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115A -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115A
KR20210009115A KR1020190085691A KR20190085691A KR20210009115A KR 20210009115 A KR20210009115 A KR 20210009115A KR 1020190085691 A KR1020190085691 A KR 1020190085691A KR 20190085691 A KR20190085691 A KR 20190085691A KR 20210009115 A KR20210009115 A KR 20210009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power
indoor environmen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932B1 (ko
Inventor
김병조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텍
Priority to KR102019008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9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모니터링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며,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어지고,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조명 및 모니터링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의 내측에 원형의 형성되어 상기 조명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모니터링부가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조명의 전원 및 모니터링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실내 환경을 모니터링 하도록 형성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가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의 작동 및 모니터링부의 작동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부를 통해 실내 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unit to connected of ceiling type lighting fixtures rotary-connected type connectors}
본 발명은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모니터링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며,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어지고,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조명 및 모니터링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을 이용한 등기구의 경우, 형광등과 안정기, 그리고 형광등 갓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등기구를 주택 등의 천정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미 설치된 등기구 전체를 철거하여 새로운 등기구로 교체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한 후에 천정에 노출된 전원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고, 등기구의 갓을 통해 노출된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절연테이프로 절연시킨 다음, 스크류를 이용하여 등기구를 천정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천정에 등기구만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하나의 기구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IT/전기·전자/통신산업분야의 기술발전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의 기술 제품과 융합이 필요하고 이를 적용 및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천정 내의 공간에 위치하는 케이스와, 내부에 전도체를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결합봉이 수직하게 돌출되어있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얇은 판 부재로 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가 끼워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걸림돌기와, 판 부재로 되어있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케이스 둘레를 따라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결합봉의 내부에 구비된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인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천정 고정식 베이스에; 전구가 끼워지는 조명 갓과, 상기 조명 갓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구결합부와, 상기 조명 갓의 상부에 구비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전도체로 된 플러그와, 상기 접속부의 측면에는 구비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등기구를 결합하는 등기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종래의 문제점인 천정에 등기구만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하나의 기구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65278호(2013.02.04.)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모니터링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며,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어지고,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조명 및 모니터링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는,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의 내측에 원형의 형성되어 상기 조명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모니터링부가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조명의 전원 및 모니터링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실내 환경을 모니터링 하도록 형성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가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의 작동 및 모니터링부의 작동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부를 통해 실내 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조명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에는 전원이 삽입부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가 형성되고, 삽입부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 또는 결합홈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의 외벽면에 전원단자와 결합홈 또는 결합체가 형성되어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단자부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의 고정부재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변환시켜 제어부로 전송하는 컨버터;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 상기 컨버터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 실내의 공기를 감지하여 공기질,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릴레이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부의 감지값을 표시부재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센서부의 감지값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 공기 중의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더스트 센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공기 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공기 중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모니터링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조명 및 모니터링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와 단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이 다수로 형성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에 모니터링부의 연결체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가 조명과 분리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1)의 내측에 원형의 형성되어 상기 조명(1)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13)가 형성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모니터링부(70)가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20) 및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조명(1)의 전원 및 모니터링부(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실내 환경을 모니터링 하도록 형성되는 모니터링부(7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70)가 삽입부(10)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1)의 작동 및 모니터링부(70)의 작동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부(70)를 통해 실내 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10)는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조명(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1)에는 전원이 삽입부(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4)가 형성되고, 삽입부(10)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5) 또는 결합홈(6)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10)의 외벽면에 전원단자(4)와 결합홈(6) 또는 결합체(5)가 형성되어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70)는,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20)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71); 상기 연결체(71)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72); 상기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변환시켜 제어부(77)로 전송하는 컨버터(74); 상기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20)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73); 상기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75); 실내의 공기를 감지하여 공기질,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6); 상기 릴레이(73)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1)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부(76)의 감지값을 표시부재(p)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77) 및 상기 제어부(77)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고, 센서부(76)의 감지값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재(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76)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76a); 공기 중의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더스트 센서(76b);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6c); 공기 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76d) 및 공기 중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센서(76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1)의 내측에 원형의 형성되어 상기 조명(1)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13)가 형성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모니터링부(70)가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20) 및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조명(1)의 전원 및 모니터링부(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실내 환경을 모니터링 하도록 형성되는 모니터링부(7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70)가 삽입부(10)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1)의 작동 및 모니터링부(70)의 작동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어하며, 모니터링부(70)를 통해 실내 환경을 감지하여 스마트폰 또는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와 단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 연결전극과 단자부의 인가전극이 다수로 형성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에 모니터링부의 연결체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삽입부가 조명과 분리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10)는 천정에 형성되는 조명(1)의 내측에 조명(1)의 바닥면보다 천정측으로 깊게 형성되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 일부에 단자부(20)의 연결단자가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인가단자는 양측에 한쌍 또는 다수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단자부(20)에 결합되는 별도로 형성되는 모니터링부(70)에 구비되는 장치에 따라 숫자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부(20)에 연결되는 모니터링부(70)가 하나인 경우 또는 복합형이나 전원을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기구인 경우 한쌍의 인가단자 만으로도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벽면에 한쌍의 인가단자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도록 단자부(20)의 연결단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가단자는 한쌍일 경우 벽면에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단자부(20)의 연결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다수쌍일 경우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자부(20)를 덮으며 형성되는 연결전극(21)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0)는 조명(1)의 내측에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1)에는 전원이 삽입부(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4)가 형성되고, 삽입부(10)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5) 또는 결합홈(6)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10)의 외벽면에 전원단자(4)와 결합홈(6) 또는 결합체(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0)는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하측면에서 슬라이드 회전될 수 있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하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0)의 중앙측에는 모니터링부(70)의 연결체(71)가 일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전극이 연결체(71)까지 연결되어 단자부(20)가 삽입부(10)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단자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전극(21)은 모니터링부(70)의 종류에 따라 한쌍 또는 다수쌍으로 형성되는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자부(20)의 양단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10)의 벽면에 형성되는 인가단자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전극(21)이 다수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자부(20)의 회전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단자부(20)를 덮으며 형성되어 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인가전극(11)이 형성되며, 인가전극(11)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연결전극(21)이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20)는 모니터링부(70)의 연결체(71) 상측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어 모니터링부(70)를 통해 단자부(20)를 회전시킴으로서 단자부(20)의 연결단자가 삽입부(10)의 인가단자에 연결되어 모니터링부(7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단자부(20)는 삽입부(10)의 바닥면을 따라 수평방향 90°각도로 회전하여 연결전극(21)과 인가전극(11)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단자부(20)의 회전각도가 한정되도록 다수의 걸림돌기(12)가 삽입부(10)의 벽면측 바닥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는(20)는 선풍기부(70)의 연결체(71)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원이 선풍기부(70)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연결체(71)의 회전을 통해 단자부(20)가 삽입부(1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어 고정 및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20)는 연결되는 전원에 따라 복합형 모니터링부(7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되는 연결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단자부(20)는 모니터링부(70)의 연결체(71)에 일체로 결합된 뒤 회전되지 않으면 단자부(20)의 연결단자와 삽입부(10)의 인가단자가 연결되지 않아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단자부(20)에 모니터링부(70)가 결합된 상태로 단자부(20)가 90° 회전되어 연결단자와 인가단자가 연결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단자부(20)를 통해 모니터링부(70)로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단자부(20)의 하측에는 단자부(20)가 삽입부(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차단체(30)가 삽입부(10)의 중앙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자부(20)의 양측이 걸려 삽입부(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단체(3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이 개구되므로, 단자부(20)의 중앙이 하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체(71)가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체(30)의 하부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차단부와 단자부(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판(4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40)은 상기 단자부(20)와 모니터링부(70)가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40)의 하측에는 회전판(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돌기(50)가 삽입부(10)의 벽면측에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돌기(50)의 하측에는 차폐판(60)이 형성되어 차단돌기(50)를 가려 외부에서 차단돌기(50)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판(40)과 차단돌기(5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자부(20)가 연결모듈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0)에 모니터링부(70)가 삽입 결합되어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작동되며, 실내의 공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부(70)는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20)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71); 연결체(71)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72);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변환시켜 제어부(77)로 전송하는 컨버터(74); 상기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20)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73);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75); 실내의 공기를 감지하여 공기질,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6); 릴레이(73)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1)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부(76)의 감지값을 표시부재(p)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77) 및 제어부(77)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고, 센서부(76)의 감지값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재(78)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체(71)는 단자부(20)와 결합되어 단자부(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컨버터(74)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단자부(20)가 삽입부에 삽입되면, 모니터링부(70) 전체를 회전시켜 단자부(20)가 회전되도록 하며, 잔자부의 회전을 통해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70)의 삽입체 외측면에는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정체(7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3)는 나사산 형상 또는 슬라이드홈으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고정체(72)가 나사산 또는 슬라이드 돌기로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체(71)에는 릴레이(73)가 형성되어 조명(1)과 연결되어 조명(1)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릴레이(73)는 제어부(77)의 제어신호를 통해 작동된다.
상기 연결체(71)에는 컨버터(74)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하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버터(74)는 연결체(71)를 통해 인가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하위의 센서부(76), 제어부(77) 및 음이온 발생체(75)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76)는 실내의 공기를 감지하여 공기질,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76)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76a), 공기 중의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더스트 센서(76b),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6c), 공기 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76d) 및 공기 중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센서(76e)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질 센서(76a)는 조명(1)이 설치되는 실내의 공기질을 감지하여 산소농도, 질소농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더스트센서는 실내의 공기 중에 분포되는 미세먼지를 감지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제어부(77)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76c)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게 되고, 습도센서(76d)는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한다.
상기 가스 감지센서(76e)는 실내의 공기중에서 도시가스 또는 암모니아 등의 가스를 감지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7)는 릴레이(73)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1)을 온오프 시키고,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부(76)의 감지값을 별도로 구비되는 표시부재(p)를 통해 표시하고, 통신부재(78)를 통해 조명(1), 음이온 발생체(75) 및 센서부(76)의 감지값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재(78)는 제어부(77)와 연결되며,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과 통신을 하여 제어부(77)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77)에서 전송되는 음이온 발생체(75), 릴레이(73) 및 센서부(76)의 작동상태 및 감지값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재(78)는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적외선통신(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부재(78)를 통해 근거리에서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음이온 발생체(75)와 릴레이(73)의 작동상태 및 모니터링부(70)의 감지값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음이온 발생체(75)와 릴레이(73)의 작동상태 및 모니터링부(70)의 감지값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천정형 조명의 중앙에 커넥트 장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되는 모니터링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트 장치를 회전형으로 형성하므로, 임의로 회전을 통해 전원을 단락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차단스위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조명 및 모니터링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므로 쉽게 어느 위치에서라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조명 4 : 전원단자
5 : 결합체 6 : 결합홈
10 : 삽입부 11 : 인가전극
12 : 걸림돌기 13 : 고정부재
20 : 단자부 21 : 연결전극
30 : 차단체 40 : 회전판
50 : 차단돌기 60 : 차폐판
70 : 모니터링부 71 : 연결체
72 : 고정체 73 : 릴레이
74 : 컨버터 75 : 음이온 발생체
76 : 센서부 76a : 공기질 센서
76b : 더스트 센서 76c : 온도센서
76d : 습도센서 76e : 가스 감지센서
77 : 제어부
78 : 통신부재 p : 표시부재

Claims (4)

  1.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1)의 내측에 원형의 형성되어 상기 조명(1)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벽면 일부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인가단자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고정부재(13)가 형성되는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모니터링부(70)가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 형상으로 양측이 형성되며, 양단 또는 회전방향 양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인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20) 및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삽입부(10)의 인가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고,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조명(1)의 전원 및 모니터링부(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실내 환경을 모니터링 하도록 형성되는 모니터링부(7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70)가 삽입부(10)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인가단자와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1)의 작동 및 모니터링부(70)의 작동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부(70)를 통해 실내 환경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는 필요시 또는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조명(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1)에는 전원이 삽입부(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4)가 형성되고, 삽입부(10)가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체(5) 또는 결합홈(6)이 벽면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도록 삽입부(10)의 외벽면에 전원단자(4)와 결합홈(6) 또는 결합체(5)가 형성되어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70)는,
    상기 삽입부(10)에 삽입되어 단자부(20)와 연결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체(71);
    상기 연결체(71)의 외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0)의 고정부재(13)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체(72);
    상기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변환시켜 제어부(77)로 전송하는 컨버터(74);
    상기 단자부(2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단자부(20) 간의 전원을 단락시켜 조명(1)의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73);
    상기 컨버터(74)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작동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체(75);
    실내의 공기를 감지하여 공기질,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6);
    상기 릴레이(73)의 단락을 제어하여 조명(1)을 온오프 시키고, 상기 음이온 발생체(75)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부(76)의 감지값을 표시부재(p)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77) 및
    상기 제어부(77)와 연결되고, 외부의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7)로 전송하고, 센서부(76)의 감지값을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재(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76)는,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76a);
    공기 중의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더스트 센서(76b);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6c);
    공기 중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76d) 및
    공기 중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센서(76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KR1020190085691A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KR10227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1A KR102279932B1 (ko)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1A KR102279932B1 (ko)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15A true KR20210009115A (ko) 2021-01-26
KR102279932B1 KR102279932B1 (ko) 2021-07-21

Family

ID=7430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91A KR102279932B1 (ko) 2019-07-16 2019-07-16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945A (ja) * 2006-08-22 2008-03-06 Murakami Kosakusho:Kk 照明器具用リモコン受信器
KR200465278Y1 (ko) 2011-11-30 2013-0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결합형 천정 고정식의 등기구장치
JP2015037003A (ja) * 2013-08-10 2015-02-2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Led照明装置
KR101901259B1 (ko) * 2016-11-30 2018-09-27 김용민 소비전력 측정장치가 구비된 조명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945A (ja) * 2006-08-22 2008-03-06 Murakami Kosakusho:Kk 照明器具用リモコン受信器
KR200465278Y1 (ko) 2011-11-30 2013-0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결합형 천정 고정식의 등기구장치
JP2015037003A (ja) * 2013-08-10 2015-02-2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Led照明装置
KR101901259B1 (ko) * 2016-11-30 2018-09-27 김용민 소비전력 측정장치가 구비된 조명레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932B1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023B2 (en) Smart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s
CN110741514B (zh) 用于电气装置的模块化智能快速连接设备
US10342101B2 (en) Light socket WiFi device
JP3969451B2 (ja) 電力線搬送通信用の配線装置及び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JP2018508916A (ja) 電力スイッチをまたぐIoT通信
RU2012101116A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электродное устан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крытого монтажа системотехники домов и зданий или тех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связи для дома
US20130265700A1 (en) Dali controller
ES2877700T3 (es) Sistema de control domótico para viviendas
CN216790119U (zh) 照明设备组件
KR102279932B1 (ko)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실내환경 모니터링 장치
US10028355B1 (en) Smart module for lighting fixture
KR102199710B1 (ko) 천정형 조명기기의 회전 연결형 커넥터 장치
JP4634988B2 (ja) 照明器具
KR102220645B1 (ko) 회전 연결형 커넥터를 구비한 천정형 조명기기 연결형 선풍기 장치
JP6098015B2 (ja) 配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システム
AU2011101272A4 (en) Data distribution apparatus
KR20190052448A (ko) Iot 기반의 스마트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