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106A - Educational infant clothing - Google Patents

Educational infant clo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106A
KR20210007106A KR1020190082955A KR20190082955A KR20210007106A KR 20210007106 A KR20210007106 A KR 20210007106A KR 1020190082955 A KR1020190082955 A KR 1020190082955A KR 20190082955 A KR20190082955 A KR 20190082955A KR 20210007106 A KR20210007106 A KR 20210007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education
clothing
educati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튼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튼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튼밀
Priority to KR102019008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106A/en
Publication of KR20210007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1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fant educational clothing provided with an education member using a base panel.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nel (20) formed on one surface of clothing (100) and including education content having an animal and plant, character, or object shape; a coupling member (30) providing a coupling force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having the form of a tick button, a Velcro tape, a zipper, or a magnet in at least one part of the base panel (20); and an education member (10)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member (30) and having a shape or surface including education content that is a letter, a picture, a number, or a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edu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gaze and body temperature of an education provider such as a parent felt. As a result, an infant′s emotionally stability can be ensured. In addition, the base panel is provided that has a shape or content related to education content such as the shape or content of the education member. As a result, an infant can be naturally taught combination and association of things.

Description

교육 부재를 이용한 교육용 유아 의복{Educational infant clothing}Educational infant clothing using absence of education {Educational infant clothing}

본 발명은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부모, 조모, 교사 등의 유아 교육 대상자가 착용하는 의복에 유아의 지능 및 감각 발달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가 수록된 교육 부재를 의복 상에 구현되어 있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구비함으로써 유아가 직접 베이스 패널 및 교육 부재를 만지고 보는 과정에서 유아 교육 대상자와 마주보고 학습이 이루어짐으로 학습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유아 교육 대상자와 친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thing for infant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al member by a base panel, and in more detail,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capable of developing intelligence and sensory of infants are included in clothing worn by children to be educated, such as parents, grandmothers, and teachers. By providing the educational member by the base panel embodied on the clothing, the child faces the child's education subject and learns in the process of directly touching and viewing the base panel and the education member, thus having a learning effect and feeling intimacy with the subj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relates to clothing for children's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have.

유아는 대략 0~36개월의 신생아, 베이비, 크롤러, 토들러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각 시기별 성장에 따라 신체ㅇ 운동 발달, 정서 발달, 언어 발달, 인지 발달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각 분야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발달을 위하여 현대의 부모는 다양한 교육 자료를 유아에게 제공하고 있다.Infant is a concept that includes newborn babies, babies, crawlers, and toddlers of approximately 0 to 36 months, and processes such as physical and motor development, emotional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each period. For smooth and efficient development, modern parents provide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to young children.

현재까지 알려진 전통적인 이론에 의하면, 보고 만지고 듣고 냄새를 맡는 등의 오감을 통하여 유아의 지능발달이 가능하고, 교육 자료 중 색상 내지 모양이 있는 것에 더욱 민감한 관심을 보이며, 3세 이전에 받은 자극의 질과 양에 따라 유아의 진보속도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traditional theory known to date, it is possible to develop intelligence of infants through the five senses such as seeing, touching, listening, and smelling, and shows more sensitive interest in the color or shape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quality of stimulation received before the age of 3 years. The rate of progression of infants differs according to the amount and amount.

실제 미국의 화이트(White) 박사의 실험 내용에 따르면, '아기는 저절로 성장하는가 아니면 환경 및 주변 사람들에 의하여 좌우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생아를 2 그룹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According to the actual contents of the experiment by Dr. White of the United State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newborn into 2 groups to find out whether the baby grows on its own or is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and the people around him.

1 그룹은 생후 6일부터 36일 동안 간호사가 무늬 없는 흰 간호복을 입고 유아를 대하였고, 2 그룹은 간호사가 칼라와 무늬가 있는 셔츠를 입고 수유 후 고개를 숙여 유아가 바라보게 하였다.In group 1, nurses treated infants in white unpatterned nursing uniforms for 36 days from 6 to 36 days of age, and in group 2, nurses wore collars and patterned shirts and bowed after feeding to make infants look.

그 결과, 2 그룹에 속한 유아는 1 그룹에 속한 유아보다 활발한 움직임을 보임과 동시에 사물을 잡기 위해 손을 뻗히는 속도가 2개월 정도 빨리 이루어졌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fants belonging to group 2 showed more active movements than infants belonging to group 1, and at the same time, the speed of reaching out to grab objects was 2 months faster.

이러한 유아 학습 이론은 이미 많은 부모가 깨닫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장난감과 스티커, 캐릭터 등에 의하여 유아가 밝고 화려하며 다양한 색채를 인지하고(시각 학습), 딸랑이 등을 통해 소리를 인지하며(청각 학습), 만지고 비비면서 감촉을 인지하면서(촉각 학습) 학습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This theory of early childhood learning is already recognized by many parents, so that children can recognize bright, colorful, and diverse colors through various types of toys, stickers, and characters (visual learning), and recognize sounds through rattles (audible learning), and touch them. It is a situation in which learning is provided while recognizing the touch while rubbing (touch learning).

현재까지의 유아용 장난감 등의 놀이 학습 기구는 유아의 부모가 먼저 사용법을 유아에게 보여줘 유아의 관심을 유발한 다음, 유아가 스스로 놀이 학습 기구를 가지고 놀도록 되어 있다. 물론, 부모 등의 교육 제공 대상자가 유아와 함께 이러한 놀이 학습 기구를 가지고 놀 수도 있으나 근본적으로 부모 및 유아의 시선이 놀이 기구에집중되도록 이루어져 결국 유아 자신이 놀이 기구를 붙잡고 부모는 옆에서 유아의 놀이 상황을 지켜보면서 호응을 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Until now, play-learning equipment such as toys for infants is designed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infant by showing the infant's parents first how to use it, and then the infant himself plays with the play-learning equipment. Of course, the target of education, such as parents, may play with these play-learning equipment with infants, but the eyes of parents and infants are fundamentally focused on the play equipment, so that the infant himself holds the play equipment and the parents play next to the child. It is common to observe the situation and respond to it.

통계자료에 의하면 퇴근 후의 아빠가 유아와 함께 자주 못 놀아 주는 것 때문에 엄마의 불만이 많다고 하는데, 이는 직장 생활에 지친 아빠가 일정 시간동안 유아의 놀이 시에 관심과 호응을 가지며 같이 놀아줄 때 체력 소모가 증가하고 쉽사리 피로감을 느껴 그냥 놀이 기구를 유아에게 건네주고 유아가 알아서 놀도록 방치하게 되기때문이다.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moth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 dad after work can not play with the infant often, which is why the dad, tired of work life, has interest and response when playing with the infa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onsumes physical strength when playing together. This is because the children feel tired easily and hand over the play equipment to the child and let the child play on their own.

유아는 본능적으로 부모의 품에 안기거나 부모의 체온을 느끼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찾으려 하는데 이렇게 부모와 분리되어 있는 놀이 기구는 부모의 체온을 직접적으로 느끼면서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Young children instinctively seek emotional stability while being held in the arms of their parents or feeling their parents' body temperature, but the playground equipment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has limitations in delivering educational content while directly feeling the parent's body temperature.

즉, 종래의 다양한 놀이기구는 특정 감각을 발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지는 몰라도 유아가 부모와 시선을 맞추면서 부모의 존재와 따스한 부모의 품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인성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역부족하였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conventional various playground equipment may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 specific sense can be developed, it was insufficient to provide a personality education environment in which infants can feel the presence of their parents and the warm embrace of parents while making eye contact with their parents.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 404353호, 404354호, 404355호, 404357호인 "유아 교육용 의복"은 엠보싱 수단, 칠판, 시계, 주판, 놀이 카드 부착 블록을 구비하는 방식으로 부모 등의 의복에 놀이 수단을 제공하여 유아가 부모의 체온과 시선을 느끼면서 학습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applicant's Utility Model Nos. 404353, 404354, 404355, and 404357, "Educational Clothing for Infants" are embossing means, a blackboard, a clock, abacus, and a block for attaching playing cards to parents, By providing a means of play for clothing, it is designed so that infants can learn while feeling the body temperature and gaze of their parents.

이러한 기술은 부모의 의복에 놀이 기구를 부착하여 새로운 놀이 및 교육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식으로서, 유아의 의복에 거꾸로 놀이 수단을 부착하는 의복으로 이루어진 미국특허 제 5,957,692호에 비하여 진보성을 인정받았다.This technology is an innovative way to create a new play and education culture by attaching play equipment to parents' clothing, and has been recognized for its progress compared to U.S. Patent No. .

이에 부응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 등록실용신안보다 차별화되고 진보한 방식으로 부모의 의복에 놀이 수단을 부착하는 기술을 제공하려 한다.In response to this, the applicant intend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attaching play means to parents' clothing in a way that is differentiated and more advanced tha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특히, 교육 부재가 의류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교육 부재의 컨텐츠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내용을 수록하여 교육 부재와의 컨텐츠 매칭을 이루면서도 촉각의 발달을 위한 수단을 장착한 별도의 패널 상에 교육 부재를 부착함으로 교육 효과를 진일보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ducation member is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clothing, but the education member on a separate panel equipped with a means for developing tactile sense while achieving content matching with the education member by recording content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member It can be said that the necessity for a separate configuration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by attaching the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모 등의 교육 제공자의 의복에 교육 부재를 제공하되, 유아의 공간 지각 능력을 배양하면서 다양한 지능 발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 컨텐츠로 이루어져 있는 교육부재가 의복 재질과 별도로 제작된 베이스 패널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 목적이라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provided an educational member to the clothing of education providers such as parents, but consisted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o provide a variety of intelligence development environments while cultivating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of infants.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purpose is to provide clothing that allows the educational member to be accommodated in a base panel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lothing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패널에 주변 의복 부위와 다른 거칠기를 부여하여 유아에게 다양한 촉각을 제공함으로 유아의 촉각을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tactile sensations to the infant by giving the base panel a rough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rrounding clothing region so that the infant's tactile sensation can be develop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패널과 교육 부재, 결합 부재 간의 교육 컨텐츠 간의 상호 연관성을 부여하여 일체적인 교육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by providing inter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the base panel, the educational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베이스 패널에 주머니를 구비하여 교육 부재를 이에 담거나 별도의 놀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 base panel is provided with a pocket so that an educational member can be contained therein or a separate play can be play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에 따르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loth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al member by the bas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부모 등의 교육 제공자의 시선 및 체온을 느끼면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유아의 정서 안정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교육 부재가 수록한 형상 내지 내용과 같은 교육 컨텐츠와 연관성이 있는 형상 내지 내용을 가진 베이스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에게 사물의 조합/연관 관계를 자연스럽게 교육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1) I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an receive education while feeling the gaze and body temperature of education providers such as parents,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effect of stabilizing the emotions of infants, and at the same time, the shape or the shape related to the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the contents By providing a base panel with cont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hildren can naturally educate children about the combination/relationship of objects.

2) 주변의 의복 원단 재질과 마찰계수가 다른 베이스 패널을 제공함으로 촉각의 다양성을 유아에게 체득하도록 하여 다양한 감각 발달을 추구하는데 효율적이며,2) It is effective in pursu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nses by providing children with a variety of tactile sensations by providing a base panel with a different material and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urrounding clothing.

3) 베이스 패널에 주머니를 형성하여 공감각적 인지 능력 향상을 유아에게 제공함과 동시에,3) A pocket is formed on the base panel to provide children with improved synesthesia and cognitive ability.

4) 입체적인 베이스 패널 제공으로 보다 다양한 교육 부재와의 결합 관계를 구현함으로써 유아의 지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4) By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base panel, it has an effect that can help children's intelligence development by realiz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more diverse educational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당벌레 형태의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비 형태의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과나무 형태의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랫줄 형태의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lothing for children's education provided with an educational member by a ladybug-shaped bas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lothing for children's education provided with an education member by a butterfly-shaped bas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fant education clothing provided with an education member by the base panel in the form of an apple t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bas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lothing for children education provided with an education member by the base panel in the form of a clothes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 부재를 이용한 교육용 유아 의복은, 동식물 형상, 캐릭터 형상, 사물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 교육 컨텐츠를 포함한 상태로 의복(100)의 일 표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패널(20); 상기 베이스 패널(20)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서 똑딱이 단추, 벨크로 테이프, 지퍼, 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탈부착 결합력을 부여하는 결합 부재(30); 상기 결합 부재(3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되, 형상 내지 표면에 문자, 그림, 숫자, 도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는 교육 부재(1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ducational clothing for infants using the educationa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othing 100 in a state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having any one of an animal and plant shape, a character shape, and an object shape. A base panel 20 to be used; A coupling member 30 formed by any one of a snap button, a Velcro tape, a zipper, and a magnet at at least one portion of the base panel 20 to provide a detachable and detachable coupling force; Doedo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member 30, the educational member 10 including any one of text, picture, number, figure on the shape or surface of the educational member;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또한, 상기 베이스 패널(20)과 상기 교육 부재(10)에 형성된 교육 컨텐츠들은 그 의미 상 포함관계 내지 연관관계 중 어느 하나의 관련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베이스 패널(20)의 형상 중 특징적인 일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med on the base panel 20 and the educational member 10 have a relationship of any one of an inclusive relationship or a related relationship in terms of meaning, and the coupling member 30 is the base panel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a characteristic part of the shape of.

더불어, 상기 베이스 패널(20)은 베이스 패널(20)이 형성되는 의복(100) 주변 부위보다 마찰계수가 크거나 작은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panel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area around the clothing 100 in which the base panel 20 is formed.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 패널(20)은, 주머니 형상을 가지도록 내부에 스페이스(50)를 구비하고, 일 표면에는 상기 스페이스(50)로 내통될 수 있는 개폐부(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panel 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pace 50 inside to have a pocket sha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4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50 on one surface.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 패널(20)은,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1쌍으로 형성된 단추(21); 상기 단추(21) 사이를 잇도록 연결된 줄(22); 상기 줄(22)에 걸려 있는 옷걸이(31);로 구성되어, 상기 교육 부재(10)는 옷으로 이루어져 상기 옷걸이(31)에 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base panel 20, a button 21 formed as a pair with a certain distance therebetween; A row (22) connected to connect the buttons (21); Consisting of a hanger 31 hanging on the line 22, the training member 10 is made of clothes and can be hung on the hanger 3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refer to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당벌레 형태의 베이스 패널(20)에 의하여 교육 부재(10)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비 형태의 베이스 패널(20)에 의하여 교육 부재(10)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과나무 형태의 베이스 패널(20)에 의하여 교육 부재(10)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lothing for children's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 member 10 by a base panel 20 in the form of a ladyb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utterfly in the form of a butterf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for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loth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 member 10 by the base panel 20, and FIG. 3 is an education member by the base panel 20 in the form of an apple t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clothing for children's education.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의복(100)은 부모, 조모, 할머니, 할아버지와 같이 유아가 아닌 교육 제공자가 입는 용도를 기본으로 하며 도 1에서는 상의로서 표현이 되어 있지만 하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 가능하고 더 나아가 앞치마, 턱받이와 같은 신체에 착용하는 유사 의복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The clothing 100 mea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purpose worn by an education provider who is not an infant, such as a parent, grandmother, grandmother, or grandfather, and is expressed as a top in FIG. 1, but can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a bottom. Furthermore,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similar clothing worn on the body such as an apron and a bib.

도 1 내지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 교육용 의복은 의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되, 일정한 형상, 즉 무당벌레, 나비, 사과나무 등의 특정 생물 형상 내지 캐릭터, 특정 의미를 가진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패널(20) 상에 교육 부재(10)가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s. 1 to 3, the clothing for children's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othing, but has a certain shape, that is, a specific creature shape such as a ladybug, a butterfly, an apple tree, or a variety of characters having a specific meaning. It has a form in which the educational member 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panel 20 formed in the shape.

베이스 패널(20)은 기본적으로 교육 부재(10)와 교육 컨텐츠의 의미상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base panel 20 basically has a shape hav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member 10 and the educational content.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 베이스 패널(20)이 무당벌레 형상을 가지고 있을 경우 교육 부재(10)는 이러한 무당벌레의 등에 형성된 점(무늬) 부위에 형성된 결합 부재(30)에 부착이 되는 곤충 형상은 물론 무당벌레 무늬가 글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상 속의 형태를 이루기 위해 알파벳 형상, 숫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 2와 같이 베이스 패널(20)이 나비 형상일 가질 경우 나비 날개에 형성된 결합 부재(30)에 나비와 관련된 곤충 형상 내지 보다 상상력을 발휘하여 알파벳, 숫자와 같은 기타 형상이 부착이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 when the base panel 20 has a ladybug shape, the training member 10 is an insect that is attached to the coupling member 30 formed on the dot (pattern) portion formed on the back of such a ladybug. In order to form an imaginary shape in which the ladybug pattern is formed in the form of letters as well as the shape, it is formed in an alphabetic shape and a number shape, and when the base panel 20 has a butterfly shape as shown in FIG. 2, a coupling member 30 formed on the butterfly wing Insect shapes related to butterflies or other shapes such as alphabets and numbers are attached to them by showing their imagination.

또한, 도 3과 같이 베이스 패널(20)이 사과나무 형상을 가질 경우 사과열매 부위에 결합부재(30)가 형성되어 이에 사과 등의 열매 형상, 기타 그림 형상을 가진 교육 부재(10)가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se panel 20 has the shape of an apple tree, as shown in FIG. 3, a coupling member 30 is formed at the portion of the apple fruit, so that an education member 10 having a fruit shape such as an apple or other figure shape is attached. I can.

즉, 베이스 패널(20)의 형태는 다양성을 추구하나 이 형태 내에서 상징적인 부위(상기 예에서 열매, 점, 무늬등의 특징 부위)를 하나 이상 추출하여 이에 결합 부재(30)를 형성하고 결합 부재(30)에 베이스 패널(20) 형태와 의미가 통할 수 있도록 연관 내용을 가진 교육 부재(10)를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hape of the base panel 20 pursues diversity, but one or more symbolic parts (features such as fruit, dots, patterns, etc. in the above example) are extracted from within this form, and a coupling member 30 is formed thereon and combined. The educational member 10 with related contents is attached to the member 30 so that the shape and meaning of the base panel 20 can be communicated.

이러한 베이스 패널(20)과 교육 부재(10)의 연관성에 의하여, 유아는 사물의 연관 관계, 조합/결합 관계를 배울 수 있는 특성을 누릴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예를 들어 사과나무에 알파벳 열매가 열리는 것 등으로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하여 유아의 상상력 증진 학습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panel 20 and the educational member 10, infants not only enjoy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he relationship of objects, combinations/combination relationships, but furthermore, for example, the fruit of the alphabet is opened on an apple tree. It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that children can enjoy the imagination enhancement learning effect by allowing their imagination to be displayed.

또한, 베이스 패널(20)은 주변 의복(100) 표면 부위보다 표면 자체의 거칠기, 즉 촉각적 질감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se panel 20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roughness, that is, a tactile texture, of the surface itself than the surface portion of the surrounding clothing 100.

구체적으로, 의복(100) 원단과 다른 소재를 사용하되 그 사용되는 소재는 의복 원단, 즉 베이스 패널 주변 부위Specifically,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abric of the garment 100 is used, but the material used is the garment fabric, that is, the area around the base panel

보다 질감이 강하거나(거칠거나), 약한(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져 유아가 베이스 패널(20)을 만지면서 의복과 다른 촉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촉각 발달을 자극하도록 하는 바, 부드러운 소재로서는 극세사 원단, 비닐 원단 등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거친 소재로는 올이 굵은 섬유재 내지 합성수지재 섬모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It is made of a material with a stronger (rough) or weaker (soft) texture than the base panel (20) so that the infant can feel a touch different from that of clothing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s sense of touch. Fabric, vinyl fabric, etc. may be used, and as a rough material, thick fiber material or synthetic resin cilia may be used.

이러한 거칠기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물체가 기본적으로 보유한 마찰계수에 의하여 구체화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패널(20)의 마찰 계수는 의복복 원단, 즉 베이스 패널(20)이 부착되는 주변 부위의 평균 마찰계수보다 크거나(거칠거나) 작아(부드러워) 의복 원단과 다른 거칠기를 가지도록 하여 유아에게 별도의 촉감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In general, the degree of roughness can be embodied by the coefficient of friction possessed by the object.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base pane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abric of clothing, that is, the surrounding area to which the base panel 20 is attached. It is based on giving infants a separate touch by having a roughness different from that of the garment fabric, which is larger (rough) or smaller (soft) than the average coefficient of friction of.

보다 구체적으로, 원단이 거친 경우(즉, 상대적으로 원단의 마찰계수가 큰 경우) 베이스 패널(20)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복 원단의 마찰계수보다 005 내지 015 정도 작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을 사용하고, 원단이 부드러운 경우(즉, 상대적으로 원단의 마찰계수가 작은 경우) 베이스 패널(20)에 거친 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복 원단의 마찰계수보다 005 내지 015 정도 큰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abric is rough (that is, when the fabric has a relatively large friction coefficient), in order to give the base panel 20 a soft touch,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that is about 005 to 015 smaller tha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lothing fabric is used. When the fabric is soft (i.e.,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fabric is relatively small), in order to impart a rough touch to the base panel 20,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that is about 005 to 015 higher tha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lothing fabric is used. It is desirable to do.

물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죽의 마찰계수가 사포의 마찰계수보다 큰 것처럼 마찰계수의 수치가 실제 느끼는 촉감과는 차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베이스 패널(20)의 거칠기는 상대적으로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 의복 원단과 차이만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고 실제 의복에 사용되는 원단 범위 내에서는 마찰계수와 실제 느껴지는 거칠기의 정도는 비례한다고 가정을 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수치 범위를 도출한 것이다.Of course, as is well known, as if the friction coefficient of leather is greater than that of sandpaper, the value of the friction coefficient may have a difference from the actual feel, but the roughness of the base panel 20 pursu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It is sufficient to show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bric and the fabric within the numerical range, and the numerical range as described above was deriv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degree of roughness actually felt are proportional within the fabric range used for the actual garment.

이러한 베이스 패널(20)의 존재로 인하여, 단순히 의복 자체에 직접 교육 부재(10)를 부착할 때보다 유아에게 사물의 연관 관계를 학습시킬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형상을 가지는 사물(예를 들어, 무당벌레 등)의 실제 촉감을 모사한 성질을 가지도록 베이스 패널(20)에 특유 촉각을 부여함으로써 실제 유아가 해당 사물을 만진 것과 같은 느낌 제공 및 촉각 발달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Due to the presence of such a base panel 20, it is possible to help infants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rather than simply attaching the education member 10 directly to the clothing itself, as well as objects having a specific shape. By giving the base panel 20 a unique tactile sense to have a property that mimics the actual tactile sensation of (for example, a ladybug,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eling as if an actual infant touched the object and provide a tactile development effect. Have characteristics.

이러한 베이스 패널(20)은 의복 표면에서 하나 이상 구현이 가능하며, 2개 이상 구현이 되었을 경우 도 1, 2, 3에서 작은 무당벌레(나비 내지 사과나무) 및 큰 무당벌레(나비 내지 사과나무)를 구현한 것과 같이 베이스 패널(20) 간의 형상에 따른 연관성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r more of these base panels 20 can be implemented on the surface of the garment, and when two or more are implemented, a small ladybug (butterfly or apple tree) and a large ladybug (butterfly or apple tree) in FIGS. 1, 2 and 3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hape between the base panels 20 as implemented.

더불어, 결합 부재(30)는 벨크로 테이프, 단추/고리 조합, 지퍼, 똑닥이 단추 조합, 후크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바, 이러한 결합 부재(30)의 위치 내지 형상 역시 베이스 패널(20)에 표현된 형상에서 의미를 부여하도록 하여, 가령 무당벌레의 경우 무당벌레의 점 위치에 결합 부재(30)가 형성되도록 하여 베이스 패널(20)과 교육 부재(20)의 상호 연관성(포함 관계) 있는 조합을 만들기 위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30 may be made of any one of a velcro tape, a button/ring combination, a zipper, a snap button combination, a hook, etc., and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30 is also on the base panel 20. By giving meaning in the expressed shap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dybug, the coupling member 30 is formed at the point of the ladybug, so that the base panel 20 and the educational member 20 are interrelated (inclusive relationship). It plays a role as a medium to cre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bas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패널(20) 상의 결합 부재(30)를 통하여 ㄱ 자 내지 알파벳 A와 같은 교육 컨텐츠를 포함한 교육 부재(1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rough the coupling member 30 on the base panel 20,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 member 10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such as letter A to A is attached.

베이스 패널(20)은 전체적인 형상 중 특정 부위 내지 전체 부위를 입체적으로 형성하여 일정 공간, 즉 스페이스(50)를 가져 이 공간이 주머니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되, 이러한 주머니는 개폐부(40)를 구비하여 개폐부(40) 주변을 통해 기타 물건을 주머니 내에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ase panel 20 has a certain space, that is, a space 50 by three-dimensionally forming a specific part or an entire part of the overall shape so that this space can be utilized as a pocket, but such a pocket ha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4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ut other things in the pocket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0.

구체적으로, 도 4(a)의 경우 지퍼 형태의 개폐부(40)를 통해 주머니 내의 스페이스(40)로 진입이 가능하고, 도 4(b)의 경우 앞트임 형태를 가진 개폐부(40)에 의하여 스페이스(50)로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FIG. 4(a), it is possible to enter the space 40 in the pocket through the zipper-shaped opening and closing part 40, and in the case of FIG. 4(b), the space ( 50) can be entered.

즉,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예시적으로 표현된 무당벌레의 몸통 부위가 주머니가 되어 지퍼 내지 앞트임 부위와 같은 개폐부(40)를 통해 내부 공간, 즉 스페이스(50)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That is,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 the body part of the ladybug, which is exemplarily expressed, becomes a pocket and is configured to enter the inner space, that is, the space 5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 such as a zipper or a front opening. .

또한 도 4(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결합 부재(30)가 단추로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이 단추에 고리를 구비한 교육 부재(10)를 걸 수 있도록 하여 교육 부재(10)가 기본형, 고리 부착형으로 구분이 가능한 상태에서 베이스 패널(20)에 장착되는 다양한 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Fig. 4(b), when the coupling member 30 is formed as a button, the training member 10 is a basic type and a ring attached so that the training member 10 having a ring can be hung on the button. In a state that can be classified by type, various states of being mounted on the base panel 20 can be express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랫줄 형태의 베이스 패널(20)에 의하여 교육 부재(10)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lothing for children's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 member 10 by a base panel 20 in the form of a clothes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패널(20)은 빨랫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빨랫줄 형태는 평면으로도 가능하나 교육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입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5, the base pane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clothesline shape, and such a clothesline shape may be formed in a flat surface, bu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in three dimensions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구체적으로, 베이스 패널(20)은 줄(22)의 양단에 단추(21)를 구성하고 단추 (21)사이에 의복(100)에 붙어 있거나 아니면 실제 줄(22)을 매단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줄(22)에는 옷걸이(31)가 하나 이상 구비가 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base panel 20 is configured to have buttons 21 at both ends of the string 22 and attached to the garment 100 between the buttons 21 or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actual string 22 is suspended. In addition, one or more hangers 31 are provided in the row 22.

옷걸이(31) 역시 의복(100)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가지거나 아니면 실제 옷걸이와 마찬가지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이에 옷 형상을 가진 교육 부재(10)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hanger 31 also has a state that is fixedly attached to the clothes 100 or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like an actual hanger so that the training member 10 having a clothes shape can be hung thereon.

예를 들어 옷걸이(31)의 상부는 줄(22)에 걸려 있는 그림으로 표현 구성하고 하단 일부만 유동 가능한(덜렁거리는)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옷걸이(31)가 줄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실제 이러한 옷걸이(31)의 하부에 옷 형상의 교육 부재(10)를 걸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에게 입체물의 조합 관계 교육과 색다른 호감과 재미를 부여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hanger 31 is represented by a picture hung on the string 22, and only a part of the lower part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can flow (rumble) so that the hanger 31 appears to be firmly coupled to the string. At the same time, by configuring the educational member 10 in the form of clothes to be hung under the hanger 31, it is possible to give children a combination relationship educa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a different likability and fun.

아니면, 옷걸이(31)는 줄(22) 주변에 부착 구성이 되어 있되, 옷걸이(31)의 일 표면에 결합 부재(30)를 구비하여 이러한 결합 부재(30)를 통해 옷으로 이루어진 교육 부재(10)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Otherwise, the hanger 31 is attached around the string 22, but a coupling member 3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anger 31, and the training member 10 made of clothes through the coupling member 30 ) And can also be attach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lothing for infant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al member by the bas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and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교육 부재 31: 옷걸이
20: 베이스 패널 40: 개폐부
21: 단추 50: 스페이스
22: 줄 100: 의류
30: 결합 부재
10: absence of training 31: hanger
20: base panel 40: opening and closing part
21: button 50: space
22: line 100: clothing
30: coupling member

Claims (7)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으로서,
동식물 형상, 캐릭터 형상, 사물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 교육 컨텐츠를 포함한 상태로 의복의 일 표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서 똑딱이 단추, 벨크로 테이프, 지퍼, 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탈부착 결합력을 부여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되, 형상 내지 표면에 문자, 그림, 숫자, 도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는 교육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As a cloth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al member by a base panel,
A base panel formed on one surface of clothing in a state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having any one of an animal and plant shape, a character shape, and an object shape;
A coupling member formed by any one of a snap button, a Velcro tape, a zipper, and a magnet i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base panel to provide a detachable and detachable coupling force;
Doedo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member, the education member including any one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letters, pictures, numbers, figures on the shape o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rovided with an education member by the base panel Children's educational cloth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이 형성되는 의복 주변 부위보다 마찰계수가 크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nel,
Clothing for infant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 member by the bas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is greater or smaller than the area around the clothing in which the base panel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주머니 형상을 가지도록 내부에 스페이스를 구비하고, 일 표면에는 상기 스페이스로 내통될 수 있는 개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nel,
It has a space inside so as to have a pocket sha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that can be passed into the spac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hild's educational clothing having an educational member by a base pa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과 상기 교육 부재에 형성된 교육 컨텐츠들은 그 의미 상 포함관계 내지 연관관계 중 어느 하나의 관련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베이스 패널이 동식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몸체무늬, 열매, 점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The method of claim 1,
The educational contents formed on the base panel and the educational member have any one of an inclusion relationship or an association relationship in meaning, and the coupling member is a body pattern, a fruit, and a dot when the base panel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imal or pl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f the parts, infant education clothing provided with an education member by a base pa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단추로 이루어져 이에 고리를 추가로 구비하는 상기 교육 부재가 걸림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The method of claim 1,
The engaging member is made of a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ining member, which further includes a ring thereto engage in engagement, the infant education clothing provided with an education member by a base pa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1쌍으로 형성된 단추;
상기 단추 사이를 잇도록 연결된 줄;
상기 줄에 걸려 있는 옷걸이;로 구성되어,
상기 교육 부재는 옷으로 이루어져 상기 옷걸이에 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anel,
A pair of buttons with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m;
A row connected to connect the buttons;
Consists of; a hanger hanging on the line,
The educational member is made of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hung on the hanger, infant education clothing provided with an educational member by a base pane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는 상기 결합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옷으로 이루어진 교육 부재가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The method of claim 6,
The hanger is provided with the coupl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ducation member made of the clothes i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the clothing for infant education having an education member by a base panel.
KR1020190082955A 2019-07-10 2019-07-10 Educational infant clothing KR202100071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955A KR20210007106A (en) 2019-07-10 2019-07-10 Educational infant clo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955A KR20210007106A (en) 2019-07-10 2019-07-10 Educational infant clot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06A true KR20210007106A (en) 2021-01-20

Family

ID=7430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955A KR20210007106A (en) 2019-07-10 2019-07-10 Educational infant clo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1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290B2 (en) Clothes for infant education
US4710979A (en) Mother's apron or bib with detachable multicolored two-dimensional infant toys to aid supervised baby play
US82772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d applying treatment for the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a child for a multicultural society
EP2690979B1 (en) Method for designing a garment
US20110056021A1 (en) Child's Educational Blanket
US20070172802A1 (en) Portable early learning sensory toy set for babies and infants
US20020108162A1 (en) Learning bib
CN101427852A (en) Clothes for kindergarten education
US20070054593A1 (en) Therapeutic to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056274A1 (en) Clothes for infant education
KR100834997B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having educating material through base panel
KR200404353Y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KR200404357Y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WO2008098882A2 (en) Stimulator for brain, senses and skills development
KR20210007106A (en) Educational infant clothing
US20130125286A1 (en) Interactive Garment System
KR200404354Y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KR100834998B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having educating material through detachable window
KR200404355Y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KR100846202B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having educating material through frame
KR100834999B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having function of measuring height
KR101685642B1 (en) Moving character t-shirts
JP6902297B1 (en) Picture book type educational equipment
KR100834996B1 (en) Clothes for educating infant having educating material through band
KR20210007105A (en) Educational infant clothing with key recovery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