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717A -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 Google Patents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717A
KR20210009717A KR1020190086632A KR20190086632A KR20210009717A KR 20210009717 A KR20210009717 A KR 20210009717A KR 1020190086632 A KR1020190086632 A KR 1020190086632A KR 20190086632 A KR20190086632 A KR 20190086632A KR 20210009717 A KR20210009717 A KR 20210009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embolic coil
coil
embolic
lu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501B1 (ko
Inventor
이덕희
정홍희
이유진
이대형
이승현
최예지
김미리
송윤선
황선문
최준호
김태일
전승룡
김준현
맹준영
이가영
Original Assignee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501B1/ko
Priority to US17/627,358 priority patent/US20220265279A1/en
Priority to PCT/KR2020/009445 priority patent/WO2021010788A1/ko
Publication of KR2021000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Coils or wires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4Coils or wires having stretch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Abstract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이 개시된다. 개시된 색전 코일용 앵커는 중공형 본체 및 상기 중공형 본체 내에 배치된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폴리머사와 제1 합금사를 포함하는 편조 복합사(braided composite fiber)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중심축은 상기 제1 합금사와 다른 물질인 제2 합금사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Anchor for embolic coil and embolic coil including the same}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색전 코일의 병변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이 개시된다.
동맥류 및 다른 동-정맥 기형과 같은 혈관 장애 및 결손은 중요 조직(critical tissue) 부근에 위치된 경우 또는 기형부로의 신속한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 특히 치료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두가지 어려움의 요인은 특히 뇌동맥류(cranial aneurysm)에 적용된다. 두개 혈관(cranial blood vessel)을 둘러싸는 민감한 뇌 조직과 제한된 접근으로 인해, 두개 혈관구조의 결손을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매우 도전적이고 흔히 위험하다.
대안적인 치료는 카테터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개되는 색전 코일과 같은 혈관 폐색 장치를 포함한다. 뇌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현재의 바람직한 절차에서, 색전 코일 전달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전형적으로 서혜부 내의 대퇴 동맥을 통해 환자의 비-두개 혈관구조 내로 삽입되고, 두개 내의 소정의 전달 부위로 안내된다. 일단 색전 코일이 정확히 위치되면 이를 해제시키기 위해 유체 압력을 사용하는 것을 비롯한 혈관-폐색 장치를 위한 다수의 전달 기술이, 예를 들어 디아즈(Diaz) 등의 미국등록특허 제6,063,100호 및 제6,179,857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양한 길이, 일반적으로 1 내지 30 센티미터의 길이 및 미리 선택된 강성을 갖는 다수의 색전 코일이 흔히 뇌동맥류 내의 혈류를 제한하기 위해 그리고 색전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뇌동맥류 내에 순차적으로 패킹된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우선 강성의 코일을 이용하여 동맥류 내에 틀(framework)을 형성하고, 이어서 가요성의 코일을 선택하여 틀 내의 공간을 채운다. 이상적으로는, 각각의 코일은 동맥류 및 미리 이식된 코일 둘 모두에 순응하게 된다.
이식 중, 의사는 코일을 전달 시스템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전에 형광투시 시각화(fluoroscopic visualization)와 같은 이미지형성 기술에 의해 관찰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색전 코일이 만족스러운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이를 조작한다. 전달 후 각각의 코일의 양 단부가 동맥류 내에 위치되어 유지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혈관의 주 루멘(main lumen) 내로 돌출되는 소정 길이의 코일이 동맥류 외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응고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한, 색전 코일은 목표 부위로 삽입된 후 그 부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앵커링되거나 혈류의 압력으로 인해 색전 코일이 풀어지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미국등록특허 제5,964,797호 및 제8,152,839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색전 코일은 혈관내에서 앵커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색전 코일이 혈류의 압력으로 인하여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색전 코일의 병변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색전 코일용 앵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공형 본체; 및
상기 중공형 본체 내에 배치된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폴리머사와 제1 합금사를 포함하는 편조 복합사(braided composite fiber)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중심축은 상기 제1 합금사와 다른 물질인 제2 합금사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를 제공한다.
상기 중공형 본체는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머사는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폴리우레탄,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합금사는 백금/텅스텐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합금사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합금사는 니티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본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는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밀봉하는 말단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본체는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심축과 결합된 후 일방향으로 신장되어 자체 밀봉된 형태이고,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는 상기 중공형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밀봉하는 말단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 캡은 백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은 상기 말단 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은 상기 말단 캡에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와 결합된 1차 코일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을 제공한다.
상기 색전 코일은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상기 1차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링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의 일단부와 결합된 제1 허브, 상기 1차 코일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제2 허브, 및 상기 제1 허브와 상기 제2 허브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루어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허브 및 상기 제2 허브는 각각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루어락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각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루어락은 루어락 암부 및 루어락 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어락 암부는 일단부는 폐쇄되고 타단부는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 암나사산, 타측에 형성된 제2 암나사산 및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일단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인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어락 수부는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본체,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산 및 타측에 형성된 제3 암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루어락 암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암나사산은 상기 제1 허브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루어락 암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암나사산은 상기 루어락 수부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루어락 암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루어락 수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루어락 수부에 형성된 상기 제3 암나사산은 상기 제2 허브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의 말단 밀봉부에 결합된 후크 구조 및 상기 1차 코일의 일단부에 결합된 링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구조와 상기 링 구조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1차 코일;
상기 1차 코일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1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상기 1차 코일의 타단부에 결합된 제2 색전 코일용 앵커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는 혈관내에서 색전 코일의 앵커링 특성, 코일 유지 특성 및 혈전 포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색전 코일용 앵커의 중공형 본체를 구성하는 편조 복합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색전 코일용 앵커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의 제1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색전 코일에서 링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색전 코일용 앵커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의 제2 구현예 및 그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색전 코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색전 코일용 앵커(10)의 중공형 본체(12)를 구성하는 편조 복합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10)는 중공형 본체(12) 및 중심축(14)을 포함한다.
색전 코일용 앵커(10)는 비정상 혈관(즉, 꽈리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혈관) 내에 삽입될 경우 따뜻한 혈액에 노출되면 변태온도(transformation temperature)가 체온 범위(30~45℃)로 설정된 중심축(14)이 휘어지고 이에 따라 중공형 본체(12)도 함께 휘어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도 2 및 도 4의 100, 및/또는 도 5의 200)을 혈관 내벽에 앵커링시키거나, 상기 색전 코일의 일부분이라도 비정상 혈관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색전 코일용 앵커(10)는 혈액으로부터 혈전을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공형 본체(12)는 폴리머사(polymer filament)와 제1 합금사(first metal alloy filament)를 포함하는 편조 복합사(braided composite filament)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조 복합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가닥 이상의 폴리머사와 1가닥 이상의 제1 합금사로 이루어진 필라멘트 다발이 함께 편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중공형 본체(12)는 통상의 합금사에 비해 혈전 부착 특성이 우수한 폴리머사로 인해 우수한 혈전 포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공형 본체(12)는 인성 및 강성이 우수한 편조 복합사로 인해 내구성이 높고, 외력에 의한 손상에 강하며, 혈류의 압력에 노출되더라도 풀리기 어려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중공형 본체(12)는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형 본체(12)는 상기 편조 복합사를 망상 구조로 엮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중공형 본체(12)는 유체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체 투과성은 혈액 및 가스 투과성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머사는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이들 중 1종 또는 2종이 각각 1가닥 이상으로 조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폴리우레탄,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이들 중 1종 이상이 각각 1가닥 이상으로 조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3-히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벡트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폴리프탈아미드, 아라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합용 단량체,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용 단량체,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합용 단량체, 상기 폴리에틸렌 중합용 단량체, 상기 폴리부틸렌 중합용 단량체 및 상기 폴리우레탄 중합용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합금사는 백금/텅스텐 와이어(예를 들어, 이들 중 1종 또는 2종이 각각 1가닥 이상으로 조합된 것)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합금사는 10~100㎛(예를 들어, 5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중심축(14)은 중공형 본체(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축(14)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straight shap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심축(14)은 상기 제1 합금사와 다른 물질인 제2 합금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합금사와 다른 물질인 제2 합금사"란 상기 제1 합금사와 상기 제2 합금사가 구성성분들의 종류, 구성성분들의 함량비 및 열처리 조건 등에 따른 물성 중 하나 이상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 합금사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합금사는 체외 온도인 상온(약 25℃)에 노출될 경우에는 형상 변화 없이 본래 형상을 유지하지만, 체내의 고온(30~45℃)에서는 후크 형상으로 수축되고, 다시 상온에 노출될 경우에는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합금사를 포함하는 중심축(14) 및 색전 코일용 앵커(10)도 상기 제2 합금사의 형상 변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합금사를 포함하는 중심축(14) 및 색전 코일용 앵커(10)는 각각 체외 온도인 상온(약 25℃)에 노출될 경우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을 유지하지만, 체내의 고온(30~45℃)에서는 후크 형상으로 수축되고, 다시 상온에 노출될 경우에는 본래의 봉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2 합금사는 니티놀(nitino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니티놀"이란 니켈과 티타늄의 합금으로서, 약 50:50의 니켈:티타늄 원자 백분율을 갖는 합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합금사는 니티놀 55 또는 니티놀 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합금사는 10~300㎛(예를 들어, 5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색전 코일용 앵커(10)는 1개 이상의 말단 캡(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캡(16)은 백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중공형 본체(12)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중공형 본체(12)는 이의 개방된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밀봉하는 1개 또는 2개의 말단 캡(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중심축(14)은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말단 캡(16)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가 모두 말단 캡(16)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본체(12)는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중심축(14)과 결합된 후 일방향으로 신장되어 자체 밀봉된(self-sealed)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형 본체(12)는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중심축(14)과 결합된 후 중심축(14)의 단부와 함께 일방향으로 신장되어 자체 밀봉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중공형 본체(12)는 이의 개방된 단부를 밀봉하는 1개의 말단 캡(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중심축(14)은 일단부가 말단 캡(16)에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색전 코일용 앵커(10)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100)의 제1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은 도 2의 색전 코일(100)에서 링크(3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색전 코일(100)은 색전 코일용 앵커(10) 및 1차 코일(2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색전 코일(100)은 1개 이상의 색전 코일용 앵커(10) 및 1개 이상의 1차 코일(20)을 포함할 수 있다.
색전 코일(100)은 비정상 혈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비정상 혈관 내로 혈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비정상 혈관을 폐색함과 동시에 정상 혈관 내로 흐르는 혈액으로부터 혈전을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색전 코일용 앵커(10)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차 코일(20)은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100)이 비정상 혈관에 삽입될 경우 상기 비정상 혈관의 내부를 채워서 상기 비정상 혈관의 내부로 혈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폐색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1차 코일(20)은 비정상 혈관 내에서 색전 코일용 앵커(10)에 비해 패킹 밀도가 높도록, 예를 들어, 밀집된 코일 또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20)은 색전 코일용 앵커(10)보다 우수한 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20)은 권취된 리본(ribbon wou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20)은 제3 합금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합금사는 백금/텅스텐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색전 코일(100)은 링커(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커(30)는 색전 코일용 앵커(10) 및 1차 코일(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링커(30)는 그 일단부가 색전 코일용 앵커(10)의 가늘게 신장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1차 코일(20)에서 연장된 상기 제3 합금사의 가는 가닥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링커(30)는 색전 코일용 앵커(10) 및 1차 코일(20)이 결합되는 부위의 직경과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링커(30)는 제1 허브(31), 제2 허브(34) 및 루어락(32, 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허브(31)는 색전 코일용 앵커(10)의 일단부(10a)(예를 들어, 일방향으로 신장된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허브(31)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허브(34)는 1차 코일의 일단부(20a)(예를 들어, 제3 합금사의 가닥)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허브(34)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루어락(32, 33)은 제1 허브(31)와 제2 허브(34)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루어락(32, 33)은 일측에는 제1 허브(31)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산(32-2)을 포함하고, 타측에는 제2 허브(34)의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산(33-3)을 포함할 수 있다.
루어락(32, 33)은 루어락 암부(32) 및 루어락 수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루어락 암부(32)는 본체(32-1), 제1 암나사산(32-2), 제2 암나사산(32-3) 및 돌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2-1)는 일단부는 폐쇄되고 타단부는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암나사산(32-2)은 본체(32-1)의 일측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암나사산(32-2)은 제1 허브(31)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암나사산(32-3)은 본체(32-1)의 타측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암나사산(32-3)은 후술하는 루어락 수부(33)에 형성된 수나사산(33-2)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32-4)는 본체(32-1)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그 일단부는 본체(32-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자유단(free end)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32-4)는 전체적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2-4)는 후술하는 루어락 수부(33)에 형성된 본체(33-1)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어락 암부(32)의 돌출부(32-4)가 루어락 수부(33)의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루어락 암부(32)와 루어락 수부(33)는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루어락 수부(33)는 본체(33-1), 수나사산(33-2) 및 제3 암나사산(3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3-1)는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체(33-1)는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수나사산(33-2)은 본체(33-1)의 일측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3 암나사산(33-3)은 본체(33-1)의 타측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암나사산(33-3)은 제2 허브(34)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상술한 루어 락 형태의 링커 외에 다른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링커는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의 말단 밀봉부(이는 일단부 합금사(즉, 중공형 본체(12))를 모아 말단 밀봉 처리하여 형성된 것임)에 결합된 후크 구조 및 상기 1차 코일의 일단부에 결합된 링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구조와 상기 링 구조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색전 코일용 앵커(10)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200)의 제2 구현예 및 그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색전 코일(200)은 1차 코일(20) 및 2개의 색전 코일용 앵커(10)를 포함한다.
2개의 색전 코일용 앵커(10) 중 1개(즉, 제1 색전 코일용 앵커)는 1차 코일(2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1개(즉, 제2 색전 코일용 앵커)는 1차 코일(2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색전 코일(200)을 비정상 혈관(즉, 꽈리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혈관)에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정상혈관(1)에서부터 비정상 혈관의 입구까지 카테터와 같은 미세도관(2)을 삽입한다.
이후, 미세도관(2) 내에 색전 코일(200)을 삽입한다.
이후, 푸셔 와이어(3)로 색전 코일(200)을 밀어 색전 코일(200)을 비정상 혈관 내로 삽입한다.
비정상 혈관 내에 삽입된 색전 코일(200)은 비정상 혈관의 벽쪽에 위치한 색전 코일용 앵커(10)가 앵커링 작용을 하고, 비정상 혈관의 입구쪽에 위치한 다른 색전 코일용 앵커(10)가 지지 작용을 함으로써 비정상 혈관을 이탈하지 않고 비정상 혈관 내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색전 코일(200)(특히, 1차 코일(20))이 정상혈관(1)의 혈류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색전 코일(200)이 혈류의 압력으로 인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혈관 2: 미세도관
3: 푸셔 와이어 10: 색전 코일용 앵커
12: 중공형 본체 14: 중심축
16: 말단 캡 20: 1차 코일
30: 링커 31, 34: 허브
10a, 20a: 말단 밀봉부 32, 35: 허브 체결부
32: 루어락 암부 32-1, 33-1: 루어락 본체
32-2, 32-3, 33-3: 암나사산 33-2: 수나사산
32-4: 돌출부 33: 루어락 수부
100, 200: 색전 코일

Claims (19)

  1. 중공형 본체; 및
    상기 중공형 본체 내에 배치된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본체는 폴리머사와 제1 합금사를 포함하는 편조 복합사(braided composite fiber)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중심축은 상기 제1 합금사와 다른 물질인 제2 합금사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망상 구조를 갖는 색전 코일용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사는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폴리우레탄,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금사는 백금/텅스텐 와이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금사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금사는 니티놀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밀봉하는 말단 캡을 더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일단부는 개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중심축과 결합된 후 일방향으로 신장되어 자체 밀봉된 형태이고, 상기 중공형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밀봉하는 말단 캡을 더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캡은 백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용 앵커.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말단 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색전 코일용 앵커.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말단 캡에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된 색전 코일용 앵커.
  13. 제1항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와 결합된 1차 코일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상기 1차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링커를 더 포함하는 색전 코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의 일단부와 결합된 제1 허브;
    상기 1차 코일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제2 허브; 및
    상기 제1 허브와 상기 제2 허브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루어락을 포함하는 색전 코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허브 및 상기 제2 허브는 각각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루어락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각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산이 형성되어 있는 색전 코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락은 루어락 암부 및 루어락 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어락 암부는 일단부는 폐쇄되고 타단부는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제1 암나사산, 타측에 형성된 제2 암나사산 및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일단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인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어락 수부는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본체, 일측에 형성된 수나사산 및 타측에 형성된 제3 암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루어락 암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암나사산은 상기 제1 허브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루어락 암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암나사산은 상기 루어락 수부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루어락 암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루어락 수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루어락 수부에 형성된 상기 제3 암나사산은 상기 제2 허브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색전 코일.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상기 색전 코일용 앵커의 말단 밀봉부에 결합된 후크 구조; 및
    상기 1차 코일의 일단부에 결합된 링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구조와 상기 링 구조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색전 코일.
  19. 1차 코일;
    상기 1차 코일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1항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상기 1차 코일의 타단부에 결합된 제1항에 따른 색전 코일용 앵커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KR1020190086632A 2019-07-17 2019-07-17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KR102316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32A KR102316501B1 (ko) 2019-07-17 2019-07-17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US17/627,358 US20220265279A1 (en) 2019-07-17 2020-07-17 Anchor for embolic coils, and embolic coil comprising same
PCT/KR2020/009445 WO2021010788A1 (ko) 2019-07-17 2020-07-17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32A KR102316501B1 (ko) 2019-07-17 2019-07-17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17A true KR20210009717A (ko) 2021-01-27
KR102316501B1 KR102316501B1 (ko) 2021-10-22

Family

ID=7421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632A KR102316501B1 (ko) 2019-07-17 2019-07-17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65279A1 (ko)
KR (1) KR102316501B1 (ko)
WO (1) WO202101078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2837A (ja) * 1998-04-28 2002-05-08 マイクロ ベン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塞栓形成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2034907B1 (en) * 2006-06-21 2012-05-30 Boston Scientific Limited Embolic coils and related components and systems
US20130267992A1 (en) * 2006-04-05 2013-10-10 Tri D. Tran Vaso-occlusive devices having expandable fibers
US20180303486A1 (en) * 2013-05-06 2018-10-25 Sequent Medical, Inc. Embolic Occlus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2851B2 (en) * 2001-09-20 2004-10-12 Gordia Neurovascular, Inc. Stent aneurysm embolization method using collapsible member and embolic coi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2837A (ja) * 1998-04-28 2002-05-08 マイクロ ベン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塞栓形成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30267992A1 (en) * 2006-04-05 2013-10-10 Tri D. Tran Vaso-occlusive devices having expandable fibers
EP2034907B1 (en) * 2006-06-21 2012-05-30 Boston Scientific Limited Embolic coils and related components and systems
US20180303486A1 (en) * 2013-05-06 2018-10-25 Sequent Medical, Inc. Embolic Occlusion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788A1 (ko) 2021-01-21
KR102316501B1 (ko) 2021-10-22
US20220265279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3667B2 (en) Filamentary devices for treatment of vascular defects
US20230338035A1 (en) Filamentary devices for treatment of vascular defects
CN110573092B (zh) 血管阻塞装置和方法
US20210378646A1 (en) Multi-layer braided structures for occluding vascular defects
EP1761178B1 (en) Metallic coils enlaced with biological or biodegradable or synthetic polymers or fibers for embolization of a body cavity
CA2394581C (en) Occlusive coil manufacture and delivery
JP4074432B2 (ja) 血管閉塞コイル
US20120283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large and giant vascular defects
US20050187564A1 (en) Occlusive coil manufacturing and delivery
US20050107823A1 (en) Anchored stent and occlusive device for treatment of aneurysms
CN106691521B (zh) 一种封堵器
BRPI1103162A2 (pt) dispositivo oclusivo com membro resistente a estiramento e filamento áncora
KR102316501B1 (ko) 색전 코일용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색전 코일
US20150305750A1 (en) Foam occlusion device
JP2020189223A (ja) 複数の捕捉モードを有するivcフィルタ回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