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929A - 회전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회전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929A
KR20210006929A KR1020207034575A KR20207034575A KR20210006929A KR 20210006929 A KR20210006929 A KR 20210006929A KR 1020207034575 A KR1020207034575 A KR 1020207034575A KR 20207034575 A KR20207034575 A KR 20207034575A KR 20210006929 A KR20210006929 A KR 20210006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ousing
rotating shaft
rotat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137B1 (ko
Inventor
페이 수에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회전 축체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회전 축체는 제1 회전면 및 제2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면과 상기 제2 회전면은 공통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면의 회전 축심과 상기 제2 회전면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이고 또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회전면에는 제1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면에는 제2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축체는 또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과 두개의 회전면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지지면은 두개의 회전면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져 있고, 상기 지지면의 양 측에는 각각 제3 걸림부 및 제4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축 및 전자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5월 16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No.201810468830.5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핸드폰, 태블릿 PC 등 전자 기기는 보편적으로 싱글 스크린 설계로 되어 있고, 싱글 스크린 설계는 비록 휴대하기에는 편이하지만, 사이즈의 제한으로 읽기에 불편함을 가져다 준다. 사람들의 대형 사이즈 스크린 및 휴대하기에 편리한 양방향 요구에 따라, 폴더블(Foldable) 스크린 전자 기기가 나타났다. 관련 기술중의 전자 기기의 폴더블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원형 회전축을 통하여 스크린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구현한다. 원형 회전축에 대하여 말하면, 원형 회전축의 표면은 스무싱한 회전면이기에, 이에 따라, 폴더블 스크린이 원형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때, 기타 포지션 부품의 힘을 받지 않으면, 폴더블 스크린은 포지셔닝을 할 수 없고, 이는 폴더블 스크린의 회전 각도가 양호한 제어를 받지 못하게 한다.
보다시피, 관련 기술중의 원형 회전축은 회전 부품에 대하여 포지셔닝을 하지 못하여, 회전 부품의 회전 각도가 양호한 제어를 받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중의 원형 회전축은 회전 부품에 대하여 포지셔닝을 하지 못하여, 회전 부품의 회전 각도가 양호한 제어를 받지 못하게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회전 축체를 제공하며, 상기 회전 축체는 제1 회전면 및 제2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면과 상기 제2 회전면은 하나의 공통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면의 회전 축심과 상기 제2 회전면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이고 또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회전면에는 제1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면에는 제2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축체는 또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과 두개의 회전면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에 설정되었으며, 상기 지지면은 두개의 회전면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지며, 상기 지지면의 양 측에는 각각 제3 걸림부 및 제4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전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제1 측면의 상술한 회전 축체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회전 축체의 제1 회전면을 둘러싸고 회전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회전 축체의 제2 회전면을 둘러싸고 회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회전 축체에 두개의 독립적인 회전면을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이로써, 회전 축체는 두개의 회전 부품을 위하여 각각 독립적인 회전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 부품이 회전 축체를 둘러싸고 회전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두개의 회전면 및 지지면에 각각 걸림부를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이로써, 회전 부품이 회전 축체를 통하여 회전할 때, 각자 대응하는 걸림부를 통하여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고, 따라서 바람직하게 회전 부품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회전 축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회전 축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회전 축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가 완전하게 전개했을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가 절반 전개했을 때의 구조 예시도 1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가 접합했을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가 절반 전개했을 때의 구조 예시도 2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렉서블 스크린 전자 기기가 완전하게 전개했을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렉서블 스크린 전자 기기가 도 1의 회전 축체를 사용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가 도 2의 회전 축체를 사용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가 도 3의 회전 축체를 사용하는 단면도 1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가 도 3의 회전 축체를 사용하는 단면도 2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회전 축체(1)을 제공하며, 회전 축체(1)은 제1 회전면(11) 및 제2 회전면(12)을 포함하고, 제1 회전면(11)과 제2 회전면(12)은 공통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 회전면(11)의 회전 축심과 제2 회전면(12)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이고 또한 중첩되지 않으며, 제1 회전면(11)에는 제1 걸림부(13)가 설정되어 있고, 제2 회전면(12)에는 제2 걸림부(14)가 설정되어 있다.
회전 축체(1)는 또한 지지면(15)을 포함하고, 지지면(15)과 두개의 회전면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에 설정되었으며, 지지면(15)은 두개의 회전면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지며, 지지면(15)의 양 측에는 각각 제3 걸림부(16) 및 제4 걸림부(17)가 설정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회전 축체는 두개의 회전 부품을 연결할 수 있고, 그 중, 제1 회전면(11) 및 제2 회전면(12)은 각각 두개의 회전 부품을 위하여 각자 독립적인 회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전 부품은 제1 회전면(11)을 둘러싸고 회전할 수 있고, 제2 회전 부품은 제2 회전면(12)을 둘러싸고 회전할 수 있다. 지지면(15)에서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된 공간은, 두개의 회전 부품의 지지 래그(leg)를 위하여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개의 회전 부품의 지지 래그(leg)를 위하여 회전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회전 부품의 지지 래그(leg)는 회전 부품이 회전 축체(1)를 둘러싸고 회전할 때, 지지하고 있는 부위로 이해할 수 있다. 회전 부품의 지지 래그(leg)의 관련 설명은, 하문에서 “전자 기기”를 결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 중, 제1 걸림부(13) 및 제2 걸림부(14)는 두개의 회전 부품이 각자의 회전면을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두개의 회전 부품이 각자의 회전면에 따른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걸림부(13), 제2 걸림부(14), 제3 걸림부(16) 및 제4 걸림부(17)는 공통적으로 두개의 회전 부품이 회전 축체(1)를 이탈하는 것을 제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걸림부(13)와 제3 걸림부(16)는 공통적으로 하나의 포지셔닝 평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걸림부(14)와 제4 걸림부(17)는 공통적으로 하나의 포지셔닝 평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 두개의 포지셔닝 평면은 각각 두개의 회전 부품의 포지셔닝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각각 두개의 회전 부품에 대하여 지지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두개의 회전 부품이 각각 각자의 독립적인 회전면에 따라 회전할 때, 회전 부품이 각자의 포지셔닝 평면이 위치한 위치까지 회전하였을 때, 회전 부품은 회전을 정지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회전 축체(1)의 축 길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회전 축체(1)는 하나의 긴 회전 축체(1)일 수 있으며, 회전 축체(1)에서의 각 걸림부의 수량은 한개, 두개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회전 축체(1)는 또한 하나의 짧은 회전 축체(1)일 수도 있고, 각 회전 축체에서의 각 걸림부의 수량은 한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매끄럽고 원활한 회전 궤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회전면(11) 및 제2 회전면(12)은 전부 동일한 측으로 만곡된 아크형 면일 수 있고, 각각의 회전면의 최대 회전 경로는 해당 회전면의 아크 길이이다. 제1 회전면(11) 및 제2 회전면(12)은 대칭으로 설정할 수 있고, 비대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회전 축체는 일종의 이형 회전축으로, 관련 기술중의 회전축과는 상이하다. 관련 기술중의 회전축은 일반적으로 원형 회전축이고, 원형 회전축의 표면은 일체형이고 또한 매끄러운 회전면이며, 두개의 회전 부품은 전부 공통한 회전면 주위를 회전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회전 축체는 두개의 독립적인 회전면을 가지고 있기에, 두개의 회전 부품은 각각 각자의 독립적인 회전면에 따라 회전한다. 이외, 원형 축체의 표면은 일체형이고 또한 매끄러운 회전면이기에, 회전 부품은 원형 축체를 통하여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없고, 회전 부품의 회전 각도가 바림직한 제어를 받지 못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회전 축체는, 두개의 회전면 및 지지면에서 각각 걸림부를 설정하였기에, 두개의 회전 부품은 각자에 대응하는 걸림부를 통하여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고, 이로써 회전 부품의 회전 각도를 바림직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외,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두개의 회전면이 각각 독립적이기에, 따라서, 회전 축체의 폭 방향으로 회전면을 연장할 수 있어, 비교적 긴 회전 경로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축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과대한 사이즈를 조성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13) 및 제3 걸림부(16)는 분리되어 설정할 수 있고, 제2 걸림부(14) 및 제4 걸림부(17)도 분리되어 설정할 수 있으며, 회전면과 지지면(15)은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을 진행하여, 회전 축체(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3)와 제3 걸림부(16)는 분리되어 설정할 수 있고, 제3 걸림부(16)와 제4 걸림부(17)는 연결되어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반대로 설정하여, 회전 축체(1)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1 걸림부(13)와 제3 걸림부(16)는 연결되어, 제1 회전면(11) 및 지지면(15)을 연결하는 제1 걸림면(18)을 형성하고; 제2 걸림부(14)와 제4 걸림부(17)는 연결되어, 지지면(15) 및 제2 회전면(12)을 연결하는 제2 걸림면(19)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설정을 통하여,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회전 축체(1)의 표면이 연속적인 표면으로 되어, 회전 축체(1)의 전체적인 강도를 제고시키는데 유리하다. 다른 측면에서, 제1 걸림면(18) 및 제2 걸림면(19)은 또한 두개의 회전 부품이 포지셔닝할 때 두개의 회전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1 걸림면(18)은 평면이고, 제2 걸림면(19)도 평면이다. 이에 따라, 회전 축체(1)의 구조 및 제조 가공이 더욱 간단하게 되었다. 이외, 제1 걸림면(18)와 제2 걸림면(19)은 평면이고, 두개의 회전 부품이 포지셔닝할 때, 두개의 회전 부품과 각각 접합할 수 있어, 걸림면 및 회전 부품 사이의 접촉 면을 증가하여, 포지셔닝 효과 및 지지 효과를 제고하였다.
선택 가능하게, 제1 걸림면(18)과 제2 걸림면(19)은 동일한 하나의 평면에 위치한다. 이렇게, 두개의 회전 부품이 포지셔닝할 때, 두개의 회전 부품의 표면이 동일한 평면위에 위치할 수 있기에, 특히 편평한 표면을 형성해야 하는 물체에 적용하기 적합하며, 예컨대 듀얼 스크린 핸드폰을 말한다.
선택 가능하게, 회전 축체(1)는 축 대칭인 회전 축체로, 더욱 좋은 회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회전축으로 연결이 필요한 물체에 적용할 수 있고, 예컨대, 토이, 생활 용구, 기기, 전자 기기 등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기기를 예를 들면, 현재,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전자 리더 등 전자 기기는 통상적으로 회전축을 사용하여 개폐 또는 회전을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폴더블 스크린 핸드폰은, 회전축을 사용하여 스크린의 폴딩 또는 언폴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회전 축체가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한다.
도 4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2) 및/또는 제2 하우징(3)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4)이 설정되어 있고,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은 회전 축체(1)를 통하여 연결되며, 제1 하우징(2)은 회전 축체(1)의 제1 회전면(11)을 둘러싸고 회전하며, 제2 하우징(3)은 회전 축체(1)의 제2 회전면(12)을 둘러싸고 회전한다.
그 중,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이 회전 축체(1)에 연결되는 부위는 회전 축체(1)의 외형과 매칭되는 캐비티(5)를 설정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은 한개의 긴 회전 축체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짧은 회전 축체를 통하여 간격에 따라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2) 또는 제2 하우징(3)상에 디스플레이 스크린(4)을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노트북, 싱글 스크린 핸드폰 등 전자 기기를 말한다. 또는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에 전부 디스플레이 스크린(4)을 설정할 수 있으며, 즉 제1 하우징(2)상에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1)을 설정하고, 제2 하우징(3)에서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2)을 설정한다.
전자 기기의 두개의 하우징 사이는 가능하게 회로 제어 또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프로세서 사이, 폴더블 핸드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회로판 사이, 듀얼 스크린 핸드폰의 두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 등등은, 전부 회로를 설정하여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고려를 기반으로, 전자 기기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 회전 축체(1)는 회로 통과 홀(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10)을 개설할 수 있으며, 해당 회로 통과 홀(10)은 회로의 관통을 위한 것이고, 회로는 회전 축체(1)의 회로 통과 홀(10)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2)내에서 상기 제2 하우징(3)내로 연장된다.
제1 걸림면(18) 및 제2 걸림면(19)을 구비한 회전 축체(1)에 대하여, 회로 통과 홀(10)은 제1 걸림면(18)에서 제2 걸림면(19)으로 관통하게 설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회전 축체(1)는 홀라오(hollow) 회전 축체이고, 회전 축체(1)는 제1 회전면(11), 제2 회전면(12), 제2 걸림면(19), 지지면(15) 및 제1 걸림면(18)에 의해 순차적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이렇게, 상술한 설정을 통하여,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회전 축체(1)의 무게가 비교적 가볍게 되었고, 회전 축체(1)의 경량화 설계에 유리하다. 다른 측면에서, 회전 축체(1)에 회로 통과 홀(10)을 개설해야 하는 실시 방식에 대하여, 해당 회로 통과 홀(10)은 제1 걸림면(18) 및 제2 걸림면(19)에 개설하면 되고, 회로 통과 홀(10)의 설정이 더욱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한다.
이외,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회전 축체(1)가 홀라오 회전 축체일 때, 동일한 두께의 홀라오 원형 축체와 비교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회전 축체(1) 내부의 공간은 원형 회전 축체 내부의 공간보다 더욱 크고, 이로써 회전 축체(1)의 회로 통과 공간을 증가하였다.
선택 가능하게, 제1 하우징(2)내에 제1 전지(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가 설정되어 있고, 제2 하우징(3)내에는 제2 전지(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1 전지와 상기 제2 전지는 회로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렇게,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내에 전부 전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통하여, 전자 기기의 전지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1 하우징(2)에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1)이 설정되어 있고, 제2 하우징(3)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2)이 설정되어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1)과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2)은 회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상술한 듀얼 스크린 설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4)의 디스플레이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자 기기에 대하여 말하면, 회전 축체(1)에 회로 통과 홀을 설정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4)이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상에 설정되어 있는 일체형의 플렉서블 스크린일 때, 회로판이 제1 하우징(2)중에 설정되어 있고, 제2 하우징(3)은 플렉서블 스크린을 설정하는 것 이외, 기타 임의의 회로 제어 또는 데이터 전송을 해야 하는 부품을 설정하지 않았다고 가설하면, 이러한 경우, 제1 하우징(2)중의 회로판을 통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4)을 제어할 수 있고,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사이에 회로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회전 축체(1)에 회로 통과 홀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 스크린(4)은 제1 하우징(2) 및/또는 제2 하우징(3)의 회전 축체(1)에 근접한 지지면(15)의 일 측에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접합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4)이 두개의 하우징 사이로 수용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4)에 대한 보호를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5)은 오목하게 파여져 제1 아크형 홈(151)을 형성한다.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4)이 플렉서블 스크린일 때, 해당 실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면(15)이 오목하게 파여져 제1 아크형 홈(151)을 형성하였기에,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4)이 폴딩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4)이 제1 아크형 홈(151)의 호도에 따라 양호하게 밴딩될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4)이 지지면(15)의 압축으로 인해 손상받지 않게 한다.
선택 가능하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5)이 오목하게 파여 제2 아크형 홈(152) 및 제3 아크형 홈(153)을 형성하고, 제2 아크형 홈(152)은 두개의 회전 부품중의 제1 회전 부품(즉 전자 기기의 제1 하우징(2))의 지지 래그(leg, 21)의 회전을 위한 것이고, 제3 아크형 홈(153)은 두개의 회전 부품중의 제2 회전 부품(즉 전자 기기의 제2 하우징(3))의 지지 래그(leg, 31)의 회전을 위한 것이다.
이렇게, 제2 아크형 홈(152) 및 제3 아크형 홈(153)의 유도 작용을 받아, 제1 하우징(2)의 지지 래그(21)는 제2 아크형 홈(152)의 아크면에 따라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고, 제2 하우징(3)의 지지 래그(31)는 제3 아크형 홈(153)의 아크면에 따라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축체(1)의 회전 성능을 제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15)이 오목하게 파여져 하나의 사각형 홈(154)을 형성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회전 축체(1),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의 각 부위 사이즈의 조절을 통하여,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이 전개될 때,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1)과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2)사이의 간격을 비교적 작은 범위내에로 한정할 수 있고(예컨대, 0.3mm보다 작거나 같음); 제1 하우징(2) 및 제2 하우징(3)이 접합될 때,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1)과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2)사이의 간격을 비교적 작은 범위내에로 한정할 수 있다(예컨대, 1.6mm보다 작거나 동일함).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임의의 기기일 수 있고, 예컨대: 컴퓨터(Computer),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로 약칭), 모바일 통신망 기기(Mobile Internet Device,MID),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전자 리더, 내비게이션, 디지털 카메라 등 전자 기기이다.
이상, 본 개시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특정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또는 교체될 수 있으며, 이는 응당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0)

  1. 회전 축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체는 제1 회전면 및 제2 회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면과 상기 제2 회전면은 하나의 공통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면의 회전 축심과 상기 제2 회전면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이고 또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회전면에는 제1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면에는 제2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축체는 또한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과 두개의 회전면의 회전 축심은 동일한 측에 설정되며, 상기 지지면은 두개의 회전면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지며, 상기 지지면의 양 측에는 각각 제3 걸림부 및 제4 걸림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축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3 걸림부는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면 및 상기 지지면을 연결하는 제1 걸림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걸림부와 상기 제4 걸림부는 연결되어,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제2 회전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2 걸림면을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축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체는 홀라오 회전 축체이고, 상기 회전 축체는 상기 제1 회전면, 상기 제2 회전면, 상기 제2 걸림면,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제1 걸림면이 순차적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축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오목하게 파여져 제1 아크형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면은 오목하게 파여져 제2 아크형 홈 및 제3 아크형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면은 오목하게 파여져 사각형 홈을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축체.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체에는 회로 통과 홀이 개설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축체.
  6.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또는 상기 제2 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상기 회전 축체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회전 축체의 제1 회전면을 둘러싸고 회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회전 축체의 제2 회전면을 둘러싸고 회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1 하우징 및/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회전 축체에 근접한 지지면의 일 측에 설정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청구항 제5 항에 따른 상술한 회전 축체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전자 기기는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회전 축체의 회로 통과 홀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내에서 상기 제2 하우징내로 연장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내에 제1 전지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내에는 제2 전지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지와 상기 제2 전지는 상기 회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회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207034575A 2018-05-16 2019-05-08 회전축 및 전자 기기 KR102413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68830.5A CN108667967B (zh) 2018-05-16 2018-05-16 一种转动轴体及电子设备
CN201810468830.5 2018-05-16
PCT/CN2019/085988 WO2019218912A1 (zh) 2018-05-16 2019-05-08 转动轴体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929A true KR20210006929A (ko) 2021-01-19
KR102413137B1 KR102413137B1 (ko) 2022-06-24

Family

ID=6377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575A KR102413137B1 (ko) 2018-05-16 2019-05-08 회전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9005B2 (ko)
EP (1) EP3817344A4 (ko)
JP (1) JP7407739B2 (ko)
KR (1) KR102413137B1 (ko)
CN (1) CN108667967B (ko)
WO (1) WO2019218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7967B (zh) 2018-05-16 2020-0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转动轴体及电子设备
CN115103043B (zh) * 2019-11-28 2024-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终端设备
CN111240413B (zh) * 2020-01-16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10153260A (ko) * 2020-06-10 2021-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760A (en) * 1979-02-01 1983-06-14 Manfred Greschbach Sliding folding door
US9173288B1 (en) * 2014-09-01 2015-10-27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105491193A (zh) * 2015-12-29 2016-04-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的可折叠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951Y2 (ko) * 1976-04-15 1980-05-20
DE2935967A1 (de) * 1979-09-06 1981-04-02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Scharnier
JPS62145948A (ja) 1985-12-20 1987-06-30 Fujitsu Ltd デ−タサンプリング方式
JPH02129580A (ja) 1988-11-09 1990-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装置
US8860632B2 (en)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JP4908484B2 (ja) * 2008-11-27 2012-04-04 三菱製鋼株式会社 回転角度規制機構付きセミオート型ヒンジ
KR101636077B1 (ko) * 2009-09-14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EP2546721B1 (en) *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CN202309856U (zh) * 2011-11-11 2012-07-04 北京壹人壹本信息科技有限公司 名片扫描仪
CN202602738U (zh) * 2012-05-28 2012-12-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式双触摸屏手机
US9013864B2 (en) * 2012-11-0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CN103883188A (zh) * 2012-12-24 2014-06-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
WO2013076710A2 (en) * 2013-02-20 2013-05-30 Wasfi Alshdaifat Motorized flexible display tri-phone (moto-phone)
WO2013080191A2 (en) * 2013-02-22 2013-06-06 Wasfi Alshdaifat Foldable flexible display (tri-phone)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54863B2 (en) * 2014-12-19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3760B1 (ko) * 2015-04-01 2022-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CN105979032B (zh) * 2016-04-28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移动终端
JP6838721B2 (ja) 2016-09-01 2021-03-0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CN108109527B (zh) * 2016-11-24 2020-05-19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承载结构
CN106941540B (zh) * 2017-01-26 2020-02-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206790538U (zh) * 2017-04-25 2017-12-2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具有柔性屏的折叠式终端
CN107621853B (zh) * 2017-09-26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连接部件及柔性电子设备
US10775852B2 (en) * 2017-11-28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208190691U (zh) * 2018-01-08 2018-12-0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半自动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108667967B (zh) * 2018-05-16 2020-0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转动轴体及电子设备
US10469635B1 (en) * 2019-01-23 2019-11-05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chambers accommodating a dynamic flexi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systems
JP6868064B2 (ja) * 2019-07-12 2021-05-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760A (en) * 1979-02-01 1983-06-14 Manfred Greschbach Sliding folding door
US9173288B1 (en) * 2014-09-01 2015-10-27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105491193A (zh) * 2015-12-29 2016-04-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的可折叠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8912A1 (zh) 2019-11-21
JP7407739B2 (ja) 2024-01-04
CN108667967A (zh) 2018-10-16
US20210064089A1 (en) 2021-03-04
KR102413137B1 (ko) 2022-06-24
JP2021523645A (ja) 2021-09-02
CN108667967B (zh) 2020-01-21
EP3817344A4 (en) 2021-07-14
EP3817344A1 (en) 2021-05-05
US11379005B2 (en)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137B1 (ko) 회전축 및 전자 기기
KR10219704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CN108122492B (zh) 可折叠显示器的折叠装置和具有该折叠装置的显示装置
US10429894B2 (en) Bendable mobile terminal
TWI732931B (zh) 天線結構
EP3364635B1 (en) Foldable mobile terminal
US11070711B2 (en) Terminal,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2450835B1 (ko) 폴더블 메커니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US1184699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WO2020038219A1 (zh) 转动组合体、铰链和电子设备
EP4210305A1 (en) Rotating mechanism and foldable terminal
US7573728B2 (en) Flexible dual-axis circuit board
WO2020108240A1 (zh) 折叠式移动终端
CN113497843B (zh) 一种可折叠移动终端
US8811011B2 (en) Notebook computer having foldable device
WO2020259443A1 (zh) 一种可折叠电子设备
JP2009138770A (ja) ヒンジ構造、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101314674B1 (ko) 이중힌지구조를 갖는 접이식 키보드
EP1818487B1 (en) Flexible dual-axis circuit board and hinge
WO2023246291A1 (zh) 同步转动机构及可折叠电子设备
WO2023185879A1 (zh) 可折叠电子设备
WO2021057236A1 (zh) 一种电路板及电子设备
CN117597647A (zh) 包括铰链组件的电子设备
JP2005295213A (ja) 折畳み式電子機器
JP2010114799A (ja) 筐体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