을 포함하고, 단락(短絡) 방지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장치(200)는, 수용체(100) 내의 압력에 따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를 전환한다. 밸브 장치(200)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수용체(100)의 내부 공간 S1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부재이다. 밸브 장치(200)는, 수용체(100) 내에서 발생한 가스에 기인하여 수용체(100)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수용체(100) 내의 가스를 외부에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밸브 장치(200)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수용체(100)의 내부 공간 S1을 외부 공간으로부터 밀폐한다.
밸브 장치(200)의 하우징은, 포장 재료(110, 120)의 최내층과 바로 접착하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포장 재료(110, 120)의 최내층과 동일한 열융착성을 구비한 수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내열성 등의 이유로 PP 이외의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탭에 사용하는 탭 필름과 마찬가지로, 그 다른 재질과 PP의 양쪽에 접착 가능한 필름을 개재하여 실링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밸브 장치(200)는, 수용체(100)의 주변 접합부(130)에서의 화살표 F 방향의 단부 측에 있어서,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 있다. 밸브 장치(200)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밸브 장치(200)를 수용체(100)에 장착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구조상의 연구가 채용되고 있다. 이하, 수용체(100)의 구성, 밸브 장치(200)의 구성, 수용체(100)로의 밸브 장치(200)의 장착 상태, 및 전지(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그리고, 화살표 LRUDFB의 각각이 나타내는 방향은,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이다. 이하에서는, 화살표 LR 방향을 「전지(10)의 폭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화살표 UD 방향을 「전지(10)의 두께 방향」이라고도 한다. 화살표 LR 방향, 화살표 UD 방향 및 화살표 FB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화살표 UD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명칭하기도 하고, 이 때, 후술하는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U측이 상측이고, D측이 하측이다.
<1-2. 수용체의 구성>
도 3은, 수용체(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체(100)는, 전지 소자(40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 S1을 가지고, 내부 공간 S1을 전지(10) 두께 방향에서의 하측으로부터 덮는 포장 재료(110)와, 내부 공간 S1을 전지(10)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측으로부터 덮는 포장 재료(120)를 포함하고 있다. 포장 재료(110, 120)의 각각은, 소위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이다.
포장 재료(1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 S1이 형성되도록 성형된 성형부(112)와, 성형부(112)의 외측 끝에지를 따라 화살표 FB 방향 및 화살표 LR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14)를 포함하고 있다. 즉, 플랜지부(114)를, 성형부(112)를 둘러싸고 있다. 플랜지부(114)는, 대략 동일 평면 내에 넓어지고 있고, 성형부(112)는, 플랜지부(114)로부터 전지(10)의 두께 방향에서의 하측을 향하여, 도 3에서 나타내는 화살표 D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성형부(112)에 있어서는, 화살표 U 방향의 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 개방되어 있는 면을 통하여, 전지 소자(400)(도 1)가 내부 공간 S1 내에 배치된다. 즉, 포장 재료(110)는, 성형부(112)의 내부에 공간(실질적으로, 내부 공간 S1에 동일)을 가지는 트레이형의 라미네이트 케이스이다. 포장 재료(110)는, 내부 공간 S1을 전지(10)의 두께 방향에서의 하측으로부터 덮는다.
한편, 포장 재료(120)는 시트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로 성형부(112)에 의해 획정되는 내부 공간 S1을 전지(10)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측으로부터 덮는 덮개이다. 커버인 포장 재료(120)의 주변부는, 트레이형의 포장 재료(110)의 주변부인 플랜지부(114) 위에 중첩되고, 양 주변부가 융착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주변 접합부(130)는, 수용체(100)의 외주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각환(角環)형으로 형성된다.
도 4a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부(112)는,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플랜지부(114)의 내측 끝에지(P3)로부터 기립한다. 따라서, 성형부(112)는, 주변 접합부(130)보다 화살표 D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와 플랜지부(114)의 내측 끝에지(바꾸어 말하면, 성형부(112)의 외측 끝에지)(P3)는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사선의 영역은, 주변 접합부(130)에 있어서 융착되어 있는 부분이다. 도 4b는, 다른 예에서의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4b의 예와 같이,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는, 플랜지부(114)의 내측 끝에지(바꾸어 말하면, 성형부(112)의 외측 끝에지)(P3)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도 5는, 포장 재료(110, 120)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포장 재료(110, 120)의 각각은 기재층(31), 접착제층(32), 배리어층(33), 접착층(34) 및 열융착성 수지층(35)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그리고, 포장 재료(110, 120)의 각각은, 반드시 도 5에 나타내어지는 각 층을 포함할 필요는 없지만,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기재층(31), 배리어층(33) 및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이 순서로 가지고 있다. 포장 재료(110, 120)는, 각각의 열융착성 수지층(35)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수용체(100)에 있어서는, 기재층(31)이 최외층이 되고, 열융착성 수지층(35)이 최내층이 된다. 전지(10)의 조립 시에, 내부 공간 S1(도 3) 내에 전지 소자(400)(도 2)가 배치된 상태에서, 포장 재료(110, 120)의 각각의 주변에 위치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끼리를 열융착함으로써, 주변 접합부(130)가 형성된다. 이 때, 전지 소자(400)가 수용체(100) 내에 밀봉되고, 밸브 장치(200)가 주변 접합부(130)에 융착하여 고정되고, 또한 탭(300)도 탭 필름(310)을 통하여 주변 접합부(130)에 융착하여 고정된다. 이하, 포장 재료(110, 120)에 포함되는 각 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포장 재료(110, 120)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50∼200㎛ 정도, 바람직하게는 90∼160㎛ 정도를 들 수 있다.
(1-2-1. 기재층)
기재층(31)은, 포장 재료(110, 120)의 기재로서 기능하는 층이며, 수용체(100)의 최외층측을 형성하는 층이다.
기재층(31)을 형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는, 절연성을 가지고, 기재층(31)을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폭시, 아크릴, 불소 수지, 폴리우레탄, 규소 수지, 페놀,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나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31)은, 예를 들면 상기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상기의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은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연신 필름으로서는, 1축 연신 필름, 2축 연신 필름을 들 수 있고, 2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 필름을 형성하는 연신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축차 2축 연신법, 인플레이션법, 동시 2축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층(31)은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층(31)이 2층 이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기재층(31)은, 수지 필름을 접착제 등으로 적층시킨 적층체여도 되고, 수지를 공압출하여 2층 이상으로 한 수지 필름의 적층체여도 된다. 또한, 수지를 공압출하여 2층 이상으로 한 수지 필름의 적층체를, 미연신인채로 기재층(31)으로 해도 되고,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하여 기재층(31)으로 해도 된다. 기재층(31)이, 2층 이상의 수지 필름의 적층체인 구체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 2층 이상의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 2층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신 나일론 필름과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층체, 2층 이상의 연신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 2층 이상의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층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재층(31)이 2층의 수지 필름의 적층체인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과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의 적층체,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의 적층체,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의 적층체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층체, 나일론 필름과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기재층(31)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31)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3∼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35㎛ 정도를 들 수 있다.
(1-2-2. 접착제층)
접착제층(32)은 기재층(31)에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재층(31) 상에 필요에 따라 배치되는 층이다. 즉, 접착제층(32)은 기재층(31)과 배리어층(33) 사이에 필요에 따라 형성된다.
접착제층(32)은, 기재층(31)과 배리어층(33)을 접착 가능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제층(32)의 형성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2액 경화형 접착제여도 되고, 1액 경화형 접착제여도 된다. 또한, 접착제층(32)의 형성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접착 기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학 반응형, 용제 휘발형, 열용융형 및 열압착형 등 어느 것이라도 된다.
접착제층(32)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1∼10㎛ 정도, 바람직하게는 2∼5㎛ 정도를 들 수 있다.
(1-2-3. 배리어층)
배리어층(33)은 포장 재료(110, 120)의 강도 향상 외에, 전지(10) 내에 수증기, 산소, 광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이다. 배리어층(33)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티탄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33)은, 예를 들면 금속박이나 금속 증착막, 무기 산화물 증착막, 탄소 함유 무기 산화물 증착막, 및 이들 증착막을 설치한 필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금속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 포장 재료의 제조 시에, 배리어층(33)에 주름이나 핀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배리어층은, 예를 들면 소둔 처리가 완료된 알루미늄(JIS H4160:1994 A8021H-O, JIS H4160:1994 A8079H-O, JIS H4000:2014 A8021P-O, JIS H4000:2014 A8079P-O) 등 연질 알루미늄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리어층(33)의 두께는, 수증기 등의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20∼80㎛ 정도로 할 수 있다.
(1-2-4. 접착층)
접착층(34)은, 열융착성 수지층(35)을 강고하게 접착하기 위하여, 배리어층(33)과 열융착성 수지층(35) 사이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층이다.
접착층(34)은, 배리어층(33)과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접착 가능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층(34)의 형성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조성(組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산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산 변성된 폴리올레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 그라프트 변성된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접착층(34)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2∼40㎛ 정도를 들 수 있다.
(1-2-5. 열융착성 수지층)
열융착성 수지층(35)은 수용체(100)의 최내층을 형성한다. 열융착성 수지층(35)은, 수용체(100)의 주변에 있어서,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과 열융착함으로써, 전지 소자(400)를 수용체(100) 내에 밀봉한다. 또한, 열융착성 수지가 일정한 막 두께 이상으로 배리어층을 덮음으로써, 전해액과 배리어층 금속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사용되는 수지 성분은, 열융착 가능한 것을 한도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산 변성 폴리올레핀 등이다.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호모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의 블록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코폴리머) 등의 결정성 또는 비정성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텐-프로필렌의 터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산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산 변성된 폴리올레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 그라프트 변성된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융착성 수지층(35)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9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 정도를 들 수 있다.
<1-3. 밸브 장치의 구성>
도 6은 밸브 장치(200)의 평면도이다. 밸브 장치(200)는, 수용체(100)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가스 제거 밸브이며, 반복의 가스 제거가 가능한 복귀 밸브이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는 밸브 기능부(210)와, 실링 장착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실링 장착부(220)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포장 재료(110, 120)(도 2)에 끼어 고정되어 있다. 실링 장착부(220)가 히트 실링됨으로써, 실링 장착부(220) 외측의 주위면과 포장 재료(110, 120)의 최내층인 열융착성 수지층(35)이 융착하여 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밸브 기능부(210) 및 실링 장착부(220)는, 화살표 FB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실링 장착부(220)가 보다 화살표 B 방향으로 배치된다. 실링 장착부(220)는, 밸브 기능부(210)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부(내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 기능부(210) 및 실링 장착부(220)의 외형은 각각, 화살표 FB 방향에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서로 동축(同軸)이다. 여기에서, 양자의 공통되는 중심축을, 참조 부호 C1로 표시한다.
실링 장착부(220)에 있어서, 화살표 B 방향의 단부의 모서리에는 R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실링 장착부(220)에 있어서, 밸브 기능부(210)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모서리에는 R(예를 들면, R=0.2㎜∼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는 것을 「R이 형성되어 있다」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R이 형성되어 있다」란, 구조적으로는, 모따기 가공이 된 것과 마찬가지로, 모서리가 둥글게 된 상태를 의미하고 있고, 또한 「R」 단독으로, 이 모서리의 둥근 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한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뾰족한 모서리에 대하여 모따기 가공을 실시하여 모서리에 둥그스름함을 주는(R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밸브 장치(200)의 하우징이 수지 성형품인 경우에는, 처음부터 둥글게 된 모서리를 구비하도록 성형함으로써 절삭 등의 모따기 가공 없이 R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6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밸브 기능부(210) 및 실링 장착부(220)의 각각의, 화살표 FB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이하, FB 단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외형은, 정원(正圓) 형상이다. 실링 장착부(220)는 전체로서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실링 장착부(220)의 내부에는 통기로(A1)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로(A1)는, 화살표 FB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통기로(A1)의 단면은 정원 형상이며, 그 중심은 중심축 C1 상에 있다. 실링 장착부(220)의 중심축 C1을 기준으로 하는 직경 방향의 두께는, 중심축 C1을 기준으로 하는 주위 방향을 따라 대략 일정하다.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전지(10)의 두께 방향(화살표 UD 방향)에서의 밸브 기능부(210)의 길이 L2는, 전지(10)의 두께 방향에서의 실링 장착부(220)의 길이 L1보다 길다. 전지(10)의 폭 방향(화살표 LR 방향)에서의 밸브 기능부(210)의 길이 L2는, 전지(10)의 폭 방향에서의 실링 장착부(220)의 길이 L1보다 길다. 즉, 밸브 기능부(210)의 FB 단면의 직경은, 실링 장착부(220)의 FB 단면의 직경보다 길고, 밸브 기능부(210)의 FB 단면에서의 단면적은, 실링 장착부(220)의 FB 단면에서의 단면적보다 크다. 또한, 밸브 장치(200)를 화살표 F 방향으로 보았을 때, 실링 장착부(220)의 외형은, 밸브 기능부(210)의 외형에 포함된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장치(200)를 화살표 F 방향으로 보았을 때, 밸브 기능부(210)는, 실링 장착부(220)의 외형으로부터, 전지(10)의 두께 방향(화살표 UD 방향)을 포함하는 각 방향으로 비어져나와 있다. 그 결과, 밸브 기능부(210)와 실링 장착부(220)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이 단차에 의하여, 밸브 장치(200)는, 실링 장착부(220)로부터 밸브 기능부(210)를 향하여 불연속으로 확경(擴徑)되는 형상이 된다.
도 8은,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부에는, R(예를 들면, R=0.2㎜∼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링 장착부(220)의 내부에는, 통기로(A1)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로(A1)는, 예를 들면 수용체(100) 내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밸브 기능부(210)로 유도한다.
밸브 기능부(210)의 내부에는, 수용체(100)(도 1) 내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기능부(210)는 O링(212)과, 볼(214)과, 스프링(216)과, 멤브레인(218)을 포함하고 있다. 즉, 밸브 기능부(210)에는, 볼 스프링형의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기능부(210) 내에 설치되는 밸브 기구는, 가스에 기인하여 상승한 수용체(100) 내의 압력을 저감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핏(poppet)형, 덕빌(duck bill)형, 엄브렐러형, 다이어프램형 등의 밸브 기구라도 된다.
통체(211)는 중심축 C1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화살표 FB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 S2를 획정하고 있다. 공간 S2는, 실링 장착부(220) 내의 통기로(A1)와 연통되어 있고, O링(212), 볼(214), 스프링(216) 및 멤브레인(218)은, 공간 S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공간 S2 내에서는, O링(212), 볼(214), 스프링(216) 및 멤브레인(218)이, 화살표 F 방향을 향하여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통체(211)는 공간 S2에 면하는 밸브 시트(211a)를 가진다. 밸브 시트(211a)는 공간 S2 내에, 화살표 F 방향을 향하여 확경되는 역원뿔형의 공간을 획정한다. 밸브 시트(211a)는, 스프링(216)에 의해 가압되는 밸브체로서의 볼(214)을 받고, 이 때, 밸브 기능부(210)의 폐쇄 상태가 형성된다. O링(212)은, 밸브 시트(211a)에 착석했을 때, 볼(214)과 밸브 시트(211a)의 간극을 없애고, 폐쇄 상태의 밀폐성을 높이는 것을 보조한다. O링(212)은 중공(中空) 원형의 링이며, 예를 들면 불소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볼(214) 및 스프링(216)의 각각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214)은 수지로 구성되어도 된다. 멤브레인(218)은, 예를 들면 10-2∼100㎛ 정도의 포어 직경(pore diameter)을 가지고, 전해액을 누출시키지 않고, 가스만을 투과(선택 투과)하는 PTFE 멤브레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PTFE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의 의미이다. 또한, PTFE 멤브레인은 부드러운 재질이므로, 강도가 부족한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메쉬나 부직포와 일체 성형하여 보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밸브 장치(200)가 수용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체(100)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통기로(A1)로부터 유도된 가스가 볼(214)을 화살표 F 방향으로 압압(押壓)한다. 볼(214)이 압압되고, 밸브 시트(211a)로부터 멀어지면, 스프링(216)이 수축되고, 밸브 기능부(210)의 개방 상태가 형성된다. 이 개방 상태에 있어서, 수용체(100) 내의 가스는, 볼(214)과 O링(212)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과하고, 멤브레인(218)을 투과하여, 배기구(O1)로부터 수용체(100)의 외부에 배출된다. 가스가 배출되고, 볼(214)을 화살표 F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이 약해지면, 스프링(216)이 연장되고, 볼(214)을 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이것보다 커진다. 그 결과, 다시, 밸브 기능부(210)의 폐쇄 상태가 형성된다.
<1-4. 밸브 장치의 장착 상태>
도 9는, 도 1의 VIII-VIII 단면도이며, 밸브 장치(200)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원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의 밸브 기능부(210)는, 주변 접합부(130)의 외측 끝에지(P1)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밸브 장치(200)의 실링 장착부(220)의 일부분은, 주변 접합부(130)에 있어서, 포장 재료(110)의 열융착성 수지층(35)과 포장 재료(120)의 열융착성 수지층(35) 사이에 끼어 있다. 그리고, 실링 장착부(220)의 외측의 주위면과, 포장 재료(110, 120)의 최내층인 열융착성 수지층(35)은, 서로 융착하여 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서는, 밸브 장치(200)가 포장 재료(110, 120)의 열융착성 수지층(35)과 융착하여 접합된 상태인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적으로,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주변 접합부(130) 부근만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열융착성 수지층(35)은 포장 재료(110, 120)의 전체면에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가 주변 접합부(130)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 있고, 밸브 기능부(210)가 주변 접합부(130)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 있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만일, 밸브 기능부(210)가 주변 접합부(130)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진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포장 재료(110, 120)의 주변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서로 융착할 때(히트 실링할 때)에, 가해지는 열 및 압력에 의해 밸브 기능부(210) 내의 밸브 기구가 고장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 주변 접합부(130)에서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 있는 것은 실링 장착부(220)이며, 밸브 기능부(210)는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전지(10)에 있어서는, 히트 실링 시에 밸브 기능부(210)에 큰 압력 및 열이 가해지지 않는다. 즉, 전지(10)에 있어서는, 밸브 기능부(210)를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의해 끼지 않음으로써, 히트 실링 시에 가해지는 압력 및 열에 기인한 밸브 기구의 고장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의 단면의 직경이 밸브 기능부(210)의 단면의 직경보다 짧다. 따라서, 실링 장착부(220)의 단면의 직경이 밸브 기능부(210)의 단면의 직경 이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가 끼어 있는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 L4와,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가 끼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 L3의 차가 작다. 이 차가 클수록, 실링 장착부(220)의 외측의 주위면이 포장 재료(110, 120)의 최내층인 열융착성 수지층(35)과 융착하여 간극없이 접합된 상태로 하기 위하여, 히트 실링의 압력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긴다. 그 결과, 히트 실링을 위해 수용체(100)의 주변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진다. 이 압력이 커지면, 특히 실링 장착부(220)가 끼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나아가 탭 필름(310)과 탭(300)이 끼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이 얇아질 가능성이 있다. 열융착성 수지층(35)이 얇아지면, 전지(10)에 있어서 절연 파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L4와 길이 L3의 차가 작다. 따라서, 히트 실링기에 의해 수용체(100)의 주변을 끼었을 때, 수용체(100)의 주변 전체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에 적절하게 압력 및 열이 가해진다. 그 결과, 전지(10)에 의하면, 전지(10)에 있어서 절연 파괴가 생길 가능성을 저감하면서,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적절하게 융착시키고, 실링 장착부(220)를 수용체(10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도 10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주변 접합부(130)는, 실링 장착부(220)의 근방에 있어서, 외측으로 패인 오목부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는, 실링 장착부(220)의 근방으로 있어서, 내측 끝에지(P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3개의 라인(K1∼K3)을 포함한다. 이 중, 제1 라인(K1)은, 실링 장착부(220)와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제2 라인(K2)은 제1 라인(K1)의 일단에 연속하고, 제3 라인(K3)은 제1 라인(K1)의 타단에 연속한다. 제2 라인(K2) 및 제3 라인(K3)은, 화살표 FB 방향으로 같은 위치를 연장되고 있다. 제1 라인(K1)은, 제2 라인(K2)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 화살표 R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후, 내측을 향하여 제3 라인(K2)의 단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라인(K1)은, 제2 라인(K2) 및 제3 라인(K2)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제2 라인(K2)과 제3 라인 사이에 있어서, 양 라인(K2, K3)보다 외측을 달리도록 연장되고 있다. 그 결과, 내부 공간 S1은, 전지 소자(400)가 배치되는 성형부(112) 내의 공간으로부터, 실링 장착부(220)의 근방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를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공간 S3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은, 성형부(112)의 외측 끝에지(플랜지부(114)의 내측 끝에지에 일치함)(P3)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가, 성형부(112) 내에 배치되는 전지 소자(400)에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져, 전지 소자(400)를 상처입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은,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까지 도달하고 있고, 거기로부터 더욱 내부 공간 S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다만,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은, 이상의 공간 S3 내에 위치하고, 성형부(112)의 내부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한편, 만일,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이,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와 면일(面一) 또는 내측 끝에지(P2)보다 외측에 존재하는 경우, 밸브 장치(200)의 기능상, 다양한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 접합부(130)의 형성 시에, 실링 장착부(220)에 가해지는 실링 열이나 압력때문에,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용융한 포장 재료(110, 120)의 일부가, 실링 장착부(220)의 통기로(A1) 내에 내측 단(221) 측으로부터 들어가고, 통기로(A1)가 막히기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면, 밸브 장치(200)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고, 고장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이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보다 내측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주변 접합부(130)의 형성 시에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를 보호하고, 동일 부위가 상처나지 없고, 밸브 장치(200)의 고장이 억제된다.
다만,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이, 성형부(112)의 외측 끝에지(P3)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전지(10)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실링 장착부(220)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부(내측 단부)가 전지 소자(400)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에 R이 형성되어 있다(도 6). 따라서, 만일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가 전지 소자(400)에 접촉했다고 해도, 상기 내측 단부가 전지 소자(400)를 상처입힐 가능성은 낮다. 또한, 전지(10)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가 포장 재료(120)의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에 R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만일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가 포장 재료(120)의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접촉했다고 해도, 상기 내측 단부가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상처입힐 가능성은 낮다.
도 10a의 예에서는, 밸브 기능부(210)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부(내측 단부)는, 주변 접합부(130)의 외측 끝에지(P1)에 접하고 있지 않고, 외측 끝에지(P1)로부터 외측에 간격을 두고 있다. 그러나, 도 10b의 예와 같이, 밸브 기능부(210)의 내측 단부가 주변 접합부(130)의 외측 끝에지(P1)에 접하도록, 밸브 장치(20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밸브 기능부(210)와 실링 장착부(220) 사이의 단차를 이용함으로써, 주변 접합부(130)에 대한 밸브 장치(200)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장착부(220)의 화살표 FB 방향의 길이 및 주변 접합부(130)의 화살표 FB 방향의 실링 폭을, 전자가 후자보다 길어지도록 설계해 놓음으로써,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을, 공간 S3 내에 있어서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로부터 확실하게 돌출시킬 수 있다.
<1-5. 제조 방법>
도 11은, 전지(10)의 제조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예를 들면, 전지(10)는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조 장치는 수용체(100) 내에 각 부품을 탑재한다(스텝 S100). 예를 들면, 제조 장치는, 탭 필름(310) 부착 탭(300)이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지 소자(400)를, 포장 재료(110) 내의 내부 공간 S1에 탑재함으로써, 포장 재료(110)의 플랜지부(114) 위에, 탭 필름(310) 부착 탭(300)이 탑재된 상태로 하고, 다음으로, 포장 재료(110)의 플랜지부(114) 위에 밸브 장치(200)를 탑재한다. 그리고, 포장 재료(110)의 내부 공간 S1에 전지 소자(400)를 탑재하고, 그 다음에, 탭 필름(310) 부착 탭(300)을 전지 소자(400)에 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포장 재료(110)의 플랜지부(114) 위에 탭 필름(310) 부착 탭(300)이 탑재된 상태로 하고, 다음으로, 포장 재료(110)의 플랜지부(114)의 상에 밸브 장치(200)를 탑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조 장치는, 포장 재료(110) 상에 포장 재료(120)를 탑재한다.
도 12는, 포장 재료(110)의 플랜지부(114)와 포장 재료(120) 사이에 밸브 장치(200)를 탑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기능부(210)와 실링 장착부(2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 장착부(220)를 포장 재료(110, 120)로 낄 때, 만일 밸브 장치(200)를 수용체(100) 측에 지나치게 밀어 넣었다고 해도 단차 부분이 포장 재료(110, 120)의 단부에 걸린다. 따라서, 전지(10)에 의하면, 전지(10)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밸브 기능부(210)가 실수로 포장 재료(110, 120)(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지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단차 부분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로부터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상승하는 밸브 기능부(210)의 구조는, 밸브 기능부(210)가 포장 재료(110, 120)의 중간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각 부품의 탑재가 완료되면, 제조 장치는, 수용체(100)의 주변을 히트 실링한다(스텝 S110). 즉, 제조 장치는, 수용체(100)의 주변을 끼고, 수용체(100)의 주변에 압력 및 열을 가한다. 이에 의해, 수용체(100)의 주변에 있어서,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이 서로 융착하고, 주변 접합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지 소자(400)가 수용체(100) 내에 밀봉되고, 밸브 장치(200)가 주변 접합부(130)에 융착하여 고정되고, 또한 탭(300)도 탭 필름(310)을 통하여 주변 접합부(130)에 융착하여 고정되고, 전지(10)가 완성된다. 그리고, 히트 실링 공정에 있어서는, 수용체(100)의 내부의 탈기를 행함으로써, 수용체(100)의 내부에 불필요한 가스가 포함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주위를 접합하지 않고, 일부에 미접합 상태의 주변을 남겨 두고, 이 미접합 상태의 주변으로부터 탈기하여, 마지막으로 미접합 상태의 주변에 압력 및 열을 가하여, 전체 주위의 주변 접합부(130)를 완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전해액을 필요로 하는 전지의 경우에는, 전체 주위를 접합하지 않고, 일부에 미접합 상태의 주변을 남겨 두고, 이 미접합 상태의 주변으로부터 전해액을 주입하고, 탈기하여, 마지막으로 미접합 상태의 주변에 압력 및 열을 가하여, 전체 주위의 주변 접합부(130)를 완성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제조 장치의 실링 바 중 수용체(100)의 주변을 협지하는 면의 형상을, 실링 장착부(220)의 외형에 따르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 경우에는, 실링 장착부(220)가 끼어 있던 위치에서의 열융착성 수지층(35)끼리의 접착이 보다 강고하게 된다. 이 경우라도, 포장 재료(110, 120)의 변형이나 부하를 저감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형태 2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의 형상을 편평 형상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에서는, 수용체(100)의 내부 공간 S1에 전지 소자(400)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적으로, 내부 공간 S1에 대하여 전지 소자(400)를 작은 사이즈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이상과 같이 탈기하는 경우에는, 내부 공간 S1은 축소하여 전지 소자(400)와 대략 같은 사이즈로 되고, 최종적인 전지(10)의 상태에서는, 거의 간극없이 전지 소자(400)에 의해 메울 수 있다.
<1-6. 특징>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221)은, 성형부(112)의 외측 끝에지(플랜지부(114)의 내측 끝에지에 일치함)(P3)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링 장착부(220)의 내측 단부가, 성형부(112) 내에 배치되는 전지 소자(400)에 접촉할 가능성이 낮아져, 전지 소자(400)를 상처입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는 전지(10)에 있어서는, 밸브 장치(200)가, 수용체(100)의 주변 접합부(130)의 내측 끝에지(P2)로부터 내부 공간 S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즉, 밸브 장치(200)의 내측 단부가 주변 접합부(130)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주변 접합부(130)의 형성 시에, 주변 접합부(130)에 가해지는 열이나 압력 등의 밸브 장치(200)를 고장나게 하는 원인이, 밸브 장치(200)의 내측 단부에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밸브 장치(200)의 장착 시의 고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지 소자(400)는, 본 발명의 「전지 소자」의 일례이다. 수용체(100)는 본 발명의 「수용체」의 일례이며, 포장 재료(110)는 본 발명의 「제1 수용 부분」의 일례이고, 포장 재료(120)는, 본 발명의 「제2 수용 부분」의 일례이며, 내부 공간 S1은 본 발명의 「내부 공간」의 일례이고, 주변 접합부(130)는 본 발명의 「주변 접합부」의 일례이며, 성형부(112)는 본 발명의 「팽출부」의 일례이다. 밸브 장치(200)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일례이고, 밸브 기능부(210)는 본 발명의 「제1 부분」의 일례이며, 실링 장착부(220)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의 일례이고, 통기로(A1)는 본 발명의 「통기로」의 일례이다. 기재층(31)은 본 발명의 「기재층」의 일례이고, 배리어층(33)은 본 발명의 「배리어층」의 일례이며, 열융착성 수지층(35)은 본 발명의 「열융착성 수지층」의 일례이다.
[2.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밸브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 2에 따르는 전지에 탑재되어 있는 밸브 장치(200A)의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A)는 밸브 기능부(210A)와, 실링 장착부(220A)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 장착부(220A)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서, 히트 실링되는 부분이다. 실링 장착부(220A)는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단면 형상이 상이하다. 밸브 기능부(210A)는,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지만, 실링 장착부(220A) 내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로(A6)(도 14)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하우징 및 밸브 기구의 형상이 일부 변경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의 XII-XII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A)의 단면에 있어서, 전지의 폭 방향(화살표 LR 방향)의 길이 L5는, 전지의 두께 방향(화살표 UD 방향)의 길이 L6보다 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링 장착부(220A)의 단면 형상은 타원 형상이다.
실링 장착부(220A)의 내부에는 통기로(A6)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로(A6)에 있어서도, 전지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기로(A6)의 단면 형상은 타원 형상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실링 장착부(220A)의 단면에 있어서, 전지의 폭 방향의 길이 L5가,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 L6보다 길다. 즉, 실링 장착부의 단면 형상이 정원(면적은 동일)인 경우와 비교하여,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실링 장착부(220A)의 길이가 짧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A)가 끼어 있는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A)가 끼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차가 보다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수용체(100)의 주변 전체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적절하게 압력 및 열을 가할 수 있고,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적절하게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 장치(200A)의 실링 장착부(220A)를 수용체(10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A)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일례이고, 밸브 기능부(210A)는 본 발명의 「제1 부분」의 일례이며, 실링 장착부(220A)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의 일례이다. 통기로(A6)는 본 발명의 「통기로」의 일례이다.
[3.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밸브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 3에 따르는 전지에 탑재되어 있는 밸브 장치(200B)의 평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B)는 밸브 기능부(210B)와, 실링 장착부(220B)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 장착부(220B)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서, 히트 실링되는 부분이다. 실링 장착부(220B)는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단면 형상이 상이하다. 밸브 기능부(210B)는,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지만, 실링 장착부(220B) 내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로(A7)(도 16)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하우징 및 밸브 기구의 형상이 일부 변경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의 XIV-XIV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B)에 있어서는, 전지의 폭 방향(화살표 LR 방향)의 양단부에 날개형 연장 단부(40, 41)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형 연장 단부(40, 41)의 각각은, 전지의 폭 방향의 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얇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는, 날개형 연장 단부(40, 41)의 각각은, 실링 장착부(22)의 다른 부분(원형 부분)과 비교하여, 화살표 LR 방향에 있어서,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 변화가 완만한 부분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3에 따르는 전지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실링 장착부(220B)에 날개형 연장 단부(40, 4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과 비교하여,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B)가 끼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B)가 끼어 있는 부분으로 이행하는 위치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변화가 매끄럽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실링 장착부(220B)가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의해 끼어 있는 위치와 실링 장착부(220B)가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 있지 않은 위치의 경계에 있어서 포장 재료(110, 12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밸브 장치(200B)의 실링 장착부(220B)를 수용체(10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B)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일례이고, 밸브 기능부(210B)는 본 발명의 「제1 부분」의 일례이며, 실링 장착부(220B)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의 일례이다. 날개형 연장 단부(40, 41)는 본 발명의 「날개형 연장 단부」의 일례이다. 통기로(A7)는 본 발명의 「통기로」의 일례이다.
[4.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밸브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 4에 따르는 전지에 탑재되어 있는 밸브 장치(200C)의 평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C)는 밸브 기능부(210C)와, 실링 장착부(220C)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 장착부(220C)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서, 히트 실링되는 부분이다. 실링 장착부(220C)는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단면 형상이 상이하다. 밸브 기능부(210C)는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지만, 실링 장착부(220C) 내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로(A2)(도 18)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하우징 및 밸브 기구의 형상이 일부 변경되어 있다.
도 18은, 도 17의 XVI-XVI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링 장착부(220C) 내(통기로(A2) 내)에는, 필러(50, 51)가 형성되어 있다. 필러(50, 51)의 각각은, 전지의 두께 방향(화살표 UD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지의 두께 방향의 양단이 실링 장착부(220C)의 내주(內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필러(50, 51)의 각각은, 통기로(A2) 내에 있어서 화살표 FB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20). 그리고, 필러의 수는 반드시 2개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 4에 따르는 전지에 있어서는, 통기로(A2) 내에 필러(50, 5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진 실링 장착부(220C)에 압력 및 열이 가해졌다고 해도, 통기로(A2)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의 융착 시에서의 실링 장착부(220C) 내의 통기로(A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C)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일례이고, 밸브 기능부(210C)는 본 발명의 「제1 부분」의 일례이며, 실링 장착부(220C)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의 일례이다. 필러(50, 51)는 본 발명의 「필러」의 일례이다. 통기로(A2)는 본 발명의 「통기로」의 일례이다.
[5.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 5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밸브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는 전지에 탑재되어 있는 밸브 장치(200D)의 평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D)는 밸브 기능부(210)와, 실링 장착부(220D)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 기능부(210)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링 장착부(220D)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서, 히트 실링되는 부분이다. 실링 장착부(220D)는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외표면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실링 장착부(220D)의 외표면은 미세한 요철로 되어 있다. 이 미세한 요철의 표면 거칠기 Ra는, 예를 들면 1㎛∼20㎛이다.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는 전지에 있어서는, 실링 장착부(220D)의 외표면이 미세한 요철로 되어 있으므로, 실링 장착부(220D)와 맞닿은 위치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가 녹기 쉽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실시형태 1(실링 장착부(220D)의 외표면이 매끄러운 경우)과 비교하여, 밸브 장치(200D)의 실링 장착부(220D)를 수용체(10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D)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일례이고, 실링 장착부(220D)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의 일례이다.
[6.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 6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밸브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 6에 따르는 전지에 탑재되어 있는 밸브 장치(200E)의 평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E)는 밸브 기능부(210)와, 실링 장착부(220E)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 기능부(210)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링 장착부(220E)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서, 히트 실링되는 부분이다. 실링 장착부(220E)는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외표면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실링 장착부(220E)의 외표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일주 연속하여 연장되는 볼록조부(凸條部)(60)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부(60)는 실링 장착부(220E)에 있어서, 화살표 FB 방향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조부(60)는 반드시 3개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21은, 도 20의 XIX-XIX 단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볼록조부(60)의 단면은 반원 형상이다. 이 반원 형상의 R은, 예를 들면 0.05㎜∼1.0㎜이다. 실링 장착부(220E) 중, 볼록조부(6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의 직경 L12(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 전지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볼록조부(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의 직경 L11보다 길다.
히트 실링 시에, 볼록조부(60)는, 열융착성 수지층(35)에 확실하게 접하므로, 포장 재료(110, 120)에 융착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 6에 따르는 전지에 있어서는, 볼록조부(60)가 실링 장착부(220E)의 외표면의 주위 방향으로 일주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실링 장착부(220E)의 주위 방향 일주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과 실링 장착부(220E)를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전지에 있어서는, 실시의 형태 1(실링 장착부(220E)에 볼록조부(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과 비교하여, 실링 장착부(220E)의 외표면과 열융착성 수지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있으므로, 밸브 장치(200E)의 실링 장착부(220E)를 포장 재료(11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볼록조부(60)의 형성 위치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일주 전체에 존재하지 않아도 되고, 연속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 3과 같은 날개형 연장 단부(40, 41)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날개형 연장 단부(40, 41)를 포함하여 일주시키는 볼록조부(60)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이 날개형 연장 단부(40, 41)의 선단 부분에는 볼록조부(60)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이 날개형 연장 단부(40, 41)에는 볼록조부(60)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볼록조부(60)는, 주위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E)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일례이고, 실링 장착부(220E)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의 일례이다. 볼록조부(60)는 본 발명의 「볼록조부」의 일례이다. 통기로(A3)는 본 발명의 「통기로」의 일례이다.
[7. 실시형태 7]
본 실시형태 7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밸브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실시형태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 7에 따르는 전지에 탑재되어 있는 밸브 장치(200F)의 평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F)는 밸브 기능부(210F)와, 실링 장착부(220F)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 장착부(220F)는, 적어도 그 일부가 포장 재료(110, 120)에 끼어서, 히트 실링되는 부분이다. 밸브 기능부(210F) 및 실링 장착부(220F)는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단면 형상이 상이하다.
도 23은, 도 22의 XXI-XXI 단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기능부(210F)의 단면은 반원 형상이다. 즉, 밸브 기능부(210F)의 화살표 U 방향의 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링 장착부(220F)의 단면은, 화살표 LR 방향의 양단부에 날개형 연장 단부(40F, 41F)를 가진다. 실링 장착부(220F)의 화살표 U 방향의 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밸브 기능부(210F)의 화살표 U 방향의 면과, 실링 장착부(220F)의 화살표 U 방향의 면은, 면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 U 방향의 면을 아래로 하여 밸브 장치(200F)를 배치하면, 밸브 장치(200F)는 구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7에 따르는 전지에 의하면, 밸브 장치(200F)의 수용체(100)로의 장착 시에, 밸브 장치(200F)가 구르지 않으므로, 밸브 장치(200F)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4는, 밸브 장치(200F)의 수용체(100)로의 장착 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F)의 수용체(100)로의 장착 시에, 밸브 장치(200F)의 평면은, 포장 재료(120)의 최내층의 면 상에 탑재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밸브 장치(200F)는 구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7에 따르는 전지에 의하면, 수용체(100)로의 밸브 장치(200F)의 장착 시에, 밸브 장치(200F)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지로 한 상태에서, 밸브 장치(200F)에 의한 주변 접합부(130)의 팽창을, 수용체(100)가 팽창된 방향, 즉 도 24에서는 성형부(112)가 돌출되는 상방향을 향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F)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일례이고, 밸브 기능부(210F)는 본 발명의 「제1 부분」의 일례이며, 실링 장착부(220F)는 본 발명의 「제2 부분」의 일례이다. 통기로(A4)는 본 발명의 「통기로」의 일례이다.
[8. 변형예]
이상, 실시형태 1∼7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1∼7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 가능하다.
<8-1>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실링 장착부(220) 등)의 단면은, 원형을 기초로 한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링 장착부의 단면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을 기초로 한 형상을 가져도 된다.
도 25는, 변형예 1에서의 밸브 장치(200G)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G)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G)의 단면은,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링 장착부(220G)에 있어서, 전지의 폭 방향의 길이 L7은,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 L8보다 길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G)가 끼어 있는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G)가 끼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차가 보다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수용체(100)의 주변 전체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적절하게 압력 및 열을 가할 수 있고,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적절하게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 장치(200G)의 실링 장착부(220G)를 수용체(10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26은, 변형예 2에서의 밸브 장치(200H)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H)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H)의 단면은, 전지의 두께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모따기된 마름모꼴 형상, 혹은 육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실링 장착부(220H)에 있어서, 전지의 폭 방향의 길이 L9는,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 L10보다 길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H)가 끼어 있는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H)가 끼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차가 보다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수용체(100)의 주변 전체에 있어서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적절하게 압력 및 열을 가할 수 있고,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적절하게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 장치(200H)의 실링 장착부(220H)를 수용체(10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27은, 변형예 3에서의 밸브 장치(200I)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I)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I)의 단면은, 마름모꼴의 (전지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날개형 연장 단부(40I, 41I)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실링 장착부(220I)에 날개형 연장 단부(40I, 41I)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과 비교하여,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I)가 끼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주변 접합부(130) 중 실링 장착부(220I)가 끼어 있는 부분으로 이행하는 위치에서의 전지의 두께 방향의 변화가 매끄럽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실링 장착부(220I)가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의해 끼어 있는 위치와 실링 장착부(220I)가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 있지 않은 위치의 경계에 있어서 포장 재료(110, 12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밸브 장치(200I)의 실링 장착부(220I)를 수용체(100)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28은, 변형예 4에서의 밸브 장치(200J)의 평면도이다. 도 2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J)는 밸브 기능부(210J)와, 실링 장착부(220J)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 장착부(220J) 내에는, 통기로(A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의 XXVII-XXVII 단면도이다. 이 단면은, 통기로(A5)의 중심축 C1을 법선으로 하는 면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도 2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J)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J)의 단면은, 육각형(다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육각형의 각각에는, R(예를 들면, R=0.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에 의하면, 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220J) 중 수용체(10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 수용체(100) 내의 전지 소자(400)를 상처입힐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실링 장착부(220J) 중 열융착성 수지층(35)에 끼어 있는 부분이 열융착성 수지층(35)을 상처입히고, 열융착성 수지층(35)의 절연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8-2>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포장 재료(110)의 플랜지부(114)는 평평한 상태였다. 그러나, 플랜지부(114)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랜지부(114)에는, 밸브 장치(200)의 실링 장착부(220)를 배치하기 위한 밸브 장치 배치부가 미리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도 30은, 변형예 5에서의 포장 재료(110K)의 평면도이다. 도 3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14K)에는 밸브 장치 배치부(116K)가 형성되어 있다.
도 31은, 도 30의 XXIX-XXIX 단면도이다. 도 3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14K)에 형성된 밸브 장치 배치부(116K)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반원의 직경은, 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220)의 직경보다 약간 길다. 밸브 장치 배치부(116K)에, 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220)가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체의 주변에서의 히트 실링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히트 실링 시에서의 포장 재료의 변형이 억제되고, 실링 장착부(220) 부근에서 핀홀이나 깨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장치 배치부(116K)는, 반드시 포장 재료(110K)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포장 재료(120)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라도, 밸브 장치 배치부(116K)가 포장 재료(110K)에 형성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3>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는, 밸브 장치(예를 들면,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밸브 기능부(예를 들면, 밸브 기능부(210))와 실링 장착부(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220))의 경계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밸브 기능부와 실링 장착부의 경계에는, 반드시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밸브 기능부의 단면 직경과 실링 장착부의 단면의 직경이 동일하며, 밸브 기능부와 실링 장착부가 평평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8-4>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실링 장착부(220) 등) 내에 형성된 통기로(예를 들면, 통기로(A1))의 단면은, 원형을 기초로 한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통기로의 단면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기로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을 기초로 한 형상이어도 된다.
<8-5>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220))의 밸브 기능부(예를 들면, 밸브 기능부(210))와 반대측의 단부의 모서리에는 R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모서리에는 반드시 R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8-6>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밸브 장치(예를 들면, 밸브 장치(200))는, 소위 복귀 밸브였다. 그러나, 밸브 장치는 반드시 복귀 밸브일 필요는 없다. 밸브 장치는 예를 들면, 소위 파괴 밸브나, 선택 투과 밸브라도 된다.
<8-7>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는, 탭(300)이 수용체(100)의 화살표 LR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밸브 장치(예를 들면, 밸브 장치(200))가 수용체(100)의 화살표 F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밸브 장치(200) 및 탭(300)의 위치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쪽의 탭(300)이 수용체(100)의 주변 동일한 변에 배치되고, 밸브 장치가 2개의 탭(300) 사이에 배치되어도 되고, 양쪽의 탭(300)이 수용체(100)의 주변의 동일한 변에 배치되고, 탭(300)이 배치된 변 이외의 3변 중 어느 한 변에 밸브 장치가 배치되어도 된다.
<8-8>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수용체(100)는, 엠보스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포장 재료(110)와, 포장 재료(110)와는 별체의 포장 재료(120)를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용체(100)는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이 아니라도 된다.
예를 들면, 포장 재료(110)와 포장 재료(120)가 미리 한 변에 있어서 일체화되어(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포장 재료(110)의 플랜지부(114)의 단부에 있어서, 포장 재료(110)와 포장 재료(120)가 일체화되어 있고(연결되어 있고), 포장 재료(110)와 포장 재료(120)가 중첩된 상태에서 사방 실링함으로써, 수용체(100) 내에 전지 소자(400)가 밀봉되어도 된다. 또한, 포장 재료(110)와 포장 재료(120)가 일체화되어 있는 변에 있어서는 플랜지부(114)가 생략되어 있고, 포장 재료(110)와 포장 재료(120)가 중첩된 상태에서 삼방 실링함으로써, 수용체(100) 내에 전지 소자(400)가 밀봉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포장 재료(120)는, 포장 재료(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수용체(100)는 예를 들면 파우치 타입의 수용체여도 된다. 파우치 타입의 수용체는 삼방 실링 타입, 사방 실링 타입, 필로우 타입, 가젯 타입 등 어느 타입이어도 된다.
<8-9>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밸브 기능부(예를 들면, 밸브 기능부(210))의 하우징과 실링 장착부(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220))의 하우징은 동일한 재료(수지)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밸브 기능부의 하우징과 실링 장착부의 하우징은, 반드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밸브 기능부의 하우징과 실링 장착부의 하우징이 다른 재료로 구성되고, 밸브 기능부의 재질의 융점이 실링 장착부의 재질의 융점보다 높아도 된다. 예를 들면, 밸브 기능부가 폴리프로필렌(PP)에 의해 구성되고, 실링 장착부가 PP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예를 들면,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나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실링 장착부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배리어가 높은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전지에 있어서는,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의 융착 시에 실링 장착부에 압력 및 열이 가해졌다고 해도, 밸브 기능부의 재질의 융점이 실링 장착부의 재질의 융점보다 높으므로, 밸브 기능부가 열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이 전지에 의하면, 대향하는 열융착성 수지층(35)의 융착 시에서의 밸브 기능부 내의 밸브 기구의 고장을 억제할 수 있다.
<8-10>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는, 밸브 장치(200)의 하우징이 수지제라고 하고, 실링 장착부(220)가 열융착성 수지층(35)에 직접 끼어 있었다. 그러나, 밸브 장치(200)의 하우징은 반드시 수지제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제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실링 장착부(220)와 열융착성 수지층(35) 사이에 접착성 보호 필름이 배치되어도 된다. 접착성 보호 필름은, 한쪽 면이 적어도 수지에 접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른 쪽 면이 적어도 금속에 접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착성 보호 필름으로서는, 공지의 각종 접착성 보호 필름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탭 필름(310)과 동일한 접착성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8-11>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예를 들면, 실링 장착부(220))의 외주측(실링 장착부의 밸브 기능부(예를 들면, 밸브 기능부(210)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모서리)에는 R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실링 장착부의 내주측(통기로(예를 들면, 통기로(A1)의 에지부))에는 R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실링 장착부의 내주측에 R이 형성되어도 된다. 실링 장착부의 내주측에 R이 형성됨으로써, 실링 장착부의 내주측의 모서리가 깎여 티끌(예를 들면, 수지, 금속 등)이 수용체(100) 내에 낙하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8-12>
다시 도 2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 7에 있어서는, 밸브 기능부(210F) 및 실링 장착부(220F)의 양쪽의 외표면에 있어서 평면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반드시 밸브 기능부(210F) 및 실링 장착부(220F)의 양쪽의 외표면에 있어서 평면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밸브 기능부(210F) 및 실링 장착부(220F) 중 적어도 한쪽의 외표면에 평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8-13>
또한, 상기 실시형태 1∼7의 전지(10)는 이차전지이지만, 전기를 출력하는 것이면 어떠한 전지라도 되고, 예를 들면, 커패시터, 전기 이중층 콘덴서(EDLC), 리튬 이온 커패시터 등의 축전 디바이스라도 된다. 또한, 이차전지의 종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납축전지, 니켈·수소 축전지, 니켈·카드뮴 축전지, 니켈·철 축전지, 니켈·아연 축전지, 산화은·아연 축전지, 금속 공기 전지, 다가 양이온 전지, 전고체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8-14>
또한,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 실링 장착부(220, 220A∼220J) 등과 포장 재료(110, 120) 사이에, 실링 장착부(220) 등 및 포장 재료(110, 120)의 양쪽과 접착하도록 구성된 접착성 필름이 배치되어도 된다. 이하, 그와 같은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2는, 밸브 장치(200K)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XXXIII-XXXIII 단면도이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밸브 장치(200K)는 밸브 기능부(210K)와, 실링 장착부(220K)와, 접착성 필름(600)을 포함하고 있다. 즉, 밸브 장치(200K)에 있어서는, 실링 장착부(220K)에 접착성 부재에 상당하는 접착성 필름(600)이 미리 장착되어 있다.
밸브 기능부(210K) 및 실링 장착부(220K)는 금속제이다. 밸브 기능부(210K) 및 실링 장착부(220K)는 알루미늄, 놋쇠 또는 스테인레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기능부(210K) 및 실링 장착부(220K)는 반드시 금속제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수지제라도 된다.
접착성 필름(600)은 히트 실링에 의해, 실링 장착부(220K) 및 포장 재료(110, 120)의 열융착성 수지층(35)(도 9)의 양쪽에 접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착성 필름(600)으로서는, 공지의 각종 접착성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접착성 필름(600)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PPa)의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PP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및 PPa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PPa 수지를 대신하여, 아이오노머 수지, 변성 폴리에틸렌, EVA 등의 금속 접착 가능한 수지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성 필름(600)은, PPa/PEN(심재)/PPa로 이루어지는, 심재가 포함되어 있는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채용하고 있다. 심재로서는, 상기한 PEN 이외에도 공지의 각종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심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여도 되고, 폴리아미드 섬유여도 되고, 카본 섬유여도 된다.
접착성 필름(600)은, 실링 장착부(220K)의 외주를 덮은 상태에서 실링 장착부(220K)에 접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성 필름(600)은 포장 재료(110, 120)의 열융착성 수지층(35)에도 접착되므로, 밸브 장치(200K)에 의하면, 실링 장착부(220K)가 금속제여도, 히트 실링에 의해 밸브 장치(200K)와 포장 재료(110, 120)를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실링 장착부(220K)가 수지제였다고 해도, 접착성 필름(600)은 포장 재료(110, 120)의 열융착성 수지층(35)에 확실하게 접착하므로, 밸브 장치(200K)에 의하면, 밸브 장치(200K)와 포장 재료(110, 120)를 히트 실링에 의해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특히, 실링 장착부(220K)가 수지 중 테프론(등록상표)제인 경우에는, 접착성 필름(600)이 보다 유효하게 작용한다. 그리고, 도 32의 XXXIII-XXXIII 단면의 형상은, 헤드라이트 형상(원형부(613)와 날개형 연장 단부(614, 615)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즉, 도 32의 XXXIII-XXXIII 단면의 형상은, 전체 주변이 만곡된 형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부(613)의 외주 단면이 볼록한 만곡이며, 이 원형부(613)의 양단측과 날개형 연장 단부(614, 615)의 근원측은 외주 단면이 오목한 만곡으로 완만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실링 장착부(220K)의 외주에 대하여 접착성 필름(600)을 간극을 생기지 않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필름(600)의 폭 방향의 길이 W1은, 실링 장착부(220K)의 폭 방향의 길이 W2보다 길다. 즉, 밸브 장치(200K)에 있어서는, 접착성 필름(600)이 실링 장착부(220K)의 외주의 일주 이상의 범위에 미친다(도 33). 따라서, 밸브 장치(200K)에 의하면, 접착성 필름(600)의 배치 범위가 넓으므로, 밸브 장치(200K)와 포장 재료(110, 120)의 접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필름(600)의 배치 범위는, 실링 장착부(220K)의 하단에 이르고 있다. 이 이유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K)가 장착되는 수용체(100)에는 이차전지가 수용된다. 이 경우에, 실링 장착부(220K)(금속)의 노출 범위가 넓으면, 이차전지의 전극과 실링 장착부(220K)가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단락이 생기기 쉬워진다. 밸브 장치(200K)에 있어서는, 접착성 필름(600)의 배치 범위가 실링 장착부(220K)의 하단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밸브 장치(200K)에 의하면, 밸브 장치(200K)가 원인으로 단락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성 필름(600)은, 실링 장착부(220K)의 하단보다 더욱 아래쪽으로 비어져나오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8-15>
또한,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는, 각 밸브 장치(밸브 장치(200, 200A∼200J))의 헬륨 누출량에 관한 것이며, 특별히 설명하지 않았다. 각 밸브 장치의 헬륨 누출량은,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양이어도 된다. 이하, 각 밸브 장치의 대표예로서, 밸브 장치(200)의 헬륨 누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실시형태 2∼7)에서의 헬륨 누출량으로서도, 밸브 장치(200)의 헬륨 누출량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장치(200)는, 수용체(100) 내에서 발생한 가스에 기인하여 수용체(100)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수용체(100) 내의 가스를 외부에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만일 밸브 장치(200)의 밀봉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수용체(100) 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었다고 해도 밸브 장치(200)가 기능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밸브 장치(200)의 밀봉성이 필요 이상으로 낮은 경우에는, 평상시(수용체(100) 내의 압력이 소정값 미만일 때)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수용체(100) 내에 수증기(수분)가 침입할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는, 밸브 장치(200)의 헬륨 누출량을 조정함으로써, 밸브 장치(200)가 고도의 밀봉성과, 수용체(100) 내로의 수증기의 침입의 고도의 억제를 양립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25℃ 환경에 있어서, JIS Z2331:2006 「헬륨 누출 시험 방법」의 「진공 분사법(스프레이법)」에 규정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밸브 장치(200)의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의 헬륨 누출량이 5.0×10-11Pa·㎥/sec 이상, 5.0×10-6Pa·㎥/sec 이하인 경우에, 밸브 장치(200)의 고도의 밀봉성과, 수용체(100) 내로의 수증기의 침입의 고도의 억제를 양립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따라서, 밸브 장치(200)의 헬륨 누출량은, 25℃ 환경에 있어서 상기 규격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에, 5.0×10-11Pa·㎥/sec 이상, 5.0×10-6Pa·㎥/sec 이하라도 된다. 그리고, 밸브 장치(200)의 2차측이란, 밸브 장치(200)가 수용체(100)에 장착된 경우에서의 수용체(100)의 외측을 나타낸다. 또한, 밸브 장치(200)의 1차측이란, 밸브 장치(200)가 수용체(100)에 장착된 경우에서의 수용체(100)의 내측을 나타낸다.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헬륨 누출량의 상한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4.5×10-6Pa·㎥/sec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10-6Pa·㎥/sec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10-7Pa·㎥/sec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10-8Pa·㎥/sec 이하를 들 수 있고, 하한에 대해서는, 5.0×10-11Pa·㎥/sec 이상으로 하고,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5.0×10-11Pa·㎥/sec로부터 4.5×10-6Pa·㎥/sec 정도, 5.0×10-11Pa·㎥/sec로부터 1.0×10-6Pa·㎥/sec 정도, 5.0×10-11Pa·㎥/sec로부터 1.0×10-7Pa·㎥/sec 정도, 5.0×10-11Pa·㎥/sec로부터 1.0×10-8Pa·㎥/sec 정도를 들 수 있다.
헬륨 누출량이 상기의 상한을 충족시킴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수용체(100) 내로의 수증기(수분)의 침입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헬륨 누출량이 상기의 하한을 충족시킴으로써, 수용체(100) 내에서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헬륨 누출량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수용체(100)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안정적으로 수용체(100)의 외부에 방출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그와 같은 밸브 장치가 장기간 개방되지 않고 전지 셀이 계속해서 사용되면, 내압(內壓)이 설계값까지 상승한 경우에도 밸브 장치가 적절하게 개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헬륨 누출량이 5.0×10-11Pa·㎥/sec로부터 2.0×10-10Pa·㎥/sec 정도의 범위, 나아가 5.0×10-11Pa·㎥/sec로부터 1.5×10-10Pa·㎥/sec 정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면, 외부 환경으로부터 수용체(100)로의 수증기(수분)의 침입을, 특히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헬륨 누출량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체크 밸브에서는 행해지고 있지 않은 높은 수준으로, 밸브 기구의 밸브 시트와 볼이 접하는 부분의 형상을 지극히 정밀도 높게 설계·가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헬륨 누출 시험은 이하의 요령으로 행해진다. 즉, 헬륨 누출 시험에 있어서는, JIS Z2331:2006 「헬륨 누출 시험 방법」의 「진공 분사법(스프레이법)」에 규정된 방법에 준거하여, 밸브 장치(200)의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의 헬륨 누출량이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장치로서 헬륨 리크 디텍터를 이용한다. 또한, 밸브 장치(200)의 가스 밸브(밸브 기능부(210))를 누출 테스트용 지그(가스 밸브가 막혀 있는 더미 밸브 장치를 넣은 경우에는, 헬륨 누출이 없는 것을 확인한 지그)에 설치하여, 테스트 포트를 통하여 헬륨 리크 디텍터에 설치한다. 지그와 헬륨 리크 디텍터 사이에서도, 헬륨 누출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그 후, 밸브 장치(200)의 1차측으로부터 13Pa로 진공으로 하고, 밸브 장치(200)의 2차측으로부터 99.99%의 헬륨 가스를 스프레이하고, 측정을 개시한다. 스프레이는 1∼2초간, 대기 시간은 2∼4초간으로 하여, 평가 결과를 기록한다. 그리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JIS Z2331:2006 「헬륨 누출 시험 방법」의 「진공 외복(外覆)법(진공 후드법」에 규정된 방법에 준거하여, 동일한 밸브 장치(200)에 대하여, 용적 50ml의 후드를 씌워서 20초간 대기시키고, 측정 결과가 동일한 것을 확인해도 된다. 측정 환경 온도는, 모두 25℃이다.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1차측과 2차측의 차압(즉, 밸브 장치(200)의 개방 압력)으로서는, 하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0.05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MPa 이상을 들 수 있고, 상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1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MPa 이하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05∼1MPa 정도, 0.05∼0.3MPa 정도, 0.1∼1MPa 정도, 0.1∼0.3MPa 정도를 들 수 있다. 이들 차압을 충족시킴으로써, 수용체(100)의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가스를 외부에 바람직하게 방출할 수 있고, 또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수증기(수분)의 침입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밸브 장치(200)가 장착된 전지(10)(수용체(100))의 내부의 설정 압력으로서는, 일정 압력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압의 설정값은, 밸브 장치 부착 포장체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0.1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10-2MPa 이하이며, 하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약 1.0×10-10MPa 이상을 들 수 있고, 해당 내부 압력이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1.0×10-10∼0.1MPa 정도, 1.0×10-10∼1.0×10-2MPa 정도를 들 수 있다.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헬륨 누출량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 장치(200)의 밸브 기능부(210)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예를 들면, 볼(214), O링(212), 스프링(216), 배기구(O1))의 재료, 형상, 크기, 나아가 스프링(216)에 의한 볼(214)을 누르는 힘 등을 설계함으로써, 헬륨 누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 기구의 볼(214) 또는 O링(212)의 한쪽에 탄성체를 사용하고, 다른 쪽에 금속 등의 고경도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헬륨 누출량을 5.0×10-11Pa·㎥/sec 이상, 5.0×10-6Pa·㎥/sec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기 쉬워진다. 헬륨 누출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밸브 기구의 볼(214) 및 O링(212)의 양쪽에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헬륨 누출량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수용체(100)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적절하게 외부에 방출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밸브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료, 형상, 크기 등에 대해서는 적절히 조정한다. 예를 들면, 밸브 기구에 있어서, 볼(214)과 접촉하는 O링(212)의 개소가, 볼(214)의 표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면, 헬륨 누출량을 상기 범위로 설계하기 쉽다.
즉, 밸브 장치(200)에 있어서, 헬륨 누출량을 5.0×10-11Pa·㎥/sec로부터 2.0×10-10Pa·㎥/sec 정도의 범위, 나아가 5.0×10-11Pa·㎥/sec로부터 1.5×10-10Pa·㎥/sec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체크 밸브에서는 행해지고 있지 않은 높은 수준으로, 밸브 기구의 O링(212)과 볼(214)이 접하는 부분의 형상을 지극히 정밀도 높고 설계·가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볼(214)과 접촉하는 O링(212) 개소 및 볼(214) 표면의 표면 평균 거칠기를 20um 이하, 바람직하게는 5u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um 이하로 하는 것 등이 유효하다. 다만, 지나치게 고정밀도인 것끼리를 접촉시킨 경우에는 밸브 장치(200)가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는다(밸브 기능부(210)가 개방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표면 거칠기는, 헬륨 누출량이 상기 범위로 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8-16>
또한, 상기 실시형태 1∼7에 있어서는, 각 밸브 장치를 통하여 수용체(100)의 내부로부터 수용체(100)의 외부에 가스가 방출된 후에서의 수용체(100)의 두께 방향의 최대 변형률(이하, 단지 「최대 변형률」이라고도 함)에 관하여, 특별히 설명하지 않았다. 수용체(100)의 두께 방향의 최대 변형률은,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크기여도 된다. 이하, 대표예로서, 상기 실시형태 1에서의, 수용체(100)의 최대 변형률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실시형태 2∼7)에서의, 수용체(100)의 최대 변형률로서도, 실시형태 1에서의, 수용체(100)의 최대 변형률을 적용할 수 있다.
전지(10)는 수용체(100)와, 밸브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체(100)는 적어도, 기재층, 배리어층 및 열융착성 수지층을 이 순서로 가지는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용체(100)는 전지 소자(400)를 내부에 수용한다. 밸브 장치(200)는 수용체(100)의 내부와 연통한다. 밸브 장치(200)는, 수용체(100)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에 기인하여 수용체(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한 경우에 이 압력을 저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체(100)의 내부 가스가 밸브 장치(200)를 통하여 수용체(100)의 외부에 방출된 후에서의 수용체(100)(포장 재료(110, 120))의 두께의 최대 변형률은 30% 미만이어도 된다. 즉, 전지(10)에 있어서는, 해당 두께의 최대 변형률이 30% 미만으로 되도록, 밸브 장치(200)의 개방 압력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전지(10)에 의하면,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것에 의해, 적절한 타이밍에서 밸브 장치(200)를 통하여 가스가 방출되므로, 가스의 방출 후의 수용체(100)에 큰 주름이 형성되는 문제나, 가스의 방출 후의 수용체(100)의 형상이 크게 변형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10)에 있어서는, 수용체(100)의 최대 변형률과 밸브 장치(200)의 개방 압력의 관계에 착안하여, 해당 최대 변형률을 3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지(10)에 있어서는, 가스 방출 후의 수용체(100)에 주름이 형성되는 문제나, 가스 방출 후의 수용체(100)의 형상이 크게 변형되는 문제가 생기기 전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가스가 밸브 장치(200)를 통하여 수용체(100)의 외부에 방출된다. 즉, 수용체(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했을 때, 수용체(100)의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여, 두께가 30% 얇아지기 전에 밸브 장치(200)가 개방되도록, 밸브 장치(200)의 개방 압력을 설정하여 둠으로써, 밸브 장치(200)가 개방된 후에 수용체(100)에 큰 주름이 형성되는 문제나, 밸브 장치(200)가 개방된 후에 수용체(100)의 형상이 크게 변형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해당 최대 변형률의 상한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2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이하를 들 수 있다. 또한, 해당 최대 변형률의 하한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이상을 들 수 있다. 최대 변형률이 이와 같은 값을 가지는 것에 의해, 가스 방출 후의 수용체(100)에 큰 주름이 형성되는 문제나, 가스 방출 후에 수용체(100)의 형상이 크게 변형되는 문제가 생기기 전의 보다 적절한 타이밍에서 가스를 수용체(100)의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해당 최대 변형률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2% 이상 30% 미만 정도, 4% 이상 28% 이하 정도를 들 수 있다.
수용체(100)의 최대 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먼저, 최대 변형률의 측정 대상으로 하는 동일한 수용체(100)를 2개 준비한다. 다음으로, 각 수용체(100)의 외표면에, 1㎜ 간격으로 격자형으로 선을 긋는다. 이 때, 2개의 수용체(100)의 외표면에 그리는 선의 위치는 동일하게 한다. 다음으로, 한쪽의 수용체(100)에 대하여, 밸브 장치(200)를 봉지하여 수용체(100)에 다른 통기로를 설치하거나, 밸브 장치(200)로부터 밸브 기능을 제거하여 통기로로 하고, 통기로로부터 수용체(100)의 내부에 공기를 송입하고, 내압을 1MPa까지 상승시켜 수용체(100)를 팽창시킨다. 다음으로, 통기로로부터 공기를 제거하여 상압으로 하고, 상기의 격자형의 선을 따라, 수용체(100)를 절단하고, 단면의 두께를 측정한다. 공기를 송입하지 않은 수용체(100)에 대해서도, 상기의 격자형의 선을 따라, 수용체(100)를 절단하고, 단면의 두께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공기를 송입하지 않은 수용체(100)의 동일한 위치에서의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두께가 가장 얇아져 있던 부분을 최대 변형률 개소로 하고, 최대 변형률 개소에서의 두께의 감소 비율(%)을 최대 변형률(%)로 한다. 예를 들면, 내압을 상승시키고 있지 않은 수용체(100)에 대하여, 최대 변형률 개소의 두께가 100㎛이며, 내압을 상승시킨 수용체(100)의 해당 개소의 두께가 70㎛였을 경우에는, 최대 변형률은 30%이다.
10 : 전지
31 : 기재층
32 : 접착제층
33 : 배리어층
34 : 접착층
35 : 열융착성 수지층
40, 40I, 41, 41I : 날개형 연장 단부
50, 51 : 필러
60 : 볼록조부
100 : 수용체
110, 110K, 120 : 포장 재료
112 : 성형부
114, 114K : 플랜지부
116K : 밸브 장치 배치부
130 : 주변 접합부
200, 200A, 200B, 200C, 200D, 200E, 200F, 200G, 200H, 200I, 200J, 200K : 밸브 장치
210, 210A, 210B, 210C, 210E, 210F, 210G, 210H, 210I, 210J, 210K : 밸브 기능부
211 : 하우징
212 : O링
214 : 볼
216 : 스프링
218 : 멤브레인
220, 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220G, 220H, 220I, 220J, 220K : 실링 장착부
221 : 내측 단
300 : 탭
310 : 탭 필름
400 : 전지 소자
600 : 접착성 필름
613 : 원형부
614, 615 : 날개형 연장 단부
A1, A2, A3, A4, A5, A6 : 통기로
C1 : 중심축
O1 : 배기구
S1 : 내부 공간
S2 : 공간
S3 : 공간
P1 : 주변 접합부의 외측 끝에지
P2 :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
P3 : 플랜지부의 내측 끝에지, 성형부의 외측 끝에지
K1 : 제1 라인
K2 : 제2 라인
K3 : 제3 라인

Claims (15)

  1. 전지 소자와, 수용체와, 밸브 장치를 구비하는 전지로서,
    상기 수용체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지 소자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측과 반대인 제2 측으로부터 덮는 제2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수용체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과 연통(連通) 가능하며,
    상기 수용체에는, 상기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제2 수용 부분이 각각의 주변부를 따라 융착됨으로써, 주변 접합부(peripheral edge bonded part)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변 접합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제2 수용 부분 사이에 끼어 있고,
    상기 제1 수용 부분은,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접합부보다 상기 전지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측에 팽출한 팽출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장치의 내측 단(端)은, 상기 팽출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수용체의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수용체의 상기 외부 공간에 배출하는 밸브 기구(機構)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수용체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밸브 기구로 유도하는 통기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제1 부분의 외형은, 상기 제2 부분의 외형으로부터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어져나와 있는,
    전지.
  2. 전지 소자와, 수용체와, 밸브 장치를 구비하는 전지로서,
    상기 수용체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지 소자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측과 반대인 제2 측으로부터 덮는 제2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수용체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과 연통 가능하며,
    상기 수용체에는, 상기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제2 수용 부분이 각각의 주변부를 따라 융착됨으로써, 주변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변 접합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제2 수용 부분 사이에 끼어 있고,
    상기 제1 수용 부분은,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접합부보다 상기 전지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측에 팽출한 팽출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상기 팽출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수용체의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수용체의 상기 외부 공간에 배출하는 밸브 기구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수용체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밸브 기구로 유도하는 통기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상기 통기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단면적이 큰,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제1 부분의 외형은, 상기 제2 부분의 외형으로부터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어져나와 있는, 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적어도 상기 주변 접합부의 상기 내측 끝에지까지 도달하고 있는, 전지.
  5. 전지 소자와, 수용체와, 밸브 장치를 구비하는 전지로서,
    상기 수용체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지 소자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측으로부터 덮는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전지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측과 반대인 제2 측으로부터 덮는 제2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수용체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과 연통 가능하며,
    상기 수용체에는, 상기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제2 수용 부분이 각각의 주변부를 따라 융착됨으로써, 주변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변 접합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제2 수용 부분 사이에 끼어 있고,
    상기 제1 수용 부분은, 상기 주변 접합부의 내측 끝에지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접합부보다 상기 전지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측에 팽출한 팽출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장치는, 상기 수용체의 상기 내부 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수용체의 상기 외부 공간에 배출하는 밸브 기구와, 상기 밸브 기구가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상기 팽출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주변 접합부의 상기 내측 끝에지까지 도달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밸브 기구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밸브 기구가 내부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수용체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밸브 기구로 유도하는 통기로가 내부에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제1 부분의 외형은, 상기 제2 부분의 외형으로부터 상기 전지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어져나와 있는,
    전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보다, 상기 통기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단면적이 큰, 전지.
  9.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주변 접합부의 외측 끝에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의 내측 단은, 상기 주변 접합부의 상기 내측 끝에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전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접합부의 상기 내측 끝에지는, 상기 밸브 장치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 장치와 교차하는 제1 라인과, 상기 주변 접합부의 상기 내측 끝에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라인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는 제2 라인 및 제3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제2 라인 및 상기 제3 라인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적어도, 기재층(基材層), 배리어층 및 열융착성(熱融着性) 수지층을 이 순서로 가지고,
    상기 제1 수용 부분과 상기 제2 수용 부분은,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부분의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과 상기 제2 수용 부분의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 사이에 끼어 있는 부분의 외주와,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 사이에는, 상기 끼어 있는 부분 및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의 양쪽에 접착되도록 구성된 접착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전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 환경에 있어서, JIS Z2331:2006 「헬륨 누출 시험 방법」의 「진공 분사법(스프레이법)」에 규정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상기 밸브 장치의 2차측으로부터 1차측으로의 헬륨 누출량이 5.0×10-11Pa·㎥/sec 이상, 5.0×10-6Pa·㎥/sec 이하인, 전지.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내부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밸브 장치를 통하여 상기 수용체의 외부에 방출된 후에서의 상기 수용체의 두께 방향의 최대 변형률은 30% 미만인, 전지.
KR1020207033993A 2018-05-28 2019-05-28 전지 KR20210011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1810A JP6996422B2 (ja) 2018-05-28 2018-05-28 電池
JPJP-P-2018-101810 2018-05-28
PCT/JP2019/021169 WO2019230744A1 (ja) 2018-05-28 2019-05-28 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86A true KR20210011386A (ko) 2021-02-01

Family

ID=6869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993A KR20210011386A (ko) 2018-05-28 2019-05-28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57696A1 (ko)
EP (2) EP3806185B1 (ko)
JP (1) JP6996422B2 (ko)
KR (1) KR20210011386A (ko)
CN (1) CN112272889B (ko)
WO (1) WO2019230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9983A1 (de) 2021-04-20 2022-10-20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für eine Hochvoltbatterie, Hochvoltbatterie und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841A (ja) 2008-11-27 2010-07-08 Jm Energy Corp ラミネート外装蓄電デバイスの安全機構
JP2016031934A (ja) 2014-07-29 2016-03-07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k Innovation Co.,Ltd.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のベンティン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4908B2 (ja) * 1995-11-13 2005-03-30 株式会社今野工業所 密閉電池容器の開裂式安全弁
JP2000100399A (ja) * 1998-09-21 2000-04-07 Toshiba Battery Co Ltd ポリマー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03027041A1 (fr) * 2001-09-26 2003-04-03 Ngk Insulators, Ltd. Pastille fritee ceramique stratifiee, son procede de production, cellule electrochimique, element de jonction electroconducteur pour cellule electrochimique, et dispositif electrochimique
JP3992517B2 (ja) * 2002-03-19 2007-10-17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4552414B2 (ja) * 2003-10-10 2010-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型電池
JP2006092905A (ja) * 2004-09-24 2006-04-06 Toyota Motor Corp ラミネート型電池モジュール
JP4249698B2 (ja) * 2004-11-25 2009-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および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WO2006098242A1 (ja) * 2005-03-17 2006-09-21 Nec Corporation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27258B2 (ja) * 2007-02-08 2013-01-23 株式会社オプトニクス精密 ガス透過性安全弁および電気化学素子
CN201699061U (zh) * 2009-03-17 2011-01-05 林道勇 一种锂离子电池的封装袋
JP5059890B2 (ja) * 2009-03-31 2012-10-31 Jmエナジー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蓄電デバイス
JP2010267593A (ja) * 2009-05-18 2010-11-25 Fuji Heavy Ind Ltd 蓄電デバイス
JP2012156489A (ja) * 2011-01-06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蓄電素子
US9397325B2 (en) * 2012-03-28 2016-07-19 Optnics Precision Co., Ltd Safety vent and electrochemical device
JP2015156322A (ja) * 2014-02-20 2015-08-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
JP2016139483A (ja) * 2015-01-26 2016-08-04 日立化成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TWI517482B (zh) * 2015-02-16 2016-01-11 有量科技股份有限公司 鋰電池的排氣結構
CN205050879U (zh) * 2015-09-10 2016-02-24 浙江虹达特种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锂电池壳
WO2017068802A1 (ja) * 2015-10-22 2017-04-27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低融点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封止材及び封止方法
KR102010012B1 (ko) * 2015-11-26 2019-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FR3054290B1 (fr) * 2016-07-20 2018-11-16 Air Liquide Robinet et dispositif de fluide sous pression et procede d'identification
KR102341465B1 (ko) * 2018-05-10 2021-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벤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841A (ja) 2008-11-27 2010-07-08 Jm Energy Corp ラミネート外装蓄電デバイスの安全機構
JP2016031934A (ja) 2014-07-29 2016-03-07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k Innovation Co.,Ltd.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のベンティン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6185A1 (en) 2021-04-14
JP6996422B2 (ja) 2022-02-21
EP3806185B1 (en) 2024-03-27
WO2019230744A1 (ja) 2019-12-05
EP3806185A4 (en) 2022-02-23
CN112272889A (zh) 2021-01-26
EP4358231A2 (en) 2024-04-24
EP4358231A3 (en) 2024-06-19
CN112272889B (zh) 2023-08-11
US20210257696A1 (en) 2021-08-19
JP2019207781A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204337A1 (en) Battery packaging material having a valve device
KR20210013693A (ko) 전지, 히트 실링 장치, 및 전지의 제조 방법
JP6540871B1 (ja) 蓄電デバイス用弁装置及び蓄電デバイス
WO2020067130A1 (ja) 蓄電デバイス用弁装置及び蓄電デバイス
KR20210011386A (ko) 전지
JP2020050439A (ja) 蓄電デバイス
JP6530850B1 (ja) 電池
WO2020067131A1 (ja) 蓄電デバイス
KR20210011387A (ko) 전지
JP2020053387A (ja) 蓄電デバイス用弁装置及び蓄電デバイス
JP6530847B1 (ja) 電池
JP6530849B1 (ja) 電池
JP2020053177A (ja) 蓄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