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415A -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415A
KR20210007415A KR1020190083849A KR20190083849A KR20210007415A KR 20210007415 A KR20210007415 A KR 20210007415A KR 1020190083849 A KR1020190083849 A KR 1020190083849A KR 20190083849 A KR20190083849 A KR 20190083849A KR 20210007415 A KR20210007415 A KR 2021000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nit
ultrasonic
sig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476B1 (ko
Inventor
이동희
정병용
Original Assignee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4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he target
    • G01S15/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5/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 일반 모드(Normal Mode) 및 부스트 모드(Boost Mode) 간의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모드 전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으로 판단하여 초음파 수신기를 리셋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Transmit power control mode oscillation preventing apparatus of indoor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 일반 모드(Normal Mode) 및 부스트 모드(Boost Mode) 간의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모드 전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으로 판단하여 초음파 수신기를 리셋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자동차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차량 실내에 유아 등의 동승자를 두고 내려 유아의 목숨을 위태롭게 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자동차에 대한 사건 및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 도난, 차량 실내 물품 도난, 차량 파손, 동승자 방치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에는 침입 감지, 도난 방지, 동승자 방치 방지, 도난 경보, 침입 경보 시스템 등으로 불리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을 상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은 기울기, 압력, 적외선,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식의 시스템들이 있으며, 이 중 초음파 및 기울기를 이용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초음파 신호(이하 "송신(TX) 초음파"라 함)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송신 초음파가 차량 실내 침입자, 동승자 등의 사람 및 물건 등의 물체에 부딪쳐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 신호(이하 "수신(RX) 초음파"라 함)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된 송신 초음파가 송신되어 상기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가 수신되는 데까지 소요된 시간(이하 "송수신 시간"이라 함)을 측정하여 초기 설정된 기준 소요 시간보다 송수신 시간이 빨라지는 경우 침입이나 도난 물건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시간 동기화 방식과, 상기 송신된 송신 초음파의 위상과 상기 수신된 수신 초음파의 위상차를 검사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위상 동기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은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동작 전류를 최소화하는 암전류 저감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암전류 저감 기술로는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는 송신 주기를 크게 하거나 송신 전력을 낮게 하는 일반 모드(Normal Mode)와 일반 모드보다 송신 주기를 짧게 하거나 전력을 높게하여 전송하는 부스트 모드(Boost Mode)를 두어 운용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중 전력에 따라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를 전환하는 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에서의 초음파 수신기의 수신 초음파의 입력전압값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은 도 1의 10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송신기가 OFF 상태에서 ON 되면 일반 모드(Normal Mode)로 동작하고, 일반 모드 동작 중에 제1시각(t1, 111)에서 움직임이 검출되면 전력을 높여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는 부스트 모드(Boost Mode)로 전환하고, 부스트 모드에서 제2시각(t2, 112)에서 침입(또는 동승자) 검출 조건이 만족되면 차량 실내에 침입자가 있음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은 도 1의 10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부스트 모드의 제2시각(t2, 112)에서 침입 검출 조전이 만족되지 않으면 다시 일반 모드로 전환하며 일반 모드에서 동작 중 제3시각(t3)에서 제1시각에서와 동일하게 움직임이 다시 검출되게 되므로 부스트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게 되어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가 무한 반복하게 되는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현상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이런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현상은 초음파 송신기에서의 출력 변화가 이루어질 때(부스트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진입시) 초음파 수신기에서 신호가 일시적으로 노이즈처럼 튀는 현상이 발생함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제어모드 발진 현상은 평소에는 작은 움직임(바람으로 인해 비닐이나 무게가 가벼운 물체가 한번 움직인 경우, 차량 내에서 작은 물체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 등)으로 인해서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는 일반 모드에서 부스트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조건을 만족해야 하고, 이때 전압레벨 조건을 만족하는 데는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평소와 다른 환경(차량 내에 물건등이 많아서 차 실내 공간이 평소 대비하여 작아진 경우, 차량 실내 온도 변화 등)일 경우에는 작은 움직임(바람으로 인해 비닐이나 무게가 가벼운 물체가 한번 움직인 경우, 차량 내에서 작은 물체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 등)으로 인해서 발진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부스트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일시적 노이즈가 튀게 되는데, 차량 환경 변화로 인해서 전압레벨 조건 만족에 대한 여유가 없어 발진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은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가 무한 반복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침입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은 무한 반복 모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고장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은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를 무한 반복하므로 전력 소모가 증가하여 배터리를 방전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915호(2016.01.12.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 일반 모드(Normal Mode) 및 부스트 모드(Boost Mode) 간의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모드 전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으로 판단하여 초음파 수신기를 리셋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 따른 송신전력에 대응하는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기 및 상기 초음파 송신부에서 송신된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초음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초음파 모듈; 및 구동 시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부스트 모드로 전환하되, 부스트 모드 전환 시 일정 시간 동안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 간의 전환 횟수인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모드 전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모드 발진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 초음파의 전원을 오프/온 하여 리셋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구동 시 또는 일반 모드 신호의 수신 시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발송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부스트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일반 모드 감시부; 상기 부스트 노드 신호의 입력 시 동작하여 부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초음파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한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침입 검출 조건 만족 시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일반 모드 신호를 상기 일반 모드 감시부로 출력하는 부스트 모드 감시부; 상기 일반 모드 감시부 및 부스트 모드 감시부를 모니터링하여 송수신되는 일반 모드 신호 및 부스트 모드 신호의 송수신 여부에 따른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모드 전환 카운트부; 상기 모드 전환 횟수가 상기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모드 발진인지를 결정하고, 모드 발진 결정 시 모드 발진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침입 확정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판단부; 및 상기 모드 발진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초음파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및 온 하여 리셋하는 리셋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구동 시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상기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초음파 모듈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경보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트 모드 감시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발진 판단부로부터 침입 확정 신호의 입력 시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경보부로 출력하는 경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 시스템의 경보시스템이 연결되는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트 모드 감시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발진 판단부로부터 침입 확정 신호의 입력 시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경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경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구동 시 또는 초기화 요청 신호의 입력 시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차량 실내 환경에 따른 초음파 송신기의 방사 세기 및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센서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셋부는, 상기 모드 발진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센서 초기화부로 초기화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은: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구동 시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발송하고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일반 모드 감시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일반 모드 감시 과정에서 움직임이 검출되면 상기 초음파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한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일반 모드 감시 과정 및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 상호 간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 상호간 전환 횟수인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모드 전환 횟수 카운트 과정; 상기 제어부가 카운트되는 상기 모드 전환 횟수가 상기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모드 발진인지를 판단하는 발진 판단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드 발진인 것으로 판단되면 초음파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및 온 하여 리셋하는 리셋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구동 시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상기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초음파 모듈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에서 침입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발진 판단 과정에서 모드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부를 통해 침입이 감지되었음을 경보하는 경고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에서 침입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발진 판단 과정에서 모드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를 통해 차량 시스템의 경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침입이 감지되었음을 경보하는 경고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 환경이 변화되어도 모드 발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드 발진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침입 감지, 동승자 감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 간을 무한 전환하는 모드 발진을 방지하므로 모드 발진으로 인한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 발진을 방지하므로 모드 발진에 의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에서의 초음파 수신기의 수신 초음파의 입력전압값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서의 발진 시의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에 다른 초음파 수신기의 초음파 입력전압값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에서의 발진 시의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에 다른 초음파 수신기의 초음파 입력전압값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는 제어부(10), 전원부(20), 초음파 모듈(6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전원 감시부(30), 통신부(40), 가속도 측정부(50) 및 경보부(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른 구성들을 먼저 설명한 후,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부(20)는 배터리 전원인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의 구성들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1에서는 구동전원이 제어부(10) 및 초음파 모듈(60)로 입력되는 경우만 나타내었으나, 다른 구성들로도 입력되며 구성에 따라 해당 구동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값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전원 감시부(30)는 전원부(20)로 입력 배터리 전원인 차량 전원을 측정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통신부(40)는 국부상호연결네트워크(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 등과 같은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경보 시스템, 차체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등과 같은 차량 시스템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초음파 모듈(6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기(70) 및 상기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를 수신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초음파 수신기(80)를 포함한다.
초음파 송신기(7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 따른 전력을 가지는 송신 초음파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진부(71) 및 생성된 송신 초음파 발진 신호에 대한 송신 초음파를 생성하여 공중으로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 센서(72)를 포함한다.
초음파 수신기(80)는 상기 송신 초음파가 차량 실내에서 굴절되어 돌아오는 수신 초음파를 수신하여 수신 초음파 발신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수신 초음파 세선(82) 및 수신된 수신 초음파 발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세기정보 및 수신 초음파 발진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초음파 수신부(81)를 포함한다.
가속도 측정부(50)는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차량의 3축 방향에 대한 기울어짐을 측정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경보부(90)는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어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한다.
제어부(10)는 실내 감시 이벤트 모니터링부(11), 고장 진단부(12), 센서 초기화부(13), 일반 모드 감시부(14), 부스트 모드 감시부(15), 모드 전환 카운트부(16), 발진 판단부(17), 리셋부(18) 및 경보 처리부(19)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실내 감시 이벤트 모니터링부(11)는 실내 감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실내 감시 이벤트는 통신부(40)를 통해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이그니션 정보 및 키 락정보에 의해 또는 키박스와 직접 연결되어 키박스로부터 입력되는 이그니션 전원(IGN) 신호 및 차량 잠김(Key Lock) 신호의 수신 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고장 진단부(12)는 상기 실내 감시 이벤트 모니터링부(11)를 통해 실내 감시 이벤트가 발생되어 구동되면 상기 초음파 송신기(70)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초음파 수신기(80)를 통해 상기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초음파 모듈(6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센서 초기화부(13)는 구동 시 또는 리셋부(18)로부터 초기화 요청 신호의 입력 시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차량 실내 환경에 따른 초음파 송신기(70)의 방사 세기를 설정하고,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한다.
일반 모드 감시부(14)는 구동 시 또는 부스트 모드 감시부(15)로부터 일반 모드 신호의 수신 시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70)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기(80)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부스트 모드 신호를 부스트 모드 감시부(15)로 출력한다.
부스트 모드 감시부(15)는 상기 부스트 모드 신호의 입력 시 동작하여 부스트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70)를 제어하여 부스트 모드에 대응하는 전력을 가지는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기(8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한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침입 검출 조건 만족 시 경보 신호를 경보 처리부(19)로 출력하는 경보 설정을 수행하고,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일반 모드 신호를 상기 일반 모드 감시부(14)로 출력한다.
모드 전환 카운트부(16)는 상기 일반 모드 감시부(14) 및 부스트 모드 감시부(15)를 모니터링하여, 송수신되는 일반 모드 신호 및 부스트 모드 신호의 송수신 여부에 따른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여 출력한다. 상기 일정 시간은 30초(30s), 60초(60s)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드 전환 횟수는 20회, 40회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모드 전환 카운트부(16)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부스트 모드 직전의 일반 모드 개시 시점 또는 부스트 모드로 전환한 시점부터 일정 시간(예: 60s) 내의 311구간에서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가 전환하는 횟수인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한다.
발진 판단부(17)는 상기 모드 전환 카운트(16)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드 전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모드 발진인지를 결정하고, 모드 발진 결정 시 모드 발진 신호를 리셋부(18)로 출력하고, 모드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침입 확정 신호를 경보 처리부(19)로 출력한다.
리셋부(18)는 상기 발진 판단부(17)로부터 모드 발진 신호의 입력 시 도 3의 312 구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수신기(80)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및 온 하여 리셋한다.
리셋부(18)는 상기 모드 발진 신호의 입력 시 센서 초기화부(13)로 초기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센서 초기화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경보 처리부(19)는 부스트 모드 감시부(15)로부터 경보 신호가 입력되고 발진 판단부(17)로부터 침입 확정 신호가 입력되면 경보부(90) 또는 통신부(40)를 통해 차량 시스템인 경보 시스템으로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에서 경보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경보는 경고음이 될 수도 있고, 전조등 등의 점멸 등이 될 수도 있으며 둘 모두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실내 감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감시 이벤트는 이그니션이 오프되고 도어가 키락(Key Lock)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감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0)는 초음파 모듈(60)을 구동하고(S113), 초음파 모듈(60)의 고장 유무를 검사하여(S115), 초음파 모듈(60)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S117).
정상이 아니면 제어부(10)는 통신부(40)를 통한 차량 시스템인 경보 시스템 또는 경보부(90)를 통해 센서가 고장 났음을 경보한다(S119).
반면 정상이면 제어부(10)는 초음파 모듈(60)을 초기화하고(S121), 발진 타이머를 구동하여 발진 시간을 카운트하고(S123), 일반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S125).
일반 모드 동작이 개시되면 제어부(10)는 초음파 수신기(80)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27).
상기 움직임 검출 판단에서 움직임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는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고(S129), 부스트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S131).
상기 부스트 모드 동작이 개시되면 제어부(10)는 상기 발진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발진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했는지를 판단하고(S133), 발진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부스트 모드에서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한다(S135).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0)는 경보 설정을 수행한(S136) 후 S131로 진행하여 부스트 모드 동작을 상기 발진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발진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기 전에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제어부(10)는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고(S137),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S125).
상기 발진 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10)는 카운트된 모드 전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S139).
제어부(10)는 모드 전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면 송신 전력 제어 모드 간 발진인 모드 발진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S147), 초음파 수신기(80)를 리셋한(S149) 후 상기 초음파 모듈 초기화(S121)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발진 시간이 기준시간 초과 후 모드 전환 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부스트 모드에서의 침입 검출 조건 만족에 따른 경보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S142) 경보 설정 시 경보를 발생한다(S143).
경보가 발생되면 제어부(10)는 입력수단 또는 통신부(40) 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차량 도어락의 잠김 해제, 이그니션 전원 온 및 경보 해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감지되지를 모니터링하여 경보 해제 여부를 판단하고(S145) 경보 해제가 판단되면 경보를 해제한 후 상기 초음파 모듈 초기화(S121)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제어부 11: 실내 감시 이벤트 모니터링부
12: 고장 진단부 13: 센서 초기화부
14: 일반 모드 감시부 15: 부스트 모드 감시부
16: 모드 전환 카운트부 17: 발진 판단부
18: 리셋부 19: 경보 처리부
20: 전원부 30: 전원 감시부
40: 통신부 50: 가속도 측정부
60: 초음파 모듈 70: 초음파 송신기
71: 초음파 발진부 72: 초음파 송신 센서
80: 초음파 수신기 81: 초음파 수신부
82: 초음파 수신 센서 90: 경보부

Claims (10)

  1.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 따른 송신전력에 대응하는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기 및 상기 초음파 송신부에서 송신된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초음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초음파 모듈; 및
    구동 시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부스트 모드로 전환하되, 부스트 모드 전환 시 일정 시간 동안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 간의 전환 횟수인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모드 전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모드 발진으로 판단하여 상기 수신 초음파의 전원을 오프/온 하여 리셋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 시 또는 일반 모드 신호의 수신 시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발송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면 부스트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일반 모드 감시부;
    상기 부스트 모드 신호의 입력 시 동작하여 부스트 모드에서의 상기 초음파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한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침입 검출 조건 만족 시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일반 모드 신호를 상기 일반 모드 감시부로 출력하는 부스트 모드 감시부;
    상기 일반 모드 감시부 및 부스트 모드 감시부를 모니터링하여 송수신되는 일반 모드 신호 및 부스트 모드 신호의 송수신 여부에 따른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모드 전환 카운트부;
    상기 모드 전환 횟수가 상기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모드 발진인지를 결정하고, 모드 발진 결정 시 모드 발진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침입 확정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판단부; 및
    상기 모드 발진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초음파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및 온 하여 리셋하는 리셋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 시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상기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초음파 모듈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경보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트 모드 감시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발진 판단부로부터 침입 확정 신호의 입력 시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경보부로 출력하는 경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차량 시스템의 경보시스템이 연결되는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스트 모드 감시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발진 판단부로부터 침입 확정 신호의 입력 시 경보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경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경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 시 또는 초기화 요청 신호의 입력 시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차량 실내 환경에 따른 초음파 송신기의 방사 세기 및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센서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셋부는,
    상기 모드 발진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센서 초기화부로 초기화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7.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구동 시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발송하고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해 움직임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일반 모드 감시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일반 모드 감시 과정에서 움직임이 검출되면 상기 초음파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초음파에 의한 침입 검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일반 모드 감시 과정 및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 상호 간 전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일반 모드 및 부스트 모드 상호간 전환 횟수인 모드 전환 횟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모드 전환 횟수 카운트 과정;
    상기 제어부가 카운트되는 상기 모드 전환 횟수가 상기 기준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모드 발진인지를 판단하는 발진 판단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드 발진인 것으로 판단되면 초음파 수신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및 온 하여 리셋하는 리셋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구동 시 상기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송신 초음파를 송신하고, 초음파 수신기를 통해 상기 송신 초음파에 대응하는 수신 초음파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초음파 모듈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진단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에서 침입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발진 판단 과정에서 모드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부를 통해 침입이 감지되었음을 경보하는 경고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부스트 모드 감시 과정에서 침입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발진 판단 과정에서 모드 발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를 통해 차량 시스템의 경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침입이 감지되었음을 경보하는 경고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방법.
KR1020190083849A 2019-07-11 2019-07-11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21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49A KR102216476B1 (ko) 2019-07-11 2019-07-11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49A KR102216476B1 (ko) 2019-07-11 2019-07-11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15A true KR20210007415A (ko) 2021-01-20
KR102216476B1 KR102216476B1 (ko) 2021-02-17

Family

ID=7430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49A KR102216476B1 (ko) 2019-07-11 2019-07-11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4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658B2 (ja) * 1997-07-23 2002-1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静止形無効電力補償装置
KR101265468B1 (ko) * 2012-07-10 2013-05-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3184484A (ja) * 2012-03-06 2013-09-19 Denso Corp センサ異常検出装置
KR101584915B1 (ko) 2014-09-24 2016-01-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이중 모드 침입 검출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658B2 (ja) * 1997-07-23 2002-1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静止形無効電力補償装置
JP2013184484A (ja) * 2012-03-06 2013-09-19 Denso Corp センサ異常検出装置
KR101265468B1 (ko) * 2012-07-10 2013-05-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84915B1 (ko) 2014-09-24 2016-01-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이중 모드 침입 검출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476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6198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having transmitter learning and feature programming based on a single-digit user code and related methods
US5309144A (en) Proximity sensing security system
US6317034B1 (en) Alarm sensor multiplexing
US5977654A (en) Anti-theft System for disabling a vehicle engine that includes a multi-contact switch for disconnecting the battery and loading the vehicle electrical system
US5574424A (en) Anti-car jacking/theft device
US20040075553A1 (en) Antitheft apparatus and antitheft auxiliary device
US5612669A (en) Vehicle security system having enhanced false alarm compensation
KR101768449B1 (ko) 리모컨키의 버튼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US9205808B2 (en) Intrusion detection device
JPH06239203A (ja) 車両の侵入検出器
US7973649B2 (en) Method of an apparatus for sensing the unauthorized movement of vehicles and the like and generating an alarm or warning of vehicle theft
KR102216476B1 (ko)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모드 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US6774779B2 (en)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tire monitoring device
JP4658671B2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KR101584915B1 (ko) 이중 모드 침입 검출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EP1730005B1 (en) Sensing vehicle movement
JP4441452B2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KR101964682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00185629A (ja) 自動車の室内の監視装置
RU2332720C2 (ru) Система сигнализации о пропаже объекта
US7649443B2 (en) Antitheft apparatus
JPH06201827A (ja) 車両用後方監視装置
KR102068095B1 (ko) 초음파 센서 고장여부 점검 및 포화현상 방지 기능을 갖는 초음파 침입 검출 장치
JP2014016725A (ja) 侵入検知装置
JP2003036482A (ja) 状態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