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19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196A
KR20210008196A KR1020190083240A KR20190083240A KR20210008196A KR 20210008196 A KR20210008196 A KR 20210008196A KR 1020190083240 A KR1020190083240 A KR 1020190083240A KR 20190083240 A KR20190083240 A KR 20190083240A KR 20210008196 A KR20210008196 A KR 2021000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hassis
disposed
lower storage
op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015B1 (ko
Inventor
정현선
정영규
김만수
손준희
오정길
유광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015B1/ko
Priority to US16/846,459 priority patent/US10866357B1/en
Priority to CN202010656973.6A priority patent/CN112213884A/zh
Publication of KR2021000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5Means for removing heat created by the light source from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변과 제2 변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변과 제4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로서, 도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1 변 측 측변에 인접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광학 부재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상기 하부 수납 용기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중간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수납 용기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변 측에 위치하는 미들 샤시 및 상기 미들 샤시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 변, 상기 제3 변, 및 상기 제4 변을 따라 배치된 미들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상기 미들 몰드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비 발광형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않으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이용해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면발광으로 유도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기술적인 면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도록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슬림화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여 미들 몰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두께를 슬림화하고 베젤 폭이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변과 제2 변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변과 제4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로서, 도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1 변 측 측변에 인접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광학 부재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상기 하부 수납 용기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중간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수납 용기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변 측에 위치하는 미들 샤시 및 상기 미들 샤시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 변, 상기 제3 변, 및 상기 제4 변을 따라 배치된 미들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상기 미들 몰드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들 샤시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단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기판에 연결된 연결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필름은 상기 하단홈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연결 필름의 일면 상에 실장된 구동 칩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칩은 상기 하단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기판에 연결된 연결 필름 및 상기 연결 필름의 일면에 실장된 구동 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칩은 상기 내부 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커버부는 상기 측면부와 연결된 제1 상면부, 상기 제1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상면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는 상기 광학 부재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상면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광학 부재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중첩 부위에서 양면 테이프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상면부와는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 용기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샤시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샤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들 몰드는 몰드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몰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의 상기 샤시 측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 홀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수납 용기와 상기 미들 샤시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얼라인 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배치된 파장 변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변과 제2 변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변과 제4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광학 부재로서, 도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1 변 측 측변에 인접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광학 부재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상기 하부 수납 용기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중간 수납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변 측에 위치하는 미들 샤시 및 상기 미들 샤시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 변, 상기 제3 변, 및 상기 제4 변을 따라 배치된 미들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상기 미들 몰드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들 샤시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단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커버부는 상기 측면부와 연결된 제1 상면부, 상기 제1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상면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 용기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샤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몰드는 몰드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샤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배치된 파장 변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여 미들 몰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께를 슬림화하고 베젤 폭이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2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와 미들 몰드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납 용기, 미들 샤시 및 실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연결 필름이 미들 샤시의 홈을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1 장변 측의 단면도이다.
도 1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의 홈을 연결 필름이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의 홈을 연결 필름이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4 개의 변들을 포함할 수 있고, 4 개의 변들 중 2개의 변들은 장변이며, 2 개의 변들은 단변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방향(DR1)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0)의 가로 방향을 나타내고, 제2 방향(DR2)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0)의 세로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제3 방향(DR3)은 표시 장치(10)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며,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놓이는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모두 수직으로 교차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표현된 “상부”, “상면”, "상측"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 "하측"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평면도상 표시 장치(10)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1 단변(SS1), 우측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2 단변(SS2), 아래쪽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1 장변(LS1), 위쪽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2 장변(LS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 또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변에 위치하고 영상 또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베젤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모든 변을 둘러 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의 비표시 영역(NDA)의 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변들(SS1, SS2, LS2)의 비표시 영역(NDA)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른 변들(SS1, SS2, LS2)에서의 비표시 영역(NDA)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의 4개의 변들(LS1, LS2, SS1, SS2) 중 3개의 변들(SS1, SS2, LS2)에서는 비표시 영역(NDA)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는 평면도상 4개의 변들(LS1, LS2, SS1, SS2) 모두에서 비표시 영역(NDA)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서의 상면은 다른 변들(SS1, SS2, LS2)에서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장변(LS1)에서의 베젤은 다른 변들(SS1, SS2, LS2)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의 베젤은 다른 베젤들보다 돌출되어 형성되고, 해당 돌출 구조에 의해 내부 구성요소들을 커버하여 내부 구성요소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장변(LS1)의 상면이 나머지 다른 변들(SS1, SS2, LS2)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및 백라이트 유닛(BLU)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수광형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표시 패널(100)은 백라이트 유닛(BLU)으로부터 빛을 공급받고, 액정들의 배향에 의해 공급받은 빛의 투과율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20), 그에 대향하는 제2 기판(110) 및 제1 기판(120)과 제2 기판(11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0)은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120)은 대향 기판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컬러 필터는 제1 기판(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기판(120)은 제2 기판(1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20)의 돌출부는 외부 장치가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구동 칩(140), 적어도 하나의 연결 필름(130) 및 회로 기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필름(130)의 일단은 제1 기판(120)의 상기 돌출부 상에서 연결되고, 타단은 회로 기판(15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필름(130)은 벤딩될 수 있는 플렉시블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예를 들어, 8개)의 연결 필름(130)이 제공되는 경우, 각 연결 필름(130)들은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0)은 연결 필름(130)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신호를 출력하거나 표시 패널(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로 기판(150)을 표시 패널(100)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회로 기판(150)은 실제 적용예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50)은 연결 필름(130)이 벤딩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LU)의 하부 또는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필름(130)은 백라이트 유닛(BLU)의 제1 장변(LS1) 측 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며 벤딩될 수 있다.
구동 칩(140)은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외부 신호는 회로 기판(150)으로부터 공급된 신호로서, 외부 신호에는 영상 신호, 각종 제어신호 및 구동 전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동 칩(140)은 연결 필름(13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칩(140)은 회로 기판(150)이나 제1 기판(120)에 실장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광원(610) 모듈(600), 광학 부재(400), 광학 필름(300), 및 반사 시트(500) 등을 포함하며, 수납 용기로서 하부 수납 용기(700)(또는 바텀 샤시)와 중간 수납 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600)은 광원(610) 및 인쇄 회로 기판(62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600)은 광학 부재(40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원 (610)은 복수의 점광원 또는 선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일 수 있다. 복수의 광원(610)은 인쇄 회로 기판(620)에 실장되어 인쇄 회로 기판(620)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610)은 LED 광원일 수 있다. 광원(610)은 특정 파장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610)은 블루 파장, 근자외선 파장, 및/또는 자외선 파장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는 이와 같은 특정 파장의 빛을 백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파장 변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광학 부재(400)가 파장 변환 부재의 일종인 파장 변환층(42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파장 변환 부재는 광원 모듈(600)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표시 패널(10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LED 광원(610)은 그 자체로 백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광학 부재(400)는 도광판(410)을 포함한다. 도광판(410)은 광원(610)으로부터 빛을 제공받아 그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410)은 대체로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광판(41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광판(410)은 4개의 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면, 하면 및 4개의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600)이 인접 배치되는 도광판(41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은 모듈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입광면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광판(41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과 하면이 위치하는 평면은 대체로 평행하여 도광판(410)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면이나 하면이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상면이 위치하는 평면과 하면이 위치하는 평면이 교차할 수도 있다.
도광판(410)은 광이 효율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석영, 폴리머(Polym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상면에 파장 변환층(420)이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일 실시예에서, 도광판(410)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410)의 하면에는 산란 패턴(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산란 패턴은 도광판(410) 내부에서 전반사로 진행하는 빛의 진행 각도를 바꿔 도광판(410) 외부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학 부재(400)는 도광판(410)의 상면 상에 배치된 파장 변환층(420) 및 파장 변환층(420)을 덮는 패시베이션층(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410)의 상면에는 파장 변환층(420)이 배치된다. 파장 변환층(420)은 도광판(410)의 상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장 변환층(420)은 예를 들어, 도광판(410)의 상면의 바로 위에 형성되거나, 저굴절층 및/또는 배리어층 등을 개재하여 도광판(410)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파장 변환층(420)은 입사된 적어도 일부의 빛의 파장을 변환한다. LED 광원(610)이 특정 파장, 예컨대 블루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경우, 도광판(410)은 상기 특정 파장의 빛의 경로를 가이드하여 도광판(410)의 상면이나 하면을 통해 출사시킨다. 도광판(410)의 상면에 배치된 파장 변환층(420)은 도광판(410)으로부터 입사된 블루 파장의 빛의 일부를 다른 파장 예컨대 그린 파장과 레드 파장으로 변환하여 화이트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장 변환층(420)은 바인더층과 바인더층 내에 분산된 파장 변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420)은 파장 변환 입자 외에 바인더층에 분산된 산란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 입자는 입사된 빛의 파장을 변환하는 입자로, 예를 들어 양자점(Quantum dot: QD),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일 수 있다. 파장 변환 입자는 입사광을 서로 다른 파장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파장 변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 입자는 특정 파장의 입사광을 제1 파장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제1 파장 변환 입자와 제2 파장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제2 파장 변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원(610)에서 출사되어 파장 변환 입자에 입사되는 빛은 블루 파장의 빛이고, 상기 제1 파장은 그린 파장이고, 상기 제2 파장은 레드 파장일 수 있다. 따라서, 파장 변환층(420)에 입사된 블루광은 파장 변환층(420)을 통과하면서 일부가 제1 파장 변환 입자에 입사하여 그린 파장으로 변환되어 방출되고, 다른 일부가 제2 파장 변환 입자에 입사하여 레드 파장으로 변환되어 방출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1 및 제2 파장 변환 입자에 입사되지 않고 그대로 출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파장 변환층(420)을 통과한 빛은 블루 파장의 빛, 그린 파장의 빛 및 레드 파장의 빛을 모두 포함하는 화이트 광이 될 수 있다.
파장 변환층(420) 상에는 패시베이션층(430)이 배치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430)은 수분 또는 산소와 같은 불순물의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한다. 패시베이션층(43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430)은 파장 변환층(420)에서 완전히 중첩하고 파장 변환층(420)의 상면을 덮고, 그로부터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파장 변환층(420)의 측면까지 덮을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430)은 파장 변환층(420)의 상면 및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430)은 파장 변환층(420)이 노출하는 도광판(410)의 테두리 상면에까지 연장되어, 패시베이션층(430) 테두리 부위의 일부가 도광판(410)의 상면에 직접 접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420)을 패시베이션층(430) 등으로 밀봉함으로써, 파장 변환층(42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장 변환층(420)의 일부 측면은 패시베이션층(4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도 있다.
패시베이션층(43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름(300)이 배치될 수 있다. 광학 필름(300)은 패시베이션층(43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광학 필름(300)은 프리즘 필름, 확산 필름, 마이크로 렌즈 필름, 렌티큘러 필름, 편광 필름, 반사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등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동일한 종류 또는 상이한 종류의 복수의 광학 필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학 필름(300)이 적용되는 경우, 각 광학 필름(300)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필름(300)은 2 이상의 광학 기능층이 일체화된 복합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광학 부재(400)의 하부에는 반사 시트(500)가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500)는 도광판(4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도광판(410)의 하면으로 누설되는 빛을 다시 도광판(41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반사 시트(500)는 반사성 금속이나 반사율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수납 용기(700)는 광학 필름(300), 광학 부재(400), 광원 모듈(600) 및 반사 시트(500) 등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하부 수납 용기(700)는 상술한 부재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수납 용기(700)는 바닥면(710) 및 바닥면(710)의 둘레를 따라 각 모서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500), 광학 부재(400) 및 광학 필름(300)은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의 내측 공간 내에서 하부 수납 용기(700)의 바닥면(710) 상에 순차 적층될 수 있다. 광원 모듈(600)은 광학 부재(40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에 대향하도록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 내측면에 인접 배치된다.
제1 장변(LS1) 측에 위치하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에는 미들 샤시(210)의 얼라인 홀(AH)과 정렬하기 위한 제1 홀(HL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중간 수납 용기(200)는 광학 필름(300) 및 광학 부재(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수납 용기(200)는 평면도 상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수납 용기(200)는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수납 용기(200)는 중앙에 홀(OP)(또는, 개구(opening))을 포함할 수 있다. 홀(OP)은 대체적으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수납 용기(200)는 제1 단변(SS1), 제2 장변(LS2) 및 제2 단변(SS2)에서 대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또는, 폭)를 가지되, 제1 장변(LS1)에서는 다른 변들(LS2, SS1, SS2)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간 수납 용기(200)는 제1 장변(LS1) 측에서 광원 모듈(600)을 커버할 수 있다.
홀(OP)의 크기는 백라이트 유닛(BLU)의 광학 필름(30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광학 필름(300)의 가장자리는 중간 수납 용기(200)와 도광판(4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학 필름(300)은 중간 수납 용기(200)와 도광판(410)에 의해 두께 방향에서 고정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 수납 용기(200)는 미들 샤시(210)와 미들 몰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샤시(210)는 미들 몰드(220)는 상호 체결되어 사각틀 형상의 중간 수납 용기(200)를 구성할 수 있다. 미들 샤시(210)는 4개의 변 중 하나의 변(즉, LS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 몰드(200)는 나머지 3개의 변(즉, LS2, SS1, SS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 샤시(210)와 미들 몰드(220)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들 샤시(210)는 미들 몰드(220)보다 높은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샤시(210)는 금속 재질로, 미들 몰드(220)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들 샤시(210) 및 미들 몰드(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0)는 연결 필름(130)과 회로 기판(150)을 보호하는 실드 케이스(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는 단면도 상 대체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 측에서 중간 수납 용기(20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 및 하부 수납 용기(700)의 하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는 연결 필름(130) 및 회로 기판(150)을 외측에서 감싸며, 연결 필름(130) 및 회로 기판(15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는 일정한 강성을 가지며, 외력에 기인한 연결 필름(130) 및 회로 기판(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드 케이스(800)는 도전층을 포함하여 연결 필름(130) 및 회로 기판(150)을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는 본체부(810), 측부(820) 및 상면 커버부(8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810)는 하부 수납 용기(700) 또는, 회로 기판(150)의 하부에 위치하고, 측부(820)는 중간 수납 용기(20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측부(820)는 본체부(810)의 일 측변에서 중간 수납 용기(20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의 측부(820)의 내측면은 미들 샤시(210)의 외측면과 대향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의 측부(820)에는 미들 샤시(210)의 얼라인 홀(AH)과 정렬될 수 있는 제2 홀(HL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부(810)는 하단부(811) 및 경사부(812)을 포함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의 하단부(811)는 표시 패널(100)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의 하단부(811)의 일측 변(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에 인접한 변)에서 하단부(811)와 둔각을 형성하는 사선 방향으로 경사부(81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면 커버부(830)는 측부(820)의 상부에서 본체부(810)의 연장방향 즉, 제2 방향(DR2)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면 커버부(830)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는 본체부(810)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드 케이스(800)는 상면 커버부(8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2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각 구성의 결합 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미들 샤시(210)는 샤시 측면부(213) 및 상단 커버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 측면부(213)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의 외측에서 상기 측벽부(720)를 따라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단 커버부(212)는 제1 상면부(211), 제2 상면부(211b) 및 단차부(211a)를 포함하고, 상기 샤시 측면부(213)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면부(211)는 샤시 측면부(213)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상면부(211b)는 제1 상면부(211)로부터 연장되며 제1 상면부(211)와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단차부(211a)는 제1 상면부(211)와 제2 상면부(211b)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상면부(211)는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상면 및 광원 모듈(60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고, 제2 상면부(211b)는 파장 변환층(420), 패시베이션층(430) 및 광학 필름(300)에 의해 노출된 도광판(410)의 일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상면부(211) 및 제2 상면부(211b)에 의해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 측에 배치된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일부, 광원 모듈(600) 및 도광판(410)의 제1 장변(LS1)측 일부분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미들 샤시(210)의 제1 상면부(211)는 광원 모듈(600) 및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측 측면 일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으며, 제2 상면부(211b)는 표시패널 및 도광판(410)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미들 샤시(210) 제2 상면부(211b)의 표시 장치(10) 내측 측면은 도광판(410)을 노출시키는 패시베이션 층(430)의 측면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층(430)의 측면과 제2 방향(DR2)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420) 또는 패시베이션층(430)에 의해 노출된 도광판(410)의 상면은 도광판(410)의 상면에서 제1 장변(LS1) 측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고, 노출된 도광판(410)의 상면 상에는 미들 샤시(210)의 제2 상면부(211b)가 위치할 수 있다. 미들 샤시(210)의 제2 상면부(211b) 상에는 표시 패널(100)이 위치할 수 있다. 노출된 도광판(410)의 상면과 미들 샤시(210)의 제2 상면부(211b) 사이 및 미들 샤시(210)의 제2 상면부(211b)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제1 지지 부재(SA1) 및 제2 지지 부재(SA2)가 위치할 수 있다. 각 지지 부재(SA1, SA2)는 도광판(410)과 미들 샤시(210) 또는 미들 샤시(21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서 충격 등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광원 모듈(600)은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610)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620)의 반대면과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내측면은 접할 수 있다. 광원(610)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620)의 반대면과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1 접합 부재(TA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접합 부재(TA1)는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TA1)는 광원 모듈(600)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620)의 반대면과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부착되어, 제1 접합 부재(TA1)는 광원 모듈(600)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620)의 반대면과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호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1 접합 부재(TA1)를 통해 양 구성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광원 모듈(600)과 하부 수납 용기(700)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모듈(600)과 하부 수납 용기(700)는 테두리 부분에서 후크 결합을 할 수 있으며, 다른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광원 모듈(600)과 결합된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외측면 상에는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외측면과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2 접합 부재(TA2)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합 부재(TA2)는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제2 접합 부재(TA2)는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의 외측면과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의 내측면 각각에 부착되며, 제2 접합 부재(TA2)를 통해 양 구성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 수납 용기(700)와 미들 샤시(210) 사이에는 접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결합 부재(SR)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크 결합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 외측에는 실드 케이스(800)의 측부(820)가 위치할 수 있다. 실드 케이스(800)가 상면 커버부(830)를 포함하는 경우 상면 커버부(830)는 미들 샤시(210)의 제1 상면부(211) 상부에 위치하여 제1 상면부(211)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납 용기(700)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에 제1 홀(HL1)이,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 얼라인 홀(AH)이, 실드 케이스(800)의 측부(820)에 제2 홀(HL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홀, 얼라인 홀(AH) 및 제2 홀(HL2)은 제2 방향(DR2)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결합 부재(SR)(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를 살펴보면, 도 3에서 상술한 얼라인 홀(AH), 제1 홀(HL1) 및 제2 홀(HL2)이 아닌 회로 기판(150) 및 구동 칩(140)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가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 역시 도 3에 도시된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의 두께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의 하부에는 연결 필름(130) 상에 배치된 구동 칩(140)이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구동 칩(140)은 제1 장변(LS1) 측에서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결 필름(130) 상에 위치하며 연결 필름(130)과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을 방출하는 광원(610)은 빛 뿐만 아니라 열 또한 방출할 수 있고, 광원(610)은 도광판(41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6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도광판(4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 모듈(600)은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측 측벽부(720)와 접하고 있으며, 측벽부(720)는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와 접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광원(610)이 방출한 열은 광원 모듈(600)과 결합되어 있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를 통하여 미들 샤시(210)의 측벽부(7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들 샤시(21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금속은 열 전도성이 좋으므로, 미들 샤시(210) 전 영역에 걸쳐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미들 샤시(210) 전 영역에 전달된 열은 미들 샤시(210)의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을 통하여 미들 샤시(210)의 상부를 향하여, 샤시 측면부(213)를 통하여 표시 장치(10) 측면의 제1 장변(LS1)측 측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방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610)에서 방출된 열을 표시 장치(1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광원(610)에서 방출된 열에 의한 주변 구성들의 변형 및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변(LS2) 측의 단면도는 중간 수납 용기(200)의 미들 샤시(210)가 아닌 미들 몰드(22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미들 몰드(220)은 몰드 상면부(220a)와 몰드 측면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몰드(220)의 몰드 측면부(220b)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를 따라,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몰드 상면부(220a)는 몰드 측면부(220b)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들 몰드(220)의 몰드 측면부(220b)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 내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부 수납 용기(700) 내측에는 수납된 광학 필름(300), 광학 부재(400) 및 반사 시트(500) 뿐만 아니라 미들 몰드(220)도 위치할 수 있다. 몰드 상면부(220a)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와 제1 기판(120)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몰드 상면부(220a) 상에는 제1 기판(120)및 제2 기판(110)이 위치할 수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와 미들 몰드(220) 사이에 제3 지지 부재(SA3)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미들 몰드(220)와 표시 패널(100) 상호간 충격 등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410)은 파장 변환층(420) 또는 패시베이션층(430)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이 없을 수 있다.
도 5에서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110)의 제2 방향(DR2) 끝단은 몰드 상면부(220a)의 외측 단부 및 하부 수납 용기(700) 측벽부(720)의 외측면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의 제2 장변(LS2) 측에서는 비표시 영역(NDA)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표시 장치(10)의 제2 장변(LS2) 측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미들 몰드(220)는 미들 샤시(210)가 위치하는 제1 장변(LS1) 측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변, 즉,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및 제2 단변(SS2)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단변(SS1) 및 제2 단변(SS2) 측의 단면도는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의 제2 장변(LS2) 측 뿐만 아니라, 제1 단변(SS1) 측 및 제2 단변(SS2) 측에서도 실질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와 미들 몰드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중간 수납 용기(200)를 구성하는 미들 샤시(210)와 미들 몰드(2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미들 몰드(220)의 몸통부(221)는 상술한 몰드 상면부(220a)와 몰드 측면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몰드(220)는 몸통부(2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재(223) 및 내측으로 돌출된 삽입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221)는 미들 샤시(210)와 접하는 부분에서 끝 부분이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미들 몰드(220)의 결합재(223)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에 위치하는 결합 홈(730)과 결합되어 미들 몰드(220)와 하부 수납 용기(7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재(223)는 미들 몰드(220)의 몸통부(221)로부터 표시 장치(1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BLU)의 조립 과정에서 하부 수납 용기(700)의 결합 홈(730)과 결합하기 위해 하부 수납 용기(70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 홈(730)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222)는 몸통부(221)로부터 미들 샤시(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삽입부(222)의 상면은 몸통부(221)의 상면과 단차가 있을 수 있다. 미들 몰드(220)의 몸통부(221)는 하부 수납 용기(70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삽입부(222)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와 도광판(4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와 도광판(410) 사이에 삽입된 삽입부(222)는 광원(610) 기판의 연장방향에서 배열된 광원(6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들 샤시(210)는 제1 상면부(211), 제2 상면부(211b) 및 샤시 측면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는 얼라인 홀(AH), 제1 돌출부(214), 제2 돌출부(215) 및 하단홈(GR)이 배치될 수 있다. 얼라인 홀(AH)은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서 제2 방향(DR2)으로 관통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210)는 얼라인 홀(AH)을 4 개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얼라인 홀(AH)은 미들 샤시(210)와 하부 수납 용기(700) 및 실드 케이스(800)를 상호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얼라인 홀(AH)이 위치한 샤시 측면부(213)와 연결된 제1 상면부(211)에서 얼라인 홀(AH)의 상부 영역은 다른 제1 상면부(211)의 영역보다 그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얼라인 홀(AH)이 위치한 샤시 측면부(213)의 하부에 제1 돌출부(214)가 위치할 수 있고, 제1 돌출부(214)는 제1 단(214a) 및 제2 단(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14)는 얼라인 홀(AH)의 하부에서 샤시 측면부(213)의 다른 부분보다 하부를 향해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돌출부(214)는 샤시 측면부(213)의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2 단의 계단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14)에서 얼라인 홀(AH)의 수직 방향 하부에 위치한 부분을 제2 단(214b)으로, 제2 단(214b)의 제1 "?* 측면에 위치한 부분을 제1 단(214a)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214b)은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서 하부를 향하여 가장 돌출되어 있고, 제1 단(214a)은 샤시 측면부(213)의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으나, 제2 단(214b)보다는 하부를 향하여 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서 제1 돌출부(214) 사이 및 샤시 측면부(213)의 제1 방향(DR1) 양 끝단에는 제2 돌출부(215)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출부(215)는 제1 돌출부(214)와 마찬가지로,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서 하부를 향하여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215)는 미들 샤시(210)가 연장된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미들 샤시(210)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2 돌출부(215)는 제1 돌출부(214) 사이에 위치한 제2 돌출부(215)보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215)가 하부로 돌출된 길이는 제1 돌출부(214)의 제1 단(214a)이 하부로 돌출된 길이에 비해 짧을 수 있다.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는 제1 돌출부(214)와 제2 돌출부(215) 사이에는 제1 돌출부(214)의 측면과 제2 돌출부(215)의 측면으로 정의되는 하단홈(GR)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하단홈(GR)의 개수는 연결 필름(130) 또는 구동 칩(14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14)와 제2 돌출부(215) 사이로 정의되는 하단홈(GR)에는 연결 필름(130) 상에 위치한 구동 칩(140)을 배치시켜 구동 칩(140)과 미들 샤시(210) 또는 다른 부품 간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수납 용기, 미들 샤시 및 실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미들 샤시(210)와 하부 수납 용기(700) 및 실드 케이스(800)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을 위해 미들 샤시(210), 하부 수납 용기(700) 및 실드 케이스(800)만을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미들 샤시(210)와 하부 수납 용기(700) 및 실드 케이스(800)가 서로 정렬될 수 있음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는 얼라인 홀(AH)이,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에는 제1 홀(HL1)이, 실드 케이스(800)의 측부(820)에는 제2 홀(HL2)이 위치할 수 있다. 얼라인 홀(AH), 제1 홀(HL1) 및 제2 홀(HL2)은 서로 제2 방향(DR2)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얼라인 홀(AH), 제1 홀(HL1) 및 제2 홀(HL2)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서 얼라인 홀(AH)의 개수, 제1 홀(HL1)의 개수 및 제2 홀(HL2)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얼라인 홀(AH)과 마찬가지로, 제1 홀(HL1)과 제2 홀(HL2)은 각각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와 실드 케이스(800)의 측부(820)에서 물리적으로 관통된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제1 홀(HL1)과 제2 홀(HL2)은 단순히 물리적으로 관통되어 있을 뿐 아니라, 관통된 영역 주변에서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홀(HL1)과 실드 케이스(800)의 제2 홀(HL2)은 미들 샤시(21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물리적으로 관통된 영역 주변에서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는 표시 장치(1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실드 케이스(800)의 측부(820)는 표시 장치(1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제1 홀(HL1)은 하부 수납 용기(700) 측벽부(7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된 부분이 있을 수 있고, 제1 홀(HL1)은 실드 케이스(800) 측부(82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HL1)과 제2 홀(HL2)이 돌출된 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서로 대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부 수납 용기(700) 측벽부(720)의 내측면과 제1 홀(HL1)의 내측벽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수납 용기(700) 측벽부(720)의 내측면과 제1 홀(HL1)의 내측벽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드(Round)된 형상(또는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드 케이스(800) 측부(820)의 외측면과 제2 홀(HL2)의 내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실드 케이스(800) 측부(820)의 외측면과 제2 홀(HL2)의 내측벽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부 수납 용기(700) 측벽부(720)의 내측면과 제1 홀(HL1)의 내측벽이 만나는 부분 및 실드 케이스(800) 측부(820)의 외측면과 제2 홀(HL2)의 내측벽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드된 형상이 아닌 각진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홀(HL1)과 제2 홀(HL2)에서 미들 샤시(210)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외측 둘레는 미들 샤시(210) 얼라인 홀(AH)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홀(HL1)에서 하부 수납 용기(7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와 제2 홀(HL2)에서 실드 케이스(800)로부터 내부로 돌출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는 얼라인 홀(AH)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1 홀(HL1)에서 하부 수납 용기(7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와 제2 홀(HL2)에서 실드 케이스(800)로부터 내부로 돌출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의 합도 얼라인 홀(AH)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HL1)에서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로부터 돌출된 부분 및 제2 홀(HL2)에서 실드 케이스(80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부분 자체가 함께 얼라인 홀(AH)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부재(SR)(예를 들어, 볼트)가 제1 홀(HL1), 얼라인 홀(AH) 및 제2 홀(HL2)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제1 홀(HL1), 얼라인 홀(AH) 및 제2 홀(HL2)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들 샤시(210)와 하부 수납 용기(700) 및 실드 케이스(800)가 정렬될 수 있고, 상호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미들 샤시(210)는 미들 몰드(220)와 결합될 수 있고 중간 수납 용기(200)를 구성하므로, 중간 수납 용기(200)와 하부 수납 용기(700) 및 실드 케이스(800)가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중간 수납 용기(200)와 하부 수납 용기(700) 및 실드 케이스(800)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SR)는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 측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부재(SR) 및 결합 부재(SR)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은 표시 장치(10)의 두께 방향에서 표시 장치(10)와 중첩하고 있지 않으므로, 결합 부재(SR) 및 결합 부재(SR)를 포함하는 영역의 두께는 표시 장치(10) 자체의 두께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표시 장치(10)를 슬림화할 수 있다.
도 11은 연결 필름이 미들 샤시의 홈을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연결 필름(130)이 벤딩됨에 따라, 연결 필름(130) 상에 위치한 구동 칩(140)이 미들 샤시(210)의 하단홈(GR)에 배치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필름(130)은 일단에서 제1 기판(120)과 결합하고, 타단에서 회로 기판(150)과 결합함으로써, 제1 기판(120)과 회로 기판(15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20)과 회로 기판(150)은 연결 필름(130)의 동일한 면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칩(140) 역시 제1 기판(120)과 회로 기판(150)이 결합된 연결 필름(13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연결 필름(130)의 일단 및 타단에 제1 기판(120)과 회로 기판(150)이 결합된 것과 달리, 구동 칩(140)은 연결 필름(130) 상에서 제1 기판(120)과 회로 기판(150) 사이에서 양 기판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20)및 회로 기판(150)은 연결 필름(130) 하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 칩(140) 역시 연결 필름(130)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100)과 백라이트 유닛(BLU)이 상호 결합된 이후에, 제1 장변(LS1) 측에 위치한 연결 필름(130)은 하부 수납 용기(700)의 하부를 향하여 벤딩되고, 회로 기판(150)은 하부 수납 용기(7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필름(130)이 벤딩됨에 따라, 연결 필름(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구동 칩(140)은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 및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칩(140)이 미들 샤시(210)의 하단홈(GR)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필름(130) 상에 위치한 구동 칩(140)은 연결 필름(130) 상에 위치하면서 연결 필름(130)과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 사이에 위치하고, 미들 샤시(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칩(140)이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 및 미들 샤시(21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구동 칩(140)과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측벽부(720) 및 미들 샤시(21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10)에 관한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1 장변 측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구동 칩(140)의 위치가 다양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구동 칩(140)의 위치가 하부 수납 용기(700)의 제1 장변(LS1) 측 측면이 아닌 하부 수납 용기(7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구동 칩(140)은 제1 기판(120)과 회로 기판(150)이 결합된 연결 필름(130) 상에 위치하되, 연결 필름(130)이 벤딩됨에 따라, 구동 칩(140)은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면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칩(140)은 연결 필름(130) 상에서 제1 기판(120)과 회로 기판(150) 사이에 배치되나, 제1 기판(120)보다 회로 기판(150)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연결 필름(130)이 벤딩되면서 회로 기판(150)이 하부 수납 용기(70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고, 구동 칩(140)은 회로 기판(150)에 인접하여 연결 필름(130)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회로 기판(150)과 마찬가지로 하부 수납 용기(7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벤딩된 연결 필름(130)은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부(720) 및 하단부(811)에 더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필름(130) 및 다른 구성들을 감싸고 있는 실드 케이스(800) 역시 제1 장변(LS1) 측에서 제3 방향(DR3)의 두께가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제1 장변(LS1)측 두께는 보다 얇아질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의 슬림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의 홈을 연결 필름이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는 하나의 하단홈(GR_14)에 복수(예를 들어, 2 개)의 구동 칩(140)이 배치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214) 사이에서 제2 돌출부(215)가 형성되지 않고, 제1 돌출부(214) 사이가 하단홈(GR_1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 위치한 얼라인 홀(AH)의 하부에는 제1 돌출부(214)가 형성되되, 제1 돌출부(214) 사이에는 제2 돌출부(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는 제1 돌출부(214)와 미들 샤시(210)의 연장방향 양 끝단에만 제2 돌출부(215)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돌출부(214) 사이 또는 제1 돌출부(214)와 미들 샤시(210)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2 돌출부(215) 사이에서 하단홈(GR_14)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제1 돌출부(214)와 미들 샤시(210)의 양 끝단에 위치한 제2 돌출부(215) 사이에서 정의된 하단홈(GR)에 대한 설명은 이미 서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214) 사이로 정의된 하단홈(GR_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돌출부(214) 및 제2 돌출부(215) 사이로 정의된 하단홈(GR)보다 제1 방향(DR1)에서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필름(130)이 벤딩됨에 따라, 제1 돌출부(214) 사이로 정의된 하단홈(GR_14) 상에는 2 개의 연결 필름(130)이 벤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돌출부(214) 사이로 정의된 하단홈(GR_14)에는 각 연결 필름(130)에 위치한 2 개의 구동 칩(140)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칩(140)이 미들 샤시(210)의 하단홈(GR_14)에 위치되어 미들 샤시(210) 및 하부 수납 용기(70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구동 칩(140)과 다른 구성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표시 장치(10)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5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수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의 홈을 연결 필름이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는 하단홈(GR_16)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210)의 샤시 측면부(213)에 하단홈(GR_16)이 위치하고 있으나, 하단홈(GR_16)은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네 변을 갖으며, 네 변에서 모두 폐쇄되어 있고, 제2 방향(DR2)으로 관통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210)는 샤시 측면부(213)의 하부에 제1 돌출부(214) 및 제2 돌출부(215)를 포함하지 않고,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의 하부는 평탄하게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등과 달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샤시(210) 샤시 측면부(213)에 위치하는 하단홈(GR_16)의 하부가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방향(DR2)으로 하단홈(GR_16)은 샤시 측면부(213)를 관통할 수 있으므로, 연결 필름(130)이 벤딩됨에 따라, 인쇄 기판상에 배치된 구동 칩(140)이 하단홈(GR_1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칩(140)이 미들 샤시(210)의 하단홈(GR_16) 내에서 미들 샤시(210) 및 하부 수납 용기(70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구동 칩(140)과 다른 구성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표시 장치(10)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중간 수납 용기
300: 광학 필름
400: 광학 부재
500: 반사 시트
600: 광원 모듈
700: 하부 수납 용기
800: 실드 케이스

Claims (20)

  1. 서로 대향하는 제1 변과 제2 변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변과 제4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로서,
    도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1 변 측 측변에 인접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광학 부재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상기 하부 수납 용기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중간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수납 용기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변 측에 위치하는 미들 샤시 및 상기 미들 샤시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 변, 상기 제3 변, 및 상기 제4 변을 따라 배치된 미들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상기 미들 몰드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샤시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단 커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단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기판에 연결된 연결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필름은 상기 하단홈을 통과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연결 필름의 일면 상에 실장된 구동 칩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칩은 상기 하단홈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기판에 연결된 연결 필름 및 상기 연결 필름의 일면에 실장된 구동 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칩은 상기 내부 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표시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커버부는 상기 측면부와 연결된 제1 상면부, 상기 제1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상면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부는 상기 광학 부재의 상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상면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광학 부재와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중첩 부위에서 양면 테이프에 의해 결합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상면부와는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 용기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샤시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샤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몰드는 몰드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몰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의 상기 샤시 측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 홀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수납 용기와 상기 미들 샤시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얼라인 홀에 의해 결합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배치된 파장 변환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서로 대향하는 제1 변과 제2 변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변과 제4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광학 부재로서, 도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1 변 측 측변에 인접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광학 부재를 수납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상기 하부 수납 용기 상부에 배치되고, 중앙 개구를 포함하는 중간 수납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변 측에 위치하는 미들 샤시 및 상기 미들 샤시와 상호 체결되며, 상기 제2 변, 상기 제3 변, 및 상기 제4 변을 따라 배치된 미들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상기 미들 몰드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샤시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단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는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단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커버부는 상기 측면부와 연결된 제1 상면부, 상기 제1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상면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 용기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샤시는 샤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몰드는 몰드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샤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 측면부는 그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배치된 파장 변환층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90083240A 2019-07-10 2019-07-10 표시 장치 KR10262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40A KR102624015B1 (ko) 2019-07-10 2019-07-10 표시 장치
US16/846,459 US10866357B1 (en) 2019-07-10 2020-04-13 Display device
CN202010656973.6A CN112213884A (zh) 2019-07-10 2020-07-09 显示装置和背光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40A KR102624015B1 (ko) 2019-07-10 2019-07-1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196A true KR20210008196A (ko) 2021-01-21
KR102624015B1 KR102624015B1 (ko) 2024-01-11

Family

ID=7374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240A KR102624015B1 (ko) 2019-07-10 2019-07-1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66357B1 (ko)
KR (1) KR102624015B1 (ko)
CN (1) CN1122138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6775B2 (en) * 2021-04-23 2024-02-20 Apple Inc. Narrow border display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84A (ko) * 2001-09-03 200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43231A (ko)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56702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070080119A (ko) * 2006-02-06 2007-08-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02122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8039818A (ja) * 2006-08-01 2008-02-21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876248B1 (ko) * 2007-07-02 2008-12-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60707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토비스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20160049087A (ko) * 2014-10-24 2016-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60073683A (ko) * 2014-12-17 2016-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197778B1 (ko) * 2014-09-30 2021-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35274Y (zh) * 2007-04-25 2008-03-12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器
CN201867556U (zh) * 2010-10-08 2011-06-15 冠捷投资有限公司 显示器结构
KR101814779B1 (ko) 2010-11-01 2018-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871849B1 (ko) 2011-06-10 2018-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60076215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16684A (ko) 2016-08-04 2018-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98451B1 (ko) * 2016-12-02 2023-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몰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180065064A (ko) * 2016-12-06 2018-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99956A (ko) 2017-02-27 2018-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7065302A (zh) * 2017-05-04 2017-08-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框体、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207676075U (zh) * 2018-01-05 2018-07-31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84A (ko) * 2001-09-03 200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30043231A (ko)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56702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070080119A (ko) * 2006-02-06 2007-08-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02122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8039818A (ja) * 2006-08-01 2008-02-21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876248B1 (ko) * 2007-07-02 2008-12-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60707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토비스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2197778B1 (ko) * 2014-09-30 2021-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49087A (ko) * 2014-10-24 2016-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60073683A (ko) * 2014-12-17 2016-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015B1 (ko) 2024-01-11
CN112213884A (zh) 2021-01-12
US10866357B1 (en)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522B1 (ko) 표시 장치
WO201200207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21010852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402130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50023057A1 (en) Display device
KR2019008301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5955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9612392B2 (en) Display device
KR20180042505A (ko) 백라이트 유닛
KR20190058743A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68550A (ko) 백라이트 모듈,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모바일 단말기
KR2021007784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KR10192937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624015B1 (ko) 표시 장치
US10969621B2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KR10210120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799B1 (ko) 차광테이프와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90324B1 (ko) 액정표시장치
US1035314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WO2013005708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200209683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18660A (ko) 표시 장치
KR102504465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WO2018070332A1 (ja) 表示装置
KR20160034456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