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719A -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719A
KR20210008719A KR1020190085236A KR20190085236A KR20210008719A KR 20210008719 A KR20210008719 A KR 20210008719A KR 1020190085236 A KR1020190085236 A KR 1020190085236A KR 20190085236 A KR20190085236 A KR 20190085236A KR 20210008719 A KR20210008719 A KR 2021000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ata
processing unit
data object
middle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일리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일리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일리팜
Priority to KR102019008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719A/ko
Publication of KR2021000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06F16/275Synchronous re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65Ensuring data consistency and integ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은 기준데이터 객체가 저장된 메인DB부; 피드백 요청 신호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피드백요청부; 상기 피드백 요청 신호에 대한 회신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DB 객체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를 복제하여 저장하는 미들웨어처리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 사이의 일치성을 판단하는 싱크판단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미들웨어처리부에 저장된 상기 모바일DB 객체를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를 기반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데이터 객체인 싱크데이터 객체를 상기 미들웨어처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싱크데이터 객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SYSTEM FOR SYNCHRONIZING SOLUTION USING MIDDLE-WARE AND DATE REPLIC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를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동기화의 대상이 되는 이원화된 데이터저장 매체와는 독립된 별도의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모바일 DB객체의 동기화를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충돌, 트래픽 과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시키고 데이터 동기화를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환경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사진, 음악, 문서, 동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은 다른 전통적인 저장 매체보다 보안성, 무결정성 등이 높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이 다소 제약적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의 안전한 보관, 관리 등을 위하여 온라인 중앙서버 등에 데이터를 업로딩(up-loading) 및 다운로딩(down-loading)하는 소위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가 이용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에 탑재된 앱(App, Application)의 구동을 통하여 클라우드로 자동으로 업로드되도록 하는 방법 등 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활용 예로,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모바일 DB객체를 클라우드에 복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백업시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소실, 분실 등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데이터 복제를 통하여 온라인 서버 등에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의 경우, 필요한 데이터 가공 등을 통하여 모바일DB객체와 다른 포맷이나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도 적용되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일대일의 관계를 통하여 모바일DB객체와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 공간만을 달리하여 저장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온라인 서버에 백업된 데이터 객체가 온라인 서버 자체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소실되거나 수정, 중복, 변조 등이 되는 경우 이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은 물론, 이에 대한 적절한 후속 조치가 적응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0072034호 (2010.06.29.)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52580호 (2015.09.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모바일 DB객체 및 서버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 객체 각각을 주기적으로 피드백 받아 이들 데이터의 일치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차등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데이터 동기화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은 기준데이터 객체가 저장된 메인DB부; 피드백 요청 신호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피드백요청부; 상기 피드백 요청 신호에 대한 회신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DB 객체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를 복제하여 저장하는 미들웨어처리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 사이의 일치성을 판단하는 싱크판단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미들웨어처리부에 저장된 상기 모바일DB 객체를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를 기반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데이터 객체인 싱크데이터 객체를 상기 미들웨어처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싱크데이터 객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DB 객체가 상기 싱크데이터 객체로 갱신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정보저장부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호 일치되지 않는 데이터 객체를 선별하고 선별된 데이터 객체인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이력정보에 연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 정보인 무결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결점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요청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이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모바일 단말 등에 구축된 모바일 DB객체 및 온라인 서버에 구축된 기준 데이터 객체만을 이용하지 않고, 이들을 각각 복제하여 활용하는 제3의 미들웨어를 통하여 모바일 DB객체와 기준 데이터 객체의 일치성 및 무결성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즉각적인 후속 조치가 가능한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모바일 DB 객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물론, 그러하지 않는 경우 각각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시킴으로써 사용자 주체를 기준으로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시스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데이터의 무결성 체크 및 백업 상태 등에 대한 시계열적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활용함으로써 문제가 발생된 시기의 정확한 파악은 물론, 오류가 발생되는 과정에 대한 트래킹이 가능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안전한 시스템 백업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 시스템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이하 '솔루션 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5)를 통하여 데이터 백업이나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물리적으로 독립된 추가적인 온라인 서버(200-1, 200-2, …)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데이터 객체를 분산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5)을 통하여 유저(user)를 표상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300-1, 300-2, …, 300-n)와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300-1, 300-2, …, 300-n)로 피드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사용자 클라이언트(300)는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이 구현되는 온라인 서버에 상응하는 객체로서 피씨, 노트북,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이 구현되는 서버(1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지칭되는 용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클라이언트(300)에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 네트워크(5)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과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300-1, 300-2, …, 300-n)는 물론, 하나 이상의 온라인 매체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여 후술되는 여러 가지 정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망으로 기능한다.
통신 네트워크(5)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 등의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기타 적절한 통신 시스템 내지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100)은 메인DB부(110), 피드백요청부(120), 데이터수신부(130), 미들웨어처리부(140), 싱크판단부(150), 데이터처리부(160), 전송처리부(170), 정보처리부(180) 및 이력정보저장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DB부(11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인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전송된 데이터 객체인 기준 데이터 객체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피드백요청부(120)는 모바일 단말(300)의 모바일 DB(305)에 저장된 모바일 DB객체의 전송을 요청하는 피드백 요청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한다(S300).
상기 피드백 요청 신호 등에 대한 회신으로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모바일DB객체가 본 발명의 데이터수신부(130)에 수신되면(S310) 본 발명의 미들웨어처리부(140)는 상기 수신된 모바일DB객체를 복제 저장하고, 아울러 메인DB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데이터를 독출(access and read)하여 복제 및 저장한다(S320).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모바일DB객체와 백업을 위하여 온라인 서버 등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 객체 그 자체를 이용하지 않고 이들 데이터 객체들을 복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3의 데이터 체계를 구축하여 이용함으로써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들웨어처리부(140)에 의하여 데이터 복제 및 저장 등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싱크판단부(150)는 미들웨어처리부(140)에 복제되어 저장된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 사이의 일치성을 판단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330).
상기 판단 프로세싱에서 양 데이터 즉,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S340)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60)는 미들웨어처리부(140)에 저장된 모바일DB 객체를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를 기반으로 갱신한다(S350).
모바일DB 객체를 갱신하는 방법은 모바일DB 객체 전체를 삭제하고 기준데이터 객체로 갱신하거나, 기준데이터 객체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선별하고 선별된 부분만이 갱신되도록 하는 방법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데이터 객체를 기반으로 갱신된 모바일DB 객체를 이하 설명에서 '싱크 데이터 객체'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60)는 이와 같이 싱크 데이터 객체가 생성되면 이 데이터가 다시 미들웨어처리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350).
본 발명의 전송처리부(170)는 미들웨어처리부(140)에 저장된 싱크 데이터 객체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300)과 솔루션 시스템(10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의 동기화를 구현하고 데이터 무결성이 모바일 단말(300) 측에서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데이터 오류 등이 발생한 시간 정보 등에 대한 트래킹이 정밀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이력정보저장부(190)는 이와 같이 모바일DB 객체가 싱크 데이터 객체로 갱신되는 경우 그 갱신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360).
정보 이력 트래킹을 더욱 정밀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60)는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파싱을 통하여 상호 일치되지 않는 데이터 객체를 선별하고 선별된 데이터 객체(비동기 데이터)가 상기 이력정보에 연계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S360).
한편, 본 발명의 싱크판단부(150)에서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80)는 양 객체가 서로 동일하다는 취지 즉, 모바일 단말(300)에 저장된 모바일DB 객체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코멘트 및 해당 판단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 무결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S380) 생성된 무결점 안내 정보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한다(S390).
나아가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80)는 사용자 지향적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요청신호 등이 수신되거나 또는 정해진 디폴트(default)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기준데이터 객체와 모바일DB 객체가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생성된 이력 정보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한다(S37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솔루션 시스템
110 : 메인DB부 120 : 피드백요청부
130 : 데이터수신부 140 : 미들웨어처리부
150 : 싱크판단부 160 : 데이터처리부
170 : 전송처리부 180 : 정보처리부
190 : 이력정보저장부

Claims (5)

  1. 기준데이터 객체가 저장된 메인DB부;
    피드백 요청 신호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피드백요청부;
    상기 피드백 요청 신호에 대한 회신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DB 객체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를 복제하여 저장하는 미들웨어처리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 사이의 일치성을 판단하는 싱크판단부;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미들웨어처리부에 저장된 상기 모바일DB 객체를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를 기반으로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데이터 객체인 싱크데이터 객체를 상기 미들웨어처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싱크데이터 객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DB 객체가 상기 싱크데이터 객체로 갱신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호 일치되지 않는 데이터 객체를 선별하고 선별된 데이터 객체인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이력정보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 객체 및 모바일DB 객체가 상호 일치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 정보인 무결점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결점 안내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요청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이력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KR1020190085236A 2019-07-15 2019-07-15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KR20210008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36A KR20210008719A (ko) 2019-07-15 2019-07-15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36A KR20210008719A (ko) 2019-07-15 2019-07-15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19A true KR20210008719A (ko) 2021-01-25

Family

ID=7423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236A KR20210008719A (ko) 2019-07-15 2019-07-15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87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034A (ko) 2007-09-18 2010-06-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핸드셋들을 위한 원격적으로 활성화된 안전 백업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52580B1 (ko) 2015-02-05 2015-09-14 엑스투씨앤씨(주)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복원 및 멀티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백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034A (ko) 2007-09-18 2010-06-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핸드셋들을 위한 원격적으로 활성화된 안전 백업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52580B1 (ko) 2015-02-05 2015-09-14 엑스투씨앤씨(주)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복원 및 멀티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백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5192B2 (en) Synchronized content library
US10762055B2 (en) Utilizing user devices for backing up and retrieving data in a distributed backup system
US10277673B2 (en) Local server for synced online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1221918B2 (en) Undo changes on a client device
US9019123B2 (en) Health check services for web-based collaboration environments
JP6220338B2 (ja) フォールトトレラント外部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US7680067B2 (en) Peer-to-peer data synchronization architecture
US8499190B2 (en) Portable device and backup method thereof
JP2016529599A (ja) コンテンツクリップボードの同期
MX2014011988A (es) Sistema de telemetria para un sistema de sincronizacion de nube.
JP7490710B2 (ja) グループベー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内において外部電子メールリソースエンティティによる限定エンゲージメント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136599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notification and providing quick link of shared information synchronized to location
JP2015502607A (ja) クライアントアプリケーションのファイル・アクセス
CN110019104B (zh) 文件资源交换方法、文件资源服务器及文件交换系统
US10282255B2 (en) Coordinating file synchronization between a sync engine and another application that supports document collaboration
EP29164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dium stor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U2013302551A1 (en) Message synchronization with extended properties
US10078433B2 (en) Sharing a template file
KR20210008719A (ko) 데이터 복제 및 미들웨어를 이용한 동기화 솔루션 시스템
US8219527B2 (en) File processing apparatus, fil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30075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licy management
KR20230143359A (ko) 콘텐츠 중앙화 시스템 및 그 콘텐츠 중앙화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첨부 방법
CN114968697A (zh) 数据文件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0923027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30218952A1 (en) Document restoration method by converged address book server and converged address book client terminal for the document restor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