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231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231A
KR20030043231A KR1020010074307A KR20010074307A KR20030043231A KR 20030043231 A KR20030043231 A KR 20030043231A KR 1020010074307 A KR1020010074307 A KR 1020010074307A KR 20010074307 A KR20010074307 A KR 20010074307A KR 20030043231 A KR20030043231 A KR 20030043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hassi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mold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714B1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7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Abstract

탑샤시의 변형에 의한 액정표시패널의 풀링(Pulling)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탑샤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면 테두리부를 커버하면서 몰드 프레임에 대향하여 결합된다. 상기 탑샤시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탑샤시는 체결공과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갖는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어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체결공의 수직한 상측에 위치한 탑샤시의 절곡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의 체결에 의해 상기 탑샤시의 측면이 변형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면을 커버하고 있는 테두리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샤시의 체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액정표시패널의 국부적인 풀링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 셀의 복굴정성, 선광성, 2색성 및 광 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액정 셀에 의한 빛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CRT(Cathode ray tub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체 수단으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정보처리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사이드 체결방식을 채용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액정표시모듈을 X-X'섹션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모듈(120) 및 백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120)은 백라이트 유닛(20), 상기 백라이트 유닛(20) 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40), 상기 백라이트 유닛(20) 및 디스플레이 유닛(40)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60) 및 상기 몰드 프레임(60) 외곽에 결합되는 탑샤시(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액정표시패널(42)을 구비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42)상에 화면을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과 백라이트 유닛은 몰드 프레임(60) 내에 수용되어 유동 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60)은 직육면체의 박스상을 갖고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몰드 프레임(60)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면상에는 탑샤시(80)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몰드 프레임(60)에 대향하여 탑샤시(80)가 결합된다.
상기 탑샤시(80)는 몰드 프레임(60)과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의 상면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개구되어 있으며, 측벽부는 상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탑샤시(80)는 상기 몰드 프레임(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정표시패널(42)의 상면부 가장자리를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탑샤시(8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상에는 상기 몰드 프레임(6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62)와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공(82) 및 백 케이스(14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8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공(82)과 결합돌기(62)와의 상호 후크 결합에 의해 상기 탑샤시(80)는 상기 몰드 프레임(60) 외벽면상에 밀착하며 고정된다.
한편, 액정표시모듈(120)은 백 케이스(14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백 케이스(140)의 측벽면으로부터 스크류(14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백 케이스(140)의 측면부에는 탑샤시(80)의 체결공(84)과 대응하는 암나사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모듈(120)은 상기 암나사부(142) 및 체결공(84)에 스크류(144)를 결합하여 백 케이스(140)의 측면부상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의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탑샤시(80)의 스크류 체결부위에서 탑샤시(80) 상면부의 가압으로 인한 액정표시패널(42)의 국부적인 풀링(Pulling)을 야기 시킨다.
이와 같은 풀링 현상은 액정표시패널(42) 내에 구비되는 액정(미도시)들이 가압되면서, 그 가압된 부분에 위치하는 액정들의 배열이 변경되어 액정표시패널(42)상에 마치 일그러진 잔물결무늬와 같은 좋지 못한 디스플레이 화질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액정표시패널(42)상에서 발생되는 풀링 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액정표시모듈(120)을 고정하는 백 케이스(140)의 측벽면이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벡 케이스(140)의 암나사부(142)를 통해 스크류(144)를 체결할 경우, 탑샤시(80)의 측면부는 상기 백 케이스(140)의 측면 형상에 따라 일정 기울기로 변형되며 체결된다.
이때, 상기 탑샤시(80)의 측면부의 형상 변형에 따라 탑샤시(80)의 상면부는 액정표시패널(42)의 상면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액정표시모듈(120)에 있어서 몰드 프레임(60)과 탑샤시(80)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예컨대, 몰드 프레임(60)의 결합돌기(62)와 탑샤시(80)의 결합공(82)과의 후크 결합시 상기 결합공(82) 주위에 변형이 발생되어 탑샤시(80)의 상면부가 액정표시패널(42)의 상면부를 가압하게 된다.
또는, 탑샤시(80)를 몰드 프레임(60)의 외멱변상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하는 측면 체결방식에서도 상기 스크류 체결부위에 변형이 발생되어 액정표시패널(42)상에 풀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탑샤시의 체결부위에서 탑샤시의 미묘한 직각도 변화나 평탄도 변화에 의해 액정표시패널 화면상에 화질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체결방식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 발생하는 스크류 체결부위에서의 풀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체결방식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표시장치를 X-X'섹션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액정표시패널에서 발생되는 풀링 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액정표시모듈을 A-A'섹션으로 절개하여 그 단면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체결공이 형성된 탑샤시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결합공이 형성된 탑샤시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통공부가 형성된 탑샤시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통공부와 체결공이 동시에 형성된 탑샤시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액정표시모듈 240 : 디스플레이 유닛
242 : 액정표시패널260 : 몰드 프레임
262 : 결합돌기264,410 : 암나사부
280 : 탑샤시282 : 개구부
284 : 결합공286 : 통공부
288 : 체결공400 : 백 케이스
420,422 : 스크류600 : 액정표시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발생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광을 제공받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납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탑샤시;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의 배면에서 상기 탑샤시를 수납하고, 상기 체결공과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측벽을 가지며, 상기 암나사부 및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탑샤시를 고정하기 위한 백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탑샤시의 체결공의 수직한 상측에 위치하는 절곡부에는상기 스크류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탑샤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탑샤시의 절곡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도피 형상에 의해 상기 각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발생되는 탑샤시의 측면부 변형이 상면부까지 전달되는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 체결부위에서 상기 탑샤시의 상면부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면부를 과도하게 가압함으로써 발생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국부적인 풀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액정표시장치를 A-A'섹션으로 절개하여 그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600)는 액정표시모듈(200)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200)을 수납 고정하는 백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200)은 백라이트 유닛(220), 디스플레이 유닛(240), 상기 백라이트 유닛(220) 및 디스플레이 유닛(240)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260) 및 상기 몰드 프레임(260)에 대향하여 결합되는 탑샤시(28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40)은 액정표시패널(242)을 구비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2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242)상에 화면을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40)과 백라이트 유닛(220)은 몰드 프레임(260) 내에 수용되어 유동 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260)은 직육면체의 박스상을 갖고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몰드 프레임(260)에 대향하여 탑샤시(280)가 결합된다.
상기 탑샤시(280)는 몰드 프레임(260)과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40)의 상면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개구되어 있으며, 측벽부는 상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탑샤시(280)는 상기 몰드 프레임(2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정표시패널(242)의 상면부 가장자리를 커버한다.
한편, 상기 탑샤시(28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상에는 백 케이스(4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288)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88) 주위에는 소정 형상을 갖는 개구부(28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282)는 상기 체결공(288)으로부터 수직한 상측에 위치한 탑샤시(280)의 절곡부상에 형성된다.
액정표시모듈(200)은 백 케이스(40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백 케이스(400)의 측벽으로부터 스크류(4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백 케이스(400)의 측벽부에는 탑샤시(280)의 체결공(288)과 대응하는 암나사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모듈(200)은 상기 암나사부(410) 및 체결공(288)에스크류(420)를 결합하여 백 케이스(400)의 측면부상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6은 상기 체결공(288)이 형성된 탑샤시(280)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82)는 탑샤시(280)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탑샤시(280)의 상면 및 측면에 걸쳐 형성되고, 그 형상은 가로(W1) 및 세로(W2)의 폭이 동일한 'ㄱ'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82)의 형상은 탑샤시(280)의 상면 또는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이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282)의 각 모서리부는 탑샤시의 충격시 응력 집중에 의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곡률을 갖도록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282)는 그 적절한 크기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개구부(282)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탑샤시(280)의 측면부와 상면부 사이의 변형 억제 효과는 높아지지만, 반면 탑샤시(280)의 구조적 강성은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282)의 길이는 상기 체결공(288)의 직경을 감안하여 적어도 5㎜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282)의 크기를 가로(W1), 세로(W2) 및 길이(L)가 각각 0.5㎜, 0.5㎜, 10㎜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600)는 액정표시모듈(200)을 백 케이스(400) 내에 수납한 후 체결공(288)과 암나사부(410)에 스크류(420)를 관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액정표시모듈(200) 백 케이스(400) 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420)에 의한 측면 실장 과정에서, 상기 스크류(420)가 체결되는 상기 탑샤시(280)의 체결공(288) 주위에는 스크류(420)의 체결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형상은 보통 백 케이스(400)의 구조적 강성이 탑샤시(280) 보다 크기 때문에 스크류(420)의 체결 과정에서 상대적 과정 강성이 취약한 탑샤시(280)의 측면부가 백 케이스(400)의 측면부쪽으로 당겨지면서 발생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420)의 체결력에 의해 발생되는 탑샤시(280)의 측면부 변형은 상기 개구부(282)의 도피 형상에 탑샤시(280)의 상면부 까지 전달되지 않고 차단된다.
즉, 상기 체결공(288) 주위에서 변형이 발생되면, 변형에 따른 응력이 체결공(288) 주위로 전파되고, 이러한 변형 응력 중에서 탑샤시(280)의 상면부쪽으로 전달되는 응력은 개구부(280)에 의해 일부 상쇄되거나 또는 반사되어 사이드쪽으로 그 전달의 흐름을 변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420) 체결부위에서 탑샤시(280)의 상면부가 디스플레이 유닛(240)의 상면부를 가압함으로써 발생되는 액정표시 패널(242)의 풀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액정표시모듈(200)과 백 케이스(400)와의 측면 결합시 발생되는 탑샤시(280)의 변형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탑샤시(280)의 변형은 몰드프레임(260)과 탑샤시(280)의 결합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모듈(2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결합공(284)이 형성된 탑샤시(280)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260)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면상에는 탑샤시(280)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2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샤시(28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상에는 상기 몰드 프레임(260)에 형성된 결합돌기(262)와 대응하는 결합공(2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탑샤시(280)는 상기 결합공(284)과 결합돌기(262)와의 상호 후크 결합에 의해 몰드 프레임(260) 외벽면상에 밀착하며 고정된다.
상기 탑샤시(280)에는 상기 결합돌기(262)와 결합공(284)과의 체결력에 의한 탑샤시(28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28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82)는 상기 결합공(284)으로부터 수직한 상측에 위치한 탑샤시(280)의 절곡부상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82)의 기본적인 형상과 기능은 앞서 설명한 도 6에서의 개구부와 동일하다.
결국, 결합돌기(262)와 결합공(284)과의 후크 결합에 의해 탑샤시(280)가 몰드 프레임(260)에 고정될 경우, 상기 결합부위에서 탑샤시(280)의 측면부 변형이 발생하여도 상기 개구부(282)의 도피 형상에 의해 탑샤시(280)의 상면부까지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탑샤시(28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후크 결합부위에서 발생되는 액정표시패널(242)의 국부적인 풀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몰드 프레임(260)과 탑샤시(280)는 상기 도 7 및 도 8에 설명한 후크 결합 외에 다른 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모듈(2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통공부가 형성된 탑샤시(280)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260)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 외면상에는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264)가 형성되고, 탑샤시(280)의 측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264)에 대응하는 통공부(286)가 형성된다.
상기 탑샤시(280)는 암나사부(264) 및 통공부(286)에 스크류(422)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몰드 프레임(260)에 고정된다.
상기 통공부(286)의 수직한 상측에 위치한 탑샤시(280)의 절곡부상에는 개구부(28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282)의 기본적인 형상과 기능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264) 및 통공부(286)의 스크류(422) 체결에 의해 상기 탑샤시(280)가 몰드 프레임(260)에 고정될 경우, 상기 체결부위에서 탑샤시(280)의 측면부 변형이 발생하여도 상기 개구부(282)의 도피 형상에 의해 탑샤시(280)의 상면부까지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탑샤시(28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크류 체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액정표시패널(242)의 국부적인 풀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상기 탑샤시(280)의 측면부에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체결공(288)과 도 9에서 설명한 통공부(286)가 동시에 구비되어 상호 근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공부(286)와 체결공(288)이 동시에 근접하여 형성된 경우의 개구부 형태를 첨부된 도 11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샤시(280)의 측면부상에 체결공(288)와 통공부(286)가 서로 근접할 경우에는 상기 체결공(288)과 통공부(286) 주위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개구부(282)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샤시(280)의 스크류 체결부위나 후크 결합부위에 개구부(282)를 형성함에 따라, 각각의 체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변형에 의한 응력이 상기 개구부(282)의 도피 형상에 의해 탑샤시(280)의 상면부까지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체결부위에서 탑샤시(280)의 상측 저면부가 디스플레이 유닛(240)의 상면부를 가압함으로써 발생되는 액정표시 패널(242)의 풀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모듈과 백 케이스와의 결합시 백 케이스의 형상 불량에 의한 스크류 체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액정표시패널의 국부적인 풀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모듈에 있어서 탑샤시와 몰드 프레임과의 결합시 후크 또는 스크류 체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액정 표시패널의 국부적인 풀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광을 제공받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수납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에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탑샤시;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의 배면에서 상기 탑샤시를 수납하고, 상기 체결공과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측벽을 가지며, 상기 암나사부 및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탑샤시를 고정하기 위한 백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탑샤시의 체결공의 수직한 상측에 위치하는 절곡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탑샤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부 외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탑샤시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수직한 상측에 위치하는 탑샤시의 절곡부에는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공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탑샤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탑샤시의 측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대응하는 통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부와 암나사부를 관통하여 스크류가 체결되고, 상기 통공부의 수직한 상측에 위치하는 탑샤시의 절곡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체결력에 의한 탑샤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ㄱ'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탑샤시의 상면부 또는 측면부에서 바라본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길이는 적어도 5㎜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각 모서리부는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케이스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체결공 및 관통공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탑샤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10074307A 2001-11-27 2001-11-27 액정 표시 장치 KR100840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07A KR100840714B1 (ko) 2001-11-27 2001-11-27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07A KR100840714B1 (ko) 2001-11-27 2001-11-27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231A true KR20030043231A (ko) 2003-06-02
KR100840714B1 KR100840714B1 (ko) 2008-06-23

Family

ID=2957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307A KR100840714B1 (ko) 2001-11-27 2001-11-2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71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568B1 (ko) * 2004-01-07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CN102767753A (zh) * 2012-06-21 2012-11-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2841459A (zh) * 2012-08-21 2012-12-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设备
US8384838B2 (en) 2007-05-02 2013-02-26 Nlt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framed backlight unit having fixing member
CN103338341A (zh) * 2013-07-15 2013-10-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直下式液晶电视背板和直下式液晶电视
KR101404825B1 (ko) * 2007-10-10 2014-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CN105445982A (zh) * 2015-11-14 2016-03-30 合肥骇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防弯曲液晶板
KR20160059585A (ko) * 2014-11-18 2016-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KR20170049647A (ko) * 2015-10-27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니트 및 표시장치
KR20210008196A (ko) * 2019-07-10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175131A (zh) * 2019-08-08 2022-03-11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公差吸收连结部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871B1 (ko) * 1998-07-07 200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의 백라이트 장치
KR20000018706A (ko) * 1998-09-04 2000-04-06 윤종용 엘씨디 모듈
KR100568021B1 (ko) * 1998-11-06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기 모듈과 모듈 실장용 커버의 실장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568B1 (ko) * 2004-01-07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US8384838B2 (en) 2007-05-02 2013-02-26 Nlt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framed backlight unit having fixing member
KR101404825B1 (ko) * 2007-10-10 2014-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CN102767753A (zh) * 2012-06-21 2012-11-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02841459A (zh) * 2012-08-21 2012-12-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设备
WO2014029134A1 (zh) * 2012-08-21 2014-02-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设备
CN103338341A (zh) * 2013-07-15 2013-10-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直下式液晶电视背板和直下式液晶电视
KR20160059585A (ko) * 2014-11-18 2016-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KR20170049647A (ko) * 2015-10-27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니트 및 표시장치
CN105445982A (zh) * 2015-11-14 2016-03-30 合肥骇虫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防弯曲液晶板
KR20210008196A (ko) * 2019-07-10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175131A (zh) * 2019-08-08 2022-03-11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公差吸收连结部件
CN114175131B (zh) * 2019-08-08 2022-11-04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公差吸收连结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714B1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435B1 (ko) 마운팅 프레임 결합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US7623195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lamp wires for backlight assembly into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0701014B1 (ko) 광 가이드 장치,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액정 표시장치
JP4896325B2 (ja) ランプワイヤ固定手段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30005660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84071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37293A (ko) 액정표시장치
JP4019381B2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08567A (ko)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액정표시장치
KR10031920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82471A (ko) 액정 표시 장치
US8537300B2 (en) Display device
KR10068753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07512A (ko) 액정표시장치
KR100741905B1 (ko) 몰드프레임에 체결된 바텀 섀시의 이탈 방지 구조
KR100644853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75358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64482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수납용기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064822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89779B1 (ko) 엘씨디 패널용 브래킷
KR100707012B1 (ko) 액정표시모듈의 장착구조
KR19990070452A (ko)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구조
KR100820779B1 (ko) 평판 표시 모듈
KR100442252B1 (ko)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모듈 고정장치
KR101232514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