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610A -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610A
KR20210008610A KR1020190084937A KR20190084937A KR20210008610A KR 20210008610 A KR20210008610 A KR 20210008610A KR 1020190084937 A KR1020190084937 A KR 1020190084937A KR 20190084937 A KR20190084937 A KR 20190084937A KR 20210008610 A KR20210008610 A KR 20210008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ag
unit
distribution
senso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780B1 (ko
Inventor
구준서
김훈태
이용민
현병훈
Original Assignee
(주)모람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람씨앤티 filed Critical (주)모람씨앤티
Priority to KR102019008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7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istory or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용기 내 상품의 상태를 다양한 센서로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유통 중 상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나아가 상품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유통 이력을 제공함으로써 유통 과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장착 대상물과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고, 상태값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상태값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및 통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 대상물의 내부 상태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장착 대상물과의 연통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SENSOR TAG, DISTRIBUTION CONTAINER HAVING THE SENSOR TAG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M}
본 발명은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용기 내 상품의 상태를 다양한 센서로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유통 중 상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나아가 상품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유통 이력을 제공함으로써 유통 과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콜드체인(cold chain)"은 일반적으로 저온 관리를 필요로 하는 식품의 유통 시스템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생산으로부터 소비까지의 식품 흐름을 저온 관리하는 것을 시스템화한 것이다.
저온 관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 품목은 청과물, 냉동식품, 가공식품과 같은 식품뿐만 아니라 온도에 민감한 약품이나 또는 IT 부품과 같은 정밀 기계 장치도 이에 포함될 수 있어서, 식품만을 의미하던 과거와 달리 보다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저온"의 사전적 의미는 외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다. 그러나 유통 조건과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장기 저장을 위해서 최적의 온도가 아닌 다른 온도 범위에서 유통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동결이 아닌 상태에서 유통하여야 하는 청과류, 채소류와 같은 대상 품목은 외기 온도가 낮은 지역에서 외기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운송되기도 한다. 따라서 콜드 체인에서의 저온은 "대상 품목에 따른 유통 최적 온도 범위"를 지칭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표현이다.
따라서, 최근 "콜드 체인"은 비단 냉동식품을 낮은 온도에서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떠한 종류의 대상 품목이던 이를 최적의 온도 범위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즉 무선인식 기술이란,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대상(물건, 사람 등)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 태그에 사용 목적에 알맞은 정보를 저장하여 적용 대상에 부착한 후 판독기에 해당하는 RFID 리더를 통하여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활용되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교통카드, 주차관리, 도서관리, 출입통제용 카드, 동물식별, 하이패스용 카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RFID 기술은 지금까지 유통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물품관리를 위해 사용된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인식기술로 꼽히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판독기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서 이 정보를 읽도록 한다.
RFID는 바코드와는 달리, 완제품 상태로 공장 문 밖을 나가 슈퍼마켓 진열장에 전시되는 전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소비자가 이 태그를 부착한 물건을 고르면 대금이 자동 결제되는 것은 물론, 재고 및 소비자 취향관리까지 포괄적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상품의 보관 품질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RFID 기술을 이용되어지지는 않고 있다. 즉 상품이 현재 공장을 통과해서 차량을 통해서 물류창고로 이동중이라는 이동경로의 추적은 현재에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동중에 과연 상품이 적정 온습도에서 제대로 이동되고 있는지, 차후에 상품의 변질상태를 알았을 때 과연 어느 경로에서 변질되었는지를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때, 상기 배송되는 물품이 신선도를 유지하는 제품인 경우에는 물품이 적정 온습도에 유지되어 배송되고 있는지를 물품에 담겨져 있는 박스 또는 냉장 시스템에 표시된 온습도에만 의존하여 나타내는 방법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송되는 신선 제품인 경우, 배송자의 실수 또는 내부의 오류로 인하여 적정 온습도가 아닌 환경에 노출된 물품이 발생한 경우, 과거의 이력을 알아볼 수 없어 유통되어서는 안 되는 물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부패된 상품 등이 배송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식품들의 경우 유통과정에서의 잘못된 운반으로 인한 변질 제품이 많이 발생되며, 이러한 변질 제품으로 인한 반품이 크게 증가하여,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한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현재의 바코드 내지 RFID 시스템으로는 어느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가 없어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류 용기 내 상품의 상태를 다양한 센서로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유통 중 상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나아가 상품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유통 이력을 제공함으로써 유통 과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장착 대상물과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고, 상태값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상태값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및 통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 대상물의 내부 상태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장착 대상물과의 연통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충격 센서, CO2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배터리를 외부 전원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충전 단자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 및 상기 함체의 상부 말단에 연장형성되어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랫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도록 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함체 및 플랫부는 장착 대상물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연동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연통공으로 이루어지며, 이 연통공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물의 내부와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요철 형상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요철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함체 측면의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어, 센서 태그가 장착 대상물에 회전 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에는 센서 태그를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의 측면이나 바닥면 또는 플랫부의 측면에는 센서 태그를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이 눌림 방식의 토글 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태그가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 체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체크부는 상기 함체의 외면에 노출된 통전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통전 단자는 장착 대상물의 체크 단자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대상물의 닫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 체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체크부는 상기 함체의 외면에 노출된 통전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통전 단자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장착 대상물에서 장착 대상물의 닫힘 상태에서 연결되는 체크 단자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부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내장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 안테나의 도선 말단은 하부 케이스의 접속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접속 단자는 장착 대상물의 연장 단자와 접속되어, 이 연장 단자와 연결된 장착 대상물의 외장 안테나를 상기 내장 안테나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센서 태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 대상물이며, 내부 공간을 가져 상품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덮어 폐쇄하기 위한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센서 태그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용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센서 태그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의 함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 태그에서 돔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의 측면과 맞닿게 내벽이 형성되어 센서 태그의 상부 케이스를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내벽; 상기 센서 태그의 하부 케이스의 돌출 형성된 플랫부를 안착시킬 수 있게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센서 태그의 하부 케이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안착 블럭; 및 상기 안착 블럭의 하부 바닥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 태그의 함체를 안착시켜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면;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내벽, 안착 블럭 및 받침면은 물류 용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센서 태그에 전달하는 연동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면에는 결합 상태에 있는 센서 태그의 연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센싱공이 형성되어 센서 태그를 물류 용기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안테나가 구비되며, 상기 외장 안테나의 도선 말단은 상기 장착부의 연장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장착부의 연결 단자는 센서 태그의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이 접속 단자와 연결된 센서 태그의 내장 안테나를 상기 외장 안테나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며, 장착 대상물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센서 태그; 상기 센서 태그로부터 상품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자체 위치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접속되는 조회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컨트롤 유닛들로부터 수집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조회 단말기들과 연결되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유통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유통이력 모니터링부; 상기 상품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상태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상태이력 모니터링부; 상기 유통이력과 상태이력을 통해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 모니터링부; 및 접속되는 조회 단말기가 조회를 위해 전송하는 상품, 물류 용기, 배송차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해 해당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유통이력, 상태이력 및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조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통이력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위치 정보를 전자지도 데이터에 매칭시켜 상품 정보가 전자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하며, 전자지도 상의 위치 정보 매칭을 통해 상품이나 유통차량의 현재 위치, 이동경로 또는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 모니터링부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품의 상태이력을 상품안전 측정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품의 부패 또는 파손에 대한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 용기 내 상품의 상태를 다양한 센서로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유통 중 상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나아가 상품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유통 이력을 제공함으로써 유통 과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물류 용기의 덮개 외부에 착탈 방식으로 쉽게 결합할 수 있는 센서 태그를 통해 용기 외부에서 물류 용기 내 상품의 온습도, 충격, CO2 등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태그를 삽입하는 방식에 비해 태그의 파손율을 줄이고 회수율을 높일 수 있어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 태그 자체에 내장 안테나를 구비하여 활용도가 높으며, 물류 용기와의 결합시 물류 용기의 덮개를 활용한 외장 안테나와 연결되어 확장될 수 있어서 유통 거점이 되는 거대 창고시설과 같이 넓은 공간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해 통신 범위 커버를 위한 컨트롤 유닛의 증설 없이 거대 창고시설을 운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태그에 토글 방식의 전원 버튼을 구비하여 물류 용기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켜지고 꺼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전원 버튼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덮개에 센서 태그를 탈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센서 태그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어 관리의 편리성을 획득하고 전원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 태그에 내장된 로킹 기능을 통해 물류 용기의 덮개 폐쇄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어서 용기 관리의 편리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니트에 대한 위치측위와 물류 용기에 장착된 센서 태그의 상품 상태 체크를 통해 상품이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까지 보관 및 유통의 전과정에 대한 유통이력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여 이동 경로에 따른 실시간 상품 유통이력의 모니터링은 물론, 식품안전 측정 기준정보와 연동하여 유통과정 중의 상품 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측해 모니터링함으로써 식품사고에 대한 사전대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통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용기와 이에 착탈 가능한 센서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용기의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 내 외장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태그 내 내장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용기의 덮개 내 장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용기의 덮개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태그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통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통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통관리 시스템은 센서 태그(100), 물류 용기(200), 컨트롤 유닛(300), 관리 서버(400) 및 조회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태그(100)는 물류 용기(200)에 착탈 방식으로 쉽게 결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용기 외부에서 물류 용기(200) 내 상품의 온습도, 충격, CO2 등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된 상품 상태 정보는 센서 태그(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기 컨트롤 유닛(300)에 의해 수집되어 관리 서버(400)로 해당 컨트롤 유닛(3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전달되어 관리된다. 관리 서버(400)에서는 수집된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가공하고 접속된 조회 단말기(500)가 실시간으로 유통 중 상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품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유통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용기와 이에 착탈 가능한 센서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다.
상기 물류 용기(200)는 상품을 수용하여 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져 상품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본체(210)와 이 본체(210)를 덮어 폐쇄하기 위한 덮개(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물류 용기(200)는 상품의 적재·포장, 보관, 상·하역 및 이송의 기능을 하게 되며, 온습도, 충격, CO2 등의 다양한 환경 관리가 필요한 상품들(예컨데, 저온 관리를 필요로 하는 청과물, 냉동식품, 가공식품과 같은 식품, 온도에 민감한 약품이나 IT 부품, 정밀 기계 장치)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물류 용기(200)는 플라스틱(EPP, PP, 우레탄 등)이나 목재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유통 표준 사이즈에 적합하게 규격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 같은 물류 용기(200)의 분리가능한 덮개(220)에는 상기 센서 태그(1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착부(230)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먼저 상기 센서 태그(100)는 내부에 각종 센서와 PCB 회로 등이 내장될 수 있도록 일정한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121)와 이 함체(121)의 상부 말단에 연장형성되어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랫부(122)로 구성되며, 상기 플랫부(122)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이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다. 또한 이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110)는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도록 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120)에 결합된다. 결합시 하부 케이스(120)의 플랫부(122)에 마련된 결합홀에 나사를 넣어 상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암나사부(도시 않음)에 체결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같은 외관을 가지는 센서 태그(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부 및 용기 자체에 대하여 다양한 상태값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40)와, 상기 센서부(140)의 상태값들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50)와, 상기 센서부(140) 및 통신부(15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0)와, 센서 태그(100)의 물류 용기(200)에 대한 장착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 체크부(180)와, 상기 센서부(140), 통신부(150), 표시부(160) 및 상태 체크부(18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170)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40)는 물류 용기(20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와 물류 용기(200) 자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류 용기(20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는 유통 과정 중 물류 용기(200) 내에 수용되는 상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인자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CO2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센서들은 물류 용기(200) 내부와 직접적으로 연통되어야 작동할 수 있으므로 센서부(140)가 구비되는 센서 태그(100)와 이 센서 태그(100)가 장착되는 물류 용기(200)를 연통시킬 수 있는 연통 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상기 연통 수단에 대하여는 후술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물류 용기(200) 자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는 유통 과정 중 물류 용기(200)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인자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충격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충격 센서는 물류 용기(200)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므로 센서부(140)가 구비되는 센서 태그(100)는 물류 용기(200)와 긴밀한 접촉을 이루어 그 충격량을 그대로 센서 태그(100)가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연동 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상기 연동 수단에 대하여는 후술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센서부(140)에서 측정되어 전달되는 다양한 상태값을 무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이 같은 통신부(150)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컨트롤 유닛(3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망은, 예로,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부(15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전파 송신 및 수신용의 안테나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태그(100)의 상부 케이스(11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회 감기는 도선으로 이루어진 내장 안테나(151)로 구성될 수 있다.
실제 물류 용기(200)가 적재되는 공간이 차량 내부나 소형 창고와 같이 작은 공간일 경우 상술한 내장 안테나(151)만으로 컨트롤 유닛(300)과 전파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유통 거점이 되는 거대 창고시설과 같이 넓은 공간에서는 상술한 내장 안테나(151)만으로 전파 송수신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대비해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 안테나(151)의 도선 말단을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의 중앙에 있는 접속 단자(152)에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물류 용기(200)의 장착부(230)에서 상기 접속 단자(152)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단자(238)를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장 안테나(151)는 접속 단자(152)와 연장 단자(238)를 통해 물류 용기(200)의 덮개(220)로 연장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덮개(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장 단자(238)와 연결된 외장 안테나(24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외장 안테나(240)는 덮개(220)의 내측면 외곽을 따라 다수회 감기는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 태그(100)의 내장 안테나(151)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외장 안테나(240)는 상기 센서 태그(100)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덮개(220)에 구성되기 때문에 내장 안테나(151) 보다 넓은 안테나 직경과 긴 도선 길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유통 거점이 되는 거대 창고시설과 같이 넓은 공간에서도 이 외장 안테나(240)를 통해 컨트롤 유닛(300)과의 원활한 통신이 가능해 통신 범위 커버를 위한 컨트롤 유닛(300)의 증설 없이 거대 창고시설을 운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표시부(160)는 센서 태그(100)의 동작 상태, 센서부(140)의 동작 상태, 통신부(150)의 동작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LED 램프로 구성되는 표시 램프(111)을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동작 방식으로 점멸하여 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체크부(180)는 센서 태그(100)가 제대로 물류 용기(200)의 덮개(22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게 되며 센서 태그(100)가 제대로 장착된 경우 별도의 장착 체크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장착 체크 신호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컨트롤 유닛(300)이나 별도의 관리 장치로 전송되어 관리될 것이다.
이 같은 상태 체크부(18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21)의 외면에 노출된 통전 단자(127)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 통전 단자(127)는 두 개로 구성되며 서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미세 전류가 전달되는 두 통전 단자(127)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어떠한 신호도 생성하지 않게 된다. 이 같은 센서 태그(100)가 끼워져 장착되는 물류 용기(100)의 덮개(220)에 형성된 장착부(23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단자(2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단자(237)의 위치는 센서 태그(100)가 장착부(23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두 통전 단자(127)가 모두 체크 단자(237)에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센서 태그(100)가 장착부(23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미세 전류가 전달되는 두 통전 단자(127)가 장착부(230)의 체크 단자(237)에 의해 통전됨으로써 상태 체크부(180)는 장착 체크 신호를 내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센서 태그(100)와 장착부(230)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면 센서 태그(100)의 통전 단자(127)와 장착부(230)의 체크 단자(237) 간의 통전이 함께 해제되면서 상태 체크부(180)가 비장착 상황을 나타내는 장착 해제 신호를 내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상태 체크부(180)는 물류 용기(200)를 폐쇄하는 덮개(220)가 제대로 닫혔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로킹(rocking) 기능도 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물류 용기(200)를 폐쇄하는 덮개(220)가 단일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분리체일 수도 있다. 도 3에는 덮개(220)가 좌우 양측의 좌측 덮개(220a)와 우측 덮개(220b)로 구성되며 이 좌측 덮개(220a)와 우측 덮개(220b)가 회동하여 수평 상태로 만남으로써 덮개의 폐쇄 즉 로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좌측 덮개(220a)와 우측 덮개(220b)가 만나는 위치에 장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장착부(230)에서 좌측 덮개(220a) 측의 영역과 우측 덮개(220b) 측의 영역에는 덮개 폐쇄시 즉 좌측 덮개(220a)와 우측 덮개(220b)가 수평 상태로 만날 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체크 단자(237)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태그(100)가 장착부(23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미세 전류가 전달되는 두 통전 단자(127)가 장착부(230)의 체크 단자(237)에 의해 통전됨으로써 상태 체크부(180)는 로킹 체크 신호를 내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로킹 체크 신호를 통해 관리자는 물류 용기(200)의 덮개(220) 폐쇄 상태를 항시 체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전원부(17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서 센서 태그(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17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를 다시 참조하면, 센서 태그(100)의 상부 케이스(110)에는 표시 램프(111), 작동 버튼(112) 및 핸들(113)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 램프(111)는 상기 표시부(160)의 제어에 따라 센서 태그(100)의 동작 상태, 센서부(140)의 동작 상태, 통신부(150)의 동작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이 같은 표시 램프(111)는 LED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 램프(111)를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동작 방식으로 점멸하여 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112)은 센서 태그(100)의 통신 상태를 사용자가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사용자는 센서 태그(100)를 물류 용기(200)의 덮개(220)에 결합시킨 후 이 작동 버튼(112)를 누르면 센서 태그(100)는 통신부(150)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표시 램프(111)를 통해 통신부(15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상기 요철 핸들(113)은 사용자가 센서 태그(100)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력을 가할 때 센서 태그(100)가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110)의 측면에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에는 걸림 돌기(126), 전원 버튼(123), 충전 단자(124) 및 연통공(125)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 돌기(126)는 함체(121)의 측면의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덮개(220)의 장착부(230) 내에 형성된 결합홈(234)에 끼움결합된다. 이 같은 걸림 돌기(126)는 센서 태그(100)가 장착부(23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장착부(230)의 가이드홈(233)에 삽입되게 되며, 이후 사용자가 센서 태그(100)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결합홈(234)에 끼워짐으로써 센서 태그(100)와 덮개(2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함체(121)의 바닥 외면에 형성되는 전원 버튼(123)은 센서 태그(100)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사용자는 센서 태그(100)를 물류 용기(200)의 덮개(220)에 결합시키기 전 이 작동 버튼(112)를 조작하여 센서 태그(100)를 온시키고, 다시 센서 태그(100)를 물류 용기(200)의 덮개(220)에서 빼낸 후에 이 작동 버튼(112)을 조작하여 센서 태그(10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 같이 전원 버튼(123)이 센서 태그(100)의 바닥면에 구비되면 물류 용기(200)와의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버튼 조작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물류 투입 이후 회수 과정이 필요한 센서 태그(100)의 특성상 회수 과정에서 회수자가 전원 버튼(123)을 일일이 조작해 장치를 꺼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장치를 제대로 끄지 않아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버튼(123)의 다른 실시예로서 눌림 방식의 토글 버튼으로 전원 버튼(123)을 구성하고 이 전원 버튼(123)을 하부 케이스(120)의 함체(121) 측면이나 바닥면 또는 플랫부(122) 측면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 태그(100)가 덮개(220)의 장착부(23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장착부(230)의 외면에 의해 전원 버튼(123)이 가압되어 센서 태그(100)가 턴온 상태로 전환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센서 태그(100)를 덮개(220)의 장착부(230)에서 빼내게 되면 전원 버튼(123)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서 버튼이 토글되어 자동으로 센서 태그(100)가 턴오프 상태로 전환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전원 버튼(123)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덮개(220)에 센서 태그(100)를 탈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센서 태그(100)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어 관리의 편리성을 획득하고 전원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충전 단자(124)는 센서 태그(100) 내 전원부(170)를 구성하는 배터리를 외부 전원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통공(125)은 센서 태그(100) 내에 구비되는 센서들 중 물류 용기(20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들이 직접적으로 물류 용기(20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함체(121)의 바닥면에 통공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대응되게 상기 덮개(220)의 장착부(230)에서 바닥을 이뤄 상기 함체(121)와 면하게 되는 받침면(234)에는 상기 연통공(125)과 대응되는 위치에 센싱공(235)이 통공 형태로 마련된다.
즉 상기 센서 태그(100)가 직접적으로 물류 용기(200)의 내부 상태를 센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통 수단은 상기 센서 태그(100)의 함체(121)에 형성된 연통공(125)과 상기 덮개(220)의 장착부(230)에서 받침면(234)에 형성되는 센싱공(235)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125)의 위치는 상기 센서 태그(100)의 걸림 돌기(126)가 결합홈(234)에 끼움결합되기 전 안착 상태(가이드홈(233)에 삽입된 상태)에는 상기 센싱공(235)과 연통되지 않고 장착부(230)의 받침면(235)에 의해 폐쇄되며, 센서 태그(100)가 회전되어 걸림 돌기(126)가 결합홈(234)에 끼움결합된 상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공(236)과 연통되게 될 것이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용기의 덮개 내 장착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센서 태그(100)가 결합되는 장착부(230)는 덮개(22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의 본체(210)측을 향해 함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센서 태그(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덮개(22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장착부(230)에 센서 태그(100)가 결합되더라도 물류 용기(200)를 적층하는 방식의 작업에 구조적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상기 장착부(230)의 전체적인 함몰 형상은 상기 센서 태그(100)의 외형과 대응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태그(100)의 상부 케이스(110)의 전체 측면과 맞닿게 내벽이 형성되어 센서 태그(100)의 상부 케이스(100)를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내벽(231)과, 상기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의 플랫부(122)를 안착시킬 수 있게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안착 블럭(232)과, 상기 안착 블럭(232)의 하부 바닥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의 함체(121)를 안착시켜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면(2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내벽(231)은 상기 상부 케이스(110)의 일부 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센서 태그(100)의 장착부(230) 결합 상태에서 센서 태그(100)의 좌우 유동 움직임을 잡아주게 된다.
상기 안착 블럭(232)은 장착부(230) 내에서 지지 내벽(231)에 비해 더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형성되며 상부면이 상기 플랫부(122)의 하부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센서 태그(100)의 장착부(230) 결합 상태에서 센서 태그(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받침면(235)은 상기 함체(121)의 바닥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센서 태그(100)의 장착부(230) 결합 상태에서 센서 태그(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태그(100)가 직접적으로 물류 용기(2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센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동 수단은 상술한 장착부(230)의 지지 내벽(231), 안착 블럭(232) 및 받침면(235)과 상기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를 구성하는 함체(1221) 및 플랫부(122)로 이루어진다. 즉 장착부(230)의 지지 내벽(231), 안착 블럭(232) 및 받침면(235)과 대응되는 형태로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를 구성하는 함체(1221) 및 플랫부(122)가 형성되어, 덮개(220)의 장착부(230)에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가 꼭 끼워지게 됨으로써 센서 태그(100)는 물류 용기(2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면(235)에는 결합 상태에 있는 센서 태그(100)의 연통공(125)과 대응되는 위치에 센싱공(236)이 형성되어 센서 태그(100)를 물류 용기(200)의 내부와 연통시키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 블럭(232)에는 내면에 상기 센서 태그(100)의 걸림 돌기(126)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233)과 이 가이드홈(233)에서 연장되어 걸림 돌기(126)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234)이 구비되어 센서 태그(100)가 장착부(230)에 단단히 결합되게 만든다. 센서 태그(100)의 걸림 돌기(126)는 센서 태그(100)가 장착부(23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장착부(230)의 가이드홈(233)에 삽입되게 되며, 이후 사용자가 센서 태그(100)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결합홈(234)에 끼워짐으로써 센서 태그(100)와 덮개(2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블럭도이다.
상기 컨트롤 유닛(300)은 다수의 센서 태그(100)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각 물류 용기(200)에서의 상품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자체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유닛(300)은 자체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330)와, 각 물류 용기(200)의 센서 태그(100)로부터 용기 내부 및 용기 자체에 대한 다양한 상태값들을 무선으로 전달받고 상기 자체 위치 정보와 함께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320)와, 상기 GPS부(330) 및 통신부(3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50)와, 상기 GPS부(330), 통신부(320) 및 표시부(35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340)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1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GPS부(330)는 컨트롤 유닛(3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컨트롤 유닛(3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컨트롤 유닛(300)과 물류 용기(200)는 근거리에 배치되어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되는 바 컨트롤 유닛(300)의 위치는 물류 용기(200)의 위치로 취급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는 상기 센서 태그(100)에서 측정되어 전달되는 다양한 상태값을 무선 방식으로 수신하기 위해 센서 태그(100)의 통신 방식과 매칭된 통신 모듈을 갖추게 된다. 또한 이 수집된 상태값들에 현재 위치 정보를 조합해 관리 서버(400)로 전달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통신 모듈도 함께 갖추게 된다. 이 같은 통신부(320)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은 예로,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50)는 컨트롤 유닛(300)의 동작 상태, 통신부(320)의 동작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LED 램프로 구성되는 표시 램프를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동작 방식으로 점멸하여 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서 컨트롤 유닛(3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34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40)가 직접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럭도이다.
상기 관리 서버(400)는 컨트롤 유닛(300)들로부터 수집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정보를 조회 단말기(500)에 제공함으로써 상품 유통 중 상품 상태를 조회 단말기(50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품의 이동경로를 포함한 유통 이력을 조회할 수 있게 만든다.
상기 관리 서버(400)는 유통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DB부(420)와, 컨트롤 유닛(300)들로부터 수집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조회 단말기(500)들과 연결되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430)와, 상기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유통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유통이력 모니터링부(440)와, 상기 상품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상태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상태이력 모니터링부(450)와, 상기 유통이력과 상태이력을 통해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 모니터링부(460)와, 접속되는 조회 단말기(500)가 조회를 위해 전송하는 상품, 물류 용기, 배송차량 등의 정보를 이용해 해당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유통이력, 상태이력 및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조회부(470)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DB부(420)는 전자지도 데이터를 관리한다. 상기 전자지도는 물류 용기의 보관 위치나 이 물류 용기를 적재한 유통차량의 이동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DB부(420)는 상품안전 측정 기준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상품안전 측정 기준정보는 상품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 인자들의 기준치이다. 일 예로, 상품안전 측정 기준정보는 식품안전 측정 기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안전 측정 기준정보는 물류 용기(200)에 보관되는 식품에 대한 환경 인자로서 식품의 부패나 파손을 의심할 수 있는 온도, 습도, CO2, 충격 등에 관한 기준치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430)는 상기 컨트롤 유닛(300)들로부터 수집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컨트롤 유닛(300)의 통신 방식과 매칭된 통신 모듈을 갖추게 된다. 또한 조회 단말기(500)들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도 갖추게 된다.
상기 유통이력 모니터링부(440)는 상기 통신부(430)를 통해 수신된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위치 정보를 상기 DB부(420)의 전자지도 데이터에 매칭시켜 상품 정보가 전자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같은 전자지도 상의 위치 정보 매칭을 통해 상기 유통이력 모니터링부(440)는 상품이나 유통차량의 현재 위치, 이동경로, 이동이력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특정 거점지역이나 위험지역을 설정하고 이 지역에 상품 또는 유통차량의 진입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상태이력 모니터링부(450)는 상기 통신부(430)를 통해 수신된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를 이용해 상품의 상태이력을 관리하게 된다. 이 같은 상품 상태 정보는 센서 태그(100)로 측정된 온도, 습도, CO2, 충격 등의 유통 과정 중 변화 이력이 될 수 있다.
상기 알람 모니터링부(460)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품의 상태이력을 상기 DB부(420)의 상품안전 측정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품의 부패 또는 파손에 대한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품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 인자들의 기준치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치를 벗어나는 환경 인자의 검출시 해당 상품에 대해 경고 정보(예컨데, 부패 경고, 파손 경고 등)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조회부(470)는 외부에서 접속되는 조회 단말기(5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통이력 모니터링부(440)에서 관리되는 유통이력 모니터링 정보, 상기 상태이력 모니터링부(450)에서 관리되는 상태이력 모니터링 정보, 상기 알람 모니터링부(460)에서 관리되는 경고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회 단말기(500)는 본 발명에 따라 관리 서버(400)와 접속하여 자신이 조회하는 상품에 대한 유통이력 모니터링 정보, 상태이력 모니터링 정보, 경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인터넷 엔드 유저측의 컴퓨터 단말기로서, 랩탑 컴퓨터나 핸드헬드 PC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정보통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셀룰라폰, PCS, PDA 도 조회 단말기(100)가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통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상품 유통 관리자는 센서 태그(100)의 전원 버튼(123)을 턴온시켜 센서 태그(100)를 활성화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센서 태그(100)는 근거리의 지정된 컨트롤 유닛(300)에 자신의 고유번호를 이용해 등록되게 된다(S10). 이 센서 태그(100)의 고유번호는 관리 서버(400)에 의해 관리되며, 각 센서 태그(100)의 고유번호에 대해 미리 상품정보 및 유통정보가 관리되게 된다.
이후 상품 유통 관리자는 센서 태그(100)를 물류 용기(200)의 덮개(220)에 있는 장착부(230)에 장착해 결합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센서 태그(100)와 덮개(220)의 연통 수단과 연동 수단을 통해 물류 용기(200)와 센서 태그(100)는 연통 및 연동되게 된다(S12).
여기에서 상기 센서 태그(100)가 직접적으로 물류 용기(200)의 내부 상태를 센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통 수단은 상기 센서 태그(100)의 함체(121)에 형성된 연통공(125)과 상기 덮개(220)의 장착부(230)에서 받침면(234)에 형성되는 센싱공(235)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센서 태그(100)가 직접적으로 물류 용기(2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센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동 수단은 상술한 장착부(230)의 지지 내벽(231), 안착 블럭(232) 및 받침면(235)과 상기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를 구성하는 함체(1221) 및 플랫부(122)로 이루어져 덮개(220)의 장착부(230)에 센서 태그(100)의 하부 케이스(120)가 꼭 끼워지게 됨으로써 센서 태그(100)가 물류 용기(200)와 연동하게 된다.
이후 활성화된 상기 센서 태그(100)는 물류 용기(200) 내 상품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된 상품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컨트롤 유닛(300)으로 무선 송신하게 된다(S14).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 유닛(300)은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S16).
상기 컨트롤 유닛(300)은 수집된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를 자체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S18).
이렇게 물류 용기 단위의 실시간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집한 관리 서버(4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유통이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상품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상태이력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유통이력과 상태이력을 통해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20).
이후 조회 단말기(500)가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 물류 용기, 배송차량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면(S22), 상기 관리 서버(400)는 조회 단말기(500)의 요청에 따라 유통이력 모니터링 정보, 상태이력 모니터링 정보, 경고 정보를 제공하여 조회 단말기(500)가 실시간 유통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S24).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센서 태그 200 : 물류 용기
300 : 컨트롤 유닛 400 : 관리 서버
500 : 조회 단말기

Claims (20)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장착 대상물과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고,
    상태값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상태값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및 통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 대상물의 내부 상태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장착 대상물과의 연통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충격 센서, CO2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배터리를 외부 전원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충전 단자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 및
    상기 함체의 상부 말단에 연장형성되어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랫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키도록 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함체 및 플랫부는 장착 대상물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연동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연통공으로 이루어지며, 이 연통공에 의해 상기 장착 대상물의 내부와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요철 형상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요철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함체 측면의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어,
    센서 태그가 장착 대상물에 회전 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센서 태그를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측면이나 바닥면 또는 플랫부의 측면에는 센서 태그를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이 눌림 방식의 토글 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태그가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 체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체크부는 상기 함체의 외면에 노출된 통전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통전 단자는 장착 대상물의 체크 단자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대상물의 닫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상태 체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체크부는 상기 함체의 외면에 노출된 통전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통전 단자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장착 대상물에서 장착 대상물의 닫힘 상태에서 연결되는 체크 단자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부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내장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테나의 도선 말단은 하부 케이스의 접속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접속 단자는 장착 대상물의 연장 단자와 접속되어, 이 연장 단자와 연결된 장착 대상물의 외장 안테나를 상기 내장 안테나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태그.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센서 태그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 대상물이며,
    내부 공간을 가져 상품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덮어 폐쇄하기 위한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센서 태그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센서 태그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의 함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 태그에서 돔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의 측면과 맞닿게 내벽이 형성되어 센서 태그의 상부 케이스를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내벽;
    상기 센서 태그의 하부 케이스의 돌출 형성된 플랫부를 안착시킬 수 있게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센서 태그의 하부 케이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안착 블럭; 및
    상기 안착 블럭의 하부 바닥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 태그의 함체를 안착시켜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면;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내벽, 안착 블럭 및 받침면은 물류 용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센서 태그에 전달하는 연동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에는 결합 상태에 있는 센서 태그의 연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센싱공이 형성되어 센서 태그를 물류 용기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용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안테나가 구비되며,
    상기 외장 안테나의 도선 말단은 상기 장착부의 연장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장착부의 연결 단자는 센서 태그의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이 접속 단자와 연결된 센서 태그의 내장 안테나를 상기 외장 안테나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용기.
  17.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며, 장착 대상물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센서 태그;
    상기 센서 태그로부터 상품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자체 위치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접속되는 조회 단말기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관리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컨트롤 유닛들로부터 수집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상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조회 단말기들과 연결되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유통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유통이력 모니터링부;
    상기 상품 상태 정보를 가공하여 물류 용기 단위의 상태이력을 모니터링하는 상태이력 모니터링부;
    상기 유통이력과 상태이력을 통해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 모니터링부; 및
    접속되는 조회 단말기가 조회를 위해 전송하는 상품, 물류 용기, 배송차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해 해당하는 물류 용기 단위의 유통이력, 상태이력 및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조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관리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이력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물류 용기 단위의 상품 위치 정보를 전자지도 데이터에 매칭시켜 상품 정보가 전자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하며, 전자지도 상의 위치 정보 매칭을 통해 상품이나 유통차량의 현재 위치, 이동경로 또는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관리 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모니터링부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품의 상태이력을 상품안전 측정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품의 부패 또는 파손에 대한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관리 시스템.
KR1020190084937A 2019-07-15 2019-07-15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KR10222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37A KR102225780B1 (ko) 2019-07-15 2019-07-15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37A KR102225780B1 (ko) 2019-07-15 2019-07-15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23A Division KR20210008822A (ko) 2020-10-30 2020-10-30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10A true KR20210008610A (ko) 2021-01-25
KR102225780B1 KR102225780B1 (ko) 2021-03-10

Family

ID=7423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37A KR102225780B1 (ko) 2019-07-15 2019-07-15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7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592B1 (ko) * 2021-11-08 2022-04-08 이용호 음식 배달용 딜리버리 박스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486991B1 (ko) * 2022-03-30 2023-01-10 주식회사 페퍼웨어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620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idタグ
JP2003246329A (ja) * 2001-12-21 2003-09-02 Sekisui Plastics Co Ltd 温度検出器付き保温保冷容器
KR20060125195A (ko) * 2005-06-02 2006-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제품의 내장부품 고정장치
KR20100042752A (ko) * 2008-10-17 2010-04-2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흐름 제어 스위치를 갖는 알에프아이디 태그
US20140305828A1 (en) * 2011-06-02 2014-10-16 Giovanni Salvo Methods and devices for retail theft prevention
KR20180066633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코아칩스 센서태그를 이용하여 제품의 생산 및 운송 과정을 관리하는 시스템, 컴퓨팅 장치, 센서태그 및 그 방법
KR20190032166A (ko) * 2018-03-19 2019-03-27 박선민 식품 통합물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620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idタグ
JP2003246329A (ja) * 2001-12-21 2003-09-02 Sekisui Plastics Co Ltd 温度検出器付き保温保冷容器
KR20060125195A (ko) * 2005-06-02 2006-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제품의 내장부품 고정장치
KR20100042752A (ko) * 2008-10-17 2010-04-2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흐름 제어 스위치를 갖는 알에프아이디 태그
US20140305828A1 (en) * 2011-06-02 2014-10-16 Giovanni Salvo Methods and devices for retail theft prevention
KR20180066633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코아칩스 센서태그를 이용하여 제품의 생산 및 운송 과정을 관리하는 시스템, 컴퓨팅 장치, 센서태그 및 그 방법
KR20190032166A (ko) * 2018-03-19 2019-03-27 박선민 식품 통합물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592B1 (ko) * 2021-11-08 2022-04-08 이용호 음식 배달용 딜리버리 박스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486991B1 (ko) * 2022-03-30 2023-01-10 주식회사 페퍼웨어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780B1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541B2 (en) Portable RFID tagged carrier for sterile implants and biological products
US7978060B2 (en) Identification system
US202000821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data associated with a product/item
JP5185533B2 (ja) ネスト化され近接したコンテナのアイテムレベル可視化技術
US20090079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 inventory within an asset
WO2005057378A2 (en) Item-level visibility of nested and adjacent containers
KR20110052192A (ko) 콜드 체인 관리를 위한 rfid 시스템
KR102225780B1 (ko)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JP2012502861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ツメにrfidリーダを搭載したスマート・ロジスティック・システム
WO2007136999A2 (en) Expanded compatibility rfid tags
US7639134B2 (en) Item-level visibility of nested and adjacent containers
US20240104319A1 (en) Dynamic rfid portal modulation
US20050162269A1 (en) Dual mode reader device
KR20210008822A (ko) 센서 태그, 이를 구비하는 물류 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유통관리 시스템
US10102492B1 (en) Smart asset tracking tag system and method
KR100750234B1 (ko) Rfid를 이용한 식품 저장고의 유지 관리 제어 시스템및 방법
CN110337654A (zh) 包含用于监控物品的存储和/或运输条件的rfid标签的装置及相关方法
KR102544789B1 (ko) 제품 배송 시스템용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KR102486924B1 (ko) 데이터 로거 장치
CN210573869U (zh) 一种多通信传感器标签
RU2732678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и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и влажности при складировании и перевозке скоропортящихся грузов
ES2249161B1 (es) Sistema de gestion de contenedores industriales mediante etiqueta electronica.
Echevarria SELICA: Advanced Sensor Identification System for Secure and Sustainable Food Chain Management
KR20240041215A (ko) 원격 관리용 rfid 복합 장치, 그를 이용한 콜드체인 박스 및 콜드체인 시스템
KR20240041214A (ko) Rfid 복합 장치, 그를 이용한 콜드체인 박스 및 콜드체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