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725A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7725A KR20210007725A KR1020190084643A KR20190084643A KR20210007725A KR 20210007725 A KR20210007725 A KR 20210007725A KR 1020190084643 A KR1020190084643 A KR 1020190084643A KR 20190084643 A KR20190084643 A KR 20190084643A KR 20210007725 A KR20210007725 A KR 202100077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treatment
- water
- overflow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에 포함된 유기영양염류, 중금속, 오일류, 각종 협잡물 등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우수량에 관계없이 유입된 우수를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집수되는 침전조(10)와, 상기 침전조(10)에서 배출된 우수가 공급되어 하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홀(21)을 통해 지하에 배출되는 여과조(20)와, 상기 여과조(2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침전조(10)에서 공급된 우수가 각각 복수개로 이루어진 식생처리부와 침투처리부에 분배되어 하방으로 배수되는 유량분배셀(30)과, 상기 유량분배셀(30)의 하부에 배수된 우수가 공급되게 설치되어 그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제1여과재(41)로 여과시킨 제1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는 제1여과처리부(40)와, 상기 제1여과처리부(40)의 하부에 배수된 제1여과수가 공급되게 설치되어 그 제1여과수를 여과시킨 제2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는 제2여과처리부(50)와, 상기 제2여과처리부(50)의 양측에 상기 배수홀(21)을 통해 배수되지 못한 제2여과수가 월류되어 월류수유입구(61)에 유입되고, 그 월류수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월류수가 상기 여과조(20)의 월류수배출구(62)로 배출되어 하수 처리되도록 형성된 월류처리수로(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기우수에 포함된 유기영양염류, 중금속, 오일류, 각종 협잡물 등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우수량에 관계없이 유입된 우수를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명확한 곳으로부터 배출되며, 이러한 점오염물질은 대부분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반면 비점오염물질은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쓰레기 매립장,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불명확하고 광범위한 곳으로부터 배출되며, 수집이 어렵고 배출량의 변화가 심하여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비점오염물질이 지표면에 잔존해 있는 경우에는 강우시 지표면을 흐르는 우수에 섞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비가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우수에 비해 초기우수에는 많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이 초기 우수와 함께 하천, 내만, 호수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들어가는 경우에는 수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된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생태계 보호를 위한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도로나 교량 등을 건설시에 노면의 배수를 위해 정화장치를 필수적으로 설치하도록 시설 기준 상에 명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8326호와 같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1저장소, 식생처리부, 침투처리부 및 제2저장소로 구성된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제1저장소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식생처리부로 이동되기 전에 제1저장소 내에 구비된 자갈층 및 바닥에 구비된 복수개의 홀을 통해 유출됨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이 제대로 여과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생처리부 역시도 제1저장소에서 제1유출로를 통해 이동하는 우수를 여과하도록 된 것임에 따라, 제1유출로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는 측과 제2저장소로 우수가 배출되는 측의 여과량이 서로 달라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식생처리부에 유입된 우수가 균일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배수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며, 이는 결국 다량의 우수가 일시에 유입될 경우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로 이어졌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8950호와 같이, 다량의 우수가 일시에 공급되는 경우에도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시킴은 물론 원활하게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하여, 집수부에 유입된 우수를 다수개의 식생처리부와 침투처리부로 나누어 공급받아 여과시키고,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가 우수처리부를 통해 재차 여과되면서 하방으로 배수되면, 우수저장부 내에 유입된 우수가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르며 우수처리블록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우수저장부에 유입된 우수는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것이지만,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유입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을 머무르는 동안 우수저장부의 바닥면에는 침전물이 퇴적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우수저장부 내에 퇴적된 침전물을 폭기시켜 부유시킨 후 그 부유된 침전물을 흡입 및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미 퇴적되어 고형화된 침전물까지 부유시키기는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고형화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분배시켜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여과하여 처리하고, 각각의 구성을 단위 구성체로 형성하여 시공의 편의성 증대는 물론 관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다량으로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수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초기 우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노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집수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는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여 집수된 우수가 우수이동관(15)을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된 침전조(10); 상기 침전조(10)의 일측에 상기 우수이동관(15)으로부터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하면에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 처리되어 지하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수홀(21)이 형성된 여과조(20); 상기 여과조(2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식생층으로 이루어진 식생처리부(31) 및 여재층으로 이루어진 침투처리부(32)가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우수이동관(15)에서 배출된 우수가 복수개의 상기 식생처리부(31) 및 침투처리부(32)에 공급되어 하방으로 배수되도록 형성된 유량분배셀(30); 상기유량분배셀(30)의 하부에 상기 식생처리부(31) 및 침투처리부(32)를 거쳐 하방으로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형성된 제1여과재(41)가 채워지며, 그 제1여과재(41)에 의해 여과 처리된 제1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도록 형성된 제1여과처리부(40); 상기 제1여과처리부(40)의 하부에 제1여과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제1여과수를 여과시키도록 형성된 제2여과재(51)가 채워지며, 그 제2여과재(51)에 의해 여과 처리된 제2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어 상기 배수홀(21)을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2여과처리부(50); 상기 제2여과처리부(5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홀(21)을 통해 배수되지 못한 제2여과수가 월류되어 유입되는 월류수유입구(61)가 형성되며, 그 월류수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월류수가 하수 처리되도록 상기 여과조(20)의 일측으로 월류수를 배출시키는 월류수배출구(61)가 구비된 월류처리수로(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침전조(10)의 일측에는 침전조(10)에 집수된 우수가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세척수흡입관(75)이 설치되고, 상기 침전조(10)와 여과조(20) 사이에는 상기 침전조(10)에 집수된 우수가 상기 세척수흡입관(75)을 통해 흡입부(71)에 강제로 흡입되어 배출부(72)를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된 우수공급펌프(70)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72)에는 상기 우수공급펌프(70)를 통해 강제 배출되는 우수가 상기 월류처리수로(60)에 공급되어 그 월류처리수(60)로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세척수주입관(76)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량분배셀(30), 제1여과처리부(40), 제2여과처리부(50) 및 월류처리수로(60)는 각각 하나의 묶음 단위로 상기 여과조(20) 내에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노면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식생처리부 및 침투처리부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유량분배셀에 의해 분배되어 여과되고, 유량분배셀을 거쳐 여과되어 하방으로 침투된 우수가 제1차여과처리부 및 제2차여과처리부 각각에 마련된 여과재에 의해 단계적으로 여과되어 지하로 배출되며, 일시에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2차여과처리부에 의해 여과 처리된 상태에서 월류처리수로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여,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우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투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조 내에 설치되는 유량분배셀, 제1차여과처리부, 제2차여과처리부 및 월류처리수로가 각각 하나의 단위 구성체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수용되게 설치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은 물론 관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시설물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전조 내에 채워진 우수를 이용해 월류처리수로 내부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월류처리수로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여과처리부의 여과수가 월류처리수로에 월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수공급펌프를 통해 월류처리수로가 세척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여과처리부의 여과수가 월류처리수로에 월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수공급펌프를 통해 월류처리수로가 세척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침전조(10), 여과조(20), 유량분배셀(30), 제1여과처리부(40), 제2여과처리부(50), 월류처리수로(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침전조(10)는 강우시 노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집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 측벽면과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곳을 통해 우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면을 통해 우수가 유입되도록 한 경우에는 부피가 큰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레이팅부재(11)가 분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침전조(10)의 일측에는 집수량이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된 경우, 그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여 집수되는 우수가 침전조(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우수이동관(15)이 설치된다.
상기의 여과조(20)는 침전조(10)의 일측에 우수이동관(15)으로부터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된 것으로, 이러한 여과조(20)의 하면에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 처리되어 지하에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수홀(21)이 형성된다.
상기의 유량분배셀(30)은 여과조(2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우수이동관(15)에서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아 하방으로 배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량분배셀(30)은 자갈, 흙, 식물 등이 포함된 식생층을 이루는 식생처리부(31)와, 조경석, 자갈, 숯, 금속망 등이 포함된 여재층을 이루는 침투처리부(32)가 각각 복수개 구비된 것이다.
이때 식생처리부(31)와 침투처리부(32)는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된 구획벽(33)에 의해 식생층과 여재층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체(미도시)를 다수개 구비해 식생층이 수용된 수용체는 식생처리부(31)로 사용하고 여재층이 수용된 수용체는 침투처리부(32)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식생처리부(31)는 우수이동관(15)을 통해 공급된 우수가 식생층을 거치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것이고, 침투처리부(32)는 강우량의 증가로 인해 우수이동관(15)을 통해 공급된 우수가 식생처리부(31) 만으로처리되지 못하고 월류하는 경우 그 식생처리부(31)로부터 월류한 우수를 공급받아 분산되어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획벽(33) 또는 수용체에는 식생처리부(31)와 침투처리부(32) 사이가 서로 연통되게 관통시킨 연통홀(34)을 복수개 형성시켜, 식생처리부(31)에 유입되는 우수의 배수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침투처리부(32)에 유입된 우수가 인접한 다른 식생처리부(31)에 유입되어 비점오염물질이 여과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1여과처리부(40)는 유량분배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식생처리부(31)와 침투처리부(32)를 거쳐 하방으로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고,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형성된 제1여과재(41)가 채워지며, 그 제1여과재(41)에 의해 여과 처리된 제1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제2여과처리부(50)는 하부면이 여과조(20)의 바닥면에 놓여 지지된 상태로 제1여과처리부(40)의 하부에 제1여과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제1여과수를 여과시키도록 형성된 제2여과재(51)가 채워지며, 그 제2여과재(51)에 의해 여과 처리된 제2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어 여과조(20) 하부의 배수홀(21)을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제2여과재(51)의 크기는 제1여과재(41)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미 여과조(20)의 상측에 유입된 우수가 식생처리부(31)와 제1여과처리부(40)를 거치는 동안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충분히 제거되기 때문에, 미처 제거되지 못한 비점오염물질이 제2여과재(51)를 거치면서 마저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의 월류처리수로(60)는 제2여과처리부(50)의 양측에 설치되고, 배수홀(21)을 통해 배수되지 못한 제2여과수가 월류되어 유입되는 월류수유입구(61)가 형성되며, 그 월류수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월류수가 여과조(20)의 일측으로 배출되어 하수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월류수배출구(62)가 구비된다.
여기서 월류처리수로(60)는 여과조(2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측벽부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시키고, 월류수유입구(61)는 월류수처리수로(60)가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여과처리부(50)와 마주하는 측벽부 상측에 형성시켜, 제2여과처리부(50)에서 배수되지 못하고 채워지는 제2처리수가 원활하게 월류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월류처리수로(60)는 월류수유입구(61)에 월류되어 유입된 제2처리수가 월류수배출구(62)를 통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월류수배출구(62) 측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또는 월류처리수로(60)의 바닥면을 월류수배출구(62) 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월류처리수로(60)는 여과조(20)의 중앙부 바닥면에 접촉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제2여과처리부(50)에 채워지는 제2여과재(51)를 사이에 두고 여과조(20)의 내측 벽면과 바닥면에 접촉된 채로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월류수유입구(61)는 첨부한 도면과 같이 측벽면에 설정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월류처리수로(60)의 상부면에 배수홀(21)을 통해 배수되지 못한 제2여과수가 월류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월류수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된 월류수는 지하로 배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하수관으로 배출 처리되는 것인 만큼, 월류수배출구(62)의 끝단부를 하수관(미도시)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월류수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된 월류수가 곧바로 하수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우가 시작되면 노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는 도로 또는 교량의 측구에 설치된 수로를 따라 이동하여 침전조(10)에 집수된다.
침전조(10)에 우수의 집수량이 증가하여 우수이동관(15)에 이르는 높이로 채워지면 우수이동관(15)이 설치된 높이를 초과하여 집수되는 우수는 우수이동관(15)을 이동하여 여과조(20)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여과조(20)의 상측으로 배출된 우수는 유량분배셀(30)에 구비된 식생처리부(31)에 공급되고, 식생처리부(31)에 공급된 우수는 식생층을 거치며 여과 처리되어 하방으로 배수된다.
이때 식생처리부(31)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유입된 우수는 식생처리부(31)를 월류하여 침투처리부(32)에 공급되며, 침투처리부(32)에 공급된 우수는 여재층을 거치며 고루 분산된 상태로 하방으로 배수된다.
유량분배셀(30)에서 식생처리부(31)만을 통해 배출되거나 또는 식생처리부(31)와 침투처리부(32)에서 함께 배출된 우수는 유량분배셀(30)의 하부에 위치한 제1여과처리부(40)에 공급된다.
제1여과처리부(40)에 공급된 우수는 제1여과재(41)를 거치면서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제1여과재(41) 사이를 지나면서 분산되어 배수되며, 제1여과재(41)에 의해 여과 처리되어 배수된 제1여과수는 제1여과처리부(40)의 하부에 위치한 제2여과처리부(50)에 공급된다.
제2여과처리부(50)에 공급되는 우수는 제2여과재(51)를 거치면서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제2여과재(51) 사이를 지나면서 분산되어 배수되며, 제2여과재(51)에 의해 여과 처리되어 배수된 제2여과수는 여과조(20)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홀(21)을 통해 지하에 배출된다.
이처럼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가 공급되면, 여과조(20)에 구비된 식생처리부(31), 제1여과재(41) 및 제2여과재(51)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단계적으로 여과되어 처리됨으로써,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여과처리부(50)에서 배수홀(21)을 통해 제2여과수가 배수되는 양에 비해 제1여과처리부(40)에서 제1여과수가 공급되는 양이 많은 경우에는, 여과조(20)의 바닥면에서부터 차오른 제2여과수가 여과조(20)의 하부에 위치한 제2여과처리부(50)에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제2여과처리부(50)에서 배수홀(21)을 통해 배수되지 못하고 제2여과처리부(50)에 채워지는 제2여과수가 월류수유입구(61)에 이르는 높이로 채워지게 되는데, 제2여과처리부(50)에 월류수유입구(61)를 초과하는 높이로 채워진 제2여과수는 월류수유입구(61)를 통해 월류처리수로(60) 내에 월류하여 유입된다.
이를 통해 일시에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2차여과처리부(20)에서 여과 처리된 제2처리수가 월류처리수로(60)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수됨으로써, 강우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투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의 월류처리수로(60)는 여과조(20) 내에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다량으로 유입된 우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여과조(20)의 부피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시설물 시공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후 월류처리수로(60) 내에 유입된 월류수는 월류수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어 하수 처리되는데, 이는 월류수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는 월류수가 지하에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하에 다량의 우수가 빠른 시간 내에 침투되어 지반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의 유량분배셀(30), 제1여과처리부(40), 제2여과처리부(50) 및 월류처리수로(60)는 각각이 하나의 묶음 단위로 이루어져 그 묶음 단위로 여과조(20) 내에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단위체로 이루어진 각 구성 중에서 유량분배셀(30)에 구비된 식생처리부(31)와 침투처리부(32), 제1여과처리부(40)에 채워지는 제1여과재(41), 제2여과처리부(50)에 채워지는 제2여과재(51)는 배수를 위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틀체 또는 그물 형태의 망체 내에 수용시켜, 배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묶음 단위로 이루어진 각 단위체를 이용해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여과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각각의 구성이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여과조(20) 내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오랜 기간 사용하여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시점에서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각각의 구성을 여과조(20) 내에서 쉽게 꺼내어 분리시킨 후 새로운 구성품으로 교체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공 현장에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현저히 증대시키고, 분리와 교체시공이 용이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의 월류처리수로(60) 내에는 월류수를 배수 처리하는 과정에서 월류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어 퇴적됨에 따라, 월류수의 배수 처리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침전조(10)에 집수된 우수를 월류처리수로(60)에 공급하여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우수공급펌프(70)와 세척수흡입관(75) 및 세척수배출관(76)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우수공급펌프(70)는 흡입부(71)를 통해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부(7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세척수흡입관(75)은 침전조(10)에 집수된 우수가 우수공급펌프(70)에 의해 흡입부(71)에 공급될 수 있도록 침전조(10)와 흡입부(71)가 연결되게 설치된 것이며, 세척수배출관(76)은 우수공급펌프(70)에서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부(72)로 배출되는 우수가 월류처리수로(60)에 공급될 수 있도록 배출부(72)와 월류처리수로(60)가 연결되게 설치된 것이다.
이를 통해 도 5와 같이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어 월류처리수로(60)에 유입된 월류수를 처리하고 난 이후에 우수공급펌프(70)를 구동시키면, 침전조(10) 내에 집수된 우수가 세척수흡입관(75) → 흡입부(71) → 배출부(72) → 세척수배출관(76)을 거쳐 월류처리수로(60) 내에 강제로 공급되며, 월류처리수로(60) 내에 강제로 공급된 우수를 이용해 월류처리수로(6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 과정에서 월류처리수로(60)의 바닥면에 침전된 이물질은 우수공급펌프(70)를 통해 공급된 우수와 함께 월류수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되어 하수처리하면 된다.
이처럼, 침전조(10) 내에 채워진 우수를 이용해 월류처리수로(60) 내부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월류처리수로(6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항시 안정적인 배수 처리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월류처리수로(60)의 유지관리 주기를 늘릴 수 있어, 관리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0 : 침전조
11 : 그레이팅부재
15 : 우수이동관
20 : 여과조 21 : 배수홀
30 : 유량분배셀 31 : 식생처리부
32 : 침투처리부 33 : 구획벽
34 : 연통홀
40 : 제1여과처리부 41 : 제1여과재
50 : 제2여과처리부 51 : 제2여과재
60 : 월류처리수로 61 : 월류수유입구
62 : 월류수배출구
70 : 유압공급펌프 71 : 흡입부
72 : 배출부 75 : 세척수흡입관
76 : 세척수배출관
15 : 우수이동관
20 : 여과조 21 : 배수홀
30 : 유량분배셀 31 : 식생처리부
32 : 침투처리부 33 : 구획벽
34 : 연통홀
40 : 제1여과처리부 41 : 제1여과재
50 : 제2여과처리부 51 : 제2여과재
60 : 월류처리수로 61 : 월류수유입구
62 : 월류수배출구
70 : 유압공급펌프 71 : 흡입부
72 : 배출부 75 : 세척수흡입관
76 : 세척수배출관
Claims (3)
- 노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집수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는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여 집수된 우수가 우수이동관(15)을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된 침전조(10);
상기 침전조(10)의 일측에 상기 우수이동관(15)으로부터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하면에는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이 여과 처리되어 지하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수홀(21)이 형성된 여과조(20);
상기 여과조(2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식생층으로 이루어진 식생처리부(31) 및 여재층으로 이루어진 침투처리부(32)가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우수이동관(15)에서 배출된 우수가 복수개의 상기 식생처리부(31) 및 침투처리부(32)에 공급되어 하방으로 배수되도록 형성된 유량분배셀(30);
상기유량분배셀(30)의 하부에 상기 식생처리부(31) 및 침투처리부(32)를 거쳐 하방으로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형성된 제1여과재(41)가 채워지며, 그 제1여과재(41)에 의해 여과 처리된 제1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도록 형성된 제1여과처리부(40);
상기 제1여과처리부(40)의 하부에 제1여과수를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제1여과수를 여과시키도록 형성된 제2여과재(51)가 채워지며, 그 제2여과재(51)에 의해 여과 처리된 제2여과수가 하방으로 배수되어 상기 배수홀(21)을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2여과처리부(50);
상기 제2여과처리부(5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홀(21)을 통해 배수되지 못한 제2여과수가 월류되어 유입되는 월류수유입구(61)가 형성되며, 그 월류수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된 월류수가 하수 처리되도록 상기 여과조(20)의 일측으로 월류수를 배출시키는 월류수배출구(61)가 구비된 월류처리수로(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의 일측에는 침전조(10)에 집수된 우수가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세척수흡입관(75)이 설치되고, 상기 침전조(10)와 여과조(20) 사이에는 상기 침전조(10)에 집수된 우수가 상기 세척수흡입관(75)을 통해 흡입부(71)에 강제로 흡입되어 배출부(72)를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된 우수공급펌프(70)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72)에는 상기 우수공급펌프(70)를 통해 강제 배출되는 우수가 상기 월류처리수로(60)에 공급되어 그 월류처리수(60)로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세척수주입관(7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분배셀(30), 제1여과처리부(40), 제2여과처리부(50) 및 월류처리수로(60)는 각각 하나의 묶음 단위로 상기 여과조(20) 내에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643A KR102215767B1 (ko) | 2019-07-12 | 2019-07-12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643A KR102215767B1 (ko) | 2019-07-12 | 2019-07-12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7725A true KR20210007725A (ko) | 2021-01-20 |
KR102215767B1 KR102215767B1 (ko) | 2021-02-16 |
Family
ID=7430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643A KR102215767B1 (ko) | 2019-07-12 | 2019-07-12 |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576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326B1 (ko) | 2009-12-11 | 2010-05-17 | (주) 한국엔피기술 |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KR20150044244A (ko) * | 2013-10-16 | 2015-04-24 | 씨앤씨주식회사 | 비점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
KR101578551B1 (ko) * | 2015-03-20 | 2015-12-17 | (주)한국종합환경 |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
KR20160148950A (ko) | 2015-06-17 | 2016-12-27 | 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2019
- 2019-07-12 KR KR1020190084643A patent/KR1022157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326B1 (ko) | 2009-12-11 | 2010-05-17 | (주) 한국엔피기술 |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KR20150044244A (ko) * | 2013-10-16 | 2015-04-24 | 씨앤씨주식회사 | 비점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
KR101578551B1 (ko) * | 2015-03-20 | 2015-12-17 | (주)한국종합환경 |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
KR20160148950A (ko) | 2015-06-17 | 2016-12-27 | 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초기우수 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5767B1 (ko) | 2021-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2275B1 (ko) |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0911819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706269B1 (ko) |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 |
KR101323288B1 (ko) |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 |
KR100949325B1 (ko) |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0854314B1 (ko) | 초기우수 처리시설 | |
KR100991492B1 (ko) |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 |
KR101003477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781178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20130021598A (ko) |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0562168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
KR100991175B1 (ko) |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1736743B1 (ko) |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 |
KR100767754B1 (ko) |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 |
KR101244122B1 (ko) |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0787625B1 (ko) | 오염수정화장치 | |
KR100912708B1 (ko)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
KR100951098B1 (ko) |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 |
KR100978075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0741409B1 (ko) |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 |
KR101353280B1 (ko) |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 |
KR101846421B1 (ko) | 비점오염 저감시설 | |
KR20090033680A (ko) |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 |
KR100994248B1 (ko) | 수처리 시스템 | |
KR100939325B1 (ko) |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